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018A -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018A
KR20180096018A KR1020170022102A KR20170022102A KR20180096018A KR 20180096018 A KR20180096018 A KR 20180096018A KR 1020170022102 A KR1020170022102 A KR 1020170022102A KR 20170022102 A KR20170022102 A KR 20170022102A KR 20180096018 A KR20180096018 A KR 20180096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shielding structure
power
transmiss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복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2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6018A/ko
Priority to PCT/KR2018/001221 priority patent/WO2018151441A1/ko
Publication of KR20180096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01F27/361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made of combinations of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nd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8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1 차폐 구조 및 상기 제1 차폐 구조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브래킷과 상기 송신 코일을 통한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기판과 상기 제어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전력선과 상기 제어 회로 기판을 관통하는 제2 차폐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폐 구조는 상기 전력선의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Wireless Power Transmitter Having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는 wireless energy transfer)은 자기장의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송신기에서 수신기로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이미 1800년대에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한 전기 모터나 변압기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 후로는 라디오파나 레이저, 고주파,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전자파를 방사해서 전기에너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시도되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동칫솔이나 일부 무선면도기도 실상은 전자기유도 원리로 충전된다.
현재까지 무선을 이용한 에너지 전달 방식은 크게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 및 단파장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RF 전송 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두 개의 코일을 서로 인접시킨 후 한 개의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이 때 발생한 자속(MagneticFlux)이 다른 코일에 기전력을 일으키는 현상을 사용한 기술로서, 휴대폰과 같은 소형기기를 중심으로 빠르게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최대 수백 키로와트(kW)의 전력을 전송할 수 있고 효율도 높지만 최대 전송 거리가 1센티미터(cm) 이하이므로 일반적으로 충전기나 바닥에 인접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자기 공진 방식은 전자기파나 전류 등을 활용하는 대신 전기장이나 자기장을 이용하는 특징이 있다. 자기 공진 방식은 전자파 문제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다른 전자 기기나 인체에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한정된 거리와 공간에서만 활용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전달 효율이 다소 낮다는 단점이 있다.
단파장 무선 전력 전송 방식-간단히, RF 전송 방식-은 에너지가 라디오 파(RadioWave)형태로 직접 송수신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한 것이다. 이 기술은 렉테나(rectenna)를 이용하는 RF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서, 렉테나는 안테나(antenna)와 정류기(rectifier)의 합성어로서 RF 전력을 직접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소자를 의미한다. 즉, RF 방식은 AC 라디오파를 DC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기술로서, 최근 효율이 향상되면서 상용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모바일 뿐만 아니라 차량, IT, 철도, 가전 산업 등 산업 전반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파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특성 중 전도체를 통하여 전파되는 필요하지 않은 전자기적 에너지의 방출을 의미하는 전도성 방출(Conducted Emission: CE)을 개선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전원 선에 자성체 코어(Core)를 통과시켜 고주파 성분을 필터링하는 것이다.
하지만, 차량에 장착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경우, 차량 내부 전원을 무선 전력 송신기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선에 EMI 성능 개선을 위한 코어가 장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 내부적으로 EMI 특성이 개선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내부 전원 선을 통해 발생되는 전도성 방출을 차단하기 위해 코일 브래킷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전자파 차폐 필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내부 전원을 무선 전력 송신기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선에 발생되는 EMI를 차단하기 위해 코일 브래킷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전자파 차폐 필터가 포함된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자성 차폐 블록에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이 장착되는 코일 브래킷(Coil Bracket)과 상기 코일 브래킷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신 코일을 통한 무선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기판과 상기 제어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코일 브래킷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 회로 기판에 패턴 인쇄된 전력 선을 감싸도록 구성된 전자파 차폐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파 차폐 구조는 상기 제어 회로 기판에 구비된 제1 홈 및 제2 홈을 각각 관통하는 제2 면 및 제3 면과 상기 관통된 제2 면 및 제3 면과 상기 제2 면 및 제3 면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선은 상기 제1 홈과 제2 홈 사이에 패턴 인쇄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홈과 제2 홈 사이에 패턴 인쇄되는 상기 전력 선의 권선 수는 복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 차폐 블록은 페라이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자성 차폐 블록의 일면에 부착되는 금속 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판의 일부 영역이 타공되며, 상기 타공된 영역을 통해 상기 전자파 차폐 구조가 상기 코일 브래킷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자성 차폐 블록의 일면에 부착되는 금속 판과 상기 금속 판의 일부 영역에 부착되는 자성 차폐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파 차폐 구조가 상기 자성 차폐 시트상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 차폐 블록 및 상기 전자파 차폐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된 샌더스트 블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차량 내부 전원과 전력 선을 통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 차폐 블록과 상기 전자파 차폐 구조의 투자율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제2 면 및 제3 면을 포함하도록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된 자성 차폐 블록과 상기 자성 차폐 블록의 일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브래킷(Coil Bracket)과 상기 코일 브래킷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송신 코일을 통한 무선 전력 전송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을 관통시키기 위한 제1 홀 및 제2 홀이 구비된 제어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홀 및 제2 홀을 통과한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면과 연결되어 상기 제어 회로 기판을 고정시키는 자성체인 제4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 기판에 패턴 인쇄된 전력 선이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면에 의해 상기 전력 선이 감싸져 상기 전력 선에 의해 발생되는 전도성 방출이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시기는 제1 차폐 구조 및 상기 제1 차폐 구조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브래킷, 상기 송신 코일을 통한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기판, 상기 제어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전력선, 및 상기 제어 회로 기판을 관통하는 제2 차폐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폐 구조는 상기 전력선의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제어 회로 기판을 관통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선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제1 차폐 구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 및 상기 체결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제1 차폐 구조의 일면에 배치되는 금속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금속판은 타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타공 영역을 통하여 상기 제1 차폐 구조와 상기 제2 차폐 구조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금속판에 부착되는 차폐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시트를 통하여 상기 제1 차폐 구조와 상기 제2 차폐 구조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차량 내부 전원과 상기 전력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제1 차폐 구조와 상기 제2 차폐 구조는 투자율이 다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전원 공급 선을 통해 발생되는 전도성 방출을 차단하기 위해 코일 브래킷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전자파 차폐 필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부 전원을 무선 전력 송신기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선에 발생되는 전도성 방출을 차단하기 위해 코일 브래킷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전자파 차폐 필터가 포함된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감지 신호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 단자로부터 전원 선을 타고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인가되는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계층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계층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계층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브래킷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무선 전력 시스템상에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파워 송신기, 무선 파워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기, 송신단, 송신기, 송신 장치, 송신측, 무선 파워 전송 장치, 무선 파워 전송기 등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대한 표현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파워 수신 장치, 무선 파워 수신기, 수신 단말기, 수신측, 수신 장치, 수신기 등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패드 형태, 거치대 형태, AP(Access Point) 형태, 소형 기지국 형태, 스텐드 형태, 천장 매립 형태, 바닥 매립 형태, 벽걸이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송신기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파워 전송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파워 전송 수단에는 전력 송신단 코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켜 그 자기장의 영향으로 수신단 코일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에 기반한 다양한 무전 전력 전송 표준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파워 전송 수단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PMA(Power Matters Alliance) 등의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송신기로부터 동시에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PMA(Power Matters Alliance) 등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운송 장치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하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이 장착되어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기기라면 족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시스템은 크게 무선으로 전력을 송출하는 무선 전력 송신단(10), 상기 송출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단(20) 및 수신된 전력을 공급 받는 전자기기(30)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인밴드(In-ban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와 상이한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대역외(Out-of-band)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 사이에 교환되는 정보는 서로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제어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단 사이에 교환되는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는 후술할 실시예들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인밴드 통신 및 대역외 통신은 양방향 통신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방향 통신 또는 반이중 방식의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단방향 통신은 무선 전력 수신단(20)이 무선 전력 송신단(10)으로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전력 송신단(10)이 무선 전력 수신단(20)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도 있다.
반이중 통신 방식은 무선 전력 수신단(20)과 무선 전력 송신단(1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은 가능하나, 어느 한 시점에 어느 하나의 장치에 의해서만 정보 전송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전자 기기(30)의 각종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전자 기기(30)의 상태 정보는 현재 전력 사용량 정보, 실행중인 응용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CPU 사용량 정보,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 배터리 출력 전압/전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자 기기(30)로부터 획득 가능하고, 무선 전력 제어에 활용 가능한 정보이면 족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단(10)은 고속 충전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소정 패킷을 무선 전력 수신단(20)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접속된 무선 전력 송신단(10)이 고속 충전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이를 전자 기기(30)에 알릴 수 있다. 전자 기기(30)는 구비된 소정 표시 수단-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음-을 통해 고속 충전이 가능함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30) 사용자는 액정 표시 수단에 표시된 소정 고속 충전 요청 버튼을 선택하여 무선 전력 송신단(10)이 고속 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30)는 사용자에 의해 고속 충전 요청 버튼이 선택되면, 소정 고속 충전 요청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단(20)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수신된 고속 충전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충전 모드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 전력 송신단(10)에 전송함으로써, 일반 저전력 충전 모드를 고속 충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일 예로, 도면 부호 20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단(10)에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연결되어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단(10)은 시분할 방식으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분배하여 송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별 할당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분배하여 송출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에 연결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별 요구 전력량, 배터리 충전 상태,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 및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가용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면 부호 20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단(10)은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들로부터 동시에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수신단(20)과 연결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개수는 무선 전력 수신단(20)의 요구 전력량, 배터리 충전 상태,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가용 전력량 등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감지 신호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3개의 송신 코일(111, 112, 113)이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송신 코일은 일부 영역이 다른 송신 코일과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거나 하나의 송신 코일이 장착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각각의 송신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소정 감지 신호(117, 127)-예를 들면, 디지털 핑-를 미리 정의된 순서로 순차적으로 송출한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면 번호 110에 도시된 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가 개시되면 감지 신호(117)를 순차적으로 송출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115)로부터 소정 응답 신호-예를 들면,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수신 신호 세기 정보가 포함된 신호일 수 있으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신호 세기 지시자(Signal Strength Indicator, 116) 또는 신호 세기 패킷(Signal Strength Packet)이라 명함-가 수신된 송신 코일(111, 112)을 식별할 수 있다. 연이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면 번호 120에 도시된 2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가 개시되면 감지 신호(127)를 순차적으로 송출하고, 신호 세기 지시자(126)가 수신된 송신 코일(111, 112) 중 전력 전송 효율(또는 충전 효율)-즉,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정렬 상태-이 좋은 송신 코일을 식별하고, 식별된 송신 코일을 통해 전력이 송출되도록-즉,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가 2회의 감지 신호 송출 절차를 수행하는 이유는 어느 송신 코일에 무선 전력 수신기의 수신 코일이 잘 정렬되어 있는지를 보다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한 도 3의 도면 번호 110 및 1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송신 코일(111), 제2 송신 코일(112)에 신호 세기 지시자(116, 126)가 수신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1 송신 코일(111)과 제2 송신 코일(112) 각각에 수신된 신호 세기 지시자(126)에 기반하여 가장 정렬이 잘된 송신 코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 단자로부터 전원 선을 타고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인가되는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기기의 고속화와 다기능화에 따라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채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소자의 동작 주파수는 점차 고주파화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동작에서 사용되는 많은 소자들은 차동 모드(differential mode) 또는 정상 모드(normal mode)에서 주로 작동한다.
일반적으로 EMI 특성 중 전력 선을 타고 디바이스에 흘러 들어오는 전도성 방출(Conducted Emission: CE)를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전원에 연결되는 전원 플러그(410)과 디바이스(440)의 전원 입력 단자(미도시)를 연결하는 전원 선에 자성체 코어(430)를 장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도면 번호 460은 자성체 코어(430)의 절단면도이다. 도 4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선 주위를 자성체 코어를 이용해 둘러쌈으로써, 전력 선을 타고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가 디바이스(440)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차량 내부 전원을 차량에 장착되는 디바이스(예를 들면, 무선 전력 송신기) 또는 차량 제어 기기(예를 들면, ECU(Electrical Control Unit)로 공급해야 하는 경우, 전력 선에 CE 차단을 위한 자성체 코어가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소자에 공급되는 서지 전압이나 링잉 전압을 흡수하기 위하여 해당 소자에 병렬로 접속되는 저항-캐패시터 직별 분기 회로인 스너버(snubber)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이는 발열에 의한 디바이스 온도 상승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발열 문제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이므로, 무선 전력 송신기(440)나 무선 전력 수신기(450)에 스너버가 장착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발열을 야기하는 회로를 추가하는 대신, 무선 전력 송신기의 기구적인 구조 변경을 통해 EMI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의 파워 전송은 크게 선택 단계(Selection Phase, 510), 핑 단계(Ping Phase, 520), 식별 및 구성 단계(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Phase, 530), 협상 단계(Negotiation Phase, 540), 보정 단계(Calibration Phase, 550), 전력 전송 단계(Power Transfer Phase, 560) 단계 및 재협상 단계(Renegotiation Phase, 570)로 구분될 수 있다.
선택 단계(510)는 파워 전송을 시작하거나 파워 전송을 유지하는 동안 특정 오류 또는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천이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오류 및 특정 이벤트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선택 단계(510)에서 송신기는 인터페이스 표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송신기가 인터페이스 표면에 물체가 놓여진 것이 감지되면, 핑 단계(520)로 천이할 수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 핑은 다른 대체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다른 대체 수단은 근접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홀센서, 압력센서 또는 생략 중 적어도 하나의 수단일 수 있다. 선택 단계(510)에서 송신기는 매우 짧은 펄스의 아날로그 핑(Analog Ping) 신호를 전송하며, 송신 코일 또는 1차 코일(Primary Coil)의 전류 변화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표면의 활성 영역(Active Area)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핑 단계(520)에서 송신기는 물체가 감지되면, 수신기를 활성화시키고, 수신기가 해당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수신이 가능한 수신기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디지털 핑(Digital Ping)을 전송한다. 핑 단계(520)에서 송신기는 디지털 핑에 대한 응답 신호-예를 들면, 신호 세기 패킷-을 해당 디지털 핑 전송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수신기로부터 수신하지 못하면, 다시 선택 단계(510)로 천이할 수 있다. 또한, 핑 단계(520)에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파워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신호-즉, 충전 완료 패킷-을 수신하면, 선택 단계(510)로 천이할 수도 있다.
핑 단계(520)가 완료되면, 송신기는 수신기를 식별하고 수신기 구성 및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식별 및 구성 단계(530)로 천이할 수 있다.
식별 및 구성 단계(530)에서 송신기는 원하지 않은 패킷이 수신되거나(unexpected packet),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원하는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패킷 전송 오류가 있거나(transmission error), 파워 전송 계약이 설정되지 않으면(no power transfer contract) 선택 단계(510)로 천이할 수 있다.
송신기는 식별 및 구성 단계(530)에서 수시된 구성 패킷(Configuration packet)의 협상 필드(Negotiation Field) 값에 기반하여 협상 단계(540)로의 진입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협상이 필요하면, 송신기는 협상 단계(540)로 진입하여 소정 이물질 검출 절차(Foreign Object Detec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확인 결과, 협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송신기는 곧바로 전력 전송 단계(560)로 진입할 수도 있다.
협상 단계(540)에서, 송신기는 기준 품질 인자 값이 포함된 FOD(Foreign Object Detection) 상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송신기는 기준 품질 인자 값에 기반하여 이물질 검출을 위한 임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기는 기준 품질 인자 값보다 보정 비율만큼 낮은 값을 이물질 검출을 위한 임계치로 결정하고, 물체 감지 후 핑 단계(520)로의 진입 이전에 현재 품질 인자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송신기는 결정된 임계치 및 현재 측정된 품질 인자 값을 비교하여 충전 영역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이물질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물질이 검출된 경우, 송신기는 선택 단계(510)로 회귀할 수 있다. 반면, 이물질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송신기는 보정 단계(550)를 거쳐 전력 전송 단계(560)로 진입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 송신기는 이물질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보정 단계(550)에서 송신기는 수신기에 수신된 전력의 세기를 결정하고, 실제 송신 코일을 통해 전송된 전력의 세기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기와 송신기에서의 전력 손실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송신기는 보정 단계(550)에서 송신기의 송신 파워와 수신기의 수신 파워 사이의 차이에 기반하여 전력 손실을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는 예측된 전력 손실을 반영하여 이물질 검출을 위한 임계치를 보정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송신기는 보다 정확하게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전력 전송 단계(560)에서, 송신기는 원하지 않은 패킷이 수신되거나(unexpected packet),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원하는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기 설정된 파워 전송 계약에 대한 위반이 발생되거나(power transfer contract violation), 충전이 완료된 경우, 선택 단계(510)로 천이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 단계(560)에서, 송신기는 송신기 상태 변화 등에 따라 파워 전송 계약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재협상 단계(570)로 천이할 수 있다. 이때, 재협상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송신기는 전력 전송 단계(560)로 회귀할 수 있다.
상기한 파워 전송 계약은 송신기와 수신기의 상태 및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기 상태 정보는 최대 전송 가능한 파워량에 대한 정보, 최대 수용 가능한 수신기 개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기 상태 정보는 요구 전력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600)는 크게, 전력 변환부(610), 전력 전송부(620), 통신부(630), 제어부(640), 센싱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무선 전력 송신기(600)의 구성은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변환부(610)는 전원부(660)로부터 DC 전원이 공급되면, 이를 소정 세기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변환부(610)는 DC/DC 변환부(611), 인버터(612) 및 주파수 생성기(6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버터(612)는 하프 브릿지 인버터 또는 풀 브릿지 인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직류 전력을 특정 동작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는 회로 구성이면 족하다.
DC/DC 변환부(611)는 전원부(650)로부터 공급된 DC 전력을 제어부(6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세기의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650)는 DC 변환된 전력의 전압/전류 등을 측정하여 제어부(6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650)는 과열 발생 여부 판단을 위해 무선 전력 송신기(6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6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640)는 센싱부(650)에 의해 측정된 전압/전류 값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전원부(65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증폭기(612)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변환부(610)의 일측에는 전원부(6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증폭기(612)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소정 전력 차단 회로가 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인버터(612)는 DC/DC 변환된 직류 전력을 주파수 생성기(613)에 의해 생성된 기준 교류 신호에 기반하여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기준 교류 신호의 주파수-즉, 동작 주파수-는 제어부(6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600)는 동작 주파수를 조절하여 송출 전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640)는 통신부(630)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수신 상태 정보 또는(및) 전력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전력 수신 상태 정보 또는(및) 전력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동작 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 주파수가 생성되도록 주파수 생성기(613)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수신 상태 정보는 정류기 출력 전압의 세기 정보, 수신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력 제어 신호는 전력 증가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 전력 감소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전송부(620)는 다중화기(621)(또는 멀티플렉서), 송신 코일부(6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코일부(622)는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부(620)는 전력 전송을 위한 특정 캐리어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반송파 생성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반송파 생성기는 다중화기(621)를 통해 전달 받은 인버터(612)의 출력 교류 전력과 믹싱하기 위한 특정 캐리어 주파수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각의 송신 코일에 전달되는 AC 전력의 주파수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LC 공진 특성을 송신 코일마다 상이하게 조절하는 기능이 구비된 소정 주파수 제어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송신 코일 별 공진 주파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다중화기(621)는 제어부(640)에 의해 선택된 송신 코일로 교류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위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640)는 송신 코일 별 수신되는 신호 세기 지시자에 기반하여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로의 전력 전송에 사용할 송신 코일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40)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가 연결된 경우, 송신 코일 별 시분할 다중화를 통해 전력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600)에 3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즉, 제1 내지 3 무선 전력 수신기-가 각각 3개의 서로 다른 송신 코일-즉, 제1 내지 3 송신 코일-을 통해 식별된 경우, 제어부(640)는 다중화기(621)를 제어하여, 특정 타임 슬롯에 특정 송신 코일을 통해서만 교류 전력이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송신 코일 별 할당된 타임 슬롯의 길이에 따라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되는 전력의 양이 제어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일 예는 송신 코일 별 할당된 타임 슬롯 동안 DC/DC 변환기(611)의 출력 직류 전력의 세기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 별 송출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6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622)을 통해 감지 신호가 순차적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다중화기(62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40)는 감지 신호가 전송될 시점을 타이머(655)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으며, 감신 신호 전송 시점이 도래하면, 다중화기(621)를 제어하여 해당 송신 코일을 통해 감지 신호가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타이머(650)는 핑 전송 단계 동안 소정 주기로 특정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640)에 송출할 수 있으며, 제어부(640)는 해당 이벤트 신호가 감지될 때마다, 다중화기(621)를 제어하여 해당 송신 코일을 통해 디지털 핑이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복조부(632)로부터 어느 송신 코일을 통해 신호 세기 지시자(Signal Strength Indicator)가 수신되었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송신 코일 식별자 및 해당 송신 코일을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지시자를 수신할 수 있다. 연이어, 제2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에서 제어부(6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신호 세기 지시자가 수신된 송신 코일(들)을 통해서만 감지 신호가 송출될 수 있도록 다중화기(62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제어부(6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신호 세기 지시자가 수신된 송신 코일이 복수개인 경우, 가장 큰 값을 갖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수신된 송신 코일을 제2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에서 감지 신호를 가장 먼저 송출할 송신 코일로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다중화기(621)를 제어할 수도 있다.
통신부(630)는 변조부(631)와 복조부(6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변조부(631)는 제어부(640)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변조하여 다중화기(621)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방식은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방식, 맨체스터 코딩(Manchester Coding) 변조 방식, PSK(Phase Shift Keying) 변조 방식,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차등 2단계(Differential bi-phase) 변조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조부(632)는 송신 코일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6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조된 신호에는 신호 세기 지시자, 무선 전력 전송 중 전력 제어를 위한 오류 정정(EC:Error Correction) 지시자, 충전 완료(EOC: End Of Charge) 지시자, 과전압/과전류/과열 지시자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각종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조부(632)는 복조된 신호가 어느 송신 코일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송신 코일에 상응하는 소정 송신 코일 식별자를 제어부(6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복조부(632)는 송신 코일(623)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64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조된 신호는 신호 세기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복조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각종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600)는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밴드(In-Band) 통신을 통해 상기 신호 세기 지시자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600)는 송신 코일부(622)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송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신 코일부(622)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와 각종 제어 신호 및 상태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송신 코일부(622)의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에 각각 대응되는 별도의 코일이 무선 전력 송신기(600)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구비된 별도의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와 인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상이 도 6의 설명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600)와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인밴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무선 전력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근거리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양방향 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RFID 통신, UWB 통신, 지그비 통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이상의 도 6의 설명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600)의 전력 전송부(620)가 다중화기(621)와 복수의 송신 코일(622)을 포함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송부(620)는 하나의 송신 코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700)는 크게 코일 브래킷(Coil Bracket, 790)과 제어 회로 기판(7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일 브래킷(790)은 제1 차폐 구조에 해당하는 자성 차폐 블록(740), 제1 내지 제3 송신 코일(710, 720, 730), 제1 내지 제3 송신 코일(710,720,730) 및 자성 차폐 블록(740)을 고정시키기 위한 하우징(7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 차폐 블록(740)은 사출 성형된 샌더스트 블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소정 투자율을 가지는 자성체이면 족하다.
코일 브래킷(790)의 일측에는 제1 내지 제3 송신 코일(710, 720, 730)의 양 단자를 제어 회로 기판(75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코일 연결 단자(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코일 연결 단자(미도시)는 자성 차폐 블록(74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별도의 회로 기판에 구성된 후 자성 차폐 블록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면 번호, 79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700)는 도면 번호, 7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 기판(750)에 배치되는(예를 들어, 패턴 인쇄된) 전원 라인(751, 752)을 일정 길이만큼 둘러싸는 전자파 차폐 구조 또는 전자파 차폐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 번호 795는 무선 전력 송신기(700)를 도면 번호 790의 a1에서 a2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보여지는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구조 또는 전자파 차폐 필터는 제1 내지 제3 송신 코일(710 내지 730)이 배치되지 않는 자성 차폐 블록(740)의 제1 면(714), 제1 면(741)의 일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742) 및 제 1면(741)의 일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제3 면을 포함하는 제2 연결부(743), 제어 회로 기판(750)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홈(후술할 도 8의 도면 번호 753 및 754 참조)을 통과한 제1 연결부(742) 및 제2 연결부(743)와 결속되어 제어 회로 기판(750) 및 자성 차폐 블록(740)을 고정시키는 제4 면을 포함하는 체결부(7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 차폐 블록(740)과 제1 연결부(742) 및 제2 연결부(743)는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고, 체결부(744)는 별도 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연결부(742), 제2 연결부(743) 및 체결부(744)는 제2 차폐 구조로 볼 수 있다.
자성 차폐 블록(740), 제1 연결부(742), 제2 연결부(743) 및 체결부(744)는 동일한 투자율을 가지는 자성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 차폐 블록(740), 제1 연결부(742), 제2 연결부(743) 및 체결부(744)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와 상이한 투자율을 가지는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출 성형된 자성 차폐 블록(74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자성 차폐 블록(740), 제1 연결부(742), 제2 연결부(743) 와 별도 성형되어 홈(도 8의 753, 754)을 통과한 제1 연결부(742) 및 제2 연결부(743)와 결합되는 체결부(744)의 투자율은 개선하고자 하는 주파수 성분에 따라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 제1 연결부(742), 제2 연결부(743) 및 체결부(744)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어 “ㄷ”자 형태의 차폐 블록이 제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출 성형된 차폐 블록의 제1 연결부(742) 및 제2 연결부(743)가 제어 회로 기판(750)에 형성된 2개의 홈(후술할 도 8의 도면 번호 753 및 754 참조)을 통과한 후 자성 차폐 블록(740)의 제1 면(741)에 결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별도의 필터 장치 없이 자체적으로 전자파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필터 장착을 하지 않아 공정 단순화 및 재료비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8은 상기한 도 7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계층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700)는 코일 브래킷(790), 제어 회로 기판(750) 및 체결부(7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 기판(750)에 배치되는 전력 선(751, 752)은 제어 회로 기판(750)에 구비된 제1 홈(753)과 제2 홈(754)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코일 브래킷(79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1 연결부(742)와 제2 연결부(743)는 각각 제1 홈(753)과 제2 홈(754)을 관통한 후 체결부(744)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742) 및 제2 연결부(743)와 체결부(744)의 결합 수단으로 접착제 결합, 나사 결합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별도의 필터 장치 없이 자체적으로 전자파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필터 장착을 하지 않아 공정 단순화 및 재료비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크게 코일 브래킷(Coil Bracket, 790), 금속 판(970) 및 제어 회로 기판(7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일 브래킷(790)은 자성 차폐 블록(740), 제1 내지 제3 송신 코일(710, 720, 730), 제1 내지 제3 송신 코일(710,720,730) 및 자성 차폐 블록(740)을 고정시키기 위한 하우징(7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 차폐 블록(740)은 판상 형태의 페라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소정 투자율을 가지는 자성체이면 족하다.
코일 브래킷(790)의 일측에는 제1 내지 제3 송신 코일(710, 720, 730)의 양 단자를 제어 회로 기판(75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코일 연결 단자(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코일 연결 단자(미도시)는 자성 차폐 블록(74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별도의 회로 기판에 구성된 후 자성 차폐 블록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제어 회로 기판(750)과 대향하는 자성 차폐 블록(740)의 일면에는 금속 판(970)이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판(97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자성 차폐 블록(74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송신 코일(710, 720, 730)과 제어 회로 기판(750)의 전자파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금속 판(970)의 일부 영역은 도면 번호 9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742) 및 제2 연결부(743)가 제어 회로 기판(750)에 형성된 2개의 홈(후술할 도 10의 도면 번호 753 및 754 참조)을 관통할 수 있도록 타공될 수 있다.
도면 번호, 99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도면 번호, 9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 기판(750)배치된 전원 라인(751, 752)을 일정 길이만큼 둘러싸는 전자파 차폐 구조 또는 전자파 차폐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 번호 995는 무선 전력 송신기(900)를 도면 번호 790의 a1에서 a2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보여지는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구조 또는 전자파 차폐 필터는 송신 코일(710 내지 730)이 배치되지 않는 자성 차폐 블록(740)의 제1 면(714), 제1 면(741)의 일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742) 및 제1 면(741)의 일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제3 면을 포함하는 제2 연결부(743) 및 제어 회로 기판(750)에 형성된 2개의 홈(후술할 도 10의 도면 번호 753 및 754 참조)을 통과한 제1 연결부(742) 및 제2 연결부(743)와 결속되어 제어 회로 기판(750)을 고정시키는 제4 면을 포함하는 체결부(7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면(714)은 금속 판(970)의 타공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구조 또는 전자파 차폐 필터는 제1 연결부(742), 제2 연결부(743) 및 체결부(744)로 구성된 “ㄷ”자 형태의 자성체 차폐 블록(96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 차폐 블록(740), 제1 연결부(742), 제2 연결부(743) 및 체결부(744)는 동일한 투자율을 가지는 자성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 차폐 블록(740), 제1 연결부(742), 제2 연결부(743) 및 체결부(744)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와 상이한 투자율을 가지는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출 성형된 자성 차폐 블록(74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제1 연결부(742) 및 제2 연결부(743)과 별도 성형되어 홈(도 8의 753, 754)을 통과한 제1 연결부(742) 및 제2 연결부(743)과 결합되는 체결부(744)의 투자율은 개선하고자 하는 주파수 성분에 따라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구조 또는 전자파 차폐 필터는 금속 판(970)의 타공 영역에 대응되는 자성 차폐 블록(740)의 제1 면(714)과 자성 차폐 블록(740)과는 별도로 제작될 수 있으며, 체결부(744)의 제4 면, 제4 면의 가장 자리 일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연결부의 제2 면 및 제2 연결부의 제3 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부(742)와 제2 연결부(743)가 제어 회로 기판(750)에 형성된 2개의 홈(후술할 도 10의 도면 번호 753 및 754 참조)을 관통한 후, 자성 차폐 블록(740)의 제1 면(741)에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수단으로 접착제, 나사 연결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별도의 필터 장치 없이 자체적으로 전자파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필터 장착을 하지 않아 공정 단순화 및 재료비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내구성이 더 뛰어나고, 송신 코일과 제어회로기판의 전자파 간섭 차단 효과가 더 뛰어나다.
도 10은 상기한 도 9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계층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코일 브래킷, 금속 판(970), 제어 회로 기판(750) 및 제2 차폐 블록(9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일 브래킷은 제1 송신 코일(710), 제2 송신 코일(720), 제3 송신 코일(730) 및 자성 차폐 블록(7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 기판(750)에 배치되는 전력 선(751, 752)은 제어 회로 기판(750)에 구비된 제1 홈(753)과 제2 홈(754)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 차폐 블록(960)은 “ㄷ”자 형태로 사출 성형된 샌더스트 블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일정 투자율을 가지는 자성 차폐제이면 족하다.
제2 차폐 블록(960)은 제4 면을 포함하는 체결부(744)에 수직으로 배치된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742) 및 제4면을 포함하는 체결부(744)에 수직으로 배치된 제3 면을 포함하는 제2 연결부(743)각 각각 제1 홈(753)과 제2 홈(754)을 관통한 후 금속 판(970)의 타공 영역(771)을 지나 코일 브래킷의 자성 차폐 블록(74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742) 및 제2 연결부(743)와 자성 차폐 블록(740) 사이의 결합 수단으로 접착제 결합, 나사 결합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별도의 필터 장치 없이 자체적으로 전자파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필터 장착을 하지 않아 공정 단순화 및 재료비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내구성이 더 뛰어나고, 송신 코일과 제어회로기판의 전자파 간섭 차단 효과가 더 뛰어나다.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1100)는 크게 코일 브래킷, 금속 판(970) 및 제어 회로 기판(7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일 브래킷은 자성 차폐 블록(740), 자성 차폐 블록(740)상에 적층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송신 코일(710, 720, 730) 및 제1 내지 제3 송신 코일(710,720,730) 및 자성 차폐 블록(740)을 고정시키기 위한 하우징(7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 차폐 블록(740)은 판상 형태의 페라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소정 투자율을 가지는 자성체이면 족하다. 코일 브래킷의 일측에는 제1 내지 제3 송신 코일(710, 720, 730)의 양 단자를 제어 회로 기판(75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코일 연결 단자(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코일 연결 단자(미도시)는 자성 차폐 블록(74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별도의 회로 기판에 구성된 후 자성 차폐 블록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제어 회로 기판(750)과 대향하는 자성 차폐 블록(740)의 일면에 금속 판(970)이 소정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판(97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자성 차폐 블록(740)을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금속 판(970)은 송신코일과 제어 회로 기판의 전자파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금속 판(970)의 일부 영역은 자성 차폐 시트(1180)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 차폐 시트(1180)은 양면 접착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 번호, 119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1100)는 도면 번호, 11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 기판(750)에 패턴 인쇄된 전원 라인(751, 752)을 일정 길이만큼 둘러싸는 전자파 차폐 구조 또는 전자파 차폐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 번호 1195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0)를 a1에서 a2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보여지는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구조 또는 전자파 차폐 필터는 제1 연결부(742), 제2 연결부(743) 및 체결부(744)로 구성된 “ㄷ”자 형태의 자성체 차폐 블록(760)과 제어 회로 기판(750)에 형성된 2개의 홈(후술할 도 12의 도면 번호 753 및 754 참조)을 통과한 제1 연결부(742) 및 제2 연결부(743)을 금속 판(970)과 연결하기 위한 자성 차폐 시트(1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성 차폐 시트(1180)가 양면 접착이 가능한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면, 금속 판(970)과 제1 연결부(742) 및 제2 연결부(743)은 별도의 결속 수단-예를 들면, 나사, 접착 부재 등을 포함함-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자성 차폐 시트(1180), 제1 연결부(742), 제2 연결부(743) 및 체결부(744)는 동일한 투자율을 가지는 자성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 차폐 시트(1180), 제1 연결부(742), 제2 연결부(743) 및 체결부(744)는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와 상이한 투자율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는 제1 연결부(742), 제2 연결부(743) 및 체결부(744)와 자성 차폐 시트(1180)는 서로 상이한 투자율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2는 상기한 도 11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계층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1100)는 코일 브래킷, 금속 판(970), 제어 회로 기판(750) 및 제2 차폐 블록(1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일 브래킷은 제1 송신 코일(710), 제2 송신 코일(720), 제3 송신 코일(730) 및 자성 차폐 블록(7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 기판(750)에 패턴 인쇄되는 전력 선(751, 752)은 제어 회로 기판(750)에 구비된 제1 홈(753)과 제2 홈(754)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 차폐 블록(1210)은 “ㄷ”자 형태로 사출 성형된 샌더스트 블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일정 투자율을 가지는 자성 차폐제이면 족하다.
금속 판(970)의 일부 영역에는 자성 차폐 시트(1180)가 부착될 수 있다.
제2 차폐 블록(1210)의 제1 연결부(742) 및 제2 연결부(743)가 각각 제1 홈(753)과 제2 홈(754)을 통과한 후 금속 판(970)에 부착된 자성 차폐 시트(118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성 차폐 시트(1180)는 양면 접착 테이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브래킷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브래킷(790)은 제1 내지 제3 송신 코일(710, 720, 730), 제1 내지 제3 송신 코일(710, 720, 730)이 안착되도록 플라스틱 사출 성형된 하우징(735) 및 제2 송신 코일(720, 730) 하단에 배치되어 하우징(735)과 결속되는 자성 차폐 블록(7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회로 기판(750)과 코일 브래킷(790) 사이에 금속 판(970)이 배치되는 경우의 코일 브래킷(790)의 적층 구조를 보여준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별도의 외부 필터 장치 없이 자체적으로 전자파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외부 필터 장착을 하지 않아 공정 단순화 및 재료비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내구성이 더 뛰어나고, 송신 코일과 제어회로기판의 전자파 간섭 차단 효과가 더 뛰어나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자성 차폐 시트를 통하여 내구성이 뛰어나면서도 전자파 간섭 차단 효과를 더욱 증대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시기는 제1 차폐 구조 및 상기 제1 차폐 구조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브래킷, 상기 송신 코일을 통한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기판, 상기 제어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전력선, 및 상기 제어 회로 기판을 관통하는 제2 차폐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폐 구조는 상기 전력선의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제어 회로 기판을 관통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선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제1 차폐 구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 및 상기 체결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제1 차폐 구조의 일면에 배치되는 금속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금속판은 타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타공 영역을 통하여 상기 제1 차폐 구조와 상기 제2 차폐 구조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금속판에 부착되는 차폐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시트를 통하여 상기 제1 차폐 구조와 상기 제2 차폐 구조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차량 내부 전원과 상기 전력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제1 차폐 구조와 상기 제2 차폐 구조는 투자율이 다를 수 있다.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코일 브래킷에 장착되는 코일의 개수가 3개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코일 브래킷에 장착되는 코일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 회로 기판의 제1 홈과 제2 홈 사이에 패턴 인쇄되는 전력 선의 권선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 금속 판은 알루미늄 합금 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원 어뎁터 없이 차량 내부 전원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차량뿐만 아니라 전력 공급 선에 EMI 필터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에 확대 적용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제1 차폐 구조 및 상기 제1 차폐 구조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브래킷;
    상기 송신 코일을 통한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기판;
    상기 제어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전력선; 및
    상기 제어 회로 기판을 관통하는 제2 차폐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폐 구조는 상기 전력선의 일부를 따라 배치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폐 구조는,
    상기 제어 회로 기판을 관통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선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폐 구조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 구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 및 상기 체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 구조의 일면에 배치되는 금속판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타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타공 영역을 통하여 상기 제1 차폐 구조와 상기 제2 차폐 구조가 연결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에 부착되는 차폐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시트를 통하여 상기 제1 차폐 구조와 상기 제2 차폐 구조가 연결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차량 내부 전원과 상기 전력선을 통하여 연결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 구조와 상기 제2 차폐 구조는 투자율이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
KR1020170022102A 2017-02-20 2017-02-20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 KR20180096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102A KR20180096018A (ko) 2017-02-20 2017-02-20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
PCT/KR2018/001221 WO2018151441A1 (ko) 2017-02-20 2018-01-29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102A KR20180096018A (ko) 2017-02-20 2017-02-20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018A true KR20180096018A (ko) 2018-08-29

Family

ID=6316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102A KR20180096018A (ko) 2017-02-20 2017-02-20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96018A (ko)
WO (1) WO201815144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300B1 (ko) * 2018-12-06 2020-03-10 한국과학기술원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단말 장치
KR102335905B1 (ko) * 2021-06-17 2021-12-07 주식회사 위츠 노이즈 개선용 무선 전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98738B1 (en) 2021-06-17 2022-07-26 Wits Co., Ltd. Wireless power module for noise reduction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8807U (ko) * 1988-09-08 1990-03-15
US7186924B2 (en) * 2003-10-21 2007-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electric structure for printed circuit board traces
KR20070004336A (ko) * 2005-07-04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제품
US9533589B2 (en) * 2013-07-16 2017-01-03 Qualcomm Incorporated Integr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i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KR20150107280A (ko) * 2014-03-13 2015-09-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300B1 (ko) * 2018-12-06 2020-03-10 한국과학기술원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단말 장치
KR102335905B1 (ko) * 2021-06-17 2021-12-07 주식회사 위츠 노이즈 개선용 무선 전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98738B1 (en) 2021-06-17 2022-07-26 Wits Co., Ltd. Wireless power module for noise reduction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WO2022265146A1 (ko) * 2021-06-17 2022-12-22 주식회사 위츠 노이즈 개선용 무선 전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1441A1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68860B (zh) 用于检测异物的方法和设备
CN111149178A (zh) 线圈装置和包括该线圈装置的无线充电装置
KR20180062653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KR20180117356A (ko)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80096018A (ko)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
KR20190061359A (ko) 코일 정렬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180042578A (ko) 무선전력 송신 장치
KR20180005427A (ko)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046313A (ko) 무선 송신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KR20180100749A (ko)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코일 어셈블리
KR20190017625A (ko)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20190027676A (ko) 무선 충전을 위한 코일 어셈블리
KR20180120048A (ko) 전자파 간섭 필터가 구비된 무선 충전 장치
KR20180038205A (ko)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90038972A (ko) 무선충전코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20190007321A (ko)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20190115573A (ko) 무선충전장치
KR20190001077A (ko) 무선충전장치 및 제조 방법
KR20200076304A (ko) 무선충전코일 및 무선충전장치
KR20190114090A (ko)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20180013088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KR20190118297A (ko)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20180099233A (ko) 무선 충전 장치
KR20190118000A (ko)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20190047857A (ko) 무선충전코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무선충전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