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759A - 설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설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759A
KR20180092759A KR1020170018909A KR20170018909A KR20180092759A KR 20180092759 A KR20180092759 A KR 20180092759A KR 1020170018909 A KR1020170018909 A KR 1020170018909A KR 20170018909 A KR20170018909 A KR 20170018909A KR 20180092759 A KR20180092759 A KR 20180092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communication
profile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원
박진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8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2759A/ko
Publication of KR2018009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13Household appliance in gener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14HVAC, heating, ventillation, clima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류 또는 제조사가 상이한 복수의 설비기기와,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각각의 설비기기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지정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의 통신을 설정하고, 설정된 프로파일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여 종류 또는 제조사가 상이한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저장된 프로파일을 이용함에 따라 손쉽게 설비기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고, 연결되는 설비기기의 종류 또는 제조사에 관계없이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새로운 설비기기를 용이하게 추가하거나 기존에 연결된 설비기기를 제거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고 제품의 호환성 및 확장성이 향상되고, 제어 및 관리가 용이하여 설비기기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설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Facility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설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설비기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관리하는 설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또한, 산업용 공기조화기 또는 중앙식 공기조화기의 경우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진 냉각기에서 물을 냉각하고 냉각기에서 냉각된 물을 이용하여 빌딩, 공장, 체육관 등과 같은 대형 건물의 실내를 공조한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뿐 아니라, 환기장치, 냉각장치, 조명장치 등의 설비기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하나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전국에 위치하는 체인 시스템에서는 각 지점별로 공기조화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설비기기가 설치되고, 이러한 설비기기를 관리하도록 네트워크가 구축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복수의 설비기기는 제품의 종류, 제조사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구성되므로,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종류의 설비기기라고 하더라도 제조사에 따라 제어방식이나 통신방식이 상이하고, 상이한 설비기기라고 제조사가 동일하면 동일한 통신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2061859에는, 공조기기는 물론, 쇼케이스, 쇼케이스 실외기를 제어하는 수퍼마켓용 중앙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 설비기기의 프로토콜은 제품별 버전별로 상이하고, 새로운 제품이나, 제조사가 상이한 제품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설비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그에 따른 통신프로그램 또는 관련데이터가 필요하고, 해당 데이터를 중앙제어장치에 탑재하여야 하므로, 중앙제어장치에서, 다양할 설비기기를 연결하여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설비기기가 연결되는 시스템에서, 복수의 설비기기를 상호 연결하여 제어하면서, 손쉽게 새로운 설비기기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설비기기를 상호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설비기기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설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기기 시스템은, 종류 또는 제조사가 상이한 복수의 설비기기;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각각의 설비기기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지정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의 통신을 설정하고, 설정된 프로파일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여 종류 또는 제조사가 상이한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종류 또는 제조사가 상이한 복수의 설비기기와 제어기가 연결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 중 하나의 설비기기에 대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프로파일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설비기기와의 통신에 성공하면, 상기 설비기기에 프로파일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상기 프로파일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여 종류 또는 제조사가 상이한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설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설비기기에 대한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연결되는 설비기기에 적용 가능한 프로파일을 탐색하여 적용함으로써 연결되는 설비기기의 종류 또는 제조사에 관계없이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프로파일을 이용함에 따라 손쉽게 설비기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고, 새로운 설비기기를 용이하게 추가하거나 기존에 연결된 설비기기를 제거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고 제품의 호환성 및 확장성이 향상된다.
또한, 복수의 설비기기를 하나의 제어기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설비기기가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설비기기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공간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시스템의 제어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 는 도 3의 제어기와 설비기기 간의 통신을 위한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시스템의 설비기기에 대한 프로토콜 적용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시스템의 설비기기에 대한 프로파일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7 은 도 6의 프로파일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메뉴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시스템의 설비기기 연결에 따른 제어방법이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공간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기기 시스템은, 실내기 및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51, 52)와, 복수의 설비기기(61 내지 81)를 포함한다. 또한, 설비기기 시스템은 복수의 설비기기와 연결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10)를 포함한다.
설비기기 시스템은, 공기조화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설비기기가 상호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또한, 복수의 설비기기는 제어기(10)와 연결되어 그 동작이 제어된다.
설비기기에는, 공기조화기(51, 52)뿐 아니라, 냉장고, 냉동고, 온장고 등의 냉난방기기, 조명장치 및 보안장치가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의 이동장치 또한 설비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미도시) 및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51, 52)를 포함하며 실내기는 실내공간의 크기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실내기는 실내를 공조시키고,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 실내 공조 부하에 따라 함께 혹은 단독으로 운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온도에 따라 냉방사이클 또는 난방사이클로 동작하여 실내공간에 냉기를 토출하거나, 온기를 토출한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외기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고, 실외기와 통신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51, 52)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냉방사이클 또는 난방사이클로 동작한다.
또한, 실외기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하여, 냉방사이클 또는 난방사이클로 동작하며, 그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및 실외기 이외에도,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제습장치, 가습장치와 같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 실내기 및 실외기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실외기 및 실내기의 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조명장치(61, 62, 63)는 복수의 조명설비가 각각 연결된 스위치에 의에 제어된다. 조명장치(61 내지 63)는 실내공간의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밝기를 제어하고, 또한, 어느 하나의 설비기기를 비추도록 설치될 수 있다.
냉장고(74) 또는 쇼케이스(71,72)는 내부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여 식품을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쇼케이스는 냉각 사이클에 따라 냉기를 토출하여 내부 온도가 낮아지도록 조절한다.
냉동고(73) 또한, 내부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여, 식품을 냉동하거나, 냉동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냉동고는 냉각 사이클에 따라 저온의 냉기를 토출한다.
냉장고와 냉동고는 모두 냉각 사이클에 따라 동작하나, 내부의 설정온도가 상이하게 설정된다.
온장고(미도시)는 열을 발생하여 내부의 식품이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고, 또한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여, 내부의 물건이 따뜻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설비기기는 계산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산기는 금전을 관리하고 영수증을 발급한다.
제어기(10)는 복수의 설비기기와 연결되어, 각 설비기기별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기(10)는 설비기기의 동작을 온, 오프(ON, OFF)제어하고, 실내공간의 환경에 대응하여 온도, 습도, 조도를 제어하여 제상운전의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0)는 각 설비기기에 대하여, 소비되는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력소비를 분석하여 전력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기(10)는 연결되는 설비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연결되는 설비기기의 종류 또는 제조사에 관계없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을 설정하여 복수의 설비기기와 통신한다. 제어기(10)는 복수의 설비기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복수의 설비기기와의 통신을 제어하고, 설비기기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경우, 그에 따른 설비기기의 데이터를 관리한다.
또한, 제어기(10)는 중앙서버와 연결되어, 중앙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각 설비기기를 제어하고, 또한, 복수의 설비기기에 대한 데이터를 중앙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기기 시스템은, 중앙서버(20)와 단말(40)(41, 42)을 더 포함한다.
설비기기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독립된 시스템으로 동작할 수 있고, 또한, 중앙서버(20)와 연결되어 하나의 지점으로써 동작하며, 복수의 지점이 중앙서버와 연결되어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의점, 제과점, 카페 등의 상점에는 이와 같이 복수의 설비기기(30)가 설치되고, 제어기(10)와 상호 연결됨에 따라 복수의 설비기기(30)가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거나, 제어기(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점은 복수일 수 있고, 각각의 상점은 각각 중앙서버와 연결되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복수의 상점이 상호 연결되면, 각 상점은 지점으로써 중앙서버에 의해 관리된다.
중앙서버(20)는, 각각의 설비기기 시스템과 연결되어 복수의 지점을 연결하고, 복수의 지점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설비기기의 사용, 전력소비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서버(20)는 지점별, 설비기기의 종류별, 설비기기의 제조사, 지점의 위치에 따른 전력소비량의 평균, 전력소비량의 변화, 지점별 전력소비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중앙서버(20)는 설비기기 또는 지점별 사용패턴, 지점별 또는 지역별 온도제어 특성을 산출할 수 있다. 중앙서버(20)는 산출되는 통계데이터를 바탕으로, 설비기기 시스템의 설비기기 제어를 위한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고, 지점의 위치에 따라 구비되는 설비기기의 구성을 상이하게 설정하도록 제안할 수 있다.
중앙서버(20)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한다.
중앙서버(20)는 서비스 센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설비기기(30)의 고장에 대한 수리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고, 진단서버와 연결되어 설비기기의 이상을 진단하도록 한다.
단말(40)(41, 42)은 중앙서버(20)에 접속하여, 중앙서버(20)를 통해, 특정 지점의 설비기기(30)에 대한 데이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특정 지점에 대한 고장진단을 요청하거나, 서비스 센터 연결을 중앙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단말(40)은 설비기기에 대한 중앙서버의 통계데이터를 수신한다.
단말(40)은 접속 권한을 가진 단말로, 중앙서버(20) 접속 시, 사용자 또는 단말에 대한 인증을 통과하면, 설비기기 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다. 단말(40)은 하나 또는 복수의 지점에 대한 접속 권한을 포함할 수 있고, 설정된 접속권한에 따라 표시되는 데이터가 제한되어 나타나며, 설비기기 제어에 대한 권한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단말(40)은 통신모듈이 탑재되어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하고 공기조화기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기기로, 컴퓨터, 랩톱, 스마트폰, PDA, 태블릿PC 등의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기(10)는 중앙서버(20)와 연결되는 경우, 지점제어기로써 동작하고, 중앙서버로부터 접속권한이 부여된, 고유의 아이디를 할당받아, 중앙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기(10)와 단말(40)은 각각 상이한 접속권한이 부여될 수 있고, 제어기의 접속권한을 이용하여 단말(40)을 통해 중앙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시스템의 제어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지점에 구비되는 제어기(10)는 조명제어부(190), 공기조화기제어부(170), 냉장고제어부(180), 보안제어부(200), 데이터부(120), 통신부(160), 입력부(140), 출력부(130), 설비기기연결부(150), 그리고 제어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입력부(14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설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출력부(130)는 지점 내의 각 설비기기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각 설비기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며, 경우에 따라 특정 효과음 또는 경고음을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130)는 중앙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한다.
데이터부(120)에는 공기조화기, 조명장치, 보안장치, 쇼케이스 등의 냉장고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121)가 저장되고, 설비기기(30)로부터 수신되는 설비기기 데이터(122), 복수의 설비기기와 연결하여 통신하기 위한 통신프로파일(123)이 저장된다. 통신프로파일은, 설비기기의 종류 또는 제조사에 따라 상이한 통신방식, 프로토콜, 통신데이터의 구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통신프로파일은 제어기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중앙서버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설비기기연결부(150)는 복수의 설비기기(30)가 연결되는 연결포트 또는 연결단자가 구비된다. 설비기기연결부(150)는 설비기기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연결포트를 구비한다. 설비기기연결부(150)는 연결포트에 설비기기가 연결되는 경우, 연결감지 신호를 입력한다.
또한, 설비기기연결부(150)는 통신부(160)와 연결되어, 연결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통신부(160)로 인가하고, 통신부(16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연결된 설비기기(30)로 전송한다.
통신부(160)는 복수의 설비기기(30)와,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선통신방식의 경우 설비기기연결부(150)를 통해 연결되거나, 별도의 통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60)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설비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연결되는 설비기기(30)의 종류 또는 제조사에 대응하여, 각각 설정된 프로파일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통신부(160)를 통해 중앙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공기조화기, 조명장치, 보안장치, 냉장고 등에 대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각각 공기조화기제어부(170), 냉장고제어부(180), 조명제어부(190), 보안제어부(200)로 인가한다. 그에 따라 공기조화기제어부(170), 냉장고제어부(180), 조명제어부(190), 보안제어부(200)는 각각 통신부(160) 또는 설비기기연결부(150)를 통해 연결되는 설비기기(30)에 대하여 운전설정 및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복수의 설비기기(30)에 대한 데이터가 통신부(160)를 통해 수신되면, 데이터부(120)에 설비기기데이터(122)로 저장되도록 하고, 중앙서버의 요청에 따라 설비기기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중앙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복수의 센서(미도시)를 통해 지점 내의 내부 온도 및 외부온도 그리고 습도를 측정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기기별 소비전력에 대응하여 설비기기(30)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중앙서버(20)로부터 소비전력에 따른 설비기기 제어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그에 따라 각 설비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설비기기(30)가 연결되면, 등록 여부를 확인하고, 새로운 설비기기인 경우, 통신프로파일에 저장되는 복수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통신부(160)가 설비기기와 통신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설비기기(30)의 응답 여부에 대응하여, 설비기기에 대한 프로파일을 설정하고, 설비기기를 등록한다. 통신부(160)는 설비기기에 설정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설비기기와 통신한다.
제어부(110)는 설비기기(30)에 대한 프로파일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메뉴를 제공하고, 제어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설비기기에 대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중앙서버로 프로파일을 요청할 수 있고, 수신되는 프로파일을 등록하여 설비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제어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실외기, 실내기(51, 52), 환기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공기조화기제어부(170)는 통신부 또는 설비기기연결부(150)를 통해 제어명령이 전송되도록 한다. 공기조화기제어부(170)는 실내기 설정에 따라 압축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제어하여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냉온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한다. 또한, 공기조화기제어부(170)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환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실내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환기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공기조화기제어부(170)는 실외기 및 실내기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냉장고제어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쇼케이스, 냉장고, 냉동고, 온장고의 동작 및 온도를 제어하고, 그에 따른 냉각 또는 히팅 사이클을 제어한다.
조명제어부(190)는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되는 조명장치에 대하여, 조명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제어하거나, 복수의 조명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실내공간의 밝기에 따라 조명의 밝기를 조절한다.
보안제어부(200)는 보안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데이터부에 저장하고, 감시모드를 설정하여, 영상데이터로부터 실내공간 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경고가 출력되도록 하고, 보안업체로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복수의 설비기기(30)가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는 경우, 그에 대한 동작을 설정하고, 복수의 설비기기에 대한 스케줄을 관리하여 공기조화기제어부(170), 냉장고제어부(180), 조명제어부(190), 보안제어부(200)로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중앙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공기조화기제어부(170), 냉장고제어부(180), 조명제어부(190), 보안제어부(200)로 인가한다. 그에 따라 공기조화기제어부(170), 냉장고제어부(180), 조명제어부(190), 및 보안제어부(200)는 각각의 설비기기에 대한 동작 및 동작설정을 제어한다.
도 4 는 도 3의 제어기와 설비기기 간의 통신을 위한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설비기기의 제품이 변경되거나, 버전이 업그레이드되는 경우, 새로운 설비기기가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설비기기에 대한 프로파일을 수신하거나, 또는 새로운 설비기기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설비기기에 적합한 프로파일을 설정한다. 그에 따라 통신부는 지정된 프로파일에 따라 설비기기와 통신한다. 제어부(110)는 제어기 자체 프로그램을 수정하지 않고도, 데이터부에 저장된 설비기기데이터에 새로운 프로파일을 추가하거나, 기 프로파일을 새로운 프로파일로 갱신한다.
제어부(110)는 저장된 프로파일을 설비기기에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새로운 설비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전송시 사용된 프로파일을 새로운 설비기기의 프로파일로 설정하여, 이후 통신에 사용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설비기기에 대한 프로파일 설정이 완료되면, 해당 설정을 통신부로 인가하고, 통신부(160)는 제어부의 설정에 따라, 특정 설비기기와 통신 시, 기 설정된 프로파일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0)는 설비기기 및 제어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 외에, 설치되는 설비기기와의 통신을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어기(10)의 통신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230)을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유선, 무선 등의 통신방식에 따라 설비기기에 대응하는 통신모듈이 적용되도록 하고, 통신을 위한 데이터의 포맷, 프로토콜에 따라 설비기기에 특정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설비기기와 통신하도록 한다.
설비기기가 초기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기 등록된 복수의 프로파일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통신부(160)를 통해 연결된 설비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설비기기의 응답 여부에 따라 통신용 프로파일을 설정한다.
통신모듈(230)은, 설비기기의 종류에 따른 기기 구성부(Configuration Loading)(234), 설비기기의 데이터 포맷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파싱 및 업데이트부(Parsing and update)(235), 설비기기에 프로파일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폴링리스트 관리부(Polling List Manager)(233), 제어리스트관리부(Control List Manager)(232), 통신관리부(Communication Manager)(231)을 포함한다.
통신모듈(230)은 기기설정 데이터(210)와, 설치정보(DB)(220)를 바탕으로, 설비기기에 대한 통신설정을 수행하고,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관리한다. 설치정보(DB)(220)는 복수의 설비기기에 대한, 타입과, 설비기기의 개수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기기설정 데이터(210)와, 설치정보(DB)(220)는 통신모듈 내의 별도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고, 데이터부(120)에 포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별도의 데이터부로 구비될 수 있다.
기기 구성부(Configuration Loading)(234)는 프로토콜의 내용을 가지고 있는 파일을 로딩해서 내부 메모리에 적재하고 해당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설비 연동시 설정 내역을 적용하도록 준비한다.
파싱 및 업데이트부(Parsing and update)(235)는, 기본 통신방식을 바탕으로, 예를 들어 제어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에서 사용하는 통신방식을 통해 읽어 들인 정보를 설비기기의 프로토콜 방식으로 파싱하고, 업데이트한다.
폴링리스트 관리부(Polling List Manager)(233)는 설치정보(DB)(220)에 설정된 설비기기의 타입, 개수에 따라서 폴링(polling)할 데이터를 버퍼(buffer)에 저장한다.
제어리스트관리부(Control List Manager)(232)는 제어부(110)의 제어큐(queue)를 확인해서 제어할 대상에 대한 제어정보를 버퍼(buffer)에 저장한다.
통신관리부(Communication Manager)(231)는, 버퍼에 저장된 제어리스트와 폴링리스트에, 설정정보를 적용하여 설비기기로 전송하고, 설비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을 관리한다. 통신관리부(231)는 설비기기로 전송할 데이터를 설비기기 정보에 따라 파싱 및 업데이트하고, 제어부의 제어명령을 버퍼에 저장한 후,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제어명령)를 해당 설비기기와 연결된 지정된 포트에 할당하여설비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시스템의 설비기기에 대한 프로토콜 적용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0)는 복수의 설비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복수의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설비기기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탐색하여 설비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하도록 설정한다.
제어부(110)는 입력되거나, 수신되는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성한다.
통신모듈(230)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하되, 모드버스와 제조사 전용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프로파일에는 제조사별로 상이한 모드버스와 전용프로토콜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다.
제어부(110)는 새로운 설비기기가 설치되는 경우, 기 설비기기가 새로운 모델로 변경되는 경우, 기 설비기기의 버전이 변경되는 경우에 대하여, 제어기를 변경하지 않고, 새로운 프로파일을 입력 또는 수신받아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설비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한다.
제어기(10)에 설비기기가 설비기기연결부(150)에 통신선 등으로 연결되면, 제어부(110)는 복수의 프로파일을 순차적으로 설정하여 통신부(160)를 통해 통신을 시도한다.
통신부(160)는 하나의 설비기기에, 복수의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통신을 시도하고, 설비기기로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통신시도를 중지하고 제어부(110)로 통신성공에 따른 신호를 입력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통신에 성공한 프로파일을 설비기기의 프로파일로 설정한다. 통신부(160)는 프로파일이 설정되면, 다음 통신부터는 설정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설비기기와 통신한다.
제어부(110)는 통신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다른 설비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통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통신부(160)는 모든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통신을 시도하였으나,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실패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제어부(110)는 화면에 새로운 프로파일이 필요함을 알리는 안내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고, 프로파일 설정메뉴를 실행하거나, 또는 새로운 프로파일을 외부의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프로파일 설정메뉴 또는 통신설정메뉴를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새로운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거나, 기 프로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제 1 프로파일(251)을 이용하여, 실내기(51), 실외기(55), 제 2 쇼케이스(72)와의 통신에 성공하면, 제어부(110)는 실내기(51), 실외기(55), 제 2 쇼케이스(72)가 제 1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냉장고(74), 제 1 쇼케이스(71), 온장고(75)는 제 2 프로파일(252)을 통해 통신할 수 있고, 냉동고(73), 제 1 조명장치(61)는 제 3 프로파일에 따라 통신할 수 있으며, 제 2 조명장치(63)와, 보안장치(80)는 제 n 프로파일(259)을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제어부(110)는 설비기기에 대한 통신을 설정한다.
동일한 종류의 설비기기라도, 모델이나 제조사에 따라 상이한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이한 프로파일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시스템의 설비기기에 대한 프로파일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제어부(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을 생성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받아 설비기기에 대한 통신을 설정한다. 제어부(110)는 하나의 프로파일에 송신프로파일(291)과 수신프로파일(292)을 포함한다.
프로파일에는 사용하는 통신프로토콜의 이름, 순서(Index), 시작비트(Start), 길이(Bits), 타입(Type), 비트값(Value)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즉 제어부(110)는 통신프로토콜에 대한 상세정보 또는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위와 같은 명세정보만으로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프로파일(291)에는, 통신에 필요한 명령모드(Command mode), 필터싸인(Filter Sign), 버전(Version), 주소(Address), 전송크기설정(SETAITVOL), 방향설정(SETDIRECTION) 등에 대하여, 각각 이름, 순서, 시작비트, 길이, 비트값, 타입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수신프로파일(292)에는 명령모드(Command mode), 에러(ERROR), 사이클(CYCLE), 주소(Address) 등에 대하여, 각각 이름, 순서, 시작비트, 길이, 비트값, 타입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도면은 실시예로 일부만을 기재하고, 구체적인 데이터는 생략한다.
도 7 은 도 6의 프로파일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메뉴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통신설정메뉴를 실행하여, 복수의 설비기기에 대한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화면에 통신설정메뉴를 표시하고, 입력부를 통해, 입력/선택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프로파일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프로파일을 추가할 수 있다.
통신설정메뉴에는 지점목록(301)이 표시되고, 어느 하나의 지점이 선택되면,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기기목록(302)이 표시된다.
이때, 소정 지점의 설비기기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DB저장키(311)를 통해 프로파일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전송키(312)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설비기기목록(302)의 상부에는 설비기기가 연결되는 설비기기연결부의 연결포트별로 설비기기 목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트메뉴가 구비된다. 포트4가 선택되면, 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설비기기의 목록이 설비기기목록(302)에 표시된다. 포트를 변경하면, 변경된 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설비기기의 목록이 표시된다.
또한, 설비기기목록(302)의 하단에는 복수의 제어키(313)가 구비되어 설비기기에 대한 설정을 추가, 수정, 삭제할 수 있다. 제어키에는 추가키, 잘라내기키, 수정키, 복사키, 삭제키, 붙여넣기키, 설정키가 포함된다.
설비기기목록(302)에서 어느 하나의 설비기기가 선택되면, 해당 설비기기에 대한 통신정보창(303)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쇼케이스 중, '채소다단' 이 선택되면, 쇼케이스 제어를 위한, 주소, 이름, 포맷, 속성, 시작비트, 사이즈, 타입 등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가 통신정보창(303)에 표시된다.
앞서 설명한 프로파일의 각 항목이 통신정보창에 목록으로 표시된다. 통신정보창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프로파일 중 해당 항목을 수정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설비기기 또는, 모니터링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에 대하여 관제점으로 설정할 수 있고, 관제점은 복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통신설정메뉴를 통해 변경될 수 있다. 관제점이란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준이되는 위치로, 해당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다른 설비기기와의 연결관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쇼케이스와 동일한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설비기기가 연결되는 경우, 쇼케이스의 통신정보를 복사하여 새로운 설비기기의 통신정보로 적용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시스템의 설비기기 연결에 따른 제어방법이 도시된 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기기(30)가 제어기(10)에 연결된다(S310). 설비기기는 제어기의 설비기기연결부에 통신선 등으로 연결될 수 있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설비기기연결부의 연결감지신호를 통해 설비기기를 인식하고, 설비기기에 대한 프로파일을 수신하거나, 또는 입력하여 저장한다(S320).
설비기기에 대한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설비기기에 대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프로파일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통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S330).
설비기기에 대한 특정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통신을 시도한 후, 통신에 실패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로파일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통신부는 기 저장된 프로파일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설비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소정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 통신부(160)는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통신성공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로 인가한다. 통신부(160)는 다른 프로파일을 이용한 설비기기와의 통신시도는 중지한다.
제어부(110)는 응답이 수신된 프로파일을 해당 설비기기의 프로파일로 설정한다(S370). 통신부(160)는 설비기기에 대한 통신시도를 중지한다.
한편, 제어부(110)는 설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상적인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응답이 수신되기는 하였으나, 데이터에 이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는 통신실패로 판단한다. 그에 따라 통신부는 다른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설비기기로 전송함으로써 통신을 재시도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데이터가 정상인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성공으로 판단하여, 응답이 수신된 프로파일을 해당 설비기기의 프로파일로 설정한다. 통신부(160)는 설비기기에 대한 통신시도를 중지한다.
한편, 통신부(160)는 설비기기로 부터 소정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다음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다시 통신을 시도한다(S350, S330, S340).
통신부(160)는 모든 프로파일에 대하여 통신을 시도하였으나,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S350), 통신실패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제어부(110)는 새로운 프로파일을 요청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실패에 대한 에러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프로파일 설정메뉴를 실행하거나, 또는 외부로, 예를 들어 중앙서버로 프로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S360).
새로운 프로파일이 입력되거나, 또는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새로운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통신부는 새로운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설비기기에 대한 통신을 시도한다.
제어부(110)는 하나의 설비기기에 대한 통신설정이 완료되면, 다음 설비기기에 대하여 복수의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통신을 시도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그에 따라 통신부는 프로파일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다음 설비기기와 통신을 시도한다.
통신부는 모든 설비기기에 대한 통신설정이 완료되기까지 프로파일을 이용한 통신시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설비기기에 대한 통신설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설비기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입력되는 설정에 따라 설비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S380).
따라서, 본 발명은 모델이나 제조사가 상이하더라도, 통신방식 등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통신프로토콜의 이름, 시작비트, 길이, 타입 등의 정보가 포함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복잡한 설정없이 설비기기의 통신을 설정하고, 설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품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프로파일을 통해 설비기기 간의 통신이 가능함에 따라 호환성 및 확장성이 증가한다. 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설비기기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설비기기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 및 관리가 쉬워 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제어기 20: 중앙서버
30: 설비기기 40: 단말
50: 공기조화기 60: 조명장치
70: 냉장고
80: 보안장치
110: 제어부 120: 데이터부
160: 통신부 150: 설비기기연결부
170: 공기조화기제어부 180: 냉장고제어부
190: 조명제어부 200: 보안제어부

Claims (18)

  1. 종류 또는 제조사가 상이한 복수의 설비기기;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각각의 설비기기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지정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의 통신을 설정하고, 설정된 프로파일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여 종류 또는 제조사가 상이한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기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는, 실내기, 실외기, 쇼케이스, 냉장고, 냉동고, 온장고, 조명장치, 보안장치, 환기장치, 히팅장치, 가습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기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통신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설비기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통신을 시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설비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설비기기의 응답 여부에 따라 통신성공에 다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인가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설비기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응답이 수신된 프로파일을 상기 설비기기의 프로파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에 대하여 각각 프로파일을 설정하여 통신설정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기기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하나의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상기 설비기기로 통신을 시도한 후, 소정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통신성공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기기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소정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다음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통신을 재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기기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기 저장된 모든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상기 설비기기와 통신을 시도하여, 상기 설비기기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통신실패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기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실패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면, 새로운 프로파일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기기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실패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면, 프로파일 설정메뉴를 실행하여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새로운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기기 시스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프로파일과 송신프로파일로 구성된 상기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수신프로파일 또는 상기 송신프로파일은,
    통신에 사용되는 명령모드(Command mode), 필터싸인(Filter Sign), 버전(Version), 주소(Address), 전송크기설정(SETAITVOL), 방향설정(SETDIRECTION) 등의 통신정보가, 각각통신프로토콜의 이름, 순서(Index), 시작비트(Start), 길이(Bits), 타입(Type), 비트값(Valu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기기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앙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중앙서버로 새로운 프로파일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기기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와 상기 제어기로 구성되는 지점과, 복수로 연결되고,
    복수의 지점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의 사용 및 전력소비에 따른 통계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기기 시스템.
  13. 종류 또는 제조사가 상이한 복수의 설비기기와 제어기가 연결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 중 하나의 설비기기에 대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프로파일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설비기기와의 통신에 성공하면, 상기 설비기기에 프로파일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상기 프로파일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여 종류 또는 제조사가 상이한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설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설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의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상기 설비기기로 통신을 시도한 후, 상기 설비기기로부터 소정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프로파일을 상기 설비기기의 프로파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설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의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상기 설비기기로 통신을 시도한 후, 상기 설비기기로부터 소정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다음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통신을 재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설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을 모두 적용하여 상기 설비기기와 통신을 시도한 후, 상기 설비기기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통신실패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설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실패로 판단되면, 새로운 프로파일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설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실패로 판단되면, 프로파일 설정메뉴를 실행하여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새로운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설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70018909A 2017-02-10 2017-02-10 설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92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909A KR20180092759A (ko) 2017-02-10 2017-02-10 설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909A KR20180092759A (ko) 2017-02-10 2017-02-10 설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759A true KR20180092759A (ko) 2018-08-20

Family

ID=6344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909A KR20180092759A (ko) 2017-02-10 2017-02-10 설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27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1558B2 (en) Multi-air conditioner and group-unit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7201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6253675B2 (ja) 空調機試運転アプリケーション、及び空調機試運転システム
KR10137477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US10401882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r 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system
US20150081103A1 (en)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118805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for enabling updated control data
KR10230079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5003357A (ja) エアコンの中央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CN103807975A (zh) 用于控制空调的装置及其操作方法
EP2056032B1 (en)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49128B1 (ko) 공기조화기, 공기조화기의 중앙 제어기, 공기조화기의 원격 제어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34215A (ko) 유니트쿨러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하는 냉동공조 제어 방법
JP2016196978A (ja) 空気調和機の監視システム、モバイル端末及び空気調和機の情報収集アプリケーション
KR20090082727A (ko)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
KR101962628B1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266100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7057531B2 (ja) 空調システム
KR20090058988A (ko) 스탠드 얼론형 에어컨 제어기를 이용한 멀티에어컨 제어방법 및 장치
JP2000111128A (ja) 空気調和機
KR2014013288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10675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514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40136768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30118123A (ko) 공기조화기를 포함한 중앙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