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186A -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186A
KR20180095186A KR1020170021353A KR20170021353A KR20180095186A KR 20180095186 A KR20180095186 A KR 20180095186A KR 1020170021353 A KR1020170021353 A KR 1020170021353A KR 20170021353 A KR20170021353 A KR 20170021353A KR 20180095186 A KR20180095186 A KR 20180095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water
condensed water
indoor air
ai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승운
Original Assignee
배승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승운 filed Critical 배승운
Priority to KR102017002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5186A/ko
Publication of KR20180095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24F2003/1682

Abstract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여 전열을 교환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수조;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에 저장된 응축수를 수증기로 변환시켜 처리하는 응축수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열교환기에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차 등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를 수증기로 변환하여 실외로 배출함으로써, 전열교환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CONDENSATE WATER REMOVING TOTAL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외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사이에 전열 교환을 발생시키는 전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에너지의 사용비용이 증감함에 따라 에너지 절감 및 열손실을 감소하기 위해 에너지 절감을 적극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형태의 건축물을 설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건축물은 실내에서 발생되는 습기 및 오염된 공기가 실외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쉽지 않다. 그에 따라 실내 공기에는 각종 먼지, 세균, 유해가스, 냄새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실내 공기의 질은 실외 공기에 대비하여 약 2 내지 10배 이상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
유해한 실내 공기를 내보내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기 위해 건물의 창문 등을 주기적으로 열어 환기시키는 경우, 실내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등 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전열교환기는 실내 공기의 질을 개선하면서도, 실내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사이에서 현열(sensible heat) 및 잠열(latent heat)을 포함한 전열(total heat)을 교환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실내외 공기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의 일정 이상 차이나는 경우, 전열교환기는 내부에서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응축수는 전열교환기 내에 고여 전열교환기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고,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9084호(2010.01.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여 전열을 교환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수조;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에 저장된 응축수를 수증기로 변환시켜 처리하는 응축수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는, 실외공기 유입구, 실외공기 배출구, 실내공기 유입구 및 실내공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유입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간의 전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 측에 배치된 제1 송풍팬; 및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 측에 배치된 제2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처리부는,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에 저장된 응축수를 수증기로 발산시키는 응축수 발산기; 및 일 측이 상기 응축수 발산기와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수조로 연장되어 상기 수조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 발산기로 이송하는 수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 발산기는 실내공기가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의 내측벽을 따라 배출되도록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 발산기는 실내공기 배출방향으로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축수 발산기는 하부에 상기 수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수조의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 유입구와 상기 응축수 유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의 내측벽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응축수 발산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의 실내공기 배출 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응축수 유입구는 상기 응축수 발산기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응축수 발산구는 다수 개이고, 상기 다수 개의 응축수 발산구는 각각 상기 응축수 발산기 내부에 위치한 상기 응축수 유입구의 한 지점에서 상기 응축수 발산기 외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발산기는,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의 내측벽에 적어도 일면이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응축수 유입구는 상기 응축수 발산기와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의 접면에서 상기 응축수 발산기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응축수 발산구는 상기 응축수 발산기 내부에 위치한 상기 응축수 유입구에서 상기 응축수 발산기의 접면 이외의 외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 측에 배치된 제2 송풍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증기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는 상기 제2 송풍팬의 구동으로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열교환기에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차 등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를 수증기로 변환하여 실외로 배출함으로써, 전열교환기의 성능저하와 오염 및 세균번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렇게 발생된 응축수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 배출구 내에 응축수 발산기를 설치하여, 응축수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송풍팬에 공급되는 전력 외에 추가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전열교환기에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의 응축수 처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의 응축수 처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100)는, 본체(110), 수조(120) 및 응축수 처리부(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실내외 공기를 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111), 전열교환부(112), 실외공기 유입구(113), 실외공기 배출구(114), 실내공기 유입구(115), 실내공기 배출구(116), 제1 송풍팬(117) 및 제2 송풍팬(118)을 포함한다.
케이스(111)는 본체(110)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 전열교환부(112)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내한성 및 내열성이 좋고, 흡음 효과가 있는 발포 폴리 프로플렌을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합성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1)의 측면에는 실외공기 유입구(113), 실외공기 배출구(114), 실내공기 유입구(115) 및 실내공기 배출구(116)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외공기 유입구(113)와 실내공기 배출구(116)는 동일한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실외공기 배출구(114)와 실내공기 유입구(115)는 일 측면에 반대 측면인 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열교환부(112)는 케이스(111)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실외공기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유입구(115)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 사이에 전열(total heat)을 교환한다.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전열교환부(112)를 지나는 동안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간의 현열과 잠열이 교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열교환부(112)는 펄프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열교환부(112)는 은나노 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열교환부(112)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지나는 동안, 온도차에 의해 습기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곰팡이가 피거나 세균이 번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열교환부(112)에 은나노 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물질이 포함됨에 따라 곰팡이가 피는 것을 방지하고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항균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열교환부(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네 개의 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열교환부(112)는 케이스(1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측면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예컨대, 45도)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외공기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는 전열교환부(112)의 일 측면과 반대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고, 실내공기 유입구(115)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는 전열교환부(112)의 일 측면에 인접한 다른 측면과 다른 측면의 반대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송풍팬(117) 및 제2 송풍팬(118)은 케이스(111)의 수용공간에 각각 설치된다. 제1 송풍팬(117)은 실외공기 배출구(114) 측에 배치되며, 제2 송풍팬(118)은 실내공기 배출구(116) 측에 배치된다. 이렇게 제1 송풍팬(117)의 구동에 따라 실외공기가 실외공기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될 수 있고, 제2 송풍팬(118)의 구동에 따라 실내공기가 실내공기 유입구(115)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제1 송풍팬(117)과 제2 송풍팬(118)은 각각 실외공기 유입구(113) 및 실내공기 유입구(115)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수조(120)는 본체(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전열교환부(112)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수시로 지나는데, 그 과정에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온도차가 일정 이상 발생하면, 온도차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CW)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CW)는 전열교환부(112)에서 케이스(111) 내부로 흘러, 본체(110) 외부로 흐를 수 있다. 수조(120)는 본체(110) 외부로 흐르는 응축수(CW)를 처리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수조(120)는 본체(110)에서 흘러나온 응축수(CW)를 받아 저장하고,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본체(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수조(120)는 본체(110)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어 본체(110)의 어느 위치에서 응축수(CW)가 배출되더라도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수조(120)의 상면이 개방된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필요에 따라 본체(110)와 수조(120)의 사이가 폐쇄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수조(120)는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응측수가 저장되는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수조(120)의 내부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실내공기 배출구(116) 측의 위치가 다른 하부면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수조(120)에 유입된 응축수(CW)가 실내공기 배출구(116)가 위치한 영역 측으로 모이도록 할 수 있다.
응축수 처리부(130)는 실내공기 배출구(116) 내부에 배치되고, 수조(120)에 저장된 응축수(CW)를 끌어올려 실내공기 배출구(116) 내에서 응축수(CW)를 수증기와 같이 미세한 물 입자 형태로 변환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응축수 처리부(130)는 응축수 발산기(132)와 수송관(134)을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발산기(13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기 배출구(116) 내부에 배치되되, 실내공기 배출구(116)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면의 대부분을 가로 막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응축수 발산기(132)에 의해 실내공기 배출구(116)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공기는 실내공기 배출구(116)의 내측벽에 인접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실내공기 배출구(116) 중공의 중앙에 응축수 발산기(132)가 배치됨에 따라 제2 송풍팬(118)에 의해 이동하는 실내공기는 실내공기 배출구(116)의 내벽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면서 배출되는 단면이 작아져 해당 위치에서의 배출 속도가 증가된다. 그에 따라 응축수 발산기(132)의 내부에서 해당 위치로 연장된 응축수 발산구(SP)를 통해 응축수(CW)가 미세한 물 입자 형태로 실내공기와 함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여기서, 실내공기의 배출 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응축수 발산구(SP)의 끝단에 음압이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음압으로 인해 응축수 발산기(132) 내부에 있는 응축수(CW)가 응축수 발산구(SP)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송관(134)은 응축수 발산기(132)의 하부에서 수조(120)의 하부면이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며, 수조(120)에 저장된 응축수(CW)에 일부가 잠길 수 있다. 그에 따라 응축수 발산기(132)의 응축수 발산구(SP) 근처에서 발생된 음압으로 인해 응축수(CW)는 응축수 유입구(LP)를 통해 이동할 수 있고, 이렇게 이동된 응축수(CW)는 응축수 발산구(SP)를 통해 실내공기 배출구(116) 내에 배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응축수 발산기(132)의 형상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응축수 발산기(132)의 외형은 삼각뿔이 전방 및 후방에서 밑면이 맞닿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삼각뿔 꼭지점은 실내공기 배출구(116)의 배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응축수 발산기(132)는 실내공기 배출 방향으로 유선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발산기(132)의 외형 형상이 상기와 같이, 형성됨에 따라 제2 송풍팬(118)에 의해 배출되는 실내공기가 응축수 발산기(132)의 응축수 발산구(SP) 측으로 확산되어 실내공기 배출구(116)의 내벽 측으로 모일 수 있다.
그리고 응축수 발산기(132)의 내부에는 다수의 응축수 발산구(SP)가 형성되며, 하부의 수송관(134)을 통해 연장된 응축수 유입구(LP)와 일 측이 연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응축수 유입구(LP)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CW)는 수송관(134)을 통해 응축수 발산기(132)로 이동하고, 응축수 발산기(132) 내부에서 다수의 응축수 발산구(SP) 측으로 분산되어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 유입구(LP)는 응축수 발산기(132)의 하부에서 응축수 발산기(132) 내부 중앙까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응축수 발산기(132) 내부에서 다수의 응축수 발산구(SP)로 분기될 수 있다. 응축수 발산구(SP)는 응축수 유입구(LP)에서 상부 방향, 양 측 방향, 사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응축수 발산구(SP)의 수는 일곱 개인 것을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의 응축수 처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100)의 일부 단면을 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응축수 발산기(232)도 단면 처리된 것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100)는, 본체(110), 수조(120) 및 응축수 처리부(230)를 포함하고, 응축수 처리부(230)는 응축수 발산기(232) 및 수송관(23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서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응축수 발산기(232)는 일 측이 원기둥 형상의 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반대측이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실내공기 배출구(116)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응축수 발산기(232)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각각 실내공기 배출구(116)의 내측벽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에 따라 실내공기 배출구(116) 내에서 이동하는 실내공기는 응축수 발산기(232)의 양측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응축수 발산기(23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 본체(110) 측에 배치되고,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 외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실내공기가 실내공기 배출구(116) 내에서 응축수 발산기(232)의 양 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실내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좁아짐에 따라 실내공기는 응축수 발산기(232)의 양측에서 배출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응축수 발산기(232)의 양측에 형성된 응축수 발산구(SP)에 음압이 발생할 수 있고, 수조(120)에 저장된 응축수(CW)는 응축수 유입구(LP)를 통해 유입되어 수송관(234)을 통해 응축수 발산기(23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수 발산기(232)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CW)는 내부에서 다수의 응축수 발산구(SP)로 분기되어 응축수 발산기(232) 양측으로 분출될 수 있다.
이때, 실외공기의 유속에 의해 응축수 발산구(SP)로 이동된 응축수(CW)는 미세한 물 입자 형태로 변환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응축수 유입구(LP)는 응축수 발산기(232) 하부에서 내부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응축수 발산기(232)의 하부가 실내공기 배출구(116)의 내측면과 접한 면을 통해 실내공기 배출구(116) 외측에 배치된 수송관(234)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응축수 발산구(SP)는 응축수 발산기(232) 내부에 위치한 응축수 유입구(LP)에서 응축수 발산기(232) 양측으로 분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응축수 발산구(SP)는 응축수 발산기(232)와 실내공기 배출구(116)의 내측면이 접하지 않고 공간이 형성된 방향으로 형성되어 실내공기와 함께 이송된 응축수(CW)를 발산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전열교환기
110: 본체
111: 케이스 112: 전열교환부
113: 실외공기 유입구 114: 실외공기 배출구
115: 실내공기 유입구 116: 실내공기 배출구
117: 제1 송풍팬 118: 제2 송풍팬
120: 수조
130, 230: 응축수 처리부 132, 232: 응축수 발산기
134, 234: 수송관 LP: 응축수 유입구
SP: 응축수 발산구 CW: 응축수

Claims (13)

  1.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여 전열을 교환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수조;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에 저장된 응축수를 수증기로 변환시켜 처리하는 응축수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실외공기 유입구, 실외공기 배출구, 실내공기 유입구 및 실내공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유입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간의 전열을 교환하는 전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 측에 배치된 제1 송풍팬; 및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 측에 배치된 제2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열교환부는 은나노 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처리부는,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에 저장된 응축수를 수증기로 발산시키는 응축수 발산기; 및
    일 측이 상기 응축수 발산기와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수조로 연장되어 상기 수조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 발산기로 이송하는 수송관을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발산기는 실내공기가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의 내측벽을 따라 배출되도록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에 배치된 전열교환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발산기는 실내공기 배출방향으로 유선형으로 형성된 전열교환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발산기는 하부에 상기 수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수조의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 유입구와 상기 응축수 유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의 내측벽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응축수 발산구가 형성된 전열교환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발산기는,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의 실내공기 배출 방향 중앙에 배치된 전열교환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구는 상기 응축수 발산기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응축수 발산구는 다수 개이고, 상기 다수 개의 응축수 발산구는 각각 상기 응축수 발산기 내부에 위치한 상기 응축수 유입구의 한 지점에서 상기 응축수 발산기 외면으로 연장된 전열교환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발산기는,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의 내측벽에 적어도 일면이 접하도록 배치된 전열교환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구는 상기 응축수 발산기와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의 접면에서 상기 응축수 발산기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응축수 발산구는 상기 응축수 발산기 내부에 위치한 상기 응축수 유입구에서 상기 응축수 발산기의 접면 이외의 외면으로 연장된 전열교환기.
  13.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 측에 배치된 제2 송풍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증기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는 상기 제2 송풍팬의 구동으로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전열교환기.
KR1020170021353A 2017-02-17 2017-02-17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 KR20180095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353A KR20180095186A (ko) 2017-02-17 2017-02-17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353A KR20180095186A (ko) 2017-02-17 2017-02-17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146U Division KR20180002681U (ko) 2018-09-05 2018-09-05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186A true KR20180095186A (ko) 2018-08-27

Family

ID=6345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353A KR20180095186A (ko) 2017-02-17 2017-02-17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51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084A (ko) 2008-07-18 2010-01-27 주식회사 엠라이프 전열교환기의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084A (ko) 2008-07-18 2010-01-27 주식회사 엠라이프 전열교환기의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4681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8069681B1 (en) Dehumidifier, cross-flow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king a cross-flow heat exchanger
JP2016217561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80002680U (ko)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
KR102163123B1 (ko) 공기 조화 장치
KR100834191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
KR20180095186A (ko)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
JP5057958B2 (ja) 空気調和機
KR100927488B1 (ko) 폐필터를 이용한 항온항습 설비
JP4770621B2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KR20180002681U (ko)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
KR100676254B1 (ko) 분배덕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환기장치
US9470425B1 (en) Dehumidifier
KR101692240B1 (ko) 제습 냉방기
CN114293354A (zh) 一种直排式的新风洗衣装置
JP2022515584A (ja) 大気水生成器
KR101340172B1 (ko) 냉각탑
JP5396580B2 (ja) 冷温水コイルを内蔵した空気熱交換器
KR102572207B1 (ko) 내부에 가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JP6982724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20180095185A (ko)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
KR20030030472A (ko) 환기장치
JPH0372330B2 (ko)
CN213896421U (zh) 一种直排式的新风洗衣装置
KR102628048B1 (ko) 중공사막 제습기 및 이를 구비한 습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