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636A -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636A
KR20180094636A KR1020170021017A KR20170021017A KR20180094636A KR 20180094636 A KR20180094636 A KR 20180094636A KR 1020170021017 A KR1020170021017 A KR 1020170021017A KR 20170021017 A KR20170021017 A KR 20170021017A KR 20180094636 A KR20180094636 A KR 20180094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ember
radiator
electronic device
frequency band
ground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064B1 (ko
Inventor
김세진
김남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0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전자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금속 프레임을 방사체로서 사용하여 전자 장치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면서 다중 주파수 대역 특성을 제공하는 안테나 장치가 개시된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 장치의 안테나 장치는, 급전부와 접지면이 형성되는 회로 기판; 상기 접지면과 이격되고 일단이 상기 급전부에 연결되며 타단이 두 갈래로 분기된 T자형의 제 1 방사체; 상기 제 1 방사체로부터 간접 급전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테두리 외관을 형성하며 하나의 슬릿으로 분절되어 있는 제 1 도전성 부재; 및 상기 제 1 도전성 부재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1 도전성 부재와 함께 제 2 방사체로서 동작하는 제 2 도전성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ANTENNA APPARATUS}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의 금속 테두리를 방사체로서 이용하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능을 가지는 전자 장치는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있고,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는 다중 주파수 대역 특성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가 설치된다.
최근 전자 장치의 외관에 금속 프레임을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의 외관에 금속 프레임을 적용하게 되면 전자 장치에 내장되는 안테나 장치의 방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자 장치의 외관에 적용되는 금속 프레임을 회피하거나 금속 프레임에서 이격하여 안테나 장치를 설계하고 있지만, 이럴 경우 전자 장치의 크기를 크게 해야 하므로,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전자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금속 프레임을 방사체로서 사용하여 전자 장치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면서 다중 주파수 대역 특성을 제공하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 장치의 안테나 장치는, 급전부와 접지면이 형성되는 회로 기판; 상기 접지면과 이격되고 일단이 상기 급전부에 연결되며 타단이 두 갈래로 분기된 T자형의 제 1 방사체; 상기 제 1 방사체로부터 간접 급전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테두리 외관을 형성하며 하나의 슬릿으로 분절되어 있는 제 1 도전성 부재; 및 상기 제 1 도전성 부재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1 도전성 부재와 함께 제 2 방사체로서 동작하는 제 2 도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방사체의 두 갈래는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 1 방사체의 두 갈래 중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갈래의 말단과 상기 접지면 사이에 설치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짧은 갈래의 공진 주파수 형성을 위한 전기적 길이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성 부재로부터 상기 제 1 도전성 부재의 슬릿까지의 두 파트 중 짧은 길이의 파트가 상기 제 2 방사체로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슬릿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방사체의 전기적 길이를 보상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 2 도전성 부재와 상기 접지면 사이에 설치되어 주파수 대역을 스위칭하는 인덕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1 도전성 부재의 이격 거리는 2mm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테두리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도전성 부재를 방사체로 사용하여 전자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도전성 부재로부터 제 2 도전성 부재를 전자 장치의 내측으로 분기 및 연장하여 방사체로 사용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테두리 외관에 최소한의 슬릿을 형성하여 전자 장치의 테두리 외관의 훼손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T자형 방사체의 두 갈래 중 고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갈래와 접지면 사이에 커패시터를 설치하여 해당 갈래의 전기적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전자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테두리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도전성 부재의 슬릿에 커패시터를 설치함으로써 저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방사체의 전기적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전자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테두리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도전성 부재에서 분기되어 연장되는 제 2 도전성 부재와 접지면 사이에 인덕터를 설치하여 저주파수 대역을 스위칭함으로써 저주파수 대역의 광대역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안테나 장치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사체와 제 1 도전성 부재의 이격 거리가 2mm보다 클 때 안테나 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사체와 제 1 도전성 부재의 이격 거리가 2mm보다 작을 때 안테나 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안테나 장치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전자 장치의 테두리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도전성 부재(110), 상기 제 1 도전성 부재(110)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는 제 2 도전성 부재(120), T자 형상의 제 1 방사체(130), 회로 기판(140), 인덕터(150) 및 커패시터(160, 170)를 포함한다.
제 1 도전성 부재(110)는, 전자 장치의 테두리 외관을 형성하는 금속 프레임으로서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외측을 둘러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도전성 부재(110)는 사각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의 외관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안테나 장치(100)를 필요로 하는 통신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내비게이션 또는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도전성 부재(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된 띠 형상이 아니며 하나의 슬릿(160)으로 분절되어 있다.
제 2 도전성 부재(120)는 상기 제 1 도전성 부재(110)로부터 분기되어 전자 장치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도전성 부재(110)와 함께 방사체로서 동작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사체(130)가 존재하므로, 제 2 도전성 부재(120) 및 제 1 도전성 부재(110)는 제 2 방사체로서 동작한다. 제 2 도전성 부재(120)는 제 1 도전성 부재(110)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므로, 제 2 도전성 부재(120)의 분기점(120a)은 제 1 도전성 부재(110)를 두 파트로 분리한다. 분기점(120a)을 기준으로 제 1 도전성 부재(110)는 짧은 길이의 제 1 파트(110-1)와 이보다 긴 길이의 제 2 파트(110-2)로 나누어지고, 제 1 파트(110-1) 및 제 2 도전성 부재(120)가 제 2 방사체로서 동작한다. 제 1 파트(110-1) 및 제 2 도전성 부재(120)는 안테나 장치(100)가 커버하는 주파수 대역 중 저주파수 대역(Low Band)에서 공진한다. 여기서 저주파수 대역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699MHz ~ 960MHz이다.
제 2 도전성 부재(120)를 이용하여 제 1 도전성 부재(110)를 두 파트(110-1, 110-2)로 나누고 이 중에서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제 1 파트(110-1)를 방사체로서 사용함으로써, 도 1에서 제 2 도전성 부재(120)와, 제 1 도전성 부재(110)의 제 2 파트(110-1)로 둘러싸인 좌측 상단의 공간(A)을 다른 종류의 안테나(예컨대, GPS 안테나, Wi-Fi 안테나)를 배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도전성 부재(120)를 제 1 도전성 부재(110)로부터 연장함으로써 제 1 도전성 부재(110)에 하나의 슬릿만을 형성하고, 따라서 슬릿의 개수를 줄여 전자 장치의 외관 디자인의 훼손을 최소화한다.
회로 기판(140)은, 제 1 도전성 부재(11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회로 기판(140)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위한 회로, 및 소자들이 설치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부(140a) 및 접지면(140b)을 포함한다.
제 1 방사체(130)는 일단이 상기 급전부(140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이 두 갈래(130a, 130b)로 분기된 T자 형상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사체(130)의 두 갈래(130a, 130b)의 길이는 서로 다르고, 구체적으로 제 1 갈래(130a)가 제 2 갈래(130b)보다 길다. 제 1 방사체(130)는 안테나 장치(100)가 커버하는 주파수 대역 중 고주파수 대역 및 중간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한다. 바람직하게, 제 1 갈래(130a)가 제 2 갈래(130b)보다 길기 때문에, 제 1 갈래(130a)가 중간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고 제 2 갈래(130b)가 고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한다. 여기서 고주파수 대역(High Band)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300MHz ~ 2690MHz이고, 중간주파수 대역(Middle Band)은 1710MHz ~ 2170MHz이다. 바람직하게, 제 1 갈래(130a)는 약 25mm의 전기적 길이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사체(130)의 제 2 갈래(130b)와 회로 기판(140)의 접지면(140b) 사이에는 커패시터(150)가 존재한다. 커패시터(150)는 급전부(140a)로부터 제 1 방사체(130)의 제 2 갈래(130b)로 흐르는 전류를 접지면(140b)으로 커플링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 2 갈래(130b)의 전기적 길이를 보상한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는 파장(λ)의 1/4의 전기적 길이를 가져야 한다. 그런데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의 제약으로 본 실시예의 제 2 갈래(130b)는 필요한 전기적 길이보다 짧은 전기적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제 2 갈래(130b)와 접지면(140b) 사이에 커패시터(150)를 설치하여 제 2 갈래(130b)의 짧은 전기적 길이를 보상함으로써 공진 주파수 및 대역폭을 조정한다. 제 1 방사체(130)의 제 2 갈래(130b)의 길이를 짧게 하여 전자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갈래(130b)의 전기적 길이는 약 10mm이어야 하는데, 커패시터(150)의 용량(커패시턴스)을 조절함에 따라 길이를 약 3mm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도전성 부재(110)는 연속된 띠 형상이 아니고 하나의 슬릿(160)으로 분절되어 있다. 그리고 그 슬릿(16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160)가 설치된다. 커패시터(160)는, 제 2 방사체로서 동작하는 제 1 도전성 부재(110)의 제 1 파트(110-1) 및 제 2 도전성 부재(120)의 전기적 길이를 보상하여 공진 주파수 및 대역폭을 조정한다. 예컨대 제 1 도전성 부재(110)의 제 1 파트(110-1) 및 제 2 도전성 부재(120)의 전기적 길이는 약 50mm이어야 하는데 커패시터(160)의 용량(커패시턴스)을 조절함으로써 길이를 약 5mm 줄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40)의 급전부(140a)는 제 1 방사체(130)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 1 도전성 부재(110)에는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제 1 도전성 부재(110)의 제 1 파트(110-1)는 제 1 방사체(130)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도전성 부재(110)의 제 1 파트(110-1)는 제 1 방사체(130)와 간접 커플링되어 제 1 방사체(130)로부터 전기적 커플링에 의해 간접 급전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도전성 부재(120)와 회로 기판(140)의 접지면(140b) 사이에는 인덕터(170)가 설치된다. 인덕터(170)는 제 2 방사체로서 동작하는 제 2 도전성 부재(120) 및 제 1 도전성 부재(110)의 제 1 파트(110-1)의 주파수 대역을 스위칭하는데 사용된다. 제 2 도전성 부재(120) 및 제 1 도전성 부재(110)의 제 1 파트(11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699MHz ~ 960MHz의 저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고 인덕터(170)는 이러한 저주파수 대역 중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인덕터(170)는, 700MHz 대역, 800MHz 대역, 900MHz 대역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방사체(130)와 제 1 도전성 부재(110), 구체적으로 제 1 도전성 부재(110)의 제 1 파트(110-1)는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 1 도전성 부재(110)의 제 1 파트(110-1)는 제 1 방사체(130)로부터 간접 급전된다. 제 1 도전성 부재(110)의 제 1 파트(110-1)는, 저주파수 대역에서 최적의 공진 형성을 위해 제 1 방사체(130)와 최적의 이격 거리를 가져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도전성 부재(110)의 제 1 파트(110-1)와 제 1 방사체(130)의 이격 거리는 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사체(130)와 제 1 도전성 부재(110)의 이격 거리가 2mm보다 클 때 안테나 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사체(130)와 제 1 도전성 부재(110)의 이격 거리가 2mm보다 작을 때 안테나 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사체(130)와 제 1 도전성 부재(110)의 이격 거리가 2mm보다 클 때, 공진의 Q(Quality factor) 값이 나빠져 공진 형성이 잘 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사체(130)와 제 1 도전성 부재(110)의 이격 거리가 2mm보다 작을 때, 저주파수 대역에서의 대역폭이 줄어든다. 따라서 저주파수 대역에서 광대역 특성을 나타낼 수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전자 장치의 테두리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도전성 부재를 방사체로 사용하여 전자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제 1 도전성 부재로부터 제 2 도전성 부재를 전자 장치의 내측으로 분기 및 연장하여 방사체로 사용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테두리 외관에 최소한의 슬릿을 형성하여 전자 장치의 테두리 외관의 훼손을 최소화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T자형 방사체의 두 갈래 중 고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갈래와 접지면 사이에 커패시터를 설치하여 해당 갈래의 전기적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전자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전자 장치의 테두리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도전성 부재의 슬릿에 커패시터를 설치함으로써 저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방사체의 전기적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전자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전자 장치의 테두리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도전성 부재에서 분기되어 연장되는 제 2 도전성 부재와 접지면 사이에 인덕터를 설치하여 저주파수 대역을 스위칭함으로써 저주파수 대역의 광대역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패턴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내부 그라운드 환경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안테나 장치
110 : 제 1 도전성 부재
120 : 제 2 도전성 부재
130 : 제 1 방사체
140 : 회로 기판
150 : 인덕터
160, 170 : 커패시터

Claims (8)

  1. 전자 장치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급전부와 접지면이 형성되는 회로 기판;
    상기 접지면과 이격되고 일단이 상기 급전부에 연결되며 타단이 두 갈래로 분기된 T자형의 제 1 방사체;
    상기 제 1 방사체로부터 간접 급전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테두리 외관을 형성하며 하나의 슬릿으로 분절되어 있는 제 1 도전성 부재; 및
    상기 제 1 도전성 부재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1 도전성 부재와 함께 제 2 방사체로서 동작하는 제 2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체의 두 갈래는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체의 두 갈래 중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갈래의 말단과 상기 접지면 사이에 설치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짧은 갈래의 공진 주파수 형성을 위한 전기적 길이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성 부재로부터 상기 제 1 도전성 부재의 슬릿까지의 두 파트 중 짧은 길이의 파트가 상기 제 2 방사체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방사체의 전기적 길이를 보상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성 부재와 상기 접지면 사이에 설치되어 주파수 대역을 스위칭하는 인덕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1 도전성 부재의 이격 거리는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KR1020170021017A 2017-02-16 2017-02-16 안테나 장치 KR102586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017A KR102586064B1 (ko) 2017-02-16 2017-02-16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017A KR102586064B1 (ko) 2017-02-16 2017-02-16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636A true KR20180094636A (ko) 2018-08-24
KR102586064B1 KR102586064B1 (ko) 2023-10-05

Family

ID=6345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017A KR102586064B1 (ko) 2017-02-16 2017-02-16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0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6821A1 (ko) * 2019-02-13 2020-08-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65862A1 (ko) * 2020-09-24 2022-03-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220041929A (ko) * 2019-08-23 2022-04-0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안테나 및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203A (ko) * 2011-08-25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130106065A (ko) * 2012-03-19 2013-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20140095864A (ko) * 2013-01-25 2014-08-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KR20160056501A (ko) * 2014-11-11 2016-05-2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203A (ko) * 2011-08-25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130106065A (ko) * 2012-03-19 2013-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20140095864A (ko) * 2013-01-25 2014-08-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KR20160056501A (ko) * 2014-11-11 2016-05-2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6821A1 (ko) * 2019-02-13 2020-08-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98857A (ko) * 2019-02-13 2020-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41929A (ko) * 2019-08-23 2022-04-0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안테나 및 전자 장치
WO2022065862A1 (ko) * 2020-09-24 2022-03-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064B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6696B2 (en) Antenna structure
EP2117073B1 (en) A coupled-fed multiband loop antenna
US9761951B2 (en) Adjustable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JP5009240B2 (ja)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端末
EP1569300B1 (en) Wireless device having antenna
JP4858860B2 (ja)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
US20050264455A1 (en) Actively tunable planar antenna
US8013794B2 (en) Surface mount antenna and antenna module
US11695221B2 (en) Flexible polymer antenna with multiple ground resonators
CN104810621A (zh) 可调式天线
KR20050106533A (ko) 이중 커플링 급전을 이용한 다중밴드용 적층형 칩 안테나
JP5692585B2 (ja)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
KR20180094636A (ko) 안테나 장치
KR100962565B1 (ko) 광대역 평면 역에프 안테나
WO2016076120A1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装置
KR20190117758A (ko) 안테나 장치 및 이러한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EP3529856B1 (en) Multi-resonant antenna structure
US9054426B2 (en) Radio apparatus and antenna device
JP6825429B2 (ja)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装置
TWI581508B (zh) Lte天線結構
KR100965747B1 (ko) 무선통신기기용 내장형 칩 타입의 보조밴드 안테나
KR100688896B1 (ko) 광대역 3 중 루프 안테나
KR101456568B1 (ko) 안테나
JP2014075650A (ja) 複合アンテナ
KR20070057375A (ko) 이동통신용 광대역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