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641A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641A
KR20160041641A KR1020140136008A KR20140136008A KR20160041641A KR 20160041641 A KR20160041641 A KR 20160041641A KR 1020140136008 A KR1020140136008 A KR 1020140136008A KR 20140136008 A KR20140136008 A KR 20140136008A KR 20160041641 A KR20160041641 A KR 20160041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terminal
candidate
measurement informa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108B1 (ko
Inventor
박치영
이상민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6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1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25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 H04W28/0942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based on measured or predicted load of entities- o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의 전체적인 부하 환경을 고려한 CA단말의 보조셀(SCell) 부하 밸런싱(load balancing)을 실현함으로써, CA 단말 및 CA 미지원 단말 모두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지국의 전체적인 부하 환경을 고려한 CA단말의 보조셀(SCell) 부하 밸런싱(load balancing)을 실현함으로써, CA 단말 및 CA 미지원 단말 모두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는, 최대 20 MHz대역을 이용하여 고속의 통신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통신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 요구 속도 등이 다양해짐에 따라, 더 빠른 속도의 통신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기존의 20 MHz대역 보다 더 넓은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IMT-advanced 통신시스템이 새롭게 등장하였으며, IMT-advanced 통신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주파수대역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기존의 20 MHz대역 보다 더 넓은 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주파수집합(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CA 기술은, 다중 단위 주파수대역(Component Carrier, CC)의 통합을 통해 보다 넓은 주파수대역을 확보할 수 있고, 각 주파수대역(CC)은 LTE 단말에게 LTE 주파수대역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이전 통신시스템과의 호환성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하, CA 단말)은, 우선 다수의 주파수대역(CC) 중 초기 접속이 지정된 기본 주파수대역의 기본셀(Primary Cell, PCell)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 보조 주파수대역의 보조셀(Secondary Cell, SCell)을 통해 기지국에 동시 접속하여, 여러 주파수대역의 셀 즉 PCell 및 SCell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LTE 시스템에서는, CA 단말 뿐 아니라 CA 기술이 등장하기 전의 단말 즉 CA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이하, CA 미지원 단말)이 공존하고 있다.
이때, CA 단말이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면, 기지국은, CA 단말에서 어떤 보조 주파수대역의 셀을 보조셀(SCell)로 사용해야 할지를, 기지국 내부적으로 또는 CA 단말로부터 보고되는 신호 수신환경에 따라서, 지정(할당)해 준다.
이후, CA 단말의 보조셀(SCell)이 변경되는 경우는, 기본셀(PCell)이 변경됨에 따라 새로운 보조셀(SCell)을 지정 받는 경우, 또는 현재 보조셀(SCell)의 신호 수신환경이 나빠져 새로운 보조셀(SCell)을 지정 받는 경우이다.
헌데, 전술한 기존의 보조셀(SCell) 변경 방식은, CA 단말의 입장 만을 고려할 뿐 기지국의 전체적인 부하 환경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기 때문에, 보조셀(SCell)의 측면에서 볼 때 해당 셀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단말의 통신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의 전체적인 부하 환경, 즉 CA 단말 및 CA 미지원 단말 모두가 반영된 전체적인 부하 환경을 고려한 보조셀(SCell) 부하 밸런싱을 실현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기지국의 전체적인 부하 환경을 고려한 CA 단말의 보조셀(SCell) 부하 밸런싱(load balancing)을 실현함으로써, CA 단말 및 CA 미지원 단말 모두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다수의 셀 별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셀 중 과부하 상태의 특정 셀을 확인하는 과부하확인부; 상기 특정 셀에 접속된 단말 중 상기 특정 셀을 보조셀(Secondary Cell)로 사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부터, 상기 다수의 셀 중 변경 가능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상기 다수의 셀 별 부하량 및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단말 중에서 변경 단말을 선정하는 단말선정부; 및 상기 변경 단말의 보조셀을, 상기 특정 셀로부터 상기 변경 단말의 후보 셀로 핸드오버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획득부는, 접속된 셀 외에 인접한 셀 중 신호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인접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로 보고하도록 하는 정책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부터 상기 정책에 따라 보고되는 상기 인접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상기 변경 가능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선정부는, 상기 다수의 셀 별 부하량 및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 중에서 부하량이 가장 작은 후보 셀을 선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 중, 상기 선정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가 보고된 후보 단말을 상기 변경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경 단말의 후보 셀은,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 중에서 부하량이 가장 작은 후보 셀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셀 별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셀 중 과부하 상태의 특정 셀을 확인하는 과부하확인단계; 상기 특정 셀에 접속된 단말 중 상기 특정 셀을 보조셀(Secondary Cell)로 사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부터, 상기 다수의 셀 중 변경 가능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단계; 상기 다수의 셀 별 부하량 및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단말 중에서 변경 단말을 선정하는 단말선정단계; 및 상기 변경 단말의 보조셀을, 상기 특정 셀로부터 상기 변경 단말의 후보 셀로 핸드오버 시키는 접속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속된 셀 외에 인접한 셀 중 신호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인접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로 보고하도록 하는 정책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획득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부터 상기 정책에 따라 보고되는 상기 인접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상기 변경 가능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선정단계는, 상기 다수의 셀 별 부하량 및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 중에서 부하량이 가장 작은 후보 셀을 선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 중, 상기 선정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가 보고된 후보 단말을 상기 변경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경 단말의 후보 셀은,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 중에서 부하량이 가장 작은 후보 셀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의 전체적인 부하 환경을 고려한 CA 단말의 보조셀(SCell) 부하 밸런싱(load balancing)을 실현함으로써, CA 단말 및 CA 미지원 단말 모두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포함되는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가 포함된 통신시스템에서는, 동일 지역에 대해서 다수의 주파수대역이 공존하고 있다.
예컨대, 도 1을 언급하여, 주파수대역 관점으로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B1), 제2주파수대역(B2) 및 제3주파수대역(B3)를 제공할 수 있고, 셀 관점으로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은 다수의 셀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에 따른 셀(B1_a,B1_b...B1_f), 제2주파수대역에 따른 셀(B2_a... B2_c), 제3주파수대역에 따른 셀(B3_a... B3_c)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존의 20 MHz대역 보다 더 넓은 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등장한 IMT-advanced 통신시스템에서 채택하고 있는 주파수집합(Carrier Aggregation, CA) 기술과 관련된 발명이다.
여기서, CA 기술은, 다중 단위 주파수대역(Component Carrier, CC)의 통합을 통해 보다 넓은 주파수대역을 확보할 수 있고, 각 단위 주파수대역(CC)은 LTE 단말에게 LTE 주파수대역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이전 통신시스템과의 호환성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100)에서 형성하는 셀들에는,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하, CA 단말) 뿐 아니라 CA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이하, CA 미지원 단말)이 공존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의 도 1과 같이, 다수의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 제2주파수대역 및 제3주파수대역)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대역의 셀을 통해 접속되는 단말(CA 단말, CA 미지원 단말)에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CA 기능으로 동작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즉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셀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A지원기지국일 것이다.
그리고, CA 단말로서 편의상 단말1을 언급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단말1은, 전원 온(Power On) 되면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대역의 셀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한다.
이때, 단말1은, CA 단말이기 때문에,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서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게 되는데, 이 주파수대역이 기본 주파수대역이며 기지국장치(100)과의 접속에 사용한 기본 주파수대역의 셀이 기본셀(Primary Cell, PCell)에 해당된다.
단말1은, 이와 같이 기본 주파수대역의 기본셀(PCell)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한 후, 이후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조 주파수대역의 보조셀(Secondary Cell, SCell)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동시 접속하여, 여러 주파수대역의 셀 즉 PCell 및 SCell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단말1이 기본셀(PCell)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면,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에서 어떤 보조 주파수대역의 셀을 보조셀(SCell)로 사용해야 할지를, 기지국장치(100) 내부적으로 또는 CA 단말로부터 보고되는 신호 수신환경에 따라서, 지정(Add, 할당)해 준다.
이후, 기존의 보조셀(SCell) 변경 방식에 따른다면, 단말1의 보조셀(SCell)이 변경되는 경우는, 기지국에 접속된 기본셀(PCell)이 변경됨에 따라 새로운 보조셀(SCell)을 지정 받는 경우, 또는 현재 보조셀(SCell) 신호 수신환경이 나빠져 새로운 보조셀(SCell)을 지정 받는 경우일 것이다.
헌데, 전술한 기존의 보조셀(SCell) 변경 방식은, 단말1 즉 CA 단말의 입장 만을 고려할 뿐 기지국의 전체적인 부하 환경 다시 말해 CA 단말 및 CA 미지원 단말 모두가 반영된 전체 부하 환경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따라서, 전술한 기존의 보조셀(SCell) 변경 방식에 따른다면, 단말1 입장에서 신호 수신환경이 좋은 셀 이라면 해당 셀의 현재 부하량이 어떤지 와는 관계없이 단말1의 보조셀(SCell)이 해당 셀로 변경될 것이고, 이러한 CA 단말의 보조셀(SCell) 변경은 보조셀(SCell)의 측면에서 볼 때 해당 셀에 기 접속되어 있는 모든 단말 특히 CA 미지원 단말 측의 통신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장치(100)의 전체적인 부하 환경, 즉 CA 단말 및 CA 미지원 단말 모두가 반영된 전체적인 부하 환경을 고려한 보조셀(SCell) 부하 밸런싱(load balancing)을 실현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다수의 셀 별 부하량에 기초하여, 다수의 셀 중 과부하 상태의 특정 셀을 확인한다.
그리고, 기지국장치(100)는, 과부하 상태의 특정 셀에 접속된 단말 중 특정 셀을 보조셀(Secondary Cell)로 사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CA 단말)로부터, 다수의 셀 중 변경 가능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기지국장치(100)는, 다수의 셀 별 부하량 및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 중에서 변경 단말을 선정하고, 설정한 변경 단말의 보조셀을 특정 셀로부터 변경 단말의 후보 셀로 핸드오버 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다수의 셀 별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셀 중 과부하 상태의 특정 셀을 확인하는 과부하확인부(110)와, 상기 특정 셀에 접속된 단말 중 상기 특정 셀을 보조셀(Secondary Cell)로 사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부터, 상기 다수의 셀 중 변경 가능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120)와, 상기 다수의 셀 별 부하량 및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단말 중에서 변경 단말을 선정하는 단말선정부(130)와, 상기 변경 단말의 보조셀을, 상기 특정 셀로부터 상기 변경 단말의 후보 셀로 핸드오버 시키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B1), 제2주파수대역(B2) 및 제3주파수대역(B3)을 제공하며, 따라서 다수의 셀 즉 제1주파수대역에 따른 셀(B1_a,B1_b...B1_f), 제2주파수대역에 따른 셀(B2_a... B2_c), 제3주파수대역에 따른 셀(B3_a... B3_c)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CA 기능으로 동작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즉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셀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A지원기지국일 것이다.
과부하확인부(110)는, 다수의 셀 별 부하량에 기초하여, 다수의 셀 중 과부하 상태의 특정 셀을 확인한다.
도 1과 같은 경우라면, 다수의 셀은, 제1주파수대역의 셀(B1_a,B1_b...B1_f), 제2주파수대역에 따른 셀(B2_a... B2_c) 및 제3주파수대역에 따른 셀(B3_a... B3_c)을 의미한다.
이 경우, 과부하확인부(110)는,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 부하량에 기초하여,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중 과부하 상태의 특정 셀을 확인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부하확인부(110)는, 기 설정된 부하량확인주기(T1) 마다,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로 부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로 부하량을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과부하확인부(110)는,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각각에 대하여, 셀에 접속된 액티브(Active) 상태의 단말 개수 및 셀의 무선자원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수집 결과로 해당 셀의 부하량을 확인할 수 있다.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중 하나로서 제2주파수대역(B2)의 셀(B2_b)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과부하확인부(110)는, 부하량확인주기(T1) 마다, 셀(B2_b)에 접속된 액티브(Active) 상태의 단말 개수를 수집한다.
이때, 셀(B2_b)에 접속된 액티브(Active) 상태의 단말에는, 셀(B2_b)에 접속된 CA 미지원 단말도 포함될 수 있고, 셀(B2_b)을 기본셀(PCell)로 사용하여 접속된 CA 단말(CA 기능 활성화, 비활성화 모두 포함)도 포함될 수 있고, 셀(B2_b)을 보조셀(SCell)로 사용하여 접속된 CA 단말(CA 기능 활성화)도 포함될 수 있다.
또는, 과부하확인부(110)는, 부하량확인주기(T1) 마다, 셀(B2_b)의 무선자원 사용량을 수집한다.
이때, 셀(B2_b)의 무선자원 사용량에는, 셀(B2_b)에 접속된 CA 미지원 단말에서 사용하는 무선자원 사용량도 포함될 수 있고, 셀(B2_b)을 기본셀(PCell)로 사용하여 접속된 CA 단말(CA 기능 활성화, 비활성화 모두 포함)에서 사용하는 무선자원 사용량도 포함될 수 있고, 셀(B2_b)을 보조셀(SCell)로 사용하여 접속된 CA 단말(CA 기능 활성화)에서 사용하는 무선자원 사용량도 포함될 수 있다.
이에, 과부하확인부(110)는, 전술과 같이 부하량확인주기(T1) 마다, 셀(B2_b)에 대하여 수집한 액티브(Active) 상태의 단말 개수 및 무선자원 사용량을, 셀(B2_b)의 부하량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과부하확인부(110)는, 전술한 방식으로, 부하량확인주기(T1) 마다, 셀(B2_b)을 비롯한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의 부하량을 각각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과부하확인부(110)는, 전술과 같이 부하량확인주기(T1) 마다 확인하는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 부하량에 기초하여,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중 과부하 상태의 특정 셀을 확인한다.
예를 들면, 과부하확인부(110)는,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 부하량 즉 액티브(Active) 상태의 단말 개수 및 무선자원 사용량에 기초하여, 액티브(Active) 상태의 단말 개수가 기 설정된 제1과부하임계치 이상이거나 또는 무선자원 사용량이 기 설정된 제2과부하임계치 이상인 셀(예 : B2_b)이 있으면, 해당 셀(B2_b)을 과부하 상태의 특정 셀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중 셀(B2_b)가 과부하 상태의 특정 셀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정보획득부(120)는, 과부하확인부(110)에서 특정 셀이 확인되면, 특정 셀에 접속된 단말 중 특정 셀을 보조셀(SCell)로 사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부터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중 변경 가능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보획득부(120)는, 특정 셀 예컨대 셀(B2_b)에 접속된 단말 중 셀(B2_b)을 보조셀(SCell)로 사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을 선정한다.
셀(B2_b)에 접속된 단말에는, 셀(B2_b)에 접속된 CA 미지원 단말, 셀(B2_b)을 기본셀(PCell)로 사용하여 접속된 CA 단말(CA 기능 활성화, 비활성화 모두 포함), 셀(B2_b)을 보조셀(SCell)으로 사용하여 접속된 CA 단말(CA 기능 활성화)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이에, 정보획득부(120)는, 셀(B2_b)에 접속된 단말들 중에서, 셀(B2_b)을 보조셀(SCell)로 사용하여 접속된 CA 단말(CA 기능 활성화)을,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정보획득부(120)는, 셀(B2_b)을 보조셀(SCell)로 사용하여 접속된 CA 단말(CA 기능 활성화) 모두를 후보 단말로 선정할 수도 있고, 셀(B2_b)을 보조 보조셀(SCell)로 사용하여 접속된 CA 단말(CA 기능 활성화) 중 일부를 랜덤(random)하게 선택하여 후보 단말로 선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서, 단말1,2,3,4,5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다시 말해, 단말1,2,3,4,5은, 과부하 상태인 셀(B2_b)을 보조셀(SCell)로 사용하는 CA 단말(CA 기능 활성화)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정보획득부(120)는, 전술과 같이 선정한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로부터,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중 변경 가능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보획득부(120)는, 접속된 셀 외에 인접한 셀 중 신호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인접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기지국장치(100)로 보고하도록 하는 정책을,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로 제공한다.
이때의 정책은, 에이4(A4)이벤트를 보고하도록 하는 A4이벤트정책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정보획득부(120)는, 기 설정된 임계값(A4 threshold) 및 A4이벤트가 포함된 A4이벤트정책을 rrcConnectionReconfiguration메시지에 실어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A4이벤트정책를 제공 받은 단말1,2,3,4,5 각각은, A4이벤트정책에 따라서, 접속된 셀 즉 보조셀(SCell)로 사용하고 있는 셀(B2_b) 외에 인접한 셀의 신호세기(예 : RSRP, RSRQ)를 측정하고, 측정한 신호세기가 임계값(A4 threshold) 이상인 인접 셀이 확인되면, 그에 대한 측정정보(예 : PCI, RSRP, RSRQ 등)을 기지국장치(100)에 보고(report)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A4이벤트정책에 따라 신호세기(예 : RSRP, RSRQ)를 측정하게 되는 인접한 셀이란, 접속된 셀 즉 보조셀(SCell)로 사용하고 있는 셀(B2_b)과 동일 주파수대역의 셀도 포함되고, 셀(B2_b)과 다른 주파수대역의 셀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A4이벤트정책를 제공 받은 단말1,2,3,4,5 각각은, 자신에 지정(Add, 할당) 가능한 인접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A4이벤트를 통해 기지국장치(100)로 보고(report)할 수 있다.
이에, 정보획득부(120)는,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로부터, A4이벤트정책에 따라 보고되는 인접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변경 가능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 중에서, 단말1,3,4로부터 셀(B1_c)에 대한 측정정보가 획득되고, 단말2,5로부터 셀(B3_b)에 대한 측정정보가 획득된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단말선정부(130)는,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 부하량 및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에서 변경 단말을 선정한다.
전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100)는, 부하량확인주기(T1) 마다,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로 부하량을 확인하고 있다.
따라서, 단말선정부(130)는, 이와 같이 확인되는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 부하량 및 정보획득부(120)에서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 중에서 변경 단말을 선정한다.
이하에서는,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 중에서 변경 단말을 선정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단말선정부(130)는,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 부하량 및 정보획득부(120)에서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한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 중에서 부하량이 가장 작은 후보 셀을 선정한다.
전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 중에서, 단말1,3,4로부터 셀(B1_c)에 대한 측정정보, 단말2,5로부터 셀(B3_b)에 대한 측정정보가 획득된 경우라면, 획득한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은, 셀(B1_c)과 셀(B3_b)일 것이다.
이처럼, 단말선정부(130)는, 정보획득부(120)에서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셀 즉 셀(B1_c)과 셀(B3_b)을 파악한다.
이후, 단말선정부(130)는,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 부하량에 기초하여, 후보 셀 즉 셀(B1_c)과 셀(B3_b) 중에서 부하량이 가장 작은 후보 셀을 선정할 수 있다.
물론, 후보 셀을 선정하는 방식은, 전술의 방식 이외에도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 부하량에 기초한 다양한 방식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단말선정부(130)는,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 즉 셀(B1_c)과 셀(B3_b) 중에서, 기 설정된 임계부하량(예 : Active 단말 개수 < 제3과부하임계치, 제3과부하임계치 < 제1과부하임계치 또는 무선자원 사용량 < 제4과부하임계치, 제4과부하임계치 < 제2과부하임계치) 이하인 후보 셀을 선정할 수도 있다.
이에, 단말선정부(130)는, 셀(B1_c)과 셀(B3_b) 모두 임계부하량 이하라면, 이들 모두를 선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단말선정부(130)는, 셀(B1_c)과 셀(B3_b) 모두 임계부하량 이하가 아니라면, 그때서야 셀(B1_c)과 셀(B3_b) 중에서 부하량이 가장 작은 후보 셀을 선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 즉 셀(B1_c)과 셀(B3_b) 중에서, 셀(B1_c)이 선정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그리고, 단말선정부(130)는,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 중, 전술과 같이 선정된 후보 셀 즉 셀(B1_c)에 대한 측정정보가 보고된 후보 단말을 변경 단말로 선정한다.
단말선정부(130)는, 전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 중에서 단말1,3,4로부터 셀(B1_c)에 대한 측정정보가 획득(보고)된 경우라면, 단말1,2,3,4,5 중에서 셀(B1_c)에 대한 측정정보를 보고한 단말1,3,4를 변경 단말로 선정하는 것이다.
결국, 단말선정부(130)는,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로부터 획득(보고)된 변경 가능한 후보 셀 중에서 부하 상태가 가장 우수한 셀 즉 셀(B1_c)을 보고한 후보 단말을 변경 단말로서 선정하는 것이다.
제어부(140)는, 단말선정부(130)에서 변경 단말이 선정되면, 선정된 변경 단말의 보조셀(SCell)을, 전술의 특정 셀로부터 변경 단말의 후보 셀로 핸드오버 시킨다.
여기서, 변경 단말의 후보 셀이란, 전술의 정보획득부(120)에서 획득한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 중에서 부하량이 가장 작은 후보 셀을 의미한다.
즉, 전술의 예시와 같은 경우라면, 변경 단말로 선정된 단말1,3,4의 후보 셀은, 후보 단말1,2,3,4,5로부터 획득(보고)된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 중에서 부하량이 가장 작은 후보 셀인 셀(B1_c)을 의미한다.
이에, 제어부(140)는, 전술과 같이 단말1,3,4가 변경 단말로 선정되는 경우, 단말1,3,4의 보조셀(SCell)을, 전술의 특정 셀 다시 말해 과부하 상태의 셀(B2_b)로부터 단말1,3,4의 후보 셀 즉 셀(B1_c)으로 강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과부하 상태의 셀을 보조셀(SCell)로 사용하고 있는 CA 단말 중에서, 부하 상태가 우수한 셀로의 보조셀(SCell) 변경이 가능한 일부 CA 단말에 대해서만 CA 단말의 보조셀(SCell)을 핸드오버 시켜 변경함으로써, 과부하 상태의 셀로부터 CA 단말의 보조셀(SCell)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CA 단말의 입장 만을 고려해 CA 단말의 보조셀(SCell)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기지국장치의 CA 단말 및 CA 미지원 단말 모두가 반영된 전체적인 부하 환경 즉 셀 별 부하량을 고려해 부하 상태가 우수한 셀로 CA 단말의 보조셀(SCell) 부하를 분산시키는 부하 밸런싱(load balancing)을 실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에 따르면, 기지국의 전체적인 부하 환경을 고려한 CA 단말의 보조셀(SCell) 부하 밸런싱(load balancing)을 실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CA 단말 및 CA 미지원 단말 모두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2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여기서, 기지국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B1), 제2주파수대역(B2) 및 제3주파수대역(B3)을 제공하며, 따라서 다수의 셀 즉 제1주파수대역에 따른 셀(B1_a,B1_b...B1_f), 제2주파수대역에 따른 셀(B2_a... B2_c), 제3주파수대역에 따른 셀(B3_a... B3_c)을 형성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부하량확인주기(T1) 마다,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로 부하량을 확인한다(S100).
이후,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부하량확인주기(T1) 마다 확인하는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 부하량에 기초하여,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중 과부하 상태의 특정 셀을 확인한다(S11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중 셀(B2_b)가 과부하 상태의 특정 셀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셀 예컨대 셀(B2_b)이 확인되면, 셀(B2_b)에 접속된 단말 중 셀(B2_b)을 보조셀(SCell)로 사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을 선정한다(S12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셀(B2_b)에 접속된 단말에는, 셀(B2_b)에 접속된 CA 미지원 단말, 셀(B2_b)을 기본셀(PCell)로 사용하여 접속된 CA 단말(CA 기능 활성화, 비활성화 모두 포함), 셀(B2_b)을 보조셀(SCell)로 사용하여 접속된 CA 단말(CA 기능 활성화)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셀(B2_b)에 접속된 단말들 중에서, 셀(B2_b)을 보조셀(SCell)로 사용하여 접속된 CA 단말(CA 기능 활성화)을,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셀(B2_b)을 보조셀(SCell)로 사용하여 접속된 CA 단말(CA 기능 활성화) 모두를 후보 단말로 선정할 수도 있고, 셀(B2_b)을 보조 보조셀(SCell)로 사용하여 접속된 CA 단말(CA 기능 활성화) 중 일부를 랜덤(random)하게 선택하여 후보 단말로 선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서, 단말1,2,3,4,5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선정한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로부터,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중 변경 가능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임계값(A4 threshold) 및 A4이벤트가 포함된 A4이벤트정책을 rrcConnectionReconfiguration메시지에 실어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로 제공할 수 있다(S130).
이에, A4이벤트정책를 제공 받은 단말1,2,3,4,5 각각은, A4이벤트정책에 따라서, 접속된 셀 즉 보조셀(SCell)로 사용하고 있는 셀(B2_b) 외에 인접한 셀의 신호세기(예 : RSRP, RSRQ)를 측정하고, 측정한 신호세기가 임계값(A4 threshold) 이상인 인접 셀이 확인되면, 그에 대한 측정정보(예 : PCI, RSRP, RSRQ 등)을 기지국장치(100)에 보고(report)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A4이벤트정책에 따라 신호세기(예 : RSRP, RSRQ)를 측정하게 되는 인접한 셀이란, 접속된 셀 즉 보조셀(SCell)로 사용하고 있는 셀(B2_b)과 동일 주파수대역의 셀도 포함되고, 셀(B2_b)과 다른 주파수대역의 셀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A4이벤트정책를 제공 받은 단말1,2,3,4,5 각각은, 자신에 지정(Add, 할당) 가능한 인접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A4이벤트를 통해 기지국장치(100)로 보고(report)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로부터, A4이벤트정책에 따라 보고되는 인접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변경 가능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게 된다(S140).
이하에서는,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 중에서, 단말1,3,4로부터 셀(B1_c)에 대한 측정정보가 획득되고, 단말2,5로부터 셀(B3_b)에 대한 측정정보가 획득된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00단계에서 확인한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 부하량 및 S140단계에서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에서 변경 단말을 선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00단계에서 확인한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 부하량 및 S140단계에서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한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 중에서 부하량이 가장 작은 후보 셀을 선정한다(S150).
전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 중에서, 단말1,3,4로부터 셀(B1_c)에 대한 측정정보, 단말2,5로부터 셀(B3_b)에 대한 측정정보가 획득된 경우라면, S140단계에서 획득한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은, 셀(B1_c)과 셀(B3_b)일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40단계에서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셀 즉 셀(B1_c)과 셀(B3_b)을 파악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00단계에서 확인한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 부하량에 기초하여, 후보 셀 즉 셀(B1_c)과 셀(B3_b) 중에서 부하량이 가장 작은 후보 셀을 선정할 수 있다.
물론, 후보 셀을 선정하는 방식은, 전술의 방식 이외에도 다수의 셀(B1_a,B1_b...B1_f, B2_a... B2_c, B3_a... B3_c) 별 부하량에 기초한 다양한 방식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 즉 셀(B1_c)과 셀(B3_b) 중에서, 셀(B1_c)이 선정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 중, 전술과 같이 S150단계에서 선정된 후보 셀 즉 셀(B1_c)에 대한 측정정보가 보고된 후보 단말을 변경 단말로 선정한다(S160).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 중에서 단말1,3,4로부터 셀(B1_c)에 대한 측정정보가 획득(보고)된 경우라면, 단말1,2,3,4,5 중에서 셀(B1_c)에 대한 측정정보를 보고한 단말1,3,4를 변경 단말로 선정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후보 단말 즉 단말1,2,3,4,5로부터 획득(보고)된 변경 가능한 후보 셀 중에서 부하 상태가 가장 우수한 셀 즉 셀(B1_c)을 보고한 후보 단말을 변경 단말로서 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60단계에서 변경 단말이 선정되면, 선정된 변경 단말의 보조셀(SCell)을, 전술의 특정 셀로부터 변경 단말의 후보 셀로 핸드오버 시킨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S160단계에서 단말1,3,4가 변경 단말로 선정되는 경우, 단말1,3,4의 보조셀(SCell)을, 전술의 특정 셀 다시 말해 과부하 상태의 셀(B2_b)로부터 단말1,3,4의 후보 셀 즉 셀(B1_c)으로 강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S170).
이렇게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과부하 상태의 셀을 보조셀(SCell)로 사용하고 있는 CA 단말 중에서, 부하 상태가 우수한 셀로의 보조셀(SCell) 변경이 가능한 일부 CA 단말에 대해서만 CA 단말의 보조셀(SCell)을 핸드오버 시켜 변경함으로써, 과부하 상태의 셀로부터 CA 단말의 보조셀(SCell)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CA 단말의 입장 만을 고려해 CA 단말의 보조셀(SCell)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기지국장치의 CA 단말 및 CA 미지원 단말 모두가 반영된 전체적인 부하 환경 즉 셀 별 부하량을 고려해 부하 상태가 우수한 셀로 CA 단말의 보조셀(SCell) 부하를 분산시키는 부하 밸런싱(load balancing)을 실현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 동작이 종료되지 않는 한(S180 No), 부하량확인주기(T1) 마다 S100단계를 포함한 이후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장치의 CA 단말 및 CA 미지원 단말 모두가 반영된 전체적인 부하 환경을 고려한 CA 단말의 보조셀(SCell) 부하 밸런싱(load balancing)을 실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CA 단말 및 CA 미지원 단말 모두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의 전체적인 부하 환경을 고려한 CA단말의 보조셀(SCell) 부하 밸런싱(load balancing)을 실현함으로써, CA 단말 및 CA 미지원 단말 모두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 단말
100 : 기지국장치
110 : 과부하확인부 120 : 정보획득부
130 : 단말선정부 140 : 제어부

Claims (8)

  1. 다수의 셀 별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셀 중 과부하 상태의 특정 셀을 확인하는 과부하확인부;
    상기 특정 셀에 접속된 단말 중 상기 특정 셀을 보조셀(Secondary Cell)로 사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부터, 상기 다수의 셀 중 변경 가능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상기 다수의 셀 별 부하량 및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단말 중에서 변경 단말을 선정하는 단말선정부; 및
    상기 변경 단말의 보조셀을, 상기 특정 셀로부터 상기 변경 단말의 후보 셀로 핸드오버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접속된 셀 외에 인접한 셀 중 신호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인접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로 보고하도록 하는 정책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부터 상기 정책에 따라 보고되는 상기 인접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상기 변경 가능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로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선정부는,
    상기 다수의 셀 별 부하량 및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 중에서 부하량이 가장 작은 후보 셀을 선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 중, 상기 선정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가 보고된 후보 단말을 상기 변경 단말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단말의 후보 셀은,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 중에서 부하량이 가장 작은 후보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다수의 셀 별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셀 중 과부하 상태의 특정 셀을 확인하는 과부하확인단계;
    상기 특정 셀에 접속된 단말 중 상기 특정 셀을 보조셀(Secondary Cell)로 사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부터, 상기 다수의 셀 중 변경 가능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단계;
    상기 다수의 셀 별 부하량 및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단말 중에서 변경 단말을 선정하는 단말선정단계; 및
    상기 변경 단말의 보조셀을, 상기 특정 셀로부터 상기 변경 단말의 후보 셀로 핸드오버 시키는 접속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접속된 셀 외에 인접한 셀 중 신호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인접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로 보고하도록 하는 정책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획득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로부터 상기 정책에 따라 보고되는 상기 인접 셀에 대한 측정정보를, 상기 변경 가능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로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선정단계는,
    상기 다수의 셀 별 부하량 및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 중에서 부하량이 가장 작은 후보 셀을 선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 중, 상기 선정된 후보 셀에 대한 측정정보가 보고된 후보 단말을 상기 변경 단말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단말의 후보 셀은,
    상기 획득한 측정정보에 따른 후보 셀 중에서 부하량이 가장 작은 후보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40136008A 2014-10-08 2014-10-08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1915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008A KR101915108B1 (ko) 2014-10-08 2014-10-08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008A KR101915108B1 (ko) 2014-10-08 2014-10-08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641A true KR20160041641A (ko) 2016-04-18
KR101915108B1 KR101915108B1 (ko) 2018-11-05

Family

ID=5591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008A KR101915108B1 (ko) 2014-10-08 2014-10-08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1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210A (ko) * 2016-07-18 2018-01-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20180033384A (ko) * 2016-09-23 2018-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핸드오버 파라미터 최적화 방법 및 장치
WO2018155965A1 (ko) * 2017-02-24 2018-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하 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02133A (ko) * 2017-06-29 2019-01-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 그 장치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9465A (ja) * 2011-07-28 2011-11-24 Ntt Docomo Inc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KR20120101589A (ko) * 2010-01-08 2012-09-13 알까뗄 루슨트 비활성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들을 측정하도록 사용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1589A (ko) * 2010-01-08 2012-09-13 알까뗄 루슨트 비활성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들을 측정하도록 사용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JP2011239465A (ja) * 2011-07-28 2011-11-24 Ntt Docomo Inc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210A (ko) * 2016-07-18 2018-01-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20180033384A (ko) * 2016-09-23 2018-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핸드오버 파라미터 최적화 방법 및 장치
WO2018155965A1 (ko) * 2017-02-24 2018-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하 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160000B2 (en) 2017-02-24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load balanc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02133A (ko) * 2017-06-29 2019-01-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 그 장치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108B1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4141B2 (e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for sidelink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JP7136797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TWI461075B (zh) 用於在無線頻段中對複數個通道之掃描參數進行最佳化之方法
RU2561859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дачи отчетов о результатах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измерений
JP2020523922A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US100852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random access on small cell under dual connectivity
EP2938121B1 (en) Shunting processing method, and control unit and system
JP2016512400A (ja) 自己組織化ネットワークのキャパシティ及びカバレージ最適化の調整
JP2013541286A (ja) 切替情報の通知方法および基地局
US11470672B2 (en) Multi-connection recovery method in non-activated state and device therefor
US9930581B2 (en) Addressing communication failure in multiple connection systems
CN112449387A (zh) 一种通信方法、终端及基站
KR20180052597A (ko) 채널 측정 및 측정 결과 리포팅 방법 및 장치
KR101915108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N105407511A (zh) 一种用户设备接入载波聚合网络的方法及装置
CN109842962B (zh) 双连接中测量需求的确定方法及装置、存储介质、用户终端
CN115278719A (zh) 小区重选的方法、通信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228116B1 (en) Detection of sleeping cel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2003899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From a Wireless Device to a Network
CN106688269B (zh) 用于确定无线设备是否是由于负载平衡原因而切换到目标小区的合适候选者的无线电网络节点和方法
CN116137726A (zh) 数据传输方法、远端ue、中继ue及存储介质
EP4007337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node
US20170339604A1 (en) Configuration method for coexistent interference frequency set, base station and ue
KR101915114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11286B1 (ko) 적응적인 셀 모드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