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767A - 직접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직접 통신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2767A KR20180092767A KR1020170018935A KR20170018935A KR20180092767A KR 20180092767 A KR20180092767 A KR 20180092767A KR 1020170018935 A KR1020170018935 A KR 1020170018935A KR 20170018935 A KR20170018935 A KR 20170018935A KR 20180092767 A KR20180092767 A KR 201800927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relay
- candidate
- coverage
- candidat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리지 확대 기능 및 QoS 성능 향상 기능 모두를 고려한, 상호 보완적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릴레이의 연결 목적에 최적화된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을 적용하여, D2D 통신 서비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접 통신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말 간의 D2D(Device to Device) 통신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리지 확대 기능 및 QoS 성능 향상 기능 모두를 고려한, 상호 보완적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을 실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위한 통신 방법 중 하나로 D2D 통신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D2D 통신 기술은, 기존 단말이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던 것과 달리 단말기끼리 '직접(direct)'통신을 수행하는 기술로서, 단말들 사이의 물리적 근접성을 기반으로 운영되며, 네트워크 자원 효율성 증대, 단말기 소비 전력 감소, 셀룰러 통신 영역 확대 등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D2D 통신을 통해 모든 상황에서 단말들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네트워크와 단말의 상황을 기반으로 완전한 '직접(direct)'통신은 아니지만 릴레이(relay)의 중계에 따라 D2D 통신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네트워크 상황에서 D2D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D2D 릴레이 설정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D2D 릴레이 설정 방안들은, 네트워크 커버리지(이하, 커버리지) 확대 기능 또는 QoS 성능 향상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만을 고려할 뿐, 2개의 기능이 상호 보완되어 모두 실현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QoS 성능 향상을 고려한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릴레이 동작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할 수 있으며, 커버리지 확대를 고려한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QoS 성능 이득에 대한 릴레이 동작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커버리지 확대 기능 및 QoS 성능 향상 기능 모두를 고려한, 상호 보완적 D2D 릴레이 설정 방안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커버리지 확대 기능 및 QoS 성능 향상 기능 모두를 고려한, 상호 보완적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을 실현하여, D2D 통신 서비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의 직접 통신 방법은, D2D(Device to Device) 통신으로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로 릴레이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로부터 수신된 동기화신호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 중 특정후보단말을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후보단말의 릴레이 모드와, 상기 특정후보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후보단말의 릴레이 모드가 서로 상이하게 수행되도록 선택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셀 커버리지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요청임을 알리는 특정정보가 포함된 릴레이요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요청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단말 별로 전송되는 동기화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선택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동기화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후보단말을 상기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후보단말이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제1 릴레이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나머지 후보단말이 QoS 릴레이 단말로의 동작을 위해 대기하는 제2 릴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특정후보단말이 상기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선택결과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의 직접 통신 방법은, D2D(Device to Device) 통신으로 상대단말과 연결된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로 제1 릴레이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 중에서 상기 상대단말로부터 제2 릴레이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일부 후보단말로부터 동기화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기화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일부 후보단말 중 특정후보단말을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후보단말의 릴레이 모드와, 상기 특정후보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 후보단말의 릴레이 모드가 서로 상이하게 수행되도록 선택결과를 상기 일부 후보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셀 커버리지 내부의 약전계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위치 및 단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QoS 성능 향상을 위한 상기 제1 릴레이 연결 요청임을 알리는 특정정보가 포함된 릴레이요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요청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 후보단말로부터 상기 제1 릴레이 연결 및 제2 릴레이 연결 요청과 관련되어 확인되는 해당 링크의 최소 신호세기가 포함된 동기화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최소 신호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후보단말을 상기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후보단말이 QoS 성능 향상을 위한 제1 릴레이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나머지 일부 후보단말이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의 동작을 위해 대기하는 제2 릴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특정후보단말이 상기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선택결과신호를 상기 일부 후보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과의 릴레이 연결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 셀 커버리지 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된 해당 후보단말과 상기 단말이 릴레이 연결되는 지정연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직접 통신 방법에 따르면, 커버리지 확대 기능 및 QoS 성능 향상 기능 모두를 고려한, 상호 보완적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릴레이의 연결 목적에 최적화된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을 적용할 수 있어, D2D 통신 서비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D2D(Device to Device) 통신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 릴레이 연결을 요청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릴레이 요청이 먼저 수신된 경우일 때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oS 성능 향상을 위해 릴레이 연결을 요청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요청이 먼저 수신된 경우일 때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 릴레이 연결을 요청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릴레이 요청이 먼저 수신된 경우일 때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oS 성능 향상을 위해 릴레이 연결을 요청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요청이 먼저 수신된 경우일 때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이하 D2D 통신)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D2D 통신 네트워크 구조는, 셀 커버지리(10) 내 위치하는 기지국장치(100), 및 기지국장치(100)와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어 통신이 가능한 다수의 단말(inner UE, 이하 IUE1,2,3...n), 및 기지국장치(100)와 직접적으로 연결을 할 수 없어 통신이 어려운 다수의 단말(Out UE, 이하 OUE1,2,3...m)을 포함한다.
이러한 D2D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D2D 통신을 통해 모든 상황에서 단말들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하므로, 릴레이(relay)의 중계에 따라 D2D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D2D 릴레이 설정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안되고 있는 D2D 릴레이 설정 방안들은, 네트워크 커버리지(이하, 커버리지) 확대 기능 또는 QoS 성능 향상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만을 고려할 뿐, 2개의 기능이 상호 보완되어 모두 실현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QoS 성능 향상을 고려한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릴레이 동작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할 수 있으며, 커버리지 확대를 고려한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QoS 성능 이득에 대한 릴레이 동작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D2D 릴레이 연결 시, 릴레이 연결 목적을 구분한 결과에 따라 최적화된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이 적용될 수 있도록, 커버리지 확대 기능 및 QoS 성능 향상 기능 모두를 고려한, 상호 보완적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을 새롭게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릴레이 연결 목적(커버리지 확대/ QoS 성능 향상)이 수신되는 순서에 따라 동작이 달라지는 상호 보완적 D2D 릴레이 설정 방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상호 보완적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을 위한 릴레이 단말의 조건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기지국장치(100)와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어 통신이 가능한 다수의 단말(IUE)(1,2,3...n)이 기본적으로 릴레이 단말로서 동작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단말(IUE)(1,2,3...n) 중에서 SINR이 SINRt 보다 큰 단말만이 릴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릴레이 후보단말(이하, 후보단말)로 동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SINRt은, 단말(IUE)이 기지국장치(100)와 연결되기 위해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SINR(Signal-to-interference-plus-noise-ratio)일 수 있다.
이러한 후보단말(IUE)은, 커버리지 릴레이 확대를 위한 커버리지 릴레이 기능과, QoS 성능 향상을 위한 QoS 릴레이 기능 모두를 수행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하나의 기능을 위한 동작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만일, 후보단말(IUE)이 현재 커버리지 릴레이 기능 및 QoS 릴레이 기능 모두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커버리지 확대 또는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중 하나로 선택되어 동작하게 될 것이다.
한편, 기지국장치(100)와 직접적으로 연결을 할 수 없어 통신이 어려운 다수의 단말(OUE)(1,2,3...m)은, 셀 커버리지(10) 외부에 위치하거나 셀 커버리지(10) 내부의 약전계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후보단말(IUE)로 릴레이 연결을 요청하는 주변단말(OUE)로 동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주변단말(OUE)은, 자신의 현재위치를 확인한 후 현재위치를 기반으로 릴레이 연결 요청을 수행한다. 즉, 주변단말(OUE)은, 현재위치가 셀 커버리지(10) 외부인 경우에는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커버리지 릴레이의 연결을 요청한다. 한편, 주변단말(OUE)은, 현재위치가 셀 커버리지(10) 내부인 경우에는 QoS 성능 향상을 위한 QoS 릴레이의 연결을 요청한다.
이하에서는,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릴레이 연결 요청이 먼저 수신된 경우일 때 상호 보완적 D2D 릴레이 설정 방안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후보단말(IUE)(1,2,3...n) 중 후보단말(IUE1, IUE2)과, 주변단말(OUE)(1,2,3...m) 중 셀 커버리지(10) 외부에 위치하는 주변단말(OUE1)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커버리지(10) 외부에 위치하는 주변단말(OUE1)로부터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릴레이 연결이 요청되면, 릴레이 동작 가능한 후보단말(IUE1, IUE2)로 요청이 접수되게 된다. 이후, 주변단말(OUE1)에 의해 후보단말(IUE1, IUE2) 중 어느 하나가 특정후보단말(IUE1)로 선택되면, 특정후보단말(IUE1)의 릴레이 모드와, 나머지 후보단말(IUE2)의 릴레이 모드가 서로 상이하게 수행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에는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릴레이 요청이 먼저 수신된 경우일 때의 동작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셀 커버리지(10) 외부에 위치하는 주변단말(OUE1)은, 셀 커버리지(10) 내 위치하는 기지국장치(100)와의 연결을 위해 중계역할을 수행하는 후보단말(IUE1, IUE2)과 연결되어야 하므로, 주기적으로 후보단말(IUE1, IUE2)로 릴레이 연결을 요청한다(S100a, 100b).
즉, 주변단말(OUE1)은, 릴레이 연결을 요청하기 위해 셀 커버리지(10) 외부에 해당하는 현재위치를 기반으로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요청임을 알리는 특정정보1이 포함된 릴레이요청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주변단말(OUE1)은, 릴레이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릴레이요청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후보단말(IUE1, IUE2)은, 릴레이요청신호로부터 확인되는 주변단말(OUE1)의 현재위치와 특정정보1을 기반으로 주변단말(OUE1)이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릴레이 연결을 요청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에 따라 릴레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각 후보단말(IUE1, IUE2)은, 주변단말(OUE1)과의 릴레이 연결을 위해 자신들의 동기화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전송한다.
이러한 동기화신호는, 주변단말(OUE1)뿐만 아니라 주변의 후보단말(IUE1, IUE2) 간에도 전송되게 되며, 이에 각 후보단말(IUE1, IUE2)은, 자신 외에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후보단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후보단말(IUE1)은, 주변단말(OUE1)로 동기화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후보단말(IUE2)로 동기화신호를 전송한다(S101a, S101b). 후보단말(IUE2)은, 주변단말(OUE1)로 동기화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후보단말(IUE1)로 동기화신호를 전송한다(S102a, S102b).
이처럼 소정의 주기 동안 각 후보단말(IUE1, IUE2)로부터 동기화신호가 수신되면, 주변단말(OUE1)은, 기 설정된 선택조건을 기반으로 동기화신호를 분석하여 특정후보단말(IUE1)을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 선택한다(S103).
여기서, 기 설정된 선택조건은, 커버리지 릴레이를 선택하기 위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인접한 거리, 신호세기 등과 같이 최적화된 특정후보단말이 선택되도록 하는 기준 파라미터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선택조건이 인접한 거리를 먼저 확인한 후, 신호세기를 다음으로 확인하는 조건인 경우, 주변단말(OUE1)은, 동기화신호를 분석하여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가장 인접한 거리의 후보단말을 특정후보단말로 선택하게 된다. 만일, 위치정보에 대한 확인이 어려운 경우, 주변단말(OUE1)은, 신호세기가 가장 강한 후보단말을 특정후보단말로 선택하게 된다.
이후, 주변단말(OUE1)은, 특정후보단말(IUE1)의 릴레이 모드와, 특정후보단말(IUE1)을 제외한 나머지 후보단말(IUE2)의 릴레이 모드가 서로 상이하게 수행되도록 선택결과를 전송한다.
즉, 주변단말(OUE1)은, 특정후보단말(IUE1)이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제1 릴레이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나머지 후보단말(IUE2)이 QoS 릴레이 단말로의 동작을 위해 대기하는 제2 릴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특정후보단말(IUE1)이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선택결과신호를 전송 한다(S104a, S104b).
이에, 각 후보단말(IUE1, IUE2)은, 선택결과신호를 기반으로 후보단말(IUE1)이 커버리지 릴레이, 즉 특정후보단말(IUE1)로 선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후보단말(IUE2)은, 선택결과신호를 통해 후보단말(IUE1)이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 선택된 것을 확인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응답신호를 전송한다(S105a, S105b). 이후, 후보단말(IUE2)은, QoS 릴레이 단말로의 동작을 위해 대기하는 제2 릴레이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106).
반면, 후보단말(IUE1)은, 선택결과신호를 통해 자신이 특정후보단말(IUE1)로 선택되었음을 인지하고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제1 릴레이 모드, 즉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서 동작하게 된다(S107).
이후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 동작하던 특정후보단말(IUE1)이 주변단말(OUE1)에게 더 이상 릴레이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경우, 특정후보단말(IUE1)은 커버리지 릴레이 종료(termination)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 이전에 선택되지 못하여 QoS 릴레이 단말로의 동작을 위해 대기하던 후보단말(IUE2)은, 특정후보단말(IUE1)로부터 커버리지 릴레이 종료(termination) 신호가 수신된 이후에는 다시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후보단말(IUE1) 또는 후보단말(IUE2)이 자신의 동기화신호를 주변단말(OUE1)로 전송한 후 주변단말(OUE1)로부터 선택결과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다른 후보단말로부터 동기화신호를 수신하지 못한다면, 주변에 릴레이로 동작 가능한 후보단말이 자신 밖에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제1 릴레이 모드로의 동작(커버리지 릴레이)뿐만 아니라 이후에 요청될 QoS 성능 향상을 위한 제2 릴레이 모드로의 동작(QoS 릴레이)을 병행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요청이 먼저 수신된 경우일 때 상호 보완적 D2D 릴레이 설정 방안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후보단말(IUE)(1,2,3...n) 중 후보단말(IUE1, IUE2, IUE3)과, 주변단말(OUE)(1,2,3...m) 중 셀 커버리지(10) 내부의 약전계 영역에 위치하는 주변단말(OUE2, OUE3)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때, 주변단말(OUE2, OUE3)은, D2D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주변단말(OUE2)이 송신주변단말(OUE2)로서 동작하며, 주변단말(OUE3)이 수신주변단말(OUE3)로서 동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커버리지(10) 내부의 약전계 영역에 위치하는 송신주변단말(OUE2)로부터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연결1이 요청되고, D2D 통신으로 연결된 상대단말인 수신주변단말(OUE3)로부터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연결2가 요청되면, 릴레이 동작 가능한 후보단말(IUE1, IUE2, IUE3)로 요청이 접수되게 된다. 이후, 후보단말(IUE1, IUE2, IUE3) 중 릴레이 연결1,2 요청을 함께 수신한 일부 후보단말(IUE1, IUE2)로부터 동기화신호가 수신되면, 송신주변단말(OUE2) 및 수신주변단말(OUE3) 중 어느 하나는, 일부 후보단말(IUE1, IUE2) 중 특정후보단말(IUE1)을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하게 된다. 이처럼 특정후보단말(IUE1)이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되면, 특정후보단말(IUE1)의 릴레이 모드와, 나머지 일부 후보단말(IUE2)의 릴레이 모드가 서로 상이하게 수행되게 된다.
이러한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요청의 경우, 앞서 설명한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릴레이 요청과 달리 반드시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송신주변단말(OUE2) 및 수신주변단말(OUE3) 중 어느 하나는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연결을 요청하기 전에, 동기화 요청 신호(SYNC Request)를 통해 전송링크에 대한 위치정보 및 신호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선택적으로 링크 1 또는 링크 2를 선택한다.
여기서, 링크 1은, 주변단말(OUE)과 기지국장치(100)를 통한 일반 LTE 통신이며, 링크 2는 주변단말(OUE)과 릴레이 단말을 통한 D2D 통신일 수 있다.
이에, 링크 1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기존의 LTE 통신이 수행되며, 링크 2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후술한 도 5의 동작흐름에 따라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설정 방안이 수행되게 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요청이 먼저 수신된 경우일 때의 동작흐름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송신주변단말(OUE2)이 특정후보단말(IUE1)을 선택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셀 커버리지(10) 내부의 약전계 영역에 위치하는 송신주변단말(OUE2)과 수신주변단말(OUE3)은, 인접한 단말간 보다 효율적인 D2D 통신을 위해 후보단말(IUE1, IUE2, IUE3)로 릴레이 연결을 요청한다.
즉, 송신주변단말(OUE2)은,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연결1을 요청하기 위해 셀 커버리지(10) 내부의 약전계 영역에 해당하는 현재위치 및 단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QoS 성능 향상을 위한 요청임을 알리는 특정정보2가 포함된 릴레이요청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송신주변단말(OUE2)은, 릴레이요청신호를 전송한다(S200a, 200b, S200c).
마찬가지로, 수신주변단말(OUE3)은,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연결2를 요청하기 위해 셀 커버리지(10) 내부의 약전계 영역에 해당하는 현재위치 및 단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QoS 성능 향상을 위한 요청임을 알리는 특정정보2가 포함된 릴레이요청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수신주변단말(OUE3)은, 릴레이요청신호를 전송한다(S201a, 201b, 201c).
이때, 후보단말(IUE1, IUE2, IUE3) 중 릴레이 연결1,2 요청에 따라 해당 릴레이요청신호를 함께 수신한 일부 후보단말(IUE1, IUE2)만이 동기화신호 (synchronization signal)를 생성하게 된다.
즉, 일부 후보단말(IUE1, IUE2)은, 릴레이요청신호로부터 확인되는 현재위치, 단말정보 및 특정정보2를 기반으로 송신주변단말(OUE2)과 수신주변단말(OUE3)이 D2D 통신을 수행하고 있으며,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연결을 요청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일부 후보단말(IUE1, IUE2)은, 송신주변단말(OUE2)로부터 수신된 릴레이요청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링크의 제1 신호세기와 수신주변단말(OUE3)로부터 수신된 릴레이요청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링크의 제2 신호세기를 측정한 후, 2개의 신호세기 중 가장 작은 최소 신호세기를 검출한다. 이어서, 일부 후보단말(IUE1, IUE2)은, 최소 신호세기를 포함하는 동기화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전송한다.
이러한 동기화신호는, 송신주변단말(OUE2)과 수신주변단말(OUE3)뿐만 아니라 주변의 일부 후보단말(IUE1, IUE2) 간에도 전송되게 되며, 이에 각 일부 후보단말(IUE1, IUE2)은, 자신 외에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후보단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부 후보단말(IUE1)은, 송신주변단말(OUE2)과 수신주변단말(OUE3)로 동기화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일부 후보단말(IUE2)로 동기화신호를 전송한다(S202a, S202b, S202c). 일부 후보단말(IUE2)은, 송신주변단말(OUE2)과 수신주변단말(OUE3)로 동기화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일부 후보단말(IUE1)로 동기화신호를 전송한다(S203a, S203b, S203c).
이처럼 소정의 주기 동안 각 일부 후보단말(IUE1)로부터 동기화신호가 수신되면, 송신주변단말(OUE2)은, 동기화신호로부터 확인되는 최소 신호세기를 기반으로 일부 후보단말(IUE1, IUE2) 중 특정후보단말(IUE1)을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한다(S204). 즉, 송신주변단말(OUE2)은, 동기화신호로부터 확인되는 최소 신호세기가 가장 큰 일부 후보단말(IUE1)을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하게 된다.
이후, 송신주변단말(OUE2)은, 특정후보단말(IUE1)의 릴레이 모드와, 특정후보단말(IUE1)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 후보단말(IUE2)의 릴레이 모드가 서로 상이하게 수행되도록 선택결과를 전송한다.
즉, 송신주변단말(OUE2)은, 특정후보단말(IUE1)이 QoS 성능 향상을 위한 제1 릴레이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나머지 일부 후보단말(IUE2)이 커버지리 릴레이로의 동작을 위해 대기하는 제2 릴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특정후보단말(IUE1)이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선택결과신호를 전송 한다(S205a, S205b).
이에, 각 일부 후보단말(IUE1, IUE2)은, 선택결과신호를 기반으로 후보단말(IUE1)이 QoS 릴레이, 즉 특정후보단말(IUE1)로 선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부 후보단말(IUE2)은, 선택결과신호를 통해 일부 후보단말(IUE1)이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된 것을 확인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응답신호를 전송한다(S206a, S206b, S206c). 이후, 일부 후보단말(IUE2)은,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의 동작을 위해 대기하는 제2 릴레이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207).
반면, 일부 후보단말(IUE1)은, 선택결과신호를 통해 자신이 특정후보단말(IUE1)로 선택되었음을 인지하고 QoS 성능 향상을 위한 제1 릴레이 모드, 즉 QoS 릴레이 단말로서 동작하게 된다(S208).
이후 QoS 릴레이 단말로 동작하던 특정후보단말(IUE1)이 송신주변단말(OUE2) 및 수신주변단말(OUE3)에게 더 이상 릴레이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경우, 특정후보단말(IUE1)은 QoS 릴레이 종료(termination)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되지 못하여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의 동작을 위해 대기하던 일부 후보단말(IUE2)은, 특정후보단말(IUE1)로부터 QoS 릴레이 종료(termination) 신호가 수신된 이후에는 다시 QoS 릴레이 단말로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에 따라 수행되는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선정과정의 경우, D2D 통신의 성능뿐만 아니라 D2D 통신으로 인해 주변의 다른 일반 단말들에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D2D 통신이 간섭현상으로 인해 주변의 일반 단말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경우에는, 전술한 릴레이 선정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기지국장치(100)가 직접 QoS 릴레이를 선택하게 된다.
이처럼 기지국장치(100)가 직접 QoS 릴레이를 선택하게 되면, 별도의 릴레이요청신호와 동기화신호를 브로드케스팅하는 과정이 생략됨에 따라, 기지국장치(100)에 의해 선택된 릴레이 단말과 주변단말 간에 다이렉트로 전송이 이루어지게 되고, 주변의 릴레이 단말들 또한 기지국장치(100)에 의해 선택된 릴레이 단말에 의해서 커버리지 릴레이 및 QoS 릴레이 단말로의 동작 제한을 받지 않게 된다.
전술에 따라 기지국장치(100)에 의해서 선택된 릴레이 단말의 경우, 향후 커버리지 릴레이 및 QoS 릴레이 단말로의 동작에 대한 참여 여부는 기지국장치(100)에 의해서 결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연결을 이용하게 되면, D2D 통신이 주변 상황으로 인한 간섭이나 단말의 위치 변화로 인해 단말간의 거리가 크게 증가하게 되는 경우, D2D 통신으로 연결된 주변단말들 사이에 위치하는 후보단말들을 이용하여 QoS 릴레이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QoS 릴레이를 이용하여 D2D 연결의 성능을 유지/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셀 커버리지(10)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이지만 약전계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의 경우에는 실제로 원활한 통신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재난 통신망 상황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상황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이러한 상황에서도 중간의 QoS 릴레이를 통해 약전계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에게도 보다 고품질의 D2D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선 도 2 및 3에서 언급한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릴레이 연결 요청과 도 4 및 도 5에서 언급한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연결 요청이 모두 수행된 경우에도 선택되지 못한 후보단말의 경우, 커버리지 릴레이 및 QoS 릴레이 모두에 대한 수행이 가능한 릴레이 단말로 존재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릴레이 요청이 모두 수행된 경우에도 선택되지 못한 후보단말의 경우, 새로운 릴레이 요청이 수신되면, 주변 상황에 따라 커버리지 또는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 될 수 있게 되며, 이후 앞선 언급한 릴레이 요청의 절차를 동일하게 수행하여 커버리지 릴레이 및 QoS 릴레이 단말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접 통신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릴레이로 동작 가능한 다수의 단말(IUE)들이 주변의 단말(IUE)들이 제공하는 릴레이 동작에 따라 상호 보완적으로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 커버리지 확대 및 QoS 성능 향상을 위한 D2D 동작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동시에, 릴레이의 연결 목적에 최적화된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을 적용할 수 있어, D2D 통신 서비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단말(OUE) 및 후보단말(IUE)의 구성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단말(OUE)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주변단말(OUE)(1,2,3...m)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주변단말(OUE1)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주변단말(OUE1)(200)은, 연결요청부(210), 선택부(220) 및 결과관리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연결요청부(210)는, 자신의 현재위치를 기반으로 릴레이 연결을 요청하려는 목적과 관련되는 특정정보를 이용하여 릴레이요청신호를 생성한다.
즉, 연결요청부(210)는, 현재위치가 셀 커버리지 외부인 경우에는, 릴레이를 연결하려는 목적이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것임을 인지하고,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릴레이 연결 요청임을 알리는 특정정보1이 포함된 릴레이요청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연결요청부(210)는, 현재위치가 셀 커버리지 내부의 약전계 영역인 경우에는, 릴레이를 연결하려는 목적이 QoS 성능 향상을 위한 것임을 인지하고,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연결 요청임을 알리는 특정정보2가 포함된 릴레이요청신호를 생성한다.
선택부(220)는, 후보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동기화신호를 기반으로 릴레이 연결을 수행할 특정후보단말을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택부(220)는, 릴레이요청신호를 전송한 이후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로부터 동기화신호가 수신되면, 동기화신호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 중 릴레이 연결을 수행할 특정후보단말을 선택한다.
즉, 선택부(220)는, 릴레이요청신호를 전송한 목적이 커버리지 확대인 경우에는 후보단말 별로 수신되는 동기화신호를 기 설정된 선택조건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특정후보단말을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 선택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선택조건은, 커버리지 릴레이를 선택하기 위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인접한 거리, 신호세기 등과 같이 최적화된 특정후보단말이 선택되도록 하는 기준 파라미터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한편, 선택부(220)는, 릴레이요청신호를 전송한 목적이 QoS 성능 향상인 경우에는 최소 신호세기를 포함하는 동기화신호를 수신하게 될 것이므로, 최소 신호세기를 기반으로 특정후보단말을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한다.
결과관리부(230)는, 특정후보단말이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선택결과신호를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과관리부(230)는, 특정후보단말의 릴레이 모드와, 나머지 후보단말의 릴레이 모드가 서로 상이하게 수행되도록, 특정후보단말이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선택결과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전송한다.
즉, 결과관리부(230)는, 릴레이요청신호를 전송한 목적이 커버리지 확대인 경우에는 특정후보단말이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선택결과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특정후보단말이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제1 릴레이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나머지 후보단말이 QoS 릴레이 단말로의 동작을 위해 대기하는 제2 릴레이 모드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결과관리부(230)는, 릴레이요청신호를 전송한 목적이 QoS 성능 향상인 경우에는 특정후보단말이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선택결과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특정후보단말이 QoS 성능 향상을 위한 제1 릴레이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나머지 후보단말이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의 동작을 위해 대기하는 제2 릴레이 모드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단말(IUE)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후보단말(IUE)(1,2,3... n)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후보단말(IUE1)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후보단말(IUE1)(300)은, 송수신부(310), 결정부(320) 및 실행관리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송수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단말(OUE)로부터 D2D 통신과 관련되는 릴레이요청메시지를 수신한다. 이후, 송수신부(310)는, 릴레이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동기화신호를 생성하여 주변단말(OUE)로 전송한다.
결정부(320)는, 릴레이요청메시지의 특정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릴레이 모드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320)는, 릴레이요청메시지의 특정정보가 특정정보1인지 아니면 특정정보2인지를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주변단말(OUE)의 현재위치를 확인한다.
이때, 릴레이요청메시지에는, 주변단말(OUE)의 현재위치가 셀 커버리지 외부인 경우에는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릴레이 연결 요청임을 알리는 특정정보1이 포함되게 되며, 현재위치가 셀 커버리지 내부의 약전계 영역인 경우에는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연결 요청임을 알리는 특정정보2가 포함되게 될 것이다.
이에, 결정부(320)는, 릴레이요청메시지로부터 특정정보1이 검출되면, 주변단말(OUE)의 현재위치가 셀 커버리지 외부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릴레이요청메시지로부터 특정정보2가 검출되면, 주변단말(OUE)의 현재위치가 셀 커버리지 내부의 약전계 영역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에 따라 주변단말(OUE)의 현재위치가 확인되면, 결정부(320)는, 주변단말(OUE)의 현재위치와 특정정보1,2를 기반으로 주변단말(OUE)이 릴레이를 연결하려는 목적을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릴레이 모드를 결정한다.
즉, 결정부(320)는, 주변단말(OUE)의 현재위치가 셀 커버리지 외부이며,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릴레이 연결 요청임을 알리는 특정정보1이 검출되었으므로, 셀 커버리지 외부에 위치하는 주변단말(OUE)이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 릴레이 연결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결정부(320)는,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제1 릴레이 모드로 동작모드를 결정한다.
한편, 결정부(320)는, 주변단말(OUE)의 현재위치가 셀 커버리지 내부의 약전계 영역이며,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릴레이 연결 요청임을 알리는 특정정보2가 검출되었으므로, 셀 커버리지 내부의 약전계 영역에 위치하는 주변단말(OUE)이 QoS 성능 향상을 위해 릴레이 연결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결정부(320)는, QoS 성능 향상을 위한 제1 릴레이 모드로 동작모드를 결정한다.
실행관리부(330)는, 릴레이 모드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커버리지 릴레이 또는 QoS 릴레이 단말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즉, 실행관리부(330)는, 동작모드가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제1 릴레이 모드이면,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 동작해야 함을 인지하고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관련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후보단말(IUE)(300)이 제1 릴레이 모드에 따라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나머지 다른 후보단말(IUE)은 QoS 릴레이 단말로의 동작을 위해 대기하는 제2 릴레이 모드로의 동작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한편, 실행관리부(330)는, 동작모드가 QoS 성능 향상을 위한 제1 릴레이 모드이면, QoS 릴레이 단말로 동작해야 함을 인지하고 QoS 성능 향상을 위한 관련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후보단말(IUE)(300)이 제1 릴레이 모드에 따라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나머지 다른 후보단말(IUE)은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의 동작을 위해 대기하는 제2 릴레이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접 통신 방법에 따르면, 릴레이 연결을 요청할 때 커버리지 확대 목적인지 QoS 성능 향상을 위한 목적인지를 먼저 구분한 후 릴레이 연결 목적에 따라 최적화된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이 적용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재난 통신망과 같은 음역지역뿐만 아니라 약전계 영역이 많은 상황인 경우에도 보다 향상된 고품질의 D2D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보단말들이 선택된 릴레이 단말을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주변의 상황에 맞게 상호 보완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릴레이 단말에 대한 자원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접 통신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의사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직접 통신 방법에 따르면, 커버리지 확대 기능 및 QoS 성능 향상 기능 모두를 고려한, 상호 보완적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릴레이의 연결 목적에 최적화된 D2D 릴레이 설정 방안을 적용할 수 있어, D2D 통신 서비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 셀 커버지리
100: 기지국장치
200 : 주변단말
210 : 연결요청부 220 : 선택부
230 : 결과관리부
300: 후보단말
310 : 송수신부 320 : 결정부
330 : 실행관리부
100: 기지국장치
200 : 주변단말
210 : 연결요청부 220 : 선택부
230 : 결과관리부
300: 후보단말
310 : 송수신부 320 : 결정부
330 : 실행관리부
Claims (9)
- D2D(Device to Device) 통신으로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로 릴레이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로부터 수신된 동기화신호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 중 특정후보단말을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후보단말의 릴레이 모드와, 상기 특정후보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후보단말의 릴레이 모드가 서로 상이하게 수행되도록 선택결과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직접 통신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셀 커버리지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요청임을 알리는 특정정보가 포함된 릴레이요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요청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통신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단말 별로 전송되는 동기화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선택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동기화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후보단말을 상기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통신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후보단말이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제1 릴레이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나머지 후보단말이 QoS 릴레이 단말로의 동작을 위해 대기하는 제2 릴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특정후보단말이 상기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선택결과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통신 방법. - D2D(Device to Device) 통신으로 상대단말과 연결된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로 제1 릴레이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 중에서 상기 상대단말로부터 제2 릴레이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일부 후보단말로부터 동기화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기화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일부 후보단말 중 특정후보단말을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후보단말의 릴레이 모드와, 상기 특정후보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 후보단말의 릴레이 모드가 서로 상이하게 수행되도록 선택결과를 상기 일부 후보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직접 통신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셀 커버리지 내부의 약전계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위치 및 단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QoS 성능 향상을 위한 상기 제1 릴레이 연결 요청임을 알리는 특정정보가 포함된 릴레이요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요청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통신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 후보단말로부터 상기 제1 릴레이 연결 및 제2 릴레이 연결 요청과 관련되어 확인되는 해당 링크의 최소 신호세기가 포함된 동기화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최소 신호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후보단말을 상기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통신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후보단말이 QoS 성능 향상을 위한 제1 릴레이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나머지 일부 후보단말이 커버리지 릴레이 단말로의 동작을 위해 대기하는 제2 릴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특정후보단말이 상기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선택결과신호를 상기 일부 후보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통신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단말과의 릴레이 연결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 셀 커버리지 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QoS 릴레이 단말로 선택된 해당 후보단말과 상기 단말이 릴레이 연결되는 지정연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통신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8935A KR102210001B1 (ko) | 2017-02-10 | 2017-02-10 | 직접 통신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8935A KR102210001B1 (ko) | 2017-02-10 | 2017-02-10 | 직접 통신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2767A true KR20180092767A (ko) | 2018-08-20 |
KR102210001B1 KR102210001B1 (ko) | 2021-02-01 |
Family
ID=63443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8935A KR102210001B1 (ko) | 2017-02-10 | 2017-02-10 | 직접 통신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000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80782A1 (ko) * | 2020-10-16 | 2022-04-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사이드링크에서 릴레이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WO2023287189A1 (ko) * | 2021-07-13 | 2023-0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sib에 관련된 ue의 동작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89985A (ko) * | 2008-02-20 | 2009-08-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포인트 투 포인트 통신에 기반하여 셀 커버리지 밖의단말에 대한 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KR101414632B1 (ko) * | 2008-03-06 | 2014-07-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의 릴레이를 통한 통신 방법 및 릴레이 시스템의 통신방법 |
WO2016164808A1 (en) * | 2015-04-08 | 2016-10-13 | InterDigitial Patent Holdings, Inc. | Realizing mobile relays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s |
KR20160134367A (ko) * | 2015-05-15 | 2016-11-23 | 주식회사 아이티엘 | 단말간 직접 통신에서 단말과 네트워크 간 릴레이 구성 방법 및 장치 |
KR101694085B1 (ko) * | 2012-12-19 | 2017-01-06 |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중계 지원을 핸들링하기 위한 무선 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방법 |
-
2017
- 2017-02-10 KR KR1020170018935A patent/KR1022100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89985A (ko) * | 2008-02-20 | 2009-08-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포인트 투 포인트 통신에 기반하여 셀 커버리지 밖의단말에 대한 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KR101414632B1 (ko) * | 2008-03-06 | 2014-07-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의 릴레이를 통한 통신 방법 및 릴레이 시스템의 통신방법 |
KR101694085B1 (ko) * | 2012-12-19 | 2017-01-06 |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중계 지원을 핸들링하기 위한 무선 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방법 |
WO2016164808A1 (en) * | 2015-04-08 | 2016-10-13 | InterDigitial Patent Holdings, Inc. | Realizing mobile relays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s |
KR20160134367A (ko) * | 2015-05-15 | 2016-11-23 | 주식회사 아이티엘 | 단말간 직접 통신에서 단말과 네트워크 간 릴레이 구성 방법 및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80782A1 (ko) * | 2020-10-16 | 2022-04-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사이드링크에서 릴레이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WO2023287189A1 (ko) * | 2021-07-13 | 2023-0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sib에 관련된 ue의 동작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0001B1 (ko) | 2021-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70547B2 (en) | Access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 |
EP294905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ase stations provid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to a mobile s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 |
EP3297324B1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munication node | |
US10440628B2 (en) | D2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o influence communication service for UEs | |
JP6265137B2 (ja) |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 |
CN105103470B (zh) |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多小区设备发现的方法和装置 | |
US10624115B2 (en) |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device and system | |
EP2754327B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wan assisted contention detection&resolution in peer to peer networks | |
EP3282717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munication nod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JP6579597B2 (ja) | D2d同期方法、ユーザ機器、およびサービングセル | |
US20150271856A1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r terminal, processor, and base station | |
CN105210417A (zh) | 用于控制网络外设备到设备通信的系统和方法 | |
EP305191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random access on small cell under dual connections | |
US2015001797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neighbor device in d2d communication network | |
CN106162779B (zh) | 用于保持用户设备的业务连续性的方法 | |
KR20150086203A (ko) | 디바이스간 통신 방법 및 장치 | |
WO201407155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 |
EP3378247A2 (en) | User equipment, serving base station, and methods of user equipment and serving base station | |
KR20180092767A (ko) | 직접 통신 방법 | |
CN112449374B (zh) | 确定目标主基站以及关联目标辅基站的方法及装置 | |
KR20160041641A (ko)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
US9510381B2 (en) |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in system perform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 |
EP2991420B1 (en) | Uplink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 |
CN111294983B (zh) | 直接通信的资源优化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 |
EP3313003A1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