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905B1 - 노이즈 개선용 무선 전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노이즈 개선용 무선 전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905B1
KR102335905B1 KR1020210078976A KR20210078976A KR102335905B1 KR 102335905 B1 KR102335905 B1 KR 102335905B1 KR 1020210078976 A KR1020210078976 A KR 1020210078976A KR 20210078976 A KR20210078976 A KR 20210078976A KR 102335905 B1 KR102335905 B1 KR 102335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ranch
wirings
wireless power
outer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진
이헌규
이상협
김태용
최오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츠
Priority to KR102021007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905B1/ko
Priority to JP2023566417A priority patent/JP2024519201A/ja
Priority to EP21946157.1A priority patent/EP4276861A1/en
Priority to PCT/KR2021/008642 priority patent/WO2022265146A1/ko
Priority to US17/497,254 priority patent/US113987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양상으로, 굴곡진 영역을 갖는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층; 상기 코일층 상에 배치되는 배선 기판; 및 상기 배선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하는, 무선 전력 모듈이다.

Description

노이즈 개선용 무선 전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WIRELESS POWER MODULE FOR NOISE IMPROVEMENT AND ELE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 (present disclosure)는 노이즈 개선용 무선 전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용 전자기기의 전자파 규격이 제조사와 국가 규격으로 나뉘어 서로 다른 조건으로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측정이 이루어진다. 무선 충전기는 규격에서 특정 주파수에 높은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에 노이즈 부품의 증가와 PCB(printed circuit board) 구조 변경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무선 충전 코일과 코일 사이에 발생되는 노이즈의 영향이 크게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20048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88184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은 노이즈가 개선된 무선 전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상으로, 굴곡진 영역을 갖는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층; 상기 코일층 상에 배치되는 배선 기판; 및 상기 배선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하는, 무선 전력 모듈이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 각도 범위는 90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 각도 범위는 90도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값을 더한 최대값 및 기 상기 기 설정된 값을 뺀 최소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값은 5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은 상기 배선 기판 상에 형성되는 외측 루프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은: 상기 배선 기판 상에 상기 외측 루프 배선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내측 루프 배선; 일 단이 상기 외측 루프 배선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1 가지 배선; 및 일 단이 상기 내측 루프 배선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2 가지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지 배선 및 상기 제2 가지 배선은 상기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상기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지 배선 및 상기 제2 가지 배선은 상기 외측 루프 및 상기 내측 루프 배선으로부터 교대로 분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은: 상기 외측 루프 배선에서 상기 배선 기판의 내측을 향해 분기되는 기저 가지 배선; 일 단이 상기 외측 루프 배선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1 가지 배선; 및 일 단이 상기 기저 가지 배선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2 가지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지 배선 및 상기 제2 가지 배선은 상기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상기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은: 상기 배선 기판 상에 상기 외측 루프 배선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내측 루프 배선; 및 상기 외측 루프 배선에서 상기 배선 기판의 내측을 향해 분기되되, 상기 내측 루프 배선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분기되는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외측 루프 배선 및 상기 내측 루프 배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은: 일 단이 상기 외측 루프 배선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1 가지 배선; 및 일 단이 상기 내측 루프 배선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2 가지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지 배선 및 상기 제2 가지 배선은 상기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상기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은: 상기 배선 기판 상에 상기 외측 루프 배선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내측 기저 환형 배선; 상기 외측 루프 배선에서 상기 배선 기판의 내측을 향해 분기되되, 상기 복수의 내측 기저 환형 배선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분기되는 연결 배선; 및 상기 외측 루프 배선에서 분기되되, 상기 복수의 내측 기저 환형 배선 사이를 지나가도록 분기되는 기저 가지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외측 루프 배선 및 상기 복수의 내측 기저 환형 배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은: 일 단이 상기 외측 루프 배선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1 가지 배선; 및 일 단이 상기 복수의 내측 기저 환형 배선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2 가지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지 배선 및 상기 제2 가지 배선은 상기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상기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양상으로, 본체; 상기 본체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커버;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무선 전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모듈은: 상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굴곡진 영역을 갖는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층; 상기 코일층 상에 배치되는 배선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하는, 전자 장치이다.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여러 가지 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르면, 노이즈가 개선된 무선 전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수신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층 및 도전성층이 기판에 일체로 적층된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페라이트 벽(ferrite wall) 구조가 채용되어 노이즈가 개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의 참조 번호 (reference numerals) 들은 구조적 구성요소 (structural elements) 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무선 전력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른 도전성층의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일체형 무선 전력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필터 별 무선 전력 신호의 노이즈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페라이트 벽 구조가 적용된 무선 전력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른 페라이트 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페라이트 벽 구조 여부에 따른 노이즈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NFC 배선이 포함된 무선 전력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무선 전력 모듈이 포함된 전자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현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구현 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개시가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개시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다양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개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다양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예에서, “/” 및 “,”는 “및/또는”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A, 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A/B/C”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A, B, C”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예에서, “또는”은 “및/또는”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오직 A”, “오직 B”, 및/또는 “A 및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또는”은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다양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무선 전력 모듈
도 1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무선 전력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무선 전력 모듈(10)은 무선 전력 송수신을 위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무선 전력 송수신을 위한 코일층 및 무선 전력 신호의 노이즈 필터링(filtering)을 위한 도전성층을 포함한다.
코일층은 페라이트(11) 및 페라이트(11) 상에 형성되는 코일(12)을 포함한다. 코일(12)은 무선 전력 송수신을 위해 페라이트(11) 상에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 다양한 횟수로 권선되는 코일일 수 있다.
도전성층은 코일층 상에 배치된다. 도전성층은 배선 기판(21) 및 배선 기판(21)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배선(22)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도전성 배선(22)은 전송 선로(transmission line)에 대응되는 개념일 수 있다.
상술한 페라이트(11)는 MnZn, NiZn, 퍼멀로이(permalloy), Si-Fe, 센더스트(sendust), 비정질 고체(amorphous), 나노 결정질 물질(nanocrystalline) 등 자속 밀도와 투자율을 가지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배선 기판(21)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세라믹 기판, 프리-몰딩(pre-molded)기판, 또는 DBC(direct bonded copper) 기판이거나, 절연된 금속 기판 (insulated metal substrate, IMS) 등 다양한 기판일 수 있다. 또는, 페라이트(11) 및 배선 기판(21)은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재질(예를 들어, FR-3, FR-4 등)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복수의 도전성 배선(22)은 서로 커플링(coupling)될 수 있으며, 단락되는 위치가 서로 다른 도전성 배선(22)들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도전성 배선(22)들이 교대로 배열되어 서로 커플링됨에 따라 도전성층은 무선 전력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공진기, 즉 필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도전성 배선(22)은 무선 전력 신호의 노이즈를 필터링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른 도전성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른 도전성층의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예에 따른 도전성층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전성 배선(22)은 배선 기판(21) 상에 형성되되, 복수의 도전성 배선(22) 중 적어도 일부는 코일층의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도전성 배선(22) 중 적어도 일부가 코일층의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함에 따라, 코일층의 굴곡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즉 직선 영역에서만 수직 또는 수평으로 직교하는 것보다 무선 전력 신호의 노이즈 필터링 효과가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코일층의 굴곡진 영역과 도전성 배선(22)이 교차하는 소정 각도 범위는 90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배선(22)은 코일층의 굴곡진 영역과 직교 또는 유사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각도 범위는 90도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값을 더한 최대값 및 기 상기 기 설정된 값을 뺀 최소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값은 예를 들어 5도일 수 있다. 기 설정된 값이 5도, 즉 소정 각도 범위가 85도 내지 95도인 경우 노이즈 필터링 효과가 보다 극대화될 수 있다.
또는, 기 설정된 값은 예를 들어 45도 일 수 있다. 기 설정된 값이 45도, 즉 소정 각도 범위가 45도 내지 135도 인 경우 도전성 배선(22)의 패턴을 보다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전성 배선(22) 중 적어도 일부는 코일층의 굴곡진 영역과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e에서와 같이 복수의 도전성 배선(22)은 배선 기판(21) 상에 형성되는 외측 루프 배선 및 복수의 가지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루프 배선은 일부가 굴곡진 영역을 갖고 나머지가 직선 영역을 가지는 형상일 수도 있고, 또는 원형일 수도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가지 배선은 일 단이 단락되는 위치가 서로 상이한 제1 가지 배선 및 제2 가지 배선을 포함한다. 제1 가지 배선 및 제2 가지 배선은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가지 배선 및 제2 가지 배선은 서로 교대로 배열된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e 각각의 도전성 배선(22)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 가지 배선 및 제2 가지 배선은 일 단이 단락되는 위치가 서로 상이하되, 교대로 배열되는 다양한 형태의 가지 배선들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저 가지 배선은 외측 루프 배선으로부터 분기되고, 자체적으로 가지 배선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기저 가지 배선들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a의 경우, 복수의 도전성 배선(22)은 외측 루프 배선(23)에 더하여 배선 기판(21) 상에 외측 루프 배선(23)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내측 루프 배선(24)을 포함한다. 외측 루프 배선(23) 및 내측 루프 배선(24)은 이격되어 형성되고,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외측 루프 배선(23) 및 내측 루프 배선(24)은 폐루프일 수 있다.
복수의 가지 배선은 일 단이 외측 루프 배선(23)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1 가지 배선(25a) 및 일 단이 내측 루프 배선(24)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2 가지 배선(25b)을 포함한다. 제1 가지 배선(25a) 및 제2 가지 배선(25b)은 외측 루프 배선(23) 및 내측 루프 배선(24)으로부터 제1 축(A) 또는 제2 축(B)을 따라 교대로 분기된다.
복수의 가지 배선 중, 특히 제1 가지 배선(25a) 및 제2 가지 배선(25b)은 코일층의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한다. 따라서, 굴곡진 영역에서도 도전성 배선(22)과 코일층이 직교 또는 유사 직교할 수 있어 무선 전력 신호의 노이즈 필터링 효과가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복수의 가지 배선은 일 단이 외측 루프 배선(23)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3 가지 배선(26a) 및 일 단이 내측 루프 배선(24)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4 가지 배선(26b)을 포함한다. 제3 가지 배선(26a) 및 제4 가지 배선(26b)은 외측 루프 배선(23) 및 내측 루프 배선(24)으로부터 X 축 또는 Y 축을 따라 교대로 분기된다.
제3 가지 배선(26a) 및 제4 가지 배선(26b)은 코일층의 직선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직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의 경우, 복수의 가지 배선은 외측 루프 배선(23)에서 배선 기판(21)의 내측을 향해 분기되는 기저 가지 배선(27)을 포함한다. 기저 가지 배선(27)은 X축 또는 Y축을 따라 분기되며,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가지 배선은 일 단이 외측 루프 배선(23)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1 가지 배선(28a) 및 일 단이 기저 가지 배선(27)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2 가지 배선(28b)을 포함한다. 제1 가지 배선(28a) 및 제2 가지 배선(28b)은 외측 루프 배선(23) 및 기저 가지 배선(27)으로부터 제1 축(A) 또는 제2 축(B)을 따라 교대로 분기된다.
복수의 가지 배선 중, 특히 제1 가지 배선(28a) 및 제2 가지 배선(28b)은 코일층의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한다. 따라서, 굴곡진 영역에서도 도전성 배선(22)과 코일층이 직교 또는 유사 직교할 수 있어 무선 전력 신호의 노이즈 필터링 효과가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복수의 가지 배선은 일 단이 기저 가지 배선(27)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3 가지 배선(29a) 및 일 단이 기저 가지 배선(27)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4 가지 배선(29b)을 포함한다. 제3 가지 배선(29a) 및 제4 가지 배선(29b)은 기저 가지 배선(27)으로부터 X축 또는 Y축을 따라 교대로 분기된다.
제3 가지 배선(29a) 및 제4 가지 배선(29b)은 코일층의 직선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직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지 배선은 외측 루프 배선(23)에서 배선 기판(21)의 내측을 향해 분기되되, 제1 방향(A) 또는 제2 방향(B)을 따라 분기되는 서브 기저 가지 배선(3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기저 가지 배선(3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가지 배선은 일 단이 외측 루프 배선(23)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5 가지 배선(31a) 및 일 단이 서브 기저 가지 배선(30)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6 가지 배선(31b)을 포함한다. 제5 가지 배선(31a) 및 제6 가지 배선(31b)은 외측 루프 배선(23) 및 서브 기저 가지 배선(30)으로부터 X축 또는 Y축을 따라 교대로 분기되되,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가지 배선(31a) 및 제6 가지 배선(31b) 중 X축을 따라 교대로 분기되는 가지 배선은 길이가 순차적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가지 배선(31a) 및 제6 가지 배선(31b) 중 Y축을 따라 교대로 분기되는 가지 배선은 길이가 순차적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c의 경우, 복수의 도전성 배선(22)은 외측 루프 배선(23)에 더하여 배선 기판(21) 상에 외측 루프 배선(23)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내측 루프 배선(24) 및 외측 루프 배선(23)에서 배선 기판(21)의 내측을 향해 분기되되, 내측 루프 배선(24)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분기되는 연결 배선(32)을 포함한다. 외측 루프 배선(23) 및 내측 루프 배선(24)은 폐루프일 수 있다. 연결 배선(32)은 외측 루프 배선(23) 및 내측 루프 배선(24)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며, X축 또는 Y축을 따라 분기되며,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가지 배선은 일 단이 외측 루프 배선(23)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1 가지 배선(33a) 및 일 단이 내측 루프 배선(24)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2 가지 배선(33b)을 포함한다. 제1 가지 배선(33a) 및 제2 가지 배선(33b)은 외측 루프 배선(23) 및 내측 루프 배선(24)으로부터 소정 각도 마다 교대로 분기된다.
복수의 가지 배선 중, 특히 제1 가지 배선(33a) 및 제2 가지 배선(33b)은 코일층이 원형일 경우 굴곡진 모든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한다. 따라서, 굴곡진 영역에서도 도전성 배선(22)과 코일층이 직교 또는 유사 직교할 수 있어 무선 전력 신호의 노이즈 필터링 효과가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연결 배선(32)은 내측 루프 배선(24)으로부터 돌출 구간을 포함한다. 돌출 구간은 X축 방향에 대응되는 제1 돌출 구간 및 Y축 방향에 대응되는 제2 돌출 구간을 포함한다.
복수의 가지 배선은 일 단이 제1 돌출 구간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1 환형 배선(34a) 및 일 단이 제2 돌출 구간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2 환형 배선(34b)을 포함한다. 제1 환형 배선(34a)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돌출 구간으로부터 제3 방향(시계) 또는 제4 방향(반시계)로 분기될 수 있다. 제2 환형 배선(34b)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돌출 구간으로부터 제3 방향(시계) 또는 제4 방향(반시계)로 분기될 수 있다.
제1 환형 배선(34a) 및 제2 환형 배선(34b)은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d의 경우, 복수의 도전성 배선(22)은 외측 루프 배선(23)에 더하여 배선 기판(21) 상에 외측 루프 배선(23)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내측 기저 환형 배선(35), 외측 루프 배선(23)에서 배선 기판(21)의 내측을 향해 분기되되, 내측 기저 환형 배선(35)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분기되는 연결 배선(36) 및 외측 루프 배선(23)에서 분기되되, 복수의 내측 기저 환형 배선(35) 사이를 지나가도록 분기되는 기저 가지 배선(37)을 포함한다.
내측 기저 환형 배선(35)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가지 배선은 일 단이 외측 루프 배선(23)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1 가지 배선(38a) 및 일 단이 복수의 내측 기저 환형 배선(35)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2 가지 배선(38b)을 포함한다. 제1 가지 배선(38a) 및 제2 가지 배선(38b)은 외측 루프 배선(23) 및 복수의 내측 기저 환형 배선(35)으로부터 소정 각도 마다 교대로 분기된다. 특히, 제1 가지 배선(38a) 및 제2 가지 배선(38b)은 외측 루프 배선(23)을 따라 소정 간격 마다 그룹 가지 배선(38c)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그룹 가지 배선(38c)은 교대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가지 배선(38a) 및 제2 가지 배선(38b)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그룹 가지 배선(38c) 각각은 외측 루프 배선(23)을 따라 소정 간격 마다 이격된다.
복수의 가지 배선 중, 특히 제1 가지 배선(38a) 및 제2 가지 배선(38b)은 코일층이 원형일 경우 굴곡진 모든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한다. 따라서, 굴곡진 영역에서도 도전성 배선(22)과 코일층이 직교 또는 유사 직교할 수 있어 무선 전력 신호의 노이즈 필터링 효과가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연결 배선(36)은 내측 기저 환형 배선(35)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구간을 포함한다. 돌출 구간은 제1 방향(A)에 대응되는 제1 돌출 구간을 포함한다.
복수의 가지 배선은 일 단이 제1 돌출 구간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1 환형 배선(39a) 및 일 단이 기저 가지 배선(37)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제2 환형 배선(39b)을 포함한다. 제1 환형 배선(39a)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돌출 구간으로부터 제3 방향(시계) 또는 제4 방향(반시계)로 분기될 수 있다. 제2 환형 배선(39b)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돌출 구간으로부터 제3 방향(시계) 또는 제4 방향(반시계)로 분기될 수 있다.
제1 환형 배선(39a) 및 제2 환형 배선(39b)은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e의 경우, 도 2d에 더하여 그룹 가지 배선(38c) 사이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외측 루프 배선(23)으로부터 분기되는 서브 기저 가지 배선(40) 및 서브 기저 가지 배선(40)으로부터 제3 방향(시계) 또는 제4 방향(반시계)로 분기되는 제3 가지 배선(41a) 및 제4 가지 배선(41b)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3 가지 배선(41a) 및 제4 가지 배선(41b)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교대로 배열된다.
상술한 도 2a 내지 도 2e와 달리, 도전성층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전성 배선(22)은 도 2f와 같이 코일(12)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도전성 배선(22)은 배선 기판(21) 상에 형성되는 외측 루프 배선(23), 외측 루프 배선(23)에서 제1 방향(A) 또는 제2 방향(B)을 따라 분기되는 기저 가지 배선(42) 및 기저 가지 배선(42)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가지 배선(43)을 포함한다.
복수의 가지 배선(43)은 일 단이 복수의 기저 가지 배선(4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된다. 복수의 가지 배선(43)은 내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f에서는 복수의 가지 배선(43) 중 일부가 직선 구간 및 직선 구간으로부터 연장되는 굴곡 구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양한 예들에 따라 복수의 가지 배선(43)은 직선 구간만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복수의 가지 배선(43)은 직선 구간 없이 굴곡 구간만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2f와 같이 기판에서 외측 루프 배선(23) 내 영역 중 가지 배선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의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모듈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내지 도 3f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모듈(10)에 포함되는 도전성층은 상술한 다양한 예들에 따른 도전성 배선(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5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배선 기판(21)의 모서리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전극(50)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극(50)은 도 3a 내지 도 3d와 같이 복수의 기저 가지 배선(51)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전극(50)은 도 3e 내지 도 3f와 같이 외측 루프 배선(52)과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모듈(10)은 그라운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층은 상술한 배선 기판(21)에 대응될 수 있고, 또는 배선 기판(21)과 복수의 도전성 배선(22)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배선 기판(21)의 일 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라운드층은 배선 기판(21)의 모서리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그라운드층은 복수의 도전성 패턴과 연결되어 특정 대역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차단하고 노이즈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층은 무선 전력 송수신 시 발생하는 열을 그라운드층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모듈(10)은 방열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기(미도시)는 무선 전력 송수신으로 인해 열이 발생할 때, 코일층 및/또는 도전성층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페라이트(11) 및/또는 배선 기판(21)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그라운드층 및 방열기(미도시)에 의해, 무선 전력 모듈(10)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발생하는 호환성 인증 문제나 사용자 안전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모듈(10)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일체형 무선 전력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모듈(10)에 포함된 코일층 및 도전성층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체형 무선 전력 모듈에서는 코일층에 PCB 계열의 코일 기판(11_1) 및 코일(12)이 포함되고, 코일 기판(11_1) 상에 코일(12)이 형성되고, 코일(12) 상에 배선 기판(21)이 구비되고, 배선 기판(21) 상에 도전성층이 형성됨으로써 코일층 및 도전성층이 일체로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일 기판(11_1) 및 배선 기판(21)은 PCB, FPCB, FR-3, FR-4 등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필터 별 무선 전력 신호의 노이즈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 5a는 필터가 없는 경우의 노이즈 파형, 도 5b 내지 도 5c는 코일(12)의 굴곡진 영역과 직교 또는 유사 직교하지 않는 필터의 노이즈 파형, 도 5d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무선 전력 모듈(10)에 대한 노이즈 파형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필터가 없는 경우 기준선(red line)을 기준으로 2MHz 이하의 모든 대역에서 노이즈가 차단되지 않는다.
도 5b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기존의 필터의 경우 일부 대역들에서 노이즈가 차단되지 않는다.
도 5d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무선 전력 모듈(10)의 경우 코일(12)의 굴곡진 영역과 직교 또는 유사 직교하는 도전성층이 구비됨에 따라 모든 대역에서 노이즈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모듈(10)은 높은 전력으로 무선 전력 송수신 시 코일 간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보다 감소시키기 위하여, 페라이트 벽(ferrite wall)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페라이트 벽 구조가 적용된 무선 전력 모듈을 도시한 것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른 페라이트 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페라이트 벽 구조가 적용된 무선 전력 모듈(10)은 페라이트 플레이트(61), 코일(12), 페라이트 벽(62) 및 도전성층(21, 22)을 포함한다.
페라이트 플레이트(61) 및 페라이트 벽(62)은 페라이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페라이트 플레이트(61)는 상술한 페라이트(11)에 대응될 수 있다.
페라이트 플레이트(61) 상에는 코일(12) 및 페라이트 벽(62)이 배치된다. 코일(12)은 페라이트 플레이트(61)에 권선될 수 있다. 페라이트 벽(62)은 평면 시점에서 코일(12)을 감쌀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평면 시점에서 페라이트 벽(62)은 페라이트 플레이트(61) 및 코일(12) 사이에 구비된다. 코일(12) 상에는 도전성층(21, 22)이 배치된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페라이트 벽(62)은 노이즈 차폐를 위한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라이트 벽(62)은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코일층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코일(12)을 감쌀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페라이트 벽(62)은 도 7b와 같이 코일(12)의 두 단자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 측의 일부가 개방될 수도 있다. 페라이트 벽(62)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코일(12)의 두께를 따라 적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페라이트 벽(62)은 도 7c와 같이 소정의 높이와 너비를 가지는 페라이트 시트(sheet)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소정의 높이와 너비는 코일(12)을 감싸기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페라이트 벽(62)이 페라이트 시트의 형태를 가질 때, 페라이트 벽(62)의 일 면에는 코일(12)의 두 단자가 통과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는 페라이트 벽 구조 여부에 따른 노이즈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필터가 없는 무선 전력 모듈(10)의 경우 특정 대역에서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나, 페라이트 벽 구조가 적용된 무선 전력 모듈(10)의 경우 도 8a의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한 노이즈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모듈(1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배선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NFC 배선이 포함된 무선 전력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NFC 배선(70)이 포함된 무선 전력 모듈(10)은 기판 상에 배치되는 NFC 배선(7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NFC 배선(70)은 배선 기판(21) 상에 도전성 배선(22)과 함께 배치될 수 있고, NFC 배선(70)의 일 단은 입출력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NFC 배선(70)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NFC 배선(70)은 도 9a과 같이 복수의 루프 형태를 가지도록 권선될 수 있다. 또한, NFC 배선(70)은 도전성 배선(22)과 일부 영역에서 중첩되도록 배치되되, 중첩되는 부분에서는 도전성 배선(22)이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NFC 배선(70)은 도 9b과 같이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른 도전성 배선(22)과 같은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배선(70)은 외측 루프 배선, 외측 루프 배선으로부터 분기되는 기저 가지 배선 및 외측 루프 배선 및 기저 가지 배선으로부터 분기되는 제1 가지 배선 및 제2 가지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지 배선 및 제2 가지 배선은 도전성 배선(22)과 같이 타 단이 단락될 수 있고,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NFC 배선(70)은 도전성 배선(22)과 일부 영역에서 중첩되도록 배치되되, 중첩되는 부분에서는 도전성 배선(22)이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무선 전력 모듈이 포함된 전자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본체(1), 무선 전력 모듈(10) 및 커버(2)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무선 전력 모듈(10)은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모듈(10)을 포함한다.
무선 전력 모듈(10)은 본체(1) 및 커버(2) 사이에 구비되며, 무선 전력 모듈(10)에 포함된 코일층(11_1, 12)이 본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무선 전력 모듈(10)에 결합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무선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무선 전력 모듈(10)에 포함된 도전성층(21, 22)은 무선 전력 신호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코일층(11_1, 12) 및 본체(1) 사이에는 차폐 시트(3)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제안 방식에 대한 일례들 또한 본 개시의 구현 방법들 중 하나로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일종의 제안 방식들로 간주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또한,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들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도 있지만, 일부 제안 방식들의 조합 (혹은 병합) 형태로 구현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개시의 예들은 본 개시와 관련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를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개시의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예들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여기에 기재된 예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10: 휴대용 단말기
11: 페라이트 12: 코일
21: 배선 기판 22: 도전성 배선

Claims (14)

  1. 굴곡진 영역을 갖는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층;
    상기 코일층 상에 배치되는 배선 기판; 및
    상기 배선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은:
    상기 배선 기판 상에 형성되는 외측 루프 배선; 및
    상기 외측 루프 배선 내 포함되는 복수의 가지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지 배선은 서로 교차하는 적어도 4개의 축 방향으로 분기되고,
    상기 복수의 가지 배선은 일 단이 단락되는 위치가 서로 상이한 제1 가지 배선 및 제2 가지 배선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 범위는 90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 범위는 90도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값을 더한 최대값 및 기 상기 기 설정된 값을 뺀 최소값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값은 5도인,
    무선 전력 모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은:
    상기 배선 기판 상에 상기 외측 루프 배선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내측 루프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지 배선은 일 단이 상기 외측 루프 배선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고,
    상기 제2 가지 배선은 일 단이 상기 내측 루프 배선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는,
    무선 전력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지 배선 및 상기 제2 가지 배선은 상기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상기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하는,
    무선 전력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지 배선 및 상기 제2 가지 배선은 상기 외측 루프 및 상기 내측 루프 배선으로부터 교대로 분기되는,
    무선 전력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은:
    상기 외측 루프 배선에서 상기 배선 기판의 내측을 향해 분기되는 기저 가지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지 배선은 일 단이 상기 외측 루프 배선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고,
    상기 제2 가지 배선은 일 단이 상기 기저 가지 배선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고,
    상기 제1 가지 배선 및 상기 제2 가지 배선은 상기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상기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하는,
    무선 전력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은:
    상기 배선 기판 상에 상기 외측 루프 배선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내측 루프 배선; 및
    상기 외측 루프 배선에서 상기 배선 기판의 내측을 향해 분기되되, 상기 내측 루프 배선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분기되는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외측 루프 배선 및 상기 내측 루프 배선을 연결하는,
    무선 전력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지 배선은 일 단이 상기 외측 루프 배선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고,
    상기 제2 가지 배선은 일 단이 상기 내측 루프 배선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고,
    상기 제1 가지 배선 및 상기 제2 가지 배선은 상기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상기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하는,
    무선 전력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은:
    상기 배선 기판 상에 상기 외측 루프 배선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내측 기저 환형 배선;
    상기 외측 루프 배선에서 상기 배선 기판의 내측을 향해 분기되되, 상기 복수의 내측 기저 환형 배선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분기되는 연결 배선; 및
    상기 외측 루프 배선에서 분기되되, 상기 복수의 내측 기저 환형 배선 사이를 지나가도록 분기되는 기저 가지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외측 루프 배선 및 상기 복수의 내측 기저 환형 배선을 연결하는,
    무선 전력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지 배선은 일 단이 상기 외측 루프 배선과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고,
    상기 제2 가지 배선은 일 단이 상기 복수의 내측 기저 환형 배선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타 단이 단락되고,
    상기 제1 가지 배선 및 상기 제2 가지 배선은 상기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상기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하는,
    무선 전력 모듈.
  14. 본체;
    상기 본체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커버;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무선 전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모듈은:
    상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굴곡진 영역을 갖는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층;
    상기 코일층 상에 배치되는 배선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굴곡진 영역과 평면 시점에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교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성 배선은:
    상기 배선 기판 상에 형성되는 외측 루프 배선; 및
    상기 외측 루프 배선 내 포함되는 복수의 가지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지 배선은 서로 교차하는 적어도 4개의 축 방향으로 분기되고,
    상기 복수의 가지 배선은 일 단이 단락되는 위치가 서로 상이한 제1 가지 배선 및 제2 가지 배선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10078976A 2021-06-17 2021-06-17 노이즈 개선용 무선 전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35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976A KR102335905B1 (ko) 2021-06-17 2021-06-17 노이즈 개선용 무선 전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23566417A JP2024519201A (ja) 2021-06-17 2021-07-07 ノイズ改善用無線電力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電子装置
EP21946157.1A EP4276861A1 (en) 2021-06-17 2021-07-07 Noise-reducing wireless powe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PCT/KR2021/008642 WO2022265146A1 (ko) 2021-06-17 2021-07-07 노이즈 개선용 무선 전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7/497,254 US11398738B1 (en) 2021-06-17 2021-10-08 Wireless power module for noise reduction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976A KR102335905B1 (ko) 2021-06-17 2021-06-17 노이즈 개선용 무선 전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905B1 true KR102335905B1 (ko) 2021-12-07

Family

ID=7886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976A KR102335905B1 (ko) 2021-06-17 2021-06-17 노이즈 개선용 무선 전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5905B1 (ko)
WO (1) WO202226514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8184A (ko) 2016-01-22 2017-08-01 동양이엔피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전자파 저감 구조
KR20180096018A (ko) * 2017-02-20 2018-08-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
KR20180100749A (ko) * 2017-03-02 2018-09-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코일 어셈블리
KR20180120048A (ko) 2017-04-26 2018-1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파 간섭 필터가 구비된 무선 충전 장치
KR20200017071A (ko) * 2018-08-08 2020-02-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폐장치 및 무선충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493B1 (ko) * 2018-06-20 2023-07-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지는 무선충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8184A (ko) 2016-01-22 2017-08-01 동양이엔피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전자파 저감 구조
KR20180096018A (ko) * 2017-02-20 2018-08-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기
KR20180100749A (ko) * 2017-03-02 2018-09-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구조를 가지는 코일 어셈블리
KR20180120048A (ko) 2017-04-26 2018-1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파 간섭 필터가 구비된 무선 충전 장치
KR20200017071A (ko) * 2018-08-08 2020-02-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폐장치 및 무선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5146A1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2210B2 (ja) アンテナ装置
TWI441211B (zh) 變壓器
CN105977643B (zh) 天线装置及通信终端装置
US8314663B2 (en) Directional coupler
JP6436277B2 (ja) 磁界結合素子、アンテナ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3782446B (zh) 天线装置及无线通信装置
US10847299B2 (en) Magnetic structures with self-enclosed magnetic paths
US11166386B2 (en) Interposer substrate, circuit module, and interposer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US20180145384A1 (en) Electronic apparatus
US20110285477A1 (en) Common mode noise filter
EP1403887B1 (en) Coil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454440B2 (en) Directional coupl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20190386389A1 (en) Antenna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US9893708B2 (en) Impedance conversion ratio setting method, impedance conversion circuit,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US11276521B2 (en) Electronic component
KR102335905B1 (ko) 노이즈 개선용 무선 전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05039446A (ja) バルントランス
US10004144B2 (en) Connector module
US10008757B2 (en) High-frequency module
EP4276861A1 (en) Noise-reducing wireless powe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20180131093A1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536830B1 (ko) 인덕터 및 이를 포함하는 emi 필터
JP7222675B2 (ja) 無線装置
US7932802B2 (en) Meander inductor and substrate structure with the same
JP3142060B2 (ja) ノイズ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