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418A -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418A
KR20180097418A KR1020170024413A KR20170024413A KR20180097418A KR 20180097418 A KR20180097418 A KR 20180097418A KR 1020170024413 A KR1020170024413 A KR 1020170024413A KR 20170024413 A KR20170024413 A KR 20170024413A KR 20180097418 A KR20180097418 A KR 20180097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tection
wireless power
detection coils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087B1 (ko
Inventor
조동호
이자현
정구호
송보윤
이충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24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0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97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02J7/025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07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of micro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07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of micro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temperature coefficients
    • H03H3/007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of micro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temperature coefficients by tuning of resonance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특정한 주파수를 갖는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회로; 상기 신호 발생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검출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소스코일; 상기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가 검출되는 복수의 검출 코일;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 센서; 및 상기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이용해 이물질의 존재를 판단하고, 무선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oreign Obstacl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모바일 장치 및 전기자동차에 무선 전력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기술을 적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무선 전력전송 방식은 크게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으로 구분된다.
자기유도방식은 대개 수 cm 이내의 근거리에서 효율적이다. 자기유도방식은 하나의 수신부에 대하여 하나의 송신부가 필요하며, 전력 송수신부가 수 cm 이상 떨어지거나 송신부 코일과 수신부 코일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면 무선 전력전송 효율이 떨어지고 충전 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방식이 자기공진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전송이다.
자기공진방식은 자기유도방식과는 달리 대략 수 m 거리까지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무선충전기 본체를 이용하여 여러 단말기들의 다중 충전이 가능하고 송신부와 수신부의 코일의 중심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충전이 가능하다.
도 1은 기존의 자기공진방식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자기공진방식은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의 자기공명결합(Magnetic resonant coupling)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송신부는 소스코일(Source coil)과 송신 공진코일(Tx resonant coil)로 구성되고, 수신부는 수신 공진코일(Rx resonant coil)과 로드 코일(Load coil)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자기공진방식의 안테나는 원형 또는 사각형 도선을 가진 루프 안테나의 형태로 구현된다.
소스코일에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특정한 진동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 자기장이 송신 공진코일에 인가되어 소스코일과 송신 공진코일 간에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이 형성된다. 그리고 송신 공진코일은 같은 공진 주파수를 갖는 수신부의 수신 공진코일과 자기공명결합을 형성하여 전력을 전달한다. 수신 공진코일은 다시 로드 코일과 유도 결합을 형성하여 로드 코일에 전류를 유도하고, 부하(load)에 전류를 전달한다.
자기공진방식의 전력전송 효율은 송신 공진코일과 수신 공진코일의 커플링 계수(Coupling Coefficient, k)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코일의 크기나 코일 간의 거리를 통해 커플링 계수를 조절하여 전송 전력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전이나 열쇠와 같은 금속성의 이물질이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 존재하는 경우 커플링 계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물질로 인해 주파수 매칭이 맞지 않게 되거나 발열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전력전송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외부가 아닌 내부에 무선 전력전송을 방해하는 기생 금속 물질이 있는 경우에도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무선 전력전송을 방해하는 장치 내부의 기생 금속 물질이나 장치 주위의 이물질을 검출하고, 기생 금속 물질이나 이물질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회로, 신호발생회로와 연결되고 검출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소스코일,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가 검출되는 복수의 검출 코일, 복수의 검출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 센서 및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이용해 이물질의 존재를 판단하고, 무선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특징들을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 신호는 다중 주파수 변조신호이고,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계된다.
상기 다중 주파수 변조신호의 변조에 사용되는 복수의 주파수는 복수의 검출 코일이 갖는 각각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하다.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은, 동일 평면 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가 감지되면, 신호의 주기 정보 및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복수의 검출 코일 중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가 나타난 검출 코일을 판단하고, 해당 검출 코일의 주변에 이물질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복수의 검출 코일을 삽입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스코일에 다중 주파수 변조신호를 인가하는 과정, 복수의 검출 코일에 소스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 및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물질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의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 보조권선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무선 충전을 방해하는 요소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기생물질 및 이물질을 검출하여 발열현상을 미리 방지하고, 전송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자기공진방식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를 예시하고, 무선 전력전송 장치 주위에 이물질이 있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이물질을 검출하는데 기능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전송 장치가 이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이물질의 위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충전 장치에서의 표시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이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을 실험한 결과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무선 전력전송 장치 주위에 이물질이 있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전송 장치(1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전력전송 장치(10)는 외부 전원을 인가 받아 무선 전력 신호를 발생시키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한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는 무선으로 수신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하나의 무선 전력전송 장치(10)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은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한다. 이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전송 장치(10)는 소스코일 및 송신 공진코일을 포함하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는 수신 공진코일 및 로드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신 공진코일과 수신 공진코일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고, 송신 공진코일과 수신 공진코일간에 형성된 자기공명결합(magnetic resonant coupling)에 의해 전력 전달이 이루어진다.
도 2과 같이 무선 전력전송 장치(10)가 판 형상인 경우, 무선 전력전송 장치(10)의 상부에 이물질(foreign object)이 위치할 수 있다. 이물질이 동전이나 열쇠와 같은 금속성의 물질일 경우, 주파수 매칭이 맞지 않게 되거나 발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무선 전력전송 장치(10)의 내부에 기생금속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전력전송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물질이나 기생금속물질의 존재에 의하여 무선 전력전송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이물질을 치우도록 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충전을 중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무선 전력전송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기존의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상의 전력전송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이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이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계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무선 전력전송 장치(10)는 신호발생회로(330), 소스코일(320),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 검출 센서(30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외에도, 무선 전력전송 장치(10)는 표시부(340)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기존의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 장치(10)에 추가적으로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 및 검출 센서(300)를 포함한다. 기존의 무선 전력전송 장치(10)에 단순히 보조권선을 삽입하는 것으로, 구현이 간단하고 기존의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신호발생회로(330)는 다중 주파수 변조신호를 발생하여 소스코일(320)에 인가한다. 신호의 변조 방식은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변조에 사용되는 주파수의 수는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의 수와 동일하고, 다중 주파수 변조신호가 갖는 주파수는 각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하다.
소스코일(320)은 신호발생회로(330)로부터 다중 주파수 변조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형성한다. 형성된 자기장이 갖는 공진 주파수는 다중 주파수 변조신호가 갖는 주파수에 해당한다. 소스코일(320)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은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에 커플링된다.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은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도록, 무선 전력전송 장치(10)에서 전력전송이 이루어지는 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검출 코일의 수를 더 많게 하는 경우, 이물질 위치의 검출이 더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계된다.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의 각각의 공진 주파수는 신호발생회로(330)에서 발생된 다중 주파수 변조신호가 갖는 주파수와 동일하다. 각각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에는 다중 주파수 변조신호가 갖는 주파수 중 동조되는 주파수의 신호가 유도된다. 즉, 다중 주파수 변조신호가 f1, f2, …, fn으로 변조되고 검출코일 310a, 310b, …, 310n이 각각 f1, f2, …, fn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경우, 검출코일 310a에는 f1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 검출코일 310b에는 f2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유도되고, 검출코일 310n에는 fn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유도된다.
즉, 기존의 자기공진방식에서 소스코일(320)은 교류 전원을 인가받아 송신 공진코일(미도시)과의 유도 결합을 형성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송신 공진코일과의 유도 결합에 앞서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과의 자기공명결합을 형성한다.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이 갖는 인덕턴스(L) 성분과 커패시턴스(C) 성분을 서로 다르게 하여, 각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이 갖는 공진 주파수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공진 주파수(f)는 회로 내의 인덕턴스(L) 성분 및 커패시턴스(C) 성분에 의해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된다.
Figure pat00001
코일의 인덕턴스 성분과 커패시턴스 성분은 각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길이와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코일을 사용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회로에 있어서 인덕턴스는 코일의 회전 수 등에 의해 결정되고, 커패시턴스는 코일 사이의 간격, 면적 등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파이럴 코일의 경우 도선의 길이에 따라 인덕턴스가 결정되며, 커패시턴스의 경우 도선을 감았을 때 도선과 도선 사이에 생기는 거리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결정된다.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해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이 추가적인 용량성 회로(capacitive circuit)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검출 센서(300)는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에 유도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한다. 기생금속물질 또는 이물질이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 유도되는 전류 또는 전압은 다르게 측정된다. 코일 근처에 이물질이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코일의 인덕턴스가 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공진 주파수 또한 영향을 받아 달라지게 된다. 소스 코일에서 인가되는 주파수는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때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므로 이물질이 위치하는 코일에 유도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이를 이용해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 센서(300)는 이와 같은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한다.
제어부(350)는 검출 센서(300)에서 감지한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를 이용하여 이물질의 존재를 판단한다. 제어부(350)는 기생금속물질 또는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전류 또는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가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임계치는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값을 설정한다. 제어부(350)는 검출 센서(300)에서 감지한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이물질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이물질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전송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어부(350)는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가 감지된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에 따라 이물질의 위치를 판단한다.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에는 각각 다른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유도되므로, 신호의 주기 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검출 코일에서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가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해 이물질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무선 전력전송을 제어한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주위에 존재하는 경우에 송신 공진코일(미도시)과 소스코일이 유도결합을 형성하도록 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 주위에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물질의 검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340)는 이물질의 검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340)는 이물질의 존재를 표시하는 것 외에도 이물질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표시부(340)는 표시화면, 스피커, LED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이물질의 존재 또는 위치를 알릴 수 있다. 표시부(340)의 검출 정보 표시 방식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물질의 검출 정보 외에도 충전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b는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이 서로 같은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계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무선 전력전송 장치(10)는 도 3a에서 설명한 구성 이외에 용량성 회로(360) 및 멀티플렉서/스위치(370)를 더 포함한다. 즉, 무선 전력전송 장치(10)는 신호발생회로(330), 소스코일(320),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 검출 센서(300), 제어부(350), 멀티플렉서/스위치(370) 및 용량성 회로(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신호발생회로(330)는 특정 공진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켜 소스코일(320)에 인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3a에서 설명한 것과 달리 하나의 공진 주파수를 이용해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을 동조시킨다.
소스코일(320)은 신호발생회로(33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형성한다. 형성된 자기장이 갖는 공진 주파수는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이 갖는 공진 주파수와 동일하다.
멀티플렉서/스위치(370)는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과 용량성 회로(360) 사이에 위치하여,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 각각을 선택적으로 용량성 회로(360)와 연결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은 서로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은 특정 주파수로 공진하도록 구성되는 공진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용량성 회로(360)와 연결된다. 복수의 검출 코일을 구분하기 위해 용량성 회로(360)와 연결되는 검출 코일은 멀티플렉서/스위치(37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이 동시에 용량성 회로(360)와 연결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 중 어느 하나의 검출 코일이 용량성 회로(360)와 연결되면, 해당 검출 코일은 이물질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공진 주파수의 신호가 유도된다. 즉, 검출 코일 310a가 용량성 회로(360)에 연결되는 경우, 검출 코일 310a에 공진 주파수의 신호가 유도되고, 다른 검출 코일에는 신호가 유도되지 않는다.
검출 센서(300)는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에 유도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한다. 용량성 회로(360)의 전압을 측정하여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 310n) 중 용량성 회로(360)와 연결된 검출 코일의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기생금속물질 또는 이물질이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 검출 코일에 유도되는 전류 또는 전압은 다르게 측정된다. 검출 센서(300)는 이와 같은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한다. 검출 센서(300)는 복수의 검출 코일과 용량성 회로(360)가 순차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해당 검출 코일의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한다.
제어부(350)는 검출 센서(300)에서 감지한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를 이용하여 이물질의 존재를 판단한다. 제어부(350)는 기생금속물질 또는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전류 또는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가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350)는 검출 센서(300)에서 감지한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이물질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이물질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전송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어부(350)는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가 감지된 검출 코일(310a, 310b, …, 310n)에 따라 이물질의 위치를 판단한다.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가 감지된 경우, 어떤 검출 코일이 용량성 회로(360)와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이물질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무선 전력전송을 제어한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주위에 존재하는 경우에 송신 공진코일(미도시)을 통해 전력을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 주위에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물질의 검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340)는 이물질의 검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340)는 이물질의 존재를 표시하는 것 외에도 이물질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전송 장치가 이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이물질의 위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하나의 소스코일(320) 및 4개의 검출 코일(310a, 310b, 310c, 310d)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소스코일(320)과 검출 코일(320)의 배치는 예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배치는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소스코일(320)과 검출 코일(320)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소스코일(320)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신호발생회로(330)는 다중 주파수 변조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물질 감지에 4개의 검출 코일(310a, 310b, 310c, 310d)이 사용되므로, 신호발생회로(330)에서 발생하는 신호는 f1, f2, f3, f4를 갖도록 변조된다. 신호발생회로(330)는 소스코일(320)과 연결되고 다중 주파수 변조신호를 소스코일(320)에 인가한다.
소스코일(320)은 신호를 인가받아 복수의 주파수를 갖는 자기장을 형성한다. 소스코일(320)은 신호를 인가받아 형성하는 자기장이 4개의 검출 코일(310a, 310b, 310c, 310d) 전부에 걸쳐 방사되도록 배치된다.
검출 코일(310a, 310b, 310c, 310d)은 각각 f1, f2, f3, f4의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계된다. 복수의 검출 코일(310a, 310b, 310c, 310d)이 갖는 인덕턴스 성분과 커패시턴스 성분을 서로 다르게 하여, 각 검출 코일(310a, 310b, 310c, 310d)이 갖는 공진 주파수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검출 코일(310a, 310b, 310c, 310d)의 공진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기 위해 검출 코일(310a, 310b, 310c, 310d)에는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진 용량성 회로(312a, 312b, 312c, 312d)가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검출 코일(310a, 310b, 310c, 310d)은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검출 코일(310a, 310b, 310c, 310d) 각각의 위치가 이물질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도록 무선전력 송신 장치의 한 면을 일정 구간으로 나누어 배치된다. 소스코일(320)이 방사하는 자기장에 의해 검출 코일 310a, 310b, 310c, 310d에는 각 f1, f2, f3, f4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유도된다.
검출 센서(300)는 검출 코일(310a, 310b, 310c, 310d)의 용량성 회로(312a, 312b, 312c, 312d) 양단의 전압을 측정한다. 무선 전력전송 장치(10) 주위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검출 센서(300)에서 측정한 전압이 기준 전압이 된다. 검출 센서(300)에 의해 측정된 전압과 기준 전압과의 차이가 미리 정한 임계치를 넘는 경우, 무선 전력전송 장치 주위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이물질의 위치에 따른 검출 코일(310a, 310b, 310c, 310d)의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10)의 상부에 동전이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5(a)는 장치 외부에서 보았을 때 동전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동전의 위치와 함께 장치 내부의 소스코일(320)과 검출코일(310a, 310b, 310c, 310d)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신호발생회로(330) 및 검출 센서(300)는 도 5에서는 생략되어 있으나, 신호발생회로(330)는 소스코일(320)과 연결되고, 검출 센서(300)는 검출 코일(310a, 310b, 310c, 310d)과 연결되어 동작한다.
소스코일(320)에는 f1, f2, f3, f4로 변조된 신호가 인가되고, 검출 코일(310a, 310b, 310c, 310d)은 각각 f1, f2, f3, f4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다. 무선 전력전송 장치(10) 주위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검출 센서(300)에서 측정한 전압이 기준 전압이 된다.
동전이 a 위치에 있을 때, 동전은 검출 코일 310a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검출 코일 310a에 유도되는 f1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간섭받게 된다. 따라서 검출 센서(300)에서 측정한 전압 중 f1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에서 측정되는 전압에 변화가 나타난다. 동전이 b 위치에 있을 때, 동전은 검출 코일 310b, 310c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경우 검출코일 310b와 310c에 유도되는 f2, f3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크게 간섭 받는다. 따라서 검출 센서(300)에서 측정한 전압 중 f2, f3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에서 측정되는 전압에 동시에 변화가 나타난다.
검출 코일(310a, 310b, 310c, 310d) 중 검출 센서(300)에서 이러한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고, 해당되는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하는 검출 코일(310a, 310b, 310c, 310d)의 주위에 이물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충전 장치에서의 표시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무선충전 수신 장치(20)가 모바일 기기 등 소형 전자제품이고 무선충전 전송 장치(10)의 상부에 동전이 존재하는 경우의 표시부(340)를 예시한 것이고, 도 7은 무선충전 수신 장치(20)가 전기자동차고 무선충전 전송 장치(10)의 상부에 스패너가 존재하는 경우의 표시부(340)를 예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예시적인 것이며 표시부(340)의 이물질 검출 정보 표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부(340)는 복수의 LED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무선충전 송신 장치(10)를 여러 구역으로 나누어 이물질의 위치를 각각의 LED에 대응시켜 표시한다. 이 경우 이물질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출 코일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LED가 사용되며, 각각의 검출 코일의 위치가 LED와 대응된다. 도 6에서 표시부(340)는 4개의 LED를 이용해 구현된다. 동전이 무선충전 송신 장치(10)의 최우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대응되는 최우측의 LED를 통해 동전의 위치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LED를 통해 이물질의 존재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부(340)는 표시화면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무선충전 전송 장치(10)를 여러 구역으로 나누어 표시화면에 이물질의 위치를 표시한다. 검출 코일의 개수 및 배치를 이용하여 표시화면을 분할하여 이물질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서 표시부(340)는 12개의 분할된 화면을 통해 구현된다. 이 경우 검출 코일은 12개가 배치된다. 무선 전력전송 장치(10)는 검출 코일의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해 스패너의 위치를 판단하고, 스패너의 위치를 분할된 화면에 표시한다. 운전자는 표시화면을 통해 이물질의 존재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표시부(340)를 통해 무선충전을 방해하는 요소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충전 전 제거하여 충전 효율을 높이고 발열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이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을 실험한 결과 화면이다.
실험에는 한 개의 소스코일 및 두 개의 검출 코일(A,B)이 이용되었다. 신호발생회로는 FSK의 형태로 신호를 변조하여 6.19 MHz와 6.9 MHz의 신호를 출력한다. 검출 코일A는 6.19 MHz로 동조되고, 검출 코일 B는 6.9 MHz로 동조된다. 이물질로는 100원짜리 동전이 사용되었다.
도 8의 (a)는 검출 코일 A의 정중앙에 동전이 위치하는 경우의 결과 화면이다. 신호발생회로에서 6.19 MHz의 신호가 발생될 때, 검출 코일 A에 약 30 V의 전압이 측정된다. 동전이 검출 코일의 A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전압이 약 2.6 V 변화하였다. 도 8의 (b)는 검출 코일 A의 정중앙에 동전이 위치하는 경우의 결과 화면이다. 신호발생회로에서 6.9 MHz의 신호가 발생될 때, 검출 코일 B에 약 24 V의 전압이 측정된다. 동전이 검출 코일 B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전압이 약 1.8 V 변화하였다. 동전이 검출 코일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 전압 변화폭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코일에 겹쳐서 위치하는 경우에 전압 변화폭이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무선 전력전송 장치 20: 무선 전력 수신 장치

Claims (13)

  1.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회로;
    상기 신호발생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검출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소스코일;
    상기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가 검출되는 복수의 검출 코일;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 센서; 및
    상기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이용해 이물질의 존재를 판단하고, 무선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코일은,
    상기 검출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과 자기공명결합을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 각각에 전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신호는,
    다중 주파수 변조신호이고,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주파수 변조신호의 변조에 사용되는 복수의 주파수는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이 갖는 각각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가 감지되면, 신호의 주기 정보 및 상기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 중 상기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가 나타난 검출 코일을 판단하고, 해당 검출 코일의 주변에 상기 이물질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은,
    용량이 서로 다른 커패시터(capacitor)와 연결되어, 각각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계되고,
    상기 검출 센서는,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에 연결된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은,
    동일 평면 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무선 전력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9.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복수의 검출 코일을 삽입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스코일에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검출 신호를 인가하는 과정;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에 상기 소스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이물질 검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신호는,
    다중 주파수 변조신호이고,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검출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주파수 변조신호의 변조에 사용되는 복수의 주파수는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이 갖는 각각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가 감지되면, 신호의 주기 정보 및 상기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 중 상기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가 나타난 검출 코일을 판단하고, 해당 검출 코일의 주변에 상기 이물질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검출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무선 전력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검출 방법.

KR1020170024413A 2017-02-23 2017-02-23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909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413A KR101909087B1 (ko) 2017-02-23 2017-02-23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413A KR101909087B1 (ko) 2017-02-23 2017-02-23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418A true KR20180097418A (ko) 2018-08-31
KR101909087B1 KR101909087B1 (ko) 2018-10-17

Family

ID=6340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413A KR101909087B1 (ko) 2017-02-23 2017-02-23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0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860A (ko) * 2020-10-30 2022-05-09 (주)에프씨언와이어드 2중 검출 방법이 구비된 무선전력전송의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검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6510B2 (ja) * 2010-09-27 2014-02-26 株式会社東芝 無線電力伝送装置
JP2016103865A (ja) * 2013-03-06 2016-06-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860A (ko) * 2020-10-30 2022-05-09 (주)에프씨언와이어드 2중 검출 방법이 구비된 무선전력전송의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검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087B1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96380B (zh) 感应式功率发射器
EP3278421B1 (en) Inductive power transmitter
KR102423980B1 (ko) 무선 충전 시스템에 대한 물체 검출 및 감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0266119B (zh) 检测设备、电力供应系统以及控制检测设备的方法
US10348139B2 (en) Configurable wireless charging transmit and receive monitoring device
EP2937719B1 (en) Foreign-object detecting device, wireless electric-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wireless electric-power transmission system
US10461564B2 (en) Coil structure for inductive and resonant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and integral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30154386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TWI679827B (zh) 近場通信共存
US10938255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a capacitive sensor
CN103872721A (zh) 无线充电系统的收发排列状态显示方法及装置
US11336119B2 (en) Q-factor determination of coil select
US10326316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with inductance imaging
WO2015050360A1 (ko)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EP3204999A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devices in a vehicle
KR20180081709A (ko) 일차 및 이차 권선 구조체 사이의 상대적 포지션 및/또는 배향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7281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150072137A (ko)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506325B1 (ko) 물체 검출 기능이 있는 무선 전력 시스템
KR101909087B1 (ko)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90125483A (ko) 근거리 통신 및 접근 검출 장치
KR101294481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에 장착되는 터치 패널
JP5694901B2 (ja) 非接触充電器
JP5699960B2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CN210577962U (zh) 异物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