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417A - 코일스프링을 구비한 로크너트에 장착되는 로크해제부재 및 당해 로크해제부재를 장착한 로크너트의 체결방법과 해제방법 - Google Patents
코일스프링을 구비한 로크너트에 장착되는 로크해제부재 및 당해 로크해제부재를 장착한 로크너트의 체결방법과 해제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5417A KR20180095417A KR1020170035184A KR20170035184A KR20180095417A KR 20180095417 A KR20180095417 A KR 20180095417A KR 1020170035184 A KR1020170035184 A KR 1020170035184A KR 20170035184 A KR20170035184 A KR 20170035184A KR 20180095417 A KR20180095417 A KR 201800954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
- nut
- screw
- lock nut
- male screw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405 prev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05 finger na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with a second part of the screw-thread which may be resilient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로크너트의 해제 작업성 및 나사결합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해결수단) 본 발명은, 수나사(100)에 나사결합이 가능한 코일스프링(11)을 너트 본체(12)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로크너트(10)에 장착 가능한 로크해제부재(1)이다. 코일스프링(11)은, 나선상으로 성형한 나사결합부(11b)와, 나사결합부(11b)의 일단을 이루고 나사결합부(11b)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너트 본체(12)에 고정하여 지지된 회전정지 단부(11a)와, 나사결합부(11b)를 확경 또는 축경하는 쌍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너트 본체(12)에 느슨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배치된 자유 단부(11c)를 구비한다. 너트 본체(12)는, 회전정지 단부(11a)의 부착 장소를 이루는 고정부(12c)와, 자유 단부(11c)를 쌍방향으로 느슨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조작부(14)로 구성한다. 로크해제부재(1)는, 조작부(14)에 장착됨으로써 나사결합부(11b)를 확경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게 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은, 수나사(100)에 나사결합이 가능한 코일스프링(11)을 너트 본체(12)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로크너트(10)에 장착 가능한 로크해제부재(1)이다. 코일스프링(11)은, 나선상으로 성형한 나사결합부(11b)와, 나사결합부(11b)의 일단을 이루고 나사결합부(11b)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너트 본체(12)에 고정하여 지지된 회전정지 단부(11a)와, 나사결합부(11b)를 확경 또는 축경하는 쌍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너트 본체(12)에 느슨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배치된 자유 단부(11c)를 구비한다. 너트 본체(12)는, 회전정지 단부(11a)의 부착 장소를 이루는 고정부(12c)와, 자유 단부(11c)를 쌍방향으로 느슨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조작부(14)로 구성한다. 로크해제부재(1)는, 조작부(14)에 장착됨으로써 나사결합부(11b)를 확경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코일스프링(coil spring)을 내장한 로크너트(lock nut)에 장착되고, 당해 코일스프링을 확경(擴徑)할 수 있는 로크해제부재(lock 解除部材), 및 당해 로크해제부재를 장착한 로크너트의 체결방법(tightening method)과 해제방법(loosening method)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로크너트는,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나사로부터 해제되기 어려운 특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나사에 나사결합이 가능한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너트 본체(nut 本體)와, 상기 암나사부에 연속하게 설치되며 탄성변형(彈性變形)이 가능한 나선상의 코일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일스프링은, 탄성변형하는 소재에 의하여 성형되어 있고, 수나사에 나사결합이 가능하고 또한 당해 수나사보다 조금 작은 지름으로 설정된 나선부(螺旋部)와, 이 나선부에서 모양을 바꾸어 상기 너트 본체에 고정되어 지지된 회전정지 단부(回轉停止 端部)와, 나선부에서 모양을 바꾸어 너트 본체에 느슨하게 결합하도록 배치된 자유 단부(自由 端部)를 일체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자유 단부는, 이것을 작업자 등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탄성변형되어, 느슨하게 결합하도록 배치된 공간 내에서 미동(微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로크너트를 수나사에 나사결합하는 경우에, 수나사에 대하여 너트 본체에 정회전을 부여함으로써 나사결합부(螺絲結合部)가 당해 수나사의 나사부를 따라 나사결합한다. 이 나사결합 시에 있어서 나사결합부는, 정지한 수나사에 접촉하여 회전방향의 저항을 받기 때문에, 이것에 연장되어 느슨하게 결합하도록 배치된 자유 단부가, 당해 나사결합부를 확경시키는 방향으로 미동한다. 따라서 종래의 로크너트는, 나사결합 시에 나사결합부가 항상 확경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기 때문에, 당해 수나사에 원활하게 나사결합할 수 있어, 과도한 나사결합 토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종래의 로크너트를 수나사로부터 해제하는 경우에는, 너트 본체를 역회전시키게 되지만, 당해 너트 본체는 수나사로부터 체결이 해제되지 않는다. 이것은, 나사결합부가 상기의 수나사에 나사결합하는 경우의 역방향 회전저항을 받기 때문이며, 자유 단부도 당해 나사결합부를 축경(縮徑)시키는 방향으로 미동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나사결합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나사보다 작은 지름으로 치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에 나사결합한 수나사를 축경시키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변형하는 것도 체결이 해제되지 않는 요인이다. 따라서 종래의 로크너트는, 이것을 체결하는 일방향(一方向)으로 원활하게 회전하지만, 타방향(他方向)이 되는 해제하는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아 수나사로부터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종래의 로크너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통 수나사로부터 체결이 해제되지 않지만, 의도적으로 해제하고 싶다는 요망에 대하여도 만족하는 구조이다. 이것은, 상기의 나사결합할 때나 해제할 때에도 분명한 바와 같이, 자유 단부가 나사결합부를 확경 및 축경시켜 쌍방향으로 미동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로크너트를 수나사로부터 떼어내고 싶을 경우에, 작업자 등에 의하여 자유 단부를 조작하여 나사결합부를 확경시킨다. 이에 따라 확경된 나사결합부는, 수나사로부터 이반(離反)하기 때문에 나사결합부와 수나사와의 접촉이 감소한다. 이렇게 나사결합부를 확경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또한 너트 본체를 역회전시키면 수나사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로크너트는, 작업자 등에 의하여 자유 단부를 가압하여 나사결합부를 확경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너트 본체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역회전시킴으로써 수나사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나사로부터 해제하는 경우에는 자유 단부의 가압조작 및 너트 본체의 역회전하는 2개의 작업을 동시에 실시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로크너트는, 해제 작업성이 아주 낮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로크너트는, 수나사에 체결하는 사이에, 수나사보다 작은 지름으로 설정된 나사결합부가 당초 설정된 작은 지름으로 되돌아 축경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기 때문에, 나사결합부가 당해 수나사에 강하게 접촉한다. 따라서 종래의 로크너트는, 수나사에 나사결합 시에 과도하지는 않지만 비교적 높은 나사결합 토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수나사에 대한 나사결합 작업성이 낮은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로크너트의 해제 작업성 및 나사결합 작업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수나사에 나사결합이 가능한 코일스프링을 너트 본체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로크너트에 장착 가능한 로크해제부재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을 나선상으로 성형한 나사결합부와, 이 나사결합부의 일단을 이루고 당해 나사결합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너트 본체에 고정하여 지지된 회전정지 단부와, 상기 나사결합부를 확경 또는 축경하는 쌍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너트 본체에 느슨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배치된 자유 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너트 본체를, 상기 회전정지 단부의 부착 장소가 되는 고정부와, 상기 자유 단부를 상기 쌍방향으로 느슨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조작부로 구성하고, 상기 로크해제부재는 상기 조작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나사결합부를 확경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로크해제부재의 재질은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로크해제부재는, 상기 조작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너트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로크해제부재는, 상기 손잡이부보다 너트 본체로부터 더 돌출되고, 또한 상기 수지보다 연질특성이 우수한 연질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나사에 나사결합이 가능한 코일스프링의 나사결합부와, 이 나사결합부를 내포하여 이루어지는 너트 본체를 구비한 로크너트의 체결방법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의 조작부에 느슨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나사결합부의 타단을 이루는 자유 단부를 가압하여 당해 나사결합부를 확경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로크해제부재를 상기 조작부에 장착하는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과, 이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 후에 로크너트를 정회전시켜서 상기 수나사의 소정 위치까지 나사를 삽입하는 나사결합 공정과, 체결 완료 후에 상기 로크해제부재를 조작부에서 떼어내고 상기 나사결합부를 축경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서 당해 로크너트를 수나사로부터 해제를 방지하는 로크해제부재 분리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나사에 나사결합한 코일스프링의 나사결합부와, 이 나사결합부를 내포하여 이루어지는 너트 본체를 구비한 로크너트의 해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의 조작부에 느슨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나사결합부의 타단을 이루는 자유 단부를 가압하여 당해 나사결합부를 확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로크해제부재를 상기 조작부에 장착하는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과, 이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 후에 로크너트를 역회전시켜서 상기 수나사로부터 해제하는 해제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크해제부재는, 당해 로크너트에 장착함으로써 나사결합부를 항상 확경할 수 있기 때문에, 확경한 나사결합부와 수나사가 강하게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당해 로크너트를 수나사에 나사결합할 때에는, 나사결합 토크를 종래보다 저감시킬 수 있어, 당해 나사결합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로크너트를 수나사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해제 토크를 종래보다 저감시킬 수 있어, 당해 해제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로크해제부재는, 비교적 부드러운 특성을 구비하는 수지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보다 딱딱한 피아노선 등의 강(鋼)으로 이루어지는 코일스프링이나 너트 본체에 접촉해도 이들을 손상시키기 어려운 이점도 있다.
또한 로크해제부재는, 로크너트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너트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당해 손잡이부를 잡고 잡아당김으로써 로크너트로부터 로크해제부재를 간단히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나사결합 작업 혹은 소정의 토크에 의한 로크너트의 체결 작업이 완료되면, 당해 로크해제부재를 조작부에서 용이하게 뗄 수 있으므로, 로크너트의 해제방지 작용을, 발휘하고 싶은 타이밍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로크너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설명도이며, (a)는 평면도이며, (b)는 정면도이며, (c)는 (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다른 로크너트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며, (a)는 평면도이며, (b)는 정면도이며, (c)는 (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로크해제부재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당해 로크해제부재를 도1의 로크너트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단면도이며, (b)는 (a)의 로크너트를 수나사에 체결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로크해제부재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당해 로크해제부재를 도2의 로크너트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단면도이며, (b)는 (a)의 로크너트를 수나사로부터 해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로크해제부재를 장착한 로크너트를 수나사에 체결하는 체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로크해제부재를 로크너트에 장착하여 해제하는 해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다른 로크너트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며, (a)는 평면도이며, (b)는 정면도이며, (c)는 (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로크해제부재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당해 로크해제부재를 도1의 로크너트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단면도이며, (b)는 (a)의 로크너트를 수나사에 체결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로크해제부재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당해 로크해제부재를 도2의 로크너트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단면도이며, (b)는 (a)의 로크너트를 수나사로부터 해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로크해제부재를 장착한 로크너트를 수나사에 체결하는 체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로크해제부재를 로크너트에 장착하여 해제하는 해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의 일례인 로크해제부제(lock 解除部材) 및 이를 장착한 로크너트(lock nut)의 체결방법과 나사결합방법에 대하여, 도1 내지 도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로크해제부재(1)는, 도1 내지 도4에 나타내는 로크너트(10)에 장착되는 것이며, 우선 로크너트(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크너트(10)는, 체결대상이 되는 수나사(100)에 나사결합이 가능한 코일스프링(coil spring)(11)과, 이 코일스프링(11)의 일단(一端)을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너트 본체(nut 本體)(12)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1)은, 수나사(100)의 나사산(100a)을 따라 나사결합이 가능한 나사결합부(螺絲結合部)(11b)와, 이 나사결합부(11b)의 일단을 이루고 너트 본체(12)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회전정지 단부(回轉停止 端部)(11a)와, 나사결합부(11b)의 타단(他端)을 이루고 너트 본체(12)에 느슨하게 장착될 수 있게 지지되어서 이루어지는 자유 단부(自由 端部)(11c)를 일체(一體)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나사결합부(11b)는, 수나사(100)의 나사산(100a)에 대하여 조금 작은 지름으로 치수가 설정되어 있어, 수나사(100)에 나사결합하면 나사산(100a)에 강하게 접촉하여 지름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11)은, 피아노선 등의 강재(鋼材)로 이루어지는 선재(線材)를 변형시켜 성형되어 있다.
너트 본체(12)는, 나사산(100a)에 나사결합이 가능한 암나사(12a)와, 나사결합부(11b)를 암나사(12a)에 연속도록 형성 가능한 오목부(12b)와, 이 오목부(12b)의 개구부(開口部)에 위치하고 회전정지 단부(11a)를 고정하는 고정부(12c)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너트 본체(12)는, 자유 단부(11c)를 너트 본체(12)의 외측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자유 단부(11c)를 느슨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조작부(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조작부(14)는, 로크너트(10)의 형태에 따라 그 형상을 바꾸어서 설정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도1 및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너트 본체(12)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부(12b)의 내벽으로 서로 통하는 장공(長孔)이거나, 도2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오목부(12b)의 내벽과 이것에 덮인 나사결합부(11b)의 외경의 간극 등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당해 조작부(14)에 가이드(guide)되도록 탄성변형할 수 있는 공간 내에 삽입된 자유 단부(11c)는, 작업자 등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조작부(14) 내에서 나사결합부(11b)의 감는 방향 혹은 그 역방향의 2방향으로 탄성변형됨과 아울러, 이 자유 단부(11c)의 탄성변형에 따라 나사결합부(11b)도 탄성변형하여 축경(縮徑)되거나 확경(擴徑)된다. 또한 이 조작부(14)는, 로크해제부재(1)를 끼울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이하에서 당해 로크해제부재(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크해제부재(1)는, 그 재질이 수지로 설정되어 있어, 조작부(14)에 끼워진 상태이면 상기의 공간 내에 삽입된 자유 단부(11c)를 항상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로크해제부재(1)는, 조작부(14)에 장착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당해 자유 단부(11c) 및 나사결합부(11b)를 탄성변형시켜서 나사결합부(11b)를 확경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해제부재(1)를 조작부(14)에 장착하면 나사결합부(11b)의 지름을 항상 확경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자유 단부(11c)를 계속해서 가압하면서 로크너트(10)를 회전시키는 것과 같은 2개의 작업을 동시에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 로크해제부재(1)는, 조작부(14)에 끼워진 상태이면 상기 조작부(14)로부터 너트 본체(12)의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2)를 구비하고 있고, 이 손잡이부(2)는 작업자의 손가락 등에 걸어 둘 수 있는 부위로 이루어진다. 즉 손잡이부(2)를 구비한 로크해제부재(1)는, 조작부(14)에 끼워져 있어도 작업자가 떼어내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해제부재(1)는, 그 자체나 상기 손잡이부(2)와 동일한 수지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필름모양의 연질 손잡이부(3)를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연질 손잡이부(3)는, 손잡이부(2)보다도 길게 너트 본체(1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연질 손잡이부(3)를 구비한 로크해제부재(1)는, 손잡이부(2)만을 구비하는 로크해제부재에 비하여 손잡이부(2)보다 길고 부드러운 것이므로, 작업자가 이것을 잡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로크해제부재(1)를 장착한 로크너트(10)의 체결방법에 대하여, 도3 및 도5에 의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체결대상인 수나사(100)에 로크너트(10)를 나사결합하기 전에 작업자는, 나사결합부(11b)를 확경하기 위하여 로크해제부재(1)를 조작부(14)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수나사(100)에 체결하기 전에 로크해제부재(1)를 로크너트(10)에 장착하는 공정이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lock 解除部材 裝着工程)(51)이다. 이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51)을 거친 로크너트(10)는, 자유 단부(11c)에 항상 로크해제부재(1)가 결합하고 있으므로 나사결합부(11b)를 확경시킨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로크해제부재(1)를 장착한 로크너트(10)는, 작업자 등에 의하여 암나사(12a) 혹은 나사결합부(11b)를 수나사(100)의 선단에 맞도록 세트되고, 회전공구 등을 사용하여 나사산(100a)에 나사결합된다. 이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51)을 거친 로크너트(10)를 정회전시켜서, 이것을 수나사(100)에 나사결합하는 공정이 나사결합 공정(螺絲結合 工程)(52)이다. 또한 이 나사결합 공정(52)에서는, 나사결합부(11b)가 로크해제부재(1)에 의하여 당초부터 약간 확경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나사결합부(11b)가 종래에 비하여 수나사산(100a)에 강하게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나사결합 공정(52)에서는, 로크너트(10)의 나사결합에 요하는 나사결합 토크가, 종래에 비하여 대폭적으로 저감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로크너트(10)가 수나사(100)에 나사결합되어, 소정의 높이 혹은 소정의 체결 토크까지 체결되면 체결 작업이 완료된다. 이 체결 완료 후에 상기 로크해제부재(1)를 상기 조작부(14)로부터 떼어내고, 나사결합부(11b)를 미리 설정된 치수의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축경시키는 공정이 로크해제부재 분리공정(lock 解除部材 分離工程)(53)이다. 이 로크해제부재 분리공정(53)에 있어서 작업자는, 상기 너트 본체(12)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부(2)를 손가락으로 잡거나, 손톱으로 걸어 두거나 또는 상기 연질 손잡이부(3)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기는 등을 하여 당해 로크해제부재를 조작부(14)로부터 떼어낸다. 따라서 로크해제부재 분리공정(53)을 거친 로크너트(10)는, 나사결합 공정(52)의 코일스프링(11)의 상태와는 달리, 나사결합부(11b)가 축경되도록 탄성변형되어 있으므로, 당해 나사결합부(11b)가 수나사산(100a)과 강하게 접촉한다. 따라서 로크해제부재 분리공정(53)을 거친 로크너트(10)는, 체결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역회전시켜도 수나사(100)로부터 체결이 해제되지 않는 해제방지 성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이 로크너트(10)를 수나사(100)에 체결하는 방법은,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51)과, 나사결합 공정(52)과, 로크해제부재 분리공정(53)을 포함하기 때문에, 나사결합 시에는 종래보다 나사결합 토크를 낮게 할 수 있고, 체결 완료 후에는 수나사로부터 체결이 해제되지 않는 해제방지 특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수나사(100)에 강하게 접촉하여 해제방지 특성을 발휘하는 로크너트(10)를 수나사(100)로부터 체결을 해제하는 해제방법(loosening method)에 대하여, 도4 및 도6에 의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나사(100)에 체결되어 나사결합부(11b)가 나사산(100a)과 강하게 접촉한 상태의 로크너트(10)는, 작업자에 의하여 나사결합부(11b)를 확경시키기 위하여 로크해제부재(1)를 조작부(14)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수나사(100)로부터 해제하기 전에 작업자가 로크해제부재(1)를 로크너트(10)에 장착하는 공정이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61)이다.
이후에, 작업자 등에 의하여 상기 로크너트(10)를 역회전시키는 공정이 해제 공정(62)이다. 즉 해제 공정(62)에서는,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61)에 의하여 나사결합부(11b)가 확경되어 나사산(100a)에 약하게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결합 공정(52)과 같이 해제 토크가 종래보다 대폭적으로 저감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너트 본체(12)에 암나사(12a)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너트 본체(12)에 암나사(12a)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더라도 좋다. 즉 로크너트(10)는, 수나사(100)에 나사결합부(11b)만이 나사결합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1 : 로크해제부재
2 : 손잡이부
3 : 연질 손잡이부
10 : 로크너트
11 : 코일스프링
11b : 나사결합부
11c : 자유 단부
12 : 너트 본체
14 : 조작부
51 :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
52 : 나사결합 공정
53 : 로크해제부재 분리공정
61 :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
62 : 해제 공정
2 : 손잡이부
3 : 연질 손잡이부
10 : 로크너트
11 : 코일스프링
11b : 나사결합부
11c : 자유 단부
12 : 너트 본체
14 : 조작부
51 :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
52 : 나사결합 공정
53 : 로크해제부재 분리공정
61 :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
62 : 해제 공정
Claims (6)
- 수나사에 나사결합이 가능한 코일스프링(coil spring)을 너트 본체(nut 本體)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로크너트(lock nut)에 장착 가능한 로크해제부재(lock 解除部材)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을, 나선상(螺旋狀)으로 성형한 나사결합부(螺絲結合部)와, 이 나사결합부의 일단(一段)을 이루고 당해 나사결합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너트 본체에 고정하여 지지된 회전정지 단부(回轉停止 端部)와, 상기 나사결합부를 확경(擴徑) 또는 축경(縮徑)하는 쌍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너트 본체에 느슨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배치된 자유 단부(自由 端部)로 구성하고,
상기 너트 본체를, 상기 회전정지 단부의 부착 장소가 되는 고정부(固定部)와, 상기 자유 단부를 상기 쌍방향으로 느슨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조작부(操作部)로 구성하고, 상기 로크해제부재는, 상기 조작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나사결합부를 확경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해제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재질이 수지(樹脂)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해제부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너트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일체(一體)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해제부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보다 더 너트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상기 수지보다 연질특성이 우수한 연질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해제부재.
- 수나사에 나사결합이 가능한 코일스프링의 나사결합부와, 이 나사결합부를 내포하여 이루어지는 너트 본체를 구비한 로크너트의 체결방법(tightening method)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의 조작부에 느슨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나사결합부의 타단(他端)을 이루는 자유 단부를 가압하여 당해 나사결합부를 확경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로크해제부재를 상기 조작부에 장착하는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lock 解除部材 裝着工程)과,
이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 후에 로크너트를 정회전시켜서 상기 수나사의 소정 위치까지 나사를 삽입하는 나사결합 공정(螺絲結合 工程)과,
체결 완료 후에 상기 로크해제부재를 조작부에서 떼어내고 상기 나사결합부를 축경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서 당해 로크너트를 수나사로부터 해제를 방지하는 로크해제부재 분리공정(lock 解除部材 分離工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너트의 체결방법.
- 수나사에 나사결합한 코일스프링의 나사결합부와, 이 나사결합부를 내포하여 이루어지는 너트 본체를 구비한 로크너트의 해제방법(loosening method)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의 조작부에 느슨하게 장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나사결합부의 타단을 이루는 자유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나사결합부를 확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루어진 상기 로크해제부재를 상기 조작부에 장착하는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과,
이 로크해제부재 장착공정 후에 로크너트를 역회전시켜서 상기 수나사로부터 해제하는 해제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너트의 해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028440 | 2017-02-17 | ||
JP2017028440A JP6850147B2 (ja) | 2017-02-17 | 2017-02-17 | コイルばねを備えたロックナットに装着するロック解除部材および当該ロック解除部材を装着したロックナットの締結方法と緩め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5417A true KR20180095417A (ko) | 2018-08-27 |
Family
ID=6324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5184A KR20180095417A (ko) | 2017-02-17 | 2017-03-21 | 코일스프링을 구비한 로크너트에 장착되는 로크해제부재 및 당해 로크해제부재를 장착한 로크너트의 체결방법과 해제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6850147B2 (ko) |
KR (1) | KR20180095417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7807B1 (ko) * | 2019-02-13 | 2021-01-26 | (주)아이솔루션 | 풀림 방지 클램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91983A (ko) | 1972-04-25 | 1974-01-09 | ||
JP4514067B2 (ja) | 2008-08-29 | 2010-07-28 | 有限会社エコツール | 緩み止めナット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72854U (ko) * | 1973-11-07 | 1975-06-26 | ||
JPS50135866U (ko) * | 1974-04-25 | 1975-11-08 | ||
JPH031616Y2 (ko) * | 1985-03-06 | 1991-01-18 | ||
JP3165746B2 (ja) * | 1991-11-08 | 2001-05-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カートリッジ |
JP2011027178A (ja) * | 2009-07-24 | 2011-02-10 | Yarisute:Kk | ナットの脱落防止具およびその取付治具 |
JP4901983B2 (ja) * | 2010-06-23 | 2012-03-21 | 石徳螺子株式会社 | 締結装置 |
CN104271967B (zh) * | 2012-04-27 | 2016-04-20 | 株式会社Khi | 防脱件 |
-
2017
- 2017-02-17 JP JP2017028440A patent/JP6850147B2/ja active Active
- 2017-03-21 KR KR1020170035184A patent/KR2018009541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91983A (ko) | 1972-04-25 | 1974-01-09 | ||
JP4514067B2 (ja) | 2008-08-29 | 2010-07-28 | 有限会社エコツール | 緩み止めナッ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8132177A (ja) | 2018-08-23 |
JP6850147B2 (ja) | 2021-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27783B1 (en) | Fastener with retaining sleeve | |
WO2005121570A1 (ja) | 脱落防止具および緩み止めナット | |
TW201137247A (en) | Locking device for bolt and nut | |
CA2990363A1 (en) | Faucet coupling structure | |
US3102447A (en) | Plastic screw type temporary fastener for anchor type nut plate or the like | |
KR20110008702A (ko) | 로크너트 | |
KR20180095417A (ko) | 코일스프링을 구비한 로크너트에 장착되는 로크해제부재 및 당해 로크해제부재를 장착한 로크너트의 체결방법과 해제방법 | |
KR20150137910A (ko) | 풀림방지 볼트 및 너트 | |
US20070062342A1 (en) | Telescopic driving tool | |
KR101831895B1 (ko) | 크레인용 샤클 | |
EP2402095A1 (en) | Universal blind rivet and threaded rivet nut setting system | |
US3665581A (en) | Flaring tool | |
CN211231194U (zh) | 一种紧固装置 | |
JP6954674B2 (ja) | 木ネジ用アダプターソケット付きドライバービット及び木ネジ用アダプター | |
KR20150005285A (ko) | 체결부재 | |
CN110821931B (zh) | 一种紧固装置 | |
US9818381B1 (en) | Self-release and self-locking string locking mechanism | |
JP4955494B2 (ja) | パネルへのスイッチ取付具 | |
JP4422447B2 (ja) | エジェクターユニットの取付方法 | |
CN212967494U (zh) | 一种按钮开关及其配套的旋钮工具的结构组件 | |
JPH0749172Y2 (ja) | 調整弁 | |
US3113795A (en) | Coupling device | |
JP2005098397A (ja) |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装置 | |
JP6177425B2 (ja) | 車載機器のネジ構造および当該ネジ構造を備えた車載機器 | |
US3788123A (en) | Flaring to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