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912A -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912A
KR20180096912A KR1020170023293A KR20170023293A KR20180096912A KR 20180096912 A KR20180096912 A KR 20180096912A KR 1020170023293 A KR1020170023293 A KR 1020170023293A KR 20170023293 A KR20170023293 A KR 20170023293A KR 20180096912 A KR20180096912 A KR 20180096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treatment
work
management program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훈
박치수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도울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도울정보기술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6912A/ko
Publication of KR2018009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표면처리 공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 스케쥴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납기 준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서버; 제공 가능한 다양한 표면처리기법들이 제시되며, 상기 서버에 접속한 관리자 혹은 사용자들이 원하는 표면처리기법, 대상물의 사이즈, 수량, 납기일 등과 같은 조건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프로그램; 상기 관리프로그램과 연동되며, 고객정보가 저장되는 고객데이타베이스; 현재 생산라인의 작업정보 및 일자별 후속 작업정보가 게시되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현장 및 사무실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작업현황디스플레이; 상기 작업현황디스플레이에는 순서에 따라 진행되는 특정 표면처리작업의 시작과 종료를 상기 관리프로그램으로 알려줄 수 있는 확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metal surface treatment}
본 발명은 금속표면처리 공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 스케쥴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납기 준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수많은 제품들이 대량 생산되어 소비자들에게 판매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각종 부품, 기구물, 소비재 등은 금속 아니면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오랜 옛날부터 금속은 다양한 제품 생산에 사용되었으며,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합금이 개발됨으로써 금속의 활용분야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금속으로 제작되는 각종 제품들은 부식을 방지하며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최종단계에서 도장과 같은 표면처리를 하게 된다.
한편, 표면처리기법은 다양하며 제품의 특성이나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한 표면처리기법을 선택 사용하도록 한다.
대표적인 표면처리기법으로는 도금법, 인산염피막, 샌딩, 아연계피막, 도장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된다.
인산염피막 처리는 인산, 아연, 망간 등의 인산용액을 이용하여 금속의 표면에 화학적으로 인산염 피막을 생성시키는 화학 처리를 의미한다.
보다 상세히는 주로 철강의 표면에 불용성 인산염 피막을 만들고 표면의 부식 진행을 억제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부식을 억제하는 표면보호 효과 외에 소성 가공시 금속 비누계 윤활제의 뼈대 처리 용도로도 사용된다.
샌딩은 모래를 이용하여 금속 가공물의 표면을 때려서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영세한 소규모 공장에서는 많은 표면처리기법 중 어느 하나를 전문적으로 시행하지만 대규모의 표면처리 업체에서는 여러 생산라인을 갖춰 다양한 표면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양한 제품들에 대한 각기 다른 표면처리기법을 적용해야 하므로 작업자들도 혼란을 느끼기도 하는 등의 문제로 잘못된 표면처리가 이루어지기도 하고, 생산성이 낮아 납기 준수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 많았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5445호의 "조선산업에서의 통합생산 최적화시스템"이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영업단계부터 인도 및 A/S 단계까지의 모든 활동을 각각 액티비티로 구성하고, 상기 각 액티비티별로 필요한 자원을 연결하며, 상기 모든 액티비티를 선/후행 관계를 가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구성되도록 하되, 모든 데이터가 입력되고 관리되는 통합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통합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되어 개개의 업무를 진행하는 영업부문, 실행예산 부문, 설계부문, 생산부문, 자재부문, 물류부문의 모듈들과; 상기 통합 데이터 베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프로젝트 진행 중에 공정, 예산의 계획 대 실적을 조회하고 문제점을 확인하며 현재 진행사항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종료시의 공기 및 원가를 예측해 보는 프로젝트 종합관리 시스템 모듈과; 상기 통합 데이터 베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사업계획 대 실적과 영업현황에 관한 데이터를 조회하고 사업계획수행 과정중에 발생하는 현안사항 및 조치현황을 입력 관리는 경영자 정보 시스템 모듈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은 조선산업의 전반적인 활동을 통합관리하도록 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미 계획된 내용들을 체크하고 관리하는 것이므로 수시로 오더가 접수되고 납기가 제각각인 표면처리 공장에서 활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5445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품종의 제품과 다양한 표면처리 방법이 이루어지는 표면처리공장에서 누구라도 쉽게 작업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웹상에서 고객이 오더를 입력하면 관리자의 승인으로 납기 조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한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자의 혼선을 예방하도록 함으로써 불량발생을 예방하며, 납기 준수를 통한 고객신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은,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서버; 제공 가능한 다양한 표면처리기법들이 제시되며, 상기 서버에 접속한 관리자 혹은 사용자들이 원하는 표면처리기법, 대상물의 사이즈, 수량, 납기일 등과 같은 조건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프로그램; 상기 관리프로그램과 연동되며, 고객정보가 저장되는 고객데이타베이스; 현재 생산라인의 작업정보 및 일자별 후속 작업정보가 게시되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현장 및 사무실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작업현황디스플레이; 상기 작업현황디스플레이에는 순서에 따라 진행되는 특정 표면처리작업의 시작과 종료를 상기 관리프로그램으로 알려줄 수 있는 확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리프로그램은 납기일에 따라 작업순서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되, 이미 확정된 작업 순서의 조정은 상기 관리자의 승인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밀려오는 오더에 대해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납기준수가 가능하여 고객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납기일에 따라 작업 스케쥴이 제공되므로 누락없이 오더를 처리할 수 있고, 작업의 지연을 방지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은 서버(100), 관리프로그램(200), 고객데이타베이스(300), 작업현황디스플레이(400), 확인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100)는 인터넷(90)으로 연결되며, 웹브라우저를 제공하게 되며, 표면처리를 의뢰하고자 하는 고객들은 웹브라우저로 접속할 수 있다. 웹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고객)나 관리자는 서버(100)와 연동되는 관리프로그램(200)에 로그인할 수 있다.
관리프로그램(200)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입력 후 인증절차를 거쳐야 하며, 서버(100)에는 고객데이타베이스(300)가 구비된다.
고객데이타베이스(300)에는 고객이 회원가입할 때 기본적인 기입하도록 하는 회사의 이름, 전화번호, 팩스번호, 담당자이름, 주생산품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사용자나 관리자가 로그인 후 접속할 수 있는 관리프로그램(200)에는 제공가능한 다양한 표면처리기법들이 제시되며, 바람직하게 각각의 표면처리기법에 대한 설명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각 표면처리기법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누르게 되면 해당 표면처리의 기본적인 특성 및 적용 가능한 대상물의 최대 사이즈 등의 정보가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표면처리 하고자 하는 제품의 오더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당사가 제공하는 인산염피막 처리가 설비의 특성상 가로*세로*높이가 1000*2000*1500(mm)로 상한 사이즈가 제한된다면 사용자는 의뢰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적합성 여부를 사전에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표면처리로 대상물에 대한 표면 처리할 때에는 관리프로그램(200)에서 제공하는 조건입력창(210)을 통해 요구조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조건입력창(210)에는 표면처리기법을 선택하도록 하고, 대상물의 사이즈를 입력하며, 수량의 입력, 납기일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조건입력창(210)에는 그 외 보다 구체적인 조건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고, 메모를 남길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관리프로그램(200)을 통해 관리자가 접속하여 오프라인으로 접수되는 오더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관리자 아이디로 입력하되, 식별가능한 주문자 코드를 입력시켜두어 혼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관리프로그램(200)을 통해 업데이트되는 정보는 생산계획을 보여주는 하나의 스케쥴표로 작업자나 관리자 등이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작업현황디스플레이(400)가 구비되도록 하며, 작업현황디스플레이(400)는 작업 현장이나 사무실에 마련될 수 있고, 현장의 각 생산라인 마다 하나씩의 작업현황디스플레이(400)가 구비되게 한다.
작업현황디스플레이(400)를 통해서는 현재 진행중인 생산라인의 작업정보 및 후속 작업 정보들이 순차적으로 게시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생산라인별로 일자별 생산계획이 스케쥴화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생산라인의 경우 "ABC"라는 주문자의 "커버프레임"이라는 제품에 대한 "인산염피막" 작업이 진행 중이며, 예상 소요시간은 4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 다음 작업에 대한 정보도 동일한 양식으로 제공되며, 이렇게 일자별로 시간순에 따라 생산계획이 일목요연하게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현황디스플레이(400)에는 순서에 따라 진행되는 특정 표면처리작업의 시작과 종료를 상기 관리프로그램(200)으로 알려줄 수 있는 확인부(500)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확인부(50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며, 작업현황디스플레이(400) 자체를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로 사용한다. 어떠한 신규 작업이 시작되면 작업자가 확인부(500)에서 작업개시 버튼을 터치하도록 하며, 개시버튼이 터치되면 개시정보가 관리프로그램(200)으로 전송되어 자동적으로 개시 시간이 등록되고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작업이 종료되면 작업자는 확인부(500)의 작업 종료버튼을 터치하여 해당 작업의 종료를 인식시키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종료시간 등의 정보는 관리프로그램(200)으로 전송되어 등록되고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하나의 작업이 종료되면 후속 배치된 작업이 새로운 현재 작업으로 변경된다. 작업자는 새로 업데이터된 작업현황디스플레이(400)를 보고 시작해야 할 작업을 확인하고 대상물의 입고 여부를 체크한 후 라인에 투입시키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관리프로그램(200)에서는 납기일에 따라 작업순서가 배정되도록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작업순서에 대한 인위적인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들어 긴급한 작업요청이 있는 경우 기존 계획된 작업 스케쥴의 중간에 긴급작업건을 끼워넣을 수 있다. 물론 이때에는 가급적 기존 예정된 작업들의 납기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해야하며, 납기가 넉넉히 남아 있는 건을 후순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업 순서의 조정은 관리자의 승인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도록 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긴급 작업요청이 있는 경우 관리자는 기존 생산계획을 확인하여 긴급건의 중간 삽입이 가능한 경우를 판단하여 기존 스케쥴 중간에 끼워넣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복잡한 생산계획이 필요한 제조 공장 등에서 활용될 수 있다.
100 : 서버
200 : 관리프로그램
210 : 조건입력창
300 : 고객데이타베이스
400 : 작업현황디스플레이
500 : 확인부
90 : 인터넷

Claims (2)

  1.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서버;
    제공 가능한 다양한 표면처리기법들이 제시되며, 상기 서버에 접속한 관리자 혹은 사용자들이 원하는 표면처리기법, 대상물의 사이즈, 수량, 납기일 등과 같은 조건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프로그램;
    상기 관리프로그램과 연동되며, 고객정보가 저장되는 고객데이타베이스;
    현재 생산라인의 작업정보 및 일자별 후속 작업정보가 게시되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현장 및 사무실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작업현황디스플레이;
    상기 작업현황디스플레이에는 순서에 따라 진행되는 특정 표면처리작업의 시작과 종료를 상기 관리프로그램으로 알려줄 수 있는 확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프로그램은 납기일에 따라 작업순서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되, 이미 확정된 작업 순서의 조정은 상기 관리자의 승인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


KR1020170023293A 2017-02-22 2017-02-22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 KR20180096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293A KR20180096912A (ko) 2017-02-22 2017-02-22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293A KR20180096912A (ko) 2017-02-22 2017-02-22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912A true KR20180096912A (ko) 2018-08-30

Family

ID=6345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293A KR20180096912A (ko) 2017-02-22 2017-02-22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69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445A (ko) 2003-05-09 2004-11-1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조선산업에서의 통합생산 최적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445A (ko) 2003-05-09 2004-11-1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조선산업에서의 통합생산 최적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on et al. Dynamic control of construction supply chain to improve labor performance
KR20070100477A (ko) 웹을 통한 실시간 협업 시스템을 통한 제조업의 비즈니스형태의 재구성, 혁신, 가상제조의 구현을 추진하는 웹기반의 협업 방법
Kumar et al. Achieving customer service excellence using Lean Pull Replenishment
AU2019100163A4 (en) Automated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KR20150033847A (ko) 실시간 공장상황을 반영한 디지털 팩토리 생산능력 관리 시스템
Wolniak The concept of operation and production control
KR20210082919A (ko) 고객정보 연계 및 활용에 의한 생산물류 erp 자동화 시스템
Liu et al. Resource-loaded piping spool fabrication scheduling: Material-supply-driven optimization
Ehrenberg et al. Simulation-based optimization in make-to-order production: scheduling for a special-purpose glass manufacturer
Bahroun et al. Determination of dynamic safety stocks for cyclic production schedules
Kapulin et al. Analysis and improvement of production planning within small-batch make-to-order production
Batra et al. Study of lean production system using value stream mapping in manufacturing sector and subsequent implementation in tool room
KR20120075567A (ko) 생산 관리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생산관리 시스템
Wibowo et al. Implementation of Lean Concept in Start-up Engineering Service Provider
Straka et al. Model of unique material flow in context with layout of manufacturing facilities
KR20180096912A (ko) 금속표면처리 공정관리 시스템
Vitliemov Features in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production process in manufacturing industry using integrated information technologies solutions
JP6107712B2 (ja) 作業計画表示システム
JP7373462B2 (ja) 合鍵製作システム
WO2021049299A1 (ja)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TWI784311B (zh) 管理裝置、管理系統、及管理程式
TL et al. Case studies in implementing dynamic production planning and scheduling system in make-to-order high-mix-low-volume small and medium-scaled industries for production efficiency
Guðmundsdóttir Production scheduling in a campaign based flexible flow shop
Bragin et al. Toward Robust Manufacturing Scheduling: Stochastic Job-Shop Scheduling
Kadam Application of Lean in High-Mix Low-Volume Production Systems: A Case Study in the Architectural Lighting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