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536A - 전선 수거 및 구리 분리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수거 및 구리 분리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536A
KR20180093536A KR1020170019776A KR20170019776A KR20180093536A KR 20180093536 A KR20180093536 A KR 20180093536A KR 1020170019776 A KR1020170019776 A KR 1020170019776A KR 20170019776 A KR20170019776 A KR 20170019776A KR 20180093536 A KR20180093536 A KR 20180093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uide plate
heating
guid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인수
Original Assignee
진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인수 filed Critical 진인수
Priority to KR1020170019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3536A/ko
Publication of KR20180093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3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heating 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전선의 피복과 구리선 분리 가공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화학약품에 의한 분리방식이나 연소에 의한 분리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화학약품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이나 작업자의 건강저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체 설비가 간소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분리 장치의 사용이 간편하도록 함은 물론 제품의 단가도 낮출 수 있도록 하여 중소업체에서도 부담없이 구매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내용이다.
그리고 피복과 구리선의 분리과정 이전에 폐전선의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파쇄 상태에서 이후 공정에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추후 공정에 필요한 공간을 줄이 수 있어 설비 규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되, 파쇄 과정에서 폐전선의 이동 경로를 최대한 증대시킴과 동시에 파쇄날의 배치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폐전선이 투입되는 과정에서 최대한 작은 크기로 파쇄되어 추후 가열 과정에서 피복의 용융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내용이다.
그리고 파쇄된 폐전선 입자들이 항시 정량씩 이후 공정으로 투입되도록 감지 및 제어함으로써 가열 공정에서 피복의 수분제거 및 용융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내용이다.
그리고 폐전선 입자들이 이후 공정들을 거치는 과정에서 폐전선 입자 이동에 필요한 이동구조가 자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분리장치 내에서 폐전선의 이동 구조가 매우 간소해져 제작 및 사용이 편리하고 제품의 단가도 더욱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전선 입자들의 안정적이고 신속한 이동이 자동화되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전체 작업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한 내용이다.
그리고 피복의 각 가열과정에서 발생 된 수증기 및 유증기가 각각 폐전선의 최초 세척과정에서의 세척수 및 가열과정에서의 가열에너지로 재활용되도록 함으로써 장치 젠체적인 에너지소비효율도 향상되도록 한 내용이다.

Description

전선 수거 및 구리 분리처리장치{Wire recovery and copper separation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해 수거된 각종 폐전선을 가공 처리하여 합성수지 재질의 피복과 내부의 구리선을 분리하여 각각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 가공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화학약품처리나 화염에 의한 연소처리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순차적인 가열에 의해 피복을 용융시켜 자연스럽게 구리선과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화학약품 사용에 따른 수질오염 등의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화염 사용에 따른 연소가스에 의한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체적인 공정이 간소화 되도록 하고,
가공 처리를 위해 투입된 폐전선이 최초 파쇄되는 과정에서 파쇄경로를 늘림에 따라 분새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하며,
파쇄된 폐전선이 적정량 씩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각 가열 공정에서 피복의 수분제거 및 용융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파쇄 이후 폐전선이 각 공정별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자력에 의해 폐전선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비 전체 구성이 간소화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제품의 단가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공정별로 폐전선의 이동이 자동화방식에 의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전체 처리공정이 단축될 수 있으며, 피복의 각 가열과정에서 발생 되는 수증기 및 유증기가 각각 폐전선의 최초 세척과정의 세척수 및 가열과정에서의 열원으로 재활용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효율도 향상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통신선이나 각종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전선은 해당 제품의 수명이 다할 경우 제품의 폐기 과정에서 따라 분리수거된 뒤 폐전선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피복과 내부의 구리선을 따로 분리하여 각각 별도의 자원으로 재활용되도록 하는 분리 가공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피복과 구리선의 분리과정은 별도의 분리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기존의 분리장치는 대부분 폐전선을 화학약품에 넣어 화학반응에 의해 피복이 화학양품 내에 용해되도록 하여 분리하는 화학분리방식과, 폐전선을 화염을 통해 연소시켜 구리선에 비해 용융점이 낮은 피복이 연소되어 구리선만 남도록 하는 연소방식이 있다.
그런데 화학분리방식에 사용되는 화학약품은 대부분 염산이나 메탄올 등의 맹독성의 형태이므로, 사용과정에서 작업자 신체와 접촉시 인체에 매우 유해한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분리 가공처리과정이 매우 정밀하고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으며, 피복이 화학약품에 용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체에 의해 대기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흡입 시 역시 건강에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화학분리방식에 사용되는 분리장치는 전체적으로 매우 구성이 복잡하고 대형화되어 제품 단가도 높기 때문에 제품의 대중성이 낮을 수밖에 없다.
이 외에 연소방식은 별도의 화로 내에 폐전선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폐전선에 화염을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피복이 연소 및 용융되어 제거되도록 하는 방식인데, 해당 종래기술은 피복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유해가스가 발생되기 때문에 이러한 유해가스가 대기중으로 곧바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필터링 구조가 매우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이로 인해 전체 설비가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연소방식은 피복이 연소되어 용융되는 과정에서 완전연소가 아닌 불완전 연소 상태가 될 경우, 탄화된 상태의 연소 잔재물이 남게 되기 때문에, 해당 연소 잔재물의 제거를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시로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도 크다.
그리고 이러한 기존의 분리 가공방식은 페 전선이 각 공정을 거친 후 다른 공정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해당 공정에서 폐전선을 꺼내 다음 공정으로 투입하여 진행하는 방식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전체 공정시간이 매우 길어질 수밖에 없고 이로인해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낮은 문제점도 있다.
최근에는 별도의 유압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해당 공정에 위치한 폐전선을 유압린더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기는 하지만, 해당 방식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유압실린더의 유압제어 설비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고 유압컴프레서와 유압탱크 등이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장비 규모가 커질 수밖에 없어 경제적이지 못하다.
특히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겁지 않은 폐전선들의 이동을 위해 불필요하게 높은 구동력을 발휘하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함에 따라, 불필요하게 설비 규모가 커지기 때문에, 운용효율이 낮은 문제점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들이 갖는 여러 문제점들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화학약품에 의한 분리방식이나 연소에 의한 분리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화학약품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이나 작업자의 건강저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체 설비가 간소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분리 장치의 사용이 간편하도록 함은 물론 제품의 단가도 낮출 수 있도록 하여 중소업체에서도 부담없이 구매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폐전선의 피복과 구리선 분리 가공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피복과 구리선의 분리과정 이전에 폐전선의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파쇄 상태에서 이후 공정에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추후 공정에 필요한 공간을 줄이 수 있어 설비 규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되, 파쇄 과정에서 폐전선의 이동 경로를 최대한 증대시킴과 동시에 파쇄날의 배치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폐전선이 투입되는 과정에서 최대한 작은 크기로 파쇄되어 추후 가열 과정에서 피복의 용융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폐전선의 피복과 구리선 분리 가공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파쇄된 폐전선 입자들이 항시 정량씩 이후 공정으로 투입되도록 감지 및 제어함으로써 가열 공정에서 피복의 수분제거 및 용융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폐전선의 피복과 구리선 분리 가공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폐전선 입자들이 이후 공정들을 거치는 과정에서 폐전선 입자 이동에 필요한 이동구조가 자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분리장치 내에서 폐전선의 이동 구조가 매우 간소해져 제작 및 사용이 편리하고 제품의 단가도 더욱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전선 입자들의 안정적이고 신속한 이동이 자동화되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전체 작업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한 폐전선의 피복과 구리선 분리 가공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피복의 각 가열과정에서 발생 된 수증기 및 유증기가 각각 폐전선의 최초 세척과정에서의 세척수 및 가열과정에서의 가열에너지로 재활용되도록 함으로써 장치 젠체적인 에너지소비효율도 향상되도록 한 폐전선의 피복과 구리선 분리 가공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해결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박스 형태이고 상단 좌측단부 부근에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상태의 폐전선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투입구와 연통된 투입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바닥면 우측단부 부근에는 폐전선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바닥면 중 상기 배출구 주변에는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투입케이스, 판재 형태이고 상기 투입케이스의 투입공간 중 상기 투입구 하측에 위치하며 좌측단부가 상기 투입공간의 좌측 내벽면에 일체로 고정연결된 상태에서 우측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진 형태이며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폐전선이 경사면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하강하도록 유도하는 제1가이드판, 판재 형태이고 상기 투입공간 중 상기 제1가이드판 하측에 위치하되 우측단부가 상기 투입공간의 우측 내벽면에 일체로 고정연결된 상태에서 좌측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진 형태이며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가이드판을 통과한 폐전선이 안착됨과 동시에 경사면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하강하도록 유도하는 제2가이드판, 판재 형태이고 상기 투입공간 중 상기 제2가이드판 하측에 위치하되 좌측단부가 상기 투입공간의 좌측 내벽면에 일체로 고정연결된 상태에서 우측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짐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판과 상하 수평 형태로 기울어져 있으며 우측단부가 상기 배출구 상에 위치하고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가이드판을 통과한 폐전선이 경사면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하강하도록 유도하는 제3가이드판, 상기 제1가이드판의 상측 중단지점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투입케이스 내부를 전후 가로지르는 상태에서 양단부가 투입케이스 전후측 벽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회전축, 갈고리 형태이고 상기 각 제1회전축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둘레면을 따라 원형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제1가이드판의 상부면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하강 이동하는 폐전선을 1차적으로 파쇄하는 복수개의 제1커팅날, 상기 제2가이드판의 상측 중 상기 제1가이드판의 우측단부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투입케이스의 내부를 전후 가로지르는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기 투입케이스 전후측 벽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2회전축, 갈고리 형태이고 상기 각 제2회전축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둘레면을 따라 원형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제2가이드판의 상부면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하강 이동하는 폐전선을 2차적으로 파쇄하는 복수개의 제2커팅날, 상기 제3가이드판의 상측 중 상기 제2가이드판의 좌측단부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투입케이스의 내부를 전후 가로지르는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기 투입케이스 전후측 벽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3회전축, 갈고리 형태이고 상기 각 제3회전축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둘레면을 따라 원형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3회전축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제3가이드판의 상부면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하강 이동하는 폐전선을 3차적으로 파쇄하는 복수개의 제3커팅날, 상기 투입케이스의 투입공간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투입공간 안으로 토출하되 상기 제1가이드판 상부와 제2가이드판 상부 및 제3가이드판 상부를 향해 외부공기를 분사함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판과 제2가이드판 및 제3가이드판을 지나는 폐전선표면의 수분을 1차적으로 건조시킴과 동시에 폐전선 표면에 존재하는 분진 등의 이물질을 투입공간 내 공기중으로 부상되도록 유도하는 공기분사부, 상기 투입케이스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투입공간 내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투입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투입공간 중 상기 공기분사부에 의해 증발된 수분과 분진 등의 이물질이 투입공간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공기배출부, 상기 투입공간 바닥면 중 상기 제3가이드판 하측에 위치하는 작동케이스, 상기 작동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기어, 상기 투입케이스의 배출구 상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구를 덮고 있는 형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좌우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좌우 직선이동 과정에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개폐판, 좌우 길이방향을 갖는 막대 형태이고 하부면에는 기어치가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단면이 상기 배출개폐판의 하부면에 부착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좌측 단부 부근에 위치한 기어치가 상기 회전기어에 치합됨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 시 기어치합 구조에 의해 좌우이동되고 좌우 이동과정에서 상기 배출개폐판을 함께 좌우 이동시키는 래크기어, 상기 투입케이스의 배출구 주변에 형성된 삽입홈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단부가 상기 배출개폐판의 하부면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배출개폐판의 무게를 지탱하는 형태로 위치하고, 상기 배출개폐판 상에 폐전선이 안착된 상태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 상기 투입케이스 외부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무게감지센서와 제1블루투스 송수신부를 통해 무선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와는 제2블루투스 송수신부를 통해 무선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배출개폐판 및 페전선의 무게 신호를 상기 제1블루투스 송수신부를 통해 전달받아 해당 무게가 적정수준인지 여부를 판단한 뒤 해당 무게가 적정수준일 경우 상기 제2블루투스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에 작동신호를 보내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배출개폐판이 상기 회전기어와 래크기어의 연동에 의해 좌측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투입케이스의 배출구를 일정 시간동안 개방하고, 상기 무게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무게신호가 적정수준 미만일 경우 구동모터의 작동을 차단하여 배출개폐판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배출케이스 내 폐전선이 배출구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자동 제어하는 배출제어부, 박스 형태이고 상기 투입케이스 하측에 위치하고 내부에는 상기 투입케이스의 배출구와 연통된 수분증발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우측벽면에는 제1개폐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바닥 우측지점에는 수증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열케이스, 상기 가열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전체적으로 좌우 길이방향을 갖는 직선 레일 형태이고 상기 가열케이스 바닥면 상에서 위쪽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레일, 내부에 발열히터가 내장되어 있고 별도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에 배열 되어 있으며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로 공급하되 공급과정에서 상기 발열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폐전선 표면의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하는 가열풍 공급부, 상기 가열케이스 수분증발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이며 상부가 상기 투입케이스의 배출구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과한 폐전선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하부면에는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레일홈 형태의 가이드홈이 위쪽을 향해 함몰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이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 바닥 상에 위치하된 상기 제1가이드레일이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진 형태로 위치됨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형성경로를 따라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한 수송함, 상기 수송함의 가이드홈 내부면에 부착 매립 형성되어 있는 영구자석 형태의 제1이동가이드 자석, 상기 제1가이드레일 표면에 매립 형성되되 상기 제1이동가이드 자석과 동일한 극성일 띰에 따라 상기 제1이동가이드 자석과 상호 척력이 작용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송함이 상기 제1가이드레일 상에 자력에 의한 부상 상태로 위치되도록 유도하는 영구자석 형태의 제2이동가이드 자석, 상기 수송함의 좌측단부면에 매립 설치되어 있는 영구자석 형태의 제1구동자석,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 좌측면에 부착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송함의 제1구동자석과 좌우 마주한 상태로 위치하고 별도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공급 시 자력을 발휘하되 상기 제1구동자석과 동일한 극성의 자력이 발생 되도록 하여 상기 제1구동자석과 상호 척력이 작용 되도록 함에 따라 자력에 의해 상기 수송함이 우측을 향해 밀려나도록 유도하는 제2구동자석, 상기 수송함의 우측단부면에 매립 설치되어 있는 영구자석 형태의 제3구동자석, 판재 형태이고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 중 상기 제1개폐통로를 막는 형태로 위치하며 상단부가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 상부면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 회동하면서 상기 제1개폐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통로개폐판, 상기 통로개폐판의 좌측단부면에 매립 설치되어 상기 수송함의 제3구동자석과 마주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되 상기 제3자석과 동일한 극성을 가짐에 따라 상기 제3자석과 상호 척력이 작용되는 영구자석 형태이며 상기 수송함이 우측을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척력에 의해 우측으로 밀려남에 따라 상기 통로개폐판이 우측을 향해 회동하여 상기 제1개폐통로를 개방하도록 유도하는 개폐유도 자석, 내부에 용융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이고 상기 가열케이스 우측에 위치하며 좌측단부면에는 상기 가열케이스의 제1개폐통로와 동일한 면적의 제2개폐통로가 상기 제1개폐통로와 마주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바닥 우측단부 부근에는 용융액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융케이스, 상기 좌우 길이방향을 갖는 레일 형태이고 상기 용융케이스 내부 바닥면에 좌우 길이방향을 갖도록 위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케이스의 제1가이드레일과 좌우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위치되어 상기 수송함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수송함의 좌우 직선이동을 유도하는 제2가이드레일, 영구자석 형태이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 표면에 매립 형성되되 상기 수송함의 제1이동가이드 자석과 동일한 극성일 띰에 따라 상기 제1이동가이드 자석과 상호 척력이 작용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송함이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 상에 자력에 의한 부상 상태로 위치되도록 유도하는 제3이동가이드 자석, 상기 용융케이스의 전후 벽면 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설되고 별도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전기공급에 의해 발열 됨에 따라 상기 용융케이스 내부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수용함이 상기 용융케이스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함 내에 위치한 폐전선의 피복이 액상으로 용융되어 상기 수용함의 배유구를 통해 하부로 배출된 뒤 상기 용융케이스의 용융액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용융유도 히터, 사방이 막혀 있는 박스 형태이고 상기 용융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상부가 상기 용융케이스의 용융액 배출구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용융액 배출구를 통과한 피복의 용융액이 저장되어 수거되도록 하는 용융액 저장탱크, 흡기팬 형태이고 상기 용융케이스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용융액 내부 공기를 외부로 빼냄에 따라 상기 피복이 용융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고온의 유증기를 외부로 강제로 빼내기 위한 유증기흡기부, 배관 형태이고 일단부가 상기 유증기흡기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가열케이스 일측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유증기흡기부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온 고온의 유증기를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로 공급함에 따라 상기 가열풍 공급부에 의해 가열풍이 상기 가열케이스로 공급되어 상기 폐전선 피복 표면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고온의 유증기에 의해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 공기의 가열효율이 향상되도록 유도하는 유증기 이송배관, 흡기팬 형태이고 상기 가열케이스의 증기배출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흡기함에 따라 가열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폐전선 표면으로부터 증발되어 발생된 공기 중 수증기를 상기 증기배출구를 통해 후술하는 세척수 응축탱크로 유입시키기 위한 수증기흡입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 형태이고 상부 일측에는 상기 가열케이스의 수증기배출구와 연통된 수증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증기배출구를 통과한 수증기가 수용된 뒤 액체 상태로 응축되도록 하는 세척수 응축탱크, 배관 형태이고 상기 세척수 응축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 응축탱크 내 응축된 물을 외부로 빼낸 뒤 상기 투입케이스로 투입되기 전 폐전선을 세척수로 세척하는 과정에서 해당 물을 세척수로 재활용하도록 물을 순환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순환관 및 상기 세척수 순환관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 응축탱크 내 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빼내기 위한 순환펌프, 상기 가열케이스의 내부 공기 온도를 감지하여 적정 가열온도가 적정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연부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열케이스의 제2구동자석과 연결된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한 온도가 적정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폐전선 표면의 수분 증발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구동자석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에 따라 수송함이 제2구동자석과 제1구동자석 간 자력에 의해 우측으로 밀려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수송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별도의 화학약품처리나 화염에 의한 연소처리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가열케이스 안에서 수분이 제거되도록 한 상태에서 용융케이스 내부에서 고온 환경에 의해 피복이 용융되면서 자연스럽게 구리선과 분리되므로 화학약품 사용에 따른 수질오염 등의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화염 사용에 따른 연소가스에 의한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체적인 공정이 간소화된다.
그리고 폐전선의 투입과정에서 폐전선이 파쇄된 상태로 가열케이스와 용융케이스에 공급되기 때문에 가열케이스와 용융케이스 내에서 폐전선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전체 장치 크기가 최소화된다.
그리고 이때 폐전선이 파쇄되는 과정에서 제1가이드판과 제2가이드판 및 제3가이드판을 따라 지그재그 경로로 이동하면서 파쇄되기 때문에, 그만큼 투입케이스 내에서 이동경로가 증가되고, 이로 인해 결국 폐전선의 파쇄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그리고 투입전 세척수에 의해 표면이 어느정도 세척된 상태의 폐전선이 파쇄되는 과정에서 공기분사부에 의해 투입케이스 내부에 외부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폐전선 표면의 수분이 1차적으로 증발 제거됨과 동시에 기타 분진 등의 이물질이 투입케이스 내부 공기 중으로 부상한 뒤 공기배출부에 의해 강제로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수분제거율과 이물질 제거율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파쇄된 폐전선이 가열케이스 내부로 배출되기 전에 배출개폐판 상에 안착되었을 때 무게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한 뒤 제어부가 해당 무게신호를 바탕으로 적정량의 폐전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배출개폐판이 개방되어 폐전선이 가열케이스로 자동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항시 적정량의 폐전선이 가열케이스 및 용융케이스에 존재함에 따라, 가열효율 및 용융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배출제어부에 의한 배출개폐판 작동이 제1, 2블루투스 송수신부를 통해 무선으로 자동제어될 수 있으므로, 해당 작동 제어를 위한 전기배선 등이 필요 없으므로 전체 구성 및 제작이 간소해진다.
그리고 가열케이스 안에서 폐전선 표면의 수분이 완전히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추후 용융 과정에서 수분에 의한 용융 저하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이때 가열케이스 내부에 발생된 수증기가 수증기 흡입부를 통해 세척수 응축탱크 내에 수용된 상태로 응축된 뒤 세척액 순환관을 통해 배출되어 최초 투입 전 폐전선 표면을 세척할 때 사용되는 세척액으로 순환시켜 재 사용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열케이스 내부에서 수증기 제거과정이 완료된 뒤 수송함이 제1구동자석과 제2구동자석의 자력에 의해 용융케이스 내부로 이동되고, 이때 수송함이 제1가이드레일과 제2가이드레일에 의해 항시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수송함이 제1가이드레일과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수송함이 제1이동가이드 자석과 제2이동가이드자 및 제3이동가이드 자석 간의 척력에 의해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 상에 자기부상 형태로 부상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여 적은 에너지로도 수송함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수송함이 가열케이스에서 용융케이스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통로개폐판이 제3구동자석과 제1개폐유도자석 간의 자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므로 가열케이스와 용융케이스 사이의 개폐가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통로개폐판의 개폐 작동에 필요한 구조가 매우 간소해진다.
또한 용융케이스 내에서 피복의 용융이 완료된 뒤 제4구동자석과 제3구동자석 간의 자력에 의해 수송함이 제2가이드레일 및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쉽고 안정적으로 다시 가열케이스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1구동자석과 제2개폐유도자석 간의 자력에 의해 통로개폐판이 자동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그리고 피복의 용융 과정에서 발생된 고온의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회수한 뒤 가열케이스 내부로 공급하여 가열케이스 내 수분 증발에 필요한 가열원으로 활용함에 따라 유증기 배출에 의한 대기오염을 방지하고 에너지 절감효율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1은 전체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2는 투입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확대 개략도
도3은 폐전선의 배출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4는 폐전선이 가열케이스 내 수송함 내에 수용된 상태의 일부확대 개략도
도5 및 도6은 수송함이 용융케이스 내부로 이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전체 개략도
도7은 폐전선의 단면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폐전선의 피복과 구리선 분리 가공 처리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케이스(1)와 제1가이드판(6), 제2가이드판(8), 제3가이드판(9), 제1회전축(10), 제1커팅날(11), 제2회전축(12), 제2커팅날(13), 제3회전축(14), 제3커팅날(15), 공기분사부(16), 공기배출부(17), 작동케이스(18), 구동모터(19), 회전기어(20), 래크기어(22), 배출개폐판(21), 무게감지센서(23), 배출제어부(24), 제1블루투스 송수신부(25), 제2블루투스 송수신부(26), 가열케이스(27), 제1가이드레일(31), 가열풍 공급부(32), 수송함(33), 제1이동가이드 자석, 제2이동가이드 자석(36), 제1구동자석(37), 제2구동자석(40), 제3구동자석(41), 통로개폐판(42), 제1개폐유도자석(43), 제2개폐유도자석(44), 용융케이스(45), 제2가이드레일(49), 제4구동자석(51), 제3이동가이드 자석(52), 용융 유도히터(100), 용융액 저장탱크(53), 유증기흡기부(54), 유증기 이송배관(55), 수증기 흡입부(56), 세척수 응축탱크(57), 순환펌프(58), 온도감지센서(59), 수송제어부(60)로 구성된다.
먼저 투입케이스(1)는 이전에 세척액에 의해 피복(80) 표면이 세척된 상태의 폐전선(70)이 최초로 투입됨과 동시에 파쇄가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박스 형태이고 상단 좌측단부 부근에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상태의 폐전선(70)이 투입되는 투입구(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투입공간(3)이 투입구(2)와 연통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 바닥면 우측단부 부근에는 파쇄된 폐전선(70)의 배출구(4)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바닥면 중 상기 배출구(4) 주변에는 후술할 무게감지센서(23)의 설치를 위한 설치홈(5)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상태에서 투입케이스(1)에는 제1가이드판(6)과 제2가이드판(8) 및 제3가이드판(9)이 설치된다.
제1가이드판(6)과 제2가이드판(8) 및 제3가이드판(9)은 투입된 폐전선(70)이 투입케이스를 통과하는 경로를 최대한 늘림에 따라 파쇄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먼저 제1가이드판(6)은 판재 형태이고 투입케이스(1)의 투입공간(3) 중 투입구 하측에 위치하며 좌측단부가 투입공간(3)의 좌측 내벽면에 일체로 고정연결된 상태에서 우측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진 형태이다.
따라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폐전선이 경사면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하강하도록 유도된다.
이때 제1가이드판(6)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요철부(7)가 형성됨에 따라 폐전선이 제1가이드판(6) 상부면을 따라 미끌어지면서 이동할 때 요철부(7)와의 마찰력에 의해 이동 시간이 지연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제1커팅날(11)에 의한 파쇄시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제2가이드판(8)은 역시 판재 형태이고 투입공간(3) 중 제1가이드판(6) 하측에 위치하되 우측단부가 투입공간(3)의 우측 내벽면에 일체로 고정연결된 상태에서 좌측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진 형태이다.
따라서 제1가이드판(6)을 통과한 폐전선(70)이 제2가이드판(8) 상에 낙하됨과 동시에 제2가이드판(8)의 경사면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강되도록 유도된다.
이때 제2가이드판(8)의 상부면에도 복수개의 요철부(7)가 형성됨에 따라 폐전선이 제2가이드판(8) 상부면을 따라 미끌어지면서 이동할 때 요철부(7)와의 마찰력에 의해 이동 시간이 지연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제2커팅날(13)에 의한 파쇄시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제3가이드판(9)은 역시 판재 형태이고 투입공간(3) 중 제2가이드판(8) 하측에 위치하되 좌측단부가 투입공간(3)의 좌측 내벽면에 일체로 고정연결된 상태에서 우측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진 형태, 즉 제1가이드판(6)과 상하 수평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가이드판(8)을 통과한 폐전선(70)이 제3가이드판(9) 상에 낙하됨과 동시에 제3가이드판(9)의 경사면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이동 한뒤 후술하는 배출개폐판(21) 상에 낙하되도록 유도된다.
이때 제3가이드판(9)의 상부면에도 복수개의 요철부(7)가 형성됨에 따라 폐전선이 제3가이드판(9) 상부면을 따라 미끌어지면서 이동할 때 요철부(7)와의 마찰력에 의해 이동 시간이 지연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제3커팅날(15)에 의한 파쇄시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투입케이스(1)에는 제1회전축(10)과 제1커팅날(11), 제2회전축(12)과 제2커팅날(13), 제3회전축(14)과 제3커팅날(15)이 설치된다.
이는 최초 투입케이스로 투입된 폐전선(70)이 제1가이드판(6)과 제2가이드판(8) 및 제3가이드판(9)을 순차적으로 지나는 과정에서 해당 폐전선(70)을 잘개 파쇄하여 입자 형태로 만들기 위한 것으로,
제1회전축(10)은 후술할 제1커팅날(11)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가이드판(6)의 상측 중단지점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투입케이스(1) 내부를 전후 가로지르는 상태에서 양단부가 투입케이스(1) 전후측 벽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좌우 간격을 두고 두개가 배치된다.
제1커팅날(11)은 최초 투입된 폐전선(70)의 1차 파쇄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갈고리 형태이고 각 제1회전축(10)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둘레면을 따라 원형배열되어 있고 제1회전축(10)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면서 제1가이드판(6)의 상부면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하강 이동하는 폐전선을 1차적으로 파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회전축(12)은 후술할 제2커팅날(13)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2가이드판(8)의 상측 중 제1가이드판(6)의 우측단부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투입케이스(1)의 내부를 전후 가로지르는 상태에서 양단부가 투입케이스(1) 전후측 벽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좌우 간격을 두고 두개가 배치된다.
제2커팅날(13)은 제1커팅날(11)에 의해 파쇄된 상태의 폐전선(70)이 제2가이드판(8)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2차 파쇄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갈고리 형태이고 각 제2회전축(12)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둘레면을 따라 원형배열되어 있고 제2회전축(12)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면서 제2가이드판(8)의 상부면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하강 이동하는 폐전선을 2차적으로 파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3회전축(14)은 후술할 제3커팅날(15)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3가이드판(9)의 상측 중 제2가이드판(8)의 좌측단부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투입케이스(1)의 내부를 전후 가로지르는 상태에서 양단부가 투입케이스(1) 전후측 벽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좌우 간격을 두고 두개가 배치된다.
제3커팅날(15)은 제2커팅날(13)에 의해 파쇄된 채로 제3가이드판(9)을 따라 이동하는 폐전선의 3차 파쇄 역할을 한느 것으로, 갈고리 형태이고 각 제3회전축(14)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둘레면을 따라 원형배열되어 있고 제3회전축(14)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면서 제3가이드판(9)의 상부면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하강 이동하는 폐전선을 3차적으로 파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투입케이스(1)에는 공기분사부(16)와 공기배출부(17)가 추가로 설치된다.
공기분사부(16)와 공기배출부(17)는 외부공기를 투입케이스(1) 내부로 강제 공급하여 폐선선 표면의 수분을 1차적으로 증발시켜 후술하는 가열케이스 내에서의 수분제거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폐전선 표면이나 투입공간(3) 내의 분진이나 기타 이물질을 외부로 빼내기 위한 것으로,
흡기팬 형태의 공기분사부(16)가 투입케이스(1)의 투입공간(3)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투입공간(3) 안으로 토출 하되 제1가이드판(6) 상부와 제2가이드판(8) 상부 및 제3가이드판(9) 상부를 향해 외부공기를 분사함에 따라 제1가이드판(6)과 제2가이드판(8) 및 제3가이드판(9)을 지나는 폐전선 표면의 수분을 1차적으로 건조시킴과 동시에 폐전선 표면에 존재하는 분진 등의 이물질을 투입공간(3) 내 공기중으로 부상되도록 유도하는 형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흡기팬 형태의 공기배출부(17)가 투입케이스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투입공간(3) 내 공기를 흡기한 뒤 투입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투입공간(3) 중 공기분사부(16)에 의해 증발된 수분과 분진 등의 이물질이 투입공간(3)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형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투입케이스(1)에는 작동케이스(18)가 설치된다.
작동케이스는 후술할 배출개폐판(21)의 작동에 필요한 구동원 역할을 하는 구동모터(19)와 회전기어(20)의 설치공간 제공 역할을 하는 것으로, 투입공간(3) 바닥면 중 제3가이드판(9) 하측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작동케이스(18) 내부에는 후술할 배출개폐판(21)의 작동에 필요한 구동원 역할을 하는 구동모터(19)가 위치되고 구동모터(19)의 모터축에는 배출개폐판(21)과 구동모터(19)간 동력전달 역할을 하는 회전기어(20)가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투입케이스(1)에는 배출개폐판(21)이 설치된다.
배출개폐판(21)은 파쇄된 폐전선(70)이 투입케이스(1)의 배출구(4)를 통과하여 후술할 가열케이스(27)로 공급되기 위한 개폐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판재 형태이고 투입케이스(1)의 배출구(4) 상에 위치하여 배출구(4)를 덮고 있는 형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좌우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좌우 직선이동 과정에서 배출구(4)를 개폐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배출개폐판(21)에는 래크기어(22)가 설치되는데, 래크기어(22)는 좌우 길이방향을 갖는 막대 형태이고 하부면에는 기어치가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단면이 배출개폐판(21)의 하부면에 부착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좌측 단부 부근에 위치한 기어치가 회전기어(20)에 치합됨에 따라 회전기어(20)의 회전 시 기어치합 구조에 의해 좌우이동되고 좌우 이동과정에서 배출개폐판(21)을 함께 좌우 이동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배출개폐판(21)에는 무게감지센서(23)가 연결된다.
무게감지센서(23)는 파쇄된 폐전선이 배출개폐판(21) 상에 쌓였을 때 이로 인해 배출개폐판(21)에 가해지는 무게하중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전자 저울 등에 사용되는 무게 감지센서 형태로 이루어지며, 투입케이스(1)의 배출구(4) 주변에 형성된 설치홈(5)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단부가 배출개폐판(21)의 하부면에 접촉됨에 따라 배출개폐판(21)의 무게를 지탱하는 형태로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배출개폐판(21) 상에 폐전선(70)이 안착된 상태의 무게를 감지하는 형태이다.
이 상태에서 무게감지센서(23)에는 배출제어부(24)가 연결 설치된다.
배출제어부(24)는 일반적인 마이컴 형태의 회로 제어구조로 이루어지고, 투입케이스(1) 외부 일측에 위치하며 무게감지센서(23)와 제1블루투스 송수신부(25)를 통해 무선연결되어 있고 구동모터(19)와는 제2블루투스 송수신부(26)를 통해 무선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제어부(24)는 무게감지센서(23)를 통해 감지된 배출개폐판(21) 및 페전선의 무게 신호를 제1블루투스 송수신부(25)를 통해 전달받아 해당 무게가 적정수준인지 여부를 판단한 뒤 해당 무게가 적정수준일 경우 제2블루투스 송수신부(26)를 통해 구동모터(19)에 작동신호를 보내 작동시킴에 따라 배출개폐판(21)이 회전기어(20)와 래크기어(22)의 연동에 의해 좌측으로 직선이동하여 투입케이스(1)의 배출구(4)를 일정 시간동안 개방하고,
무게감지센서(23)로부터 전달받은 무게신호가 적정수준 미만일 경우 구동모터(19)의 작동을 차단하여 배출개폐판(21)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투입케이스(1) 내 폐전선(70)이 배출구(4)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자동 제어하는 형태이다.
이 상태에서 투입케이스(1) 일측에는 가열케이스(27)가 설치된다.
가열케이스(27)는 파쇄된 상태의 폐전선(70)을 재차 가열하여 폐전선 표면의 수분을 최종적으로 제거하여 후술하는 용융 과정에서 폐전선의 피복 용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과 동시에 용융과정에서 수증기 발생을 억제하여 용융케이스 내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박스 형태이고 투입케이스(1) 하측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투입케이스(1)의 배출구(4)와 연통된 수분증발공간(18)이 형성되어 있고 우측벽면에는 후술할 용융케이스(45) 내부와 수분증발공간(18) 간의 연통을 위한 제1개폐통로(29)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바닥 우측지점에는 수분증발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를 외부로 빼내기 위한 수증기배출구(30)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 상태에서 가열케이스(27)에는 제1가이드레일(31)이 설치된다.
제1가이드레일(31)은 후술하는 수송함(33)이 용융케이스(45)로 이동할 때 안정적인 이동을 위한 이동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열케이스(27)의 내부 바닥면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전체적으로 좌우 길이방향을 갖는 직선 레일 형태이고 가열케이스(27) 바닥면 상에서 위쪽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구조이다.
이 상태에서 가열케이스(27)에는 가열풍 공급부(32)가 더 설치된다.
가열풍 공급부(32)는 가열케이스(27) 내부에 가열된 상태의 공기를 유입시킴에 따라 가열케이스(27) 내부에 위치하는 폐전선(70) 표면의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가열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 발열히터가 내장되어 있고 별도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된 상태에서 가열케이스(27) 내부에 배열 되어 있으며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가열케이스(27) 내부로 공급하되 공급과정에서 발열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가열케이스(27) 내부에 위치하는 폐전선(70) 표면의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하는 형태이다.
이 상태에서 가열케이스(27) 내부에는 수송함(33)이 설치된다.
수송함(33)은 폐전선(70)이 투입케이스(1)를 통과하여 가열케이스(27) 내에 공급될 때 수용되는 기능과 더불어 수분제거가 완료된 폐전선을 후술하는 용융케이스(45) 내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열케이스(27)의 수분증발공간(18)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이며 상부가 투입케이스(1)의 배출구 하측에 위치하여 배출구(4)를 통과한 폐전선(70)이 낙하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수송함(33)은 하부면에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레일홈 형태의 가이드홈(34)이 위쪽을 향해 함몰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이 가열케이스(27) 내부 바닥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가이드레일(31)이 가이드홈(34)에 끼워진 형태로 위치됨에 따라 제1가이드레일(31)의 형성경로를 따라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수송함(33)에는 제1이동가이드 자석(35)이 설치된다.
제1이동가이드 자석(35)은 수송함(33)이 제1가이드레일(31)을 따라 좌우 직선이동 하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제2이동가이드 자석(36)과의 척력을 이용하여 수송함(33)이 제1가이드레일(31) 상에 자기 부상 형태로 공중에 부상된 상태로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이동 과정에서 수송함(33)과 제1가이드레일(31) 간의 마찰력이 최소화 되어 특별한 장치 없이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이동가이드 자석(35)은 영구자석 형태이고 수송함(33)의 가이드홈(34) 내부면에 매립 형태로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가이드레일(31)에는 제2이동가이드 자석(36)이 설치된다.
제2이동가이드 자석(36)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제1이동가이드 자석(35)과의 척력을 이용해 수송함(33)이 제1가이드레일(31) 상에 자기 부상 형태로 부상되어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역시 영구자석 형태이고 제1가이드레일(31) 표면에 매립 형성되되 제1이동가이드 자석(35)과 동일한 극성일 띰에 따라 제1이동가이드 자석(35)과 상호 척력이 작용 된다.
따라서 제1가이드레일(31) 상에 위치한 수송함(33)은 제1가이드레일(31) 상에서 자력에 의한 부상 상태로 공중에 뜬 형태로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수송함(33)에는 제1구동자석(37)이 설치된다.
제1구동자석(37)은 수송함(33)이 후술하는 제2구동자석(40)과의 자력에 의해 수송함(33)이 자동으로 제1가이드레일(31)을 따라 이동하여 후술할 용융케이스(45) 내부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판재 형태의 영구자석 이고 수송함(33)의 좌측단부면에 매립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가열케이스(27)에는 제2구동자석(40)이 설치된다.
제2구동자석(40)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제1구동자석(37)과의 자력을 이용하여 수송함(33)을 후술하는 용융케이스(45)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열케이스(27) 내부 좌측면에 부착 고정 설치되어 수송함(33)의 제1구동자석(37)과 좌우 마주한 상태로 위치하고 별도의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공급 시 자력을 발휘하되 제1구동자석(37)과 동일한 극성의 자력이 발생 되도록 하여 제1구동자석(37)과 상호 척력이 작용 되도록 함에 따라 자력에 의해 수송함(33)이 우측을 향해 밀려나도록 유도하는 형태이다.
이 상태에서 수송함(33)에는 제3구동자석(41)이 더 설치된다.
제3구동자석(41)은 수송함(33)이 후술할 용융케이스(45) 쪽으로 이동할 때 가열케이스(27)와 용융케이스(45) 간 경계지점의 출입문 역할을 하는 후술할 통로개폐판(42)을 자력을 통해 자동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영구자석 형태이고 수송함(33)의 우측단부면에 매립 설치된 구조이다.
이 상태에서 가열케이스(27)에는 통로개폐판(42)이 설치된다.
통로개폐판(42)은 가열케이스(27) 내부와 후술할 용융케이스(45) 내부를 개폐하여 가열케이스(27) 내부의 가열공기와 용융케이스(45) 내 가열공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송함(33)의 이동 시 개페도어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재 형태이고 가열케이스(27) 내부 중 제1개폐통로(29)를 막는 형태로 위치하며 상단부가 가열케이스(27) 내부 상부면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 회동하면서 제1개폐통로(29)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 상태에서 통로개폐판(42)에는 제1개폐유도자석(43)이 설치된다.
제1개폐유도자석(43)은 수송함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후술할 용융케이스(45)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수송함(33)의 제3구동자석(41)과의 척력을 이용하여 통로개폐판(42)이 자동으로 회동하여 제1개폐통로(29)의 자동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통로개폐판(42)의 좌측단부면에 매립 설치되어 수송함(33)의 제3구동자석(41)과 마주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되 제3구동자석(41)과 동일한 극성을 가짐에 따라 제3구동자석(41)과 상호 척력이 작용 되는 영구자석 형태이며 수송함(33)이 우측을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척력에 의해 우측으로 밀려남에 따라 통로개폐판(42)이 우측을 향해 회동하여 제1개폐통로(29)를 개방하도록 유도하는 형태이다.
이 상태에서 통로개폐판(42)에는 제2개폐유도자석(44)이 설치된다.
제2개폐유도자석(44)은 통로개폐판(42)을 통과하여 후술할 용융케이스(45) 내부에 위치한 수송함(33)이 다시 가열케이스(27) 내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송함(33)의 제1자력과의 척력을 이용해 통로개폐판(42)이 가열케이스(27) 쪽으로 자동 회동하여 개방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영구자석 형태이고 통로개폐판(42)의 우측단부면에 매립형태로 위치되되, 수송함(33)의 제1구동자석(37)과 동일한 극성을 이룸에 따라 제1구동자석(37)과 상호 척력이 발생 되도록 하는 형태이다.
이 상태에서 가열케이스(27) 일측에는 용융케이스(45)가 설치된다.
용융케이스(45)는 가열케이스(27)를 빠져나와 표면의 수분이 제거된 상태의 폐전선(70)을 가열하여 피복(80)을 액상으로 용융시켜 구리선(90)과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용융공간(46)이 형성된 박스 형태이고 가열케이스(27) 우측에 위치하며 좌측단부면에는 가열케이스(27)의 제1개폐통로(29)와 동일한 면적의 제2개폐통로(47)가 제1개폐통로(29)와 마주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바닥 우측단부 부근에는 피복(80)이 액상으로 용융되어 발생된 용융액의 외부 배출을 위한 용융액 배출구(48)가 형성된 형태이다.
용융케이스(45)에는 용융 유도히터(100)가 설치되는데, 용융 유도히터(100)는 별도의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됨에 따라 용융케이스(45) 내부 공기를 고온 상태로 가열하여 폐전선의 피복을 용융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발열선 형태이고 용융케이스(45) 전후측 벽면 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설된다.
이 상태에서 용융케이스(45)에는 제2가이드레일(49)이 설치된다.
제2가이드레일(49)은 수송함(33)이 용융케이스(45)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이동을 위한 이동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용융케이스(45) 내부 바닥면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전체적으로 좌우 길이방향을 갖는 직선 레일 형태이고 용융케이스(45) 바닥면 상에서 위쪽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2가이드레일(49)은 가열케이스(27)의 제1가이드레일(31)좌 좌우 동일선상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수송함(33)이 제1가이드레일(31)를 벗어남과 동시에 수송함(33)의 가이드홈(34)에 삽입되어 수송함(33)의 좌우 직선이동을 유도한다.
이 상태에서 제2가이드레일(49)에는 제3이동가이드 자석(52)이 설치된다.
제3이동가이드 자석(52)은 제1이동가이드 자석(35)과의 척력을 이용해 수송함(33)이 제2가이드레일(49) 상에 자기 부상 형태로 부상되어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역시 영구자석 형태이고 제2가이드레일(49) 표면에 매립 형성되되 제1이동가이드 자석(35)과 동일한 극성일 띰에 따라 제2이동가이드 자석(36)과 상호 척력이 작용 된다.
따라서 제2가이드레일(49) 상에 위치한 수송함(33)은 제2가이드레일(49) 상에서 자력에 의한 부상 상태로 공중에 뜬 형태로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용융케이스(45)에는 제4구동자석(51)이 설치된다.
제4구동자석(51)은 용융케이스(45) 내부에 위치한 수송함(33)이 용융 완료 후 다시 가열케이스(27) 내부로 이동해야 할때 수송함(33)의 제3구동자석(41)과의 척력을 이용해 수송함(33)을 자동으로 가열케이스(27) 쪽으로 밀어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구동자석(40)과 마찬가지로 전자석 형태이고 용융케이스(45)의 내부 우측단부면에 매립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방이 막혀 있는 박스 형태이고 용융케이스(45) 내부에 위치하며 상부가 상기 용융케이스(45)의 용융액 배출구(48)와 연통되어 있으며 용융액 배출구(48)를 통과한 피복의 용융액이 저장되어 수거되도록 하는 용융액 저장탱크(53)가 설치된다.
그리고 흡기팬 형태이고 용융케이스(45)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용융케이스(45) 내부 공기를 외부로 빼냄에 따라 피복이 용융되는 과정에서 발생 된 고온의 유증기를 외부로 강제로 빼내기 위한 유증기흡기부(54)가 설치된다.
그리고 배관 형태이고 일단부가 유증기흡기부(54)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가열케이스(27) 일측에 연결됨에 따라 유증기흡기부(54)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온 고온의 유증기를 가열케이스(27) 내부로 공급함에 따라 가열풍 공급부(32)에 의해 가열풍이 가열케이스(27)로 공급되어 폐전선 피복 표면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과정에서 고온의 유증기에 의해 가열케이스(27) 내부 공기의 가열효율이 향상되도록 유도하는 유증기 이송배관(55)이 설치된다.
또한 흡기팬 형태이고 가열케이스(27)의 수증기배출구(30)에 연결되어 있으며 가열케이스(27) 내부의 공기를 흡기함에 따라 가열케이스(27) 내부에서 상기 폐전선 표면으로부터 증발되어 발생 된 공기 중 수증기를 증기배출구(4)를 통해 후술하는 세척수 응축탱크(57)로 유입시키기 위한 수증기흡입부(56)도 설치된다.
또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 형태이고 상부 일측에는 가열케이스(27)의 수증기배출구(30)와 연통된 수증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증기배출구(4)를 통과한 수증기가 수용된 뒤 액체 상태로 응축되도록 하는 세척수 응축탱크(57)가 설치된다.
그리고 배관 형태이고 세척수 응축탱크(57)와 연결되어 세척수 응축탱크(57) 내 응축된 물을 외부로 빼낸 뒤 투입케이스(1)로 투입되기 전 폐전선을 세척수로 세척하는 과정에서 해당 물을 세척수로 재활용하도록 물을 순환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순환관(101) 및 세척수 순환관(101)에 설치되어 세척수 응축탱크(57) 내 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빼내기 위한 순환펌프(58)가 설치된다.
또한 가열케이스(27)의 내부 공기 온도를 감지하여 적정 가열온도가 적정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연부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59)가 설치된다.
더불어 온도감지센서(59)와 연결되어 있고 가열케이스(27)의 제2구동자석(40)과 연결된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온도감지센서(59)에 의한 온도가 적정시간 동안 유지되면 폐전선 표면의 수분 증발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2구동자석(40)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력이 발생 되도록 함에 따라 수송함(33)이 제2구동자석(40)과 제1구동자석(37) 간 자력에 의해 우측으로 밀려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콤 형태의 수송제어부(60)가 설치된다.
1;투입케이스 2;투입구
3;투입공간 4;배출구
5;설치홈 6;제1가이드판
7;요철부 8;제2가이드판
9;제3가이드판 10;제1회전축
11;제1커팅날 12;제2회전축
13;제2커팅날 14;제3회전축
15;제3커팅날 16;공기분사부
17;공기배출부 18;작동케이스
19;구동모터 20;회전기어
21;배출개폐판 22;래크기어
23;무게감지센서 24;배출제어부
25;제1블루투스 송수신부 26;제2블루투스 송수신부
27;가열케이스 28;수분증발공간
29;제1개폐통로 30;수증기배출구
31;제1가이드레일 32;가열풍 공급부
33;수송함 34;가이드홈
35;제1이동가이드 자석 36;제2이동가이드 자석
37;제1구동자석 40;제2구동자석
41;제3구동자석 42;통로개폐판
43;제1개폐유도자석 44;제2개폐유도자석
45;용융케이스 46;용융공간
47;제2개폐통로 48;용융액 배출구
49;제2가이드레일
51;제4구동자석 52;제3이동가이드 자석
53;용융액 저장탱크 54;유증기흡기부
55;유증기 이송배관 56;수증기흡입부
57;세척수 응축탱크 58;순환펌프
59;온도감지센서 60;수송제어부
70;폐전선 80;피복
90;구리선 100;용융 유도히터
101;세척수 순환관

Claims (1)

  1. 전체적으로 박스 형태이고 상단 좌측단부 부근에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상태의 폐전선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투입구와 연통된 투입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바닥면 우측단부 부근에는 폐전선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바닥면 중 상기 배출구 주변에는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투입케이스,
    판재 형태이고 상기 투입케이스의 투입공간 중 상기 투입구 하측에 위치하며 좌측단부가 상기 투입공간의 좌측 내벽면에 일체로 고정연결된 상태에서 우측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진 형태이며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폐전선이 경사면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하강하도록 유도하는 제1가이드판,
    판재 형태이고 상기 투입공간 중 상기 제1가이드판 하측에 위치하되 우측단부가 상기 투입공간의 우측 내벽면에 일체로 고정연결된 상태에서 좌측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진 형태이며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가이드판을 통과한 폐전선이 안착됨과 동시에 경사면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하강하도록 유도하는 제2가이드판,
    판재 형태이고 상기 투입공간 중 상기 제2가이드판 하측에 위치하되 좌측단부가 상기 투입공간의 좌측 내벽면에 일체로 고정연결된 상태에서 우측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짐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판과 상하 수평 형태로 기울어져 있으며 우측단부가 상기 배출구 상에 위치하고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가이드판을 통과한 폐전선이 경사면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하강하도록 유도하는 제3가이드판,
    상기 제1가이드판의 상측 중단지점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투입케이스 내부를 전후 가로지르는 상태에서 양단부가 투입케이스 전후측 벽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회전축,
    갈고리 형태이고 상기 각 제1회전축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둘레면을 따라 원형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제1가이드판의 상부면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하강 이동하는 폐전선을 1차적으로 파쇄하는 복수개의 제1커팅날,
    상기 제2가이드판의 상측 중 상기 제1가이드판의 우측단부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투입케이스의 내부를 전후 가로지르는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기 투입케이스 전후측 벽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2회전축,
    갈고리 형태이고 상기 각 제2회전축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둘레면을 따라 원형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제2가이드판의 상부면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하강 이동하는 폐전선을 2차적으로 파쇄하는 복수개의 제2커팅날,
    상기 제3가이드판의 상측 중 상기 제2가이드판의 좌측단부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투입케이스의 내부를 전후 가로지르는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기 투입케이스 전후측 벽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3회전축,
    갈고리 형태이고 상기 각 제3회전축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둘레면을 따라 원형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3회전축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제3가이드판의 상부면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하강 이동하는 폐전선을 3차적으로 파쇄하는 복수개의 제3커팅날,
    상기 투입케이스의 투입공간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투입공간 안으로 토출하되 상기 제1가이드판 상부와 제2가이드판 상부 및 제3가이드판 상부를 향해 외부공기를 분사함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판과 제2가이드판 및 제3가이드판을 지나는 폐전선표면의 수분을 1차적으로 건조시킴과 동시에 폐전선 표면에 존재하는 분진 등의 이물질을 투입공간 내 공기중으로 부상되도록 유도하는 공기분사부,
    상기 투입케이스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투입공간 내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투입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투입공간 중 상기 공기분사부에 의해 증발된 수분과 분진 등의 이물질이 투입공간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공기배출부,
    상기 투입공간 바닥면 중 상기 제3가이드판 하측에 위치하는 작동케이스,
    상기 작동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기어,
    상기 투입케이스의 배출구 상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구를 덮고 있는 형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좌우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좌우 직선이동 과정에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개폐판,
    좌우 길이방향을 갖는 막대 형태이고 하부면에는 기어치가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단면이 상기 배출개폐판의 하부면에 부착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좌측 단부 부근에 위치한 기어치가 상기 회전기어에 치합됨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 시 기어치합 구조에 의해 좌우이동되고 좌우 이동과정에서 상기 배출개폐판을 함께 좌우 이동시키는 래크기어,
    상기 투입케이스의 배출구 주변에 형성된 삽입홈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단부가 상기 배출개폐판의 하부면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배출개폐판의 무게를 지탱하는 형태로 위치하고, 상기 배출개폐판 상에 폐전선이 안착된 상태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
    상기 투입케이스 외부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무게감지센서와 제1블루투스 송수신부를 통해 무선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와는 제2블루투스 송수신부를 통해 무선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배출개폐판 및 페전선의 무게 신호를 상기 제1블루투스 송수신부를 통해 전달받아 해당 무게가 적정수준인지 여부를 판단한 뒤 해당 무게가 적정수준일 경우 상기 제2블루투스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에 작동신호를 보내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배출개폐판이 상기 회전기어와 래크기어의 연동에 의해 좌측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투입케이스의 배출구를 일정 시간동안 개방하고, 상기 무게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무게신호가 적정수준 미만일 경우 구동모터의 작동을 차단하여 배출개폐판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배출케이스 내 폐전선이 배출구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자동 제어하는 배출제어부,
    박스 형태이고 상기 투입케이스 하측에 위치하고 내부에는 상기 투입케이스의 배출구와 연통된 수분증발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우측벽면에는 제1개폐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바닥 우측지점에는 수증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열케이스,
    상기 가열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전체적으로 좌우 길이방향을 갖는 직선 레일 형태이고 상기 가열케이스 바닥면 상에서 위쪽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레일,
    내부에 발열히터가 내장되어 있고 별도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에 배열 되어 있으며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로 공급하되 공급과정에서 상기 발열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폐전선 표면의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하는 가열풍 공급부,
    상기 가열케이스 수분증발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이며 상부가 상기 투입케이스의 배출구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과한 폐전선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하부면에는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레일홈 형태의 가이드홈이 위쪽을 향해 함몰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이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 바닥 상에 위치하된 상기 제1가이드레일이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진 형태로 위치됨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형성경로를 따라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한 수송함,
    상기 수송함의 가이드홈 내부면에 부착 매립 형성되어 있는 영구자석 형태의 제1이동가이드 자석,
    상기 제1가이드레일 표면에 매립 형성되되 상기 제1이동가이드 자석과 동일한 극성일 띰에 따라 상기 제1이동가이드 자석과 상호 척력이 작용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송함이 상기 제1가이드레일 상에 자력에 의한 부상 상태로 위치되도록 유도하는 영구자석 형태의 제2이동가이드 자석
    상기 수송함의 좌측단부면에 매립 설치되어 있는 영구자석 형태의 제1구동자석,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 좌측면에 부착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송함의 제1구동자석과 좌우 마주한 상태로 위치하고 별도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공급 시 자력을 발휘하되 상기 제1구동자석과 동일한 극성의 자력이 발생 되도록 하여 상기 제1구동자석과 상호 척력이 작용 되도록 함에 따라 자력에 의해 상기 수송함이 우측을 향해 밀려나도록 유도하는 제2구동자석,
    상기 수송함의 우측단부면에 매립 설치되어 있는 영구자석 형태의 제3구동자석,
    판재 형태이고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 중 상기 제1개폐통로를 막는 형태로 위치하며 상단부가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 상부면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 회동하면서 상기 제1개폐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통로개폐판,
    상기 통로개폐판의 좌측단부면에 매립 설치되어 상기 수송함의 제3구동자석과 마주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되 상기 제3자석과 동일한 극성을 가짐에 따라 상기 제3자석과 상호 척력이 작용되는 영구자석 형태이며 상기 수송함이 우측을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척력에 의해 우측으로 밀려남에 따라 상기 통로개폐판이 우측을 향해 회동하여 상기 제1개폐통로를 개방하도록 유도하는 개폐유도 자석,
    내부에 용융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이고 상기 가열케이스 우측에 위치하며 좌측단부면에는 상기 가열케이스의 제1개폐통로와 동일한 면적의 제2개폐통로가 상기 제1개폐통로와 마주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바닥 우측단부 부근에는 용융액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융케이스,
    상기 좌우 길이방향을 갖는 레일 형태이고 상기 용융케이스 내부 바닥면에 좌우 길이방향을 갖도록 위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케이스의 제1가이드레일과 좌우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위치되어 상기 수송함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수송함의 좌우 직선이동을 유도하는 제2가이드레일,
    영구자석 형태이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 표면에 매립 형성되되 상기 수송함의 제1이동가이드 자석과 동일한 극성일 띰에 따라 상기 제1이동가이드 자석과 상호 척력이 작용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송함이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 상에 자력에 의한 부상 상태로 위치되도록 유도하는 제3이동가이드 자석,
    상기 용융케이스의 전후 벽면 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설되고 별도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전기공급에 의해 발열 됨에 따라 상기 용융케이스 내부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수용함이 상기 용융케이스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함 내에 위치한 폐전선의 피복이 액상으로 용융되어 상기 수용함의 배유구를 통해 하부로 배출된 뒤 상기 용융케이스의 용융액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용융유도 히터,
    사방이 막혀 있는 박스 형태이고 상기 용융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상부가 상기 용융케이스의 용융액 배출구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용융액 배출구를 통과한 피복의 용융액이 저장되어 수거되도록 하는 용융액 저장탱크,
    흡기팬 형태이고 상기 용융케이스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용융액 내부 공기를 외부로 빼냄에 따라 상기 피복이 용융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고온의 유증기를 외부로 강제로 빼내기 위한 유증기흡기부,
    배관 형태이고 일단부가 상기 유증기흡기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가열케이스 일측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유증기흡기부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온 고온의 유증기를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로 공급함에 따라 상기 가열풍 공급부에 의해 가열풍이 상기 가열케이스로 공급되어 상기 폐전선 피복 표면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고온의 유증기에 의해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 공기의 가열효율이 향상되도록 유도하는 유증기 이송배관,
    흡기팬 형태이고 상기 가열케이스의 증기배출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흡기함에 따라 가열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폐전선 표면으로부터 증발되어 발생된 공기 중 수증기를 상기 증기배출구를 통해 후술하는 세척수 응축탱크로 유입시키기 위한 수증기흡입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 형태이고 상부 일측에는 상기 가열케이스의 수증기배출구와 연통된 수증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증기배출구를 통과한 수증기가 수용된 뒤 액체 상태로 응축되도록 하는 세척수 응축탱크,
    배관 형태이고 상기 세척수 응축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 응축탱크 내 응축된 물을 외부로 빼낸 뒤 상기 투입케이스로 투입되기 전 폐전선을 세척수로 세척하는 과정에서 해당 물을 세척수로 재활용하도록 물을 순환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순환관 및 상기 세척수 순환관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 응축탱크 내 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빼내기 위한 순환펌프,
    상기 가열케이스의 내부 공기 온도를 감지하여 적정 가열온도가 적정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연부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열케이스의 제2구동자석과 연결된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한 온도가 적정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폐전선 표면의 수분 증발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구동자석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에 따라 수송함이 제2구동자석과 제1구동자석 간 자력에 의해 우측으로 밀려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수송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의 피복과 구리선 분리 가공 처리장치.
KR1020170019776A 2017-02-14 2017-02-14 전선 수거 및 구리 분리처리장치 KR20180093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776A KR20180093536A (ko) 2017-02-14 2017-02-14 전선 수거 및 구리 분리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776A KR20180093536A (ko) 2017-02-14 2017-02-14 전선 수거 및 구리 분리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536A true KR20180093536A (ko) 2018-08-22

Family

ID=6345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776A KR20180093536A (ko) 2017-02-14 2017-02-14 전선 수거 및 구리 분리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353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3939A (zh) * 2018-12-27 2019-04-16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一种lcd检测设备
US20210260677A1 (en) * 2018-09-19 2021-08-26 Ki Chul Seong Waste wire recovery apparatus
KR102328333B1 (ko) * 2021-04-23 2021-11-18 주식회사 에스알씨 폐기물에서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리사이클링 시스템
KR102328331B1 (ko) * 2021-03-10 2021-11-18 천명메탈 폐전선 처리 장치
CN114005619A (zh) * 2021-10-21 2022-02-01 深圳市微点流体技术有限公司 一种新能源设备回收用电缆线皮绞碎设备
CN115091653A (zh) * 2022-06-14 2022-09-23 扬州苏昌机电有限公司 一种膜包线生产用废料收集装置
CN117038310A (zh) * 2023-08-17 2023-11-10 东莞市江合磁业科技有限公司 一种烧结钕铁硼磁体生产用的磁粉取向成型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60677A1 (en) * 2018-09-19 2021-08-26 Ki Chul Seong Waste wire recovery apparatus
CN109633939A (zh) * 2018-12-27 2019-04-16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一种lcd检测设备
CN109633939B (zh) * 2018-12-27 2024-04-16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一种lcd检测设备
KR102328331B1 (ko) * 2021-03-10 2021-11-18 천명메탈 폐전선 처리 장치
KR102328333B1 (ko) * 2021-04-23 2021-11-18 주식회사 에스알씨 폐기물에서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리사이클링 시스템
CN114005619A (zh) * 2021-10-21 2022-02-01 深圳市微点流体技术有限公司 一种新能源设备回收用电缆线皮绞碎设备
CN115091653A (zh) * 2022-06-14 2022-09-23 扬州苏昌机电有限公司 一种膜包线生产用废料收集装置
CN115091653B (zh) * 2022-06-14 2024-04-30 扬州苏昌机电有限公司 一种膜包线生产用废料收集装置
CN117038310A (zh) * 2023-08-17 2023-11-10 东莞市江合磁业科技有限公司 一种烧结钕铁硼磁体生产用的磁粉取向成型装置
CN117038310B (zh) * 2023-08-17 2024-01-09 东莞市江合磁业科技有限公司 一种烧结钕铁硼磁体生产用的磁粉取向成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3536A (ko) 전선 수거 및 구리 분리처리장치
KR101831260B1 (ko) 진공 건조를 통한 배터리 원료 및 nmp 회수장치
KR100706919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CN202224419U (zh) 一种容器清洗装置
CN112790682A (zh) 清洁机器人系统的控制方法
CN102284461A (zh) 一种容器清洗装置
KR101322303B1 (ko) 음식물류폐기물의 종량제 수거 및 자원화 장치
KR101521847B1 (ko) 분쇄부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2287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4076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8844848B2 (en) Waste disposal apparatus, fluid and method
KR1013662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U2013227605B2 (en) Sludge disposal facility
JP3176295U (ja) 生ゴミ処理装置
CN110721560A (zh) 废气收集处理装置及工件清洗系统
KR100931621B1 (ko) 자동회전 방식의 수거함 승강기가 구비된 폐형광등 처리장치
KR10069152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543444B1 (ko) 잔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93389A (ko) 악취제거형 자원화 시스템
KR200183875Y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1286856B1 (ko) 음식물처리기의 이송부재 및 이를 이용한 멸균 건조장치
KR100616114B1 (ko) 폐 스티로폼 건조장치
KR2014003964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633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623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