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041A - 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041A
KR20180098041A KR1020170025014A KR20170025014A KR20180098041A KR 20180098041 A KR20180098041 A KR 20180098041A KR 1020170025014 A KR1020170025014 A KR 1020170025014A KR 20170025014 A KR20170025014 A KR 20170025014A KR 20180098041 A KR20180098041 A KR 20180098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sensor
sensin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강병근
강태구
김진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5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8041A/ko
Publication of KR2018009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2Monitoring battery levels, e.g. power saving mode being initiated when battery voltage goes below a certain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02D10/126
    • Y02D10/171
    • Y02D10/17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는, 외부의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배터리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장착 가능한 센싱부와, 배터리의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전원 모니터링부와, 센싱부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센서 종류, 및 배터리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원에 기초하여,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센서 장치에서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센서 장치{Sensor device}
본 발명은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 다양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 장치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장치는, 온도를 센싱하거나, 습도를 센싱하거나, 가스 등을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장치의 센싱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센서 장치가, 전자 기기와 별도의 독립 전원에 의해 구동되면서, 센싱하고자 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센서 장치는, 별도의 독립 전원에 의해 구동되나, 배터리 교체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센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전력 구동에 의해, 배터리 교체 없이 장기간 사용 가능한 센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 장치의 동작 가능 시간을 연장할 수 수 있는 센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는, 외부의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배터리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장착 가능한 센싱부와, 배터리의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전원 모니터링부와, 센싱부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센서 종류, 및 배터리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원에 기초하여,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는, 외부의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1차 배터리와 2차 배터리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장착 가능한 센싱부와,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전원 모니터링부와, 전원 공급부로부터 2차 배터리에 기초한 전원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1차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1차 배터리의 전원이 하강하여 제1 기준치에 도달하는 경우, 1차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부스팅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는, 외부의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배터리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장착 가능한 센싱부와, 배터리의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전원 모니터링부와, 센싱부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센서 종류, 및 배터리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원에 기초하여,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함으로써,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저전력 구동에 의해, 배터리 교체 없이 장기간 사용 가능하게 된다.
특히,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소비 전력이 클수록,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길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 공급부는, 솔라셀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리 교체 없이 장기간 사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가변 이후, 배터리에 저장되는 전력 변화량 보다,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전력 소비량이 더 큰 경우, 전원 공급부의 출력이 중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 레벨이 적정 수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는, 외부의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1차 배터리와 2차 배터리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장착 가능한 센싱부와,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전원 모니터링부와, 전원 공급부로부터 2차 배터리에 기초한 전원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1차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1차 배터리의 전원이 하강하여 제1 기준치에 도달하는 경우, 1차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부스팅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함으로써, 센서 장치의 동작 가능 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는, 센싱부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센서 종류, 및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원에 기초하여,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센서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5a 내지 도 6b는 도 4의 센서 장치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센서 장치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센서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b는 도 10의 센서 장치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10)은, 홈 어플라이언스(200a~200f), 홈 어플라이언스에 탈부착 가능하며,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 장치(100a~100f), 센서 장치(100a~100f)와 RF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300) 또는 허브(400), 그리고, 게이트웨이(300) 또는 허브(400)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이동 단말기(6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홈 어플라이언스(200a~200f)로, 냉장고(200a), 세탁기(200b), 에어컨과 같은 공기조화기(200c), 조리기기(200d), 로봇 청소기(200e), TV(200f) 등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온도 조절장치, 차량, 드론 등 다양한 기기 등도 가능하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a~200f)는, IR 통신을 위한, IR 통신부(도 3의 217)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장치(100a~100f)는, 통신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IR 통신, RF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 장치(100a~100f)에서 센신된 정보는, 게이트웨이(300) 또는 허브(40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 내에서, 소정 동작을 위한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동작 명령 신호를, 게이트웨이(300) 또는 허브(400)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300) 또는 허브(400)는, RF 통신을 통해, 동작 명령 신호를, 센서 장치(100a~100f) 중 특정 센서 장치, 예를 들어, 세탁기(200b)에 부착된 센서 장치(100b)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RF 통신은, 지그비 통신, 블루투스 통신, LoRa 통신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기(200b)에 부착된 센서 장치(100b)는, RF 통신을 통해, 동작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부(120)를 통해, 세탁기(200b)로 동작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세탁기(200b)에 부착된 센서 장치(100b)는, 동작 명령 신호 전송 이후, 센싱부(130)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며,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게이트웨이(300) 등으로, RF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웨이(300) 등은,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장치(100)를 이용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현재 동작 상태를,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100)는, 외부의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120)와, 배터리(192)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190)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133,136,139)가 장착 가능한 센싱부(130)와, 배터리(192)의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190)의 출력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전원 모니터링부(175)와, 센싱부(130)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센서 종류, 및 배터리(192)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190)의 출력 전원에 기초하여,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170)를 포함함으로써,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저전력 구동에 의해, 배터리(192) 교체 없이 장기간 사용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2의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20)은,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10)과 유사하나, 게이트웨이(300) 또는 허브(4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에, AP 장치(500)가 더 구비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10)은, 건물 내에서, IR 신호 도달 범위 외에, 이동 단말기(600)가 위치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으며, 도 2의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20)은, 원격지로서, 건물 외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600)를 이용하여, 건물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200a~200f)를 원격제어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AP 장치(500)는, 건물 내의 각 전자기기에, 무선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특히, 게이트웨이(300) 또는 허브(400)에 무선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나아가, AP 장치(500)는, 센서 장치(100a~100f)에도 무선 채널을 할당할 수도 있다. 이때의 무선 채널은, WiFi 통신을 위한 무선 채널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220),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30), 다른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22), 홈 어플라이언스를 구동하는 구동부(245), 내부 제어를 위한 제어부(270), 메모리(240), 오디오 입력부(252), 오디오 출력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로컬키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235)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가 냉장고(200a)인 경우, 구동부(245)는, 냉장실 구동부, 냉동실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세탁기(200b)인 경우, 구동부(245)는, 드럼 또는 터브를 구동하는 구동부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에어컨(200c)인 경우, 구동부(245)는, 실외기 내의 압축기 구동부, 실외기 팬 구동부, 실내기 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조리기기(200d)인 경우, 구동부(245)는, 캐비티 내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구동부를 포함할 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청소기(200e)인 경우, 구동부(245)는, 팬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TV(200e)인 경우, 구동부(245)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22)는, IR 통신을 위한 IR 통신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240)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입력부(252)는, 외부 오디오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수신되는 오디오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70)로 전달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54)는, 제어부(2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입력부(220), 표시부(230), 통신부(222), 구동부(245), 메모리(240), 오디오 입력부(252), 오디오 출력부(254)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70)는, 통신부(222), 특히 IR 통신부(217)를 통해 수신되는 동작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부(245)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센서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센서 장치(100)는, 센싱부(130), 통신부(120), 프로세서(170), 제1 스위치(176), 제2 스위치(178), 타이머(177), 전원 모니터링부(175),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3,136,139)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3,136,139)가 장착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130)는,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서(133), 일산화탄소(CO) 또는 암모니아(NH3), 포름알데히드 등의 가스를 센싱하는 가스 센서(136), 이산화 탄소 센서(136)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0)는, 게이트웨이(300) 또는 허브(300)와 RF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RF 통신부(미도시),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IR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IR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RF 통신은, 지그비 통신, 블루투스 통신, LoRa 통신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센서 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여, 센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모니터링부(175)는, 배터리(192)의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190)의 출력 전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모니터링부(175)는, 배터리(192)의 출력 전원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190)의 출력 전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76)는, 원 공급부(190)와, 전원 모니터링부(17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스위치(178)는, 전원 공급부(190)와, 센싱부(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타이머(177)는, 프로세서(170)와 제2 스위치(17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태양광에 기초하여 직류 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솔라셀(196), 솔라셀(196)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변환하는 전력변환부(194), 솔라셀(196)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저장하는 2차 배터리(192)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센서 종류, 및 배터리(192)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190)의 출력 전원에 기초하여,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저전력 구동에 의해, 배터리 교체 없이 장기간 사용 가능하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소비 전력이 클수록,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길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센싱부(130)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력 변화량과,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전력 소비량이 일치하도록,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가변 이후,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력 변화량 보다,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전력 소비량이 더 큰 경우, 전원 공급부(190)의 출력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확인된 센서 종류에 기초하여, 타이머(177)로, 타이머 설정 신호(SS2)를 출력하고, 타이머(177)는, 타이머 설정 신호(SS2)에 기초하여,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마다, 제2 스위치(178)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b는 도 4의 센서 장치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a는 센서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센서 장치(100)는, 케이싱(101)과, 케이싱(101)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솔라셀(196)을 구비할 수 있다.
솔라셀(196)을 통해, 생성되는 직류 전원은, 도 4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력 변환부(194)를 거쳐, 2차 배터리(192)에 저장되거나, 전원 공급부(190)의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케이싱(101) 내에, 도 4와 같은, 센싱부(130), 통신부(120), 프로세서(170), 제1 스위치(176), 제2 스위치(178), 타이머(177), 전원 모니터링부(175), 및 전원 공급부(190)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 도 5b는,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서(133)가 기판 상에 부착된, 센서 장치(100x)를 예시한다.
다음, 도 5c는, 일산화탄소(CO) 또는 암모니아(NH3), 포름알데히드 등의 가스를 센싱하는 가스 센서(136)가 기판 상에 부착된, 센서 장치(100y)를 예시한다.
다음, 도 5d는, 이산화 탄소 센서(136)가 기판 상에 부착된, 센서 장치(100z)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100)는,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서(133), 일산화탄소(CO) 또는 암모니아(NH3), 포름알데히드 등의 가스를 센싱하는 가스 센서(136), 이산화 탄소 센서(136)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습도 센서(133), 가스 센서(136), 이산화 탄소 센서(136)는, 각각 동작 원리가 다르며, 이에 따라, 전력 소비량이 다르다. 특히, 습도 센서(133), 가스 센서(136), 이산화 탄소 센서(136)의 순서로, 전력 소비량이 증대되게 된다.
이에 따라, 센서 장치(100) 내에 장착되는 습도 센서(133), 가스 센서(136), 이산화 탄소 센서(136)의 센싱 주기, 또는 통신 주기는, 습도 센서(133), 가스 센서(136), 이산화 탄소 센서(136)의 순서로 점차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소비 전력이 클수록, 해당 센서의 센싱 주기 또는 통신 주기가 길어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100), 특히 프로세서(170)는, 공통의 플랫폼으로 형성된 기판 상에, 습도 센서(133), 가스 센서(136), 이산화 탄소 센서(136)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는 경우, 기판 상에 형성된 접속부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따라, 센서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센서 플랫폼의 ID를 읽어, 센서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센서 종류, 및 배터리(192)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190)의 출력 전원에 기초하여,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저전력 구동에 의해, 배터리(192) 교체 없이 장기간 사용 가능하게 된다.
특히,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소비 전력이 클수록,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길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a와 같이, 전원 공급부(190)는, 솔라셀(196)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리 교체 없이 장기간 사용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6a는,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력 변화량이,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전력 소비량 보다, 커서, 순차적으로,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압 파형(Cua)이 증가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솔라셀(196)에 의한 전력 생산량이,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전력 소비량 보다, 커서, 순차적으로,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압 파형(Cua)이 증가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6a과 같이,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압 파형(Cua)이 증가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력 변화량과,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전력 소비량이 일치하도록,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가, 이전 보다, 작아지도록 하여, 센싱부(130)의 소비 전력이 증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6b는,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력 변화량이,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전력 소비량 보다, 작아서, 순차적으로,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압 파형(Cub)이 감소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솔라셀(196)에 의한 전력 생산량이,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전력 소비량 보다, 작아서, 순차적으로,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압 파형(Cub)이 감소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6b과 같이,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압 파형(Cub)이 증가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력 변화량과,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전력 소비량이 일치하도록,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가, 이전 보다, 커지도록 하여, 센싱부(130)의 소비 전력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가변 이후에도,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력 변화량 보다,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전력 소비량이 더 큰 경우, 전원 공급부(190)의 출력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도 4의 타이머(177)를 제어하여 제2 스위치(178)가 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부(130)로 공급되는 전원 출력이 중지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확인된 센서 종류에 기초하여, 타이머(177)로, 타이머 설정 신호(SS2)를 출력하고, 타이머(177)는, 타이머 설정 신호(SS2)에 기초하여,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마다, 제2 스위치(178)가 스위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전원 모니터링부(175)로부터의 전원 모니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치(176)의 스위칭 제어를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SS1)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6c는,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력 변화량이,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전력 소비량과 거의 동일하여,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압 파형(Cuc)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솔라셀(196)에 의한 전력 생산량이,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전력 소비량과 거의 동일하여,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압 파형(Cuc)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것을 예시한다.
결국, 프로세서(170)는, 도 6c와 같이,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력 변화량과,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전력 소비량이 일치하도록,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센서 장치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센서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한다(S61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센서 플랫폼의 ID를 읽어, 센서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다음, 전원 모니터링부(175)는, 배터리(192)의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190)의 출력 전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S620). 그리고, 전원 모니터링부(175)는, 모니터링 정보를, 프로세서(17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70)는, 확인된 센서 종류, 및 배터리(192)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190)의 출력 전원에 기초하여,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도록 제어한다(S622).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소비 전력이 클수록,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길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70)는, 모니터링 전원의 레벨이 제1 레벨 이하인 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하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의 출력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35).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제2 스위치(178)가 턴 오프되어, 센싱부(13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가변 이후, 배터리(192)에 저장되는 전력 변화량 보다,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전력 소비량이 더 큰 경우, 제635 단계(S635)와 유사하게, 전원 공급부(190)의 출력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192)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배터리(192)에 저장된 전원이, 도 8의 A3 영역에 속하는 경우, 솔라셀(196)에 의한 전원이 충전되도록, 센싱 주기, 통신 주기 등을 증가시키는 등, 센싱부(130) 등에서 소비되는 전력 소비를 줄여, 배터리(192)에 저장된 전원이, 목표 영역인, A2에 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배터리(192)에 저장된 전원이, 도 8의 A1 영역에 속하는 경우, 솔라셀(196)에 저장된 전원이 일부 소비되도록, 센싱 주기, 통신 주기 등을 감소시키는 등, 센싱부(130) 등에서 소비되는 전력 소비를 증가시켜, 배터리(192)에 저장된 전원이, 목표 영역인, A2에 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센서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9의 센서 장치(100bb)는, 도 4의 센서 장치(100)와 유사하게, 센싱부(130), 통신부(120), 프로세서(170), 스위치(178), 전원 모니터링부(175),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달리, 제1 스위치(176)와 타이머(177)가 구비되지 않는다.
도 9의 센서 장치(100bb)는,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이 가능한 센서 장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부(190b)가, 도 4와 달리, 복합 전력 변환부(194b), 발전부(196b), 충전용 전원 입력부(197b), 2차 배터리(192), 1차 배터리(191), 전원 부스터(198), 스위칭부(199)를 구비할 수 있다.
발전부(196b)는, 솔라셀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충전용 전원 입력부(197b)는, 마이크로 US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수신할 수 있다.
복합 전력 변환부(194b)는, 충전용 전원 입력부(197b)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변환하여, 2차 배터리(192) 또는 스위칭부(199)로 공급하거나, 발전부(196b)부터의 직류 전원을 변환하여, 2차 배터리(192) 또는 스위칭부(199)로 공급하거나, 2차 배터리(192)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변환하여, 스위칭부(199)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칭부(199)는, 2차 배터리(192), 충전용 전원 입력부(197b), 발전부(196b)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전원 출력에 대해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 부스터(198)는, 1차 배터리(191)로부터의 전원을 부스팅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로의 전원 공급 제어를 위해, 도 4와 달리, 직접, 스위치(178)로 스위칭 제어 신호(SSW2)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전원 공급부(190b) 내부의 동작 제어를 위해, 스위칭부(199)로 스위칭 제어 신호(SSW1)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전원 공급부(190b)로부터 2차 배터리(192)에 기초한 전원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1차 배터리(191)로부터의 전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1차 배터리(191)의 전원이 하강하여 제1 기준치에 도달하는 경우, 1차 배터리(191)로부터의 전원이 부스팅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장치(100bb)의 동작 가능 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2차 배터리(192), 충전용 전원 입력부(197b), 발전부(196b)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전원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1차 배터리(191)로부터의 전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센서 종류에 기초하여, 제1 기준치가 가변되도록 제어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소비 전력이 클수록, 제1 기준치가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확인된 센서 종류에 기초하여, 설정된 센싱 주기에 기초하여, 스위치(178)의 스위칭을 바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장치(100bb)는, 센싱부(130)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센서 종류, 및 전원 공급부(190)의 출력 전원에 기초하여,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소비 전력이 클수록, 센싱부(130)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길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2b는 도 10의 센서 장치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센서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한다(961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센서 플랫폼의 ID를 읽어, 센서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다음, 전원 모니터링부(175)는, 전원 공급부(190b)의 출력 전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9620). 그리고, 전원 모니터링부(175)는, 모니터링 정보를, 프로세서(17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70)는, 전원 공급부(190b)로부터의 전원 출력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923).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b)로부터의 전원 출력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전원 공급부(190b) 내의 발전부(196b), 충전용 전원 입력부(197b), 2차 배터리(192)의 동작이 모두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고, 최후 수단으로, 1차 배터리(191)의 전원이, 전원 공급부(190b)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926).
한편, 1차 배터리(191)의 전원 출력 중 1차 배터리의 전원이 하강하여 제1 기준치에 도달하는 경우(S929), 프로세서(170)는, 전원 부스터(933)가 동작하도록제어할 수 있다(S933).
즉, 프로세서(170)는, 전원 부스터(933)를 동작시켜, 1차 배터리(192)로부터의 전원이 부스팅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전원 공급부(190b)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Ta 구간에, 전원 공급부(190b) 내의 발전부(196b), 충전용 전원 입력부(197b), 2차 배터리(192)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여, Va1 레벨의 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2a는, 도 11의 Ta 구간에 대응하여, 충전용 전원 입력부(197b)와 스위칭부(199)를 흐르는 제1 전류 패쓰(Ipath1), 2차 배터리(192)와 복합 전력 변환부(194b)와 스위칭부(199)를 흐르는 제2 전류 패쓰(Ipath2), 발전부(196b)와 복합 전력 변환부(194b)와 스위칭부(199)를 흐르는 제3 전류 패쓰(Ipath3)를 예시한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b) 내의 발전부(196b), 충전용 전원 입력부(197b), 2차 배터리(192) 모두의 동작이 정지된 경우, 도 11의 Tb 구간과 같이, 출력 전압 파형이 순간적으로 Vx 레벨로 하갈할 수 있다. 여기서, Vx 레벨은 제로 레벨일 수 있다.
도 10의 제923 단계(S923)와 같이, 전원 공급부(190b)로부터의 전원 출력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1차 배터리(192)로부터의 전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의 Tc 구간과 같이, Va1 레벨 보다 낮은 Va2 레벨의 전압이, 전원 공급부(190b)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전원 부스터(198)는, 전압 부스팅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바이패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차 배터리(192)로부터의 전원이, 스위칭부(199)를 거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1차 배터리(192)의 출력 전원은 시간이 지날수록, 도 11의 Td와 같이 하강하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1차 배터리(192)의 전원이 하강하여 제1 기준치(Vth)에 도달하는 경우, 1차 배터리(192)로부터의 전원이 부스팅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의 Te와 같이 다시 부스팅되어 레벨이 상승한 전압이, 전원 공급부(190b)에서 출력될 수 있다. 결국, 도 11의 Tf 구간과 같이, Va2 보다 낮은 Va3 레벨의 전압이, 전원 부스터(198)에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 12b는, 도 11의 Te와 Tf 구간에 대응하여, 1차 배터리(192), 전원 부스터(198), 스위칭부(199)를 흐르는 제4 전류 패쓰(Ipath4)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센서 장치(100)의 동작 가능 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100bb) 내의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센서 종류에 따라, 전원 부스터(198)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을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장치(100bb) 내의 프로세서(170)는, 전력 소모가 큰 센서일수록, 전원 부스터(198)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외부의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배터리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장착 가능한 센싱부;
    상기 배터리의 전원 또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전원 모니터링부;
    상기 센싱부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센서 종류, 및 상기 배터리 전원 또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소비 전력이 클수록, 상기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길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부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솔라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솔라셀에서 생성된 전력이, 상기 배터리에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에 저장되는 전력 변화량과, 상기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전력 소비량이 일치하도록, 상기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가변 이후, 상기 배터리에 저장되는 전력 변화량 보다, 상기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전력 소비량이 더 큰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출력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모니터링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센싱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스위치;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제2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타이머;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된 센서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머로, 타이머 설정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타이머는, 타이머 설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마다, 상기 제2 스위치가 턴 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7. 외부의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1차 배터리와 2차 배터리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장착 가능한 센싱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전원 모니터링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2차 배터리에 기초한 전원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1차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1차 배터리의 전원이 하강하여 제1 기준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1차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부스팅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충전용 전원 입력부, 발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차 배터리, 상기 충전용 전원 입력부, 상기 발전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전원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1차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2차 배터리, 상기 충전용 전원 입력부, 상기 발전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전원 출력에 대해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1차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부스팅하는 전원 부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부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센서 종류,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소비 전력이 클수록, 상기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길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부 내의 센서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센서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치가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부에 장착된 센서의 소비 전력이 클수록, 상기 제1 기준치가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센싱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된 센서 종류에 기초하여, 설정된 센싱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KR1020170025014A 2017-02-24 2017-02-24 센서 장치 KR20180098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014A KR20180098041A (ko) 2017-02-24 2017-02-24 센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014A KR20180098041A (ko) 2017-02-24 2017-02-24 센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041A true KR20180098041A (ko) 2018-09-03

Family

ID=6360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014A KR20180098041A (ko) 2017-02-24 2017-02-24 센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80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0479A (zh) * 2018-09-20 2019-01-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导航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210079231A (ko) * 2019-12-19 2021-06-2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자섬유 기반 전력통신시스템
WO2022080811A1 (ko) * 2020-10-12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센서 장치 및 센서 장치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0479A (zh) * 2018-09-20 2019-01-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导航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210079231A (ko) * 2019-12-19 2021-06-2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자섬유 기반 전력통신시스템
WO2022080811A1 (ko) * 2020-10-12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센서 장치 및 센서 장치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476B1 (ko)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JP6054945B2 (ja) ダクトなし分離型システム用のはん用需要応答型リモコン
US20120313588A1 (en) Occupancy sensor with conditional energy transfer from load
KR20180098041A (ko) 센서 장치
AU2010202986B2 (en) Remote control and adjustment apparatus disposed in an energy saving lighting apparatus and a control system of the same
CN101322441A (zh) 照明系统控制设备充电系统和方法
US20130211844A1 (en) Solar Powered Portable Control Panel
KR102016652B1 (ko) 스마트 홈 구축을 위한 IoT 조명 스위치 모듈
US20160063853A1 (en) Personalized home situation control system and personalized home situation control method
JP2001224078A (ja)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04378672A (zh) 一种智能遥控器
TW201809476A (zh) 智慧型換氣扇系統與智慧型換氣扇裝置
JP5123412B2 (ja) センサシステム
KR20130018062A (ko) 전기 기기의 전력 제어 관련 동작 패턴을 검출하는 방법과 그 검출 장치
WO2008007893A1 (en) Apparatus for automatic control of ventilation fan
CN116908931A (zh) 人体探测系统及方法
WO2016116988A1 (ja) 通信装置、負荷制御システム、負荷制御装置
KR20200002712A (ko) 스마트 홈 구축을 위한 IoT 조명 스위치 모듈
CN203722007U (zh) 节能安全插座
JP2015207999A (ja) 赤外線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の統合型システム
KR102327693B1 (ko)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시스템
JP5433104B1 (ja) 自立同期運転型デマンド削減装置
KR101570422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원 장치, 이를 포함한 원격 제어기 및 공기 조화기
KR102678620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센서 장치
US11994307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anag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