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573A -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573A
KR20180095573A KR1020187019651A KR20187019651A KR20180095573A KR 20180095573 A KR20180095573 A KR 20180095573A KR 1020187019651 A KR1020187019651 A KR 1020187019651A KR 20187019651 A KR20187019651 A KR 20187019651A KR 20180095573 A KR20180095573 A KR 20180095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egion
cornea
center
reservoi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와네 미쓰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쓰이메디컬코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쓰이메디컬코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쓰이메디컬코머스
Publication of KR20180095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9Contact lenses having special fitting or structural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42Cornea, e.g. artificial corneae, keratoprostheses or corneal implants for repair of defective corne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4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ey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61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adapted for treatment at a particular location
    • A61F2009/00872Cornea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30)는 렌즈부(30A)와 리저버부(12)를 가지며, 렌즈부(30A)는 자외선 투과재료로 구성되고, 환자의 안구(1)에서 각막(2)과 접촉하는 측에, 각막 돔의 중앙을 가압하는 위치에서 볼록 만곡면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압 영역(32)과, 가압 영역(32)의 외주를 둘러싸며 오목 원호 형상의 환형 오목부로 이루어진 릴리프 영역(34)을 구비하고 있어, 이들을 각막(2)에 꽉 눌러 각막(2)의 형상을 바꿈으로써 적어도 나안 시력을 교정하는 것으로서, 가압 영역(32)의 렌즈 두께 방향 외측에 연속 일체적으로 형성된, 리보플라빈 용액을 저장하는 리저버부(12)와, 리저버부(12) 내부와 가압 영역(32)을 연통시키는 연통홀(44)과, 리저버부(12) 내의 리보플라빈 용액과 동일 극성을 갖는 작용측 전극(14)이 추가로 형성되며, 렌즈 두께가 렌즈 중심(30C)에서 0.3mm 이상 1.0mm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안구(1)에 장착한 채로, 이온토포레시스에 의해 리보플라빈 용액을 각막 조직에 침투시키고 또한 자외선 조사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일정 시간 장착하여 환자의 각막 형상을 바꿈으로써 근시, 원시 혹은 원추 각막이 교정된 상태에서 각막 조직으로 리보플라빈(비타민 B2) 용액을 침투시키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각막을 구성하는 콜라겐끼리를 가교(크로스링킹(crosslinking))시킴으로써 각막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이를 고정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면중에 장착하거나 하여 환자의 각막 형상을 바꿈으로써, 렌즈를 빼낸 상태에서의 근시, 원시 및/또는 난시를 교정하기 위한 콘택트 렌즈가 개발되어 있다.
상기의 콘택트 렌즈는 장기간 착용하지 않으면 각막의 복원력으로 인해 원래의 근시나 원시 상태로 돌아가 버리므로, 교정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각막 조직으로 리보플라빈(비타민 B2)을 침투시킨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각막을 구성하는 콜라겐끼리를 가교(크로스링킹)시킴으로써 각막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각막을 고정하는 굴절 교정 수술이 있다.
각막의 크로스링킹은 환자의 눈을 개검기(눈벌리개)를 이용하여 벌린 상태로 해 두고, 각막 위에 올려놓은 통형의 리저버(reservoir)부로부터 리보플라빈 용액을 적하하여 각막에 침투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자가 특허문헌 1에서 제안한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및 교정 각막의 크로스링킹 방법이 있다.
이는 크로스링킹 방법과 각막 교정용 콘택트 렌즈를 조합하여, 콘택트 렌즈에 의해 교정된 상태에서 각막의 형상을 어느 정도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각막 교정용 콘택트 렌즈를 빼낸 상태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리보플라빈 용액을 침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환자의 눈을 벌린 상태에서 리보플라빈 용액을 적하, 침투시키기 위해서는, 환자는 개검기에 의해 장시간(약 30분간) 눈을 벌린 상태로 구속되며, 또한, 리보플라빈 용액은 적하된 전부가 각막에 침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대부분은 외측으로 누설되어, 의사가 누설된 리보플라빈 용액을 자주 빨아들이는 작업을 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시에는, 리보플라빈 용액을 각막에 침투시킨 후에 콘택트 렌즈를 장착하므로, 각막의 변형 특성이 리보플라빈 용액 침투 전과는 다르기 때문에, 각막의 교정을 충분히는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각막 교정용 콘택트 렌즈는 통상적인 콘택트 렌즈와 마찬가지로, 가능한 한 얇게 한다는 설계사상에 기초하여 형성되어 있기(현재로는 중심부의 렌즈 두께가 0.14mm 이상 0.25mm 이하) 때문에 깨지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각막 교정용 콘택트 렌즈는 통상적으로 버튼이라 불리는 직경 10mm, 높이 5mm의 원판 모양의 소재로부터 깎아내어 형성되어 있지만, 그 제조과정에서는 먼저 한쪽 면을 깎아내고, 깎아내어 만곡 형상이 부가된 한쪽 면을 지지하며, 다른쪽 면을 깎아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콘택트 렌즈가 형성된다. 이 제조과정에서도 다른쪽 면을 깎을 때에 렌즈 재료가 깨져버리거나 하는 일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5-36080호
본 발명은 강성이 높아 잘 깨지지 않으며, 각막의 크로스링킹시에, 환자에게 장착한 채로, 단시간에 리보플라빈 용액을 각막에 침투시키고, 또한 자외선 조사를 할 수 있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리보플라빈 용액을 저장가능한 리저버부, 리저버부 내의 리보플라빈 용액과 접촉하는 위치에 마련된 리보플라빈 용액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작용측 전극, 및 리저버부 내의 리보플라빈 용액을 렌즈의 내측으로 이끄는 연통홀을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에 형성함으로써, 콘택트 렌즈를 각막에 장착한 채로, 즉 교정 상태인 채로,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에 의해 리보플라빈 용액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침투시키고, 또한 자외선 조사를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의 경우에는 시술 중에 환자의 눈을 벌린 상태로 유지하여, 눈꺼풀이 감기는 일이 없으므로, 각막에 접촉하지 측이 어떤 형상일지라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 두께를 종래 대비 2배 이상으로 하여도 문제가 없으며, 이로써 강성을 증대시켜 잘 깨지지 않게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1) 자외선 투과 재료로 구성되며, 환자의 각막과 접촉하는 측에, 오목부로 이루어진 릴리프 영역과 볼록부로 이루어진 가압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 릴리프 영역과 가압 영역을 각막에 꼭 눌러 각막의 형상을 바꿈으로써, 나안(裸眼) 시력 및 원추 각막 중 적어도 한쪽을 교정하기 위한 콘택트 렌즈로서, 렌즈부와 리저버(reservoir)부로 구성되며, 상기 렌즈부는 환자의 각막과 접촉하는 측에, 각막에 장착되었을 때에, 각막 돔 중앙에 접촉하는 위치의 원형의 렌즈 중앙 영역과, 이 렌즈 중앙 영역을 둘러싼 원형 고리 모양의 링형상 영역을 가지며, 상기 렌즈 중앙 영역과 링형상 영역은 한쪽이 상기 가압 영역 또는 상기 릴리프 영역을 구성하고, 다른 한쪽이 상기 릴리프 영역 또는 상기 가압 영역을 구성하며, 상기 리저버부는 상기 렌즈 중앙 영역의 렌즈 두께 방향 외측 위치에 상기 렌즈부와 연속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리보플라빈 용액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리보플라빈 용액과 접촉하는 위치에 마련된 리보플라빈 용액과 동일 극성을 갖는 작용측 전극을 가지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리저버부 내부와 상기 렌즈 중앙 영역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을 가지며, 또한, 렌즈 두께가 상기 렌즈 중앙 영역에서 0.3mm 이상, 1.0mm 이하가 되게 구성되어, 이온토포레시스에 의해 상기 리보플라빈 용액을 각막 조직에 침투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2) 상기 렌즈 중앙 영역은 각막에 장착되었을 때에, 각막 돔의 중앙을 가압하는 위치에서 볼록 만곡면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어, 각막에 오목 만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가압 영역이 되고, 상기 링형상 영역은 상기 가압 영역의 외주를 둘러싸는 위치에 형성된, 단면이 오목 원호 형상인 환형 오목부로 이루어진 릴리프 영역이 되며, 상기 릴리프 영역을 구성하는 상기 환형 오목부의 바닥면의 렌즈 두께가 적어도 0.3mm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3) 상기 렌즈 중앙 영역은 각막에 장착되었을 때에, 각막 돔의 중앙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오목 만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각막에 볼록 만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릴리프 영역이 되고, 상기 링형상 영역은 상기 릴리프 영역의 외주를 둘러싸는 위치에 형성된, 단면이 볼록 원호 형상인 환형 볼록부로 이루어진 가압 영역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4) 상기 어느 한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원판 형상의 렌즈 소재의 한쪽 끝면에 상기 리저버부를 형성하고, 이어 상기 리저버부를 홀딩한 상태에서, 다른쪽 끝면에 상기 가압 영역 및 상기 릴리프 영역을 깎아 상기 렌즈부의 환자 각막에 접촉하는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에 따르면, 이 콘택트 렌즈를 각막에 장착한 상태, 즉 각막 교정 상태인 채로 리보플라빈 용액을 단시간에 그리고 확실하게 환자의 각막에 침투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 중심부의 렌즈 두께를 종래 대비 2배 이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깎아낼 때나 사용시에 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렌즈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여, 리보플라빈 용액을 렌즈 밖으로부터 각막 표면으로 도입하기 쉽게 한 경우, 관통홀 형성으로 인해 렌즈 강도가 저하되지만, 렌즈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렌즈 강도의 저하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소재로부터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를 깎아낼 때, 먼저 리저버부를 깎아내거나, 또는 미리 리저버부를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하고, 그 후 형성된 리저버부를 홀딩하여, 가압 영역과 릴리프 영역을 깎아낼 경우, 리저버부는 두께가 있으며, 따라서 강도가 있으므로, 가압 영역과 릴리프 영역을 안정적으로 깎아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근시 교정용의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근시 교정용의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 1의 II-II선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원시 교정용의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원시 교정용의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 3의 IV-IV선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원시 교정용의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를 렌즈 소재로부터 깎아내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A) 사시도, (B) 단면도, (C) 단면도 및 (D)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는, 렌즈 두께가 렌즈 중심에서 0.3mm 이상 1.0mm 이하인 두께 구조가 되며, 환자의 각막에 접촉하는 측에, 오목부로 이루어진 릴리프 영역과 볼록부로 이루어진 가압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 릴리프 영역과 가압 영역을 각막에 꽉 눌러 각막의 일부를 가압 영역이 밀어넣음과 동시에, 그 반작용으로서, 릴리프 영역에 각막의 일부를 돌출시킴으로써, 각막의 형상을, 원하는 나안 시력을 얻을 수 있는 형상 혹은 원추 각막을 매끄럽게 눌러 넣는 형상으로 교정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각막의 변형을 고정하고나서, 콘택트 렌즈의 환자 각막에 접촉하지 않는 측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리저버부 내의 리보플라빈 용액을 이온토포레시스 작용에 의해, 콘택트 렌즈를 관통하여 형성된 연통홀을 통해 콘택트 렌즈의 외측으로부터 각막에 침투시키고, 또한, 침투 후에, 콘택트 렌즈를 통해 각막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또한, 리보플라빈 용액의 침투 전에, 콘택트 렌즈를 빼냈을 때 안구의 스프링 백(눈 축 길이의 신장)으로 인해 각막 변형이 복원되는 것을 미리 예상하여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만곡 곡률을 설정해 둘 수도 있다. 또한, 조사는 보다 방해가 적다고 여겨지는 자외선 A파(UVA)를 사용하는데, 자외선 B파(UVB)를 동시에 또는 나중에 조사할 수도 있다.
작용측 전극의 극성과 리보플라빈 용액의 극성은 동일하게 되어, 직류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에, 작용측 전극에 대해 리보플라빈 용액이 반발하고, 또한 비작용측 전극에 흡인되어 각막에 침투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구의 스프링 백(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각막 변형이 복원되는 것을 예상하지 못한 경우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실제 치료에서는 목적하는 시력으로까지 교정하기 위해, 콘택트 렌즈를 단계적으로 변경하여, 마지막에 원하는 시력을 얻을 수 있는 곡률 R0의 오목 만곡면을 각막에 형성하는 콘택트 렌즈를 사용하여, 리보플라빈 용액을 침투시키고, 또한 그대로 콘택트 렌즈를 통해 각막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안구의 탄성 복원력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상기의 곡률 R0의 오목 만곡면은 곡률 Rs의 볼록 만곡면인 가압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근시 교정의 경우, 각막에 형성하고자 하는 오목 만곡면의 곡률을 R0로 하고, 가압 영역의 볼록 만곡면의 곡률을 RS로 할 때, RS=R0+5.0D 내지 R0+10.0D가 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D는 눈의 굴절력을 나타내는 단위인 디옵터를 나타낸다. 상기의 +5.0D 내지 +10.0D의 수치는 안구의 탄성 복원력에 기초한, 크로스링킹 후 각막의 변형을 고려한 보정량이며, 본 발명자에 의한 많은 치료예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또한, 크로스링킹 후 각막의 변형은 각막 자체의 복원력에 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이에 안구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변형이 가해졌었던 것은 종래 알려져 있지 않았는데, 본 발명자가 발견하였다.
상기는 곡률 Rs의 볼록 만곡면인 가압 영역으로 환자의 각막을 가압한 후에, 이 가압을 해제했을 때의, 안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각막 돔 중앙부의 곡률 변화량을 ΔR로 할 때, 곡률 RS가 RS=R0+ΔR인 것으로부터 결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원시 교정의 경우, 가압 영역과 릴리프 영역은 근시 교정의 경우와 반대가 되며, 각막에 형성하려고 하는 볼록 만곡면의 곡률을 r0으로 하고, 릴리프 영역의 오목 만곡면의 곡률을 rS로 할 때, rS=r0-6.5D 내지 r0-11.5D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도, 상기 -6.5D 내지 -11.5D의 수치는 치료예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상기 원시 교정의 경우도, 각막 돔 중앙부의, 안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각막의 곡률 변화량을 Δr로 할 때, 곡률 rS가 rS=r0-Δr이 되는 것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렌즈 중심부 이외의 부위에서 릴리프 영역을 구성하는 오목부 위치에서의 렌즈 두께를 0.3mm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리저버부를 렌즈 외측에 연속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렌즈에 리저버부를 접착하거나 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며, 또한 렌즈 표면에 리저버부를 적재했을 뿐인 경우와 같은 리보플라빈 용액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두께를 종래 대비 2배 이상으로 함으로써, 렌즈 표면으로부터 입사된 자외선을, 렌즈 내에서 복수회 반사를 반복함으로써 균일화되어 각막에 입사시킬 수 있다.
또한,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에서, 주연부(周緣部)의 외경(D1)은 인간의 각막 외주연의 평균외경(D0)보다도 3.0 내지 5.0mm 크게 되며, 또한 외주연부의 직경이 D0 -3.0mm 내지 D0 -5.0mm인 위치에서부터 가장 외주까지의 환형 영역에서의 각막에 접촉하는 측에, 자외선을 차폐하는 UV 차폐막을 마련하면 된다.
이는 크로스링킹시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만능세포가 존재하는 각막의 외주연(각막 고리부)까지 크로스링킹되어 버리면, 각막의 재생이 곤란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렌즈 내에서 자외선의 반사를 반복하여 각막에 입사시킬 경우에, UV 차폐막이 유효하게 된다.
자외선을 차폐하는 UV 차폐막의 재료는 각막에 대해 무해한 재료, 예를 들면 금 박막, 티타늄 박막, 은 박막 등을 사용하면 된다.
UV 차폐막을 콘택트 렌즈의 외측에 마련하면, 콘택트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입사된 자외선이 내부에서 반사/회절되어 각막의 외주연에 도달하는 일이 있으므로, UV 차폐막은 각막에 접촉하는 측에 마련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이하, 콘택트 렌즈)(30)는 근시 교정용으로서, 각막(2)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콘택트 렌즈(30)는 렌즈부(30A) 및 이와 연속 일체적으로 형성된 리저버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렌즈부(30A)는 환자 각막에 장착한 상태에서, 각막 돔(각막(2)의 전단면의 가장 융기되어 있는 곳)의 중앙에 접촉하는 원형의 렌즈 중앙 영역과, 이를 둘러싸는 원형 고리 모양의 링형상 영역을 포함하고, 렌즈 중앙 영역은 각막 돔의 중앙을 가압하는 위치에서 볼록 만곡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가압 영역(32)으로 이루어지며, 링형상 영역은 가압 영역(32)의 외주를 둘러싸는 위치에 형성된, 단면이 오목 원호 형상인 환형 오목부로 이루어진 릴리프 영역(34)으로 이루어져 있다. 렌즈부(30A)는 또한 릴리프 영역(34)의 외주를 둘러싸는 위치에 마련되며, 각막(2)에 장착되었을 때에, 각막(2)의 윤곽(36)(도 2 참조)을 따른 것 같은 형상의 앵커 영역(38)과, 이 앵커 영역(38)의 외주를 둘러싸는 주연부(40)를 가짐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리저버부(12)는 환형 오목부로 이루어진 릴리프 영역(34)의 렌즈 외측에, 렌즈부(30A)와 일체적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원통형의 둘레벽(12A)으로 이루어지며, 렌즈부(30A)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작용측 전극(14)은 리저버부(12)의 내주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띠형상 도전 재료, 예를 들면 금 박막, 혹은 도전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비작용측 전극(16)은 예를 들면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지며,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인체의 피부에 첩착(貼着), 또한 도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작용측 전극(14)의 극성은 리보플라빈 용액과 동일한 극성, 여기에서는 양이온(cation)이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막(2)은 콘택트 렌즈(30)에 의해 교정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 1에서의 콘택트 렌즈(30)는 도 1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되는 종래의 콘택트 렌즈(5A)에 비해 두껍게 되며, 렌즈 중심(30C)의 렌즈 두께는 0.3mm 이상, 1.0mm 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렌즈 강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0.4mm 이상, 1.0mm 이하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콘택트 렌즈(5A)에서도 릴리프 영역의 오목부의 바닥면이 주변부를 제외하고 가장 두께가 얇은 부분이지만, 이 실시예 1에서는 릴리프 영역(34)을 구성하는 환형 오목부의 바닥면(34A)의 렌즈 두께가 당해 바닥면(34A)과 리저버부(12)의 바닥면(12B) 사이이며, 렌즈 중심부와 동일한 두께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두께는 적어도 0.3mm이면 충분하다.
리저버부(12)의 외측(안구(1)와 반대측)에는 각막침투장치(10)가 마련되어 있다.
각막침투장치(10)는 환자 안구(1)의 각막(2)의 중심부에 대응하여, 콘택트 렌즈(30)의 외측에 일체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리저버부(12)와, 이 리저버부(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작용측 전극(14)과, 안구(1) 근방에서 환자의 피부에 점착되는 비작용측 전극(16)과, 작용측 전극(14)과 비작용측 전극(16) 사이에 배치된 배터리(13A), 스위치(13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부호 3은 수정체를 나타내고, 6A는 UVA 조사 LED를 나타내며, 6B는 UVB 조사 LED를 나타내고, 부호 19는 리저버부(12)의 상방으로부터 리보플라빈 용액을 적하하기 위한 시린지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30A)에는, 그 중앙(렌즈 중심(30C))을 둘러싸는 동일 가상원 상의 4군데에 등간격(90°의 등각도 간격)으로 가압 영역(32)을 렌즈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리저버부(12) 내부와 가압 영역(32)을 연통시키는 연통홀(44)이 형성되어 있다.
리저버부(12)의 내경은 4개의 연통홀(44) 및 가압 영역(32)의 외측을 둘러싸는 크기로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이점쇄선에 의해, 종래의 근시 교정용 콘택트 렌즈(이하, 종래 렌즈)(5A)를 나타낸다. 이 종래의 근시 교정용 콘택트 렌즈(5A)는 목표로 하는 환자의 나안 시력을 얻기 위해 곡률 R0의 오목 만곡면을 형성하는 가압 영역(곡률 R0 의 볼록 만곡면)을 구비하고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콘택트 렌즈(30)에 있어서, 도 1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가압 영역(32)은 종래 렌즈(5A)에 대해 각막(2) 방향으로 돌출되며, 반대로 릴리프 영역(34)은 종래 렌즈(5A)의 릴리프 영역(6A)보다도 깊은 환형 오목부로 되어 있다. 또한, 주연부(40)는 종래 렌즈(5A)의 주연부보다도 크고, 각막(2)의 윤곽(36)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실시예 1에서의 가압 영역(32)의 볼록 만곡면의 곡률을 RS로 하고, 종래 렌즈(5A)의 볼록 만곡면의 곡률을 R0으로 할 때, RS=R0+5.0D 내지 R0+10.0D가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곡률 R0는 환자의 나안 시력 및 원추 각막 중 적어도 한쪽을 교정할 때의, 각막(2)에 형성하고자 하는 오목 만곡면의 곡률이다. RS>R0이 되도록 하고 있는 것은 볼록 만곡면의 곡률 R0의 가압 영역으로 환자의 각막을 가압한 후에, 이 가압을 해제할 경우, 각막 돔 중앙부의, 안구의 탄성 복원력(스프링 백)으로 인해 오목 만곡면의 곡률이 작아지도록 변형되므로, 이 스프링 백양을 미리 예상한 것이며, 이 스프링 백양을 ΔR로 할 때, 곡률 RS는 RS=R0+ΔR이 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 백 량은 환자마다 다르며, 시행착오에 의해 ΔR을 구하게 되는데, 치료예로부터, 대체로 RS=R0+5.0D 내지 R0+10.0D가 되도록 하면 대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30)의 주연부(40)의 외경(D1)은 인간의 각막 외주연의 평균외경(D0)보다도 3.0 내지 5.0mm 크게 되며, 또한, 그 주연부(40)의 직경이 D0-3.0mm 내지 D0-5.0mm인 위치에서부터 가장 외주까지의 환형 영역에서의 각막(2)에 접촉하는 측에, 자외선을 차폐하는 UV 차폐막(42)이 마련되어 있다. 이 UV 차폐막(42)은 각막(2)에 접촉하여도 무해한 재료, 예를 들면 Au, Ti, Ag 등의 박막이 좋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 차폐막(42)을 형성하면, 각막(2)의 주연부(40)는 크로스링킹시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도 장애를 받는 일이 없어, 각막 재생을 위한 만능세포를 보존할 수 있다.
상기 콘택트 렌즈(30)를 이용하여 교정한 상태에서 각막(2)을 크로스링킹에 의해 고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막침투장치(10)를 외측에 부착한 콘택트 렌즈(30)를 환자의 각막(2)에 장착하여, 각막(2)을 콘택트 렌즈(30) 내측의 가압 영역(32), 릴리프 영역(34)의 형상에 따라 교정한다.
이어, 상기 교정상태에서, 콘택트 렌즈(30)를 빼지 않고, 그대로 리저버부(12)에 리보플라빈 용액을 주입한 후, 작용측 전극(14), 비작용측 전극(16) 사이에 배터리(13A)로부터 통전한다.
리보플라빈 용액은 작용측 전극(14)의 극성과 동일하므로 반발하여, 비작용측 전극(16) 방향, 즉 각막(2) 방향으로 이온토포레시스 작용에 의해 이동한다.
이때, 리저버부(12)와 각막(2)의 표면 사이에는 연통홀(4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리저버부(12) 내의 리보플라빈 용액은 연통홀(44)을 통해서 쉽게 각막(2)의 표면에 도달하며, 또한 각막(2) 내로 침투해 들어간다.
이 과정에서, 리저버부(12) 내의 리보플라빈 용액은 리저버부(12)가 렌즈(30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경계로부터 렌즈 표면으로 누설되는 일없이, 전량이 각막(2)의 표면에 도달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누설된 리보플라빈 용액을 의사가 자주 닦아줄 필요가 없다.
리보플라빈 용액의 각막(2)으로의 침투 후에, 그대로의 상태에서, 콘택트 렌즈(30)를 통해 각막(2)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각막(2)을 구성하는 콜라겐 섬유를 가교시킨다. 이 경우, 자외선은 주로 리저버부(12)로부터 조사시키면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주로 UVA 조사 LED(6A)로부터 UVA를 조사하는데, UVB 조사 LED(6B)로부터 UVB를 동시에 또는 UVA 후에 조사하여도 좋다. UVB는 미량, 단시간이면 해가 적으며, 또한 근시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리저버부(12)의 바닥부는 렌즈 중앙 영역이기 때문에, 여기를 통해 각막(2)으로의 자외선 조사는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외측면 중, 리저버부(12)의 도면에서 외측에 자외선 입사영역(31)을 마련하고, 다른 부분에 UV 반사막(31A)을 코팅하여, 상기 자외선 입사영역(31)으로부터 UV광을 조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자외선 입사영역(31)은 리저버부(12)를 둘러싸도록 원형 고리 모양으로 형성하여, 하나 또는 복수 군데로부터 자외선을 입사하도록 할 수 있다. UV 반사막(31A)은 Au, Ag, Cu, Ti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며, 이를 리저버부(12) 내에 마련하면 작용측 전극을 겸할 수 있다.
자외선은 자외선 입사영역(31)에 있어, 렌즈 표면과 직교하도록 렌즈부(30A) 내에 입사된다. 입사한 자외선은 그대로 직진하여, 반대편에서부터 각막(2)에 입사한다. 또한, 일부는 내부 반사나 회절을 일으키고, UV 반사막(31A)에서 반사되어, 렌즈 내측면으로부터 출사하여 각막(2)에 입사된다.
또한, 콘택트 렌즈(30)의 각막(2)에 접촉하는 측에서, 주연부(40)를 덮도록 하여 UV 차폐막(4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이 각막(2)에 도달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주연부(40)의 내측에 있는 각막(2)의 만능세포가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한, 자외선 조사 종료 후에, 콘택트 렌즈(30)를 빼내어도, 각막(2)은 가압 영역(32) 및 릴리프 영역(34)에 의해 부가된 형상 그대로 고정된다.
콘택트 렌즈(30)를 빼낸 후에, 안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각막(2)의 중앙부가 돌출되는데, 이는 미리 스프링 백 량을 예상하고 가압 영역(32)의 볼록 만곡면의 곡률 RS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백 후의, 각막(2)에 형성된 오목 만곡면의 곡률은 R0이 된다.
실시예 2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2에 따른 원시 교정용 콘택트 렌즈(13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있어, 종래의 원시 교정용 콘택트 렌즈(5B)가 이점쇄선으로 표시된다.
실시예 2의 원시 교정용 콘택트 렌즈(130)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콘택트 렌즈(30)에 대해, 가압 영역과 릴리프 영역의 요철이 서로 뒤바뀐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렌즈 중앙 영역은 릴리프 영역(134)이 되며, 링형상 영역은 가압 영역(132)으로 되어 있다.
이 원시 교정용 콘택트 렌즈(130)의 렌즈부(130A)의 릴리프 영역(134)은 각막(2)에 장착될 때, 각막 돔의 중앙부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오목 만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압 영역(132)은 릴리프 영역(134)의 영역 외주를 둘러싸는 위치에 형성된, 단면이 볼록 원호 형상인 환형 볼록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앵커 영역(138)은 가압 영역(132)의 외주를 둘러싸는 위치에 마련되며, 각막(2)에 장착되었을 때에, 각막의 윤곽(136)(도 4 참조)을 따른 듯한 형상이 되며, 주연부(140)는 앵커 영역(138)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 도 3의 부호(142)는 UV 차폐막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 2에 따른 원시 교정용 콘택트 렌즈(130)에서는, 리저버부(112) 내부와 각막(2)측 표면 사이에는 원시 교정용 콘택트 렌즈(13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홀(144)이 총 9개 형성되어 있다.
원시 교정용 콘택트 렌즈(130)의 중심 위치에는 내경이 다른 연통홀보다 굵은 중심 연통홀(144A)이 형성되고, 그 주위를 둘러싸며 두 개의 동심원 상에 각각 4개의 중간 연통홀(144B)과 외측 연통홀(144C)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중간 연통홀(144B)은 릴리프 영역(134) 내에서 가압 영역(132)의 렌즈 중심측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외측 연통홀(144C)은 가압 영역(132)의 렌즈 중심과 반대측(외부)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중간 연통홀(144B) 및 외부 연통홀(144C)은 모두 3개 이상의 복수 군데에 등간격으로 형성하면 된다. 또한, 중간 연통홀(144B)을 가압 영역(132) 내에 형성한 경우에는 외측 연통홀(144C)은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리저버부(112)는 그 내경이 외측 연통홀(144C)이 형성되어 있는 동심원의 보다 외측의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렌즈 외측면에 리저버부(112)가 렌즈부(130A)와 연속 일체 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 2에서의 콘택트 렌즈(130)의 렌즈부(130A)는 도 3에서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종래의 콘택트 렌즈(5B)에 비해 두껍게 되며, 렌즈 중심부, 즉 릴리프 영역(134)의 중심의 렌즈 두께는 0.3mm 이상 1.0mm 이하로 되어 있다. 실시예 2에서는 릴리프 영역의 렌즈 두께가 가장 얇게 되므로, 다른 부분은 렌즈 중심부보다도 두껍게 된다. 또한, 렌즈 강도가 필요한 경우는 0.4mm 이상 1.0mm 이하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 2에 따른 원시 교정용 콘택트 렌즈(130)는 시력 교정시, 각막(2)에 형성하고자 하는 볼록 만곡면의 곡률을 r0으로 하고, 릴리프 영역(134)의 오목 만곡면의 곡률을 rS 로 할 때, rS=r0-6.5D 내지 r0-11.5D가 되도록 한 것이다.
이 수치는 원시 교정용 콘택트 렌즈(130)의 가압을 해제했을 때의, 각막 돔 중앙부의, 안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스프링 백 량(Δr)을 고려한 보정량이며, 본 발명자에 의한 많은 치료예로부터 도출된 것으로, 곡률 rS는 rS=r0-Δr이다.
이 원시 교정용 콘택트 렌즈(130)를 이용하여 교정 각막을 크로스링킹할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근시 교정용 콘택트 렌즈(30)와 마찬가지 과정을 거쳐 크로스링킹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2에서의 작용측 전극(14, 114)은 리저버부(12, 11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리저버부(12, 112)의 바닥면(12B, 112B), 즉 렌즈부의 표면에 예를 들면 광투과성 도전막이나 광투과성 금속 박막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및 2의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30, 130)는 모두 환자의 각막에 장착한 상태에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으로 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3에 따른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각막에 장착한 상태에서 정면에서 본 렌즈 외형이 해당 환자의 윗눈꺼풀(4), 아랫눈꺼풀(5)을 벌린 상태에서의, 상기 위아래 눈꺼풀(4, 5)의 내주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상기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30 또는 130)의 원형의 폭방향 양측에 연장부(154A)를 마련한 것이다. 또한, 리저버부, 연통홀 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크로스링킹 시술 중에, 각막의 중심에 대해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가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하거나 하는 일이 없어, 안정된 상태에서 시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가 이동하거나 회전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면 되며, 그 폭방향 길이는 위아래 눈꺼풀(4, 5)의 내주의 형상에 있어서의 전체 폭을 L로 할 때, 눈꺼풀(4, 5)의 내주와 접하는 길이가 눈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좌우로, L/5 내지 L/2의 범위이면 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2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L/5 폭의 연장부(154B), 또는 3L/10 폭의 연장부(154C)로서 좌우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 렌즈 중심부의 최대 두께를 1.0mm로 한 것은 1.0mm이면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초과하는 두께는 렌즈를 무겁게 할 뿐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 내지 3 중 어느 한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의 깎아내기에 의한 제조 과정에 대해, 실시예 1의 경우를 설명한다.
도 6 (A)로 도시되는, 버튼이라 불리는 렌즈 소재(100)의 한쪽 끝면(101A)에, 먼저,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저버부(102)를 깎아내기에 의해 형성한다. 이 때, 렌즈 소재(100)는 접착제나 지그에 의해 홀더(103)에 홀딩된다. 이어, 도 6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소재(100)는 리저버부(102)측을 지그(104)에 의해 홀딩되며, 다른쪽 끝면(101B)에 깎아내기에 의해 가압 영역(105), 릴리프 영역(106), 앵커 영역(107), 주연부(108)가 형성되고, 마지막으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홀(109)이 레이저 빔, 드릴 등에 의해 천공되며, 도 6 (B)에 도시된 리저버부(102)의 깎아내기는 렌즈의 외측 가압이 되어, 각막에 접촉하지 않는 면이므로, 황삭(荒削)이어도 좋다.
따라서, 이 면을 도 6 (C), (D)로 도시되는 공정에서, 콘택트 렌즈의 고정시에 지그에 의해 손상시키거나 하여도 문제 없다.
또한, 가압 영역(105)이나 릴리프 영역(106)은 각막에 접촉하므로, 정밀하게 연마해야 하는데, 반대측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정밀 연마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저버부(102)를 렌즈 소재(100)의 제조시에 미리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해 두도록 할 수도 있다.
강성이 높아 잘 깨지지 않는 콘택트 렌즈에 의해 형상을 교정한 상태에서, 각막을 크로스링킹(crosslinking)에 의해 고정할 때의 리보플라빈 용액을 신속하고 누설이 적으면서 확실하게 각막에 침투시키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다.
1 : 안구 2 : 각막
3 : 수정체 4 : 윗눈꺼풀
5 : 아랫눈꺼풀 6A : UVA(자외선 A파) 조사 LED
6B : UVB(자외선 B파) 조사 LED 10 : 각막침투장치
12, 102, 112 : 리저버부 12A, 112A : 둘레벽
12B, 112B : 바닥면 13A : 배터리
13B : 스위치 14, 114 : 작용측 전극
16 : 비작용측 전극 19 : 시린지
30, 130, 150 :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콘택트 렌즈)
30A, 130A : 렌즈부 30C : 렌즈 중심
31 : 자외선 입사 영역 31A : UV 반사막
32, 105, 132 : 가압 영역 34, 106, 134 : 릴리프 영역
36, 136 : 윤곽 38, 107, 138 : 앵커 영역
40, 108, 140 : 주연부 42, 142 : UV 차폐막
44, 109, 144 : 연통홀 100 : 렌즈 소재
101A, 101B : 끝면 103 : 홀더
104 : 지그 144A : 중심 연통홀
144B : 중간 연통홀 144C : 외측 연통홀
154A, 154B, 154C : 연장부

Claims (17)

  1. 자외선 투과 재료로 구성되며, 환자의 각막과 접촉하는 측에, 오목부로 이루어진 릴리프 영역과 볼록부로 이루어진 가압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 릴리프 영역과 가압 영역을 각막에 꽉 눌러 각막의 형상을 바꿈으로써, 나안 시력 및 원추 각막 중 적어도 한쪽을 교정하기 위한 콘택트 렌즈로서,
    렌즈부와 리저버(reservoir)부로 구성되며,
    상기 렌즈부는 환자의 각막과 접촉하는 측에, 각막에 장착되었을 때에, 각막 돔 중앙에 접촉하는 위치의 원형의 렌즈 중앙 영역과, 상기 렌즈 중앙 영역을 둘러싸는 원형 고리 모양의 링형상 영역을 가지며, 상기 렌즈 중앙 영역과 링형상 영역은 한쪽이 상기 가압 영역 또는 상기 릴리프 영역을 구성하고, 다른 한쪽이 상기 릴리프 영역 또는 상기 가압 영역을 구성하며,
    상기 리저버부는 상기 렌즈 중앙 영역의 렌즈 두께 방향 외측 위치에 상기 렌즈부와 연속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리보플라빈 용액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리보플라빈 용액과 접촉하는 위치에 마련된 리보플라빈 용액과 동일 극성을 갖는 작용측 전극을 가지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리저버부 내부와 상기 렌즈 중앙 영역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을 가지며, 또한, 렌즈 두께가 상기 렌즈 중앙 영역에서 0.3mm 이상, 1.0mm 이하가 되게 구성되어, 이온토포레시스에 의해 상기 리보플라빈 용액을 각막 조직에 침투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부는 상기 링형상 영역의 렌즈 외측에서, 상기 렌즈부와 일체적으로 연속 형성된 원통형의 둘레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외측에서의 상기 리저버부를 둘러싸는 외주영역에, 렌즈 내부로의 자외선 입사를 가능하게 하는 자외선 입사 영역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에, 상기 렌즈부 내측으로의 자외선 입사를 가능하게 하는 자외선 입사 영역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중앙 영역은 각막에 장착되었을 때에, 각막 돔의 중앙을 가압하는 위치에서 볼록 만곡면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어, 각막에 오목 만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가압 영역이 되고,
    상기 링형상 영역은 상기 가압 영역의 외주를 둘러싸는 위치에 형성된, 단면이 오목 원호 형상인 환형 오목부로 이루어진 릴리프 영역이 되며,
    상기 릴리프 영역을 구성하는 상기 환형 오목부의 바닥면에서의 렌즈 두께가 적어도 0.3mm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가압 영역 내에서 렌즈 중심을 둘러싸는 동일 가상원 상의 복수 군데에, 렌즈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동일 가상원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중앙 영역은 각막에 장착되었을 때에, 각막 돔의 중앙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오목 만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각막에 볼록 만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릴리프 영역이 되며,
    상기 링형상 영역은 상기 릴리프 영역의 외주를 둘러싸는 위치에 형성된, 단면이 볼록 원호 형상인 환형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가압 영역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부는 상기 환형 볼록부의 렌즈 외측에서, 상기 연통홀을 둘러싸며, 상기 렌즈부와 일체적으로 연속 형성된 원통형의 둘레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렌즈 중심 위치에 1개 형성되고, 상기 렌즈 중심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동일 가상원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렌즈 중심 위치에 1개 형성되고, 상기 렌즈 중심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동일 가상원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릴리프 영역 내에서, 상기 가압 영역의 렌즈 중심측에 인접한 위치의 가상원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부는 상기 릴리프 영역 및 상기 가압 영역의 렌즈 두께 방향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리저버부 내부와 상기 가압 영역의 외주 위치를 연통시키는 외측 연통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연통홀 위치에서의 렌즈 두께가 적어도 0.3mm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부 내의 리보플라빈 용액에 접촉하는 위치의 렌즈 표면에, 광투과성 도전막이나 광투과성 금속 박막을 형성하고, 이를 상기 작용측 전극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16.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의 각막에 장착한 상태에서 정면에서 본 렌즈 외형이 해당 환자의 위아래 눈꺼풀을 벌린 상태에서의, 상기 위아래 눈꺼풀의 내주의 형상에 있어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좌우로, 상기 내주의 가로방향의 전체 폭을 L로 할 때, 눈꺼풀의 내주와 접하는 길이가 L/5 내지 3L/10의 폭 범위에서, 상기 내주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17.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원판 형상의 렌즈 소재의 한쪽 끝면에 상기 리저버부를 형성하고, 이어 상기 리저버부를 홀딩한 상태에서, 다른쪽 끝면에 상기 가압 영역 및 상기 릴리프 영역을 깎아 상기 렌즈부의 환자의 각막과 접촉하는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KR1020187019651A 2015-12-22 2016-12-22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955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0664 2015-12-22
JP2015250664 2015-12-22
PCT/JP2016/088392 WO2017111027A1 (ja) 2015-12-22 2016-12-22 矯正角膜クロスリンキング用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573A true KR20180095573A (ko) 2018-08-27

Family

ID=5909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651A KR20180095573A (ko) 2015-12-22 2016-12-22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22401B2 (ko)
EP (1) EP3395307A4 (ko)
JP (1) JP6443900B2 (ko)
KR (1) KR20180095573A (ko)
CN (1) CN108601673B (ko)
AU (1) AU2016379263A1 (ko)
CA (1) CA3009037A1 (ko)
SG (1) SG11201805074XA (ko)
WO (1) WO2017111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2911B2 (en) 2010-09-30 2017-04-18 Cxl Ophthalmics, Llc Ophthalmic treat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e
EP2830627B1 (en) 2012-03-29 2024-05-01 Epion Therapeutics, Inc. Ocular treatment solutions, delivery devices and delivery augmentation methods
US9566301B2 (en) 2012-03-29 2017-02-14 Cxl Ophthalmic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diseases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US20210023384A1 (en) * 2018-03-21 2021-01-28 Tsubota Laboratory, Inc. Non-invasive cornea and sclera strengthening device and method
TWI748543B (zh) * 2020-07-02 2021-12-01 亨泰光學股份有限公司 角膜塑型片在反轉弧之設計結構
TWI759969B (zh) * 2020-11-19 2022-04-01 艾克夏醫療儀器股份有限公司 控制處理眼部組織設備的電腦程式及電腦可讀取媒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6080A (ja) 2013-08-14 2015-02-23 石根 三井 矯正角膜クロスリンキング用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矯正角膜のクロスリンキ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0051A (en) 1991-10-15 1993-12-14 Harris Donald H Enzyme-orthokeratology
US6582077B1 (en) * 1999-11-03 2003-06-24 Roger L. Tabb Orthokeratological contact lenses and design methods therefor
WO2009090763A1 (ja) 2008-01-16 2009-07-23 Tokuichiro Hasegawa 視力矯正冶具及び同冶具用の冷却流体注入具
WO2011116306A2 (en) * 2010-03-19 2011-09-22 Aved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and monitoring eye therapy
MX347934B (es) * 2011-01-12 2017-05-18 Sooft Italia Spa Dispositivo y método para el suministro de riboflavina en la córnea, mediante iontoforesis, para el tratamiento de queratocono.
JP2013066624A (ja) 2011-09-23 2013-04-18 Menicon Co Ltd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保持具
CN108378984B (zh) 2013-06-25 2020-06-26 Tec晶体有限责任公司 用于眼睛的光线疗法的装置
EP2898922B1 (en) * 2014-01-27 2017-05-24 OPIA Technologies Ocular iontophoresis device
JP5828535B1 (ja) 2014-10-10 2015-12-09 石根 三井 矯正角膜クロスリンキング用コンタクトレン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6080A (ja) 2013-08-14 2015-02-23 石根 三井 矯正角膜クロスリンキング用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矯正角膜のクロスリンキン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95307A4 (en) 2019-07-10
US20190008683A1 (en) 2019-01-10
CA3009037A1 (en) 2017-06-29
SG11201805074XA (en) 2018-07-30
JPWO2017111027A1 (ja) 2018-09-13
EP3395307A1 (en) 2018-10-31
CN108601673A (zh) 2018-09-28
AU2016379263A1 (en) 2018-07-19
JP6443900B2 (ja) 2019-01-09
CN108601673B (zh) 2019-08-27
WO2017111027A1 (ja) 2017-06-29
US10722401B2 (en)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5573A (ko) 교정 각막 크로스링킹용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JP5828535B1 (ja) 矯正角膜クロスリンキング用コンタクトレンズ
US8623001B2 (en) Contact glass for ophthalmologic surgery
ES2280203T3 (es) Implante universal para modificar la curvatura de la cornea.
US5807380A (en) Optical guide and method for use in corrective laser eye surgery
CN101947159A (zh) 由附属部分和医疗仪器构成的系统
CN103997995A (zh) 用于眼睛外科手术的系统、接口设备、接口设备的应用以及方法
CN107072816B (zh) 眼外科手术方法
CN101282699B (zh) 用于眼外科的接触镜
RU2480189C2 (ru) Аппарат для вырезания части ткани сфокусированным лазерным излучением
US20110313344A1 (en) Method for treating refractive errors and vision disorders of an eye
EP3451969A1 (en) Corne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US20200170835A1 (en) System for Correcting an Irregular Surface of a Cornea and Uses Thereof
EP3073316B1 (en) Contact lens for cornea-correction crosslinking, cornea-correction crosslinking method, and ring-shaped contact lens
JP5881083B2 (ja) 矯正角膜クロスリンキング用コンタクトレンズ
US20220233842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a corneal tissue
JP6120338B2 (ja) リング状角膜矯正用コンタクトレンズ
ITMI20072043A1 (it) Dispositivo migliorato per ortocheratologia e metodo per il suo utilizz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