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700A -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침대 - Google Patents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700A
KR20180092700A KR1020170018786A KR20170018786A KR20180092700A KR 20180092700 A KR20180092700 A KR 20180092700A KR 1020170018786 A KR1020170018786 A KR 1020170018786A KR 20170018786 A KR20170018786 A KR 20170018786A KR 20180092700 A KR20180092700 A KR 20180092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rame
cylinder
pedal
main cylinder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김종형
정혁진
이승민
김규민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8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2700A/ko
Publication of KR2018009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flui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구비한 침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는, 침대 프레임, 침대 프레임에 안착되는 고정 플레이트, 침대 프레임에서 고정 플레이트와 대향하여 안착되고, 침대 프레임의 양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프팅 플레이트, 리프팅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고, 리프팅 플레이트와 침대 프레임 간의 경사를 조절하는 유압 실린더, 및 유압식 리프팅 장치와 결합되고, 가해지는 외압에 따라 유압식 리프팅 장치 내의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페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침대{BED WITH hydraulic lift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페달을 이용한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포함하여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그 형태 및 높이 등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형 침대라 하더라도 병원 등에 사용하는 침대는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머리, 다리, 허리 등 신체의 일부분을 상하로 경사지게 하는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고령자에게 사용되는 침대는 사용자의 등받이부가 상향으로 각도 조절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그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는 매트리스의 일측을 상승시켜 TV를 시청하거나 독서 및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매트리스의 각도 조절구조는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한 나사축의 승강에 따라 이루어지며, 사용자 스스로 구동모터의 작동시간을 제어하여 목적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매트리스의 일측을 상향시킬 수 있는 구조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전자 제어장치가 필요함에 따라 가격이 비싸게 책정될 수 밖에 없고, 그에 따라 병원에서도 VIP고객을 위한 1인실 등 비싼 입원료를 지불해야하는 병실에만 상기 침대를 제공할 수 밖에 없으며 대다수를 차지하는 다인실에 상기 침대를 제공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다인실에는 수동으로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침대가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한 침대는 간호사 또는 간병인이 핸들을 조작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하지만 조작을 위한 핸들이 침대의 밖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침대높이까지 허리를 숙여서 조작을 해야하며, 팔 힘이 약한 노약자나 여성들에겐 힘이 많이 들어가고 조작에 불편함을 겪는다. 또한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는 주변에서 거동 시 충돌의 위험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0470호 (2000.02.17)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압식 리프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사용되는 침대의 등받이부 각도 조절을 함에 있어서, 침대의 하측에 페달을 이용한 유압식 리프팅 장치가 구비된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는, 침대 프레임; 상기 침대 프레임에 안착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침대 프레임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대향하여 안착되고, 상기 침대 프레임의 양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프팅 플레이트;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와 상기 침대 프레임 간의 경사를 조절하는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유압식 리프팅 장치와 결합되고, 가해지는 외압에 따라 상기 유압식 리프팅 장치 내의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페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일단부 하부에 마련되는 메인 실린더; 상기 메인 실린더와 연결되고, 종단부가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메인 실린더 내의 유압 변화에 따라 상기 메인 실린더에서 수직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실린더; 및 상기 메인 실린더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페달부와 결합되는 회동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달부는, 상기 회동 결합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마련되고, 상기 메인 실린더의 후방에서 상기 메인 실린더와 이격되며, 상기 침대 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다가 양단부가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침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 페달부; 상기 회동 결합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마련되고, 상기 메인 실린더의 전방에서 상기 메인 실린더와 이격되며, 상기 침대 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다가 양단부가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침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제1 페달부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제2 페달부; 및 상기 제1 페달부와 상기 제2 페달부 사이에서 상기 메인 실린더의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회동 결합부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페달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페달부가 외압에 따라 하강하는 경우, 상기 회동 결합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메인 실린더 내의 내압을 증가시켜 상기 이동 실린더를 수직하게 상승시키고, 상기 제2 페달부가 외압에 따라 하강하는 경우, 상기 회동 결합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메인 실린더 내의 내압을 감소시켜 상기 이동 실린더를 수직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침대는, 상기 침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실린더의 종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상승 또는 하강 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지지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압식 리프팅 장치는, 페달을 이용하여 침대의 등받이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에 있어서 침대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 침대의 외측에 구비된 수동 조절 손잡이를 이용 시 경우에 따라 허리를 숙여야 하므로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이 존재하고, 주변에서 거동 시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포함하는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리프팅 플레이트가 상승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리프팅 플레이트가 하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유압식 리프팅 장치(도 1의 참조번호 “10”)는, 페달을 이용해 힘을 전달하여 장치 내부에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상승 또는 하강운동을 할 수 있는 장치로서, 침대(도 1의 참조번호 “1”)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압식 리프팅 장치(도 1의 참조번호 “10”)를 포함하는 침대(도 1의 참조번호 “1”)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리프팅 장치(10)를 포함하는 침대(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1)는, 침대 프레임(500), 지지다리(510), 고정 플레이트(600), 및 리프팅 플레이트(700) 및 유압식 리프팅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침대 프레임(500)은 사각의 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면과 마주보는 면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침대 프레임(500)은 단부측에 복수 개의 지지다리(510)가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침대 프레임(500)의 단부측에 결합될 수 있는 지지다리(51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침대 프레임(500)과 지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지다리(510) 및 침대 프레임(500)의 상측으로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 프레임이 연장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 플레이트(600) 및 리프팅 플레이트(700)는 침대 프레임(500)의 상측에 안착되어 침대 매트리스 및 환자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침대 프레임(500)은 고정 플레이트(600) 및 리프팅 플레이트(700)를 지지하기 위한 하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리프팅 플레이트(700)는 고정 플레이트(600)와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리프팅 플레이트(700)는 유압식 리프팅 장치(10)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리프팅 플레이트(700)는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는 침대 프레임(50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리프팅 플레이트(700)의 일단부(즉, 고정 플레이트(600)와 대향하는 단부)는 침대 프레임(500)의 양 내측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리프팅 플레이트(700)는 유압식 리프팅 장치(10)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하여 침대 프레임(500)과 예각을 이루며 회동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프팅 플레이트(700)는 사각의 틀 형태로 이루어지는 침대 프레임(500)의 하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지지부에 의하여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고, 침대 프레임(500)과 예각을 이루며 유압식 리프팅 장치(10)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하여 회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압식 리프팅 장치(10)는 침대 프레임(500) 및 리프팅 플레이트(70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압식 리프팅 장치(10)는 실린더 지지부(520)에 의하여 침대 프레임(500) 및 리프팅 플레이트(70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유압식 리프팅 장치(10)는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리프팅 플레이트(700)를 상승 회동시키거나 하강 회동시켜 환자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리프팅 장치(10)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리프팅 장치(10)는, 유압 실린더(100), 지지롤러(200), 및 페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실린더(100)는 메인 실린더(110) 및 이동 실린더(120)를 포함하고, 메인 실린더(110)의 양측에는 회동 결합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실린더(110)는 실린더 지지부(520)에 의하여 침대 프레임(500) 및 리프팅 플레이트(700)의 하측에 지지될 수 있고 페달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페달부(300)는 메인 실린더(110)에 포함될 수 있는 회동 결합부(111)와 결합되어 회동 결합부(111)를 축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 지지부(520)는, 종방향 지지대(521) 및 횡방향 지지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종방향 지지대(521)는 침대 프레임(500) 및 리프팅 플레이트(700)의 하측에 유압 실린더(10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침대 프레임(500)의 양측 하면에서 수직상태로 지면을 향해 연결될 수 있다. 횡방향 지지대(522)는 침대 프레임(500)의 양측 하면에 위치하는 종방향 지지대(521)의 단부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횡방향 지지대(522)는 종방향 지지대(521)들의 단부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실린더(110)는 횡방향 지지대(522)의 상에 안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실린더(110)는 횡방향 지지대(522)의 중심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페달부(300)는 메인 실린더(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회동 결합부(111)와 결합되고, 회동 결합부(111)를 회동시킴으로써 유압 실린더(100)의 내압을 증압 또는 감압시킬 수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페달부(300)는 제1 페달부(310) 및 제2 페달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페달부(310) 및 제2 페달부(320)는 각각 메인 실린더(110)에 포함될 수 있는 회동 결합부(111)와 대칭 형태로 연결되어 회동될 수 있다. 제1 페달부(310) 및 제2 폐달부(320)는 실린더 지지부(520)의 외측에서 폐루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페달부(310) 및 제2 페달부(320) 사이에는 회동 결합부(111)와 결합되는 페달 연결부(3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페달부(310) 및 제2 페달부(320)가 실린더 지지부(520)의 외측에서 폐루프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침대 프레임(500)의 양 측에서 페달부(30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제1 페달부(310) 및 제2 페달부(320)는 회동 결합부(111)와 대응되는 높이에서 실린더 지지부(520)를 감싸되 실린더 지지부(520)와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페달부(310)는 횡방향 지지대(522)의 후방(즉, 고정 플레이트(600) 측)에 마련되고, 제2 페달부(320)는 제1 페달부(310)의 양단과 연결되며 횡방향 지지대(522)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1 페달부(310)를 밟는 경우(즉, 제1 페달부(310)가 하부로 향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경우), 메인 실린더(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회동 결합부(111)는 제1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압 실린더(100)의 내압이 증압될 수 있으며, 내압이 증압된 유압 실린더(100)는 이동 실린더(12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제2 페달부(320)를 밟는 경우(즉, 제2 페달부(320)가 하부로 향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경우), 메인 실린더(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회동 결합부(111)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반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압 실린더(100)의 내압이 감압될 수 있으며, 내압이 감압된 유압 실린더(100)는 이동 실린더(1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 실린더(120)는 단부측에 지지롤러(2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롤러(200)는 이동 실린더(120)의 상승 또는 하강 시 가이드 플레이트(210)를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10)는 리프팅 플레이트(700)의 하측면에 지지롤러(20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리프팅 플레이트(7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실린더(120)에 지지롤러(200)가 결합됨으로써, 이동 실린더(120)의 상승 시 지지롤러(200)가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면서 리프팅 플레이트(700)를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 실린더(120)의 하강 시 지지롤러(200)가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하면서 리프팅 플레이트(700)를 용이하게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1)의 리프팅 플레이트(700)가 상승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1)의 리프팅 플레이트(700)는 침대 프레임(500) 및 리프팅 플레이트(7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는 유압식 리프팅 장치(10)에 의하여 상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압식 리프팅 장치(10)는, 사용자가 제1 페달부(310)를 밟는 경우(즉, 제1 페달부(310)가 하부로 향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경우), 메인 실린더(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회동 결합부(111)는 제1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압 실린더(100)의 내압이 증압될 수 있으며, 내압이 증압된 유압 실린더(100)는 이동 실린더(12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동 실린더(120)가 상승하는 경우,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일단부에 접촉하던 지지롤러(200)가 가이드 플레이트(210)를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타단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리프팅 플레이트(70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리프팅 플레이트(700)의 일측은 고정 플레이트(600)와 분리되어 있고, 침대 프레임(500)의 양 내측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리프팅 플레이트(700)는 이동 실린더(12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리프팅 플레이트(700)는 침대 프레임(500)과 예각을 이루며 회동될 수 있다. 리프팅 플레이트(700)는 침대 프레임(500)과 이루는 예각이 60°가 될 때까지 상승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침대(1)의 사용환경에 따라 리프팅 플레이트(700)와 침대 프레임(500)이 이룰 수 있는 예각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1)의 리프팅 플레이트(700)가 하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1)의 리프팅 플레이트(700)는 침대 프레임(500) 및 리프팅 플레이트(7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는 유압식 리프팅 장치(10)에 의하여 하강될 수 있다.
침대(1)의 리프팅 플레이트(7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식 리프팅 장치(10)에 의해 리프팅 플레이트(700)가 침대 프레임(500)과 이루는 예각이 60°를 이룰 때까지 상승하면, 리프팅 플레이트(700)는 더 이상 상승할 수 없으며, 유압식 리프팅 장치(10)에 의해 리프팅 플레이트(700)가 하강될 수 있다. 하지만 이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프팅 플레이트(700)가 침대 프레임(500)과 이루는 예각이 60°를 이루지 않았을 경우에도 유압식 리프팅 장치(10)에 의하여 하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제2 페달부(320)를 밟는 경우(즉, 제2 페달부(320)가 하부로 향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경우), 메인 실린더(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회동 결합부(111)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반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압 실린더(100)의 내압이 감압될 수 있으며, 내압이 감압된 유압 실린더(100)는 이동 실린더(1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동 실린더(120)가 하강하는 경우,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타단부에 접촉하고 있는 지지롤러(200)는 가이드 플레이트(210)를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일단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리프팅 플레이트(700)를 하강시키게 된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대표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동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안될 것이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침대
10 : 유압식 리프팅 장치
100 : 유압 실린더
110 : 메인 실린더
111 : 회동부
120 : 이동 실린더
200 : 지지롤러
210 : 가이드 플레이트
300 : 페달부
310 : 제1 페달부
320 : 제2 페달부
330 : 페달 연결부
500 : 침대 프레임
510 : 지지다리
520 : 실린더 지지부
521 : 종방향 지지대
522 : 횡방향 지지대
600 : 고정 플레이트
700 : 리프팅 플레이트

Claims (5)

  1. 침대 프레임;
    상기 침대 프레임에 안착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침대 프레임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대향하여 안착되고, 상기 침대 프레임의 양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프팅 플레이트;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와 상기 침대 프레임 간의 경사를 조절하는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유압식 리프팅 장치와 결합되고, 가해지는 외압에 따라 상기 유압식 리프팅 장치 내의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페달부를 포함하는, 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일단부 하부에 마련되는 메인 실린더;
    상기 메인 실린더와 연결되고, 종단부가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메인 실린더 내의 유압 변화에 따라 상기 메인 실린더에서 수직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실린더; 및
    상기 메인 실린더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페달부와 결합되는 회동 결합부를 포함하는, 침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는,
    상기 회동 결합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마련되고, 상기 메인 실린더의 후방에서 상기 메인 실린더와 이격되며, 상기 침대 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다가 양단부가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침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 페달부;
    상기 회동 결합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마련되고, 상기 메인 실린더의 전방에서 상기 메인 실린더와 이격되며, 상기 침대 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다가 양단부가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침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제1 페달부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제2 페달부; 및
    상기 제1 페달부와 상기 제2 페달부 사이에서 상기 메인 실린더의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회동 결합부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페달 연결부를 포함하는, 침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페달부가 외압에 따라 하강하는 경우, 상기 회동 결합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메인 실린더 내의 내압을 증가시켜 상기 이동 실린더를 수직하게 상승시키고,
    상기 제2 페달부가 외압에 따라 하강하는 경우, 상기 회동 결합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메인 실린더 내의 내압을 감소시켜 상기 이동 실린더를 수직하게 하강시키는, 침대.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침대는,
    상기 침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실린더의 종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상승 또는 하강 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지지롤러를 더 포함하는, 침대.
KR1020170018786A 2017-02-10 2017-02-10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침대 KR20180092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786A KR20180092700A (ko) 2017-02-10 2017-02-10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786A KR20180092700A (ko) 2017-02-10 2017-02-10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700A true KR20180092700A (ko) 2018-08-20

Family

ID=6344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786A KR20180092700A (ko) 2017-02-10 2017-02-10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27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08771A1 (en) 2018-08-08 2020-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470Y1 (ko) 1999-12-15 2000-05-01 성심의료산업주식회사 환자용 침대의 경사각도 조절 크랭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470Y1 (ko) 1999-12-15 2000-05-01 성심의료산업주식회사 환자용 침대의 경사각도 조절 크랭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08771A1 (en) 2018-08-08 2020-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7269A (en) Adjustable bed
KR101709038B1 (ko) 침대 장치
US6161236A (en) Height adjustable bed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22037868A (ja) 寝返り支援装置
EP1350449A1 (en) Adjustable profiling beds
KR101493467B1 (ko) 의료용 침대
WO2002015834A1 (en) Arrangement in a bed for a disabled person, and a bed provided with the said arrangement
US3676881A (en) Bed locking device
KR20180092701A (ko)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침대
CA2974761A1 (en) Adjustable mattress foundation
US20220117811A1 (en) Multi-directional adjustable chair bed
KR20180092700A (ko)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침대
US10051970B1 (en) Adjustable support legs for a mattress foundation
US5619762A (en) Apparatus for assisting a person in standing from a seated position
GB2432111A (en) Adjustable bed
US10695243B2 (en) Multi-function multi-configuration care bed for enhanced patient comfort and caregiver convenience
KR20140027726A (ko) 전동 침대용 높이 조절 장치
CA2414929A1 (en) Bedside lower extremity lifting apparatus
JP2000325405A (ja) 起伏ベッドの背上げ装置
JP2017217188A (ja) 介護用移動台車
KR101890143B1 (ko) 의료용 침대
CN111557569A (zh) 一种可调整姿态的床
JP2001258952A (ja) 介護ベッド
JPH0947476A (ja) リフト装置
JPH0614621Y2 (ja) 背上げベッドの背部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