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311A - 시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 - Google Patents

시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311A
KR20180093311A KR1020170019210A KR20170019210A KR20180093311A KR 20180093311 A KR20180093311 A KR 20180093311A KR 1020170019210 A KR1020170019210 A KR 1020170019210A KR 20170019210 A KR20170019210 A KR 20170019210A KR 20180093311 A KR20180093311 A KR 20180093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ing
load
test
module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323B1 (ko
Inventor
권영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9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3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derricks, i.e. employing ships' m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10Slips; Spiders ; Catch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는 시추파이프가 상하로 관통하는 시추홀이 형성되는 드릴플로어, 상기 드릴플로어의 상기 시추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추파이프를 상기 시추홀로 삽입하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데릭모듈, 상기 데릭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시추홀을 통해 상기 시추파이프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탑드라이브모듈 및 상기 드릴플로어의 상기 시추홀에 구비되어, 상기 시추파이프의 상하 이동에 대한 로드를 선택적으로 방향을 전환하며 지지하는 슬립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BORING APPARATUS AND HOIST LOAD TES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 보강을 생략하여 보다 간편하게 호이스트 로드를 테스트할 수 있는 시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반 내부의 자원을 채취하거나, 또는 다양한 연구목적에 의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시추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일반적인 시추과정은 지반의 내부로 시추파이프를 삽입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복수개의 시추파이프를 연결하며 길게 연장하여 지반의 내부로 삽입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시추파이프의 하중 등에 의한 로드가 하방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는 시추장치에 부하를 가하는 요인이 되어,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슬립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특히 해상에 부유하며 시추를 하는 드릴쉽의 경우, 지반 내부로 삽입되는 시추파이프 외에도 해양의 수심에 대한 시추파이프가 추가되어, 보다 많은 로드가 걸리는 실정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추장치는 드릴플로어(10), 데릭(20) 및 탑드라이브(30) 등의 구조가 위와 같은 로드를 용이하게 지지하는지 여부를 필수적으로 테스트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시추장치에서 위와 같은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은 드릴플로어(10)의 하단의 구조물에 복수개의 케이블과 연결되는 별도의 고정부재(40)를 드릴플로어(10)의 시추홀(11)을 통하여 탑드라이브(30)와 연결하고, 탑드라이브(30)를 이동시켜 부하를 걸어 시추장치의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과정은 매우 무거운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과 고정부재(40)를 복수개의 케이블로 연결 및 분리하는 과정 등 별도의 구조물 보강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테스트 과정에서 시추홀(11)에 구비되는 슬립 등의 구조를 제거하는 공정도 수행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연결되는 복수개의 케이블이 시추장치의 다양한 구성과 간섭이 발생하여, 시추장치가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시추장치의 로드 테스트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물 보강을 생략하여 보다 간편하게 호이스트 로드를 테스트할 수 있는 시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는 시추파이프가 상하로 관통하는 시추홀이 형성되는 드릴플로어, 상기 드릴플로어의 상기 시추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추파이프를 상기 시추홀로 삽입하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데릭모듈, 상기 데릭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시추홀을 통해 상기 시추파이프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탑드라이브모듈 및 상기 드릴플로어의 상기 시추홀에 구비되어, 상기 시추파이프의 상하 이동에 대한 로드를 선택적으로 방향을 전환하며 지지하는 슬립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립모듈은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 향하는 로드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드릴플로어와 탈착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드릴플로어가 상기 시추홀에 삽입되는 방향을 상기 일측면 및 타측면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립모듈은 시추를 하는 과정에서 하방을 향하는 로드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립모듈은 호이스트 테스트 과정에서 상방을 향하는 로드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는 상기 호이스트 테스트 과정에서 상기 슬립모듈의 상기 시추파이프가 관통하는 부위에 고정되는 테스트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은 전술한 시추장치를 이용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으로서, 상기 슬립모듈을 상기 드릴플로어에 상방을 향하는 로드를 지지하도록 배치하여 결합하는 슬립배치단계, 상기 슬립모듈의 내부에 상기 테스트로드를 결합하는 테스트로드결합단계, 상기 테스트로드 및 상기 탑드라이브모듈을 연결하는 탑드라이브연결단계 및 상기 탑드라이브모듈을 통하여 상기 테스트로드를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드를 가하는 로드테스트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드라이브연결단계는 상기 테스트로드 및 상기 탑드라이브모듈의 사이에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유닛을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과정에서 구조물 보강 과정을 생략하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슬립구조를 이용하므로 추가적인 테스트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테스트 과정에서 시추장치의 다양한 구조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시추장치의 파손 및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시추장치 및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슬립모듈의 로드 지지방향이 바뀌도록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의 슬립배치단계 및 테스트로드결합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의 탑드라이브연결단계 및 로드테스트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시추장치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슬립모듈의 로드 지지방향이 바뀌도록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의 일 실시예는 지반의 내부로 시추파이프를 삽입하며 지반을 시추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플로어(100), 데릭모듈(200), 탑드라이브모듈(300) 및 슬립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릴플로어(100)는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가 시추를 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시추파이프(P)가 상하로 관통하도록 시추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추홀(1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슬립모듈(40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슬립모듈(400)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한 커버(120)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커버(120)는 드릴플로어(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후술하는 슬립모듈(40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슬립모듈(400)이 지지하는 로드를 함께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드릴플로어(100)는 해상에 부유하는 드릴쉽 등 다양한 시추장치의 구성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드릴플로어(100)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데릭모듈(200)은 전술한 드릴플로어(100)의 시추홀(110) 상부에 구비되어, 시추파이프(P)를 시추홀(110)에 삽입하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데릭모듈(200)은 후술하는 탑드라이브모듈(300)이 상하로 이동하며 시추파이프(P)를 지반에 삽입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데릭모듈(200)은 후술하는 탑드라이브모듈(300)의 승하강을 위하여 상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여 탑드라이브모듈(300)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상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데릭모듈(200)은 내부에서 시추파이프(P)를 연장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데릭모듈(200)의 구성 역시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다양한 시추장치에서 이용되는 데릭의 형태 및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탑드라이브모듈(300)은 전술한 데릭모듈(200)에 구비되어, 시추홀(110)을 통하여 시추파이프(P)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탑드라이브모듈(300)은 탑드라이브(310) 및 윈치(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탑드라이브(310)는 시추파이프(P)를 지반으로 삽입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해머, 시추파이프(P)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추파이프(P)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직접적으로 시추파이프(P)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윈치(320)는 전술한 탑드라이브(31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탑드라이브(310)의 상단부에 연결된 케이블을 감거나 풀며 탑드라이브(3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윈치(320)에 연결되는 케이블은 전술한 데릭모듈(200)의 롤러(210)를 통하여 탑드라이브(3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탑드라이브모듈(300)의 구성 또한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지반의 내부로 삽입되는 시추파이프(P)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일반적인 시추장치의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슬립모듈(400)은 전술한 드릴플로어(100)의 시추홀(110)에 구비되어, 시추홀(110)을 관통하며 지반으로 삽입되는 시추파이프(P)의 상하 이동에 대한 로드를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슬립모듈(400)은 시추파이프(P)의 상하 이동에 대한 로드를 지지하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슬립모듈(400)은 슬립모듈(400)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 향하는 로드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전술한 드릴플로어(100)의 커버(120)에 의하여 드릴플로어(100)와 탈착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립모듈(400)은 일방향으로의 로드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드릴플로어(100)와 탈착되는 과정에서 슬립모듈(400)이 드릴플로어(100)에 삽입되는 방향을 일측면 및 타측면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로드 지지 방향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슬립모듈(400)은 로터리테이블(410) 및 슬립(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로터리테이블(410)은 드릴플로어(100)의 시추홀(110)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내부에 시추파이프(P)의 하중에 대한 로드를 지지할 수 있는 슬립(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슬립(420)은 시추파이프(P)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를 이용한 시추과정에서 시추파이프(P)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해지는 로드를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로터리테이블(410) 및 슬립(420)의 구성 역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다양한 시추장치에 있어서, 시추파이프(P)에 의한 로드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슬립의 구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리테이블(410)이 드릴플로어(100)와 탈착되는 동시에, 드릴플로어(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면을 선택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되므로, 로터리테이블(410) 내부에 구비되는 슬립(420)이 로드를 지지하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슬립모듈(400)의 배치방향은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가 시추를 하는 과정에서는 슬립모듈(400)이 하방을 향하는 로드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시추를 하는 과정에서 시추파이프(P)의 하중에 의한 로드가 하방으로 가해지므로, 슬립모듈(400)을 통하여 로드를 지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에 대하여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슬립모듈(400)이 상방을 향하는 로드를 지지하도록 뒤집어서 배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슬립모듈(400)의 슬립모듈(400)에 상방을 향하는 로드를 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에 대하여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슬립(420)이 상부로 향하는 로드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슬립(420)의 내부에 시추파이프(P) 대신 테스트로드(500)가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테스트로드(500)는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과정에서 슬립모듈(400)에서 시추파이프(P)가 관통하는 부위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슬립(420)의 내부에 고정되어, 슬립모듈(400)에 상부를 향하는 로드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로드(500)의 상단부에는 상방을 향하는 로드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테스트로드(500)를 이용하여 로드 테스트를 진행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 역시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를 통하여,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과정에서 구조물 보강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기존의 슬립구조를 이용하므로 추가적인 테스트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테스트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테스트 과정에서 시추장치의 다양한 구조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시추장치의 파손 및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
이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의 슬립배치단계 및 테스트로드결합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의 탑드라이브연결단계 및 로드테스트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를 이용하여 호이스트 로드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립배치단계(S100), 테스트로드결합단계(S200), 탑드라이브연결단계(S300) 및 로드테스트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립배치단계(S100)는 전술한 슬립모듈(400)을 드릴플로어(100)의 내부에 상방을 향하는 로드를 지지하도록 배치하여 결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드릴플로어(100)의 커버(120)를 개방하여 슬립모듈(400)의 로터리테이블(410)을 이탈시키고, 슬립모듈(400)을 뒤집어 슬립(420)이 상방을 향하는 로드를 지지하도록 배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테스트로드결합단계(S200)는 슬립모듈(400)의 내부에 테스트로드(500)를 결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슬립배치단계(S100)에서 뒤집어진 상태로 배치된 슬립모듈(400)의 슬립(420)에서, 시추파이프가 관통하며 배치되는 공간에 테스트로드(500)를 결합하여 슬립(420)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탑드라이브연결단계(S300)는 전술한 테스트로드(500) 및 탑드라이브모듈(300)을 연결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로드(500) 및 탑드라이브모듈(300)을 케이블로 연결하여, 탑드라이브모듈(300)의 탑드라이브(310)가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로드를 테스트로드(5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탑드라이브연결단계(S300)는 측정유닛연결과정(S310)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측정유닛연결과정(S310)은 전술한 케이블에 걸리는 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유닛(600)을 테스트로드(500) 및 탑드라이브모듈(300)의 사이 케이블 상에 연결하는 과정일 수 있다.
측정유닛(600)은 발생하는 로드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유닛(600)의 구성을 통하여 후술하는 로드테스트단계(S400)에서 발생하는 로드의 무게를 용이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확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로드테스트단계(S400)는 탑드라이브모듈(300)을 통하여 테스트로드(500)를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드를 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윈치(320)에 의해 탑드라이브(310)가 상부로 이동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탑드라이브(310)와 케이블로 연결된 테스트로드(500)로 상방을 향하는 로드가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테스트로드(500)로 전달된 로드는 테스트로드(500)와 결합된 상태의 슬립(420)에 전달되어, 슬립모듈(400)이 상방으로 향하는 로드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추장치에 있어서 호이스트 과정에서 걸릴 수 있는 로드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기존과 같이 시추장치에 구비되는 슬립의 구성을 제거하거나,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케이블을 연결하는 과정 없이, 시추장치에서 이용하고 있는 슬립모듈(400)의 구성의 방향을 변환하여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를 수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과정에서 구조물 보강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기존의 슬립구조를 이용하므로 추가적인 테스트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테스트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테스트 과정에서 시추장치의 다양한 구조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시추장치의 파손 및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드릴플로어
110 : 시추홀
120 : 커버
200 : 데릭모듈
210 : 롤러
300 : 탑드라이브모듈
310 : 탑드라이브
320 : 윈치
400 : 슬립모듈
410 : 로터리테이블
420 : 슬립
500 : 테스트로드
600 : 측정유닛

Claims (7)

  1. 시추파이프가 상하로 관통하는 시추홀이 형성되는 드릴플로어;
    상기 드릴플로어의 상기 시추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추파이프를 상기 시추홀로 삽입하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데릭모듈;
    상기 데릭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시추홀을 통해 상기 시추파이프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탑드라이브모듈; 및
    상기 드릴플로어의 상기 시추홀에 구비되어, 상기 시추파이프의 상하 이동에 대한 로드를 선택적으로 방향을 전환하며 지지하는 슬립모듈;
    을 포함하는 시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모듈은,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 향하는 로드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드릴플로어와 탈착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드릴플로어가 상기 시추홀에 삽입되는 방향을 상기 일측면 및 타측면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결합되는 시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모듈은,
    시추를 하는 과정에서 하방을 향하는 로드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시추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모듈은,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과정에서 상방을 향하는 로드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시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과정에서 상기 슬립모듈의 상기 시추파이프가 관통하는 부위에 고정되는 테스트로드를 더 포함하는 시추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추장치를 이용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으로서,
    상기 슬립모듈을 상기 드릴플로어에 상방을 향하는 로드를 지지하도록 배치하여 결합하는 슬립배치단계;
    상기 슬립모듈의 내부에 상기 테스트로드를 결합하는 테스트로드결합단계;
    상기 테스트로드 및 상기 탑드라이브모듈을 연결하는 탑드라이브연결단계; 및
    상기 탑드라이브모듈을 통하여 상기 테스트로드를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드를 가하는 로드테스트단계;
    를 포함하는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탑드라이브연결단계는,
    상기 테스트로드 및 상기 탑드라이브모듈의 사이에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유닛을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
KR1020170019210A 2017-02-13 2017-02-13 시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 KR101924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210A KR101924323B1 (ko) 2017-02-13 2017-02-13 시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210A KR101924323B1 (ko) 2017-02-13 2017-02-13 시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311A true KR20180093311A (ko) 2018-08-22
KR101924323B1 KR101924323B1 (ko) 2018-12-03

Family

ID=6345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210A KR101924323B1 (ko) 2017-02-13 2017-02-13 시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5938A (zh) * 2019-09-05 2019-11-22 赵佑 一种便携式立井井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957A (ko) 2020-06-11 2021-12-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용지그를 이용한 드릴십의 로드테스트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16563D0 (en) * 2001-07-06 2001-08-29 Coupler Developments Ltd Improved drilling method & apparatus
US20050155797A1 (en) 2004-01-19 2005-07-21 Campisi Frank J. Flexible handle for slips used in well operations
US9915110B2 (en) * 2014-01-22 2018-03-13 A Better Fabrication, Llc Power tongs test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5938A (zh) * 2019-09-05 2019-11-22 赵佑 一种便携式立井井架
CN110485938B (zh) * 2019-09-05 2020-08-28 赵佑 一种便携式立井井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323B1 (ko) 201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7533A (en) Installation and levelling of subsea templates
KR101484303B1 (ko) 수중 드릴링 장치 및 해저면 속으로 관형 기초 요소를 삽입하는 방법
KR101924323B1 (ko) 시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
UA51754C2 (uk) Пристрій для глибоководного спуску
KR101487650B1 (ko) 작업 바지선과 보링 굴착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해상 보링 시스템
KR101593967B1 (ko) 탑드라이브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시추 해양 구조물
JPH0332649B2 (ko)
US102404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ine intervention in a subsea well from a floating vessel
KR20150004571A (ko) Bop 테스트 장치 및 방법
EP2744968B1 (en) A mousehole apparatus
KR101524666B1 (ko) 해상구조물의 라이저 홀딩 장치
KR101434957B1 (ko) 탑드라이브 시스템의 모터 배치구조
KR101434956B1 (ko) 해양구조물의 탑드라이브 시스템
KR20140062985A (ko) 드릴링 유니트용 튜블라 스토리지 지지대
KR101447308B1 (ko) Bop 트랄리 하중 테스트 장치
KR20110022176A (ko) 갠트리형 데릭을 갖는 시추선
KR20140144462A (ko) 드립쉽 파이프 핸들링장비의 가변형 오버로드 테스트장치
KR101775044B1 (ko) 시추 호이스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CA1212100A (en) Method of installing, levelling and securing a subsea template
KR101835286B1 (ko) 크레인 겸용 브릿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KR101652105B1 (ko) 시추선에 설치되는 체인 스토퍼의 bsc 유니트 수중 설치방법
SU147783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спытани гидроакус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 плавучей буровой установки
KR20130098698A (ko) 해양 구조물의 설치장비 및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KR101613213B1 (ko)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
KR20130138503A (ko) 관부재 승강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