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213B1 -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213B1
KR101613213B1 KR1020140076494A KR20140076494A KR101613213B1 KR 101613213 B1 KR101613213 B1 KR 101613213B1 KR 1020140076494 A KR1020140076494 A KR 1020140076494A KR 20140076494 A KR20140076494 A KR 20140076494A KR 101613213 B1 KR101613213 B1 KR 101613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er
spreader
swivel
integrated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6225A (ko
Inventor
김양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6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213B1/ko
Publication of KR2015014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02Rod or cable susp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추 작업 시 라이저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하는 라이저 요크, 스위블, 스프레더를 일체로 구비하는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라이저 요크, 스위블, 스프레더를 일체로 구성하고, 라이저 스텐션과 캣워크 데크를 지지하는 센터구조물 사이의 비 가용 공간에 보관하여 시추 운전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추 운전 시, 적재된 라이저 등에 의해서 시야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없고, 주변에 적재되어 있는 라이저와, 라이저 요크가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라이저 요크, 스위블, 스프레더를 일체로 구성하므로 종래와는 달리, 스위블과 스프레더 연결을 위한 작업자와 연결 툴(Tools), 스프레더와 라이저 요크 연결을 위한 작업자와 연결 툴을 필요로 하지않아서 안전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라이저 요크, 스위블, 스프레더를 일체로 구성하고, 라이저 스텐션과 센터구조물 사이의 비 가용 공간에 보관하여 두었다가 시추 운전 시에 사용하므로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각 장비점검과 정비가 한 장소에서 이루어지므로 낭비되는 시간이 발생하는 않는다.

Description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INTEGRAL TYPE RISER HANDLING APPARATUS AND RISER TRANSFER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추 운전시 라이저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하는 라이저 요크, 스위블, 스프레더를 일체로 구비한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라이저 요크, 스위블, 스프레더를 일체로 구성하여, 라이저 스텐션과 캣워크 데크 지지 구조물인 센터구조물 사이의 비 가용 공간에 보관하여 두었다가, 시추 운전시 크레인으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제적인 급격한 산업화 현상과 공업이 발전함에 따라 석유와 같은 지구 자원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일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지금까지 경제성이 없어 무시되어 왔던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러한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시추선이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해저 시추에는 다른 예인선에 의해서만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일 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폼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첨단 시추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소위, 시추선(Drillship)이 개발되어 해저 시추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해저의 지하에 존재하는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할 수 있도록 각종 시추장비를 갖춘 리그선 또는 시추선의 중심부에는 해저의 지하에 존재하는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하기 위한 라이저(Riser) 또는 드릴 파이프(Drill Pipe)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문풀(Moonpool)이 형성되어 있다.
라이저는 시추 작업시 분출되는 진흙, 모래, 자갈 또는 머드를 회수하고 시추 파이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시추 작업 시에는 그 적재 장소로부터 드릴 플로어를 거쳐 문풀로 운반되고, 시추 작업이 종료되면 그 반대의 경로를 통해 다시 적재 장소로 운반된다.
라이저는 라이저 핸들링 장치에 의해서 이송되는 데, 라이저 핸들링 장치로는 스위블(Swivel), 스프레더(Spreader), 라이저 요크(Riser Yoke) 등이 있다. 스위블의 상부에는 크레인이 연결되고, 스위블의 하부에 스프레더가 설치되며, 스프레더의 하부에는 라이저 요크가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에는 스위블, 스프레더, 및 라이저 요크가 각각 별도로 보관되어 있다가 시추 운전시에 각각 구성부품이 조립되는 분리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로서, 라이저가 적재되는 라이저 랙 플랫폼(Riser Rack Platform)에 적재되므로, 시추 운전 시 적재된 라이저 등에 의해서 시야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주변에 적재되어 있는 라이저와, 라이저 요크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크레인 오퍼레이터(Crane Operator), 크레인과 스위블 연결을 위한 작업자, 크레인의 안전한 오퍼레이션을 위한 안전 관리자, 스위블과 스프레더 연결을 위한 작업자와 연결 툴(Tools), 스프레더와 라이저 요크 연결을 위한 작업자와 연결 툴(Tools), 각 장치들(Rise Yoke, Swivel, Spreader)의 저장을 위한 공간, 연결을 위한 툴 보관 장소를 별도로 필요로 한다. 단순하지만 반복적이고 위험한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며, 각 장비가 따로 보관되기에 공간 활용이 좋지 못하다.
종래 분리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의 경우에는, 공간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각 장비점검과 정비가 한 장소에서 이뤄지지 못하여 낭비되는 시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특허공개 제2000-0004694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라이저 요크, 스위블, 스프레더를 일체로 구성하고, 라이저 스텐션과 캣워크 데크의 지지 구조물인 센터 구조물 사이의 비 가용 공간에 보관하여 두었다가 시추 운전시에 사용할 수 있는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는 라이저 스텐션에 적재된 라이저를 캣워크 데크(Catwalk Deck) 상부의 라이저 피딩머시인으로 운반하기 위한 라이저 핸들링 장치로서, 크레인과 연결되는 스위블과, 상기 스위블의 하부에 연결되는 스프레더와, 상기 스프레더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라이저를 클램핑하는 라이저 요크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는 상기 캣워크 데크를 지지하는 센터 구조물과 상기 라이저 스텐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센터구조물의 측면에 서포트에 의해서 지지되고, 래싱 로프에 의해서 고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캣워크 데크의 상면에는 계단형의 패세지 웨이 구조물(Passage Way Structure)이 설치되고, 상기 패세지 웨이 구조물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플랫폼이 상기 캣워크 데크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캣워크 데크의 상면 사이드에는 핸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핸드 레일의 중간에는 상기 패세지 웨이 구조물과의 연결 또는 차단을 위해서 게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라이저 이송 시스템은 라이저 랙 플랫폼상에 설치되는 센터구조물과, 상기 센터구조물에 지지되며 라이저 피딩 머시인(컨베이어)이 설치되는 캣워크 데크와, 크레인과 연결되는 스위블과, 상기 스위블의 하부에 연결되는 스프레더와, 상기 스프레더 하부에 설치되어 라이저를 클램핑하는 라이저 요크가 일체로 구성되어 라이저 스텐션에 적재된 라이저를 상기 캣워크 데크의 상기 라이저 피딩 머시인으로 운반하기 위한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는 서포트와 래싱 로프에 의해서 상기 센터구조물에 고정된다.
상기 패세지 웨이 구조물은 상기 라이저 피딩 머시인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랫폼은 상기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의 유지보수 작업 시 상기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장치 쪽으로, 구체적으로는 스위블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라이저 요크, 스위블, 스프레더를 일체로 구성하고, 라이저 스텐션과 캣워크 데크 지지 구조물인 센터구조물 사이의 비 가용 공간에 보관하여 두었다가 시추 운전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추운전 시 적재된 라이저 등에 의해서 시야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없고, 주변에 적재되어 있는 라이저와, 라이저 요크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이저 요크, 스위블, 스프레더를 일체로 구성하므로 종래와는 달리, 스위블과 스프레더 연결을 위한 작업자와 연결 툴(Tools), 스프레더와 라이저 요크 연결을 위한 작업자와 연결 툴을 필요로 하지않아서 안전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이저 요크, 스위블, 스프레더를 일체로 구성하고, 라이저 스텐션과 센터구조물 사이의 비 가용 공간에 보관하여 두었다가 시추 운전시에 사용하므로 공간 효율이 높고, 각 장비 점검과 정비가 한 장소에서 이루어지므로 낭비되는 시간이 발생하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요부발췌 확대도
도 5는 도 2의 요부발췌 확대도
도 6은 도 3의 요부발췌 확대도
도 7은 계단형의 패세지 웨이 구조물 및 핸드 레일을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요부발췌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요부발췌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의 요부발췌 확대도이며, 도 7은 계단형의 패세지 웨이 구조물 및 핸드 레일을 보인 사시도이다.
위 참조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는 라이저 스텐션(3)에 적재된 라이저(R)를 캣워크 데크(Catwalk Deck)(10) 상부의 라이저 피딩 머시인(240)으로 운반하기 위한 라이저 핸들링 장치로서, 크레인(미도시)과 연결되는 스위블(110)과, 상기 스위블(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스프레더(120)와, 상기 스프레더(12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라이저(R)를 클램핑하는 라이저 요크(130)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스프레더(120)의 상부 중심과 양쪽 부분에 스위블(110)의 하단부가 연결되고(도 4의 A 부분), 스프레더(120)의 하측 양쪽에 라이저 요크(130)의 상단이 연결된다(도 4의 B 부분).
상기 스위블(110)의 상부에는 유압 라인(111,112)과 잭업 타입의 전기 라인(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고, 라이저 요크(130)를 유압에 의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캣워크 데크(10)는 라이저 랙 플랫폼(1) 상에 설치되는 센터구조물(11)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는, 상기 센터구조물(11)과 상기 라이저 스텐션(3) 사이의 비 가용 공간(S)에 배치되며, 상기 센터구조물(11)의 측면에서 서포트(140)에 의해서 지지되고, 래싱 로프(150)에 의해서 고박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센터구조물(11)과 상기 라이저 스텐션(3) 사이의 공간(S)은 라이저(R)가 적재되지 않는 비 가용 공간이므로, 이 공간(S) 안에 본 발명의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를 보관하여 두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를 센터구조물(11)에 설치하기 위하여,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의 상측에 1개의 서포트(140)를 설치하고,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의 하측에 2개의 서포트(140)를 설치함과 동시에 래싱 로프(150)를 이용하여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를 센터구조물(11)에 고박할 수 있다.
상기 캣워크 데크(10)의 상면 사이드에는 계단형의 패세지 웨이 구조물(210)이 설치되는데, 상기 패세지 웨이 구조물(210)은 상기 라이저 피딩 머시인(24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된다.
상기 패세지 웨이 구조물(210)을 높게 설치한 이유는,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를 유지보수할 수 있음은 물론 라이저 피딩 머시인(240) 상에 놓인 라이저(R) 점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억세스 웨이(Access Way)를 마련하기 위해서이다.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패세지 웨이 구조물(210)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플랫폼(220)이 상기 캣워크 데크(10)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슬라이딩 플랫폼(220)은 상기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의 상부 스위블 기기의 점검 및 유지관리 시, 상기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 쪽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위블(110)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상기 캣워크 데크(10)의 상면 사이드에는 핸드 레일(230)이 설치되고, 상기 핸드 레일(230)의 중간에는 상기 패세지 웨이 구조물(210)과의 연결 또는 차단을 위해서 게이트(231)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라이저 이송 시스템은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와,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에 의해 운반된 라이저(R)를 문풀 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라이저 피딩 머시인(컨베이어)(240)를 포함한다.
상기 라이저 피딩 머시인(240)은 상기 캣워크 데크(10)의 상면에 컨베어 벨트식의 이송장치로, 상기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에 의해 운반된 상기 라이저(R)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는 센터구조물(11)과 라이저 스텐션(3) 사이의 공간(S)에 배치되는 데, 이 공간(S)은 라이저(R)가 적재되지 않는 비 가용 공간이므로 이 공간(S) 안에 본 발명의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를 보관하여 둠으로써, 다른 작업에 장애를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는 센터구조물(11)에 설치하기 위하여,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의 상측에 1개의 서포트(140)를 설치하고,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의 하측에 2개의 서포트(140)를 설치함과 동시에 래싱 로프(150)를 이용하여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를 센터구조물(11)에 견고하게 고박할 수 있다.
상기 캣워크 데크(10)의 상면 사이드에는 계단형의 패세지 웨이 구조물(210)이 상기 라이저 피딩 머시인(24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됨으로써,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를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음은 물론 라이저 피딩 머시인(240) 상에 놓인 라이저(R)를 상태 점검 및 관리하는 데에 편의를 제공한다.
상기 슬라이딩 플랫폼(220)이 상기 캣워크 데크(10)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플랫폼(220)은 상기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의 상부를 용이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 쪽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위블(110)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시추 운전시에는 크레인(미도시)를 스위블(110)에 연결한 후, 서포트(140) 및 래싱 로프(150)의 고박을 해제하며, 슬라이딩 플랫폼(220)을 계단형의 패세지 웨이 구조물(210) 상부로 이동, 저장되면 크레인이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를 일정위치로 이송시킨다.
일정위치로 이송된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의 라이저 요크(130)에 의해서 라이저(R)를 클램핑하며, 크레인은 다시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100)를 이용, 라이저(R)를 이송시켜서 라이저 피딩 머시인(컨베이어)(240) 위에 올려놓으면, 라이저 피딩 머시인(240)은 라이저(R)를 문풀 쪽으로 공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라이저 요크, 스위블, 스프레더를 일체로 구성하고, 라이저 스텐션과 캣워크 데크 지지 구조물인 센터구조물 사이의 비 가용 공간에 보관하여 두었다가 시추 운전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추운전 시 적재된 라이저 등에 의해서 시야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없고, 주변에 적재되어 있는 라이저와, 라이저 요크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이저 요크, 스위블, 스프레더를 일체로 구성하므로 종래와는 달리, 스위블과 스프레더 연결을 위한 작업자와 연결 툴, 스프레더와 라이저 요크 연결을 위한 작업자와 연결 툴을 필요로 하지 않아 안전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이저 요크, 스위블, 스프레더를 일체로 구성하고, 라이저 스텐션과 센터구조물 사이의 비 가용 공간에 보관하여 두었다가 시추 운전시에 사용하므로 공간 효율이 높고, 각 장비 점검과 정비가 한 장소에서 이루어지므로 낭비되는 시간이 발생하는 않는다.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3: 라이저 스텐션
10: 캣워크 데크
11: 센터구조물
100: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110: 스위블
111: 유압 라인(공급)
112: 유압 라인(리턴)
120: 스프레더
130: 라이저 요크
140: 서포트
150: 래싱 로프
210: 계단형의 패세지 웨이 구조물
220: 슬라이딩 플랫폼
230: 핸드 레일
231: 게이트
240: 라이저 피딩 머시인(컨베이어)
R: 라이저
S: 공간

Claims (10)

  1. 라이저 랙 플랫폼상에 설치되는 센터구조물;
    상기 센터구조물에 지지되며 상부에 라이저 피딩 머시인이 설치되는 캣워크 데크; 및
    크레인과 연결되는 스위블과, 상기 스위블의 하부에 연결되는 스프레더와, 상기 스프레더 하부에 설치되어 라이저를 클램핑하는 라이저 요크가 일체로 구성되어, 라이저 스텐션에 적재된 상기 라이저를 상기 캣워크 데크의 상기 라이저 피딩 머시인으로 운반하기 위한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는 상기 센터구조물과 상기 라이저 스텐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캣워크 데크의 상면 사이드에는 계단형의 패세지 웨이 구조물(Passage Way Structure)이 설치되고, 상기 패세지 웨이 구조물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플랫폼이 상기 캣워크 데크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는 서포트와 래싱 로프에 의해서 상기 센터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캣워크 데크의 상면 사이드에는 핸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핸드 레일의 중간에는 상기 패세지 웨이 구조물과의 연결 또는 차단을 위해서 게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세지 웨이 구조물은 상기 라이저 피딩 머시인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랫폼은 상기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의 유지보수 작업 시 상기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
  5. 라이저 스텐션에 적재된 라이저를 캣워크 데크 상부의 라이저 피딩 머시인으로 운반하기 위한 라이저 핸들링 장치로서,
    크레인과 연결되는 스위블과, 상기 스위블의 하부에 연결되는 스프레더와, 상기 스프레더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라이저를 클램핑하는 라이저 요크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캣워크 데크를 지지하는 센터구조물과, 상기 라이저 스텐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터구조물의 측면에 서포트에 의해서 지지되고, 래싱 로프에 의해서 고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캣워크 데크의 상면 사이드에는 계단형의 패세지 웨이 구조물(Passage Way Structure)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패세지 웨이 구조물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플랫폼이 상기 캣워크 데크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캣워크 데크의 상면 사이드에는 핸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핸드 레일의 중간에는 상기 패세지 웨이 구조물과의 연결 또는 차단을 위해서 게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KR1020140076494A 2014-06-23 2014-06-23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 KR101613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494A KR101613213B1 (ko) 2014-06-23 2014-06-23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494A KR101613213B1 (ko) 2014-06-23 2014-06-23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225A KR20150146225A (ko) 2015-12-31
KR101613213B1 true KR101613213B1 (ko) 2016-04-18

Family

ID=5512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494A KR101613213B1 (ko) 2014-06-23 2014-06-23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21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694A (ko) 1998-06-30 2000-01-25 이해규 라이저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225A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0474B2 (en) Offshore drilling vessel
US9896167B2 (en) Subsea wellbore operations vessel
US10071790B2 (en) Subsea wellbore operations vessel
US10648241B2 (en) Marine riser section for subsea wellbore related operations
US10676999B2 (en) Subsea wellbore operations vessel and method
US8534213B2 (en) Skid shoe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KR101498246B1 (ko) 문풀 구역의 장비이동을 위한 머티어리얼 핸들링 구조 및 그 머티어리얼 핸들링 구조를 갖는 시추선
KR101527836B1 (ko) Bop 제어 라인 가이드 장치 및 방법
KR101613213B1 (ko)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그 일체형 라이저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
KR20150033011A (ko) 트롤리를 이용한 이송 레일 시스템
KR101835287B1 (ko) 이동식 브릿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KR101847016B1 (ko) 시추선의 스파이더 앤드 짐벌 이송 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101835286B1 (ko) 크레인 겸용 브릿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KR20160089663A (ko) 라이저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03275B1 (ko) 크리스마스 트리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KR101608060B1 (ko) 시추용 선박
US9759021B2 (en) Riser handling on a drilling rig and a flip and service machine for riser handling on a drilling rig
KR200490626Y1 (ko) 라이저 핸들링 시스템
KR101551798B1 (ko) 오버헤드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 선박
KR101684372B1 (ko) 시추시설 분출방지스택용 크레인 레일 지지 구조
KR200492200Y1 (ko) 라이저 캡쳐 장치
KR101493806B1 (ko) 라이저 적재 및 이송 시스템
KR20150033763A (ko) 드릴플로어리스 드릴 시스템
KR101681718B1 (ko) 라이저 이송 시스템
KR20120132171A (ko) 드릴쉽용 로딩 스테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