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193A - 터닝 센터 - Google Patents

터닝 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193A
KR20180092193A KR1020170017649A KR20170017649A KR20180092193A KR 20180092193 A KR20180092193 A KR 20180092193A KR 1020170017649 A KR1020170017649 A KR 1020170017649A KR 20170017649 A KR20170017649 A KR 20170017649A KR 20180092193 A KR20180092193 A KR 20180092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tool
workpiece
turning center
mach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태환
Original Assignee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7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2193A/ko
Publication of KR20180092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08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 B23B5/12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for peeling bars or tubes by making use of cutting bits arranged around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23B31/201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06Reciprocating cam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26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simultaneously turning internal and external surfaces of a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7/00Automatic or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e.g. controlled by cams; Equipment therefor; Features common to automatic and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one or more working-spindles
    • B23B7/02Automatic or semi-automatic machines for turning of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0Collet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04Adjusta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터닝 센터는 제 1 척, 공구대, 제 2 척, 제 1 엑튜에이터 및 제 2 엑튜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척은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된 공작물의 일단을 클램핑할 수 있다. 상기 공구대는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는 제 1 공구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척은 상기 공작물의 타단을 클램핑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엑튜에이터는 상기 제 2 척을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엑튜에이터는 상기 제 2 척을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척은 제 2 공구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척은 공작물의 타단뿐만 아니라 제 2 공구를 클램핑할 수가 있으므로, 터닝 센터는 제 1 및 제 2 공구들을 이용한 동시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닝 센터{TURNING CENTER}
본 발명은 터닝 센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일 공구대를 갖는 터닝 센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 기계는 터닝 센터와 머시닝 센터로 구분할 수 있다. 머시닝 센터는 회전하는 공구를 이용해서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다. 반면에, 터닝 센터는 회전되는 공작물을 공구를 이용해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터닝 센터는 공작물의 양측 단부들을 클램핑하는 제 1 및 제 2 척들을 가질 수 있다.
관련 기술들에 따르면, 제 1 척이 공작물의 일단을 클램핑한 상태로, 단일 공구대에 장착된 제 1 공구가 공작물의 일단을 가공할 수 있다. 이어서, 제 2 척이 공작물의 타단을 클램핑한 상태로, 단일 공구대에 장착된 제 2 공구가 공작물의 타단을 가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일 공구대로는 공작물을 2가지 가공 방식들로 동시에 가공할 수는 없을 것이다. 또한, 제 1 공구를 공구대로부터 분리시킨 이후, 제 2 공구를 공구대에 장착시키는 시간으로 인해서 공작물 가공 시간이 길어질 수도 있다. 특히, 공구대와 제 2 척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서, 터닝 센터가 점유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좁은 점유 면적을 가지면서 단일 공구대를 이용해서 2가지 가공 방식들로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하여 공작물 가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터닝 센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터닝 센터는 제 1 척, 공구대, 제 2 척, 제 1 엑튜에이터 및 제 2 엑튜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척은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된 공작물의 일단을 클램핑할 수 있다. 상기 공구대는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는 제 1 공구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척은 상기 공작물의 타단을 클램핑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엑튜에이터는 상기 제 2 척을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엑튜에이터는 상기 제 2 척을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2 척은 제 2 공구를 고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2 척은 상기 제 1 및 제 2 엑튜에이터들에 연결되어 상기 공작물의 타단을 클램핑하는 콜렛 척, 및 상기 콜렛 척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공구가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콜렛 척은 상기 콜렛 척의 중심부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공작물의 타단을 수용하는 수용공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수용공을 둘러싸는 상기 콜렛 척의 주변부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 2 공구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상기 수용공을 중심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2 척은 상기 콜렛 척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구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콜렛 척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수용공을 중심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구는 상기 공작물의 외경 가공용일 수 있다. 상기 제 2 공구는 상기 공작물의 내경 가공용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구들은 상기 공작물의 외경 가공용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구들은 상기 공작물의 내경 가공용일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척이 제 1 및 제 2 엑튜에이터들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방향들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 2 척은 공작물의 타단뿐만 아니라 제 2 공구를 고정할 수가 있으므로, 터닝 센터는 제 1 및 제 2 공구들을 이용한 동시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척이 제 2 엑튜에이터에 의해서 제 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제 2 척과 공구대 사이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터닝 센터가 점유하는 면적을 줄일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닝 센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닝 센터의 콜렛 척을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콜렛 척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콜렛 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콜렛 척에 제 2 공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콜렛 척에 장착된 제 2 공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터닝 센터가 제 1 및 제 2 공구들을 이용해서 제 1 척에 클램핑된 공작물의 내경과 외경을 동시에 가공하는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터닝 센터가 2개의 제 1 공구들을 이용해서 제 1 척에 클램핑된 공작물의 외경을 동시에 가공하는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터닝 센터가 제 1 공구를 이용해서 제 2 척에 클램핑된 공작물의 외경을 가공하는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닝 센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닝 센터는 제 1 척킹 유닛(100), 공구대 유닛(200) 및 제 2 척킹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구대 유닛(200)은 제 1 척킹 유닛(100)과 제 2 척킹 유닛(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척킹 유닛(100)은 공구대 유닛(20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척킹 유닛(300)은 공구대 유닛(20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척킹 유닛(100)은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된 공작물의 단부를 클램핑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은 수평 방향일 수 있다.
제 1 척킹 유닛(100)은 제 1 척킹 몸체(110), 제 1 스핀들(120) 및 제 1 척(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척킹 몸체(110)는 터닝 센터의 베드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스핀들(120)은 제 1 척킹 몸체(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척(130)은 제 1 스핀들(120)의 우측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 1 척(130)은 공작물의 일단을 클램핑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스핀들(120)의 회전에 의해서, 제 1 척(130)에 고정된 공작물도 회전될 수 있다.
공구대 유닛(200)은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방향은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인 수평 방향인 경우, 제 2 방향은 수직 방향일 수 있다.
공구대 유닛(200)은 공구대 몸체(210), 클램퍼(220), 제 1 엑튜에이터(230) 및 제 2 엑튜에이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퍼(220)는 공구대 몸체(210)에 장착될 수 있다. 클램퍼(220)는 제 1 공구(T1)를 고정할 수 있다. 제 1 공구(T1)는 공작물의 외경을 가공하는 공구일 수 있다. 제 1 엑튜에이터(230)는 공구대 몸체(210)를 제 1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엑튜에이터(240)는 공구대 몸체(210)를 제 2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엑튜에이터(230, 240)들은 실린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척킹 유닛(300)은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척킹 유닛(300)이 제 1 척킹 유닛(100)을 향하는 제 1 방향뿐만 아니라 공구대 유닛(200)을 향하는 제 2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
제 2 척킹 유닛(300)은 제 2 척킹 몸체(310), 제 2 스핀들(320), 제 2 척(330), 제 1 엑튜에이터(340) 및 제 2 엑튜에이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스핀들(320)은 제 2 척킹 몸체(3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척(330)은 제 2 스핀들(320)의 좌측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스핀들(320)의 회전에 의해서, 제 2 척(330)도 회전될 수 있다. 제 1 엑튜에이터(340)는 제 2 척킹 몸체(310)를 제 1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엑튜에이터(350)는 제 2 척킹 몸체(310)를 제 2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엑튜에이터(340, 350)들은 실린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척(330)은 주로 공작물의 타단을 클램핑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 2 척(330)은 제 2 공구(T2)도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공구(T2)는 제 1 공구(T1)와 동일한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제 1 공구(T1)가 공작물의 외경 가공용인 경우, 제 2 공구(T2)는 공작물의 내경 가공용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공구(T1, T2)들은 공작물의 외경 가공용일 수 있다. 반대로, 제 1 및 제 2 공구(T1, T2)들은 공작물의 내경 가공용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척(330)은 공작물뿐만 아니라 공구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 2 척(330)은 상기된 2가지 기능들을 갖는 콜렛 척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닝 센터의 콜렛 척을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콜렛 척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콜렛 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척(330)은 콜렛 몸체(332), 제 1 고정부(336) 및 제 2 고정부(338)를 포함할 수 있다.
콜렛 몸체(332)는 대략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콜렛 몸체(332)는 제 2 스핀들(320)에 연결될 수 있다. 수용공(334)이 콜렛 몸체(332)의 중앙부에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공작물의 타단이 수용공(334)에 수용되어, 콜렛 몸체(332)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336)는 제 1 공구(T1)를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척킹 유닛(100)을 향하는 콜렛 몸체(332)의 좌측면 가장자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336)는 제 1 공구(T1)가 삽입되는 인서트일 수 있다. 제 1 고정부(336)는 수용공(334)을 중심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고정부(338)는 제 2 공구(T2)를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고정부(338)는 콜렛 몸체(332)의 좌측면 주변부에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고정부(338)는 수용공(334)과 제 1 고정부(33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고정부(338)는 제 2 공구(T2)가 삽입되는 삽입공일 수 있다. 제 2 고정부(338)는 수용공(334)을 중심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척(330)이 2개의 고정부(336, 338)들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 2 척(330)은 서로 다른 종류의 3개 이상의 고정부들을 가질 수도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터닝 센터가 제 1 및 제 2 공구들을 이용해서 제 1 척에 클램핑된 공작물의 내경과 외경을 동시에 가공하는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작물의 일단이 제 1 척(130)에 클램핑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공구(T1)가 공구대 유닛(200)의 클램퍼(22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공구(T2)가 제 2 척(330)의 제 2 고정부(338)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공구대 유닛(200)의 제 1 및 제 2 엑튜에이터(230, 240)들에 의해서 클램퍼(220)가 공작물의 일단과 인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 2 척킹 유닛(300)의 제 1 엑튜에이터(340)에 의해서 제 2 척(330)이 제 1 방향을 따라 공작물의 일단과 인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외경 가공용인 제 1 공구(T1)와 내경 가공용인 제 2 공구(T2)가 공작물의 일단에 대한 내경 가공과 외경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터닝 센터가 2개의 제 1 공구들을 이용해서 제 1 척에 클램핑된 공작물의 외경을 동시에 가공하는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공작물의 일단이 제 1 척(130)에 클램핑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공구(T1)가 공구대 유닛(200)의 클램퍼(22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공구(T1)가 제 2 척(330)의 제 1 고정부(336)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공구대 유닛(200)의 제 1 및 제 2 엑튜에이터(230, 240)들에 의해서 클램퍼(220)가 공작물의 일단과 인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 2 척킹 유닛(300)의 제 1 엑튜에이터(340)에 의해서 제 2 척(330)이 제 1 방향을 따라 공작물의 일단과 인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외경 가공용인 2개의 제 1 공구(T1)들이 공작물의 일단에 대한 외경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터닝 센터가 제 1 공구를 이용해서 제 2 척에 클램핑된 공작물의 외경을 가공하는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공작물은 제 2 척(330)으로 이송될 수 있다. 공작물의 타단이 제 2 척(330)의 수용공(334) 내에 클램핑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공구(T1)가 공구대 유닛(200)의 클램퍼(22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작물과 제 1 및 제 2 공구(T1, T2)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1 공구(T1)와 제 2 공구(T2)는 제 2 척(330)에 고정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제 2 척킹 유닛(300)의 제 2 엑튜에이터(350)에 의해서 오직 제 2 척(330)만이 제 2 방향을 따라 공구대 유닛(20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공구대 유닛(200)과 제 2 척킹 유닛(300)의 제 1 엑튜에이터(340)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외경 가공용인 제 1 공구(T1)가 공작물의 타단에 대한 외경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척이 제 1 및 제 2 엑튜에이터들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방향들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 2 척은 공작물의 타단뿐만 아니라 제 2 공구를 고정할 수가 있으므로, 터닝 센터는 제 1 및 제 2 공구들을 이용한 동시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척이 제 2 엑튜에이터에 의해서 제 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제 2 척과 공구대 사이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터닝 센터가 점유하는 면적을 줄일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제 1 척킹 유닛 110 ; 제 1 척킹 몸체
120 ; 제 1 스핀들 130 ; 제 1 척
200 ; 공구대 유닛 210 ; 공구대 몸체
220 ; 클램퍼 230 ; 제 1 엑튜에이터
240 ; 제 2 엑튜에이터 300 ; 제 2 척킹 유닛
310 ; 제 2 척킹 몸체 320 ; 제 2 스핀들
330 ; 제 2 척 332 ; 콜렛 몸체
334 ; 수용공 336 ; 제 1 고정부
338 ; 제 2 고정부

Claims (12)

  1.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된 공작물의 일단을 클램핑하는 제 1 척;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는 제 1 공구를 고정하는 공구대;
    상기 공작물의 타단을 클램핑하는 제 2 척;
    상기 제 2 척을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 1 엑튜에이터; 및
    상기 제 2 척을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 2 엑튜에이터를 포함하는 터닝 센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척은 제 2 공구를 고정하는 터닝 센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척은
    상기 제 1 및 제 2 엑튜에이터들에 연결되고, 상기 공작물의 타단을 클램핑하는 콜렛 척; 및
    상기 콜렛 척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공구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터닝 센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렛 척은 상기 콜렛 척의 중심부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공작물의 타단을 수용하는 수용공을 갖는 터닝 센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수용공을 둘러싸는 상기 콜렛 척의 주변부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 2 공구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터닝 센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상기 수용공을 중심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개로 이루어진 터닝 센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척은
    상기 콜렛 척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구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를 더 포함하는 터닝 센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콜렛 척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터닝 센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수용공을 중심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개로 이루어진 터닝 센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구는 상기 공작물의 외경 가공용이고, 상기 제 2 공구는 상기 공작물의 내경 가공용인 터닝 센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구들은 상기 공작물의 외경 가공용인 터닝 센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구들은 상기 공작물의 내경 가공용인 터닝 센터.
KR1020170017649A 2017-02-08 2017-02-08 터닝 센터 KR20180092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649A KR20180092193A (ko) 2017-02-08 2017-02-08 터닝 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649A KR20180092193A (ko) 2017-02-08 2017-02-08 터닝 센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193A true KR20180092193A (ko) 2018-08-17

Family

ID=6340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649A KR20180092193A (ko) 2017-02-08 2017-02-08 터닝 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21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7360B2 (en) Composite working lathe
US9687912B2 (en) Tool carrier and machine tool having a tool carrier
JP3142629U (ja) 旋盤用加工物保持治具
US20140245870A1 (en) Machine tool
JP2008246632A (ja) フローティングチャック機構
KR200472903Y1 (ko) 링 가공용 소프트조
WO2019202780A1 (ja) 旋盤
JP4403211B2 (ja) 主軸移動型自動旋盤の支持ユニットのための位置決め治具
KR20180092193A (ko) 터닝 센터
US91388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the tool alignment
CN214024693U (zh) 一种用于丝杆支撑座的加工夹具
TW201711787A (zh) 工具機之夾持裝置
KR20090128157A (ko) 선반용 죠를 가공하기 위한 죠 고정장치
KR20190112913A (ko) 방진구를 갖는 공작 기계
CN101291765A (zh) 用于加工工件的装置的夹具
JP5445544B2 (ja) 複合旋盤及び複合加工方法
JP7383278B2 (ja) 加工機用ワークホルダー
JP3220450U (ja) チャッキング装置
KR20130086716A (ko) 머시닝센터의 선삭공구용 클램핑 장치
KR20060104168A (ko) 척킹장치
JPH0593706U (ja) ワークのチャック装置
KR100976027B1 (ko) 공작기계의 롱-보링용 툴 고정장치
JP3042287B2 (ja) 多軸工作機械の自動工具交換装置
KR200343536Y1 (ko) Cnc 선반
TWI587972B (zh) 刀具夾持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