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035A - 터치 센서 제조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제조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035A
KR20180098035A KR1020170024993A KR20170024993A KR20180098035A KR 20180098035 A KR20180098035 A KR 20180098035A KR 1020170024993 A KR1020170024993 A KR 1020170024993A KR 20170024993 A KR20170024993 A KR 20170024993A KR 20180098035 A KR20180098035 A KR 20180098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
touch sensor
transfer body
cool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107B1 (ko
Inventor
손동진
유성우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1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98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2Thermal shr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터치 센서 제조 장치는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전사체를 제1 필름과 접합하는 전사부, 전사부로부터 전사체를 공급받아 제2 필름을 접합하여 제1 적층체를 형성하는 제1 접합부, 제1 접합부로부터 상기 제1 적층체를 공급받아 제3 필름을 접합하여 제2 적층체를 형성하는 제2 접합부, 및 전사체, 제1 적층체 또는 제2 적층체에 수축을 부여하는 가열 및 냉각부를 포함한다. 가열 및 냉각부에 의해 균일하게 수축률이 증가되며, 굴곡 스트레스에 의한 기계적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센서 제조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APPARATUS FOR FABRICATING TOUCH SENSO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OUCH SENSOR}
본 발명은 터치 센서 제조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 또는 시트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터치 센서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센서는 터치 지점으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적 특성 변화에 따라 상기 터치 지점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 상기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스크린 패널 형태 또는 터치 센서 필름으로 적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구동 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정전용량 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는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센싱 패턴이 주변의 다른 센싱패턴 또는 접지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최근에는, 터치 센서의 기재로서 유리 기판 대신 고분자 필름이 적용되어 보다 박형화되며 굴곡, 접힘 특성 구현이 가능한 터치 센서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필름 적층 구조 제조시 활용되는 롤-투-롤(Roll-to-Roll) 방식이 터치 센서 제조 공정에도 활용되고 있다.
골곡부 또는 굴곡영역을 포함하는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경우, 상기 굴곡부 또는 굴곡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상기 인장력에 의해 상기 터치 센서에 포함된 전극 패턴, 절연 구조 등에 크랙, 박리 등과 같은 기계적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58404호는 롤러, 라미네이터 등을 활용하는 터치 판넬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굴곡 특성 구현을 위한 고려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58404호(2000.10.05)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우수한 굴곡 강도 및 신뢰성을 갖는 터치 센서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우수한 굴곡 강도 및 신뢰성을 갖는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전사체를 제1 필름과 접합하는 전사부; 상기 전사부로부터 상기 전사체를 공급받아 제2 필름을 접합하여 제1 적층체를 형성하는 제1 접합부; 상기 제1 접합부로부터 상기 제1 적층체를 공급받아 제3 필름을 접합하여 제2 적층체를 형성하는 제2 접합부; 및 상기 전사체, 상기 제1 적층체 또는 상기 제2 적층체에 수축을 부여하는 가열 및 냉각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2. 위 1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냉각부는 상기 전사부 및 상기 제1 접합부 사이,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 사이, 또는 상기 제2 접합부 후단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3. 위 1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냉각부는 순차적으로 연속적으로 가열 처리 및 냉각 처리가 수행되도록 배치된 가열부 및 냉각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4. 위 3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 및 냉각부는 한 쌍의 비연신 롤러들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5. 위 4에 있어서, 상기 비연신 롤러는 상기 전사체, 상기 제1 적층체 또는 상기 제2 적층체가 소정의 가열 시간 및 소정의 냉각 시간 동안 고정되며, 상기 가열부 및 상기 냉각부를 통과하여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6.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경화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7. 위 6에 있어서, 상기 경화부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8. 위 6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냉각부는 상기 경화부 및 상기 제2 접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9. 위 1에 있어서, 상기 전사체 및 캐리어 기판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전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사부는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적층체를 공급받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10. 위 9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 내에서 상기 전사체가 상기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분리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11. 위 1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는 각각 일 이상의 압착 롤러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12.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전사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사체와 기재필름을 접합하여 제1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적층체에 보호필름을 접합하여 제2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체, 상기 제1 적층체 또는 상기 제2 적층체에 대해 순차적으로, 연속적으로 가열 처리 및 냉각 처리를 수행하여 수축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13. 위 12에 있어서, 상기 가열 처리는 50 내지 250oC의 온도로 수행되며, 상기 냉각 처리는 -20 내지 25oC의 온도로 수행되는,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14. 위 12에 있어서, 상기 가열 처리 및 냉각 처리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전사체, 상기 제1 적층체 또는 상기 제2 적층체에 대해 장력 또는 연신이 인가되지 않는,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15. 위 12에 있어서, 상기 전사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캐리어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분리층, 중간층 및 상기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상기 전사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체를 상기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연신 또는 장력이 실질적으로 제거된 상태에서 가열 및 냉각의 연속 처리에 의해 상기 터치 센서 또는 적층체의 수축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품화 공정에서 굴곡 인장이 부가되기 전에 미리 수축율을 증가시켜 굴곡 스트레스에 대한 완충 또는 버퍼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커브드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굴곡부에서 발생하는 터치 센서의 센싱 전극 크랙 또는 층간 박리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연신 공정에 의해 가열 및 냉각 연속 처리로 수축율을 증가시키므로, 터치 센서 또는 적층체의 모든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한 수축이 발생하며, 수축 공정에서 발생하는 수축 불균일, 기계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단부에서의 필름 적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전사부에서의 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접합부에서의 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열 및 냉각부의 구조 및 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접합부에서의 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전사체를 제1 필름과 접합하는 전사부, 상기 전사부로부터 상기 전사체를 공급받아 제2 필름을 접합하여 제1 적층체를 형성하는 제1 접합부, 상기 제1 접합부로부터 상기 제1 적층체를 공급받아 제3 필름을 접합하여 제2 적층체를 형성하는 제2 접합부, 및 상기 전사체, 상기 제1 적층체 또는 상기 제2 적층체에 수축을 부여하는 가열 및 냉각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제조 장치를 활용하여 굴곡 스트레스에 의한 크랙,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단부에서의 필름 적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전사부에서의 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접합부에서의 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열 및 냉각부의 구조 및 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접합부에서의 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 제조 장치 및 제조 공정을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터치 센서 장치는 롤-투-롤 방식에 의해 연속적인 필름 절단, 이동, 라미네이팅(laminating) 공정 등이 수행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 제조 장치는 전사부(100), 제1 접합부(130), 경화부(150), 가열 및 냉각부(170), 및 제2 접합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사부(100)에서는 터치 센서 형성을 위한 전사체(40)(도 2 및 도 3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사부(100)의 전단에 전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사부(100)에서는 캐리어 기판(30) 및 전사체(40)의 적층체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사체(40)는 캐리어 기판(3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분리층(42), 중간층(44), 터치 센서층(46) 및 절연층(48)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기판(30)은 예를 들면, 글래스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층(42)은 전사 공정(도 3 참조)에서 캐리어 기판(30)으로부터의 박리 촉진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분리층(42)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유기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44)은 터치 센서층(46)에 포함된 센싱 전극의 보호 및/또는 센싱 전극과의 굴절률 정합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44)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고분자 계열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층(46)은 ITO와 같은 투명 도전성 금속 산화물, 금속 및/또는 금속 나노 와이어로 형성된 센싱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전극은 예를 들면, 메쉬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패터닝된 단위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전극들은 예를 들면, 열 방향 및 행 방향으로 연결되어 센싱 라인들을 형성할 수 있다.
절연층(48)은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20) 상에서 커터(cutter)와 같은 전단기기(25)에 의해 소정의 단위로 절단된 캐리어 기판(30) 및 전사체(40)의 적층체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단부에서 상기 적층체가 이송부(20)를 통해 전사부(100) 내로 이동하면서, 전사체(40)가 캐리어 기판(30)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압착 롤러(102) 및 제2 압착 롤러(104) 사이로 제1 필름(50)이 공급되면서, 제1 필름(50)은 상기 적층체의 전사체(40)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필름(50)이 제2 롤러(104) 외부로 배출되면서, 전사체(40)가 제1 필름(50)과 부착되면서 캐리어 기판(3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필름(50)은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고분자 재질의 필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필름(50) 표면 상에는 접착성 레진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필름(50)과 접합된 전사체(40)는 제1 가이드 롤러(110)를 통해 제1 접합부(130)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사체(40)는 제1 접합부(130) 내에서 제2 필름(60)가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필름(60)은 제2 가이드 롤러(120)에 의해 제1 접합부(130)로 이동하면서 제3 압착 롤러(125) 사이에서 제1 필름(50)에 부착된 전사체(40)와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필름(60) 및 전사체(40)가 적층된 제1 적층체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필름(60)은 기재 필름(62) 및 점접착층(64)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점접착층(64)은 제3 압착 롤러(125) 사이에서 전사체(40)와 접합될 수 있다.
기재 필름(62)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연성 수지 필름, 또는 편광 필름과 같은 각종 광학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점접착층(64)은 예를 들면, 감압성 점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조성물 또는 광학 투명 점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필름(50)은 제3 압착 롤러(125)로부터 배출되면서 제2 필름(60)과 함께 상기 제1 적층체의 일부로 포함되면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필름(50)은 제3 압착 롤러(125)로부터 상기 제1 적층체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적층체는 제1 접합부(130)로부터 경화부(150)로 이동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경화부(150)는 자외선(UV)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경화부(150)에서는 자외선 노광 또는 자외선 조사 공정이 수행되며,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상기 제1 적층체에서 제1 점접착층(64)이 경화되어 기재 필름(62) 및 전사체(40) 사이의 결합이 강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합부(130)로부터 상기 제1 적층체가 권취 롤러(152)에 의해 이동되고, 경화부(150)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자외선 노광 공정이 수행되도록 상기 제1 적층체 또는 제2 필름(60)이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필름(50)이 경화부(150)로 함께 이동하는 경우, 경화부(150) 후단에 제1 필름(50)의 제거를 위한 박리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적층체 또는 제2 필름(60)은 예를 들면, 제2 가이드 롤러(154)를 통해 가열 및 냉각부(170)로 이동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열 및 냉각부(170)는 적층체의 수축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열 및 냉각부(170)는 예를 들면, 각각 챔버 형상의 가열부(163) 및 냉각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름(60) 및 전사체(40)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적층체는 순차적으로, 연속적으로 가열부(163) 및 냉각부(165)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 적층체는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열 처리 및 냉각 처리가 연속적으로 상기 제1 적층체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처리 및 냉각 처리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가열부(163) 및 냉각부(165) 사이에는 개폐처리가 가능한 이동 챔버 또는, 도어(door) 또는 윈도우(window)가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열부(163) 내에서 상기 가열 처리는 약 50 내지 250oC의 온도로 수행될 수 있다. 유효한 가열 효과를 획득하고 과도한 팽창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상기 가열 처리는 약 100 내지 200oC의 온도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열 처리는 가열부(163) 내에 배치된 적외선(IR) 램프, 열풍 장치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가열부(163) 내에 가열 롤러가 배치되어 상기 제1 적층체와 접촉하며 가열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냉각부(165) 내에서 상기 냉각 처리는 약 -20 내지 25oC의 온도로 수행될 수 있다. 적층체의 손상 방지 및 균일한 수축 획득 측면에서, 상기 냉각 처리는 약 -10 내지 20 oC의 온도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냉각 처리는 냉각부(165) 내에 배치된 냉풍 장치, 냉각 롤러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가열부(163) 및 냉각부(165)는 제1 비연신 롤러(172) 및 제2 비연신 롤러(17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비연신 롤러(172, 174)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적층체를 고정 및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적층체가 가열부(163) 내에서 가열 처리되는 동안 상기 제1 적층체는 제1 및 제2 비연신 롤러(172, 174)의 압력에 의해 정지되고, 상기 가열 처리 후, 냉각부(165)로 이동된 후 다시 정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비연신 롤러(172, 174)는 상기 제1 적층체에 대해 장력 또는 연신을 부여하지 않으며, 상기 제1 적층체의 고정 및 이동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신 또는 장력이 실질적으로 제거된 상태에서 가열 및 냉각의 연속 처리에 의해 상기 제1 적층체에 수축율이 증가할 수 있다. 인위적인 기계적 외력에 의해 수축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 적층체의 파단, 크랙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적층체의 길이 방향(예를 들면, TD 방향) 및 폭 방향(예를 들면, MD 방향)에 걸쳐 균일한 수축률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냉각부(165)에 의해 상기 가열 처리에 이어서 바로 냉각 처리가 수행되어 수축 후 회복 응력에 의해 이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제1 적층체가 제2 필름(60) 및 전사체(4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필름(50)을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가열 및 냉각부(170)에 의해 수축률이 증가된 상기 제1 적층체는 제2 접합부(190)로 이동되어 제2 적층체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접합부(190)에서는 제3 필름(185)이 제4 압착 롤러(180) 사이로 공급되어 상기 제1 적층체와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필름(60), 전사체(40) 및 제3 필름(185)이 함께 적층된 상기 제2 적층체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필름(185)은 터치 센서 제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일 수 있다. 제3 필름(185)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PET, PE 등의 수지 필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필름(185) 표면에 점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제1 적층체와 접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제조 장치는 제2 접합부(190)의 후단에 단위 제품 또는 단위 유닛 별로 터치 센서를 절단하는 절단부, 필름 또는 시트 상태로 적층체를 권취하는 롤링부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예를 들면, 제2 접합부(190)에서의 공정 이후 권취 공정 등에 의해 굴곡 인장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커브드 디스플레이의 굴곡부에 적용되거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경우 벤딩 또는 접힘 동작이 수행되어 굴곡 인장이 부여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열 및 냉각부(170)를 통해 후속 공정 또는 제품화 공정에서, 굴곡 인장이 부가되기 전에 미리 수축율을 증가시켜 굴곡 스트레스에 대한 완충 또는 버퍼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굴곡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터치 센서의 센싱 전극 크랙 또는 층간 박리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연신 공정에 의해 가열 및 냉각 연속 처리로 수축율을 증가시키므로, 터치 센서 또는 적층체의 모든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한 수축이 발생하며, 수축 공정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손상 또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열 및 냉각부(170)는 경화부(150) 이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미경화된 상태에서 수축되는 경우 발생되는 층간 박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가열 및 냉각부(170)의 위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및 냉각부(170)는 제2 접합부(190)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 및 냉각 처리에 의한 수축 부여는 제2 접합부(190)를 통한 상기 제2 적층체 형성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및 냉각부(170)는 전사부(100) 및 제1 접합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 및 냉각 처리에 의한 수축 부여는 전사체(40)의 캐리어 기판(30)으로부터의 박리(도 3 참조)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기재 필름과 접합 전에 전사체(40)에 미리 수축을 부여함으로써, 수축률 증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20: 이송부 25: 전단기기
30: 캐리어 기판 40: 전사체
42: 분리층 44: 중간층
46: 터치 센서층 48: 절연층
50: 제1 필름 60: 제2 필름
62: 기재 필름 64: 점접착층
100: 전사부 102: 제1 압착 롤러
104: 제2 압착 롤러 110: 제1 가이드 롤러
125: 제2 압착 롤러 130: 제1 접합부
150: 경화부 163: 가열부
165: 냉각부 170: 가열 및 냉각부
172: 제1 비연신 롤러 174: 제2 비연신 롤러
185: 제3 필름 190: 제2 접합부

Claims (15)

  1.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전사체를 제1 필름과 접합하는 전사부;
    상기 전사부로부터 상기 전사체를 공급받아 제2 필름을 접합하여 제1 적층체를 형성하는 제1 접합부;
    상기 제1 접합부로부터 상기 제1 적층체를 공급받아 제3 필름을 접합하여 제2 적층체를 형성하는 제2 접합부; 및
    상기 전사체, 상기 제1 적층체 또는 상기 제2 적층체에 수축을 부여하는 가열 및 냉각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냉각부는 상기 전사부 및 상기 제1 접합부 사이,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 사이, 또는 상기 제2 접합부 후단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냉각부는 순차적으로 연속적으로 가열 처리 및 냉각 처리가 수행되도록 배치된 가열부 및 냉각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 및 냉각부는 한 쌍의 비연신 롤러들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연신 롤러는 상기 전사체, 상기 제1 적층체 또는 상기 제2 적층체가 소정의 가열 시간 및 소정의 냉각 시간 동안 고정되며, 상기 가열부 및 상기 냉각부를 통과하여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경화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화부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냉각부는 상기 경화부 및 상기 제2 접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사체 및 캐리어 기판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전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사부는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적층체를 공급받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 내에서 상기 전사체가 상기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분리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는 각각 일 이상의 압착 롤러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제조 장치.
  12.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전사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사체와 기재필름을 접합하여 제1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적층체에 보호필름을 접합하여 제2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체, 상기 제1 적층체 또는 상기 제2 적층체에 대해 순차적으로, 연속적으로 가열 처리 및 냉각 처리를 수행하여 수축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가열 처리는 50 내지 250oC의 온도로 수행되며, 상기 냉각 처리는 -20 내지 25oC의 온도로 수행되는,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가열 처리 및 냉각 처리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전사체, 상기 제1 적층체 또는 상기 제2 적층체에 대해 장력 또는 연신이 인가되지 않는,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사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캐리어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분리층, 중간층 및 상기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상기 전사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체를 상기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KR1020170024993A 2017-02-24 2017-02-24 터치 센서 제조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KR102436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993A KR102436107B1 (ko) 2017-02-24 2017-02-24 터치 센서 제조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993A KR102436107B1 (ko) 2017-02-24 2017-02-24 터치 센서 제조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035A true KR20180098035A (ko) 2018-09-03
KR102436107B1 KR102436107B1 (ko) 2022-08-24

Family

ID=6360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993A KR102436107B1 (ko) 2017-02-24 2017-02-24 터치 센서 제조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1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404A (ko) 2000-05-16 2000-10-05 한승국 터치판넬 제조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아이티오 필름 제조장치
KR20110044463A (ko) * 2009-10-23 201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110098294A (ko) * 2010-02-26 2011-09-01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JP2013018237A (ja) * 2011-07-13 2013-01-31 Dainippon Printing Co Ltd 樹脂シートの熱処理装置
KR20160114317A (ko) * 2015-03-24 2016-10-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터치 센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404A (ko) 2000-05-16 2000-10-05 한승국 터치판넬 제조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아이티오 필름 제조장치
KR20110044463A (ko) * 2009-10-23 201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110098294A (ko) * 2010-02-26 2011-09-01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JP2013018237A (ja) * 2011-07-13 2013-01-31 Dainippon Printing Co Ltd 樹脂シートの熱処理装置
KR20160114317A (ko) * 2015-03-24 2016-10-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터치 센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107B1 (ko)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90911B (zh) 塑料层叠结构和具有该塑料层叠结构的触摸感测装置
US10133352B2 (en) Contact sensitive devic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EP2570899B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3730061B (zh) 透明保护窗口、柔性显示装置及制造透明保护窗口的方法
US201102126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KR101614211B1 (ko) 편면형 박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RU2015137870A (ru) Ламинат на основе стекл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екстурированного адгезива
KR102127027B1 (ko) 핫 스탬핑 장치
US11590674B2 (en) Method and installations for processing a veneer and corresponding veneer
KR101865686B1 (ko) 필름 터치 센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TW201330018A (zh) 透明導電性膜
KR101652903B1 (ko) 기판 라미네이팅 시스템
KR101983013B1 (ko) 필름 터치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2255697B1 (ko) 필름 터치 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98035A (ko) 터치 센서 제조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KR102176075B1 (ko) 라미네이션용 흡착 플레이트 및 장치
KR20160094664A (ko)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865687B1 (ko) 필름 터치 센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WO2014188636A1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表示装置及びフィルムデバイス
TW201537429A (zh) 積層體、積層體之製造方法、靜電容型觸控面板及影像顯示裝置
JP2017205992A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物品
KR20210154066A (ko) 투명 전도성 적층 구조체 및 터치 패널
WO2020153450A1 (ja) 調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20350443A1 (en) Transparent conductive substrate structure used for thermoforming process
JP2016115178A (ja) 可撓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静電容量式3次元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