KR20180098305A - 주사기 보호 기구 - Google Patents

주사기 보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305A
KR20180098305A KR1020187020560A KR20187020560A KR20180098305A KR 20180098305 A KR20180098305 A KR 20180098305A KR 1020187020560 A KR1020187020560 A KR 1020187020560A KR 20187020560 A KR20187020560 A KR 20187020560A KR 20180098305 A KR20180098305 A KR 20180098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syringe
outer cylinder
cylind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266B1 (ko
Inventor
고지 가라사와
Original Assignee
포르테 그로우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르테 그로우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포르테 그로우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8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45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57Semi-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extension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exten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45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47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needle covering to needle uncovering position
    • A61M2005/325Means obstructing the needle passage at distal end of a needle protection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57Semi-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extension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extension means
    • A61M2005/3258Semi-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extension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extension means being compressible or compressed along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7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with guiding tracks for controlled sliding of needle protective sleeve from needle exposing to needle cover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sha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보호 기구는, 외통체(4)와 내통체(1)와 스프링(3)을 구비하고 있고, 스프링(3)이 압축 상태로부터 해방되면, 주삿바늘(202)이 외통체(4) 내에 격납되도록 내통체(1)가 외통체(4)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스프링(3)을 전후 방향 압축 상태로 유지한 채로, 외통체(4)에 내통체(1)를 고정하는, 해제 가능한 사전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사전 로크 기구는, 링체(2)의 볼록부(22)를 관통 홈부(42)의 결합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이동 전의 내통체(1)를 외통체(4)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주사기 보호 기구
본 발명은, 프리필드 시린지를 바늘 찔림(針刺)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히 보관·사용·폐기 등을 하기 위한 주사기 보호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약액 투여 후에 주삿바늘을 자기 격납할 수 있는 주사기 보호 기구에 관한 것이다.
프리필드 시린지에 관해서는, 바늘 찔림 사고를 없애기 위한 보호 기구가 종래부터 여러 가지로 제안되어 왔다. 특히, 프리필드 시린지가 혈액 매개 감염증의 치료약용인 경우에는, 약액 투여 후의 바늘 찔림 사고는 중대 사고가 되기 때문에, 그러한 보호 기구는 필수라고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표특허공보 제2005-519647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표특허공보 제2015-514518호 특허문헌 3 : US2014/0107577 특허문헌 4 : US5,201,708 특허문헌 5 : US5,318,538 특허문헌 6 : US2002/0004649
그러나, 종래의 보호 기구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사용 전의 작동을 피하기 위해 로크 기구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 로크 기구는 불확실한 것이다. 그 때문에, 보호 기구의 수송 시 또는 보관 시, 또는 프리필드 시린지의 보호 기구에 대한 세트 시, 또는 프리필드 시린지를 보호 기구에 세트한 후의 수송 시 또는 보관 시 또는 투여 시에, 즉 작동을 의도하지 않았을 때에, 작동할 우려가 있다. 즉, 오작동할 우려가 있다.
(2) 사용 후에 격납되어 있는 주삿바늘이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로크 기구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 로크 기구가 불확실한 것이다. 그 때문에, 폐기 등의 때에 주삿바늘이 노출되어 바늘 찔림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3) 구조가 복잡하다.
(4) 부품 개수가 많다.
(5) 조립이 번거롭다.
(6) 약액의 투여 상황을 시인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간소한 구성에 의해, 보다 확실히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주사기 보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사기에 부착하여 이용되면, 약액 투여 후의 주삿바늘을 격납하도록 작동하게 되어 있는, 주사기 보호 기구로서,
전단 개구와 후단 개구를 갖는 외통체와,
전단 개구와 후단 개구를 갖고 있고, 상기 외통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주사기를 삽입 가능 및 고정 가능한 내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후방부의 내면과 상기 내통체의 후방부의 외면 사이의 원주 공간 내에, 상기 내통체를 상기 외통체에 대하여 후방으로 압박하도록 전후 방향 압축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이 압축 상태로부터 해방되면, 상기 주삿바늘이 상기 외통체 내에 격납되도록 상기 내통체가 상기 외통체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을 전후 방향 압축 상태로 유지한 채로, 상기 외통체에 상기 내통체를 고정하는, 해제 가능한 사전 로크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사전 로크 기구는,
상기 내통체의 상기 후방부에 원주 방향 슬라이딩 가능 및 전후 방향 이동 불능으로 외삽되어 있는, 상기 내통체 및 상기 외통체와는 별체의 링체와,
상기 외통체의 상기 후방부에 형성된 관통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링체는, 원주 방향의 1개소 이상에 외향의 볼록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관통 홈부의 결합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관통 홈부는, 후단 가장자리에 개방된 전후 방향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전단으로부터 경사 후방으로 연장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 상기 결합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사전 로크 기구는, 상기 스프링을 더욱 압축하도록 상기 내통체가 눌러진 경우에, 상기 링체가 상기 내통체 및 상기 외통체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볼록부가 상기 결합부로부터 나와 상기 경사부를 거쳐 상기 직선부에 들어감으로써, 해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내통체는, 상기 사전 로크 기구가 해제되면, 상기 주삿바늘이 상기 외통체 내에 격납되는 거리만큼,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외통체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사기 보호 기구에 의하면, 주사기 사용 후에 주삿바늘을 외통체 내에 격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늘 찔림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a) 사전 로크 기구에 의해, 링체의 볼록부를 관통 홈부의 결합부에 강고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전의 내통체를 외통체에 강고히 고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b) 또한, 사후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면, 설형부의 볼록부를 슬라이드 홈부의 결합부에 강고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동 후의 내통체를 외통체에 강고히 고정할 수 있고, 따라서 작동 후의 보관·폐기 등의 때에 주삿바늘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바늘 찔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주사기 보호 기구를 주사기에 부착하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보호 기구가 주사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주사기의 플런저 로드가 눌러져 약액 투여가 종료된 후, 더욱 플런저 로드가 눌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보호 기구가 작동하여 주삿바늘이 보호 기구에 격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보호 기구의 전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보호 기구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보호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내통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내통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내통체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내통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4는 링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5는 링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링체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링체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링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9는 스프링의 무부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스프링의 압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외통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2는 외통체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외통체의 후방부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외통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5는 내통체를 링체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6은 링체를 링체 부착부에 압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7은 링체가 링체 부착부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링체가 부착된 내통체를 무부하 상태의 스프링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상태의 내통체를 외통체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상태로부터, 내통체를 외통체에 더욱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2는 볼록부를 관통 홈부의 결합부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3은 주사기를 보호 기구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5는 플랜지 부착부의 클로부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 단면도이다.
도 36은 슬라이드 홈부의 결합 공간에 설형부의 볼록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37은 외통체 및 내통체가 단면 사각형인 주사기 보호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주사기 보호 기구를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주사기 보호 기구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주사기 보호 기구를 주사기에 부착하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주사기 보호 기구(100)와 주사기(200)가 일직선상에 늘어서 있다. 주사기(200)는 프리필드 시린지이고, 선단의 주삿바늘(202)(도 3 참조)은 캡(201)으로 씌워져 있다. 도 2는 보호 기구(100)가 주사기(200)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주사기(200)는 보호 기구(100)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 4는 도 2의 상태의 평면도이다. 또, 도 4에서는 캡(201)이 벗겨져 있다. 도 5는 주사기(200)의 플런저 로드(203)가 눌러져 약액 투여가 종료된 후, 더욱 플런저 로드(203)가 눌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보호 기구(100)가 작동하여 주삿바늘(202)이 보호 기구(100)에 격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보호 기구(100)는, 주사기(200)에 부착하여 이용되면, 약액 투여 후의 주삿바늘(202)을 격납하도록 작동하게 되어 있다.
도 7은 보호 기구(100)의 전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보호 기구(100)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보호 기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보호 기구(100)는, 내통체(1)와 링체(2)와 스프링(3)과 외통체(4)로 이루어져 있다. 내통체(1)는 삽입된 주사기(200)를 유지하는 부재이다. 링체(2)는, 외통체(4)에 삽입된 내통체(1)를 외통체(4)에 고정하기 위한 사전 로크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사전 로크 기구는, 보호 기구(100)가, 사용 전의 의도하지 않은 때에 작동하는(즉,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스프링(3)은, 보호 기구(100)가 작동할 때에, 즉 사전 로크 기구가 해제되었을 때에, 내통체(1)를 외통체(4)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부재이다. 외통체(4)는, 내통체(1)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한 주사기(200)의 주삿바늘(202)을, 내부 공간 내에 격납하는 부재이다. 내통체(1) 및 외통체(4)는 투명 수지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하면, 보호 기구(100)에 삽입된 주사기(200)의 약액의 모습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투명 수지로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클로올레핀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내통체(1)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내통체(1)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내통체(1)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내통체(1)의 측면 단면도이다. 내통체(1)는 원통형의 본체(11)와, 설형부(12)와, 링체 부착부(13)와, 플랜지 부착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내통체(1)의 후방부는 대직경부(110)로 되어 있고, 링체 부착부(13) 및 플랜지 부착부(14)는 대직경부(110)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11)는 전단 개구(111)와 후단 개구(112)를 갖고 있고, 주사기(200)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113)을 갖고 있다. 설형부(12)는 본체(11)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있고, 후방으로 이동한 내통체(1)를 외통체(4)에 고정하기 위한 사후 로크 기구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사후 로크 기구는, 작동 후의 보호 기구(100)에 격납되어 있는 주삿바늘(202)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설형부(12)는 본체(11)의 원주 방향의 대향하는 위치에 2개 형성되어 있다. 설형부(12)는, 후단을 기단으로 하여 내외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설편(121)과, 설편(121)의 전단부의 외향의 볼록부(122)로 이루어져 있다. 설편(121)은 본체(11)의 주벽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22)는 평면도에서 보아 사다리꼴을 갖고 있다. 링체 부착부(13)는 전벽부(131)와, 후벽부(132)와, 그 사이의 원주 홈부(133)로 이루어져 있다. 플랜지 부착부(14)는, 주사기(200)의 시린지 본체(204)의 플랜지(205)를 내통체(1)에 고정하기 위한, 후방으로 돌출된 클로부(141)를 갖고 있다.
도 14는 링체(2)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5는 링체(2)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링체(2)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링체(2)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링체(2)의 측면 단면도이다. 링체(2)는 원통형의 본체(21)와, 본체(21)의 외주면에 외향으로 형성된 볼록부(22)와, 본체(21)의 내주면에 내향으로 형성된 원주 볼록부(23)와, 본체(21)의 뒤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결부(24)를 구비하고 있다. 볼록부(22)는, 본체(21)의 원주 방향의 대향하는 위치에 2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2)는 평면도에서 보아 대략 원형을 갖고 있다. 절결부(24)는 원주 방향 등간격의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도 19는 스프링(3)의 무부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스프링(3)의 압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스프링(3)은 내통체(1)의 대직경부(110)의 주면(115)에 외삽하는 내경을 갖고 있다.
도 21은 외통체(4)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2는 외통체(4)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외통체(4)의 후방부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외통체(4)의 측면 단면도이다. 외통체(4)는 원통형의 본체(41)와, 관통 홈부(42)와, 플랜지부(43)와, 스프링 지지부(44)와, 슬라이드 홈부(45)를 구비하고 있다. 외통체(4)는 후방부가 대직경부(410)로 되어 있고, 관통 홈부(42)와 플랜지부(43)와 스프링 지지부(44)는 대직경부(410)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41)는, 전단 개구(411)와 후단 개구(412)를 갖고 있고, 내통체(1)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413)을 갖고 있다. 내통체(1)의 대직경부(110)는 외통체(4)의 대직경부(410)에 삽입된다. 관통 홈부(42)는 링체(2)와 함께 사전 로크 기구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관통 홈부(42)는, 후단 가장자리에 개방된 전후 방향의 직선부(421)와, 직선부(421)의 전단으로부터 경사 후방으로 연장된 경사부(422)와, 경사부(422)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 결합부(423)로 이루어져 있다. 관통 홈부(42)는 외통체(4)의 후방부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43)는 본체(41)에 대하여 직각으로 또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편부(片部)(431)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지지부(44)는, 대직경부(410) 내에서 스프링(3)을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형성된 원주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스프링 지지부(44)에 의해, 대직경부(410) 내에는, 스프링(3)의 전방부를 수용하는 공간(4101)이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홈부(45)는 내통체(1)의 설형부(12)와 함께 사후 로크 기구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슬라이드 홈부(45)는, 본체(41)의 중앙부로부터 전방부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본체(41)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위치에 2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홈부(45)는 홈 본체(451)와, 홈 본체(451)의 후단부에 형성된 결합부(452)로 이루어져 있다. 슬라이드 홈부(45)는, 후방으로 이동하기 전의 내통체(1)가 외통체(4)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즉 보호 기구(100)의 작동 전에 있어서는, 설형부(12)의 볼록부(122)가 홈 본체(451) 내에 위치하도록(도 7 참조) 형성되어 있고, 내통체(1)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즉 보호 기구(100)의 작동 후에 있어서는, 설형부(12)의 볼록부(122)가 결합부(452)에 이동 불능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452)는, 양옆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된 2개의 역지편(逆止片)(4521)과, 결합 공간(4522)을 갖고 있다. 역지편(4521)은 탄성을 갖고 있고, 설형부(12)의 볼록부(122)가 앞으로부터 뒤로 통과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그 반대는 허용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452)는, 역지편(4521)을 통과한 볼록부(122)를 결합 공간(4522) 내에 이동 불능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조립 작업]
다음으로, 보호 기구(100)의 조립 작업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체(2)에 내통체(1)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체(2)를 링체 부착부(13)에 압입한다. 도 27은 링체(2)가 링체 부착부(13)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링체 부착부(13)의 전벽부(131)는 전방부에 테이퍼면(1311)(도 26 참조)을 갖고 있고, 링체(2)의 원주 볼록부(23)는 후방부에 테이퍼면(231)(도 26 참조)을 갖고 있기 때문에, 원주 볼록부(23)는 전벽부(131)를 원활히 타고 넘을 수 있다. 따라서, 압입 작업은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압입 후의 원주 볼록부(23)와 원주 홈부(133) 사이에는, 전후 방향의 간극 및 내외 방향의 간극이 존재하고 있으며, 또한 원주 볼록부(23)는 전벽부(131)와 후벽부(132)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링체(2)는, 링체 부착부(13)에 대하여, 원주 방향 슬라이딩 가능 및 전후 방향 이동 불능으로 외삽되어 있고, 게다가 링체 부착부(13)로부터 용이하게 탈락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링체(2)는 링체 부착부(13)에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체(2)가 부착된 내통체(1)를 무부하 상태의 스프링(3)에 삽입한다. 이때, 스프링(3)의 후단부는 대직경부(110)의 주면(115) 상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8의 상태의 내통체(1)를 외통체(4)에 삽입한다. 도 30은 도 29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때, 스프링(3)의 전방부는 공간(4101) 내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스프링(3)은 안정된다. 볼록부(122)의 전방부에는, 외향이며 후방을 향한 테이퍼면(1221)(도 13 참조)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통체(1)를 외통체(4)에 삽입할 때에, 볼록부(122)가 외통체(4)의 내면을 원활히 미끄러져 슬라이드 홈부(45)에 이른다. 따라서, 내통체(1)의 삽입 작업은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0의 상태로부터, 내통체(1)를 외통체(4)에 더욱 압입하여 가서, 링체(2)의 볼록부(22)를 관통 홈부(42)의 직선부(421)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3)은, 대직경부(410) 내의 공간(4101)에 위치한 상태로 압축되어 간다. 이때, 스프링(3)의 전방부는 공간(4101)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3)은 안정적으로 압축되어 간다.
다음으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체(2)를 화살표 R 방향으로 조금 회전시켜, 볼록부(22)를, 경사부(422)를 통과시켜 결합부(423)에 위치시킨다. 이때, 링체(2)의 회전 작업은, 본체(21)의 뒤가장자리의 절결부(24)(도 15 참조)에 손가락 또는 지그를 걸어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내통체(1), 즉 링체(2)는, 압축된 스프링(3)에 의해 후방으로 압박되고 있기 때문에, 볼록부(22)는, 링체(2)를 화살표 R 방향으로 조금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경사부(422)를 통과하여 결합부(423)로 이동한다.
또한, 결합부(423)는 경사부(422)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22)는, 원주 방향으로의 이동 불능인 상태로, 또한 후방으로 압박된 상태로, 결합부(423) 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볼록부(22)는, 결합부(423)로부터 용이하게는 빠져나갈 수 없도록 되어 있고, 그 결과 오작동이 잘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링체(2)와 관통 홈부(42)에 의해 구성된 사전 로크 기구에 의하면, 볼록부(22)를 결합부(423)에 강고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전의 내통체(1)를 외통체(4)에 강고히 고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보호 기구(100)가 조립된다.
[부착 작업]
다음으로, 주사기(200)에 대한 보호 기구(100)의 부착 작업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200)를 보호 기구(100)의 내통체(1)에 삽입하고, 플랜지(205)를 플랜지 부착부(14)에 부착한다. 도 34는 도 33의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플랜지 부착부(14)의 클로부(141)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연장된 벽부(1411)와, 벽부(1411)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된 볼록부(1412)로 이루어져 있다. 볼록부(1412)의 전면(1415)과 내통체(1)의 후단면(16) 사이에는, 플랜지(205)를 수용하는 공간(140)이 확보되어 있다. 플랜지(205)는, 볼록부(1412)를 후방으로부터 타고 넘어 공간(140) 내로 들어가고, 공간(140) 내에서 클로부(141)에 의해 파지된다. 플랜지(205)는, 후방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을 갖고 있고, 윗변(2051) 및 아랫변(2052)은 원호형을 나타내고 있고, 양측편(2053, 2054)은 직선형을 나타내고 있다. 즉, 플랜지(205)는, 소위 「커트 플랜지(切鍔)」이다. 클로부(141)의 벽부(1411)는 플랜지(205)를 사방으로부터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하의 클로부(141)의 벽부(1411)는 원호형을 나타내고 있고, 양측의 클로부(141)의 벽부(1411)는 직선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205)는, 공간(140) 내에서 회동하는 경우는 없다. 게다가, 플랜지(205)는 볼록부(1412)와 내통체(1)의 후단면(16)에 의해 끼워져 있다. 따라서, 플랜지(205)는 플랜지 부착부(14)에 강고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1412)의 선단부에는, 후방을 향하여 또한 밖을 향하여, 테이퍼면(1413)이 형성되어 있고, 게다가 테이퍼면(1413)의 앞가장자리(1414)는 R 가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205)가 볼록부(1412)를 후방으로부터 타고 넘는 작업은,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내통체(1)의 대직경부(110)의 내면은, 후방을 향하여 조금 개방된 테이퍼면(1101)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사기(200)를 내통체(1) 내에 원활히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내통체(1)는, 삽입된 주사기(200)의 시린지 본체(204)에 대하여, 간극(S2)(도 34 참조)이 생기는 것과 같은, 내경을 갖고 있다. 간극(S2)의 치수는, 지나치게 작으면, 시린지 본체(204)의 삽입이 곤란해지고, 지나치게 크면, 시린지 본체(204)가 내통체(1) 내에서 덜컹거리거나, 사후 로크 기구가 해제되기 쉬워지거나 한다. 따라서, 간극(S2)은, 그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보호 기구(100)가 주사기(200)에 부착된다.
[주사기의 사용]
보호 기구(100)가 부착된 주사기(200)는, 도 2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자는, 조금 대형의 주사기를 취급하듯이, 2개의 손가락을 플랜지부(43)의 편부(431)에 전방으로부터 대고, 주사기(200)를 파지한다. 다음으로, 캡(201)을 벗겨 주삿바늘(202)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주삿바늘(202)을 주사 부위에 찌른다.
편부(431)는, 손가락을 눌러 대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보호 기구(100)가 부착된 주사기(200)를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외통체(4)의 전단부는 전방을 향하여 소직경이 되도록 테이퍼면(46)(도 21 참조)을 갖고 있다. 따라서, 주삿바늘(202)을 찌를 때의 주사기(200)의 방향 부여를 행할 때에, 외통체(4)의 전단부가 방해가 되는 경우는 없고, 주사 각도를 크게 취할 수 있다.
[작동]
다음으로, 보호 기구(100)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플런저 로드(203)를 눌러 주사기(200)에 의한 약액 투여가 종료된 상태로부터, 플런저 로드(203)를 내통체(1)와 함께 더욱 전방으로 누르면, 관통 홈부(42)의 결합부(423)에 위치하고 있는 볼록부(22)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23)로부터 전방으로 빠져나오고, 경사부(422)를 따라 더욱 전방으로 이동하여, 직선부(421)의 전단에 도달한다.
볼록부(22)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보아 경사부(422)를 따르는 것과 같은 테이퍼면(221)을 갖고 있기 때문에, 경사부(422)를 원활히 이동한다. 게다가, 링체(2)의 외주면과 외통체(4)의 대직경부(410)의 내면 사이에는, 간극(S1)(도 34 참조)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링체(2)는 원활히 회전한다. 따라서, 볼록부(22)는 원활히 이동한다.
그리고, 볼록부(22)가 직선부(421)의 전단에 도달하면, 볼록부(22)는 직선부(421)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사전 로크 기구가 해제된 것이 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이 압축 상태로부터 해방되어, 내통체(1)가 스프링(3)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이동한다. 내통체(1)는 주사기(200)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주사기(200)도 외통체(4)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 볼록부(22)의 돌출 높이(H2)(도 18 참조)는, 지나치게 작으면, 결합부(423) 내에 유지되기 어려워지고, 지나치게 크면, 방해가 되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점이 없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내통체(1)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설형부(12)의 볼록부(122)는 슬라이드 홈부(45)의 홈 본체(451)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즉, 내통체(1)의 이동은 볼록부(122)에 의해 가이드된다. 따라서, 내통체(1)는 안정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내통체(1)는 대직경부(410)의 지지부(44)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이동한다.
후방으로 이동한 설형부(12)의 볼록부(122)가 슬라이드 홈부(45)의 결합부(452)에 결합되면, 내통체(1)의 이동은 정지된다. 슬라이드 홈부(45)의 전후 방향의 거리는, 주삿바늘(202)의 선단이 외통체(4) 내에 수습될 때까지 내통체(1)가 이동하는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볼록부(122)가 결합부(452)에 결합되면, 주삿바늘(202)은 외통체(4)의 내부 공간(413) 내에 격납된다.
슬라이드 홈부(45)의 결합부(452)에 결합된 볼록부(122)는 전후 방향 이동 불능이기 때문에, 후방으로 이동한 내통체(1)는 외통체(4)에 대하여 고정된다. 즉, 설형부(12)와 슬라이드 홈부(45)에 의해 구성된 사후 로크 기구에 의하면, 설형부(12)의 볼록부(122)를 슬라이드 홈부(45)의 결합부(452)에 강고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동 후의 내통체(1)를 외통체(4)에 강고히 고정할 수 있고, 따라서 주삿바늘(202)의 격납 상태를 강고히 유지할 수 있고, 보호 기구(100)의 작동 후의 보관·폐기 등의 때에 주삿바늘(202)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바늘 찔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공간(4522)은, 평면도에서 보아, 후방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고 있는 사다리꼴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볼록부(122)는, 평면도에서 보아, 결합 공간(4522)에 감합되는 사다리꼴 형상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볼록부(122)는 결합 공간(4522)에 감합된다. 게다가, 2개의 역지편(4521)의 선단 사이의 거리(W1)는, 볼록부(122)의 전방부의 폭(W2)보다 작다. 따라서, 볼록부(122)는 결합 공간(4522) 내에서 강고히 이동 불능이다. 따라서, 사후 로크 기구는 강고히 작용한다.
또, 볼록부(122)의 돌출 높이(H1)(도 13 참조)는, 지나치게 작으면, 결합부(452) 내에 유지되기 어려워지고, 지나치게 크면, 내통체(1)를 외통체(4)에 삽입할 때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점이 없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3)의 압박력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a) 플랜지 부착부(14)에 플랜지(205)를 부착할 때에는, 플랜지(205)가 볼록부(1412)를 타고 넘기 위해, 내통체(1)에 전방으로의 가압력이 가해진다. 그 경우, 사전 로크 기구가 해제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스프링(3)의 압박력은, 그 가압력에 비하여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전 로크 기구가 해제되는 경우는 없다. 즉, 오작동은 생기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3)의 압박력은, 상기 가압력보다 50~400%, 바람직하게는 100~300% 크게 설정되어 있다.
(b) 약액 투여를 위해 플런저 로드(203)를 누를 때에는, 시린지 본체(204)에 대한 플런저 로드(203)의 슬라이딩 저항이 생긴다. 그 경우, 내통체(1)에 전방으로의 압박력이 가해져, 사전 로크 기구가 해제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스프링(3)의 압박력은 그 슬라이딩 저항에 비하여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전 로크 기구가 해제되는 경우는 없다. 즉, 오작동은 생기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3)의 압박력은, 상기 슬라이딩 저항보다 100~600%, 바람직하게는 100~300% 크게 설정되어 있다.
(c) 스프링(3)이 압축 상태로부터 해방되더라도 볼록부(122)가 결합부(452)에 이르지 않는 경우에는, 주삿바늘(202)의 격납이 불완전해지고, 또한 후방으로 이동한 내통체(1)가 외통체(4)에 고정되지 않는다. 즉, 보호 기구(100)의 보호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그러나, 스프링(3)의 압박력은, 주삿바늘(202)이 외통체(4) 내에 격납되는 위치까지, 즉 볼록부(122)가 결합부(452)에 결합되는 위치까지, 내통체(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보호 기구(100)는 보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변형예]
각 요소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변형예를 채용할 수 있다.
(1) 설형부(12)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되어도 좋다.
(2) 설형부(12)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지 않은 위치에 2개 이상 형성되어도 좋다.
(3) 설형부(12)의 볼록부(122)는 평면도에서 보아, 타원형, 반원형, 삼각형, 각형 등이어도 좋다.
(4) 링체(2)의 볼록부(22)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되어도 좋다.
(5) 링체(2)의 볼록부(22)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지 않은 위치에 2개 이상 형성되어도 좋다.
(6) 링체(2)의 볼록부(22)는 평면도에서 보아, 타원형, 각형 등이어도 좋다.
(7) 링체(2)의 볼록부(22)는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사전 로크 기구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8)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체(1) 및 외통체(4)는 단면 사각형의 통체여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외통체(4) 표면에 대한 라벨 붙임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38은 도 37의 보호 기구(100)를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9) 관통 홈부(42)의 수 및 원주 방향의 위치는, 볼록부(22)의 수 및 원주 방향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으면 된다.
(10) 슬라이드 홈부(45)의 수 및 원주 방향의 위치는, 설형부(12)의 수 및 원주 방향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으면 된다.
(11) 스프링 지지부(44)는 원주에 연속하고 있지 않아도 좋고, 예컨대 원주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봉체 등이어도 좋다.
(12) 주사기(200)의 플랜지(205)는 후방에서 보아 원형(소위 「라운드 플랜지(丸鍔)」)을 가져도 좋다.
[구체적 치수 등]
용량 1 ㎖의 주사기(200)에 이용되는 보호 기구(100)에 있어서, 각 부의 구체적 치수 등은, 예컨대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설편(121)의 전후 방향 길이(L1)(도 12 참조) : 3~12 ㎜
·볼록부(122)의 돌출 높이(H1)(도 13 참조) : 0.5~2.5 ㎜
·볼록부(22)의 돌출 높이(H2)(도 18 참조) : 0.5~3 ㎜
·간극(S2)(도 34 참조) : 0.1~0.6 ㎜
·볼록부(1412)의 돌출 치수(H3)(도 35 참조) : 0.2~0.7 ㎜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주사기 보호 기구는, 오작동을 방지하여, 주사기를 안전하게 또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의 이용 가치가 크다.
1 : 내통체 12 : 설형부
122 : 볼록부 2 : 링체
22 : 볼록부 3 : 스프링
4 : 외통체 42 : 관통 홈부
421 : 직선부 422 : 경사부
423 : 결합부 44 : 지지부
45 : 슬라이드 홈부 452 : 결합부
4521 : 역지편 100 : 주사기 보호 기구
200 : 주사기 202 : 주삿바늘
203 : 플런저 로드 204 : 시린지 본체

Claims (11)

  1. 주사기(200)에 부착하여 이용되면, 약액 투여 후의 주삿바늘(202)을 격납하도록 작동하게 되어 있는, 주사기 보호 기구(100)로서,
    전단 개구(411)와 후단 개구(412)를 갖는 외통체(4)와,
    전단 개구(111)와 후단 개구(112)를 갖고 있고, 상기 외통체(4)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주사기(200)를 삽입 가능 및 고정 가능한 내통체(1)와,
    상기 외통체(4)의 후방부의 내면과 상기 내통체(1)의 후방부의 외면 사이의 원주 공간 내에, 상기 내통체(1)를 상기 외통체(4)에 대하여 후방으로 압박하도록 전후 방향 압축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3)
    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3)이 압축 상태로부터 해방되면, 상기 주삿바늘(202)이 상기 외통체(4) 내에 격납되도록 상기 내통체(1)가 상기 외통체(4)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3)을 전후 방향 압축 상태로 유지한 채로, 상기 외통체(4)에 상기 내통체(1)를 고정하는, 해제 가능한 사전 로크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사전 로크 기구는,
    상기 내통체(1)의 상기 후방부에 원주 방향 슬라이딩 가능 및 전후 방향 이동 불능으로 외삽되어 있는, 상기 내통체(1) 및 상기 외통체(4)와는 별체의 링체(2)와,
    상기 외통체(4)의 상기 후방부에 형성된 관통 홈부(42)를 구비하며,
    상기 링체(2)는 원주 방향의 1개소 이상에 외향의 볼록부(22)를 갖고 있고,
    상기 볼록부(22)는 상기 관통 홈부(42)의 결합부(423)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 홈부(42)는, 후단 가장자리에 개방된 전후 방향의 직선부(421)와, 상기 직선부(421)의 전단으로부터 경사 후방으로 연장된 경사부(422)와, 상기 경사부(422)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 상기 결합부(42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사전 로크 기구는, 상기 스프링(3)을 더욱 압축하도록 상기 내통체(1)가 눌러진 경우에, 상기 링체(2)가 상기 내통체(1) 및 상기 외통체(4)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볼록부(22)가 상기 결합부(423)로부터 나와 상기 경사부(422)를 거쳐 상기 직선부(421)에 들어감으로써, 해제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내통체(1)는, 상기 사전 로크 기구가 해제되면, 상기 주삿바늘(202)이 상기 외통체(4) 내에 격납되는 거리만큼, 상기 스프링(3)에 의해 상기 외통체(4)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보호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후방으로 이동한 상기 내통체(1)를 상기 외통체(4)에 고정하는, 사후 로크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사후 로크 기구는,
    상기 외통체(4)의 중앙부로부터 전방부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부(45)와,
    상기 내통체(1)의 전방부의 주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설형부(舌部)(12)
    를 구비하고,
    상기 설형부(1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후단을 기단으로 하여 내외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며, 전단부에 외향의 볼록부(122)를 갖고 있고,
    상기 슬라이드 홈부(45)는, 후방으로 이동하기 전의 상기 내통체(1)가 상기 외통체(4)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설형부(12)의 상기 볼록부(122)가 상기 슬라이드 홈부(45)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통체(1)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설형부(12)의 상기 볼록부(122)가 상기 슬라이드 홈부(45)의 후단의 결합부(452)에 이동 불능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주사기 보호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후 로크 기구의 상기 슬라이드 홈부(45)의 상기 결합부(452)는, 상기 설형부(12)의 상기 볼록부(122)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허용하지만 전방으로의 이동은 저지하는, 역지편(逆止片)(4521)을 구비하는 것인 주사기 보호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후 방향 압축 상태의 상기 스프링(3)은, 상기 주사기(200)의 시린지 본체(204)에 대한 플런저 로드(203)의 슬라이딩 저항에 비하여 크며, 상기 주사기(200)를 상기 내통체(1)에 고정할 때의 압박력에 비하여 크고, 상기 주삿바늘(202)이 상기 외통체(4) 내에 격납되는 위치까지 상기 내통체(1)를 이동시킬 수 있는, 압박력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인 주사기 보호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로크 기구의 상기 링체(2)의 상기 볼록부(22)가, 원주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전 로크 기구의 상기 관통 홈부(42)가, 상기 외통체(4)의 상기 후방부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주사기 보호 기구.
  6. 제2항 또는 제2항에 종속하는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후 로크 기구의 상기 슬라이드 홈부(45)는, 상기 외통체(4)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후 로크 기구의 상기 설형부(12)가, 상기 내통체(1)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주사기 보호 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4)의 상기 후방부는, 상기 원주 공간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의 전방부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44)를 갖고 있는 것인 주사기 보호 기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4) 및 상기 내통체(1)가, 투명 수지로 되어 있는 것인 주사기 보호 기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4) 및 상기 내통체(1)의 본체(41, 11)가, 단면 원형 또는 단면 사각형을 갖고 있는 것인 주사기 보호 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체(2)의 외주면과 상기 외통체(4)의 상기 후방부의 내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주사기 보호 기구.
  11. 주삿바늘(202)과, 약액을 저류한 시린지 본체(204)와, 약액을 압출하는 플런저 로드(203)를 구비하는 주사기(200)에,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주사기 보호 기구(10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주사기.
KR1020187020560A 2015-12-18 2016-09-14 주사기 보호 기구 KR102257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47707 2015-12-18
JP2015247707A JP6009645B1 (ja) 2015-12-18 2015-12-18 注射器保護器具
PCT/JP2016/077147 WO2017104196A1 (ja) 2015-12-18 2016-09-14 注射器保護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305A true KR20180098305A (ko) 2018-09-03
KR102257266B1 KR102257266B1 (ko) 2021-05-26

Family

ID=5714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560A KR102257266B1 (ko) 2015-12-18 2016-09-14 주사기 보호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26040B2 (ko)
EP (1) EP3391922B1 (ko)
JP (1) JP6009645B1 (ko)
KR (1) KR102257266B1 (ko)
CA (1) CA3008584C (ko)
TW (1) TWI652088B (ko)
WO (1) WO20171041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913479D0 (en) * 2019-09-18 2019-10-30 Nicoventures Trading Ltd A consumable artcile for use with an apparatus for heating aerosolisable material
CN111888581A (zh) * 2020-09-10 2020-11-06 苏州赛卫生物科技有限公司 带有针头保护装置的安全注射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3446A (en) * 1988-04-14 1990-05-08 Page Mary J Shield for devices capable of penetrating skin
US4998924A (en) * 1989-07-25 1991-03-12 Sherwood Medical Company Double sleeve safety syringe
US5201708A (en) 1992-02-03 1993-04-13 Timothy A. Kershenstine Self-locking safety syringe
US20020004649A1 (en) 1998-04-17 2002-01-10 Hubert Jansen Safety shield system for prefilled syringes
JP2005519647A (ja) 2001-06-20 2005-07-07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予め充填された注射器のための安全シールド・システム
US20140107577A1 (en) 2011-06-02 2014-04-17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Needle-protection device for a syringe
JP2015514518A (ja) 2012-04-20 2015-05-21 セーフティ シリンジ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注射デバイスのための針刺し防止安全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9233B1 (en) 1998-04-17 2001-11-2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afety shield system for prefilled syringes
EP1300169A1 (en) * 2001-10-08 2003-04-09 Sergio Restelli Blood sample collection apparatus with a simplified safety device
DE10348185A1 (de) 2003-10-16 2005-05-19 Tecpharma Licensing Ag Injektionsgerät mit Nadelabdeckung
US20050085776A1 (en) 2003-10-16 2005-04-21 Edgar Hommann Injection device for administering a fluid product
EP2661299B1 (en) * 2011-01-04 2015-01-2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 safety device for a pre-filled syringe and an injection device
EP2578256A1 (en) 2011-10-06 2013-04-10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Needle safety device
EP2578257A1 (en) 2011-10-06 2013-04-10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Needle safety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3446A (en) * 1988-04-14 1990-05-08 Page Mary J Shield for devices capable of penetrating skin
US4998924A (en) * 1989-07-25 1991-03-12 Sherwood Medical Company Double sleeve safety syringe
US5201708A (en) 1992-02-03 1993-04-13 Timothy A. Kershenstine Self-locking safety syringe
US5318538A (en) 1992-02-03 1994-06-07 Timothy Kershenstine Self-locking safety syringe
US20020004649A1 (en) 1998-04-17 2002-01-10 Hubert Jansen Safety shield system for prefilled syringes
JP2005519647A (ja) 2001-06-20 2005-07-07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予め充填された注射器のための安全シールド・システム
US20140107577A1 (en) 2011-06-02 2014-04-17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Needle-protection device for a syringe
JP2015514518A (ja) 2012-04-20 2015-05-21 セーフティ シリンジ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注射デバイスのための針刺し防止安全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26040B2 (en) 2021-02-23
TW201722497A (zh) 2017-07-01
JP6009645B1 (ja) 2016-10-19
JP2017109040A (ja) 2017-06-22
CA3008584C (en) 2021-03-02
CA3008584A1 (en) 2017-06-22
TWI652088B (zh) 2019-03-01
KR102257266B1 (ko) 2021-05-26
EP3391922A4 (en) 2019-09-11
US20180369500A1 (en) 2018-12-27
EP3391922A1 (en) 2018-10-24
EP3391922B1 (en) 2020-08-26
WO2017104196A1 (ja)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05973A1 (en) Injector
JP5267560B2 (ja) 針組立体
JP5824083B2 (ja) ペン型注射針
US8062265B2 (en) Automatic needle guard for medication pen
US6325781B1 (en) Puncturing device
CN107106787B (zh) 可缩回针组件
US10661027B2 (en) Syringe comprising a bonded needle
JPH03139363A (ja) 注射針の安全防護装置
EP1690562A1 (en) Syringe needle
US5709667A (en) Hypodermic needle protection system
KR20200088284A (ko) 잠금 매커니즘을 갖는 주사기
TWI661822B (zh) 藥物輸送裝置
KR20180098305A (ko) 주사기 보호 기구
TW201739440A (zh) 用於藥物輸送裝置的容器保持總成和包括容器保持總成的藥物輸送裝置
JP4413978B2 (ja) 医療用注射器
JP5491209B2 (ja) シリンジ
JP6322082B2 (ja) 注射針保護装置
US20220347387A1 (en) Injection Device with an End-of-Dose Indicator
WO2008118170A1 (en) Automatic needle guard for medication pen
EP3636304A1 (en) Safety needle with needle hub, and methods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