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220A - 멀티 모드 가방 및 그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모드 가방 및 그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220A
KR20180096220A KR1020170022642A KR20170022642A KR20180096220A KR 20180096220 A KR20180096220 A KR 20180096220A KR 1020170022642 A KR1020170022642 A KR 1020170022642A KR 20170022642 A KR20170022642 A KR 20170022642A KR 20180096220 A KR20180096220 A KR 20180096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bag
handle
bag bod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성
Original Assignee
이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성 filed Critical 이대성
Priority to KR1020170022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6220A/ko
Publication of KR2018009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86Flexible luggage; Hand bag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4Packaging single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 C23C16/301AIII BV compounds, where A is Al, Ga, In or Tl and B is N, P, As, Sb or Bi
    • C23C16/303Nit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4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f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4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f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 C23C28/042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f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including a refractory ceramic layer, e.g. refractory metal oxides, ZrO2, rare earth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 C23C8/08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only one element being applied
    • C23C8/24Nitri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멀티 모드 가방 및 그 포장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중, 멀티 모드 가방은 가방 본체; 상기 가방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가방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우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방 본체의 일면 및 이면의 상부에 수평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수평스트랩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평스트랩의 소정부위에는 상기 손잡이가 관통되는 상하 개구된 수직관통부가 형성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방 본체의 관통부 하측에 수직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수직스트랩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스트랩의 상단에는 수직스트랩을 U자형으로 밴딩한 고리부가 형성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스트랩의 소정 부위에 상기 파우치에 구비되는 몰리타이가 수평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수평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제1, 2 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제1, 2 손잡이는 그 양단에 금속제의 버클이 버클웨빙에 의해 밴딩 결합되되, 상기 버클은 그 중앙부위에 상기 버클웨빙이 밴딩되는 웨빙 밴딩부가 마련되고, 말단에는 상기 고리부에 걸림되는 일측 개방형의 걸이부가 마련되며, 상기 걸이부의 단부에는 고리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모드 가방 및 그 포장방법{Multimode bag and its packaging method}
본 발명은 멀티 모드 가방 및 그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방 본체와 이에 부설되는 예컨대 손잡이, 파우치 등을 착탈 가능하도록 개선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 및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신이 가능한 멀티 모드 가방과, 상기한 가방을 손잡이가 없는 포장박스에 포장하기 위한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용도에 따라 디자인 및 재질에 차이가 있으며, 각 가방은 한 가지 용도로 효율적으로 쓸 수 있도록 수납되는 물건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 크기와 디자인이 달라진다.
가방은 모양과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숄더백, 클러치, 백팩, 서류 가방, 캐리어 등으로 구분된다. 즉, 가방 내부에 수납되는 물건의 크기나 양에 따라 다른 종류의 가방이 사용된다. 예컨대 장기간 여행을 떠날 때는 수납할 물건이 많아져 일반적인 용량의 가방을 사용하기 곤란하므로 여행을 위하여 특별히 크게 제작된 여행용 가방을 사용한다.
그러나, 가방의 종류 특히 여성용 가방의 종류는 가방 내부에 수납하는 물건의 크기나 양이 크게 다르지 않은 경우에도 가방을 매고 가는 장소에 따라 다르게 선택되기도 한다.
예컨대 핸드폰, 화장품, 지갑과 같은 일상적인 소지품만을 수납하는 경우에도, 학교나 학원에 갈 때는 배낭형 가방을 사용하고, 회사에 출근할 때는 핸드백 형태의 가방을 사용하며, 마트나 시장에 갈 때는 쇼핑백 형태의 가방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용도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가방을 구비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여러 용도에 대응 가능한 가방이 있다면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가방은 물건을 수납하는 본래 용도에 머물지 않고 개성을 표출하는 패션 소품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수납부와 손잡이 또는 어깨걸이가 조합된 일률적인 형상에서 탈피하여 여러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가방이 있다면 자신만의 개성을 표출하는 수단으로서 유용할 것이다.
아울러, 손잡이가 있는 가방의 경우, 가방을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면 접촉시간이 많은 손잡이 부위가 먼저 손상되거나 오염되고, 특히 손잡이와 가방 몸체의 재봉된 부분이 뜯어지는 문제점이 흔히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가방을 폐기하는 경우가 많아서 경제적으로 낭비가 될 수 있고, 버리지 않고 계속 사용하려면 수선해서 사용해야 하지만 손잡이가 손상된 경우는 이를 대체하기 위한 손잡이를 구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가방은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수납포켓이 가방 본체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이를 임의로 제거할 수 없고, 수납포켓을 추가적으로 부가할 수도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켓이 많은 가방과 포켓이 적은 가방 등 용도에 맞는 가방을 여러 개 보유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문헌 1 :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2856호 문헌 2 :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736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가방 본체와 이에 부설되는 예컨대 손잡이, 파우치 등을 착탈 가능하도록 개선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 및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신이 가능한 멀티 모드 가방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멀티 모드 가방의 포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방 본체; 상기 가방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가방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우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방 본체의 일면 및 이면의 상부에 수평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수평스트랩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평스트랩의 소정부위에는 상기 손잡이가 관통되는 상하 개구된 수직관통부가 형성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방 본체의 관통부 하측에 수직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수직스트랩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스트랩의 상단에는 수직스트랩을 U자형으로 밴딩한 고리부가 형성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스트랩의 소정 부위에 상기 파우치에 구비되는 몰리타이가 수평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수평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제1, 2 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제1, 2 손잡이는 그 양단에 금속제의 버클이 버클웨빙에 의해 밴딩 결합되되, 상기 버클은 그 중앙부위에 상기 버클웨빙이 밴딩되는 웨빙 밴딩부가 마련되고, 말단에는 상기 고리부에 걸림되는 일측 개방형의 걸이부가 마련되며, 상기 걸이부의 단부에는 고리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 모드 가방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방 본체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75∼85중량%와 합성수지용 첨가제 15~2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합성수지 20∼80중량%, 생물분해제 1∼10중량%, 생물분해촉진제 0.008∼1.2중량%, 분해촉진제 10∼75중량%, 광민제 0.001∼0.5중량%, 광민촉진제 0.01∼3중량%, 자양화제 0.01∼1중량%, 증수제 0.03∼2중량%, 분해공제제 0.001∼1중량% 및 비닐친수제 1∼18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수지용 첨가제는 필러 70~90중량%, 무수말레인산 결합제 1~3중량%, 왁스 1~3중량%, 아연계 열적안정제 0.5~1중량%, 염소화 폴리에틸렌 1~5중량%, 핫멜트 접착제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3중량%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5~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클은 금속모재를 질소가스, 암모니아 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 가스로 구성되는 질화 가스로 500~6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모재 표면을 질화처리하여, 상기 모재 표면에 질화층을 형성하고, 상기 질화층이 형성된 금속모재를, 회전 가능한 챔버 내부에 장입하고, 상기챔버 내부로 할로겐화금속 촉매와 금속 분말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상기 챔버 내부를 800~1100℃까지 승온한 후, 상기 챔버를 회전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금속모재 표면에 고경도 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코팅층은, 상기 챔버 내 투입된 할로겐화금속 촉매의 촉매작용으로 상기 금속모재 표면의 질화층과 상기 금속분말이 반응함으로써 상기 모재표면에 금속질화물이 증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할로겐화금속 촉매 및 금속 분말은 상기 모재를 이루는 금속과 동종의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분말은, Fe, Nb, Cr 및 V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금속 분말 또는 2종 이상의 합금 분말이며; 상기 할로겐화금속 촉매는, Fe, Nb, Cr 및 V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과 F, Cl, Br 및 I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할로겐 원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멀티 모드 가방을 포장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1, 2 손잡이의 각 단부를 가방 본체의 관통부를 통과시킨 후, 제1, 2 손잡이의 말단에 마련된 버클의 걸이부를 상기 가방 본체의 고리부에 걸어 고정하여, 각 손잡이를 결착하는 단계; 상기 손잡이가 결착된 멀티 모드 가방을 사각박스 형태의 포장박스에 수납하는 단계;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에 절취편을 절취 제거하여 절취편에 해당되는 크기의 개봉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개봉부를 통해 그 내부에 수납된 멀티 모드 가방의 손잡이를 외부로 인출하는 단계;로 구성하여, 상기 포장박스의 외부로 인출된 손잡이를 포장박스의 손잡이로 활용하는 멀티 모드 가방의 포장방법이 제공된다.
과제의 해결수단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칼라의 손잡이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손잡이가 손상되었을 때 손잡이만을 분리하여 새로운 손잡이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면도 고려될 수 있다.
아울러, 손잡이가 없는 포장박스에 본 발명의 가방을 포장하였을 때는 포장박스에 형성된 개봉부를 통해 손잡이를 노출시켜서 포장박스의 손잡이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모드 가방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모드 가방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의 결합상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손잡이 노출전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손잡이 노출 후의 상태도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모드 가방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모드 가방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및 2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모드 가방(100)은 가방 본체(110), 상기 가방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120) 및 상기 가방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우치(130)를 포함한다.
가방 본체(11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항시 개구된 형태 또는 상부에 파스너가 있어서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형태 또는 백팩 등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상부가 개구된 형태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방 본체(110)는 그 일면 및 이면의 상부에 수평스트랩(111)이 재봉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스트랩(111)의 소정부위에는 수평재봉 하지 않은 한 쌍의 미재봉부가 마련되되, 이 미재봉부의 양단은 수직재봉(111b)하여 상하부가 개구된 수직관통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수직관통부(111a)는 상기 손잡이(120)의 단부가 관통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손잡이(120)가 수직관통부(111a)를 통과하게 조립되면 손잡이(120)가 수평스트랩(111)에 의해 하부가 지지됨으로써 불필요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손잡이(12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손잡이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방 본체(110)의 관통부(111a) 하측에는 수직스트랩(112)이 재봉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수직스트랩(112)의 상단에는 수직스트랩(112)을 U자형으로 밴딩한 고리부(112a)가 마련되는데, 상기 고리부(112a)는 상기 손잡이(120)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손잡이(120)와의 결합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방 본체(110)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수직스트랩(112)의 연장선상에 상기 파우치(130)에 구비되는 몰리타이(132)가 관통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관통부(112b)가 형성된다.
여기서, 파우치(130)는 필요에 따라 상기 가방 본체(110)에 착탈하여 사용되는 일종의 수납포켓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130)의 배면에는 적어도 2줄 이상의 수직스트랩(131)이 구성되고, 상기 수직스트랩(13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관통부(131a)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스트랩(131)의 일측에는 상기 몰리타이(132)의 일단부가 재봉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130)의 몰리타이(132)의 일단부가 결합된 반대쪽에는 숫단추(133)가 구비되고, 상기 몰리타이(132)의 타단부에는 암단추(134)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파우치(130)를 가방 본체(110)에 결합할 때는 몰리타이(132)를 가방 본체의 수평관통부(112b)와 파우치(130)의 수평관통부(131a)를 순차적으로 관통시킨 후, 몰리타이(132)의 암단추(134)를 파우치(130)의 숫단추(133)에 똑딱 결합하면 결합이 완료된다. 반면, 분해시에는 위 순서를 반대로 행하면 손쉽게 탈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방 본체(110)는 합성수지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로 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은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75∼85중량%와 합성수지용 첨가제 15~2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이란, 합성수지 20∼80중량%, 생물분해제 1∼10중량%, 생물분해촉진제 0.008∼1.2중량%, 분해촉진제 10∼75중량%, 광민제 0.001∼0.5중량%, 광민촉진제 0.01∼3중량%, 자양화제 0.01∼1중량%, 증수제 0.03∼2중량%, 분해공제제 0.001∼1중량% 및 비닐친수제 1∼18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피브이씨, 에이비에스,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테레프탈산 폴리에스테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및 에틸렌 아크릴릭 에시드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생물분해제는 옥수수전분, 목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밀전분, 두류전분, 옥수수개성전분, 목수개성전분, 감자개성전분, 고가무개성전분, 밀개성전분 및 두류개성전분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그리고 상기 생물분해촉진제는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의 유도체, 폴리카프로락톤, 하이드로락톤, 하이드로포빈, 폴리락티드, 알긴산, 펙틴, 한천, 소디움 트리폴리포시페이트, 디메틸아민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분해촉진제는 탄산칼슘, 탈크 및 엽락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며, 상기 광민제는 코발트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2,4-펜탄디온의 금속화합물, 2,4- 펜탄디온의 금속복합물, 디티오카바메이트의 복합물, N-터트-부틸벤조시아졸-2-술펀아미드의 복합물, 벤조페논, 벤조페논의 유도체 및 할로겐 요소화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그리고 상기 광민촉진
제는 스테아린산염이며, 상기 자양화제는 유기산으로서, 라우린산, 올레인산, 시트르산, 팔미트산, 베헨산, 호박산, 사과산, 주석산, 말레산 및 푸마르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증수제는 글리세린, 알킬올아미드, 실물유, 디에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솔비톨 및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며, 상기 분해공제제는 살리실산, 살리실산 유도체, 벤조페논, 벤조페논 유도체, 벤조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트리아진, 트리아진유도체, 유기니켈 복합물, 하이드록시벤젠, 암모니아류, 티오산 및 아인산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비닐친수제는 폴리에틸렌알콜이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용 첨가제는 목분, 탄산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되는 필러 70~90중량%, 무수말레인산 결합제 1~3중량%, 왁스 1~3중량%, 아연계 열적안정제 0.5~1중량%, 염소화 폴리에틸렌 1~5중량%, 핫멜트 접착제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3중량%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5~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필러로서 사용되는 탄산칼슘은 종래 플라스틱의 첨가제로서 많이 사용되었으나, 탄산칼슘은 광물질로 합성수지와의 결합시 합성수지의 물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다량의 첨가가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산칼슘과 함께 무수말레인산계 결합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 아연계 열적안정제, 염소화 폴리에틸렌, 핫멜트 접착제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혼련하여 첨가제를 제조하기 때문에, 탄산칼슘을 다량 사용하더라도 합성수지의 물성을 떨어뜨리지 않게 된다.
또한, 다른 하나의 필러인 목분은 땅에 매립시 쉽게 분해되는 물질로서, 분해성 플라스틱, 즉 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재료이다. 따라서 친환경의 합성수지용 첨가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라면, 탄산칼슘이 아닌 목분을 단독으로 필러로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목분은 500매쉬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데, 목분의 입자가 너무 크면 제품의 생산이 용이하지 않고, 제품의 물성 저하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필러로서 사용되는 목분과 탄산칼슘은 모두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같은 중량을 사용하더라도 기타의 필러와 대비할 경우, 부피가 큰 합성수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중량의 원료로서 멀칭 비닐을 생산할 경우, 더 많은 량의 멀칭 비닐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합성수지 제품의 생산량을 최대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필러는 70~90중량% 만큼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무수말레인산계 결합제는 첨가제 내의 각 원료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1~3중량%의 범위 내에서 포함된다. 그 이유는 상기 무수말레인산계 결합제가 1중량% 미만이 되면 결합제로서의 역할이 미미하게 되고, 3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오히려 합성수지 제품의 물성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상기 왁스는 합성수지의 원료에 따라 그 종류를 결정하는 데, 합성수지가 폴리프로필렌일(PP) 경우 왁스도 PP왁스를 사용하고, 합성수지의 원료가 폴리에틸렌(PE)일 경우 왁스도 PE 왁스를 사용한다. 상기 왁스는 압출 성형시 기기에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1~3중량%의 범위 내에서 포함된다. 그 이유는 상기 왁스가 1중량% 미만이 되면 압출기기가 압출 성형시 큰 부담을 받게 되고, 3중량%를 초과하면 활성이 커져서 폴리머들이 서로 엉기지 못하고 제품이 쉽게 부서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아연계 열적안정제는 생산되는 합성수지 제품의 치수 안정성과 균일성을 가지게 하는 확산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연계 열적안정제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 데, 예를 들면 징크라우레이트(Zinc Laur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연계 열적안정제는 0.5~1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바, 상기 아연계 열적안정제가 0.5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1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수지들이 서로 엉기지 못해 합성수지 제품이 쉽게 부서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염소화 폴리에틸렌(Chlorinated Polyethylene, CPE)은 플라스틱과 고무의 특성을 겸비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충격보강제로 사용되어 첨가제를 첨가하더라도 합성수지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CPE는 1~5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바, 그 사용량이 1중량%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게되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 가격이 비싸 제품 원가가 상승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는 첨가제 제품의 압출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첨가제의 가공 온도(압출 온도)가 낮을수록 단위 시간당 가공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제품의 최종 원가를 낮춰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압출 온도를 낮춰 제품 불량률을 줄임으로써, 생산 원가를 더욱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 또는 EVA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압출 온도(180~210℃) 보다 20℃ 이상 압출 온도를 낮출 수 있는 데, 그 이유는 핫멜트 접착제 또는 EVA는 사용되는 광물질과 폴리머보다 분자량이 낮기 때문에, 압출을 하게 되면 분자량이 낮은 원료인 핫멜트 접착제나 EVA가 제품의 표면으로 몰리게 되고, 접착성이 우수한 핫멜트 접착제나 EVA로 인해 압출 온도를 낮추더라도 타 원료가 결합될 때 그 결합력이 우수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 또는 EVA는 1~3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데, 그 사용량이 1중량% 미만이면 압출 온도를 낮추기 어렵고, 3중량%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 압출 온도를 낮출 수 없으므로, 상기한 범위 내에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핫멜트 접착제는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데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어떠한 종류의 핫멜트 접착제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핫멜트 접착제로는 요소수지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은 합성수지 제품의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과의 혼합 시 접착제 역할을 하게되는 주제로서, 그 사용량은 5~15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사용량이 5중량% 미만이 되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과의 혼합이 어려워 합성수지 제품의 물성이 좋지 못할 수 있고, 15중량%를 초과할 경우 물성은 좋아지나 가격이 고가이므로 제품 원가에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필러, 무수말레인산계 결합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 아연계 열적안정제, 염소화 폴리에틸렌, 핫멜트 접착제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용 첨가제에 스테아린산, 파라핀 왁스 및 폴리 왁스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이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스테아린산, 파라핀 왁스 및 폴리 왁스는 압출기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추가로 혼합되는 스테아린산, 파라핀 왁스, 폴리 왁스 등은 그 총 사용량이 0.5~1.5중량%의 범위임이 바람직한 바, 이는 제품의 물성 등을 고려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합성수지용 첨가제를 구성하는 조성물인 필러, 무수말레인산계 결합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 아연계 열적안정제, 염소화 폴리에틸렌, 핫멜트 접착제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스테아린산, 파라핀 왁스, 폴리 왁스 등은 모두 분말 또는 과립형의 결정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용 첨가제는 합성수지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에 비하여 그 가격이 1/2 정도이고, 원료의 단위 부피당 중량이 2/3에 그치기 때문에, 동일한 중량으로 더 큰 합성수지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높은 가격경쟁력을 갖는 합성수지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용 첨가제 15~25중량%가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75~85중량%와 혼합되기 때문에,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합성수지용 첨가제의 혼합비를 15~25중량%로 하는 이유는, 상기 첨가제가 15중량% 미만이 되면 제조 원가를 대폭 낮출 수 없고, 25중량%를 초과하면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함량이 적어져 물과 이산화탄소로의 완전분해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필러로서 자연분해가 가능한 목분을 사용한다면, 상기 합성수지용 첨가제를 복합분해성 수지 조성물과 1:1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손잡이(120)는 도 1에서와 같이, 제1, 2 손잡이(121,122)로 구성되며, 상기 제1, 2 손잡이(121,122)는 그 양단에 금속제의 버클(123)이 버클웨빙(124)에 의해 밴딩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버클(123)은 그 중앙부위에 상기 버클웨빙(124)이 밴딩되는 웨빙 밴딩부(123a)가 마련되고, 말단에는 상기 가방 본체(110)에 마련된 고리부(112a)에 걸림되는 일측 개방형의 걸이부(123b)가 마련되며, 상기 걸이부(123b)의 단부에는 고리부(112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123c)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버클(123)은 경도 보강을 위해 다음과 같이 코팅처리할 수 있다.
즉, 버클의 금속모재를 질소가스, 암모니아 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 가스로 구성되는 질화 가스로 500~6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상기 모재 표면을 질화처리한다. 상기 질화처리된 금속모재를 회전 가능한 챔버 내부에 장입하고, 상기 챔버 내부로 할로겐화금속 촉매와 금속분말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상기 챔버 내부를 800~1100℃까지 승온한 후, 상기 챔버를 회전시켜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모재의 표면에 금속질화물을 증착시켜 코팅한다.
상기 질화처리는 금속모재를 질소가스, 암모니아 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 가스로 구성되는 질화 가스로 500~6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로서, 일정온도로 유지되는 반응로 내부에서 일정시간 금속부품을 체류시켜 침질작용이 일어나도록 하여 최표면에 Fe2~3N(ε-phase)의 질화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질화처리에 의하여 상기 금속모재의 표면에 질소만을 침투확산시켜 침질작용을 일으킴으로서 열처리 전 후의 치수 변화가 거의 없으면서, 내마모성 또는 내피로 특성을 부여하여 금속모재의 표면을 개질할 수 있게 되어 실질적인 표면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질화처리의 시간은 1∼20시간으로 하여 상기 질소가 확산된 질화층의 두께를 2∼50㎛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질화처리를 실시하는 로는 연속로, 유동상로, 피트형로 및 올케이스 로(Sealed Quench Furnace) 등의 어느 1종으로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화처리된 금속모재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직업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고압의 물을 모재 표면에 분사하여 표면 산화물,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워터 제트(water jet)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코팅작업은, 상기 질화처리된 금속모재를 회전 가능한 챔버 내부에 장입하고, 상기 챔버 내부로 할로겐화금속 촉매와 금속분말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상기 챔버 내부를 800~1100℃까지 승온한 후, 상기 챔버를 회전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모재의 표면에 금속질화물을 증착시켜 코팅하는 단계로, 이와 같은 코팅작업에 의하여 금속모재의 표면에 고경도의 금속질화물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코팅작업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챔버를 이용하여 챔버를 회전시킴으로써 금속부품과 원료 분말과의 접촉을 더욱 균일하게 시킴으로서 더욱 균질한 코팅층을 생성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질화물 코팅층이 형성되는 반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술한 질화처리 단계에서 암모니아가스가 분해되면서 활성화된 질소를 금속부품 모재로 확산시켜 표면부에 질화층 Fe2~3N(ε phase) 및 Fe4N(γ' phase)을 형성시켜 경화하게 된다.
2NH3 ↔ 3H2 + 2[N]
다음으로 할로겐화금속 촉매와 금속분말이 보호가스 분위기 하에서 금속부품 모재와 반응하여 챔버 내에서 금속 질화물 코팅층이 생성된다. 그 반응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eV + Cl2 ⇒ VCl2 + Fe,
VCl2 + V + [N] ⇒ VN + Cl2,
FeNb + Cl2 ⇒ NbCl2 + Nb
NbCl2 + Nb + [N] ⇒ NbN + Cl2
즉, 상기 금속분말은 할로겐화금속 촉매의 촉매작용과 함께 상기 금속모재와 반응함으로써 금속부품의 표면에 FeN, NbN, CrN, VN 등의 미세하고 견고한 질화물을 형성시켜 고경도 표면 코팅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코팅단계에 있어서 상기 모재의 표면에 금속질화물을 증착시키는 반응시간은 3~9시간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증착이 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반응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표면의 경도 및 질화코팅층의 두께가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화금속 촉매 및 금속 분말은 1: 1-5의 중량비로 투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할로겐화금속 촉매 및 금속분말은, 상기 금속모재를 이루는 금속과 동종의 금속을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동종의 금속을 포함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할로겐화금속 촉매와 질소가스가 반응하여 금속질화물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보다 견고한 질화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분말은, Fe, Nb, Cr 및 V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금속 분말 또는 2종 이상의 합금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FeV 또는 FeNb이다.
또한, 상기 할로겐화금속 촉매는 Fe, Nb, Cr 및 V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과 F, Cl, Br 및 I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할로겐 원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촉매로서 염화물 특히, FeCl2를 사용하고, 염화암모늄, 염화 니오븀 및 염화 바나듐 또한 특별히 유용한 형태이다.
또 한편, 상기한 멀티 모드 가방은 다음과 같이 포장할 수 있다(도 4 및 5를 참조한다).
먼저, 상기 제1, 2 손잡이(121,122)의 각 단부를 가방 본체(110)의 수직관통부(111a)를 통과시킨 후, 제1, 2 손잡이(121,122)의 말단에 마련된 버클(123)의 걸이부(123b)를 상기 가방 본체(110)의 고리부(112a)에 걸어 고정하여, 각 손잡이를 결착한다. 그러면, 가방 본체(110)에 손잡이(120)가 결속된 상태가 된다.
다음, 상기 손잡이(120)가 결착된 멀티 모드 가방을 사각박스 형태의 포장박스(200)에 수납한다. 여기서, 포장박스(200)는 골판지를 절곡하여 만들어 진 것으로, 일측을 개방하여 멀티 모드 가방을 수납한 후, 밀봉한다.
다음, 상기 포장박스(200)의 상부에 절취편(210)을 절취 제거하여, 이 절취편(210)에 해당되는 크기의 개봉부(220)를 마련한다. 즉, 상기 절취편(210)은 절취선(211)에 의해 절취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별도의 도구 없이도 절취가 가능하다.
다음, 상기 개봉부(220)를 통해 그 내부에 수납된 멀티 모드 가방의 손잡이(120)를 외부로 인출한다. 이렇게 인출된 손잡이(120)는 포장박스(200)의 손잡이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포장박스에 별도의 손잡이가 없이도 용이하게 들고 다닐 수 있게 된다. 통상의 포장박스의 손잡이는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되므로 재활용시 손잡이를 분리해야만 하는데, 본원의 경우는 포장박스에 별도의 손잡이가 없으므로 재활용에도 용이한 측면이 있다.
한편, 손잡이(120)에는 호흡기계 질환치료 등의 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헬리크라이섬 오일(Helichrysum oil) 50중량%, 패치올리 오일(Patchouli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기능성 오일 중 헬리크라이섬 오일(helichrysum oil)은 주 화학요소로는 nerol, geraniol, linalol 등을 들 수 있으며 항균, 항박테리아, 방부, 항알러지, 항염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패치올리 오일(Patchouli oil)오일은 주 화학성분으로는 patchoulene, eugenol, carvone 등을 들 수 있으며 살균, 방부, 항울, 피부 염증 치료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손잡이(120)에 코팅됨에 따라, 사용자의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멀티 모드 가방 110 : 가방 본체
111 : 수평 스트랩 111a : 수직관통부
112 : 수직 스트랩 112a : 고리부
120 : 손잡이 121 : 제1 손잡이
122 : 제2 손잡이 123 : 버클
130 : 파우치 131 : 수직 스트랩
132 : 몰리타이 133 : 숫단추
134 : 암단추 200 : 포장박스
210 : 절취편 220 : 개봉부

Claims (4)

  1. 가방 본체(110);
    상기 가방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120); 및
    상기 가방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우치(130);를 포함하며,
    상기 가방 본체(110)의 일면 및 이면의 상부에 수평재봉(111b)에 의해 결합되는 수평스트랩(111)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평스트랩(111)의 소정부위에는 상기 손잡이(120)가 관통되는 상하 개구된 수직관통부(111a)가 형성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방 본체(110)의 수직관통부(111a) 하측에 수직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수직스트랩(112)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스트랩(112)의 상단에는 수직스트랩을 U자형으로 밴딩한 고리부(112a)가 형성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스트랩(112)의 소정 부위에 상기 파우치(130)에 구비되는 몰리타이(132)가 수평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수평관통부(131a)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120)는 제1, 2 손잡이(121,122)로 구성되며, 상기 제1, 2 손잡이는 그 양단에 금속제의 버클(123)이 버클웨빙(124)에 의해 밴딩 결합되되, 상기 버클(123)은 그 중앙부위에 상기 버클웨빙(124)이 밴딩되는 웨빙 밴딩부(123a)가 마련되고, 말단에는 상기 고리부(112a)에 걸림되는 일측 개방형의 걸이부(123b)가 마련되며, 상기 걸이부(123b)의 단부에는 고리부(112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123c)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 모드 가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방 본체(110)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75∼85중량%와 합성수지용 첨가제 15~2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합성수지 20∼80중량%, 생물분해제 1∼10중량%, 생물분해촉진제 0.008∼1.2중량%, 분해촉진제 10∼75중량%, 광민제 0.001∼0.5중량%, 광민촉진제 0.01∼3중량%, 자양화제 0.01∼1중량%, 증수제 0.03∼2중량%, 분해공제제 0.001∼1중량% 및 비닐친수제 1∼18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수지용 첨가제는 필러 70~90중량%, 무수말레인산 결합제 1~3중량%, 왁스 1~3중량%, 아연계 열적안정제 0.5~1중량%, 염소화 폴리에틸렌 1~5중량%, 핫멜트 접착제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3중량%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5~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멀티 모드 가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클(123)은 금속모재를 질소가스, 암모니아 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 가스로 구성되는 질화 가스로 500~6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모재 표면을 질화처리하여, 상기 모재 표면에 질화층을 형성하고,
    상기 질화층이 형성된 금속모재를, 회전 가능한 챔버 내부에 장입하고, 상기챔버 내부로 할로겐화금속 촉매와 금속 분말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상기 챔버 내부를 800~1100℃까지 승온한 후, 상기 챔버를 회전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금속모재 표면에 고경도 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코팅층은, 상기 챔버 내 투입된 할로겐화금속 촉매의 촉매작용으로 상기 금속모재 표면의 질화층과 상기 금속분말이 반응함으로써 상기 모재표면에 금속질화물이 증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할로겐화금속 촉매 및 금속 분말은 상기 모재를 이루는 금속과 동종의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분말은, Fe, Nb, Cr 및 V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금속 분말 또는 2종 이상의 합금 분말이며; 상기 할로겐화금속 촉매는, Fe, Nb, Cr 및 V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과 F, Cl, Br 및 I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할로겐 원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가방.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멀티 모드 가방을 포장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1, 2 손잡이(121,122)의 각 단부를 가방 본체(110)의 수직관통부(111a)를 통과시킨 후, 제1, 2 손잡이(121,122)의 말단에 마련된 버클(123)의 걸이부(123b)를 상기 가방 본체(110)의 고리부(112a)에 걸어 고정하여, 각 손잡이를 결착하는 단계;
    상기 제1, 2 손잡이(121,122)가 결착된 멀티 모드 가방(100)을 사각박스 형태의 포장박스(200)에 수납하는 단계;
    상기 포장박스(200)의 상부에 절취편(210)을 절취 제거하여 절취편에 해당되는 크기의 개봉부(220)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개봉부(220)를 통해 그 내부에 수납된 멀티 모드 가방(100)의 제1, 2 손잡이(121,122)를 외부로 인출하는 단계;로 구성하여, 상기 포장박스(200)의 외부로 인출된 제1, 2 손잡이(121,122)를 포장박스의 손잡이로 활용하는 멀티 모드 가방의 포장방법.
KR1020170022642A 2017-02-21 2017-02-21 멀티 모드 가방 및 그 포장방법 KR20180096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642A KR20180096220A (ko) 2017-02-21 2017-02-21 멀티 모드 가방 및 그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642A KR20180096220A (ko) 2017-02-21 2017-02-21 멀티 모드 가방 및 그 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220A true KR20180096220A (ko) 2018-08-29

Family

ID=6343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642A KR20180096220A (ko) 2017-02-21 2017-02-21 멀티 모드 가방 및 그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62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622B1 (ko) 2020-12-01 2022-03-25 김지훈 스트랩 탈부착형 가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63Y1 (ko) 2011-10-31 2013-06-10 (주)아모레퍼시픽 탈부착할 수 있는 가방
JP2014092856A (ja) 2012-11-01 2014-05-19 Denso Corp 車両位置情報通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63Y1 (ko) 2011-10-31 2013-06-10 (주)아모레퍼시픽 탈부착할 수 있는 가방
JP2014092856A (ja) 2012-11-01 2014-05-19 Denso Corp 車両位置情報通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622B1 (ko) 2020-12-01 2022-03-25 김지훈 스트랩 탈부착형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9658A (en) Backpack having detachable infant changing pad
KR20180096220A (ko) 멀티 모드 가방 및 그 포장방법
US7303076B2 (en) Fruit conformable resiliently compressible force absorption system
US8479958B1 (en) Carrying bag
KR960701817A (ko) 가스 발생제 조성물, 그의 제제화 방법 및 수송 방법(gas generator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tablet therefrom, and transportation method)
US20180110343A1 (en) Less toxic mattress
US20200000194A1 (en) Reusable totebag bracelet
EP2113466B1 (en) Method of making a tube of antibacterial plastic material
WO2006015303A3 (en) Strong, flexible suture material
US1296421A (en) Tool-bag.
CN102015477A (zh) 具有可降解、可生物降解和/或可沤烂的涂层的封闭袋子的构件
WO2013088459A1 (en) Bag configurable through belt and loop system
US4434921A (en) Handbag and belt carrier
CN211168047U (zh) 一种新型可背负的编织袋
Otieno et al. Synthesis and X-ray characterization of a polymeric 1: 3 complex of copper (II) nitrate with pyrazine
KR200345098Y1 (ko) 내용물 보호기능이 향상된 농산물 포장용 망사자루
US577057A (en) Purse
DE3240408A1 (de) Behaelter, insbesondere schultornister
AT16462U1 (de) Hüfttaschenanordnung
KR102531116B1 (ko) 생분해성 pla 소재를 이용한 음료캐리어
JP3107473U (ja) バッグ
CN212557467U (zh) 面膜外包装袋
US20130119105A1 (en) Body-worn article carrier
JPH0445144A (ja) 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
CN207712627U (zh) 一种安全防静电pe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