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087A -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087A
KR20180092087A KR1020170017428A KR20170017428A KR20180092087A KR 20180092087 A KR20180092087 A KR 20180092087A KR 1020170017428 A KR1020170017428 A KR 1020170017428A KR 20170017428 A KR20170017428 A KR 20170017428A KR 20180092087 A KR20180092087 A KR 20180092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ier
communication module
storage
unit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진
Original Assignee
장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진 filed Critical 장영진
Priority to KR1020170017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2087A/ko
Publication of KR2018009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9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with central server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co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1 이상 구비되는 밀폐형 구조의 무인택배 보관함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도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보관함제어부와, 상기 보관함제어부와 연동되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과 연동하는 앱을 다운로드하며,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과 비콘통신이 가능한 비콘 통신모듈이거나, NFC 통신이 가능한 NFC 태그를 포함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DELIVERY SYSTEM USING HOME DELIVERY FREIGHT DEPOSIT BOX}
본 발명은 NFC 태그 또는 비콘통신모듈를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특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가족 구조가 핵가족화되었다는 것과,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과 같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여성의 지위 향상으로 인하여 미혼여성은 물론 기혼여성의 취업인구가 증가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 티브이 홈쇼핑 및 통신판매와 같은 온라인상의 상품판매량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비교적 부피가 큰 우편물이나 택배물이 수령인이 부재중일 때 배달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종래의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에 있어서는 수령인이 부재중일 때 배달되는 우편물이나 택배물을 경비실에서 접수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저녁 무렵에 해당 가정에 전화로 통보하여 그 물건을 찾아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 우편물 배달원이나 택배물 배달원이 경비실로 이동하여 우편물이나 택배물의 보관을 부탁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경비실 근무자 입장에서 볼 때 수령인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 우편물이나 택배물을 찾아가라고 통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경비실에 근무자가 자리를 비우는 경우 아예 우편물이나 택배물을 배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가 함께 생활하는 공간에서는 아파트 경비원이 택배기사가 할일을 대변해야 하는 상황이 매우 많아지게 되며, 경비원의 부재시에 택배기사의 부재를 빌미로 배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빈번히 일어나 주민과 경비원, 관리사무소와의 마찰이 심화되는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2002-000552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NFC 통신모듈이나 비콘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보관함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NFC 통신모듈이나 비콘통신모듈과 연동되는 앱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수신받은 수신자가 보관함을 개폐하여 택배를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함의 일측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보관기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입력된 보관기간이 지난 보관함은 관제실 또는 수령자에게 통보하여 보관중인 물품이 수거되거나 반송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파트 내 설치되는 무인택배 보관함을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음은 물론 대기 시간없이 실시간으로 택배발송 및 수령이 가능하여 보관중인 물품에 대한 분실의 위험으로부터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무인 택배보관함의 특정 사물함에 택배물품을 보관하고 택배물품의 도착을 수령자에게 전화, 핸드폰 문자 메시지, 전산망 자동통보 시스템 등으로 알려줌으로써 택배 물품의 수령자가 부재중에도 택배 물품을 배달할 수 있는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1 이상 구비되는 밀폐형 구조의 무인택배 보관함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도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보관함제어부;와, 상기 보관함제어부와 연동되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과 연동하는 앱을 다운로드하며,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과 비콘통신이 가능한 비콘 통신모듈이거나, NFC 통신이 가능한 NFC 태그를 포함하는 통신모듈인,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관함본체는 택배물을 보관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전면에 위치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키패드가 형성된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부착할 수 있도록 거치부와 키접촉부를 구성하고 있어, 사용자단말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접속하여 보관함을 개폐하거나, 키를 이용하여 보관함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장치는 키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패드의 설정에 따라 1회용으로 사용 또는 개인용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1회용은 배달 업체에서 배달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며, 상기 개인용은 입주민이 개인사물함 용도로 사용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잠금장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보관함의 보관일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설정된 보관기간이 만료된 후에는 LED표시등을 통해 관리자로 하여금 보관하고 있는 물품을 일괄수거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반송될 수 있도록 하여, 보관함의 사용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보관함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관리하는 보관함 관리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NFC태그를 터치하였을 경우나, 비콘통신을 통해 입력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제공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관함 관리부는 지역내에 다수 분포되어 있는 택배보관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택배보관함정보수집부와; 다수의 택배업체의 정보를 수집하는 택배사 정보수집부와; 상기 택배보관함을 사용하고자 하는 입주민의 정보를 수집하는 입주민 정보수집부와 입주민의 보관함 이용실적을 산출하는 보관함이용이력수집부와; 상기 보관함의 주변에 설치된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정보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제공부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보관하고 수령하고자 하는 사용자단말가 상기 보관함관리부에 기저장되어 있는 택배사나 입주민의 인증을 수행하는 회원인증부와, 상기 택배기사의 사용자단말기가 NFC 태그를 태깅하거나 비콘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발신하여 물품을 보관하고 수령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수령자의 전화번호에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비밀번호 생성부와; 입주민이 보관함을 개인용도로 사용하거나, 택배를 보낼 경우 그에 따른 수수료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요청부와; 상기 NFC 태그를 태깅하거나 비콘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발신하여 관리자를 호출하거나, 입주민의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택배 발송요청이 이루어질 경우 입주민이 지정한 택배사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택배보관함을 스마트 단말에 구비된 통신모듈과 연동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택배보관함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NFC장치는 앱을 연동하여 택배업체의 배달직원이 택배보관함에 물품을 보관할 경우 물품 수령자에게 비밀번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 수령자가 NFC기능이나 비콘통신기능과 같은 무선통신이 포함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택배보관함을 열어 물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수령자의 부재에 관계없이 택배된 물품을 수령할 수 있고, 택배를 의뢰하는 경우에도 택배업체의 배달직원을 기다리지 않고 무인 택배함에 투입하게 됨으로써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함의 일측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보관기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입력된 보관기간이 지난 보관함은 알람기능을 통해 보관기간내에 물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하며, 보관기간이 지난 물품은 관리자가 일괄 수거하여 보관함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택배 보관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택배 보관함의 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무인택배 보관함의 본체에 포함된 잠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에서 보관함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에서 보관함제어부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에서 보관함제어부의 보관함관리부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에서 보관함제어부의 프로그램제공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적으로 기술된 설명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의 주요부를 도시한 블럭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이하, '본 시스템'이라한다.)은 적어도 1이상 구비되는 밀폐형 구조의 무인택배 보관함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100)의 도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보관함제어부(200)와, 상기 보관함제어부(200)와 연동되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관리서버(3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부착된 무선통신모듈(400)과, 상기 무선통신모듈(400)과 연동하는 앱을 다운로드하며 무선통신기능을 구비하는 사용자단말기(500)를 포함한다.
상기 보관함본체(100)는 택배물을 보관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110)와, 상기 수납부(110)의 전면에 위치하는 도어부(120)와, 상기 도어부(120)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키패드가 형성된 장금장치(130)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부(110)는 기본적으로 전(前)면부는 개폐 도어로 개폐되는 부분인바, 전면부를 제외하고는 밀폐되어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구조물로, 크기에 따라 대, 중, 소 사이즈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수납부(110)는 금속재, 합금재, 강화플라스틱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방청, 방열 특성이 구비된 재질을 이용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보관함 본체의 일부분이나 입출 도어의 일영역에는 투명한 재질의 창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관함 내부의 제품의 수납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보관함 본체 전부를 투명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어부(120)는 상기 수납부(110)의 전면에 있어 유압경첩 클로저를 통해 도어의 여닫음을 구현하며, 도어 내시경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개폐함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도어부의 구동방식은 솔레노이드와 연결된 개폐유닛과 도어록 스프링이 혼용된 방식으로 개폐를 구현할 수 있으며, 보관함의 상태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창을 구비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장치(130)는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키패드(131)와, 무선통신모듈(400)을 부착할 수 있는 거치부(132)와, 상기 잠금장치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LED표시등(133) 및 키접촉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키패드(131)는 잠금장치(130)의 전면에 위치한 것으로서 숫자가 배열되어 택배배송기사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를 누름으로서 장금장치(130)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택배보관함은 택배업체로부터 배달되는 물품을 보관 및 수령하거나 개인 물품 보관장소로도 활용가능한 것으로, 상기 키패드(131)의 설정에 따라 1회용으로 사용 또는 개인용으로 사용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1회용은 일반적으로 택배회사에서 배달한 물품이나, 슈퍼마켓 등 다양한 업체에서 배달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며, 개인용은 개인사물함 용도로 사용가능하되 사용기간을 최소기간으로 정하여 보관함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개인용으로 사용된 경우에는 직접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비밀번호를 누르거나 디지털키를 키접촉부(134)에 접촉하여 도어부(12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1회용일 경우에는 특정번호(11,13), * 비밀번호 4~12자리 *를 순서대로 눌러 설정을 하고, 개인용일 경우에는 특정번호(22), * 비밀번호 4~12자리 *를 순서대로 눌러 설정을 한다. 각기 설정 후에 마스터 번호 또는 마스터 키를 사용하면 비밀번호는 자동 삭제하여 개인용도가 아닌 공공의 택배보관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131)를 이용하여 보관함의 보관일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설정된 보관기간이 만료된 후에는 후술되는 LED표시등(133)을 통해 깜박거림등으로 표시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보관하고 있는 물품을 일괄수거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반송될 수 있도록 하여, 보관함의 사용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치부(132)는 상기 키패드(131)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거치부(132)의 상면에 무선통신모듈(400)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잠금장치(130)는 무선통신모듈(400)에 사용자단말기(500)를 갖다 대거나 상기 키패드(131)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잠금장치(13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400)은 NFC 태그이거나 비콘통신기능을 포함하는 통신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
비콘(Beacon) 통신은 반경 50 ~ 70 m 범위 안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찾아 메시지 전송, 모바일 결제 등을 가능하게 해주는 스마트폰 근거리통신 기술로서, NFC(근접무선통신)보다 가용거리가 길어 특정 장소에서 안내 서비스, 모바일 쿠폰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저전력으로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량도 적으므로, 실내에서는 GPS보다 정교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모듈(400)을 비콘 통신기능을 구현하는 통신모듈을 적용하거나, NFC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NFC 태그를 적용하는 모듈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LED표시등(133)은 상기 장금장치(130)에 설치되되 상기 키패드(131)를 이용하여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LED표시등(133)은 보관함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1회용으로 사용할 경우와 개인용으로 사용할 경우 다른 색으로 표시하여 점등할 수 있도록 하고, 설정된 보관기간이 만료될 경우에도 깜박거림을 하거나 사용중인 표시와 구별되는 색으로 표현되어 수령자나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키접촉부(134)는 잠금장치(130)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비밀번호 대신에 키를 접촉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키접촉부(134)에 접촉되는 키는 마스터키로서 관리자가 가지고 있으며, 상기 키접촉부(134)에 마스터키가 접촉될 경우 상기 키패드(131)로 입력된 1회용 또는 개인용 설정을 초기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130)는 내측에 물건이 보관되어 있는지 또는 잠금장치에 오류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데이터로 송수신하여 상기 보관함제어부(200)에 포함된 스크린에 현재 보관함본체(10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관함제어부(200)는 상기 보관함본체(100)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관함본체(100)의 제어 및 관리서버(3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키패드부(210)와, 상기 보관함본체(100)에 물품의 보관 또는 찾기 기능에 따라 입력되는 데이터를 관리서버(300)로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220)와, 상기 보관함본체(100)의 주변을 촬영하여 물품의 분실 및 방범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카메라부(230)와, 상기 카메라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음성안내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키패드부(210)는 일반적인 숫자와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터치패널 형태로 구성하며, 터치패널 방식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터치 패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기본적인 보관함의 상태표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키패드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배회사 물품보관, 택배찾기, 입주민 택배보내기, 택배기사 물품배송, 세탁물/마트 배달보관, 배달물품 찾기, box view, rf-card 등록 등과 같은 버튼이 생성되고, 상기 버튼을 누를 경우 숫자나 문자를 누를 수 있는 입력창이 새로 생성되어 제공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보관함의 잠김, 열림, 물품의 보관여부, 보관함별 보관날짜 및 보관기간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송수신부(220)는 상기 잠금장치(13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보관함제어부(200)에서 발생되는 모든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300)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택배 물품을 보관하거나 택배를 보낼때 발생되는 모든 데이터를 상기 보관함제어부(200)에 저장하지 않고 상기 관리서버(300)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하여 보관함제어부(200)의 데이터처리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관함제어부(200)에서 오류발생시 관리서버(300)로부터 원격으로 관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부(230)는 상기 보관함본체(100)의 주변을 촬영하는 것으로서, 촬영된 데이터는 상기 관리서버(300)에 송신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부(230)는 평시에는 보관함본체(100)뿐만 아니라 아파트 복도나 계단 후미진 곳 등을 촬영하여 보관함의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범죄를 인지하여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후술되는 상기 음성안내부(240)를 통해 경고음이나 경고음성을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부(270)가 자동으로 줌인하여 상기 관리서버(300)에 송신하므로 관리서버(300)를 관리하고 있던 관리자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대비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음성안내부(240)는 보관함본체(100)에 외부의 충격이 발생되었을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음성메시지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음성안내부(240)에서 발생되는 메시지는 키패드부(2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시각적으로도 인식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음성안내부(240)는 마이크, 음성증폭부, 음성인식부, 경고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보관함본체(100)의 주변 음성을 수집하고, 수집된 음성을 증폭하여 범죄나 보관함본체(100)에 위해가 발생되었다 판단이 되는 음성을 인식하여 그에 따른 경고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보관함제어부(200)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리서버(300)는 아파트 관리실에서 자체관리하거나, 본사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무선통신모듈(NFC태그나 비콘통신모듈)과 연동하는 앱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보관함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관리하는 보관함 관리부(31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500)를 통하여 NFC태크를 터치하였을 경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제공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보관함 관리부(310)는 택배보관함정보수집부(311), 택배사 정보수집부(312), 입주민 정보수집부(313), 보관함이용이력수집부(314), 영상정보수집부(315), 원격제어부(316), 데이터베이스부(317)를 포함한다.
상기 택배보관함정보수집부(311)는 지역내에 다수 분포되어 있는 택배보관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서, 고유 번호와 위치, 보관함의 규격, 성능 및 기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공장이나 상가등에 설치되는 택배보관함은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나 아파트와 같이 다수개의 동을 형성되는 지역에서는 각 동마다 개별의 택배보관함을 설치하기 되므로 각각의 고유번호와 그에 매칭되는 주소를 가지고 있어 상기 보관함의 보수와 청소 등의 관리 및 유지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택배사 정보수집부(312)는 다수의 택배업체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서, 대부분의 택배업체에서는 지역마다 담당 배송기사를 배치하게 되므로 택배보관함이 설치된 구역에 택배를 담당하는 택배기사에 대한 이름, 전화번호, 택배업체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기저장한다. 따라서, 택배기사가 보관함본체(100)에 물품을 보관할 경우 업체의 고유번호 또는 택배기사의 휴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된 번호는 상기 택배사 정보수집부(312)에 기저장된 번호와 매칭하여 보관함의 이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주민 정보수집부(313)는 택배보관함(100)을 사용하고자 하는 입주민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서, 입주민의 이름, 주소, 휴대폰 번호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보관함 제어부(2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와 비교판단하여 후술되는 보관함이용이력서집부(314)에 정보를 제공하거나, 설정된 물품보관기간이 만료된 후 반송이나 물품을 강제수거할 경우 이를 입주민에게 연락하여 물품을 반송할것인지 아님 수령할 것인지 즉각적인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관함이용이력수집부(314)는 입주민의 보관함 이용실적을 산출하는 것으로서, 이는 실적에 따라 수수료를 정산하여 입주민으로 하여 수수료 결제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카드로 결제한 내역은 카드사에 송부하고 아파트 자체내에서 발급한 카드를 이용하였을 경우에는 한달간 사용내역을 산출하여 관리비에 포함하거나 개별 결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보관함 이용이력수집부(350)는 무선통신모듈(400)에서 인식되는 카드 및 횟수 등을 수신하여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정보수집부(315)는 상기 카메라부(23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는 것으로서, 수집된 영상은 관리실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영상을 통해 범죄나 물품의 보안에 대한 대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격제어부(316)은 상기 보관함제어부(2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관함제어부(200)에 부여된 ip주소를 이용하여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원격제어부(316)를 이용하여 카메라부(230)의 줌인/줌아웃을 제어하거나, 보관함제어부(200)의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또는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자가 직접 보관함을 확인하지 않아도 관리실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관리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17)는 상기 보관함 관리부(310)에서 발생되는 모든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로그램제공부(32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400)에 접근한 사용자단말기(500)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회원인증부(321), 비밀번호 생성부(322), 결제요청부(323), 호출부(324) 및 데이터베이스(325)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인증부(321)는 무선통신모듈(400)를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보관하고 수령하고자 하는 사용자단말(500)가 상기 보관함관리부(310)에 기저장되어 있는 택배사나 입주민의 인증을 수행하는 있다.
이를테면, 상기 무선통신모듈(400)을 NFC 통신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택배기사의 사용자단말기(510)가 NFC태그를 태깅하여 물품 보관 요청이 발생되었을 경우 상기 회원인증부는 택배사 정보수집부(312)에 기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리스트 상에 계약되어 있는 택배사가 맞는지의 여부와, 물품을 수령하는 수령자의 전화번호가 입주민정보수집부(313)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원인증부(321)로부터 인증되지 못하면 보관함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322)는 상기 택배기사의 사용자단말기(510)가 NFC 태그(400)를 태깅하여 물품을 보관하고 수령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수령자의 전화번호에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것으로서, 배달된 물품을 수령하는 수령자가 NFC 기능을 태깅할 수 없더라도 상기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보관함을 오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322)를 통해 비밀번호를 수령한 사용자단말기(500)는 NFC태그를 이용하여 태깅하거나 수신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보관함(100)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모듈을 비콘 통신이 가능한 모듈로 적용하여 가용거리를 더욱 늘릴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제요청부(323)는 입주민이 보관함(100)을 개인용도로 사용하거나, 택배를 보낼 경우 그에 따른 수수료를 결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통신모듈(400)에 NFC 태그를 적용하는 경우, NFC 태그에 태깅하고, 등록한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공인인증서나 휴대폰을 인증이 필요없이 비밀번호의 입력으로인 결제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호출부(324)는 NFC 태그를 태깅하여 관리자를 호출하거나, 입주민의 사용자단말기(520)를 이용하여 택배 발송요청이 이루어질 경우 입주민이 지정한 택배사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25)는 상기 프로그램제공부(320)에서 발생되는 모든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보관함(100)의 일측에 부착되어 후술되는 택배기사나 입주민의 사용자단말기(500)를 통해 태깅되는 것으로서, 택배 물품의 보관, 수령 및 발송시 발생되는 모든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5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가지거나 비콘 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내재한 스마트 단말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무선랜 단말기,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택배기사 사용자단말기(510)와, 입주인 사용자단말기(52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무인택배 보관함 본체
200 : 보관함제어부
300 : 관리서버
400 : 무선통신모듈
500 : 사용자단말기

Claims (7)

  1. 적어도 1 이상 구비되는 밀폐형 구조의 무인택배 보관함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도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보관함제어부;와,
    상기 보관함제어부와 연동되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과 연동하는 앱을 다운로드하며,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과 비콘통신이 가능한 비콘 통신모듈이거나, NFC 통신이 가능한 NFC 태그를 포함하는 통신모듈인,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본체는 택배물을 보관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전면에 위치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키패드가 형성된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부착할 수 있도록 거치부와 키접촉부를 구성하고 있어, 사용자단말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접속하여 보관함을 개폐하거나, 키를 이용하여 보관함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키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패드의 설정에 따라 1회용으로 사용 또는 개인용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1회용은 배달 업체에서 배달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며,
    상기 개인용은 입주민이 개인사물함 용도로 사용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보관함의 보관일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설정된 보관기간이 만료된 후에는 LED표시등을 통해 관리자로 하여금 보관하고 있는 물품을 일괄수거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반송될 수 있도록 하여, 보관함의 사용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보관함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관리하는 보관함 관리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NFC태그를 터치하였을 경우나, 비콘통신을 통해 입력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제공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관리부는 지역내에 다수 분포되어 있는 택배보관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택배보관함정보수집부와;
    다수의 택배업체의 정보를 수집하는 택배사 정보수집부와;
    상기 택배보관함을 사용하고자 하는 입주민의 정보를 수집하는 입주민 정보수집부와
    입주민의 보관함 이용실적을 산출하는 보관함이용이력수집부와;
    상기 보관함의 주변에 설치된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정보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제공부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보관하고 수령하고자 하는 사용자단말가 상기 보관함관리부에 기저장되어 있는 택배사나 입주민의 인증을 수행하는 회원인증부와,
    상기 택배기사의 사용자단말기가 NFC 태그를 태깅하거나 비콘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발신하여 물품을 보관하고 수령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수령자의 전화번호에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비밀번호 생성부와;
    입주민이 보관함을 개인용도로 사용하거나, 택배를 보낼 경우 그에 따른 수수료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요청부와;
    상기 NFC 태그를 태깅하거나 비콘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발신하여 관리자를 호출하거나, 입주민의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택배 발송요청이 이루어질 경우 입주민이 지정한 택배사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KR1020170017428A 2017-02-08 2017-02-08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KR20180092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428A KR20180092087A (ko) 2017-02-08 2017-02-08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428A KR20180092087A (ko) 2017-02-08 2017-02-08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087A true KR20180092087A (ko) 2018-08-17

Family

ID=6340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428A KR20180092087A (ko) 2017-02-08 2017-02-08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20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642B1 (ko) * 2018-12-28 2020-04-14 (주)디티아이 Iot 기능이 구비된 블록형 보관함
KR20210016987A (ko) * 2019-08-06 2021-02-17 (주)신성금고 대여 기반 물품 보관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13040A (ko) *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이어락 무인 택배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529A (ko) 2001-10-29 2002-01-17 장지일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식 의류 주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529A (ko) 2001-10-29 2002-01-17 장지일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식 의류 주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642B1 (ko) * 2018-12-28 2020-04-14 (주)디티아이 Iot 기능이 구비된 블록형 보관함
KR20210016987A (ko) * 2019-08-06 2021-02-17 (주)신성금고 대여 기반 물품 보관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13040A (ko) *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이어락 무인 택배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2503B2 (en) Electronic key device a system and a method of managing electronic key information
JP5794599B1 (ja) デジタルファインド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085934B1 (en) Method and system of registering a mobile unit used as an electronic access key
KR102451561B1 (ko) 무인 우편/택배 관리 시스템
KR101652505B1 (ko) 숙박업소의 객실 관리 시스템
US8271342B2 (en) Deliv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communicator
US200201696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processing reservations
WO2020008271A1 (en) Home automation device for package delivery and receipt
WO2016025927A1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and location tracking system
CN103210165A (zh) 访问或管理受保护的贮存空间的系统和方法
GB2483474A (en) Apparatus for delivery or exchange of a postal item
KR101693358B1 (ko) 가구별 택배물품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원격 택배 관리 통제 시스템
KR20180092087A (ko)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KR20180092083A (ko)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KR101885312B1 (ko) 방범 시스템을 자원 공유하며 융합한 지능형 무인 방범 택배 시스템
KR20190024644A (ko) IoT 기반 창고 보안 관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97759B1 (ko) 실시간 이동형 서비스를 이용한 근거리 도어개폐와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및 방법
JP2019016190A (ja) 物品収受システム、収受ボックス及び物品収受方法
CN109071154B (zh) 电梯和访问系统
KR20120039150A (ko) 무인택배 시스템
US20200169981A1 (e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KR101721610B1 (ko) 무인 방범 택배 시스템
JP2019105053A (ja) 設備機器作動システム
JP2017211821A (ja) 預かり通知システム
KR20050030784A (ko) 무인물품 보관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