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671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671A
KR20180093671A KR1020170020097A KR20170020097A KR20180093671A KR 20180093671 A KR20180093671 A KR 20180093671A KR 1020170020097 A KR1020170020097 A KR 1020170020097A KR 20170020097 A KR20170020097 A KR 20170020097A KR 20180093671 A KR20180093671 A KR 20180093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processor
information
di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049B1 (ko
Inventor
신인영
한세희
김성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049B1/ko
Priority to PCT/KR2018/001844 priority patent/WO2018151487A1/en
Priority to EP18156483.2A priority patent/EP3361761B1/en
Priority to US15/896,630 priority patent/US10736002B2/en
Publication of KR20180093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한 통신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대한 연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 중 하나의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A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기술 및 Wi-Fi 다이렉트(wireless-fidelity direct) 통신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미래 자동차 산업의 핵심으로 주목받는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또는 자율 주행 차를 구현하기 위한 통신 기술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다양한 표준화 기구에서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기술을 제정 중에 있다. V2X 통신은 차량과 다른 모든 대상이 유무선망을 통해서 통신하면서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 기술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재난 안전 통신망을 위해 만들어진 LTE-D2D(long term evolution-device to device) 기술을 기반으로 표준화를 추진 중에 있다.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에서 발전되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 1609.x 및 IEEE802.11 표준으로 구성되는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통신 규격 역시 제정되었다.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에서는 신규 정의한 협력 주행 메시지를 반영 예정에 있고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 institute)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R2는 핸드오버 등 신규 기술 규격을 반영하고 있다. 5G 등에서도 V2X 관련 표준화가 진행 중에 있다.
V2X는 악천후 또는 도로 위험 구간 등 다양한 주행환경에서 차량과 다양한 장치 간 협력으로 안전을 향상시키고, 위치 정보에 기반한 다양한 부가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정 통신 프로토콜을 따르는 V2X 통신은 110km/h 이상의 차량 이동 속도를 지원한다. V2X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채널(service channel)과 제어 채널(control channel) 간에 스위칭은 100ms 주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CCH 또는 SCH는 50ms의 타임슬롯 구간을 가질 수 있다. V2X 통신은 3Mbps 내지 15Mbps의 데이터 전송률(data rate)을 보장할 수 있다. V2X 통신은 경우에 따라서 500m 내지 1km의 커버리지를 지원할 수 있다.
V2X 통신은 단순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서 영상 정보 전송 등 다양한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전송률의 한계로 V2X 통신은 고용량 데이터(예: 고화질 실시간 영상)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V2X 환경에서 고용량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종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Wi-Fi 다이렉트(wireless-fidelity direct)는 Wi-Fi 통신 기술 중에서 애드-혹(ad-hoc) 환경에 적합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높은 데이터 전송률(예: 250Mbps)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Wi-Fi 다이렉트 통신에서는 Wi-Fi 연결 셋업 시작 후 서비스 시작까지의 예를 들어, 5초에서 10초 정도의 상당한 지연이 있을 수 있다. Wi-Fi 다이렉트 통신은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작아서 차량 간 거리가 빈번하게 변경되는 자동차 이동 환경에서는 연결과 끊김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V2X 통신에서 Wi-Fi 다이렉트 통신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고용량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한 통신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대한 연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 중 하나의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대한 연결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획득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 중 하나의 전자 장치와 Wi-Fi 다이렉트 통신으로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Wi-Fi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상기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V2X 통신과 Wi-Fi 통신을 이용하여 고용량의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속도로 이동하는 전자 장치는 고용량의 데이터를 끊김 없이 제공하거나 제공받을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보를 관리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7a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7b는 시간 경과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Wi-Fi 다이렉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a는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시나리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b는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시나리오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2c는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시나리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를 판단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간 멀티 홉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홉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폴로지를 재구성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전자 장치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토폴로지를 재구성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톱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엑세서리 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 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 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 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Digital Video Disk player),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종 통신 프로토콜을 따르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전자 장치는 제1 통신 방식 및/또는 제2 통신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통신 방식 및/또는 제2 통신 방식은 장치 간(machine-to-machine)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통신 방식은 제1 통신 방식과 다른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커버리지는 제2 통신 방식에 비해 넓은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통신 방식에 따른 스루풋은 제1 통신 방식에 비해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통신 방식은 V2X(vehicle to everything)통신이고, 제2 통신 방식은 Wi-Fi(wireless fidelity) 통신일 수 있다. 이하, V2X 통신과 Wi-Fi 통신을 기준으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V2X 통신은 차량 간 통신인 V2V(vehicle to vehicle), 차량과 인프라 간의 통신인 V2I(vehicle to infra) 및 차량과 이동 단말 간의 통신인 V2N(vehicle to nomadic)을 포함할 수 있다.
V2I는 V2X를 지원하는 차량과 도로에 설치된 기지국 등의 인프라가 실시간으로 사고, 교통량 등의 교통 상황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차량(101)과 제1 장치(105) 또는 제2 장치(106)는 V2I 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장치(105) 또는 제2 장치(106)는 신호등 또는 기지국과 같은 인프라일 수 있다.
V2V는 차량과 차량 간에 전후방 상황, 차간 거리, 주행 속도, 추돌 경보 등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술이다. 도 1의 제2 차량(102)과 제3 차량(103)은 V2V 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3 차량(103)은 V2N 통신을 통해 제3 장치(107)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장치는 이동 단말일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Wi-Fi 다이렉트는 애드-혹(ad-hoc) 모드의 Wi-Fi 통신일 수 있다. Wi-Fi 다이렉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는 AP(access point) 없이 상대 전자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3 차량(103)과 제4 차량(104)은 Wi-Fi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고화질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V2X 통신은 IEEE1609.x, IEEE802.11p, SAE J2945, 3GPP 36.211, 3GPP36.212 등의 통신 문서에 기재된 규약을 따를 수 있다. Wi-Fi 다이렉트 통신은 Wi-Fi 얼라이언스(alliance)에서 개시하는 Wi-Fi 다이렉트 통신 프로토콜을 따를 수 있다.
도 1의 제1 차량(101), 제2 차량(102), 제3 차량(103), 제4 차량(104), 제1 장치(105), 제2 장치(106) 및/또는 제3 장치(107)는 본 문서에서 전자 장치 또는 중계 장치로 참조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제1 전자 장치(200) 및 제2 전자 장치(2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00) 및 제2 전자 장치(201)는 V2X 통신 및/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제1 전자 장치(200)는 V2X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00)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제2 전자 장치(201)로부터 데이터(예: 비디오 스트림)를 수신할 수 있는 싱크 장치 또는 호스트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1)는 V2X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1)는 제1 전자 장치(200)의 상대 단말일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1)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제1 전자 장치(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소스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통신 회로(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를 수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예: 통신 회로(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통신 회로(220)를 통해 수신하거나, 메모리(230)에서 추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201)와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V2X 통신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 회로(2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정보를 추출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1)는 프로세서(240), 통신 회로(250) 및 메모리(26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예: 통신 회로(2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40)는 통신 회로(250)를 통해 수신하거나 메모리(260)에서 추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전자 장치(201)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V2X 통신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 회로(25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메모리(260)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0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201)는 수신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20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201)는 수신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별도의 출력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1 전자 장치(20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입력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20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201)는 별도의 입력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1 전자 장치(20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201)는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상황에 관한 정보(예: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싱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20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201)는 별도의 센싱 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전자 장치(20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201)는 센싱 장치를 통해 센싱 데이터 또는 영상 정보(예: 비디오 스트림)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0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201)는 차량에 내장되거나 차량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1 전자 장치(200) 또는 제2 전자 장치(201)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도 3의 차량 통신 시스템(300)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거나, 이 구성들을 활용하여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차량 통신 시스템(300)은 프로세서(310), 통신 회로(320), 메모리(330) 및/또는 출력 장치(3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 통신 회로(320) 및 메모리(33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200) 프로세서(210), 통신 회로(220), 메모리(230) 또는 제2 전자 장치(201)의 프로세서(240), 통신 회로(250), 메모리(260)와 중복되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주변의 전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미리 획득하고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주변의 전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고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변 전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주변 장치들에 대한 정보는 Wi-Fi 다이렉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V2X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주변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상기 주변 전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전자 장치들로부터 직접적으로 획득하거나, 일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다른 전자 장치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상기 주변 전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V2X 통신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획득한 정보를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에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Wi-Fi 다이렉트 연결의 대상이 될 수 있는 후보 전자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이 필요한 전자 장치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Wi-Fi 다이렉트 통신으로 연결한 전자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 Wi-Fi 다이렉트 통신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는 V2X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던 전자 장치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Wi-Fi 다이렉트 통신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통신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V2X 통신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통신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거나, V2X 통신 커버리지 이내라면 Wi-Fi 다이렉트 통신 커버리지 밖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Wi-Fi 다이렉트 통신 또는 멀티 홉(multi hop)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위한 Wi-Fi 다이렉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멀티 홉 통신을 위해 전자 장치 간의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생성된 정보를 통신 회로(32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생성된 정보를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V2X와 Wi-Fi 다이렉트 통신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10)는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 장치(3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10)는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 장치(340)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동작 외에도 프로세서(310)는 본 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 예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메모리(330)는 Wi-Fi 다이렉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Wi-Fi 다이렉트 정보를 전자 장치 각각에 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네이버링 테이블(neighboring table)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네이버링 테이블은 V2X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Wi-Fi 다이렉트 정보는 상기 네이버링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Wi-Fi 다이렉트 정보는, 예를 들어,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세트 또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장치(34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 장치(340)는 차량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 장치(340)는 프로세서(310), 통신 회로(320) 및 메모리(34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다.
이하, 제1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연결을 통해 영상 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이고, 제2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는 V2X 통신 중에 Wi-Fi 다이렉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에 사용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정보를 V2X 통신 등을 통해 미리 획득하고, 필요한 때에 빠르게 Wi-Fi 다이렉트 통신에 연결하여 고용량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1 전자 장치가 Wi-Fi 다이렉트 정보를 획득하고 관리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에 표시된 인덱스 'X'는 전자 장치X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인덱스 0은 전자 장치0으로 참조될 수 있다. 도 4에서, X는 0에서 13까지의 값일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0이 제1 전자 장치인 것을 가정하여 제1 전자 장치가 V2X 통신에서 Wi-Fi 다이렉트 통신으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한다. 제1 전자 장치는 안정적으로 고용량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V2X 통신을 수행하다가 필요한 경우에 Wi-Fi 다이렉트 통신으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전자 장치0은 Wi-Fi 다이렉트 연결 시간을 ms 단위로 단축시키기 위해 미리 Wi-Fi 다이렉트 정보를 이웃 장치들과 미리 교환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전 동작은 Wi-Fi 다이렉트 프로비저닝으로 참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주변 장치들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반경(R) 이내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내의 전자 장치들을 향후 Wi-Fi 다이렉트 연결 가능 영역에 위치할 수 있는 단말로 보고 해당 전자 장치들의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2 반경 (r) 이내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영역 내의 전자 장치들을 Wi-Fi 다이렉트 연결의 후보 전자 장치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커버리지로 참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은 전자 장치의 V2X 커버리지 영역이고, 제2 영역은 전자 장치가 설정한 영역일 수 있다.
Wi-Fi 다이렉트 정보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address), 키(ke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WSC IE, wi-fi simple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또는 P2P(peer to pe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Wi-Fi 다이렉트 정보는 네이버링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네이버링 테이블은 V2X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전자 장치, 예를 들어 들어, 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테이블일 수 있다.
표 1은 네이버링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다. 네이버링 테이블의 구성은 표 1에 도시한 것 이외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Car Data WFD Info.
ID 위치 속도 방향 ... 지시등 Key IP
1 xxx xxx xxx ... xxx xxx xxx
2 xxx xxx xxx ... xxx xxx xxx
3 xxx xxx xxx ... xxx xxx xxx
... ... ... ... ... ... ... ...
9 xxx xxx xxx ... xxx xxx xxx
표 1을 참조하면, 네이버링 테이블은 전자 장치 별로 위치, 속도, 방향, 지시등 등의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네이버링 테이블은 전자 장치 별로 키, IP 어드레스와 같은 Wi-Fi 다이렉트 정보(WFD Info.)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 각각은 식별자(ID; identification)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서 제1 영역에는 전자 장치0 내지 전자 장치9의 전자 장치가 존재하므로 전자 장치 0의 네이버링 테이블에는 각각의 식별자 1 내지 9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보를 관리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5에 표시된 인덱스 'X'는 전자 장치X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인덱스 0은 전자 장치0으로 참조될 수 있다.
전자 장치0은 이웃 장치까지의 거리에 기반하여 도달성(reachability)을 확인할 수 있다. 이웃 장치까지 Wi-Fi 다이렉트 통신의 도달성이 있는 경우, 전자 장치0은 해당 이웃 장치를 Wi-Fi 다이렉트 연결 가능성이 있는 후보 장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에 따라, 전자 장치0의 입장에서 제2 영역 이내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들은 도달성이 있다. 네이버링 테이블은 도달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달성 정보는 제1 영역 내의 전자 장치들에 대하여 표시될 수 있다.
표 2는 도달성 정보를 포함하는 네이버링 테이블을 나타낸다.
Car Data WFD Info.
ID 위치 속도 방향 ... 지시등 Key IP Reachability
1 xxx xxx xxx ... xxx xxx xxx O
2 xxx xxx xxx ... xxx xxx xxx O
3 xxx xxx xxx ... xxx xxx xxx O
4 xxx xxx xxx ... xxx xxx xxx O
... ... ... .... ... ... ... ... ...
9 xxx xxx xxx ... xxx xxx xxx X
도 5의 T1 시점에서 전자 장치1 내지 전자 장치4은 전자 장치0으로부터 도달성이 있다. 표 2의 도달성 필드에는 전자 장치1 내지 전자 장치 4가 도달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값이 저장될 수 있다.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중 제2 영역에는 위치하지 않는 전자 장치5 내지 전자 장치9에 대한 도달성 필드에는 도달성이 없음을 나타내는 값이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0은 전자 장치3으로의 Wi-Fi 다이렉트 연결이 필요한 경우 전자 장치3이 도달성이 있음을 확인하고 Wi-Fi 다이렉트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3과의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1 영역 및 제2 영역 내의 전자 장치는 변경될 수 있다. T2 시점에 제2 영역에는 전자 장치5가 새로 진입하고, 전자 장치3은 제1 영역 중 제2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9는 제1 영역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9 내지 전자 장치13은 제1 영역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전자 장치0은 네이버링 테이블에 전자 장치3에 대한 도달성 필드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자 장치0은 전자 장치3에 대하여 도달성 필드를 있음에서 없음을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0은 네이버링 테이블의 전자 장치 5에 대한 도달성 필드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자 장치 0은 전자 장치5에 대하여는 도달성 필드를 없음에서 있음을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0은 제1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전자 장치들의 정보를 네이버링 테이블에 저장 또는 유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0은 제1 영역 밖에 존재하는 전자 장치들의 정보는 네이버링 테이블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T2 시점에서의 전자 장치9의 위치에 따라, 전자 장치0은 네이버링 테이블에서 전자 장치9에 대해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0은 전자 장치9의 도달성 정보만 삭제할 수도 있다.
T3 시점에 전자 장치0은 전자 장치3 및 전자 장치 9가 제1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0은 전자 장치 3의 도달성 필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 0은 전자 장치3으로의 Wi-Fi 다이렉트 연결이 필요한 경우, 전자 장치3으로의 재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전자 장치0은 네이버링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0은 전자 장치9에 대한 정보가 네이버링 테이블에 추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0은 전자 장치9에 대한 도달성 정보를 네이버링 테이블에 다시 추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동작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V2X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미리 Wi-Fi 다이렉트 연결 가능 범위에 진입할 가능성이 있는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도달성 정보를 이용하여 Wi-Fi 다이렉트 후보 장치를 관리함으로써 빈번한 이동으로 인한 연결 끊김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달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2 영역의 크기는 통신 환경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2 영역의 크기 또는 Wi-Fi 다이렉트 반경인 제2 반경의 크기를 표 1 내지 표 2의 차량 데이터 및/또는 차량 밀집도에 기초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차량 데이터에 따라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차량 밀집도가 높은 경우에는 제2 영역의 크기를 줄이거나 제2 영역의 크기를 늘릴 수 있다. 또는 제2 반경의 크기를 줄이거나 제2 반경의 크기를 늘릴 수 있다.
이하, 도달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V2X 통신의 반경은 제1 임계값으로 참조되고, Wi-Fi 다이렉트 반경은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 임계값 또는 제2 임계값으로 참조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6에서, 제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200))는 V2X 통신을수행하고 있을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주변의 장치 밀집도에 따라 도달성 판단을 위한 임계값을 조정하고, 도달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2 전자 장치(201))로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601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주변에 위치하는 이웃 장치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V2X 통신에 기초하여 이웃 장치의 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웃 장치의 수는 네이버링 테이블에 저장된 차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웃 장치의 수는 제2 영역 또는 제2 반경 내의 이웃 장치의 수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이웃 장치의 수는 제1 영역 또는 제1 반경 내의 이웃 장치의 수일 수 있다.
동작 603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임계값을 조정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이웃 장치의 수에 기초하여 임계값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이웃 장치의 수가 많은 경우, 상기 임계값을 낮출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이웃 장치의 수가 적은 경우 상기 임계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동작 605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이웃 장치 중 제2 전자 장치의 도달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이웃 장치 중 제2 전자 장치와 상기 제1 전자 장치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임계값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까지의 거리가 임계값을 만족하면 동작 607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메모리(예: 230)에 저장된 Wi-Fi 다이렉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Wi-Fi 다이렉트 정보는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Wi-Fi 다이렉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Wi-Fi 다이렉트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와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609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Wi-Fi 다이렉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Wi-Fi 다이렉트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또는 비디오 스트림 요청 메시지)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이하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기초하여 후보 전자 장치 중에서 제2 전자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a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흐름도이고 도 7b는 시간 경과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a에서 제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200))는 제2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2 전자 장치(201))와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속도를 이용하여 소정 시간 이후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 간의 연결이 끊길 것인지 예측할 수 있다. 연결이 끊길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는 현재 통신 서비스의 종료 전에 연결 끊김을 통지(notification)할 수 있고, 이종 통신 네트워크(예: V2X 통신)로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701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소정 시간(T) 이후 제2 전자 장치와 제1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소정 시간 이후 제2 전자 장치와 제1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현재 각각의 전자 장치의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x는 특정 시점의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 간의 거리이고, VR은 제2 전자 장치의 속도이고 VH는 제1 전자 장치의 속도일 수 있다. 수학식 1을 참조 하면 제1 전자 장치는 소정 시간 이후 제2 전자 장치와 제1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제2 전자 장치의 소정 시간 동안 이동 거리와 제1 전자 장치의 소정 시간 동안 이동 거리의 차이 값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제1 전자 장치는 판단된 거리가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는 판단된 거리가 임계값 보다 큰지 확인할 수 있다. 임계값은,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2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2 임계값일 수 있다.
판단된 거리가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으면 동작 705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와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판단된 거리가 임계값을 만족하면 동작 707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소정 시간 내에 데이터를 끊김 없이 수신하기 위해 우회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는 V2X 통신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고, 제2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연결하여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률 측면에서, 제1 전자 장치는 Wi-Fi 통신을 통해 고화질 데이터를 수신하다가 V2X 통신을 통해 저화질 데이터 또는 보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동작 711에서 제2 전자 장치로부터 고화질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제2 전자 장치로부터 고화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1 시점에, 제1 전자 장치는 소정 시간 이후인 T2 시점에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의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T2 시점에 제2 전자 장치와의 연결이 끊길 것으로 예측하고, T2 시점에 도달하기 전에 V2X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T2 시점에 도달하기 전에 V2X 통신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V2X 통신을 수행하면,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 저화질 데이터 또는 보충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저화질 데이터 또는 보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2 시점에,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임계값을 만족하면, 제1 전자 장치는 다시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제2 전자 장치와 고화질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Wi-Fi 다이렉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동작 801에서, 제1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200))는 패킷(packet)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패킷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네이버링 테이블에 관련된 동작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패킷이 유효한 경우, 동작 803에서 제1 전자 장치(200)는 이웃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00)는 이웃 장치에 대한 정보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이웃 장치에 대한 정보는 이웃 장치의 Wi-Fi 다이렉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웃 장치에 대한 정보는 이웃 장치의 차량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웃 장치에 대한 차량 정보는, 예를 들어 이웃 장치의 위치 정보, 차량 데이터(예: 넓이, 높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추출된 정보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지정된 조건은 중복된 정보인 경우 및/또는 오래된 정보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제1 정자 장치는 추출된 정보를 업데이트하지 않을 수 있다.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동작 807에서 제1 전자 장치는 네이버링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추출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추출된 정보가 오래된 정보가 아니고 중복된 정보가 아닌 경우 추출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8의 동작은 제1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전자 장치에서 도 8에 기재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200))는 제2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2 전자 장치(201)로 비디오 스트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901에서, 제1 전자 장치는 비디오 스트림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비디오 스트림 요청 메시지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는, WSC IE, 또는 P2P I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 요청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905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소정 시간 내에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요청 수락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요청 수락 메시지가 소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요청 수락 메시지는 비디오 스트림 요청을 수락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요청 수락 메시지는 Wi-Fi 연결 요청을 수락하는 의미일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스트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Wi-Fi 다이렉트 연결 요청도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소정 시간 내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동작 907에서 제1 전자 장치는 해당 메시지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제2 전자 장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가 전방에 위치한 전자 장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예: 전방에 위치한 전자 장치가 아닌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예: 전방에 위치한 장치인 경우) 동작 909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와의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도 9의 일부 동작은 생략되거나 변형될 수도 있다. 제2 전자 장치가 제1 전자 장치의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로 연결 수락 메시지와 함께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비디오 스트림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연결 수락 메시지와 함께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제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고용량의 데이터(예: 비디오 스트림)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의 동작은 도 9의 후속 동작일 수 있다.
동작 1001에서, 제1 전자 장치는 비디오 스트림을 위한 버퍼(buffer)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는 비디오 스트림을 위한 버퍼를 상기 비디오 스트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생성할 수 있다.
동작 1003에서, 제1 전자 장치는 비디오 스트림이 소정 시간 이내에 전송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비디오 스트림이 소정 시간 이내에 전송되지 않으면 제1 전자 장치는 비디오 스트림 수신을 종료할 수 있다.
비디오 스트림이 소정 시간 이내에 전송되면 동작 1005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스트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고 스트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출력 장치를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가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서비스가 중단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서비스 중단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동작 1007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서비스가 중단되는지 또는 서비스를 중단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서비스가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의 긴급 상황으로 인해 비디오 스트림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서비스가 중단되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서비스가 중단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동작 1009에서, 제1 전자 장치는 비디오 스트리밍을 턴-오프(turn-off)할 수 있다.
동작 1011에서 제1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연결을 해지하기 위한 연결 해제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013에서 제1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제2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고용량 데이터(예: 비디오 스트림)를 제1 전자 장치(예: 도 1의 제1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시작 단계에서, 제2 전자 장치는 V2X 환경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이하, 고용량 데이터가 비디오 스트림인 경우를 기준으로 제2 전자 장치 동작을 설명한다.
동작 1101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메시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요청 메시지는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 및/또는 비디오 스트림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비디오 스트림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전자 장치가 비디오 스트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2 전자 장치는 연결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103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요청 메시지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제1 전자 장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가 후방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2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와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제1 전자 장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동작 1105에서 제2 전자 장치는 메시지를 전송한 제1 전자 장치와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와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107에서, 제2 전자 장치는 비디오 스트림을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주변 상황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생성한 비디오 스트림을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가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하는 중에 제1 전자 장치에서 비디오 스트리밍을 중단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비디오 스트리밍 중단에 관련된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동작 1109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연결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 1107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비디오 스트림 전송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면 동작 1111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와의 Wi-Fi 다이렉트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Wi-Fi 다이렉트 통신이 요구되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12a를 참조하여 제1 전자 장치(1201)가 제2 전자 장치(1202)를 추월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T1 시점에서 제1 전자 장치(1201)는 Wi-Fi 다이렉트 통신 서비스 트리거링을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201)는 제2 전자 장치(1202)를 추월하는 추월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201)은 추월 시점을 지시등 점등 정보, 전방 저속 차량 정보(또는 제2 전자 장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201)는 추월 시점을 상기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판단할 수 있다.
T2 시점에서 제1 전자 장치(1201)는 V2X 통신(또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을 통해 센싱 데이터(예: 비디오 스트림)를 요청할 수 있다.
T3 시점에서 제1 전자 장치(1201) 및 제2 전자 장치(1202)는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201)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제2 전자 장치(1202)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2)는 제1 전자 장치(1201)로부터의 데이터 요청에 응답하여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센싱 장치를 구동할 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2)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제1 전자 장치(1202)로 획득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4 시점에서 제1 전자 장치(1201)는 스트리밍을 정지할 수 있다. 스트리밍을 정지한 후 제2 전자 장치(1202)를 추월하거나, 제2 전자 장치(1202)를 추월하는 도중에 또는 추월한 후에 스트리밍을 정지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여 제1 전자 장치(1203)가 노변에 정차해 있는 제2 전자 장치(1204)에 접근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1203)와 제2 전자 장치(1204)의 동작을 설명한다.
T1 시점에서 제1 전자 장치(1203)는 Wi-Fi 다이렉트 통신 서비스가 트리거링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203)는 진행중인 차선 근처의 노변에 정차 중인 제2 전자 장치(1204)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203)는 위치, 차선, 속도 및/또는 브레이크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전자 장치(1204)가 노변에 정차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T2 시점에서 제1 전자 장치(1203)는 V2X 통신(또는 DSRC)을 통해 제2 전자 장치(1204)로 비디오 스트림을 요청할 수 있다.
T3 시점에서 제1 전자 장치(1203) 및 제2 전자 장치(1204)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203)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제2 전자 장치(1204)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203)는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4)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제1 전자 장치(1203)로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T4 시점에서 제1 전자 장치(1203)는 스트리밍을 정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리밍을 정지한 후 제2 전자 장치(1204)를 지나친 경우 스트리밍을 정지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203)는 제1 전자 장치(1203)의 사용자(예: 운전자)의 요청을 획득한 경우 스트리밍을 정지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여 제1 전자 장치(1205)가 급정거하는 제2 전자 장치(1206)에 접근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1205)와 제2 전자 장치(1206)의 동작을 설명한다.
T1 시점에서 제1 전자 장치(1205)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이 트리거링 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205)는 전방에 위치한 제2 전자 장치(1206)에서 급브레이크를 이용하는지 또는 급정거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205)는 위치, 주행 속도 및/또는 브레이크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전자 장치(1206)가 급정거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T2 시점에서 제1 전자 장치(1205)는 V2X 통신(또는 DSRC)을 통해 제2 전자 장치(1206)로 비디오 스트림을 요청할 수 있다.
T3 시점에서 제1 전자 장치(1205) 및 제2 전자 장치(1206)는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205)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제2 전자 장치(1206)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205)는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206)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제1 전자 장치(1203)로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205)는 스트리밍을 정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자 장치(1205)의 운전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스트리밍을 정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는 도 12a 내지 12c의 시나리오 외에 다양한 시나리오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를 판단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1301에서 제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200))는 네이버링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네이버링 테이블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V2X 통신에 기초하여 네이버링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동작 1303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다양한 전자 장치로부터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지정된 조건은 이하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303을 추월, 노변 정차, 급정거 시나리오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전자 장치는 지시등이 턴-온(turn-on) 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지시등이 턴-온되는 경우 추월이 발생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추월이 발생하는지는 제2 전자 장치의 차선, 제2 전자 장치가 전방 장치인지 여부, 제2 전자 장치의 속도, 제1 전자 장치의 속도,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지시등 상태 정보,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브레이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가 추월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전자 장치는 노변에 정차한 제2 전자 장치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노변에 정차하였는지 여부는 제2 전자 장치의 속도가 0을 만족하는지,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가 동일한 방향인지, 제2 전자 장치의 차선이 마지막 차선인지 및/또는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가 소정 거리 이내인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가 노변에 정차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제2 전자 장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전자 장치는 전방에서 급정거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가 급정거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의 속도 가 소정 조건(예: 속도가 0인지 여부)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의 속도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교통 정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교통 정체가 없는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지정된 조건은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교통 정체가 있는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급정거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가 급정거한 경우, 제2 전자 장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가 급정거하였는지를 i)제2 전자 장치가 전방에 위치하는지, ii)제2 전자 장치의 속도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및/또는 iii)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급정거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동작 1305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 비디오 스트림을 요청할 수 있다. 비디오 스트림을 요청한 경우, Wi-Fi 다이렉트 통신 서비스 또는 비디오 스트림 서비스가 트리거링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간 멀티 홉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제1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200))가 V2X의 통신 커버리지에 비해 커버리지가 작은 Wi-Fi 다이렉트 통신으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1))와의 멀티 홉 통신이 요구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V2X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제1 전자 장치(200)가 멀티 홉 Wi-Fi 다이렉트를 연결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동작 1401에서 제1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서비스가 트리거링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Wi-Fi 다이렉트 서비스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기술한 트리거링 조건에 따라 트리거링될 수 있다.
Wi-Fi 다이렉트 서비스가 트리거링된 경우 동작 1403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 간 거리가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제1 전자 장치의 Wi-Fi 다이렉트 통신 커버리지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 간 거리가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임계값을 만족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 간 거리가 임계값을 만족하는 경우 동작 1405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와의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을 요청하고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 간 거리가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동작 1407에서, 제1 전자 장치는 멀티 홉 후보 장치를 정렬할 수 있다. 멀티 홉 후보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 간의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중계하는 멀티 홉 전자 장치를 결정하기 위한 후보 장치들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는 V2X 커버리지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를 멀티 홉 후보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는 V2X 커버리지 내에서 전자 장치들의 방향을 고려하여 멀티 홉 후보 장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동작 1409에서, 제1 전자 장치는 멀티 홉 후보 장치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동작 1411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임의의 멀티 홉 전자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는 멀티 홉 후보 장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멀티 홉 전자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아래 수학식 2에 기초하여 멀티 홉 전자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v-i는 제1 멀티 홉 전자 장치를 나타내고 vj는 제2 멀티 홉 전자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에 따르면 vi와 vj는, vi와 vj 사이에 vj까지의 거리가 임계값을 만족하면서 -j보다 낮은 인덱스의 멀티 홉 후보 장치들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의 전자 장치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vi와 vj 간의 거리도 임계값을 만족해야 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2 멀티 홉 장치는 제1 멀티 홉 전자 장치로부터의 거리가 임계값을 만족하는 멀티 홉 후보 장치 중 제1 멀티 홉 전자 장치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멀티 홉 후보 장치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결정된 제1 멀티 홉 전자 장치와 제2 멀티 홉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동작 1405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홉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멀티 홉 토폴로지는 상기 도 14의 설명에 따라 선택된 멀티 홉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멀티 홉 전자 장치는 도 15에서 제1 중계 장치(1502), 제2 중계 장치(1503)로 참조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501)는 제1 중계 장치(1502), 제2 중계 장치(1503) 및/또는 제2 전자 장치(1504)로 각각 요청 메시지(1511, 1512, 1513)을 전송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1511, 1512, 1513) 각각은 V2X 통신을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각각의 요청 메시지(1511, 1512, 1513)는 WSC IE, wi-fi simple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또는 P2P(peer to peer) I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 전송 장치 식별자, 수신 장치 식별자, 도달성 플래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는 프로브 요청 메시지 또는 연결 요청 메시지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요청 메시지(1511, 1512, 1513)의 전송 장치 식별자는 제2 전자 장치(1501)를 지시하고, 수신 장치 식별자는 제1 전자 장치(1503)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 요청 메시지(1511, 1512, 1513)는 P2P IE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1511)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제1 중계 장치(1502)는 제1 전자 장치(1501)로 선택 메시지(1516)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501)와 제1 중계 장치(1502) 간 Wi-Fi 다이렉트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1512)에 응답하여, 제2 중계 장치(1503)는 제1 중계 장치(1502)로 선택 메시지(1515)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2 중계 장치(1503)과 제1 중계 장치(1502) 간 Wi-Fi 다이렉트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1513)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제2 전자 장치(1504)는 제2 중계 장치(1503)로 선택 메시지(1514)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504)와 제2 중계 장치(1503) 간 Wi-Fi 다이렉트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선택 메시지(1514, 1515, 1516)는 각각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WSC IE, wi-fi simple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P2P(peer to peer) IE, 전송 장치 식별자, 수신 장치 식별자, 도달성 플래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504)는 제1 전자 장치(1501)로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중계 장치(1502)와 제2 중계 장치(1503)는 비디오 스트림을 중계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폴로지를 재구성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V2X 반경 내의 전자 장치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는 토폴로지 변경을 예측하여 연결이 끊기기 전에 토폴로지를 재구성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예: 도 15의 제1 전자 장치(1501))는 제2 전자 장치(예: 도 15의 제2 전자 장치(1504))와의 멀티 홉 통신을 위해 토폴로지를 재구성할 수 있다.
동작 1601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소정 시간 이후의 멀티 홉 후보 장치들, 제1 전자 장치 및/또는 제2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속도에 기반하여 소정 시간 이후의 멀티 홉 후보 장치들, 제1 전자 장치 및/또는 제2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예측할 수 있다.
동작 1603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전자 장치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아래 수학식 3에 기초하여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ΔT는 소정 시간을 나타내고 vi는 토폴로지 내의 인덱스 i의 전자 장치(예: 도 15의 제1 중계 장치(1502))를 나타내며, vj는 토폴로지 내의 인덱스 j의 전자 장치(예: 도 15의 제2 중계 장치(1503))를 나타내고, Remote는 제2 전자 장치(예: 도 15의 제2 전자 장치(1504))의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다. i 또는 j는 제1 전자 장치로부터 가까운 순으로 낮은 인덱스를 가질 수 있다. 수학식 3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는 멀티 홉 후보 장치들, 제1 전자 장치 및/또는 제2 전자 장치들 간의 거리가 임계값을 만족하는 전자 장치(예: 임계값보다 큰 경우의 전자 장치)가 있는 경우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전자 장치가 있는 경우 동작 1605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토폴로지를 재구성할 수 있다.
동작 1607에서 제1 전자 장치는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재생성할 수 있다.
도 17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토폴로지가 재구성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7에서 제1 전자 장치(도 17의 V1, 1701) 및 제2 전자 장치(도 17의 V4, 1707)는 비디오 스트림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T1 시점에 제1 전자 장치(1701)는 제2 중계 장치(도 17의 V3, 1705)를 포함하는 토폴로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중계 장치(도 17의 V2, 1703)는 제2 반경 이내의 멀티 홉 후보 장치 중 제1 전자 장치(1701)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멀티 홉 후보 장치가 아니다. 따라서, 제1 중계 장치(1703)는 토폴로지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중계 장치(1705)는 제2 반경 이내의 멀티 홉 후보 장치 중 제1 전자 장치(1701)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다. 따라서, 제2 중계 장치(1705)는 제2 토폴로지에 포함될 수 있다.
T2 시점에 제2 중계 장치(1705)는 도 14 내지 도 16에 따른 토폴로지 형성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수 있다. T2 시점에 제2 전자 장치(1707)와 제1 전자 장치(1701)의 거리는 임계값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701)는 제2 전자 장치(1707)와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230)이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한 통신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대한 연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 중 하나의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제1 커버리지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따른 제2 커버리지 보다 작은,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커버리지 밖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 또는 키(ke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 중 후보 전자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후보 전자 장치 중 상기 하나의 전자 장치를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후보 전자 장치를 전자 장치 밀집 정도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전자 장치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을 수락하는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락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의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전방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의 통신 연결을 완료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인, 전자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Wi-Fi 다이렉트(direct) 통신인, 전자 장치.
  16. 전자 장치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대한 연결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획득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 중 하나의 전자 장치와 Wi-Fi 다이렉트 통신으로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Wi-Fi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상기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 또는 키(ke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하나의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전자 장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하나의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인,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70020097A 2017-02-14 2017-02-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388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097A KR102388049B1 (ko) 2017-02-14 2017-02-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CT/KR2018/001844 WO2018151487A1 (en) 2017-02-14 2018-02-12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EP18156483.2A EP3361761B1 (en) 2017-02-14 2018-02-13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5/896,630 US10736002B2 (en) 2017-02-14 2018-02-14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097A KR102388049B1 (ko) 2017-02-14 2017-02-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671A true KR20180093671A (ko) 2018-08-22
KR102388049B1 KR102388049B1 (ko) 2022-04-19

Family

ID=6155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097A KR102388049B1 (ko) 2017-02-14 2017-02-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36002B2 (ko)
EP (1) EP3361761B1 (ko)
KR (1) KR102388049B1 (ko)
WO (1) WO20181514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281B1 (ko) * 2018-12-28 2019-08-1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위한 순서 결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45412A1 (en) * 2017-08-02 2019-02-07 Sears Brands, L.L.C. Automatically switching communication pathways between connected devices
US11212730B2 (en) * 2017-08-09 2021-12-28 Lg Electronics Inc. V2X communication device and geo-networking transmission method
EP3576441A1 (en) * 2018-05-31 2019-12-04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handover
JP6750646B2 (ja) * 2018-06-07 2020-09-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1284376B2 (en) 2018-08-17 2022-03-2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istributed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ple party communications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WO2020087318A1 (en) 2018-10-31 2020-05-07 Chongqing University Of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a handover
US11351917B2 (en) * 2019-02-13 2022-06-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rendering generation for vehicle display based on short-range communication
CN112771897B (zh) * 2019-02-14 2023-06-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连接管理方法、装置、终端及系统
CN111836329B (zh) * 2019-04-19 2022-04-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相关装置
GR1009955B (el) * 2020-01-29 2021-03-18 Δημητριος Στεφανου Μπραντζος Διαταξη επικοινωνιας και πληροφορησης οδηγων
WO2022014730A1 (ko) * 2020-07-14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V2x 서비스를 위한 피어-투-피어 통신
CN112469008B (zh) * 2020-11-27 2022-07-05 重庆电讯职业学院 基于d2d可靠性的内容分发方法及装置
CN113329373A (zh) * 2021-06-08 2021-08-31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车机互联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72118A1 (en) * 2015-03-19 2016-09-22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20170006117A1 (en) * 2015-07-02 2017-01-05 Qualcomm Incorporated Service discovery and topology management
WO2017014536A1 (en) * 2015-07-22 2017-01-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vehicle ue and rsu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1589B2 (en) * 2012-10-29 2016-12-13 Lg Electronics Inc. Wi-Fi direct service method using NFC and device therefor
KR102014716B1 (ko) * 2013-04-24 2019-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역외 채널을 이용한 무선 연결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US9826015B2 (en) * 2013-09-04 2017-11-2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and automatic control of latency buffering for audio/video streaming
KR101555252B1 (ko) * 2013-12-04 2015-09-24 주식회사 유디테크 차량 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960826B (zh) * 2014-02-12 2020-04-03 索尼公司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系统和信息处理方法
KR101892121B1 (ko) * 2014-11-25 2018-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통신을 조력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11211A (ko) 2015-03-16 2016-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통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6164808A1 (en) * 2015-04-08 2016-10-13 InterDigitial Patent Holdings, Inc. Realizing mobile relays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s
US10681501B2 (en) 2015-06-11 2020-06-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V2X message
US9521238B1 (en) * 2015-07-14 2016-12-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stablishing multiple short range wireless links between a vehicle and a mobile device
US10433126B2 (en) * 2015-08-03 2019-10-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ublic transportation by using V2X services in a wireless access system
EP3400727B1 (en) * 2016-02-24 2023-04-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location using v2x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79308B2 (en) * 2016-08-11 2020-09-15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y based resource selection in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EP3522620A4 (en) * 2016-09-27 2020-10-14 LG Electronics Inc. -1-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AND RECEIVING A SYNCHRONIZATION SIGNAL OF A TERMINAL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72118A1 (en) * 2015-03-19 2016-09-22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20170006117A1 (en) * 2015-07-02 2017-01-05 Qualcomm Incorporated Service discovery and topology management
WO2017014536A1 (en) * 2015-07-22 2017-01-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vehicle ue and rsu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281B1 (ko) * 2018-12-28 2019-08-1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위한 순서 결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36002B2 (en) 2020-08-04
US20180234895A1 (en) 2018-08-16
EP3361761B1 (en) 2020-04-01
KR102388049B1 (ko) 2022-04-19
WO2018151487A1 (en) 2018-08-23
EP3361761A1 (en) 201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04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1086132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image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KR10176360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으로 주변 차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15034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redundant PDU sessions
US201603232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based social network service
KR20160071734A (ko) 교통 안전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0869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dio resource for a redundant route for a dual-connecting iab-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164573A (zh) 启用雾服务层并应用于智能运输系统
US1075038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relating to V2X communication
WO2019218325A1 (zh) 控制无人机接入网络的方法和装置
KR20210012952A (ko) 차량의 환경 모델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장치, 차량, 및 교통 엔티티
KR20160063518A (ko) 라이파이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1217595A1 (zh) 数据传输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102567386B1 (ko)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통신 기기
KR20170031942A (ko)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 확보를 위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14303438B (zh) 根据5g中的应用服务器的重定位的高效处理方法
KR20210135615A (ko) 가용 버퍼 사이즈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통신 기기
WO2023178533A1 (zh) 通感业务的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20170098925A (ko) 차량의 컨텍스트에서의 점대점 개인 통신
WO2023178532A1 (zh) 通感业务的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3236157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3216210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102410943B1 (ko) 블루투스 페어링을 활용한 차량 내 분실 이동단말기를 찾는 방법 및 시스템
CN117693967A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Patra et al. Video-based overtaking assistance now a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