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377A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work using a hanbok and a hanbok handicraft manufactured by the method - Google Patent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work using a hanbok and a hanbok handicraft manufactured by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377A
KR20180095377A KR1020170021785A KR20170021785A KR20180095377A KR 20180095377 A KR20180095377 A KR 20180095377A KR 1020170021785 A KR1020170021785 A KR 1020170021785A KR 20170021785 A KR20170021785 A KR 20170021785A KR 20180095377 A KR20180095377 A KR 20180095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anbok
sketch
handicraft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7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1660B1 (en
Inventor
이명한
Original Assignee
이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한 filed Critical 이명한
Priority to KR102017002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660B1/en
Publication of KR20180095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3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6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ing method of a handcraft using hanbok and a hanbok handcraft produced thereby. The present invention draws a desired design on an upper surface by a user, forms a sheath groove along a boundary line according to a design of a picture and removes a cover along the boundary line so as to show an adhesive layer on a surface. Also,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 hanbok fabric (fiber material), inserts an edge of the fabric into the formed sheath groove and can produce various colors and pictures. The producing method of a handcraft using a hanbok fabric comprises: a working plate preparing step (S100); a sketch step (S200); a groove forming step (S300); a finishing paper cutting step (S400); and a finishing step (S500).

Description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work using a hanbok and a hanbok handicraft manufactured by the method}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craft using a Hanbok cloth and a handicraft using a Hanbok cloth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도안을 그린 후 그림의 도안에 맞추어 경계선을 따라 칼집 홈을 형성한 후 표면에 접착제 층이 나타나도록 경계선을 따라 커버를 제거하고, 한복 천(섬유재질)을 붙인 다음 천의 가장자리를 형성된 칼집 홈에 삽입하여 다양한 색상과 그림을 연출할 수 있는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복 수공예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icraft making method using a Hanbok and a handicraft making tool using the Hanbok fabric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The user draws a desired pattern on the upper surface, forms a shear groove along the boundary line according to the dra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craft using a Hanbok cloth capable of producing various colors and pictures by removing a cover along a boundary line so that an adhesive layer appears on the surface, inserting a Hanbok cloth (fiber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bok handicraft manufactured by a manufacturing method.

현대 미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수공예품이 대중들에게 알려지고, 학교 및 가정에서도 수공예품을 제작하기 위한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천이나, 한지 등의 섬유재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수공예품을 만드는 방법이 공개되었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art, various handicrafts are known to the public, and lessons are being made to make handicrafts at schools and at home. Among them, a method of making various handicrafts using cloth materials such as cloth, hanji etc. has been disclosed.

이와 같은 종래의 천 조각을 이용하는 수공예품 중 이를 사용하여 그림을 그려 액자 등에 보관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는 매우 기초적인 방법에 의한 것으로서 천 조각을 일일히 그림에 맞게 가위로 오려 낸 다음 접착제를 발라 보드판 위에 부착시켜 사용자가 그린 그림을 완성할 수 있다. 그런데, 천 조각을 자를때 특정 기준없이 대략적으로 자르기 때문에 조각 간 경계부의 마감이 깨끗하지 못하여 조잡스럽게 되는 등 만들기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부착된 천이 바닥판에서 쉽게 탈착되어 장시간 보관 후 천이 들뜨는 등의 문제점이 동반되었다. One of the handicrafts using such a conventional cloth piece was used to draw a picture and store it on a frame. However, this is a very basic method. Cut the cloth piece with the scissors to fit the picture,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picture drawn by the user. However, when cutting a piece of cloth, since it cuts roughly without specific referen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nish of the boundary between the pieces is not clean and it becomes rough,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ttached cloth is easily detached from the bottom plate, .

따라서, 일반 가정주부나 학생들이 쉽게 배우지 못하고 장시간 숙련하여야만 만들 수 있게 되는 어려움이 있어 대중화되지 못하고 극소수 일부에 의하여 취미 정도로 만들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general housewives and students to learn without being able to learn easily and be skilled for a long time.

그리고, 각종 의류 공장 및 한복 등을 취급하는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자투리 천은 엄청나게 많이 발생되나 종이, 합성수지 제품의 폐기물이나 금속제 폐기물과는 달리 재생이 불가능하며, 일부 기계 공장에서의 기름걸레 등으로 미미하게 소비되는 정도 외에는 대부분은 그대로 버려지게 되어 막대한 자원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unlike the wastes of paper and synthetic resin products and metal wastes, it can not be regenerated, and it is consumed very little by oil mops in some machinery factories. Most of them are discarded as they are, and a great waste of resources is caused.

따라서, 버려지는 천을 이용하여 다양한 수공예품을 연출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that can produce various handicrafts using abandoned cloth.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0752호 '천 조각 그림액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벙에 의하여 제조된 천 조각 그림액자' (출원일자 2001.04.17)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2-0080752 'Fabrication method of cloth piece picture frame and cloth piece picture fram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filed on Apr. 17, 2001)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2-0078855호 '인테리어용 수공예품의 제작방법' (출원일자 2001.04.10)2.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2-0078855 'How to make interior handicrafts' (filed on April 4, 20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의류를 제작한 후 남는 버려지는 천 바람직하게는 한복을 제작한 후 남는 자투리 천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수공예품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에 다양한 색상과 질감 등을 느낄 수 있는 액자 등으로 활용이 가능한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variety of handicrafts, And to provide a handicraft making method using a Hanbok cloth which can be used as a frame to feel various colors and textures, and a handicraft making kit using Hanbok cloth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은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진 작업판(100)과 상기 작업판(100)의 일측에 부착되는 지지판(200)을 결합시키는 작업판 준비단계(S100); 상기 작업판(100)의 상면에 밑그림(S)을 스케치하는 스케치 단계(S200); 상기 작업판(100)의 상면에 그려진 밑그림(S)을 따라 상기 작업판(100)의 상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두께의 2/3 지점까지 절개홈(101)을 형성하는 홈 형성단계(S300); 상기 홈 형성단계(S300) 수행 후 상기 밑그림(S)이 형상에 따라 마감지(300)를 재단하여 상기 작업판(100)의 상면에 마감지(300)를 덮는 마감지 재단단계(S400); 상기 마감지(300)가 덮어진 상기 절개홈(101)을 따라 상기 마감지(300)의 가장자리를 상기 절개홈(101)에 삽입하는 마감단계(S500);로 수행된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craft using a Hanbok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eparing a working plate (S100) for combining a working plate (10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supporting plate (20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working plate (100); A sketching step (S200) of sketching a sketch (S) on an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plate (100); A groove forming step S300 of forming a cutting groove 101 up to 2/3 of the thicknes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plate 100 along a sketch S dra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plate 100 ); A finishing paper cutting step (S400) of cutting the finishing paper 30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ketch S after the groove forming step S300 and covering the finishing paper 3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plate 100; A finishing step (S500) of inserting the edge of the finishing paper 300 into the cutout groove 101 along the cutout groove 101 in which the finishing paper 300 is covered.

이때, 상기 작업판(100)은 상기 밑그림(S)을 스케치 할 수 있는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하판(120) 및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판(1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110)과 중간판(120) 사이에는 접착층(140)이 더 구비되어 상기 홈 형성단계(S300) 수행 후 상기 접착층(140)이 노출되도록 상기 상판(110)을 제거하는 상판 제거단계(S600)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ork plate 100 includes an upper plate 110 capable of sketching the sketch S and a lower plate 120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lower plate 120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 An adhesive layer 14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intermediate plate 120 so that the adhesive layer 140 is exposed after performing the groove forming step S300. A top plate removing step (S600) for removing the top plate 110 is further performed.

그리고, 상기 재단단계(S400) 수행 시 상기 작업판(100)에 노출된 접착층(101)에 상기 마감지(300)를 부착시키는 마감지 부착단계(S41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The step S410 of attaching the finish paper 300 to the adhesive layer 101 exposed on the work plate 100 may be further performed during the cutting step S400.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는,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밑그림(S)을 형성하고, 형성된 밑그림(S)의 라인을 따라 절개한 절개홈(101)이 형성되는 작업판(100); 상기 작업판(100)의 휨,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작업판(100)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작업판(100)을 지지하는 지지판(200); 상기 절개홈(110)에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다수의 마감지(300); 상기 작업판(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상기 작업판(10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액자틀(400);을 포함한다.A handicraft making tool using a Hanbok clot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piece making too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forming a sketch S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forming a cutting groove 101 cut along a line of the formed sketch S 100); A support plate 200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work plate 100 to support the work plate 100 to prevent warping and warping of the work plate 100; A plurality of finishing papers 300 into which the edges are inserted into the incision grooves 110; And a plurality of frame members 400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work plate 100 to surround the edges of the work plate 100.

그리고, 상기 작업판(100)은 상기 밑그림(S)을 스케치 할 수 있는 상판(110); 상기 상판(110)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하판(120);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판(130); 상기 상판(110)과 중간판(13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140);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110)이 제거되어 상기 접착층(140)이 노출되는 경우 상기 마감지(300)가 상가 접착층(14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ork plate 100 includes an upper plate 110 capable of sketching the sketch S; A lower plate 120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intermediate plate 130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And a bonding layer 140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intermediate plate 130. When the upper plate 110 is removed and the bonding layer 140 is exposed, (140).

본 발명은 한복 섬유재질의 특유의 재질감과 다양한 색상 등을 통해 미적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고, 한복 고유의 색상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어 전통 미와 고급스러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n aesthetic beauty through the unique texture of the hanbok fiber material and various colors, and can recognize the hue unique to the hanbok, so that the traditional beauty and the luxurious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재활용이 불가능한 섬유를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 지할 수 있고, 부착된 천이 들뜨거나 밀리지 않아 장기간 보관하여도 형상이 변형되지 않으며, 누구나 간편하게 수공예품을 제작할 수 있어 다양한 연령층에서 교육 및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ycle fibers that can not be recycled, and can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shape is not deformed even when stored for a long time without lifting or attaching the cloth, and anyone can easily produce handicrafts, And practice can be done.

도 1 은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도 7 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의 사용방법 중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에 사용되는 작업도구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craft using the Hanbok cloth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craft using the Hanbok cloth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craft using the Hanbok clot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ty of a handicraft making parish using the Hanbok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a handicraft making kit using the Hanbok cloth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hotograph showing an embodiment of a handicraft making tool using the Hanbok cloth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method of using a handicraft making tool using the Hanbok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working tool used in a handicraft making parlor using the Hanbok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과 이의 제작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craft using the hanb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andicraft using the hanbok manufactured by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craft using a hanb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craft using the hanb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rall appearance of a handicraft using the inventive hanb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structure of a handicraft using the inventive hanbo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은 작업판 준비단계(S100), 스케치 단계(S200), 홈 형성단계(S300), 마감지 재단단계(S400) 및 마감단계(S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craft using a hanb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S100, S200, S300, S400, and S500 .

도 2 를 참조하면 먼저 작업판 준비단계(S100)는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진 작업판(100)을 준비한다. 작업판(100)은 바람직하게는 폼보드, 우드락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작업판(100)은 상판(110)과 하판(120) 그리고 중간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상판(110)과 하판(120)은 바람직하게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간판(130)은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work plate preparation step S100 prepares the work plate 10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work board 100 may preferably be a foam board, a wood block,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work plate 100 includes an upper plate 110, a lower plate 120, and an intermediate plate 130.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may be made of a paper material and the intermediate plate 130 may be made of a styrofoam material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그리고, 작업판(100)의 두께는 3~7mm 정도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판(100)은 외력에 의해 뒤틀리거나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판(100)의 일측, 즉, 하판(120)과 밀착되는 지지판(200)이 더 구비된다. 지지판(200)과 작업판(100)은 상호 부착되어 작업판(100)이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thickness of the working plate 100 is about 3 to 7 mm, preferably 5 mm. The work plate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20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work plate 100, that is, the lower plate 120, because the work plate 100 can be warped or bent by an external force. The support plate 200 and the work plate 100 are attached to each other to prevent the work plate 100 from being bent by an external force.

이후, 스케치 단계(S200)는 작업판(100)의 상면, 즉, 상판(110)에 사용자가 원하는 밑그림(S)을 그리는 단계에 해당한다. 밑그림(S)은 사용자가 임의로 특정한 그림을 그릴 수 있으며, 이미 인쇄된 특정한 그림 상판(11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sketch step S200 corresponds to a step of drawing a sketch S desired by the us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plate 100, that is, the upper plate 110. [ The sketch S can be arbitrarily drawn by a user and can be used by being attached to a specific printed top plate 110 already printed.

이때, 상판(110)과 중간판(120) 사이에는 접착층(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접착층(140)은 중간판(120)에 접착되어 중간판(120)과 일체를 이룰 수 있고, 상판(110)은 접착층(140)에서 쉽게 벗겨질 수 있다. 즉 상판(110)이 접착층(140)에서 벗겨지면 접착층(140)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노출된 접착층(140)에 후술하는 마감지(300)가 부착되면 마감지(3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an adhesive layer 140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intermediate plate 120. The adhesive layer 140 may be adhered to the intermediate plate 120 to be integrated with the intermediate plate 120 and the upper plate 110 may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adhesive layer 140. That is, when the upper plate 110 is peeled from the adhesive layer 140, the adhesive layer 14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when the lower layer 300 described below is attached to the exposed adhesive layer 140, So that it is firmly fixed.

도 스케치 단계(S200)가 수행이 완료되면 홈 형성단계(S300)를 수행하게 되는데, 홈 형성단계(S300)는 작업판(100)의 상면에 그려진 밑그림(S)을 따라 작업판(100)의 상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두께의 2/3 지점까지 절개홈(101)을 형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이때, 절개홈(101)을 형성하기 위해 날카로운 커터칼, 문구용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200)이 작업판(100)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사용자가 실수로 상기의 커터칼을 더 깊이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의 커터칼이 지지판(200)과 접촉되면서 절개홈(101)이 작업판(100)을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 groove forming step S300 is performed in the groove forming step S300 of the work plate 100 along the sketch S dra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plate 100. In the groove forming step S300, And corresponds to the step of forming the incision groove 101 up to 2/3 of the thicknes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At this time, a sharp cutter knife, a stationary knife, or the like can be used to form the cutting groove 101. Since the support plate 20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work plate 100, when the user accidentally inserts the cutter blade more deeply, the cutter knife contacts the support plate 200, 101 are prevented from penetrating through the work plate 100.

도 3 을 참조하면 마감지 재단단계(S400)는 홈 형성단계(S300) 수행 후 밑그림(S)의 형상에 따라 마감지(300)를 1차로 재단하고, 1차로 재단이 완료된 마감지(300)를 작업판(100)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단계에 해당한다. 이때, 마감지(300)는 종이, 한지, 천, 섬유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복을 제작한 후 남은 조각 천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림의 형상과 모양에 따라 마감지(300)의 색상을 다르게 하여 다양한 색상과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finishing paper cutting step S400 may include cutting the finishing paper 300 in a first orde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ketch S after performing the groove forming step S30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plate 100. [0051]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finishing paper 300 may be made of paper, paper, cloth, fiber material, or the like, and may preferably be a sculpture remaining after manufacturing the hanbok. The color of the finish paper 300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e shape of the graphic, so that various colors and images can be produced.

마감단계(S500)는 마감지(300)의 가장자리를 절개홈(101)에 삽입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절개홈(101)에 마감지(300)를 삽입할 때 별도의 삽입공구를 이용할 수 있다. 별도의 삽입공구는 송곳 등과 같은 끝이 날카로운 형상에 해당할 수 있고, 절개홈(101)에 마감지(300)를 삽입할 수 있는 그 어떠한 기구에 해당할 수 있다. The finishing step S500 corresponds to the step of inserting the edge of the finishing paper 300 into the incision groove 101. When inserting the finishing paper 300 into the incision groove 101, a separate insertion tool may be used. The separate insertion tool may correspond to a sharp shape such as a drill or the like and may correspond to any mechanism capable of inserting the finishing paper 300 into the incision groove 101.

마감단계(S500)가 수행될 때 마감지(300)를 절개홈(101)에 1차로 가 삽입한 후 돌출된 마감지(300)를 한번 더 재단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이후 마감지(300)를 절개홈(101)에 깊숙히 삽입하여줌으로써 마감지(300)와 작업판(100)은 상호 밀착되어 마감지(300)의 가장자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A step of once again cutting the protruded finishing paper 300 after inserting the finishing paper 300 into the cutout groove 101 is carried out when the finishing step S500 is performed, The finishing paper 300 and the working plate 10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inserting the finishing paper 300 deeply into the incision groove 101 to prevent the edge of the finishing paper 30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상판(110)과 중간판(120) 사이에는 접착층(140)이 더 구비되어 홈 형성단계(S300) 수행 후 상판 제거단계(S600)가 더 수행된다. 상판 제거단계(S600)는 접착층(140)이 작업판(1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절개가 완료된 상판(110)을 접착층(140)에서 분리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이로써, 마감지(300)는 접착층(140)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1 to 3, an adhesive layer 14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intermediate plate 120 to perform a groove forming step (S300) and then a top plate removing step (S600). The upper plate removing step S600 corresponds to a step of separating the upper plate 110 having been cut out from the adhesive layer 140 so that the adhesive layer 14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orking plate 100. [ As a result, the finishing paper 300 can be firmly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140.

즉, 재단단계(S400) 수행 시 작업판(100)에 노출된 접착층(101)에 마감지(300)를 부착시키는 마감지 부착단계(S41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That is, a finishing paper attaching step S410 of attaching the finish paper 300 to the adhesive layer 101 exposed on the work plate 100 may be further performed during the cutting step S400.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는 작업판(100), 지지판(200), 마감지(300) 및 액자틀(400)을 포함한다.4 and 5, the handicraft making tool using the Hanbok fabric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craft using the Hanbok cloth includes a work board 100, a support board 200, a finishing paper 300 and a frame 400 do.

작업판(100)은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밑그림(S)을 형성하고, 형성된 밑그림(S)의 라인을 따라 절개한 절개홈(10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work plate 100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have a cut-out groove 10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cut along the line of the formed cut-out.

이때, 도 7 을 참조하면 절개홈(101)을 형성하기 위해 작업판(100)에 그려진 밑그림(S)을 따라 이동하면서 절개홈(101)을 형성하는 별도의 작업도구(500)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7, a separate working tool 500 is provided to form the incision groove 101 while moving along the sketch S drawn on the work plate 100 to form the incision groove 101.

도 8 을 참조하면 작업도구(500)는 절단칼날(510), 지지칼날(520) 및 파지부(530)로 구성된다. 절단칼날(510)은 작업판(100)에 절개홈(101)을 형성하도록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되며, 절개홈(101)이 작업판(100)과 수직을 이루며 삽입 형성되도록 일정각도(θ) 경사를 유지한다. 그리고, 지지칼날(520)은 절단칼날(510)과 마주보며 대칭을 이루되, 일측단이 절단칼날(51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8, the work tool 500 includes a cutting blade 510, a support blade 520, and a gripper 530. The cutting blade 510 is formed to have a sharp edge so as to form a cutting groove 101 in the working plate 100. The cutting blade 51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such that the cutting groove 101 is perpendicular to the working plate 100, Lt; / RTI > The supporting blade 520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utting blade 510, and one end thereof is formed to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cutting blade 510.

즉, 절단칼날(510)의 끝단이 작업판(100)에 삽입되는 경우 지지칼날(520)의 일측단이 작업판(100)의 상면과 접촉되어 지지되면서 절단칼날(510)이 더이상 작업판(100)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절개홈(101)은 항상 일정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end of the cutting blade 510 is inserted into the working plate 100, one end of the supporting blade 520 is hel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plate 100 so that the cutting blade 510 is no longer supported on the working plate 100 from being inserted. Therefore, the incision groove 101 can always be formed at a constant depth.

또한, 파지부(53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단에 절단칼날(510) 및 지지칼날(520)이 결합 장착된다.Further, the grasping portion 510 and the supporting blade 520 ar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grasping portion 530 so that the grasping portion 530 can be grasped by the user.

지지판(200)은 작업판(100)의 휨,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판(100)의 하면에 부착되어 작업판(100)을 지지한다. The support plate 20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 plate 100 to support the work plate 100 in order to prevent the work plate 100 from warping and warping.

마감지(300)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에 설명한 마감지(30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finishing paper 300 is made of a fiber material and is the same as the finishing paper 300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manufacturing a handicraft using a Hanbok cloth,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액자틀(400)은 작업판(100)에 사용자가 원하는 마감지(300)의 연출이 완료된 후 작업판(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작업판(10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The frame 40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work plate 100 so as to surround the edge of the work plate 100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inish paper 300 desired by the user is completed.

그리고, 작업판(100)은 밑그림(S)을 스케치 할 수 있는 상판(110)과 상판(110)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하판(120),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판(130) 및 상판(110)과 중간판(13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140)을 포함한다. 작업판(100) 및 접착층(140)은 상기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에 설명한 작업판(100) 및 접착층(140)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work plate 100 includes an upper plate 110 capable of sketching a sketch S and a lower plate 120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ower plate 12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And an adhesive layer 140 positioned between the plate 130 and the upper plate 110 and the intermediate plate 130. The operation plate 100 and the adhesive layer 140 have the same functions and effects as those of the work plate 100 and the adhesive layer 140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manufacturing handicrafts using the Hanbok cloth.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 및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은 한복 특유의 재질감과 다양한 색상 등을 통해 미적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고, 한복 고유의 색상을 수공예품을 통해 나타낼 수 있어 전통 미와 고급스러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method of producing a handicraft using the Hanbok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andicraft using the Hanbok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n aesthetic beauty through the unique feeling of the Hanbok and various colors and can express the unique color of the Hanbok through the handicrafts. A luxurious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한복을 재단 후 버려지는 천을 이용할 수 있어 매우 친환경 적이며, 부착된 한복 천이 들뜨거나 밀리지 않도록 별도의 접착층을 구비하여 간편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누구나 간편하게 수공예품을 제작할 수 있어 다양한 연령층에서 교육 및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발명에 해당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cloth which is discarded after the cutting of the hanbok, so that it is very eco-friendly, and a separate adhesive layer is provided so that the attached hanbok cloth is not lifted or pushed. Accordingly, it is an invention having advantage that education and practice can be performed at various ages because anyone can easily produce handicrafts.

100 : 작업판 101 : 절개홈
110 : 상판 120 : 하판
130 : 중간판 140 : 접착층
200 : 지지판 300 : 마감지
400 : 액자틀 S : 밑그림
100: work plate 101: incision groove
110: upper plate 120: lower plate
130: intermediate plate 140: adhesive layer
200: Support plate 300: Finishing area
400: Picture frame S: Sketch

Claims (4)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진 작업판(100)과 상기 작업판(100)의 일측에 부착되는 지지판(200)을 결합시키는 작업판 준비단계(S100);
상기 작업판(100)의 상면에 밑그림(S)을 스케치하는 스케치 단계(S200);
상기 작업판(100)의 상면에 그려진 밑그림(S)을 따라 상기 작업판(100)의 상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두께의 2/3 지점까지 절개홈(101)을 형성하는 홈 형성단계(S300);
상기 홈 형성단계(S300) 수행 후 상기 밑그림(S)이 형상에 따라 마감지(300)를 재단하여 상기 작업판(100)의 상면에 마감지(300)를 덮는 마감지 재단단계(S400);
상기 마감지(300)가 덮어진 상기 절개홈(101)을 따라 상기 마감지(300)의 가장자리를 상기 절개홈(101)에 삽입하는 마감단계(S500);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
A working plate preparing step (S100) for combining a working plate (10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supporting plate (20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working plate (100);
A sketching step (S200) of sketching a sketch (S) on an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plate (100);
A groove forming step S300 of forming a cutting groove 101 up to 2/3 of the thicknes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plate 100 along a sketch S dra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plate 100 );
A finishing paper cutting step (S400) of cutting the finishing paper 30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ketch S after the groove forming step S300 and covering the finishing paper 3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plate 100;
A finishing step (S500) of inserting the edge of the finishing paper (300) along the incision groove (101) in which the finishing paper (300) is covered, into the incision groove (10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craft using a Hanbok clo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100)은 상기 밑그림(S)을 스케치 할 수 있는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하판(120) 및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판(1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110)과 중간판(120) 사이에는 접착층(140)이 더 구비되어 상기 홈 형성단계(S300) 수행 후 상기 접착층(140)이 노출되도록 상기 상판(110)을 제거하는 상판 제거단계(S600)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 plate 100 includes an upper plate 110 capable of sketching the sketch S, a lower plate 120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lower plate 120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 And an intermediate plate (130)
A top plate removing step of removing the top plate 110 so that the adhesive layer 140 is exposed after the groove forming step S300 is performed by providing an adhesive layer 140 between the top plate 110 and the intermediate plate 120 S600) is further performed on the hand fabric.
제 1 항 내지 제 2 항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밑그림(S)을 형성하고, 형성된 밑그림(S)의 라인을 따라 절개한 절개홈(101)이 형성되는 작업판(100);
상기 작업판(100)의 휨,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작업판(100)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작업판(100)을 지지하는 지지판(200);
상기 절개홈(110)에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다수의 마감지(300);
상기 작업판(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상기 작업판(10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액자틀(4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
A handicraft making tool using a Hanbok fabric manufactur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handicraft using the Hanbok cloth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A working plate 10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formed with a sketch S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cutout groove 101 cut along a line of the formed sketch S;
A support plate 200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work plate 100 to support the work plate 100 to prevent warping and warping of the work plate 100;
A plurality of finishing papers 300 into which the edges are inserted into the incision grooves 110;
A plurality of frame members 400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work plate 100 to surround edges of the work plate 100;
And a handicraft making parish using the Hanbok clot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100)은 상기 밑그림(S)을 스케치 할 수 있는 상판(110);
상기 상판(110)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하판(120);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판(130);
상기 상판(110)과 중간판(13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140);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110)이 제거되어 상기 접착층(140)이 노출되는 경우 상기 마감지(300)가 상가 접착층(14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
The method of claim 3,
The work plate 100 includes an upper plate 110 capable of sketching the sketch S;
A lower plate 120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intermediate plate 130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And an adhesive layer 140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intermediate plate 130,
Wherein the finish paper (300) is attached to the adhesion adhesive layer (140) when the top plate (110) is removed and the adhesive layer (140) is exposed.
KR1020170021785A 2017-02-17 2017-02-17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work using a hanbok KR1020016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785A KR102001660B1 (en) 2017-02-17 2017-02-17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work using a hanbo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785A KR102001660B1 (en) 2017-02-17 2017-02-17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work using a hanbo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377A true KR20180095377A (en) 2018-08-27
KR102001660B1 KR102001660B1 (en) 2019-07-18

Family

ID=6345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785A KR102001660B1 (en) 2017-02-17 2017-02-17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work using a hanbo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6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626A (en) * 2019-01-25 2020-08-04 문홍관 Manufacture method of craftwork using red clay and mulberry fi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149B1 (en) * 2021-03-03 2021-11-10 주식회사 가위바위보 Hanbok learning tool and system for providing hanbok education ser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855A (en) 2001-04-10 2002-10-19 허은영 method of manufacturing handiwork for interior
KR20020080752A (en) 2001-04-17 2002-10-26 홍정표 Producing method of piece of cloth picture frame and the piece of cloth picture frame produced by the produc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855A (en) 2001-04-10 2002-10-19 허은영 method of manufacturing handiwork for interior
KR20020080752A (en) 2001-04-17 2002-10-26 홍정표 Producing method of piece of cloth picture frame and the piece of cloth picture frame produced by the produc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626A (en) * 2019-01-25 2020-08-04 문홍관 Manufacture method of craftwork using red clay and mulberry fi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660B1 (en)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4218A (en) Quilted craft article and method and kit for making same
KR102001660B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work using a hanbok
US5813127A (en) Art deckle
CA2687653A1 (en) Method to create 3-dimensional images from a 2-dimensional image
US20060180039A1 (en) Wallpaper effect imprinting device and pattern sheet
JP3787502B2 (en) Coin manufacturing method
US4989335A (en) Wallpaper knife guide
JP2010143216A (en) Manufacturing method of solid collage
KR102024146B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craft board and product using the same
KR101389748B1 (en) Craftwork hav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194242U (en) Painting
KR200166165Y1 (en) Decorative stereoscopic card
US20190322122A1 (en) Marquetry template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711039A (en) Method of making three-dimensional objects of flat sheets
KR20000041333A (en) Wall decora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02007885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handiwork for interior
JP3235842U (en) A wooden decorative board that has the appearance of fine digging.
CN106274241A (en) The processing technology of picture stuck with paste by a kind of high-quality cloth
KR100914759B1 (en) Quilt tool and methode of patchwork using quilt tool
KR200242291Y1 (en) Piece of cloth picture frame
JP3133240U (en) Kumiko Crafting Tools
US5230762A (en) Method of producing a decorative plate
JP2000185500A (en) Three-dimensional glass engraving
JPH0521438Y2 (en)
JPH0515398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