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474A - Magnetic sensor circuit - Google Patents
Magnetic sensor circu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4474A KR20180094474A KR1020170179441A KR20170179441A KR20180094474A KR 20180094474 A KR20180094474 A KR 20180094474A KR 1020170179441 A KR1020170179441 A KR 1020170179441A KR 20170179441 A KR20170179441 A KR 20170179441A KR 20180094474 A KR20180094474 A KR 201800944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hall element
- input terminal
- output
- switc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23—Electronic aspects, e.g. circuits for stimulation, evaluation, control; Treating the measured signals; calibration
- G01R33/0029—Treating the measured signals, e.g. removing offset or nois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Proximity switches using a magnetic detector
- H03K17/9502—Measures for increasing reliability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Proximity switches using a magnetic detector
- H03K17/9517—Proximity switches using a magnetic detector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3/00—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 G01D3/028—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mitigating undesired influences, e.g. temperature, pressure
- G01D3/032—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mitigating undesired influences, e.g. temperature, pressure affecting incoming signal, e.g. by averaging; gating undesired signa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2/00—Hall-effect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 Hall/Mr El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기 센서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ic sensor circuit.
접이식 휴대 전화기나 노트북 등에 있어서의 개폐 상태 검지용 센서로서, 또 모터의 회전 위치 검지 센서로서 자기 센서 회로가 이용되고 있다.A magnetic sensor circuit is used as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 / close state of a folding portable telephone,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and as a rotational position detecting sensor for a motor.
자기 센서 회로에는, 자전변환 소자(예를 들면, 홀 소자)와 신호 처리 회로가 포함된다. 이 자전변환 소자는, 인가되는 자계 강도 또는 자속 밀도에 따른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자전변환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신호는, 미소한 전압의 신호이다. 신호 처리 회로는, 자전변환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신호를, 신호 처리 회로가 구비하는 증폭기에 의해 증폭한다.The magnetic sensor circuit includes a rotation converting element (for example, a Hall element) and a signal processing circuit. This rotation converting element outputs a voltage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applied magnetic field strength or magnetic flux density. The voltage signal output from the rotation converting element is a signal of a minute voltage.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amplifies the voltage signal output from the rotation converting element by an amplifier included in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자기 센서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신호에는, 자전변환 소자 및 신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오프셋 전압이 발생한다. 이 오프셋 전압에 의해, 자장이 인가되지 않는 제로 자장 상태에 있어서도, 자기 센서 회로에서는 제로가 아닌 전압이 출력된다. 또, 자기 센서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는, 노이즈에 의해 오차가 발생한다. 이 노이즈는, 상술한 오프셋 전압, 회로를 구성하는 단체 트랜지스터가 갖는 플리커 노이즈, 단체 트랜지스터나 저항 소자가 갖는 열잡음 등에 의해 발생한다.In the voltage signal output from the magnetic sensor circuit, an offset voltage is generated in the rotation converting element and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With this offset voltage, a voltage other than zero is output in the magnetic sensor circuit even in a zero magnetic field state in which no magnetic field is applied. In addition, an error is generated i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magnetic sensor circuit by noise. This noise is generated by the above-described offset voltage, flicker noise of a single transistor constituting the circuit, thermal noise of a single transistor or a resistance element.
종래, 상술한 자전변환 소자나 증폭기가 갖는 오프셋 전압의 영향을 저감하는 자기 센서 회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종래의 자기 센서 회로를 도 8에 나타낸다. 자기 센서 회로(8100)는 홀 소자(81a)와, 홀 소자(81b)와, 신호 처리 회로(83)를 구비한다. 신호 처리 회로(83)는, 차동증폭기(84a)와, 차동증폭기(84b)와, 연산기(86)을 구비한다. 차동증폭기(84a) 및 차동증폭기(84b)는, 완전 차동증폭기로서 동작한다. 연산기(86)는, 가산기로서 동작한다.BACKGROUND ART [0002] A magnetic sensor circuit for reducing the influence of an offset voltage of a rotating conversion element or an amplifier described above is known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This conventional magnetic sensor circuit is shown in Fig. The
자기 센서 회로(8100)는, 홀 소자(81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차동증폭기(84a)의 서로 다른 입력 단자에 대해서 공급한다. 자기 센서 회로(8100)는, 홀 소자(81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차동증폭기(84b)의 서로 다른 입력 단자에 대해서 출력한다. The
자기 센서 회로(8100)는, 차동증폭기(84a) 및 차동증폭기(84b)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연산기(86)에 출력한다. 연산기(86)는, 차동증폭기(84a) 및 차동증폭기(84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가산함으로써, 홀 소자(81a) 및 홀 소자(81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오프셋 전압을 저감한다.The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자기 센서 회로(8100)가 구비하는 차동증폭기(84a) 및 차동증폭기(84b)는, 바이폴러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차동증폭기(84a) 및 차동증폭기(84b)가, 바이폴러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와,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프로세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비교하면, CMOS 프로세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입력 오프셋 전압이 높다. 또, CMOS 프로세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리커 노이즈 등의 노이즈가 발생한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즉, 차동증폭기(84a) 및 차동증폭기(84b)가 CMOS 프로세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전변환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신호는 미소 전압이기 때문에, 노이즈에 의해 신호의 품질이 떨어져 버린다.In other words, when the
본 발명의 목적은, 플리커 노이즈 등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자기 센서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gnetic sensor circuit capable of reducing noise such as flicker noise.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자기 센서 회로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했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magnetic sensor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는, 홀 소자에 인가되는 자계 강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 회로로서, 신호 성분이 서로 역상 또한 오프셋 성분이 서로 역상인 2종류의 신호인 제1의 신호와 제2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1의 홀 소자와, 신호 성분이 서로 역상 또한 오프셋 성분이 서로 역상인 2종류의 신호로서, 상기 제1의 신호의 신호 성분과 동상의 신호 성분을 갖고 또한 상기 제1의 신호의 오프셋 성분과 역상의 오프셋 성분을 갖는 제3의 신호와, 상기 제2의 신호의 신호 성분과 동상의 신호 성분을 갖고 또한 상기 제2의 신호의 오프셋 성분과 역상의 오프셋 성분을 갖는 제4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의 홀 소자와, 상기 제1의 신호와 상기 제2의 신호와 상기 제3의 신호와 상기 제4의 신호 중에서, 상기 오프셋 성분이 서로 동상인 경우에는, 상기 신호 성분이 서로 역상인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오프셋 성분이 서로 역상인 경우에는, 상기 신호 성분이 서로 동상인 신호를 선택하여, 적어도 2개의 서로 종류가 다른 신호를 제1의 출력 신호로서 선택하는 신호 전환부와, 상기 신호 전환부가 선택하는 상기 제1의 출력 신호들을 연산함으로써, 상기 제1의 출력 신호들의 오프셋 성분을 저감한 제2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는 자기 센서 회로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gnetic sensor circuit for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a magnetic field intensity applied to a Hall element, the magnetic sensor circuit comprising: a first signal which is two kinds of signals whose signal components are in opposite phases, A first Hall element for outputting a signal of a first phase and a second phase for outputting a signal of the first phase, A third signal having an offset component of an opposite phase to the offset component of the signal and a third signal having a signal component in phase with the signal component of the second signal and having an offset component opposite in phase to the offset component of the second signal, When the offset component of the first signal, the second signal, the third signal, and the fourth signal is in phase with each other, the signal component This And a signal switching unit for selecting a signal whose signal components are in phase with each other and selecting at least two signals of different types as first output signals when the offset components are in opposite phases to each other, And a signal processing section for outputting a second output signal obtained by reducing the offset component of the first output signals by calculating the first output signals selected by the signal switching section.
또,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자기 센서 회로에서는, 상기 신호 전환부가 전환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2의 출력 신호의 출력처를 전환하는 제2의 신호 전환부를 더 구비한다.The magnetic sensor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signal switching section for switching the output destination of the second outpu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the signal to be switched by the signal switching section.
또,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자기 센서 회로에서는, 상기 제1의 홀 소자와, 상기 제2의 홀 소자와, 상기 신호 전환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제2의 신호 전환부는 같은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다.In the magnetic sensor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all element, the second Hall element, the signal switching section, the signal processing section, and the second signal switching section may be the same semiconductor Is formed on the substrate.
본 발명에 의하면, 플리커 노이즈 등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자기 센서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gnetic sensor circuit capable of reducing noise such as flicker noise.
도 1은,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 센서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는,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동증폭기의 회로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3은,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 센서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4는,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동증폭기의 회로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5는,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동증폭기의 회로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6은, 제3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 센서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7은, 제3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동증폭기의 회로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8은, 종래의 자기 센서 회로의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of a magnetic sensor circu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 is a time chart showing a circuit operation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circuit diagram of the magnetic sensor circu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4 is a time chart showing the circuit operation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5 is a time chart showing a circuit operation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6 is a circuit diagram of the magnetic sensor circu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7 is a time chart showing a circuit operation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8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magnetic sensor circuit.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의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Fig.
도 1을 참조하여,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 센서 회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magnetic sensor circu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 센서 회로의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of a magnetic sensor circu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 센서 회로(100)는, 각각 자전변환 소자인 홀 소자(1a)와, 홀 소자(1b)와, 제1의 스위치 회로(2)와, 신호 처리 회로(3)를 구비한다. 홀 소자(1a)란, 제1의 홀 소자의 일례이다. 또, 홀 소자(1b)란, 제2의 홀 소자의 일례이다. 홀 소자(1a)는 단자(A)와, 단자(B)와, 단자(C)와, 단자(D)를 구비한다. 홀 소자(1b)는 단자(E)와, 단자(F)와, 단자(G)와, 단자(H)를 구비한다. 제1의 스위치 회로(2)는 제1의 스위치(2a)와, 제1의 스위치(2b)를 구비한다. 제1의 스위치 회로(2)는 신호 전환부의 일례이다. 신호 처리 회로(3)는 차동증폭기(4)와, 제2의 스위치 회로(5)를 구비한다. 신호 처리 회로(3)는 신호 처리부의 일례이다. 차동증폭기(4)는 입력 단자(V5)와, 입력 단자(V6)와, 출력 단자(VO3)와, 출력 단자(VO4)를 구비한다. 제2의 스위치 회로(5)는 제2의 스위치(5a)와, 제2의 스위치(5b)와, 제2의 스위치(5c)와, 제2의 스위치(5d)를 구비한다. 제2의 스위치 회로(5)는 제2의 신호 전환부의 일례이다.The
홀 소자(1a)와 홀 소자(1b)는 서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또, 홀 소자(1a)의 단자(A)와 단자(C)를 연결한 직선과, 홀 소자(1b)의 단자(E)와 단자(G)를 연결한 직선이, 서로 대략 평행항 위치에 배치된다. 또, 홀 소자(1a)의 단자(B)와 단자(D)를 연결한 직선과, 홀 소자(1b)의 단자(F)와 단자(H)를 연결한 직선이, 서로 대략 평행한 위치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홀 소자가 배치되면, 2개의 홀 소자에 인가되는 자계 강도 또는 자속 밀도를 같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2개의 홀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신호의 전압의 크기를 같게 할 수 있다. The
홀 소자(1a)의 단자(A)에는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홀 소자(1a)의 단자(C)에는 접지 전압이 공급된다. A power supply voltage is supplied to the terminal A of the
홀 소자(1b)의 단자(H)에는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홀 소자(1b)의 단자(F)에는 접지 전압이 공급된다.A power supply voltage is supplied to the terminal H of the
제1의 스위치(2a)는 입력 단자(V1)와, 입력 단자(V2)와, 출력 단자(VO1)를 구비한다. 입력 단자(V1)는 홀 소자(1a)의 단자(B)와 접속된다. 입력 단자(V2)는 홀 소자(1a)의 단자(D)와 접속된다. 출력 단자(VO1)는 차동증폭기(4)의 입력 단자(V5)와 접속된다. The first switch 2a has an input terminal V1, an input terminal V2, and an output terminal VO1. The input terminal V1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B of the
제1의 스위치(2b)는 입력 단자(V3)와, 입력 단자(V4)와, 출력 단자(VO2)를 구비한다. 입력 단자(V3)는 홀 소자(1b)의 단자(E)와 접속된다. 입력 단자(V4)는 홀 소자(1b)의 단자(G)와 접속된다. 출력 단자(VO2)는 차동증폭기(4)의 입력 단자(V6)와 접속된다.The
제2의 스위치 회로(5)는 입력 단자(V7)와, 입력 단자(V8)와, 출력 단자(VO5)와, 출력 단자(VO6)를 구비한다. The second switch circuit 5 has an input terminal V7, an input terminal V8, an output terminal VO5, and an output terminal VO6.
입력 단자(V7)는 제2의 스위치(5a) 및 제2의 스위치(5c)와 접속된다. 제2의 스위치(5a)는 출력 단자(VO5)와 접속된다. 제2의 스위치(5c)는 출력 단자(VO6)와 접속된다.The input terminal V7 is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 5a and the second switch 5c. The second switch 5a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VO5. And the second switch 5c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VO6.
입력 단자(V8)는 제2의 스위치(5b) 및 제2의 스위치(5d)와 접속된다. 제2의 스위치(5b)는 출력 단자(VO5)와 접속된다. 제2의 스위치(5d)는 출력 단자(VO6)와 접속된다.The input terminal V8 is connected to the
[자기 센서 회로(100)의 동작의 개요] [Outline of Operation of the Magnetic Sensor Circuit 100]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자기 센서 회로(100)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자기 센서 회로(100)는 홀 소자(1a) 및 홀 소자(1b)에 인가되는 자계 강도 또는 자속 밀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The
홀 소자(1a) 및 홀 소자(1b)는 인가되는 자계 강도 또는 자속 밀도에 따른 전압 신호를, 홀 소자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 홀 소자 신호의 전압에는, 신호 성분을 나타내는 전압과 오프셋 성분을 나타내는 오프셋 전압이 포함된다.The
여기서, 홀 소자(1a) 및 홀 소자(1b)로부터 출력되는 홀 소자 신호에 대해 설명한다. 홀 소자(1a) 및 홀 소자(1b)로부터 출력되는 홀 소자 신호를, 식 (1)부터 식 (4)에 나타낸다. 또한, 식 (1)부터 식 (4)에 포함되는 Vsig는, 홀 소자(1a) 및 홀 소자(1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성분의 전압을 나타낸다. 식 (1)부터 식 (4)에 포함되는 Vos는, 홀 소자(1a) 및 홀 소자(1b)로부터 출력되는 오프셋 성분의 전압을 나타낸다.Here, the Hall element signals output from the
홀 소자(1a)의 단자(B)로부터 출력되는 홀 소자 신호(VT2)를 식 (1)에 나타낸다. 여기서, 홀 소자 신호(VT2)는 제1의 신호의 일례이다.(1) shows the Hall element signal V T2 output from the terminal B of the
[수학식 1][Equation 1]
홀 소자(1a)의 단자(D)로부터 출력되는 홀 소자 신호(VT4)를 식 (2)에 나타낸다. 여기서, 홀 소자 신호(VT4)는 제2의 신호의 일례이다.(2) shows the Hall element signal V T4 output from the terminal D of the
[수학식 2]&Quot; (2) "
즉, 홀 소자(1a)는 신호 성분이 서로 역상 또한 오프셋 성분이 서로 역상인 2종류의 신호인 제1의 신호와 제2의 신호를 출력한다.That is, the
홀 소자(1b)의 단자(E)로부터 출력되는 홀 소자 신호(VT1)를 식 (3)에 나타낸다. 여기서, 홀 소자 신호(VT1)는 제3의 신호의 일례이다. 홀 소자 신호(VT1)는 홀 소자 신호(VT2)의 신호 성분과 동상의 신호 성분을 갖고 또한 홀 소자 신호(VT2)의 오프셋 성분과 역상의 오프셋 성분을 갖는다.(3) shows the Hall element signal (V T1 ) output from the terminal E of the
[수학식 3]&Quot; (3) "
홀 소자(1b)의 단자(G)로부터 출력되는 홀 소자 신호(VT3)를 식 (4)에 나타낸다. 여기서, 홀 소자 신호(VT3)는 제4의 신호의 일례이다. 홀 소자 신호(VT3)는 홀 소자 신호(VT4)의 신호 성분과 동상의 신호 성분을 갖고 또한 홀 소자 신호(VT4)의 오프셋 성분과 역상의 오프셋 성분을 갖는다.(4) shows the Hall element signal V T3 output from the terminal G of the
[수학식 4]&Quot; (4) "
즉, 홀 소자(1b)는 신호 성분이 서로 역상 또한 오프셋 성분이 서로 역상인 2종류의 신호인, 제3의 신호와 제4의 신호를 출력한다.That is, the
다음에, 제1의 스위치 회로(2)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제1의 스위치 회로(2)는 홀 소자 신호(VT1)와 홀 소자 신호(VT2)와 홀 소자 신호(VT3)와 홀 소자 신호(VT4) 중에서, 적어도 2개의 서로 종류가 다른 신호를 제1의 출력 신호로서 선택한다. 제1의 스위치 회로(2)의 출력 단자(VO1)는, 선택한 홀 소자 신호를 신호(S1)로서 출력한다. 제1의 스위치 회로(2)의 출력 단자(VO2)는 선택한 홀 소자 신호를 신호(S2)로서 출력한다. 제1의 출력 신호란, 제1의 스위치 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S1) 및 신호(S2)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스위치 회로(2)는 오프셋 성분들이 서로 동상인 경우에는, 신호 성분들이 서로 역상인 신호를 선택한다. 또, 제1의 스위치 회로(2)는 오프셋 성분들이 서로 역상인 경우에는, 신호 성분들이 서로 동상의 신호를 선택한다.The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스위치(2a)가 홀 소자 신호(VT2)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제1의 스위치(2b)는 홀 소자 신호(VT3)를 선택한다. 이 제1의 스위치(2a)가 홀 소자 신호(VT2)를 선택하고, 제1의 스위치(2b)가 홀 소자 신호(VT3)를 선택하는 상태를 제1 상으로도 기재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switch 2a selects the Hall element signal V T2 , the
또, 제1의 스위치(2a)가 홀 소자 신호(VT4)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제1의 스위치(2b)는 홀 소자 신호(VT1)를 선택한다. 이 제1의 스위치(2a)가 홀 소자 신호(VT4)를 선택하고, 제1의 스위치(2b)가 홀 소자 신호(VT1)를 선택하는 상태를, 제2 상으로도 기재한다.When the first switch 2a selects the Hall element signal V T4 , the
제1의 스위치 회로(2)는, 이 일례에서는, 도시를 생략한 발진기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1 상과, 제2상을 전환한다. 이 발진기는, 수백(kHz)의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 발진기가 출력하는 신호의 주파수를, 클록 주파수라고도 기재한다. 제1의 스위치 회로(2)는 클록 주파수에 따라 제1상과 제2상을 교대로 전환한다.In this example, the
신호 처리 회로(3)는, 제1의 스위치 회로(2)가 선택하는 제1의 출력 신호들을 연산함으로써, 제1의 출력 신호들의 오프셋 성분을 저감한 제2의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동증폭기(4)는 입력 단자(V5)에 공급되는 신호(S1)와, 입력 단자(V6)에 공급되는 신호(S2)의 차를 연산한다. 차동증폭기(4)는 출력 단자(VO3)로부터 신호(S3)를 출력한다. 또, 차동증폭기(4)는 출력 단자(VO4)로부터, 신호(S4)를 출력한다. 이 신호(S3) 및 신호(S4)는 차동신호이다. 제2의 출력 신호에는 이 신호(S3)와 신호(S4)가 포함된다.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3 outputs a second output signal in which the offset component of the first output signals is reduced by calculating the first output signals selected by the
도 2는,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동증폭기(4)의 회로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차동증폭기(4)에 공급되는 제1의 출력 신호와, 차동증폭기(4)로부터 출력되는 제2의 출력 신호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2 is a time chart showing the circuit operation of the
도 2(A)에, 입력 단자(V5)에 공급되는 신호(S1)의 타임 차트를 나타낸다. 도 2(B)에, 입력 단자(V6)에 공급되는 신호(S2)의 타임 차트를 나타낸다. 도 2(C)에, 출력 단자(VO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S3)의 타임 차트를 나타낸다. Fig. 2 (A) shows a time chart of the signal S1 supplied to the input terminal V5. Fig. 2 (B) shows a time chart of the signal S2 supplied to the input terminal V6. Fig. 2 (C) shows a time chart of the signal S3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3.
도 2(A)부터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상(P1)에서는, 입력 단자(V5)에는 식 (1)에 나타내는 홀 소자 신호(VT2)가 입력되고, 입력 단자(V6)에는, 식 (4)에 나타내는 홀 소자 신호(VT3)가 공급된다. 차동증폭기(4)는 홀 소자 신호(VT2)로부터 홀 소자 신호(VT3)를 감산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동증폭기(4)는 홀 소자 신호(VT3)의 정부를 반전한다. 차동증폭기(4)는, 반전한 홀 소자 신호(VT3)와, 홀 소자 신호(VT2)를 가산한다. 차동증폭기(4)는, 감산한 전압 신호를 신호(S3)로서 출력 단자(VO3)로부터 출력한다.2 (A) to 2 (C), in the first phase P1, the Hall element signal V T2 shown in equation (1) is inputted to the input terminal V5, The Hall element signal V T3 shown in the equation (4) is supplied. The
또, 제2 상(P2)에서는, 입력 단자(V5)에는 식 (2)에 나타내는 홀 소자 신호(VT4)가 입력되고, 입력 단자(V6)에는 식 (3)에 나타내는 홀 소자 신호(VT1)가 공급된다. 차동증폭기(4)는 홀 소자 신호(VT4)로부터 홀 소자 신호(VT1)를 감산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동증폭기(4)는 홀 소자 신호(VT1)의 정부를 반전한다. 차동증폭기(4)는 반전한 홀 소자 신호(VT1)와, 홀 소자 신호(VT4)를 가산한다. 차동증폭기(4)는 감산한 전압 신호를 신호(S3)로서 출력 단자(VO3)로부터 출력한다.In the second phase P2, the Hall element signal V T4 shown in Expression (2) is inputted to the input terminal V5 and the Hall element signal V (4) shown in Expression (3) T1 . The
출력 단자(VO4)는, 출력 단자(VO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신호와는 전압이 역상인 신호를, 신호(S4)로서 출력한다. The output terminal VO4 outputs, as the signal S4, a signal whose voltage is opposite in phase to the voltage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3.
차동증폭기(4)는, 제1의 스위치 회로(2)가 제1 상(P1)인 경우에는, 출력 단자(VO3)로부터 전압이 +Aop×Vsig/2인 신호(S3)를 출력하고, 출력 단자(VO4)로부터 전압이 -Aop×Vsig/2인 신호(S4)를 출력한다. 여기서, Aop란, 차동증폭기(4)의 증폭률이다. 또, 차동증폭기(4)는, 제1의 스위치 회로(2)가 제2 상(P2)인 경우에는, 출력 단자(VO3)로부터 전압이 -Aop×Vsig/2인 신호(S3)를 출력하고, 출력 단자(VO4)로부터 전압이 +Aop×Vsig/2인 신호(S4)를 출력한다.The
이 출력 단자(VO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S3)는, 오프셋 성분(Vos)이 저감된 신호이다. 또, 출력 단자(VO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S4)는, 오프셋 성분(Vos)이 저감된 신호이다. The signal S3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3 is a signal in which the offset component Vos is reduced. The signal S4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4 is a signal in which the offset component Vos is reduced.
다음에, 제2의 스위치 회로(5)의 회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2의 스위치 회로(5)는, 입력 단자(V7)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와, 입력 단자(V8)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4)의 출력처를, 제1의 스위치 회로(2)로 전환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의 스위치 회로(5)는, 제1의 스위치 회로(2)가 신호를 선택하는 동작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신호를 전환한다.Next, the circuit operation of the second switch circuit 5 will be described. The second switch circuit 5 outputs the signal S3 supplied from the input terminal V7 and the output destination of the signal S4 supplied from the input terminal V8 to the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스위치 회로(2)가 제1 상(P1)인 경우에는, 제2의 스위치 회로(5)는 제2의 스위치(5a)와, 제2의 스위치(5d)를 도통 상태로 한다. 또, 제2의 스위치 회로(5)는 제2의 스위치(5b)와, 제2의 스위치(5c)를 비도통 상태로 한다. 이 경우에는, 출력 단자(VO5)로부터는, 입력 단자(V7)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가 출력된다. 또, 출력 단자(VO6)로부터는, 입력 단자(V8)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4)가 출력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또, 제1의 스위치 회로(2)가 제2 상(P2)인 경우에는, 제2의 스위치 회로(5)는 제2의 스위치(5b)와, 제2의 스위치(5c)를 도통 상태로 한다. 또, 제2의 스위치 회로(5)는 제2의 스위치(5a)와, 제2의 스위치(5d)를 비도통 상태로 한다. 이 경우에는, 출력 단자(VO5)로부터는, 입력 단자(V8)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4)가 출력된다. 또, 출력 단자(VO6)로부터는, 입력 단자(V7)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가 출력된다.When the
또한, 상술한 제2의 스위치 회로(5)는 필수는 아니다. 제2의 스위치 회로(5)는, 차동증폭기(4)로부터 출력된 증폭 후의 전압 신호의 주파수를, 원래의 전압 신호의 주파수로 되돌리는 회로이다. 이 증폭 후의 전압 신호는, 홀 소자(1a) 및 홀 소자(1b)로부터 공급되는 미소 전압 신호보다 큰 전압의 신호이다. 이 증폭 후의 전압 신호는, 증폭 전의 전압 신호와 비교하면,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이 증폭 후의 전압 신호는,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여러가지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econd switch circuit 5 is not essential. The second switch circuit 5 is a circuit for returning the frequency of the amplified voltage signal outputted from the
이상을 정리하면,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 센서 회로(100)는, 홀 소자(1a)와, 홀 소자(1b)와, 제1의 스위치 회로(2)로 구성되는 초핑 회로를 갖고 있다. 이 제1의 스위치 회로(2)는, 오프셋 성분이 저감하는 조합의 홀 소자 신호를 선택한다. 차동증폭기(4)는, 제1의 스위치 회로(2)가 선택한 홀 소자 신호들을 연산함으로써, 홀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인 오프셋 성분을 저감한다. 또, 초핑 회로는, 제1의 스위치 회로(2)가 선택한 홀 소자 신호의 주파수역을, 제1의 스위치 회로(2)가 선택하는 홀 소자 신호를 전환하는 클록 주파수역으로 변조한다. 플리커 노이즈의 주파수는 저주파수역의 노이즈이다. 이 저주파수역의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플리커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차동증폭기(4)로부터 발생하는 플리커 노이즈는, 상술한 초핑 회로와, 도시를 생략한 후치 필터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플리커 노이즈 등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자기 센서 회로(100)를 제공할 수 있다.To summarize the above, the
또, 제1의 스위치 회로(2)는, 종래 기술의 스피닝 커런트에 이용되는 스위치 회로보다 소형의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스피닝 커런트란, 홀 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의 단자와, 홀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홀 소자 신호를 취출하는 단자를 전환함으로써, 홀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오프셋 성분을 저감하는 기술이다. 이 홀 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의 단자를 전환하는 스위치는, 홀 소자 신호를 전환하는 제1의 스위치 회로(2)보다 큰 스위치이다. 또, 전원의 단자를 전환함으로써 발생하는 스위칭 노이즈와, 홀 소자 신호를 전환함으로써 발생하는 스위칭 노이즈를 비교하면, 홀 소자 신호를 전환하는 스위칭 노이즈가 발생하는 노이즈가 작다. 이로 인해, 제1의 스위치 회로(2)는, 스피닝 커런트에 이용되는 스위치 회로보다 소형의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제1의 스위치 회로(2)는, 스피닝 커런트에 이용되는 스위치 회로보다 스위칭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Also, the
상술한 설명에서는, 차동증폭기(4)가 감산기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동증폭기(4)는 가산기여도 된다. 차동증폭기(4)가 가산기인 경우에는, 제1의 스위치 회로(2)는, 신호 성분이 동상 또한 오프셋 성분이 역상인 신호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제1의 스위치 회로(2)는, 상술한 홀 소자 신호(VT2)와 홀 소자 신호(VT1)를, 제1 상으로서 선택한다. 또, 제1의 스위치 회로(2)는, 상술한 홀 소자 신호(VT4)와 홀 소자 신호(VT3)를, 제2 상으로서 선택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또한, 홀 소자(1a)와, 홀 소자(1b)와, 제1의 스위치 회로(2)와, 차동증폭기(4)와, 제2의 스위치 회로(5)는, 같은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반도체 기판은 CMOS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차동증폭기(84a, 84b)는, 플리커 노이즈를 발생시키지 않는 바이폴러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했다. 이것은, CMOS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오프셋 성분 및 플리커 노이즈를 저감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이폴러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에는, 반도체 기판의 프로세스 코스트가 CMOS보다 고가이고, 반도체 기판의 크기도 크다. 즉, 자기 센서 회로(100)는, 초핑 회로를 구비함으로써 홀 소자 신호와 차동증폭기(4)에서 발생하는 플리커 노이즈의 주파수역을 분리할 수 있고, CMOS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염가로, 반도체 기판의 크기도 보다 작게 제조할 수 있다.The
[제2의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여기까지는, 신호 처리 회로가 1개인 차동증폭기를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다.Up to this point, a configuration in which a differential amplifier with one signal processing circuit is provided has been described.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 센서 회로의 회로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신호 처리 회로가 2개인 차동증폭기를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3 which is a circuit diagram of a magnetic sensor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including a differential amplifier with two signal processing circuits will be described. The same components and operation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 센서 회로(3100)는, 각각 자전변환 소자인 홀 소자(1a)와, 홀 소자(1b)와, 제1의 스위치 회로(32)와, 신호 처리 회로(33)를 구비한다. 제1의 스위치 회로(32)는, 제1의 스위치(32a)와, 제1의 스위치(32b)와, 제1의 스위치(32c)와, 제1의 스위치(32d)를 구비한다. 신호 처리 회로(33)는, 차동증폭기(34a)와, 차동증폭기(34b)와, 감산기(36)와, 제2의 스위치 회로(35)를 구비한다.The
차동증폭기(34a)는 입력 단자(V39)와, 입력 단자(V40)와, 출력 단자(VO35)와, 출력 단자(VO36)를 구비한다. The
차동증폭기(34b)는 입력 단자(V41)와, 입력 단자(V42)와, 출력 단자(VO37)와, 출력 단자(VO38)를 구비한다.The
감산기(36)는 입력 단자(V43)와, 입력 단자(V44)와, 입력 단자(V45)와, 입력 단자(V46)와, 출력 단자(VO39)와, 출력 단자(VO40)를 구비한다. 이 감산기(36)는, 제1의 출력 신호들의 연산에 이용하는 연산기의 일례이다. The
제2의 스위치 회로(35)는 입력 단자(V47)와, 입력 단자(V48)와, 출력 단자(VO41)와, 출력 단자(VO42)를 구비한다.The
제1의 스위치(32a)는, 입력 단자(V31)와, 입력 단자(V32)와, 출력 단자(VO31)를 구비한다. 입력 단자(V31)는, 홀 소자(1a)의 단자(B)와 접속된다. 입력 단자(V32)는, 홀 소자(1a)의 단자(D)와 접속된다. 출력 단자(VO31)는, 차동증폭기(34a)의 입력 단자(V39)와 접속된다. The
제1의 스위치(32b)는 입력 단자(V33)와, 입력 단자(V34)와, 출력 단자(VO32)를 구비한다. 입력 단자(V33)는 홀 소자(1b)의 단자(E)와 접속된다. 입력 단자(V34)는 홀 소자(1b)의 단자(G)와 접속된다. 출력 단자(VO32)는 차동증폭기(34a)의 입력 단자(V40)와 접속된다.The
제1의 스위치(32c)는, 입력 단자(V35)와, 입력 단자(V36)와, 출력 단자(VO33)를 구비한다. 입력 단자(V35)는 홀 소자(1a)의 단자(B)와 접속된다. 입력 단자(V36)는 홀 소자(1a)의 단자(D)와 접속된다. 출력 단자(VO33)는 차동증폭기(34b)의 입력 단자(V41)와 접속된다. The
제1의 스위치(32d)는 입력 단자(V37)와, 입력 단자(V38)와, 출력 단자(VO34)를 구비한다. 입력 단자(V37)는 홀 소자(1b)의 단자(E)와 접속된다. 입력 단자(V38)는 홀 소자(1b)의 단자(G)와 접속된다. 출력 단자(VO34)는 차동증폭기(34b)의 입력 단자(V42)와 접속된다.The
차동증폭기(34a)의 출력 단자(VO35)는 감산기(36)의 입력 단자(V43)와 접속된다. 차동증폭기(34a)의 출력 단자(VO36)는 감산기(36)의 입력 단자(V44)와 접속된다. The output terminal VO35 of the
차동증폭기(34b)의 출력 단자(VO37)는 감산기(36)의 입력 단자(V45)와 접속된다. 차동증폭기(34b)의 출력 단자(VO38)는 감산기(36)의 입력 단자(V46)와 접속된다.The output terminal VO37 of the
감산기(36)의 출력 단자(VO39)는 제2의 스위치 회로(35)의 입력 단자(V47)와 접속된다. The output terminal VO39 of the
감산기(36)의 출력 단자(VO40)는 제2의 스위치 회로(35)의 입력 단자(V48)와 접속된다. The output terminal VO40 of the
제2의 스위치 회로(35)의 입력 단자(V47)는 제2의 스위치(35a) 및 제2의 스위치(35c)와 접속된다. 제2의 스위치(35a)는 출력 단자(VO41)와 접속된다. 제2의 스위치(35c)는 출력 단자(VO42)와 접속된다. The input terminal V47 of the
입력 단자(V48)는, 제2의 스위치(35b) 및 제2의 스위치(35d)와 접속된다. 제2의 스위치(35b)는 출력 단자(VO41)와 접속된다. 제2의 스위치(35d)는 출력 단자(VO42)와 접속된다.The input terminal V48 is connected to the
[자기 센서 회로(3100)의 동작의 개요][Outline of Operation of the Magnetic Sensor Circuit 3100]
다음에, 자기 센서 회로(3100)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제1의 스위치 회로(32)는 홀 소자(1a) 및 홀 소자(1b)로부터 공급된 홀 소자 신호를 선택한다. 제1의 스위치(32a)는, 선택한 홀 소자 신호를 신호(S31)로서 출력한다. 제1의 스위치(32b)는 선택한 홀 소자 신호를 신호(S32)로서 출력한다. 제1의 스위치(32c)는 선택한 홀 소자 신호를 신호(S33)로서 출력한다. 제1의 스위치(32d)는, 선택한 홀 소자 신호를 신호(S34)로서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1의 출력 신호에는 신호(S31)와, 신호(S32)와, 신호(S33)와, 신호(S34)가 포함된다.The
제1의 스위치 회로(32)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상과, 제2 상의 2종류 상태를 교대로 전환한다. The
제1의 스위치 회로(32)가 제1 상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The case where the
제1의 스위치(32a)는 입력 단자(V31)에 공급되는 홀 소자 신호(VT2)를 선택한다. 제1의 스위치(32b)는 입력 단자(V34)에 공급되는 홀 소자 신호(VT3)를 선택한다. 제1의 스위치(32c)는 입력 단자(V36)에 공급되는 홀 소자 신호(VT4)를 선택한다. 제1의 스위치(32d)는 입력 단자(V37)에 공급되는 홀 소자 신호(VT1)를 선택한다.The
다음에, 제1의 스위치 회로(32)가 제2 상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case where the
제1의 스위치(32a)는 입력 단자(V32)에 공급되는 홀 소자 신호(VT4)를 선택한다. 제1의 스위치(32b)는 입력 단자(V33)에 공급되는 홀 소자 신호(VT1)를 선택한다. 제1의 스위치(32c)는 입력 단자(V35)에 공급되는 홀 소자 신호(VT2)를 선택한다. 제1의 스위치(32d)는 입력 단자(V38)에 공급되는 홀 소자 신호(VT3)를 선택한다.The
차동증폭기(34a)는 입력 단자(V39) 및 입력 단자(V40)에 공급되는 전압 신호의 차를 연산한다. 차동증폭기(34a)는 출력 단자(VO35) 및 출력 단자(VO36)로부터, 연산한 전압 신호인 차동신호를 출력한다. The
차동증폭기(34b)는, 입력 단자(V41) 및 입력 단자(V42)에 공급되는 전압 신호의 차를 연산한다. 차동증폭기(34b)는 출력 단자(VO37) 및 출력 단자(VO38)로부터, 연산한 전압 신호인 차동신호를 출력한다.The
도 4는,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동증폭기(34a)의 회로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차동증폭기(34a)에 공급되는 제1의 출력 신호와, 차동증폭기(34a)로부터 출력되는 차동신호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4 is a time chart showing the circuit operation of the
도 4(A)에, 입력 단자(V39)에 공급되는 신호(S31)의 타임 차트를 나타낸다. 도 4(B)에, 입력 단자(V40)에 공급되는 신호(S32)의 타임 차트를 나타낸다. 도 4(C)에, 출력 단자(VO3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S35)의 타임 차트를 나타낸다. Fig. 4 (A) shows a time chart of the signal S31 supplied to the input terminal V39. Fig. 4B shows a time chart of the signal S32 supplied to the input terminal V40. Fig. 4 (C) shows a time chart of the signal S35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35.
도 4(A)부터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상(P1)에서는, 입력 단자(V39)에는 식 (1)에 나타내는 홀 소자 신호(VT2)가 입력되고, 입력 단자(V40)에는 식 (4)에 나타내는 홀 소자 신호(VT3)가 공급된다. 차동증폭기(34a)는, 홀 소자 신호(VT2)로부터 홀 소자 신호(VT3)를 감산한다. 차동증폭기(34a)는 이 감산한 전압 신호를 신호(S35)로서 출력 단자(VO35)로부터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동증폭기(34a)는 홀 소자 신호(VT3)의 정부를 반전한다. 차동증폭기(34a)는 반전한 홀 소자 신호(VT3)와, 홀 소자 신호(VT2)를 가산한다.4 (A) to 4 (C), in the first phase P1, the Hall element signal V T2 shown in equation (1) is inputted to the input terminal V39, The Hall element signal V T3 shown in the equation (4) is supplied. The
또, 제2 상(P2)에서는 입력 단자(V39)에는 식 (2)에 나타내는 홀 소자 신호(VT4)가 입력되고, 입력 단자(V40)에는 식 (3)에 나타내는 홀 소자 신호(VT1)가 공급된다. 차동증폭기(34a)는, 홀 소자 신호(VT4)로부터 홀 소자 신호(VT1)를 감산한다. 차동증폭기(34a)는 이 감산한 전압 신호를 신호(S35)로서, 출력 단자(VO35)로부터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동증폭기(34a)는 홀 소자 신호(VT1)의 정부를 반전한다. 차동증폭기(34a)는 반전한 홀 소자 신호(VT1)와, 홀 소자 신호(VT4)를 가산한다. In the second phase P2, the Hall element signal V T4 shown in Expression (2) is inputted to the input terminal V39 and the Hall element signal V T1 shown in Expression (3) is inputted to the input terminal V40. Is supplied. The
출력 단자(VO36)는 출력 단자(VO35)에 출력되는 전압 신호와는 전압이 역상인 신호를, 신호(S36)로서 출력한다. 이 일례에서는, 차동증폭기(34a)는 제1의 스위치 회로(32)가 제1 상인 경우에는, 출력 단자(VO35)로부터 전압이 +Aop×Vsig/2인 신호(S35)를 출력하고, 출력 단자(VO36)로부터 전압이 -Aop×Vsig/2인 신호(S36)를 출력한다. 차동증폭기(34a)는, 제1의 스위치 회로(32)가 제2 상인 경우에는, 출력 단자(VO35)로부터 전압이 -Aop×Vsig/2인 신호(S35)를 출력하고, 출력 단자(VO36)로부터 전압이 +Aop×Vsig/2인 신호(S36)를 출력한다. 여기서, Aop란, 차동증폭기(34a)의 증폭율이다.The output terminal VO36 outputs a signal having a voltage opposite in phase to the voltage signal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VO35 as the signal S36. In this example, the
도 5는,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동증폭기(34b)의 회로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고, 차동증폭기(34b)에 공급되는 제1의 출력 신호와, 차동증폭기(34b)로부터 출력되는 차동신호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5 is a time chart showing the circuit operation of the
도 5(A)에, 입력 단자(V41)에 공급되는 신호(S33)의 타임 차트를 나타낸다. 도 5(B)에, 입력 단자(V42)에 공급되는 신호(S34)의 타임 차트를 나타낸다. 도 5(C)에, 출력 단자(VO3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S37)의 타임 차트를 나타낸다. Fig. 5 (A) shows a time chart of the signal S33 supplied to the input terminal V41. Fig. 5B shows a time chart of the signal S34 supplied to the input terminal V42. FIG. 5C shows a time chart of the signal S37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37.
도 5(A)부터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상(P1)에서는, 입력 단자(V41)에는, 식 (2)에 나타내는 홀 소자 신호(VT4)가 입력되고, 입력 단자(V42)에는, 식 (3)에 나타내는 홀 소자 신호(VT1)가 공급된다. 차동증폭기(34b)는 홀 소자 신호(VT4)로부터 홀 소자 신호(VT1)를 감산한다. 차동증폭기(34b)는 이 감산한 전압 신호를 신호(S37)로서 출력 단자(VO37)로부터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동증폭기(34b)는 홀 소자 신호(VT1)의 정부를 반전한다. 차동증폭기(34b)는 반전한 홀 소자 신호(VT1)와, 홀 소자 신호(VT4)를 가산한다.5A to 5C, in the first phase P1, the Hall element signal V T4 shown in equation (2) is inputted to the input terminal V41 and the Hall element signal V T4 shown in the equation ) Is supplied with the Hall element signal (V T1 ) shown in Expression (3). The
또, 제2 상(P2)에서는, 입력 단자(V41)에는 식 (1)에 나타내는 홀 소자 신호(VT2)가 입력되고, 입력 단자(V42)에는 식 (4)에 나타내는 홀 소자 신호(VT3)가 공급된다. 차동증폭기(34b)는 홀 소자 신호(VT2)로부터 홀 소자 신호(VT3)를 감산한다. 차동증폭기(34b)는, 이 감산한 전압 신호를 신호(S37)로서 출력 단자(VO37)로부터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동증폭기(34b)는 홀 소자 신호(VT3)의 정부를 반전한다. 차동증폭기(34b)는 반전한 홀 소자 신호(VT3)와, 홀 소자 신호(VT2)를 가산한다. In the second phase P2, the Hall element signal V T2 shown in equation (1) is inputted to the input terminal V41 and the Hall element signal V (V) shown in the equation (4) T3 ) are supplied. The
출력 단자(VO38)는 출력 단자(VO37)에 출력되는 전압 신호와는 전압이 역상인 신호를 신호(S38)로서 출력한다. 이 일례에서는, 차동증폭기(34b)는 제1의 스위치 회로(32)가 제1 상(P1)인 경우에는, 출력 단자(VO37)로부터 전압이 -Aop×Vsig/2인 신호(S37)를 출력하고, 출력 단자(VO38)로부터 전압이 +Aop×Vsig/2인 신호(S38)를 출력한다. 차동증폭기(34b)는, 제1의 스위치 회로(32)가 제2 상(P2)인 경우에는, 출력 단자(VO37)로부터 전압이 +Aop×Vsig/2인 신호(S37)를 출력하고, 출력 단자(VO38)로부터 전압이 -Aop×Vsig/2인 신호(S38)를 출력한다. 여기서, Aop란, 차동증폭기(34b)의 증폭율이다.The output terminal VO38 outputs a signal having a voltage opposite in phase to the voltage signal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VO37 as a signal S38. In this example, when the
다음에, 감산기(36)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감산기(36)는 입력 단자(V43)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5)와, 입력 단자(V45)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7)를 감산한다. 입력 단자(V43)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5)와, 입력 단자(V45)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7)는 역상의 신호이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또, 감산기(36)는 입력 단자(V44)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6)와, 입력 단자(V46)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8)를 감산한다. 입력 단자(V44)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6)와, 입력 단자(V46)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8)는 역상의 신호이다. The
즉, 감산기(36)는 신호 성분을 강조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 감산기(3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S39) 및 신호(S40)는 제2의 출력 신호의 일례이다.That is, the
다음에, 제2의 스위치 회로(35)의 회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2의 스위치 회로(35)는, 입력 단자(V47)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9)와, 입력 단자(V48)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40)의 출력처를, 제1의 스위치 회로(32)가 전환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의 스위치 회로(35)는, 제1의 스위치 회로(32)가 신호를 선택하는 동작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신호를 전환한다.Next, the circuit operation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스위치 회로(32)가 제1 상(P1)인 경우에는, 제2의 스위치 회로(35)는 제2의 스위치(35a)와, 제2의 스위치(35d)를 도통 상태로 한다. 또, 제2의 스위치 회로(35)는 제2의 스위치(35b)와, 제2의 스위치(35c)를 비도통 상태로 한다. 이 경우에는, 출력 단자(VO41)로부터는, 입력 단자(V47)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9)가 출력된다. 또, 출력 단자(VO42)로부터는 입력 단자(V48)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40)가 출력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또, 제1의 스위치 회로(32)가 제2 상(P2)인 경우에는, 제2의 스위치 회로(35)는 제2의 스위치(5b)와, 제2의 스위치(5c)를 도통 상태로 한다. 또, 제2의 스위치 회로(35)는 제2의 스위치(5a)와, 제2의 스위치(5d)를 비도통 상태로 한다. 이 경우에는, 출력 단자(VO41)로부터는, 입력 단자(V48)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40)가 출력된다. 또, 출력 단자(VO42)로부터는 입력 단자(V47)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9)가 출력된다.When the
[제3의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도 6은, 제3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 센서 회로의 회로도이다. 6 is a circuit diagram of the magnetic sensor circu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신호 처리 회로가 가산기를 구비하는 경우의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 및 제2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6 and Fig. 7, a circuit in the case where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includes an adder will be described. The same components and operations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자기 센서 회로(6100)와, 상술한 자기 센서 회로(3100)는 파선(WM)으로 나타내는 홀 소자(1a) 및 홀 소자(1b)와, 제1의 스위치 회로(32)의 일부의 접속이 다르다. 또, 자기 센서 회로(6100)가 구비하는 신호 처리 회로(63)는 가산기(66)를 구비한다. 가산기(66)는 차동증폭기(34a) 및 차동증폭기(34b)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신호를 가산한다.The
제1의 스위치(32c)의 입력 단자(V35)는 홀 소자(1b)의 단자(G)와 접속된다. 제1의 스위치(32c)의 입력 단자(V36)는 홀 소자(1b)의 단자(E)와 접속된다. The input terminal V35 of the
제1의 스위치(32d)의 입력 단자(V37)는 홀 소자(1a)의 단자(D)와 접속된다. 제1의 스위치(32d)의 입력 단자(V38)는 홀 소자(1a)의 단자(B)와 접속된다.The input terminal V37 of the
가산기(66)는 입력 단자(V61)와, 입력 단자(V62)와, 입력 단자(V63)와, 입력 단자(V64)와, 출력 단자(VO61)와, 출력 단자(VO62)를 구비한다. The
차동증폭기(34a)의 출력 단자(VO35)는, 가산기(66)의 입력 단자(V61)와 접속된다. 차동증폭기(34a)의 출력 단자(VO36)는 가산기(66)의 입력 단자(V62)와 접속된다. The output terminal VO35 of the
차동증폭기(34b)의 출력 단자(VO37)는 가산기(66)의 입력 단자(V63)와 접속된다. 차동증폭기(34b)의 출력 단자(VO38)는 가산기(66)의 입력 단자(V64)와 접속된다.The output terminal VO37 of the
가산기(66)의 출력 단자(VO61)는 제2의 스위치 회로(35)의 입력 단자(V47)와 접속된다. The output terminal VO61 of the
가산기(66)의 출력 단자(VO62)는 제2의 스위치 회로(35)의 입력 단자(V48)와 접속된다.The output terminal VO62 of the
[자기 센서 회로(6100)의 동작의 개요][Outline of Operation of the Magnetic Sensor Circuit 6100]
다음에, 자기 센서 회로(6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제1의 스위치 회로(32)가 제1 상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The case where the
제1의 스위치(32c)는 입력 단자(V36)로부터 공급되는 홀 소자 신호(VT1)를 선택한다. 제1의 스위치(32d)는 입력 단자(V37)로부터 공급되는 홀 소자 신호(VT4)를 선택한다. The
다음에, 제1의 스위치 회로(32)가 제2 상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ase where the
제1의 스위치(32c)는 입력 단자(V35)로부터 공급되는 홀 소자 신호(VT3)를 선택한다. 제1의 스위치(32d)는 입력 단자(V38)로부터 공급되는 홀 소자 신호(VT2)를 선택한다.The
도 7은 제3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동증폭기(34b)의 회로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차동증폭기(34b)에 공급되는 제1의 출력 신호와, 차동증폭기(34b)로부터 출력되는 차동신호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차동증폭기(34a)에 입출력되는 신호는 도 4에 나타내는 신호와 동일하다.7 is a time chart showing the circuit operation of the
도 7(A)에, 입력 단자(V41)에 공급되는 홀 소자 신호의 타임 차트를 나타낸다. 도 7(B)에, 입력 단자(V42)에 공급되는 홀 소자 신호의 타임 차트를 나타낸다. 도 7(C)에, 출력 단자(VO37)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신호의 타임 차트를 나타낸다. Fig. 7 (A) shows a time chart of a Hall element signal supplied to the input terminal V41. Fig. 7B shows a time chart of the Hall element signal supplied to the input terminal V42. Fig. 7 (C) shows a time chart of the voltage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37.
도 7(A)부터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상(P1)에서는, 입력 단자(V41)에는, 식 (3)에 나타내는 홀 소자 신호(VT1)가 입력되고, 입력 단자(V42)에는, 식 (2)에 나타내는 홀 소자 신호(VT4)가 공급된다. 차동증폭기(34b)는 홀 소자 신호(VT1)로부터 홀 소자 신호(VT4)를 감산한다. 차동증폭기(34b)는 이 감산한 전압 신호를 신호(S37)로서 출력 단자(VO37)로부터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동증폭기(34b)는 홀 소자 신호(VT4)의 정부를 반전한다. 차동증폭기(34b)는, 반전한 홀 소자 신호(VT4)와, 홀 소자 신호(VT1)를 가산한다.As shown in Figs. 7A to 7C, in the first phase P1, the Hall element signal (V T1 ) shown in Formula (3) is inputted to the input terminal V41, and the Hall element signal ) Is supplied with the Hall element signal V T4 shown in Expression (2). The
또, 제2 상(P2)에서는, 입력 단자(V41)에는, 식 (4)에 나타내는 홀 소자 신호(VT3)가 입력되고, 입력 단자(V42)에는 식 (1)에 나타내는 홀 소자 신호(VT2)가 공급된다. 차동증폭기(34b)는 홀 소자 신호(VT2)로부터 홀 소자 신호(VT3)를 감산한다. 차동증폭기(34b)는 이 감산한 전압 신호를 신호(S37)로서 출력 단자(VO37)로부터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동증폭기(34b)는 홀 소자 신호(VT3)의 정부를 반전한다. 차동증폭기(34b)는 반전한 홀 소자 신호(VT3)와, 홀 소자 신호(VT2)를 가산한다. In the second phase P2, the Hall element signal V T3 shown in Expression (4) is inputted to the input terminal V41 and the Hall element signal V T3 shown in Expression (1) is inputted to the input terminal V42. V T2 ) is supplied. The
출력 단자(VO38)는 출력 단자(VO37)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신호와는 전압이 역상인 신호를, 신호(S38)로서 출력한다. 이 일례에서는, 차동증폭기(34b)는 제1의 스위치 회로(32)가 제1 상(P1)인 경우에는, 출력 단자(VO37)로부터 전압이 +Aop×Vsig/2인 신호(S37)를 출력하고, 출력 단자(VO38)로부터 전압이 -Aop×Vsig/2인 신호(S38)를 출력한다. 차동증폭기(34b)는 제1의 스위치 회로(32)가 제2 상(P2)인 경우에는, 출력 단자(VO37)로부터 전압이 -Aop×Vsig/2인 신호(S37)를 출력하고, 출력 단자(VO38)로부터 전압이 +Aop×Vsig/2인 신호(S38)를 출력한다. 여기서, Aop란, 차동증폭기(34b)의 증폭율이다.The output terminal VO38 outputs a signal having a voltage opposite in phase to the voltage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37 as a signal S38. In this example, when the
다음에, 가산기(66)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가산기(66)는 입력 단자(V61)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5)와, 입력 단자(V63)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7)를 가산한다. 입력 단자(V61)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5)와, 입력 단자(V63)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7)는 전압이 동상인 전압 신호이다. 가산기(66)는 출력 단자(VO61)로부터, 이 가산한 전압 신호를 신호(S61)로서 출력한다. 신호(S61)는 제2의 스위치 회로(35)의 입력 단자(V47)에 대해서 공급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또, 가산기(66)는 입력 단자(V62)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6)와, 입력 단자(V64)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8)를 가산한다. 입력 단자(V62)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6)와, 입력 단자(V64)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38)는, 전압이 동상인 전압 신호이다. 가산기(66)는 출력 단자(VO62)로부터, 이 가산한 전압 신호를 신호(S62)로서 출력한다. 신호(S62)는, 제2의 스위치 회로(35)의 입력 단자(V48)에 대해서 공급된다. The
즉, 가산기(66)는, 신호 성분을 강조한 신호(S61)와 신호(S62)를 출력한다. 이 신호(S61) 및 신호(S62)는 제2의 출력 신호의 일례이다.That is, the
이상을 정리하면,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 센서 회로(3100) 및 제3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 센서 회로(6100)는 홀 소자(1a), 홀 소자(1b), 제1의 스위치 회로(32)로 초핑 회로를 구성한다. 이 제1의 스위치 회로(32)는 홀 소자(1a) 및 홀 소자(1b)로부터 출력되는 4개의 홀 소자 신호 중에서, 오프셋 성분들이 저감하는 조합의 홀 소자 신호를 선택한다. 자기 센서 회로(3100) 및 자기 센서 회로(6100)는, 홀 소자가 출력하는 모든 홀 소자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자기 센서 회로(3100) 및 자기 센서 회로(6100)는 자기 센서 회로(100)와 비교하여, 자계 강도 또는 자속 밀도의 검출에 이용하는 전력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To summarize the above,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을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은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은, 그 외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동시에,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 상술한 각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은, 서로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Whil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odifications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s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thereof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variou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These embodiments and thei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is to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thereof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s appropriate.
1a, 1b:홀 소자
2, 32:제1의 스위치 회로
2a, 2b, 32a, 32b, 32c, 32d:제1의 스위치
3, 33, 63:신호 처리 회로
4, 34a, 34b:차동증폭기
5, 35:제2의 스위치 회로
5a, 5b, 5c, 5d, 35a, 35b, 35c, 35d:제2의 스위치
36:감산기
66:가산기 1a, 1b:
2a, 2b, 32a, 32b, 32c and 32d:
3, 33, 63:
5, 35: second switch circuit
5a, 5b, 5c, 5d, 35a, 35b, 35c and 35d:
36: subtractor 66: adder
Claims (3)
신호 성분이 서로 역상 또한 오프셋 성분이 서로 역상인 2종류의 신호인 제1의 신호와 제2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1의 홀 소자와,
신호 성분이 서로 역상 또한 오프셋 성분이 서로 역상인 2종류의 신호로서, 상기 제1의 신호의 신호 성분과 동상의 신호 성분을 갖고 또한 상기 제1의 신호의 오프셋 성분과 역상의 오프셋 성분을 갖는 제3의 신호와, 상기 제2의 신호의 신호 성분과 동상의 신호 성분을 갖고 또한 상기 제2의 신호의 오프셋 성분과 역상의 오프셋 성분을 갖는 제4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의 홀 소자와,
상기 제1의 신호와 상기 제2의 신호와 상기 제3의 신호와 상기 제4의 신호 중에서, 상기 오프셋 성분이 서로 동상인 경우에는, 상기 신호 성분이 서로 역상인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오프셋 성분이 서로 역상인 경우에는, 상기 신호 성분이 서로 동상인 신호를 선택하여, 적어도 2개의 서로 종류가 다른 신호를 제1의 출력 신호로서 선택하는 신호 전환부와,
상기 신호 전환부가 선택하는 상기 제1의 출력 신호들을 연산함으로써, 상기 제1의 출력 신호들의 오프셋 성분을 저감한 제2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는 자기 센서 회로.A magnetic sensor circuit for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a magnetic field intensity applied to a Hall element,
A first Hall element for outputting a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which are two kinds of signals whose signal components are in opposite phases and whose offset components are opposite to each other,
A second signal having a signal component in phase with the signal component of the first signal and an offset component opposite in phase to the offset component of the first signal, A second Hall element for outputting a fourth signal having a signal component in phase with the signal component of the second signal and an offset component opposite to the offset component of the second signal;
And selects a signal whose phase is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signal, the second signal, the third signal, and the fourth signal when the offset components are in phase with each other, A signal switching section for selecting a signal whose signal components are in phase with each other and selecting at least two signals different in kind from each other as a first output signal;
And a signal processing section for outputting a second output signal in which the offset components of the first output signals are reduced by calculating the first output signals selected by the signal switching section.
상기 신호 전환부가 전환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2의 출력 신호의 출력처를 전환하는 제2의 신호 전환부를 더 구비하는, 자기 센서 회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signal switching section for switching the output destination of the second outpu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the signal to be switched by the signal switching section.
상기 제1의 홀 소자와, 상기 제2의 홀 소자와, 상기 신호 전환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제2의 신호 전환부는, 같은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는, 자기 센서 회로.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Hall element, the second Hall element, the signal switching portion, the signal proc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signal switching portion are formed on the same semiconductor substr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025887 | 2017-02-15 | ||
JP2017025887A JP6865598B2 (en) | 2017-02-15 | 2017-02-15 | Magnetic sensor circu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4474A true KR20180094474A (en) | 2018-08-23 |
Family
ID=6310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9441A KR20180094474A (en) | 2017-02-15 | 2017-12-26 | Magnetic sensor circuit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197420B2 (en) |
JP (1) | JP6865598B2 (en) |
KR (1) | KR20180094474A (en) |
CN (1) | CN108427083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99554B1 (en) * | 2019-02-19 | 2021-07-28 |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 Position sensor system, particularly for detecting rotary movement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s in a position sensor system |
US10921367B2 (en) * | 2019-03-06 | 2021-02-16 | Analog Devices, Inc. | Stable measurement of sensors methods and systems |
JP2020171162A (en) * | 2019-04-04 | 2020-10-15 | 日本電産株式会社 | motor |
JP2020178448A (en) * | 2019-04-18 | 2020-10-29 | 日本電産株式会社 | motor |
JP2020178453A (en) * | 2019-04-18 | 2020-10-29 | 日本電産株式会社 | motor |
KR20220132425A (en) * | 2021-03-23 | 2022-09-30 |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 Semiconductor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63692A (en) | 2013-02-21 | 2014-09-08 | Seiko Instruments Inc | Magnetic sensor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445670B (en) * | 2010-10-13 | 2015-04-15 | 北京中科信电子装备有限公司 | Alternating current Hall system |
CN104024877B (en) * | 2011-10-31 | 2016-02-03 | 旭化成微电子株式会社 | Magnetic sensor |
JP2014163691A (en) * | 2013-02-21 | 2014-09-08 | Seiko Instruments Inc | Magnetic sensor device |
DE102014011245B3 (en) * | 2014-08-01 | 2015-06-11 | Micronas Gmbh | Magnetic field measuring device |
EP3176593B1 (en) * | 2014-09-26 | 2021-07-07 | Asahi Kasei Microdevices Corporation | Hall electromotive force signal detection circuit and current sensor |
US9746531B2 (en) * | 2015-03-05 | 2017-08-29 | Sii Semiconductor Corporation | Magnetic sensor circuit |
-
2017
- 2017-02-15 JP JP2017025887A patent/JP6865598B2/en active Active
- 2017-12-26 KR KR1020170179441A patent/KR20180094474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7-12-28 CN CN201711454126.6A patent/CN108427083A/en active Pending
-
2018
- 2018-01-31 US US15/885,093 patent/US1019742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63692A (en) | 2013-02-21 | 2014-09-08 | Seiko Instruments Inc | Magnetic sensor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231396A1 (en) | 2018-08-16 |
JP2018132406A (en) | 2018-08-23 |
JP6865598B2 (en) | 2021-04-28 |
CN108427083A (en) | 2018-08-21 |
US10197420B2 (en) | 2019-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94474A (en) | Magnetic sensor circuit | |
JP2008236135A (en) | Frequency converter | |
JP2008124726A (en) | Ramp generating circuit and a/d converter | |
JP4364175B2 (en) | Multipli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 |
JP2006157648A (en) | Sample/hold circuit | |
JP2011124647A (en) | Variable gain amplifier | |
CN107005246B (en) | Load current compensation for analog input buffers | |
JP2003023328A (en) | Audio amplifier | |
US8378733B2 (en) | Harmonic rejection mixer | |
US20160181997A1 (en) | Signal amplifying circuit | |
US20140240041A1 (en) | Operational amplifier circuit | |
US7498861B2 (en) | Mixer | |
JP2008252816A (en) | Frequency converter, and radio receiver employing the same frequency converter | |
JP5248425B2 (en) | Current switch circuit and digital-analog converter using the same | |
JP2010050614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amplification device | |
JP6581885B2 (en) | High precision amplifier | |
JP2009225188A (en) | Amplifier circuit | |
CN115967358A (en) | Audio power amplifier and electronic equipment | |
WO2014132316A1 (en) | Harmonic rejection mixer | |
US20120229177A1 (en) | Mixing circuit | |
JP5697144B2 (en) | Voltage amplification device and voltage amplification method | |
JP4723546B2 (en) | Modulation circuit | |
JP2006041774A (en) | Receiver | |
WO2018180111A1 (en) | Noise removal circuit | |
JP2000134038A (en) | Detection circu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