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037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037A
KR20180098037A KR1020170024996A KR20170024996A KR20180098037A KR 20180098037 A KR20180098037 A KR 20180098037A KR 1020170024996 A KR1020170024996 A KR 1020170024996A KR 20170024996 A KR20170024996 A KR 20170024996A KR 20180098037 A KR20180098037 A KR 20180098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aterproof unit
stopper
mobile termina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4966B1 (ko
Inventor
차영도
송현수
이봉현
이춘화
한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4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966B1/ko
Priority to US15/613,925 priority patent/US10165096B2/en
Publication of KR20180098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king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onnection, coupling, or ca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바디; 상기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바디홀; 그리고 상기 바디홀 내에서 위치하며 이동 가능한 방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유닛은, 상기 바디홀의 연통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로드; 상기 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는 상기 로드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스토퍼; 그리고 상기 로드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스토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바디홀의 내부에서 상기 바디홀을 차폐하는 패킹 링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심트레이(SIM Tray) 입출력에 사용되는 홀(hole)을 방수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방수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에 형성된 홀(hole)에 대한 방수 기능을 위한 구성이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심트레이(SIM Tray) 입출력에 사용되는 홀(hole)을 방수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홀(hole)을 차폐하고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는 방수핀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디; 상기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바디홀; 그리고 상기 바디홀 내에서 위치하며 이동 가능한 방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유닛은, 상기 바디홀의 연통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로드; 상기 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는 상기 로드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스토퍼; 그리고 상기 로드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스토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바디홀의 내부에서 상기 바디홀을 차폐하는 패킹 링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패킹 링은, 상기 바디홀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탄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패킹 링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패킹 링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방수유닛이 상기 바디홀 내에서 이동하면, 상기 바디홀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패킹 링을 마주하는 받침대; 그리고 상기 받침대에서 연장되고, 상기 로드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의 직경은 상기 바디홀의 직경 보다 크고, 상기 가이드의 일 측은 상기 받침대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의 타 측은 상기 방수유닛의 외부를 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경사면은, 상기 가이드의 일 측과 상기 가이드의 타 측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의 타 측의 직경은, 상기 바디홀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로드의 일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스토퍼와 상기 로드의 타 단부에 위치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바디홀의 외부에 위치하되 상기 바디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토퍼의 직경은 상기 바디홀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방수유닛이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면, 상기 바디홀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드는, 상기 로드의 외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드는, 상기 함몰부에 인접하며 상기 로드의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돌출면; 그리고 상기 함몰부에 인접하며 상기 로드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돌출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단부 돌출면의 외주면에 위치하고, 상기 패킹 링은 상기 내측 돌출면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수유닛은, 상기 로드를 감싸며 상기 바디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함몰부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바디 내에 위치하며, 상기 방수유닛을 마주하며 상기 방수유닛으로부터 힘을 제공받으며 상기 방수유닛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힘 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 형성된 홀(hole)의 방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 형성된 홀을 차폐하는 핀의 내구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심트레이 인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 이동 단말기를 A-A'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내지 2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 내지 3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유닛과 관련된 도면이다.
도 38 내지 4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유닛과 관련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좌표계(coordinate system)은 직교좌표계로서 카테시안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좌표계는 XYZ 좌표계이다. 본 명세서에서 XYZ 좌표계는 왼손방향(left handed direction)이다. 즉 왼손으로 X축에서 Y축으로 감았을 때 엄지가 가리키는 방향이 Z축이 된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는 바(bar)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는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런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런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런트 케이스(101) 사이,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내지 제3 조작유닛(123a, 123b, 123c),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이어폰잭(13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이어폰잭(130) 및 인터페이스부(160) 가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제3 조작유닛(123c)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바디(BD)는, 프런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그리고 후면커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일체로 형성되어, 리어 케이스(102)에 포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바디(BD)는,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런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조작유닛(123a, 123b, 123c)은 이동 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조작유닛(123a, 123b, 123c)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제3 조작유닛(123c)은,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지문 정보는 제어부(180)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push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제3 조작유닛(123c)이 구비될 수 있다. 제3 조작유닛(123c)은 이동 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지문 정보 획득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60)는 심트레이(SIM Tray, 210)와 입출력 포트(119)를 포함할 수 있다. 심트레이(210)는 심카드(SIM card)를 적재할 수 있다. 심트레이(210)는 심카드(SIM card)의 교체 및/또는 교환을 위해 이동 단말기(10)의 내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입출력 포트(119)는, 이동 단말기(10)에 제공되는 전력의 통로가 될 수 있다. 입출력 포트(119)는, 이동 단말기(10)와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정보 및 전기신호 등의 입출력 통로가 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의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 커버(103, 도 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가 후면 커버(103, 도 1)와 일체로 형성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적어도 일부는 메탈(metal)로 구성되기 용이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가 후면 커버(103, 도 1)와 일체로 형성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강성 확보에 유리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01)는, 리어 케이스(102)에 체결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01)가 리어 케이스(102)에 체결되면, 이동 단말기(10) 내부에 위치하는 전자부품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01) 배면에, 배터리(191), 메인 회로기판(181), 음향 출력부(152b), 및 이어폰잭(130)이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회로기판(181)에,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제3 조작유닛(123c)이 연결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는, 전자부품이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는, 이동 단말기(1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는, 이동 단말기(1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윈도우(151a)와 디스플레이 패널(151b)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51b)에 터치 회로기판(135)과 디스플레이 회로기판(131)이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런트 케이스(101)에 수용될 수 있다. 터치 회로기판(135)과 디스플레이 회로기판(131)은, 메인 회로기판(181)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192)는, 프런트 케이스(101)의 배면에 형성되어 배터리(191)를 수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심트레이 인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심트레이홀(221)에 배출 핀(eject pin, 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다. 심트레이홀(221)에 삽입된 배출 핀(eject pin)은, 바디(BD)에 형성된 바디홀(223)에 삽입될 수 있다.
바디(BD)에 형성된 바디홀(223)에 삽입된 배출 핀(eject pin)은, 심트레이(210)를 안착한 하우징(housing)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배출 핀(eject pin)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하우징(housing)은, 심트레이(210)를 이동 단말기(10)의 외부로 배출 시킬 수 있다.
심트레이(210)는, IC칩 등을 적재할 수 있다. 심트레이(210)는, 예를 들어 심카드(SMC)를 적재할 수 있다. 심카드(SMC)는 이동 단말기(10) 사용자(user)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심카드(SMC)는, 심트레이(210)에서 교체 가능할 수 있다.
바디(BD)에 형성된 바디홀(223)은, 배출 핀(eject pin)을 통과시킬 수 있다. 액체(liquid)는, 바디(BD)에 형성된 바디홀(223)을 통해 이동 단말기(10)의 외부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액체는, 예를 들어 물(water)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방수(waterproof)를 위해, 바디(BD)에 형성된 바디홀(223)의 방수 기능이 요구될 수 있다.
도 5는, 도 1 이동 단말기를 A-A'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면의 기준이 되는 A-A'는, 심트레이홀(221)을 지나며, 심트레이(21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도 5는,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자른 단면이다.
바디홀(223)은, 바디(BD)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디홀(223)은, 예를 들어 프런트 케이스(101)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디홀(223)은, 심트레이홀(221)과 연통될 수 있다. 바디홀(223)의 일 단은 심트레이홀(221)을 향하며, 바디홀(223)의 타 단은 이동 단말기(10) 내부를 향할 수 있다.
심 하우징(260)은, 바디(BD)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심 하우징(260)은, 심트레이(210)를 안착할 수 있다. 심 하우징(260)은, 심트레이(210)를 적재할 수 있다. 심 하우징(260)은, 심트레이(210)가 이동 단말기(10)의 내외부로 출입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힘 전달 부재(250)는, 바디(BD)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힘 전달 부재(250)는, 바디홀(223)에 인접할 수 있다. 심트레이홀(221)과 바디홀(223)을 통과한 배출 핀(eject pin, 미도시)은, 힘 전달 부재(250)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힘 전달 부재(250)는, 심 하우징(260)에 연결될 수 있다. 힘 전달 부재(250)는, 심 하우징(260)에서 이동할 수 있다. 힘 전달 부재(250)는, 심 하우징(260)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힘 전달 부재(250)는, 심트레이(210)의 배출에 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 전달 부재(250)가 이동함에 따라, 심 하우징(260)은 심트레이(210)의 적어도 일부를 바디(BD)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바디홀(223)은, 심트레이홀(221)과 함께, 이동 단말기(1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바디홀(223)을 통해, 이동 단말기(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액체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심트레이(210)가 심하우징(260)에 안착된 상태에서, 바디홀(223)을 차폐할 수 있는 구성요소가 고려될 수 있다.
바디홀(223)은, 바디(BD)에 인접한 일 단에 테이퍼 영역(TPA)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홀(223)을 차폐할 수 있는 구성요소가 바디홀(223)에 인입되는 경우, 테이퍼 영역(TPA)은 바디홀(223)을 차폐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바디홀(223)의 내부로 유도할 수 있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유닛(300)은, 방수유닛 바디(310), 제1 가이드부(320), 그리고 패킹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은, 도 5에 도시된 바디홀(223)을 차폐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은, 바디홀(223)의 일 지점에서 바디홀(223)을 차폐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는, 도 5에 도시된 바디홀(223)에 위치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는, 바디홀(22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는, 바디홀(223)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는, 바디홀(223)의 내부에서 바디홀(2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바디홀(223)의 길이 방향은, 도 4에 도시된 심트레이(210)의 이동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의 적어도 일부는, 바디홀(22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의 적어도 일부는, 바디홀(223)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는, 바디홀(223)의 형상에 대응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의 단면은, 바디홀(223) 단면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는, 예를 들어 실린더(cylinde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의 일부 영역은, 방수유닛 바디(31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상의(virtual) 중심선(COA)을 형성할 수 있다. 중심선(COA)은, 방수유닛 바디(310)가 실린더(cylinder) 형상인 경우, 방수유닛 바디(310)의 축(axis)을 형성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COA)에 평행한 가상의 제1 가상선(VL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가상선(VL1)의 일 지점에서 제1 가이드부(320)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패킹부(330)는, 방수유닛 바디(310)에 연결될 수 있다. 패킹부(330)는, 방수유닛 바디(310)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킹부(330)는,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방위각 방향(azimuthal direction)으로 방수유닛 바디(310)의 둘레를 감쌀 수 있다. 패킹부(330)는, 방수유닛 바디(310)의 오목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20)는, 방수유닛 바디(3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20)는, 방수유닛 바디(3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20)는, 방수유닛 바디(310)를 바디홀(223) 내부에서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20)는, 가이드 연결부(321)와 가이드 절곡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연결부(321)는, 방수유닛 바디(3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연결부(321)는,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의 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이 X축 방향과 나란한 경우, 가이드 연결부(321)는, 방수유닛 바디(310)의 일측에서 Y축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연결부(321)는, 방수유닛 바디(310)와 가이드 절곡부(323)를 연결할 수 있다.
가이드 연결부(321)는, 제1 가상선(VL1)의 일 지점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연결부(321)는, 가이드 연결부(321)가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virtual) 제2 가상선(VL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가상선(VL2)은 가이드 연결부(321)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다. 제2 가상선(VL2)은 제1 가상선(VL1)과 만날 수 있다.
가이드 연결부(321)는, 방수유닛 바디(310)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와 가이드 연결부(321)가 형성하는 평면은,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 나란한 가상의 선(virtual line)과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 나란한 가상의 선(line)으로부터 가이드 연결부(321)의 연장된 방향이 형성하는 평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유닛 바디(310)와 가이드 연결부(321)가 형성하는 평면은, 제1 가상선(VL1)과 제2 가상선(VL2)이 형성하는 평면(plan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유닛 바디(310)와 가이드 연결부(321)가 형성하는 평면은, XY평면과 나란할 수 있다.
가이드 절곡부(323)는, 가이드 연결부(32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절곡부(323)는, 가이드 연결부(321)에서 굽어져(bent)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절곡부(323)는, 가이드 연결부(321)와 각도(angle)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절곡부(323)는,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지 않은방향으로 가이드 연결부(32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절곡부(323)는,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가이드 연결부(32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절곡부(323)는, 가이드 연결부(32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가이드 연결부(32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절곡부(323)는, 가이드 연결부(32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가이드 연결부(32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연결부(321)의 길이 방향은, 가이드 연결부(321)가 방수유닛 바디(310)로부터 연장된 방향일 수 있다.
가이드 절곡부(323)는, 방수유닛 바디(310)와 가이드 연결부(321)가 형성하는 평면에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가이드 연결부(32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절곡부(323)는, 방수유닛 바디(310)와 가이드 연결부(321)가 형성하는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이드 연결부(32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절곡부(323)는, 제2 가상선(VL2)의 일 지점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절곡부(323)는, 가이드 절곡부(323)가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virtual) 제3 가상선(VL3)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가상선(VL3)은 가이드 절곡부(323)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다. 제3 가상선(VL3)은 제2 가상선(VL2)과 만날 수 있다.
가이드 절곡부(323)는, 가이드 연결부(321)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절곡부(323)와 가이드 연결부(321)가 형성하는 평면은, 가이드 연결부(321)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가상의 선(virtual line)과 가이드 연결부(321)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가상의 선(virtual line)으로부터 가이드 절곡부(323)의 연장된 방향이 형성하는 평면일 수 있다.예를 들어 가이드 연결부(321)와 가이드 절곡부(323)가 형성하는 평면은, 제2 가상선(VL2)과 제3 가상선(VL3)이 형성하는 평면(plan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절곡부(323)와 가이드 연결부(321)가 형성하는 평면은, YZ평면과 나란할 수 있다.
가이드 절곡부(323)와 가이드 연결부(321)가 형성하는 평면은, 가이드 연결부(321)와 방수유닛 바디(310)가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절곡부(323)와 가이드 연결부(321)가 형성하는 평면은, 가이드 연결부(321)와 방수유닛 바디(310)가 형성하는 평면에 수직할 수 있다.
가이드 절곡부(323)는, 복수 개의 면(surface)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절곡부(323)에 형성된 면(surface)은, 제1 가이드절곡면(GBSF1), 제2 가이드절곡면(GBSF2), 제3 가이드절곡면(GBSF3), 그리고 제4 가이드절곡면(GBSF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절곡부(323)에 형성된 제1 내지 4 가이드 절곡면(GBSF1,2,3,4) 중 적어도 하나는, 후술될 제2 가이드부에 관련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절곡면(GBSF1)은, 가이드 연결부(321)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절곡면(GBSF1)은, 방수유닛 바디(310)를 향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절곡면(GBSF1)은, 평면의 일부 및/또는 곡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절곡면(GBSF1)은,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절곡면(GBSF1)은, 제1 가상선(VL1)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절곡면(GBSF1)은, 제3 가상선(VL3)과 평행할 수 있다.
제2 가이드절곡면(GBSF2)은, 제1 가이드절곡면(GBSF1)에서 연장되되 굽어져(bent)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절곡면(GBSF2)은, 평면의 일부 및/또는 곡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절곡면(GBSF2)은,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절곡면(GBSF2)은, 제1 가상선(VL1)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절곡면(GBSF2)은, 가이드 연장부(321)의 연장된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절곡면(GBSF2)은, 제2 가상선(VL2)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절곡면(GBSF2)은, 가이드 절곡부(323)의 연장된 방향과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절곡면(GBSF2)은, 제3 가상선(VL3)과 수직일 수 있다.
제2 가이드절곡면(GBSF2)은, 제1 가이드절곡면(GBSF1)과 각도(angle)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가이드절곡면(GBSF2)이 제1 가이드절곡면(GBSF1)과 형성하는 각도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right angle)일 수 있다. 제2 가이드절곡면(GBSF2)은, 제1 가이드절곡면(GBSF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절곡면(GBSF2)은, 제1 가이드절곡면(GBSF1)과 형성하는 각도는 180도(degree)일 수 있다.
제3 가이드절곡면(GBSF3)은, 제2 가이드절곡면(GBSF2)에서 연장되되 굽어져(bent) 형성될 수 있다. 제3 가이드절곡면(GBSF3)은, 평면의 일부 및/또는 곡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가이드절곡면(GBSF3)은, 제1 가이드절곡면(GBSF1)과 나란할 수 있다. 제3 가이드절곡면(GBSF3)은, 제1 가이드절곡면(GBSF1)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제3 가이드절곡면(GBSF3)은, 가이드 연결부(321)가 방수유닛 바디(310)로부터 연장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가이드절곡면(GBSF3)은, 제2 가상선(VL2)이 향하는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제3 가이드절곡면(GBSF3)은, 제2 가이드절곡면(GBSF2)과 각도(angle)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가이드절곡면(GBSF3)이 제2 가이드절곡면(GBSF2)과 형성하는 각도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right angle)일 수 있다. 제3 가이드절곡면(GBSF3)은, 제2 가이드절곡면(GBSF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가이드절곡면(GBSF3)은, 제2 가이드절곡면(GBSF2)과 형성하는 각도는 180도(degree)일 수 있다.
제4 가이드절곡면(GBSF4)은, 제3 가이드절곡면(GBSF3)에서 연장되되 굽어져(bent) 형성될 수 있다. 제4 가이드절곡면(GBSF4)은, 평면의 일부 및/또는 곡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가이드절곡면(GBSF4)은, 제2 가이드절곡면(GBSF2)과 나란할 수 있다. 제4 가이드절곡면(GBSF4)은,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제4 가이드절곡면(GBSF4)은, 제1 가상선(VL1)과 나란할 수 있다.
제4 가이드절곡면(GBSF4)은, 제3 가이드절곡면(GBSF3)과 각도(angle)를 형성할 수 있다. 제4 가이드절곡면(GBSF4)이 제3 가이드절곡면(GBSF3)과 형성하는 각도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right angle)일 수 있다.
도 8 및 9는, 도 6 방수유닛을 C-C'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C-C'는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도 8은, 패킹부(330)를 제외한 상태에서 방수유닛(30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방수유닛(300)을 C-C'을 따라 자르되 패킹부(330)를 제외하여 나타내면, 방수유닛 바디(310)의 단면이 나타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는, 실린더(cylinde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방수유닛 바디(310)는, 가상의(virtual) 중심선(COA)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선(COA)은, 방수유닛 바디(310)의 축(axis)을 형성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는, 일측에 오목부(RCS)를 형성할 수 있다. 오목부(RCS)는, 오목부(RCS)의 주면에 비하여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목부(RCS)는, 패킹부(330)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오목부(RCS)에서 방수유닛 바디(310)의 직경(diameter)은, 제1 방수유닛 바디 직경(WPD1)일 수 있다. 제1 방수유닛 바디 직경(WPD1)은, 오목부(RCS)의 평균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의 외부 직경은, 제2 방수유닛 바디 직경(WPD2)일 수 있다. 제2 방수유닛 바디 직경(WPD2)은, 오목부(RCS)를 제외한 방수유닛 바디(310)의 평균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방수유닛 바디 직경(WPD2)은, 제1 방수유닛 바디 직경(WPD1)에 비하여 클 수 있다.
도 9는, 도 8 방수유닛 바디(310)의 오목부(RCS)에 패킹부(330)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패킹부(3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유닛 바디(310)의 오목부(RCS)에 끼워질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패킹부(330)는, 패킹부 바디(331)와 패킹 링(333)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 바디(331)는, 방수유닛 바디(310)의 오목부(RCS)에 끼워질 수 있다. 패킹 링(333)은, 패킹부 바디(331)를 감싸는 일 면에서 패킹부(330)의 외부로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패킹부(330)의 외주 직경(diameter)은 제3 패킹부 직경(PMD3)일 수 있다. 제3 패킹부 직경(PMD3)은, 바디홀(223)에 삽입되는 패킹부(330)의 직경일 수 있다. 패킹부(330)는 신축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330)가 바디홀(223)에 삽입되면, 제3 패킹부 직경(PMD3)은 바디홀(223)의 직경에 대응되어 변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패킹부(330)는 패킹지지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지지부(335)는 패킹부 바디(33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패킹지지부(335)는 패킹 링(333)에 접할 수 있다. 패킹지지부(335)는 패킹부 바디(331)와 패킹 링(333)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패킹지지부(335)는 패킹 링(333)을 지지할 수 있다. 패킹지지부(335)는, 패킹 링(333)으로부터 충격량을 전달받아 패킹부 바디(331)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은, 도 6 방수유닛을 D-D'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D-D'는, 가이드 연결부(321)의 연장된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방수유닛(300)의 단면은, 방수유닛(300)의 이동 방향에서 바라본 방수유닛(300)의 모습일 수 있다.
방수유닛(300)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후술함)는, 도 10에 도시된 제1 가이드부(320) 단면의 형상에 대응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부는, 가이드 절곡부(323)에 형성된 제1 내지 4 가이드절곡면(GBSF1,2,3,4) 중 적어도 3개에 대향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를 예를 들어, 제2 가이드부는, 가이드 절곡부(323)에 형성된 제1 내지 4 가이드절곡면(GBSF1,2,3,4) 중 적어도 2개에 대향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중심선(COA)은 패킹부(330)의 축(axis)을 형성할 수 있다. 패킹부(330)는, 신축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330)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330)는, 고무재질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330)는, 실리콘(silicon)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33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330)는, 열가소성 우레탄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패킹부 직경(PMD1,2,3)은, 패킹부(330)가 패킹부 바디(331)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수치를 나타낼 수 있다.
패킹부 바디(331)는,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패킹부 바디(331)에 형성된 중공부는, 방수유닛 바디(310)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패킹부 바디(331)의 중공부는, 제1 패킹부 직경(PMD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패킹부 직경(PMD1)은, 제1 방수유닛 바디 직경(WPD1, 도 8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킹부 직경(PMD1)은, 제1 방수유닛 바디 직경(WPD1, 도 8 참조)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패킹부 바디(331)의 외측 직경은, 제2 패킹부 직경(PMD2)일 수 있다. 제2 패킹부 직경(PMD2)은, 제1 패킹부 직경(PMD1)에 비하여 클 수 있다. 제2 패킹부 직경(PMD2)은, 제2 방수유닛 바디 직경(WPD2)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패킹 링(333)은, 패킹부 바디(331)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패킹부(330)가 바디홀(223, 도 5 참조)에 진입하면, 패킹 링(333)은 바디홀(223, 도 5 참조)에 접할 수 있다. 패킹 링(333)의 외측 직경은, 제3 패킹부 직경(PMD3)일 수 있다. 제3 패킹부 직경(PMD3)은, 바디홀(223, 도 5 참조)의 내측 직경에 비하여 클 수 있다. 패킹 링(333)의 외측 직경은, 패킹부(330)가 바디홀(223, 도 5 참조) 내부에 위치하면, 제3 패킹부 직경(PMD3)에 비하여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패킹지지부(335)는 패킹부 바디(331)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 패킹지지부(335)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패킹지지부(335)는 패킹 링(333)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지지부(335)는 패킹부(330)가 방수홀(223, 도 5 참조)에 삽입되는 방향과 관련되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지지부(335)는 패킹부(330)가 방수홀(223, 도 5 참조)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패킹 링(333)의 뒤편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패킹지지부(335)는 일정 간격으로 패킹부 바디(3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패킹지지부(335)는 180도의 간격으로 패킹부 바디(331)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패킹지지부(335)는 120도의 간격으로 패킹부 바디(331)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패킹지지부(335)는 패킹 링(333)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패킹지지부(335)에 의해 패킹부(330)의 내구성 향상이 기대될 수 있다.
도 12는, 도 5 이동 단말기에 방수유닛이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유닛(300)의 적어도 일부는, 바디홀(22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방수유닛(300)은, 바디홀(223)의 일 지점에서 바디홀(223)을 차폐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을 차폐하는 상기 일 지점은, 패킹부(330)가 바디홀(223)에 접하는 지점일 수 있다.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을 차폐하는 일 지점은, 복수의 지점일 수 있다.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을 차폐하는 일 지점은, 바디홀(223)의 일정 구간일 수 있다.
방수유닛(300)의 적어도 일부는, 바디홀(223)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은, 바디홀(223)의 뚫린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의 적어도 일부는, 바디홀(223)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의 일 단은, 심트레이홀(221)을 향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의 타 단은, 힘 전달 부재(250)를 향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의 상기 일 단에서 상기 타 단을 향하는 방향은,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의 상기 일 단에 배출 핀(EJP)으로부터 압력 또는 힘(force)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2에서 배출 핀(EJP)에 인접한 화살표는, 배출 핀(EJP)이 방수유닛(300)에 제공하는 힘의 방향 또는 압력의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에 힘 또는 압력이 제공되면, 방수유닛(300)은, 바디홀(223)의 뚫린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바디홀(223)의 뚫린 방향은, 바디홀(223)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바디홀(223)은, 방수유닛(300)이 이동할 때 방수유닛(300)을 가이드(guide)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바디홀(223)이 방수유닛(300)을 가이드하는 방향은, 바디홀(223)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패킹부(330)가 바디홀(223) 내부에 고르게 컨택(contact)하면 방수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는 바디홀(223) 내부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할 때 패킹부(330)가 바디홀(223) 내부에 고르게 컨택(contact)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가 바디홀(223) 내부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이 고려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에 제공된 힘 또는 압력은, 힘 전달 부재(25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12에서 힘 전달 부재(250)에 인접한 화살표는, 방수유닛(300)이 힘 전달 부재(250)에 제공하는 힘의 방향 또는 압력의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바디홀(223)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는 실린더(cylinder) 형상일 수 있다. 방수유닛(300)이 이동할 때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의 길이 방향에 대한 방위각 방향(azimuthal direction)의 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의 길이 방향에 대한 방위각 방향으로 회전하면, 패킹부(330)에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패킹부(330)에 비틀림이 발생하면 패킹부(330)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의 바디홀(223)의 길이 방향에 대한 방위각 방향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3 내지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방수유닛 바디(310)가 바디홀(223) 내부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구성 및 방수유닛(300)의 바디홀(223) 길이 방향에 대한 방위각 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가이드부(320)와 제2 가이드부(400)가 고려될 수 있다.
도 13은, 제2 가이드부(400)의 사시도이다. 제2 가이드부(400)는, 바디(BD)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는 제1 가이드부(32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는, 방수유닛 바디(310)와 이격되어 바디(BD)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는, 바디홀(223)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는, 제1 가이드부(320)를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 월(guide wal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부(400)는, 제1 가이드 월(410), 제2 가이드 월(420), 제3 가이드 월(430), 그리고 제4 가이드 월(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가이드 월(410, 420, 430, 440) 중 적어도 3개의 가이드 월(guide wall)은, 제1 가이드(320)를 감싸며 방수유닛(300)을 가이드(guide)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는, 제2 가이드 월(420)과 제4 가이드 월(440)을 연결하는 스토퍼 월(4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월(410)은, 바디홀(223)의 뚫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월(410)은,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월(410)은, 가이드 절곡부(323)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월(410)은, 제2 내지 제4 가이드 월(420, 430, 440)에 비하여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으로 짧을 수 있다.
제2 가이드 월(420)은, 제1 가이드 월(410)에서 연장되어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월(420)은,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월(430)은, 제2 가이드 월(420)에서 연장되어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월(430)은,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월(430)은, 제1 가이드 월(410)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4 가이드 월(440)은, 제3 가이드 월(4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가이드 월(440)은, 바디(BD)의 일부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4 가이드 월(440)은, 제2 가이드 월(420)에 이격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3 제2 가이드부를 E-E'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400)는, 제1 내지 제4 가이드 월(410, 420, 430, 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는, 제1 가이드부(320)를 대향하는 면(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는, 제2 가이드부(40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 가이드 월 면(GWSF1, GWSF2, GWSF3, GWSF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가이드 월 면(GWSF1, GWSF2, GWSF3, GWSF4)은, 제1 가이드부(320)를 향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가이드 월 면(GWSF1, GWSF2, GWSF3, GWSF4)은, 제1 가이드부(320)를 가이드(guide)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가이드 월 면(GWSF1, GWSF2, GWSF3, GWSF4)는, 가이드 절곡부(323)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도 15는, 도 13 제2 가이드부를 F-F'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가이드부(400)는, 제2 가이드부(400) 길이 방향의 일 지점에서 제1 내지 제3 가이드 월(410, 420, 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의 길이 방향은 방수유닛 바디(3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는, 도 14에 도시된 제2 가이드부(400)와 다르게, 길이 방향의 일 지점에서 제1 가이드 월(41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힘 전달 부재(250)의 이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내지 제4 가이드 월 면(GWSF2, GWSF3, GWSF4)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가이드 월 면(GWSF2, GWSF3, GWSF4)은, 제1 가이드부(320)를 대향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가이드 월 면(GWSF2, GWSF3, GWSF4)은, 제1 가이드부(320)가 가이드(guide)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3 제2 가이드부를 G-G'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G-G'는, 제1 가이드부(320)가 바디(BD)의 내부에서 바디(BD)의 외부로 향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는, 제2 및 제4 가이드 월(420, 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는, 제2 가이드 월(420)과 제4 가이드 월(440)을 연결하는 스토퍼 월(45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월(450)은, 제2 가이드 월(420)과 제4 가이드 월(440)의 일 단에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 월(450)은, 바디(BD)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 월(450)은, 제1 가이드부(320)가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 월(450)은, 제1 가이드부(320)가 바디(BD)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2 이동 단말기에 제2 가이드부가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바디(BD)의 내부에서 방수유닛(300)과 제2 가이드부(400)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방수유닛(300)은, 심트레이(210)가 바디(BD)에 인입된 상태에서, 바디홀(223)을 차폐한 상태일 수 있다. 방수유닛(300)은, 바디(BD)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 전달 부재(250)로부터 힘(force) 또는 압력(pressure)을 받은 상태일 수 있다.
방수유닛(300)의 제1 가이드부(32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가이드부(40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방수유닛(300)은, 제2 가이드부(4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방수유닛(300)과 제2 가이드부를 H-H'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을 차폐할 때 방수유닛(300)과 제2 가이드부(400)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8은, 심트레이(210)가 바디(BD)에 인입된 상태에서, 방수유닛(300)과 제2 가이드부(400)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3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가이드 월(410, 420, 430, 440)은, 가이드 절곡부(323)를 감싸며 가이드 절곡부(323)를 가이드(guide)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는, 제1 내지 제4 가이드 월 면(GWSF1, GWSF2, GWSF3, GWSF4)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가이드 월 면(GWSF1, GWSF2, GWSF3, GWSF4)은, 제1 내지 제4 가이드 절곡면(GBSF1, GBSF2, GBSF3, GBSF4)에 각각 마주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가 실린더(cylinder) 형상인 경우, 방수유닛 바디(310)는 내부에 가상의(virtual) 중심선(COA)를 형성할 수 있다. 중심선(COA)은, 방수유닛 바디(310)의 중심축일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가 기둥(column)의 형상인 경우, 중심선(COA)은, 무게중심선(line of center of mass)일 수 있다.
방수유닛(300)이 외부로부터 방수유닛 바디(310) 길이 방향의 방위각 방향(azimuthal direction)으로 힘 또는 압력을 받는 상황을 고려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절곡면(GBSF2)과 제3 가이드 절곡면(GBSF3)이 만나는 점에서 중심선(COA)을 잇는 가상의(virtual) 선분을 제1 토크선(TL1)이라 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절곡면(GBSF3)과 제4 가이드 절곡면(GBSF4)이 만나는 점에서 중심선(COA)을 잇는 가상의(virtual) 선분을 제2 토크선(TL2)이라 할 수 있다.
제1 토크선(TL1)과 제2 토크선(TL2)은, 방수유닛 바디(310)가 회전하는 경우, 제1 가이드부(320)가 제2 가이드부(400)와 만나는 점에서 중심선(COA)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유닛 바디(310)가 도 18에서 반시계 방향(counter-clockwise)으로 회전하는 힘을 외부에서 받은 경우, 제1 토크선(TL1)의 일 단에서 방수유닛 바디(310)의 회전을 억제하는 힘이 제1 가이드부(32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유닛 바디(310)가 도 18에서 시계 방향(clockwise)으로 회전하는 힘을 외부에서 받은 경우, 제2 토크선(TL2)의 일 단에서 방수유닛 바디(310)의 회전을 억제하는 힘이 제1 가이드부(320)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토크선(TL1, TL2)은, 제1 가이드부(320) 또는/및 제2 가이드부(400)의 형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는, 방수유닛 바디(310)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가 방수유닛 바디(310)와 이격되는 정도는, 가이드 연결부(321)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토크선(TL1, TL2)의 길이는 가이드 연결부(321)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절곡면(GBSF2)와 제2 가이드 월 면(GWSF2)은, 마주하되 유격(clearance)을 가질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를 도 18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 또는 압력이 외부에서 제공되는 경우, 제2 가이드 절곡면(GBSF2)이 위로 향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가이드 절곡면(GBSF2)이 위로 향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전달받으면, 제2 가이드 월 면(GWSF2)은 제2 가이드 절곡면(GBSF2)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절곡면(GBSF2)과 제2 가이드 월 면(GWSF2) 사이의 유격은, 제2 가이드 절곡면(GBSF2)과 제2 가이드 월 면(GWSF2) 사이에 미치는 힘 또는 압력에 의하여 줄어들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방수유닛(300)에 외부에서 가해진 회전하는 방향의 힘으로 인하여 제1 가이드부(320)와 제2 가이드부(400) 사이에 유격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20)와 제2 가이드부(400) 사이의 유격 차이는 방수유닛 바디(310)의 회전을 발생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20)와 제2 가이드부(400) 사이의 유격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방수유닛 바디(310)의 회전량은, 제1 및/또는 제2 토크선(TL1, TL2)의 길이에 음의 상관관계(negative correlation)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부(320)와 제2 가이드부(400) 사이의 유격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방수유닛 바디(310)의 회전량은, 제1 및/또는 제2 토크선(TL1, TL2)의 길이에 반비례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의 회전량이 작을수록 패킹부(330)에 가해지는 비틀림이 작아질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의 회전량이 작을수록 패킹부(330)의 손상이 적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토크선(TL1, TL2)의 길이는 가이드 연결부(321)의 연장된 방향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가이드 연결부(321)의 연장된 방향의 길이는, 제2 가이드부(400)가 방수유닛 바디(310) 또는/및 바디홀(223)에 이격된 정도에 대응될 수 있다. 가이드 연결부(321)는, 방수유닛 바디(310)의 회전량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방수유닛 바디(310) 또는/및 바디홀(223)에 이격되어 설치된 제2 가이드부(400)의 배치는, 방수유닛 바디(310)의 회전량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 이동 단말기에 방수유닛과 제2 가이드부가 설치된 상태에서 B-B'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에서 제2 가이드 월(420)은 잘려 나가 도시되지 않는다.
힘 전달 부재(250)는, 심하우징(260)으로부터 일 방향의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힘 전달 부재(250)는, 도 19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미는(pushing) 힘 또는 압력을 방수유닛(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400)의 스토퍼 월(450)은, 방수유닛(300)이 바디(BD)의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토퍼 월(450)이 없는 경우, 방수유닛(300)이 바디(BD)의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미는 힘 또는 압력을 심트레이(2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심트레이(210)가 바디(BD)의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힘 또는 압력을 제공받으면, 심트레이(210)의 영역 중 심트레이홀(221)의 영역이 외부로 튀어나오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스토퍼 월(450)은, 심트레이(210)의 안정적 배치에 기여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2 이동 단말기에서 방수유닛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서 도시된 배출 핀(EJP)이 바디(BD)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방수유닛(300)에 힘 또는 압력을 가하면, 방수유닛(300)은 힘 전달 부재(250)에 힘 또는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은, 배출 핀(EJP)으로부터 제공받은 힘 또는 압력에 의해 바디홀(22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은, 바디홀(223)을 따라 이동할 경우 제2 가이드부(400)에 의해 가이드(guide)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이 이동하며 힘 전달 부재(250)에 힘 또는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힘 전달 부재(250)는 방수유닛(300)에 의해 바디(BD)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배출 핀(EJP)이 방수유닛(300)에 제공하는 힘 또는 압력은, 힘 전달 부재(250)가 방수유닛(300)에 제공하는 힘 또는 압력에 비하여 클 수 있다.
힘 전달 부재(250)가 이동하면서 심하우징(260)의 일 구성요소에 변화를 가하면, 심하우징(260)은 심트레이(210)를 바디(BD)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심하우징(260)의 상기 일 구성요소에 변화가 가해지면, 힘 전달 부재(250)가 방수유닛(300)에 제공하는 힘 또는 압력이 중단될 수 있다.
도 21은, 도 20 이동 단말기에 제2 가이드부가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바디(BD)의 내부에서 방수유닛(300)과 제2 가이드부(400)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방수유닛(300)은, 심트레이(210)의 적어도 일부가 바디(BD)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바디홀(223)을 개방한 상태일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방수유닛(300)은, 힘 전달 부재(250)로부터 제공받는 힘이 없을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2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가이드부(40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20)는, 방수유닛 바디(310)가 바디홀(223)을 따라 이동할 때, 제2 가이드부(400)에 의해 가이드(guide)될 수 있다.
도 22는, 도 21의 방수유닛(300)과 제2 가이드부를 I-I'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을 개방할 때 방수유닛(300)과 제2 가이드부(400)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2는, 심트레이(210)의 적어도 일부가 바디(BD)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방수유닛(300)과 제2 가이드부(400)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3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제2 내지 제4 가이드 월(420, 430, 440)은, 가이드 절곡부(323)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가이드 절곡부(323)를 가이드(guide)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00)는, 제2 내지 제4 가이드 월 면(GWSF2, GWSF3, GWSF4)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가이드 월 면(GWSF2, GWSF3, GWSF4)은, 제2 내지 제4 가이드 절곡면(GBSF2, GBSF3, GBSF4)에 각각 마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토크선(TL1, TL2)과 관련된 내용은, 전술된 바와 같다.
도 23은, 도 19의 이동 단말기에서 심트레이가 배출될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 전달 부재(250)의 적어도 일부가 심하우징(260) 내부에 인입되면, 심트레이(210)의 적어도 일부가 바디(BD)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트레이(210)의 적어도 일부가 바디(BD)의 외부로 인출되면, 심트레이(210)에 적재된 심카드(SMC)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외부에 노출된 심카드(SMC)는, 교체 또는/및 교환 가능하다.
심트레이(210)의 적어도 일부가 바디(BD)의 외부에 노출된 경우, 바디홀(223)의 영역 외에 심트레이(210)가 배출된 공간으로 외부에서 액체 등이 침투할 수 있다. 심트레이(210)의 적어도 일부가 바디(BD)의 외부에 노출된 경우, 바디홀(223)을 방수(waterproof)할 필요성이 없을 수 있다. 심트레이(210)의 적어도 일부가 바디(BD)의 외부에 노출된 경우,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을 개방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의 패킹부(330)가 바디홀(223)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을 개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바디홀(223)의 개방'은, 바디(BD)의 외부에서 내부로 바디홀(223)을 통해 액체가 침투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방수유닛(300)은 로드(35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350)는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로드(35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350)은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로드(350)는 전체적으로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로드(350)의 길이 방향은 방수유닛(300)의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스토퍼(360)는 로드(35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350)는 로드(350)에 끼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350)는 로드(350)와 인서트몰딩(사출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60)는 로드(350)의 끝에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360)는 로드(350)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스토퍼(36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360)는 제1 스토퍼(360a)와 제2 스토퍼(36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360a)는 로드(350)의 일 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스토퍼(360b)는 로드(350)의 타 단에 위치할 수 있다.
패킹 링(370)은 로드(35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 링(370)은 로드(350)에 끼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 링(370)은 로드(350)와 인서트몰딩(사출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킹 링(370)은 로드(350)의 양 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패킹 링(370)은 제1 스토퍼(360a)와 제2 스토퍼(360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패킹 링(37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 링(370)은 제1 패킹 링(370a)과 제2 패킹 링(370b)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 링(370)은 스토퍼(36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80)는 로드(35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380)는 로드(350)에 끼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380)는 로드(350)와 인서트몰딩(사출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80)는 스토퍼(360)와 패킹 링(370)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380)는 제1 패킹 링(370a)과 제2 패킹 링(370b)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380)는 스토퍼(36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80)는 패킹 링(37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방수유닛(300)은 가상의 중심선(COA)을 가질 수 있다. 중심선(COA)은 방수유닛(300)의 대칭축일 수 있다. 중심선(COA)은 방수유닛(300)의 회전축일 수 있다.
제1 스토퍼(360a)는 제1 직경(D1)을 가질 수 있다. 제1 직경(D1)은 제1 스토퍼(360a)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직경(D1)은 제1 스토퍼(360a)가 바디홀(223, 도 5 참조)에 삽입되기 이전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스토퍼(360b)는 제1 스토퍼(360a)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토퍼(360b)는 제1 직경(D1)을 가질 수 있다. 제2 스토퍼(360b)는 제1 스토퍼(360a)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스토퍼(360b)는 제1 스토퍼(360a)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킹 링(370a)은 제2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직경(D2)은 제1 패킹 링(370a)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패킹 링(380b)은 제1 패킹 링(380a)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패킹 링(380b)은 제2 직경(D2)을 가질 수 있다. 제2 직경(D2)은 제1 패킹 링(370a)이 바디홀(223, 도 5 참조)에 삽입되기 이전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직경(D2)은 제1 직경(D1)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직경(D2)은 제1 직경(D1) 보다 작을 수 있다.
연결부(380)는 제3 직경(D3)을 가질 수 있다. 제3 직경(D3)은 제1 연결부(380a)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직경(D3)은 제2 연결부(380b)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직경(D3)은 제3 연결부(380c)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직경(D3)은 제2 직경(D2) 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직경(D3)은 제1 직경(D1) 보다 작을 수 있다.
스토퍼(360)와 패킹 링(380)의 사이에 골(valley)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60)와 패킹 링(380) 사이에 오목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토퍼(360a)와 제1 패킹 링(370a)의 사이에 오목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토퍼(360b)와 제2 패킹 링(370b)의 사이에 오목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하는 패킹 링(370)의 사이에 오목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킹 링(370a)과 제2 패킹 링(370b)의 사이에 오목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360a)는 방수유닛(300)의 길이 방향으로 제1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 제1 길이(L1)는 제1 스토퍼(360a) 중에서 제1 직경(D1)을 형성하는 부분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길이(L1)은 스토퍼(360)와 방수홀(223, 도 5 참조)의 접면적(contact area)을 결정할 수 있다. 스토퍼(360)가 방수홀(223, 도 5 참조)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토퍼(360)와 방수홀(223, 도 5 참조)의 접면적은 제1 길이(L1)에 의존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의 방수 성능은 스토퍼(360)와 방수홀(223, 도 5 참조)의 접면적에 의존할 수 있다.
제1 스토퍼(360a)는 경사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360a)의 경사진 형상은 제1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제1 스토퍼(360a)의 경사진 형상은 제1 스토퍼(360a)의 원통 형상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360a)의 원통 형상은, 제1 길이(L1)와 제1 직경(D1)을 가질 수 있다. 제1 스토퍼(360a)의 경사진 형상은, 원뿔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높이(H1)는 제1 스토퍼(360a)의 경사진 형상의 경사를 결정할 수 있다. 스토퍼(360)의 경사진 형상의 경사는, 스토퍼(360)가 방수홀(223, 도 5 참조)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스토퍼(360)를 방수홀(223, 도 5 참조)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스토퍼(360b)는 제1 스토퍼(360a)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제2 스토퍼(360b)는 제1 스토퍼(360a)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킹 링(370a)은 방수유닛(300)의 길이 방향으로 제2 길이(L2)를 가질 수 있다. 방수유닛(300)의 길이 방향은, 중심선(COA)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패킹 링(370b)의 길이는 제1 패킹 링(370a)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패킹 링(370b)은 방수유닛(300)의 길이 방향으로 제2 길이(L2)를 가질 수 있다.
제2 길이(L2)는 패킹 링(370)과 방수홀(223, 도 5 참조)의 접면적(contact area)을 결정할 수 있다. 패킹 링(370)이 방수홀(223, 도 5 참조)에 삽입된 상태에서, 패킹 링(370)과 방수홀(223, 도 5 참조)의 접면적(contact area)은 제2 길이(L2)에 의존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의 방수 성능은 패킹 링(370)과 방수홀(223, 도 5 참조)의 접면적에 의존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의 방수 성능은 방수유닛(300)과 방수홀(233, 도 5 참조)의 접면적에 의존할 수 있다.
제1 연결부(380a)는 방수유닛(300)의 길이 방향으로 제3 길이(L3)를 가질 수 있다. 제2 연결부(380b)의 길이는 제1 연결부(380a)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3 연결부(380c)의 길이는 제1 연결부(380a)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3 길이(L3)는 방수유닛(300)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길이와 관련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스토퍼(360)는 가이드(361)와 받침대(36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360)는 중공부(HP)를 구비할 수 있다. 중공부(HP)는 로드(350, 도 24 참조)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받침대(363)는 실린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363)는 중공부(HP)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363)는 제1 직경(D1)을 가질 수 있다. 제1 직경(D1)은 받침대(363)의 직경일 수 있다.
받침대(363)는 제1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 제1 길이(L1)는 받침대(363)의 길이일 수 있다. 제1 길이(L1)는 받침대(363)에서 가이드(361)를 향하는 방향의 받침대(363)의 길이일 수 있다.
받침대(363)는 바닥면(BS)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면(BS)은 원형 디스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닥면(BS)은 패킹 링(370, 도 25 참조)을 마주할 수 있다. 바닥면(BS)은,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 도 5 참조)에 위치하면, 테이퍼 영역(TPA, 도 5 참조)에 걸릴 수 있다. 바닥면(BS)은, 방수유닛(300)이 바디(BD, 도 5 참조)의 외부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가이드(361)는 원뿔대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61)는 중공부(HP)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61)의 일 측은 받침대(363)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361)의 일 측은 제1 직경(D1)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361)의 타 측은 제4 직경(D4)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361)의 타 측은 상면(TS)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361)는 제1 높이(H1)을 가질 수 있다. 제1 높이(H1)는 스토퍼(36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361)의 높이일 수 있다. 스토퍼(360)의 길이 방향은, 받침대(363)에서 가이드(361)를 향하는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가이드(361)는 경사면(IS)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IS)은 가이드(361)의 일 측에서 타 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IS)은 스토퍼(36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스토퍼(360)의 길이 방향은 방수유닛(300, 도 25 참조)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경사면(IS)은 스토퍼(360)의 바디홀(223, 도 5 참조)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경사면(IS)의 경사각(TA)은 제1 직경(D1), 제4 직경(D4), 그리고 제1 높이(H1)에 의존할 수 있다. 제1 높이(H1)가 작아지면, 경사각(TA)은 작아질 수 있다. 제1 직경(D1)이 커지면, 경사각(TA)은 작아질 수 있다. 제4 직경(D4)이 작아지면, 경사각(TA)은 작아질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함몰부(352)는 로드(350)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352)는 로드(350)의 외면에서 로드(350)의 내부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함몰부(352)는 로드(350)의 방위각 방향으로 로드(350)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352)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몰부(352)는 제1 함몰부(352a), 제2 함몰부(352b), 그리고 제3 함몰부(352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함몰부(352)는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함몰부(352)는 로드(3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방수유닛(300)의 단면이 관찰될 수 있다. 관찰되는 방수유닛(300)의 단면은 방수유닛(300)의 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일 수 있다. 방수유닛(300)의 단면은, 로드(350)와 스토퍼(360)와 패킹 링(370)과 연결부(380)를 나타낼 수 있다. 로드(350)는 스토퍼(360)와 패킹 링(370)과 연결부(380)에 삽입될 수 있다.
로드(350)는 단부 돌출면(354)과 내측 돌출면(356)과 함몰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단부 돌출면(354)은 로드(350)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단부 돌출면(354)은 제5 직경(D5)을 가질 수 있다. 제5 직경(D5)은 단부 돌출면(354)의 직경일 수 있다. 단부 돌출면(354)은 제1 단부 돌출면(354a)과 제2 단부 돌출면(354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직경(D5)은 제1 단부 돌출면(354a)의 직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직경(D5)은 제2 단부 돌출면(354b)의 직경일 수 있다.
내측 돌출면(356)은 제1 단부 돌출면(354a)과 제2 단부 돌출면(354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내측 돌출면(356)은 제1 내측 돌출면(356a)과 제2 내측 돌출면(35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 돌출면(356a)은 제2 내측 돌출면(356b)에서 이격될 수 있다. 내측 돌출면(356)의 직경은 단부 돌출면(354)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돌출면(356)의 직경은 제5 직경(D5)일 수 있다.
함몰부(352)는 돌출면(354, 356)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352)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함몰부(352a)는 제1 단부 돌출면(354a)와 제1 내측 돌출면(356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함몰부(352b)는 제1 내측 돌출면(356a)과 제2 내측 돌출면(356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함몰부(352c)는 제2 내측 돌출면(356b)과 제2 단부 돌출면(354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352)와 돌출면(354, 356)은, 로드(350)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함몰부(352)와 돌출면(354, 356)에 의해 로드(350)에 형성된 요철은, 스토퍼(360) 또는/및 패킹 링(370) 또는/및 연결부(380) 등이 로드(350)에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토퍼(360)는 단부 돌출면(354)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토퍼(360)는 단부 돌출면(354)에 접할 수 있다. 스토퍼(360)는 단부 돌출면(354)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토퍼(360a)는 제1 단부 돌출면(354a)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토퍼(360b)는 제2 단부 돌출면(354b)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패킹 링(370)은 내측 돌출면(356)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킹 링(370)은 내측 돌출면(356)에 접할 수 있다. 패킹 링(370)은 내측 돌출면(356)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킹 링(370a)은 제1 내측 돌출면(356a)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패킹 링(370b)은 제2 내측 돌출면(356b)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380)는 함몰부(352)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380)는 함몰부(352)에 접할 수 있다. 연결부(380)는 함몰부(352)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부(380b)는 제2 함몰부(352b)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380)의 직경은 스토퍼(360)의 직경 및 패킹 링(370)의 직경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380)가 함몰부(352)의 외주면에 위치하면, 연결부(380)는 일정 이상의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380)의 두께는 연결부(380)의 외직경과 내직경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연결부(380)는 방수유닛(300)의 내구성에 기여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바디(BD)에 방수유닛(300)이 장착되는 과정이 관찰될 수 있다.
바디(BD)는 바디홀(223)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홀(223)은 바디(BD)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할 수 있다. 바디홀(223)의 일 측은 바디(BD)의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바디홀(223)의 타 측은 바디(BD)의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바디홀(233)의 일 측은 바디홀(233)의 제1 측이라 칭할 수 있다. 바디홀(233)의 타 측은 바디홀(233)의 제2 측이라 칭할 수 있다. 바디홀(233)의 제1 측은 바디(BD)의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바디홀(233)의 제2 측은 바디(BD)의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바디홀(223)은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홀(223)의 직경은 제7 직경(D7)일 수 있다. 제7 직경(D7)은 스토퍼(36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7 직경(D7)은 패킹 링(37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방수유닛(300)은 바디홀(223)의 일 측에 진입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에 진입하면, 제1 스토퍼(360a)의 경사면(IS)은 방수유닛(300)을 가이드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의 입구로 가이드되면, 방수유닛(300)의 패킹 링(370)은 안정적으로 바디홀(223)에 삽입될 수 있다. 바디홀(223)에 삽입된 패킹 링(370)은 바디홀(223)에 접할 수 있다. 바디홀(223)에 삽입된 패킹 링(370)은 바디홀(223)을 밀폐할 수 있다.
제1 스토퍼(360a)는 탄성 또는/및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바디홀(223) 내부에서 제1 스토퍼(360a)의 직경은, 바디홀(223) 외부에서 제1 스토퍼(360a)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패킹 링(370)은 탄성 또는/및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바디홀(223) 내부에서 패킹 링(370)의 직경은, 바디홀(223) 외부에서 패킹 링(370)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스토퍼(360b)는 제1 스토퍼(360a)에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의 내부에 위치하면, 제1 스토퍼(360a)는 바디홀(233)의 제2 측에 위치하고 제2 스토퍼(360b)는 바디홀(233)의 제1 측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의 내부에 위치하면, 제2 스토퍼(360b)는 바디(BD)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스토퍼(360b)는 바닥면(BS)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토퍼(360b)의 바닥면(BS)은 바디홀(233)의 제1 측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스토퍼(360b)의 바닥면(BS)은 바디홀(233)의 제1 측에 인접한 바디(BD)의 구조물에 걸릴 수 있다. 제2 스토퍼(360b)의 바닥면(BS)은 방수유닛(300)의 바디(BD) 외부로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1 내지 3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유닛(300)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 내지 33을 참조하면, 방수유닛(300)이 바디(BD)에 안착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은 힘 전달 부재(250)에 인접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은 힘 전달 부재(250)를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토퍼(360a)는 힘 전달 부재(250)를 마주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의 일부는 바디홀(22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토퍼(360b), 제2 패킹 링(370b), 그리고 제1 패킹 링(370a)은 바디홀(22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킹 링(370a)과 제2 패킹 링(370b)은 바디홀(223)에 접하며 바디홀(223)을 차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토퍼(360b)는 바디홀(223)에 접하며 바디홀(223)을 차폐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의 다른 일부는 바디홀(223)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토퍼(360a)는 바디홀(223)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토퍼(360a)는 바디(BD)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토퍼(360a)는 방수유닛(300)의 바디(BD) 외부로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4 내지 36을 참조하면, 방수유닛(300)이 이동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은 힘 전달 부재(250)를 밀고 들어갈 수 있다. 배출 핀(EPJ, 도 12 참조)은 심트레이홀(221)에 삽입될 수 있다. 심트레이홀(221)에 삽입된 배출 핀(EPJ)은 방수유닛(300)을 바디(BD)의 내부로 밀 수 있다. 바디(BD)의 내부를 향하여 압력을 제공받은 배출 핀(EPJ)은, 전달 받은 압력을 힘 전달 부재(25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방수유닛(300)은 힘 전달 부재(250)를 바디(BD)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에서 바디(BD)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더라도, 방수유닛(300)은 바디홀(223)을 차폐하여 방수 기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에서 바디(BD)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더라도, 방수유닛(300)의 일부는 바디홀(223)을 차폐할 필요가 있다.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에서 바디(BD)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면, 제1 스토퍼(360a)에 인접한 패킹 링(370)이 바디홀(223)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킹 링(370a)이 바디홀(223)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에서 바디(BD)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더라도 방수유닛(300)의 일부는 바디홀(223)을 차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에서 바디(BD)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더라도 제2 패킹 링(370b)은 바디홀(223)의 내부에 위치하며 바디홀(223)을 차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에서 바디(BD)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더라도 제2 스토퍼(360b)는 바디홀(223)의 내부에 위치하며 바디홀(223)을 차폐할 수 있다.
제2 패킹 링(370b)와 제2 스토퍼(360b)는 바디홀(223)의 내부에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방수유닛(300)은 바디홀(223)의 내부에서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23)에서 바디(BD)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더라도 방수유닛(300)은 바디홀(223)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힘 전달 부재(250)가 방수유닛(300)을 바디(BD)의 외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과정이 고려될 수 있다. 힘 전달 부재(250)가 방수유닛(300)을 바디(BD)의 외부를 향하여 압력을 가하면, 방수유닛(300)은 바디홀(223)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7은 방수유닛(300)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의 (a)를 참조하면, 제1 스토퍼(360a)와 제2 스토퍼(360b)의 사이에 하나의 패킹 링(370)이 위치할 수 있다. 하나의 패킹 링(370)은,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33, 도 35 참조)에서 이동하더라도 바디홀(223, 도 35 참조)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나의 패킹 링(370)은, 방수유닛(300)의 길이 및 배치 조정을 통해, 바디홀(223, 도 35 참조)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나의 패킹 링(370)이 제공되는 실시예는, 방수유닛(300)과 바디홀(233, 도 35 참조)의 접면적을 감소시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37의 (b)를 참조하면, 제1 스토퍼(360a)와 제2 스토퍼(360b)의 사이에 3개의 패킹 링(370a, 370b, 370c)이 위치할 수 있다. 3개의 패킹 링(370a, 370b, 370c) 중에서 적어도 2개의 패킹 링(370b, 370c)이 바디홀(223, 도 35 참조)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3개의 패킹 링(370a, 370b, 370c)이 제공되는 실시예는, 바디홀(233, 도 35 참조) 내부에서 방수유닛(300)이 안정적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38 내지 도 4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 및 39를 참조하면, 방수유닛(300)은 로드(350)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350)는 전체적으로 원형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쉘(395)은 로드(350)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쉘(395)은 로드(350)와 동축(coaxial)일 수 있다. 로드(350)는 쉘(395)에 삽입될 수 있다.
로드(35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쉘(395)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쉘(395)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쉘(395)은 로드(350)와 인서트몰딩(사출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선 패킹(390)은 쉘(395)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나선 패킹(390)은 쉘(395)에 부착될 수 있다. 나선 패킹(390)은 쉘(395)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나선 패킹(390)은 나사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선 패킹(390)은 탄성 또는/및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나선 패킹(390)은 피칭각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선 패킹(390)은 방수유닛(3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약 12도의 피칭각도를 가질 수 있다. 나선 패킹(390)은, 방수유닛(300)이 바디홀(233, 도 35 참조)에 위치하면, 바디홀(233, 도 35 참조)의 내부면에 접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방수유닛(300)은 바디홀(233)에 위치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은 바디홀(233)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바디홀(233)에 접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이 바디(BD)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더라도 방수유닛(300)의 일부는 바디홀(23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1 및 42를 참조하면, 방수유닛(300)은 스토퍼(36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36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360)는 제1 스토퍼(360a)와 제2 스토퍼(36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360a)는 방수유닛(300)의 일 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스토퍼(360b)는 방수유닛(300)의 타 단에 위치할 수 있다. 나선 패킹(390)은 제1 스토퍼(360a)와 제2 스토퍼(360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방수유닛(300)이 바디(BD, 도 40 참조)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더라도, 제1 스토퍼(360a)와 제2 스토퍼(360b) 중 하나는 바디홀(233, 도 40 참조)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토퍼(360a)와 제2 스토퍼(360b) 중 하나가 바디홀(233, 도 40 참조)의 내부에 위치하면, 방수유닛(300)의 방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이동 단말기 101: 프런트 케이스
102: 리어 케이스 103: 후면커버
151: 디스플레이부 300: 방수유닛
310: 방수유닛 바디 320: 제1 가이드부
330: 패킹부 350: 로드
360: 스토퍼 370: 패킹 링
380: 연결부 390: 나선 패킹
395: 쉘 400: 제2 가이드부

Claims (15)

  1. 바디;
    상기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바디홀; 그리고
    상기 바디홀 내에서 위치하며 이동 가능한 방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유닛은,
    상기 바디홀의 연통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로드(rod);
    상기 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는 상기 로드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스토퍼; 그리고
    상기 로드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스토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바디홀의 내부에서 상기 바디홀을 차폐하는 패킹 링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링은,
    상기 바디홀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탄력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패킹 링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패킹 링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방수유닛이 상기 바디홀 내에서 이동하면, 상기 바디홀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패킹 링을 마주하는 받침대; 그리고
    상기 받침대에서 연장되고, 상기 로드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직경은 상기 바디홀의 직경 보다 크고,
    상기 가이드의 일 측은 상기 받침대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의 타 측은 상기 방수유닛의 외부를 향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가이드의 일 측과 상기 가이드의 타 측을 연결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타 측의 직경은, 상기 바디홀의 직경 보다 작은,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로드의 일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스토퍼와 상기 로드의 타 단부에 위치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바디홀의 외부에 위치하되 상기 바디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의 직경은 상기 바디홀의 직경 보다 큰,
    이동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방수유닛이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면,
    상기 바디홀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로드의 외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함몰부에 인접하며 상기 로드의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돌출면; 그리고
    상기 함몰부에 인접하며 상기 로드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돌출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단부 돌출면의 외주면에 위치하고,
    상기 패킹 링은 상기 내측 돌출면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유닛은,
    상기 로드를 감싸며 상기 바디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함몰부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내에 위치하며, 상기 방수유닛을 마주하며 상기 방수유닛으로부터 힘을 제공받으며 상기 방수유닛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힘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70024996A 2017-02-24 2017-02-24 이동 단말기 KR102604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996A KR102604966B1 (ko) 2017-02-24 2017-02-24 이동 단말기
US15/613,925 US10165096B2 (en) 2017-02-24 2017-06-05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996A KR102604966B1 (ko) 2017-02-24 2017-02-24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037A true KR20180098037A (ko) 2018-09-03
KR102604966B1 KR102604966B1 (ko) 2023-11-22

Family

ID=6324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996A KR102604966B1 (ko) 2017-02-24 2017-02-24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65096B2 (ko)
KR (1) KR102604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352A1 (ko) * 2021-09-24 2023-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6120B (zh) * 2016-05-09 2021-01-01 夏普株式会社 便携终端
KR101836396B1 (ko) * 2016-06-03 2018-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116095B2 (en) * 2017-06-21 2021-09-07 Shenzhen Everwin Precision Technology Co Ltd Waterproof card holder, card seat, metal casing and mobile terminal
CN209572070U (zh) * 2018-11-30 2019-11-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动模组、传动机构、摄像头组合件和移动终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4669A (ja) * 2011-04-28 2012-11-29 Smk Corp 取出し機構付きカードコネクタ
US20130271902A1 (en) * 2011-08-22 2013-10-17 Catalyst Lifestyle Limited Waterproof case
US20140167365A1 (en) * 2012-12-18 2014-06-19 Te-Yi Chu Water proof sealing assembly
KR20150082041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KR20160016625A (ko) * 2014-07-31 2016-02-15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카드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9697A1 (en) * 2000-12-27 2002-08-29 Wen-Yao Chan Mobile phone connector
JP4438883B2 (ja) * 2008-06-19 2010-03-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防水構造付き携帯端末装置
CN101908689B (zh) * 2009-06-08 2012-11-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连接器盖体结构及具该盖体结构的电子装置
US8625290B2 (en) * 2009-10-15 2014-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proof structure for portable terminal
CN102918942B (zh) * 2010-07-15 2015-06-10 日本梅克特隆株式会社 密封构造体
CN202111267U (zh) * 2011-04-29 2012-01-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102761003B (zh) * 2011-04-29 2014-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102761027B (zh) * 2011-04-29 2014-10-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US8767381B2 (en) * 2011-05-31 2014-07-0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jecting removable modules from electronic devices
CN103311715B (zh) * 2012-03-08 2015-08-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保护盖组件、应用保护盖组件的电子装置及使用保护盖组件拆装功能卡的方法
US8591240B2 (en) * 2012-04-04 2013-11-26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jecting removable modules from electronic devices
JP5861842B2 (ja) * 2013-12-03 2016-02-16 Smk株式会社 トレイ式カードコネクタ
CN104797109B (zh) * 2014-01-16 2019-01-2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芯片卡固持结构及应用该结构的电子装置
JP6421735B2 (ja) * 2015-10-05 2018-11-14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KR102077541B1 (ko) * 2015-10-16 2020-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4669A (ja) * 2011-04-28 2012-11-29 Smk Corp 取出し機構付きカードコネクタ
US20130271902A1 (en) * 2011-08-22 2013-10-17 Catalyst Lifestyle Limited Waterproof case
US20140167365A1 (en) * 2012-12-18 2014-06-19 Te-Yi Chu Water proof sealing assembly
KR20150082041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KR20160016625A (ko) * 2014-07-31 2016-02-15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카드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352A1 (ko) * 2021-09-24 2023-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966B1 (ko) 2023-11-22
US20180248987A1 (en) 2018-08-30
US10165096B2 (en) 201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9426B2 (en) Watch-type mobile terminal including antenna
KR20180098037A (ko) 이동 단말기
US10305165B2 (en) Mobile terminal
EP3065124B1 (en) Mobile terminal
US10097245B2 (en) Mobile terminal
US9609099B2 (en) Mobile terminal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3499A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951677B1 (ko)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KR20150084601A (ko) 거치대 모듈 및 이동 단말기
US20170054836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36396B1 (ko) 이동 단말기
US20170078461A1 (en) Mobile terminal
KR20160041659A (ko) 슬라이드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20170028018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KR20170017204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575503B1 (ko) 이동 단말기
KR20180096180A (ko) 이동 단말기
KR20180065174A (ko) 단말기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US10686480B2 (en) Mobile terminal
KR20160150543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2158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78431A (ko) 이동 단말기
KR101575599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