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084A -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084A
KR20180092084A KR1020170017425A KR20170017425A KR20180092084A KR 20180092084 A KR20180092084 A KR 20180092084A KR 1020170017425 A KR1020170017425 A KR 1020170017425A KR 20170017425 A KR20170017425 A KR 20170017425A KR 20180092084 A KR20180092084 A KR 20180092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ickness
less
refractive index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170B1 (ko
Inventor
박덕훈
한유미
김종선
박재석
신준식
최유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7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170B1/ko
Priority to PCT/KR2017/014666 priority patent/WO2018110984A1/ko
Priority to US16/470,089 priority patent/US11217766B2/en
Publication of KR20180092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하는 연성 기재;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표면 강화층; 및 상기 표면 강화층 상에 배치되는 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은 상기 굴절률이 상이한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은 388㎚ 내지 700㎚의 광 파장 대역에서, 광 투과율이 평균 90% 이상이고, 상기 기능층은 250㎚ 내지 388㎚의 광 파장 대역에서, 평균 광 투과율이 90% 미만이고, 최소 광 투과율이 60% 이하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COVER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일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접거나 구부릴 수 있는(folding)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반으로 접는 경우, 스마트폰으로 활용할 수 있고, 화면을 펼치게 되면 태블릿으로 사용할 수 있는 IT 기기, 종이책처럼 좌우를 펼칠 수 있는 전자책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거나 벤딩할 수 있기 때문에, 플렉서블한 특징과 함께 경도를 적절하게 제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벤딩을 위해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의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자외선(UV) 광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커버 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향상된 신뢰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하는 연성 기재;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표면 강화층; 및 상기 표면 강화층 상에 배치되는 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은 상기 굴절률이 상이한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은 388㎚ 내지 700㎚의 광 파장 대역에서, 광 투과율이 평균 90% 이상이고, 상기 기능층은 250㎚ 내지 388㎚의 광 파장 대역에서, 평균 광 투과율이 90% 미만이고, 최소 광 투과율이 60% 이하이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향상된 강도 및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연성 기재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표면 강화층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경도를 향상시켜 향상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표면 강화층 상에 다층의 기능층을 배치하여,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 중 특정 파장 영역대에서의 광의 투과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약 388㎚ 이하의 광 자세하게, UV 광의 투과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디스플레이용 장치에 적용할 때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의 내부로 UV 광이 입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의 내부에 배치되는 자발광소자가 상기 자외선에 의해 손상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다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 2,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 2,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다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제 1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광 투과율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제 2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광 투과율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제 3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광 투과율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 2, 3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터치 디바이스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1000)는 연성 기재(100), 표면 강화층(200) 및 기능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 기재(100)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 기재(100)는 플렉서블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 기재(100)는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 기재(10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폴리에테르술폰(PES) 및 실리콘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 기재(100)의 두께(T1)는 약 15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연성 기재(100)의 두께(T1)는 약 20㎛ 내지 약 15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연성 기재(100)의 두께(T1)는 약 3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연성 기재(100)의 두께(T1)가 약 20㎛ 미만인 경우 커버 윈도우의 전체적인 강도가 저하되어 상기 커버 윈도우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 기재(100)의 두께(T1)가 약 15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성 기재(100)의 두께에 의해 상기 커버 윈도우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 방향으로 구부릴 때 연성 기재에 크랙이 발생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연성 기재(100)는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 기재(100)는 서로 반대되는 상기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면 강화층(200)은 상기 연성 기재(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표면 강화층(200)은 상기 연성 기재(1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면 강화층(200)은 상기 연성 기재(100)의 일면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면 강화층(200)은 상기 연성 기재(100)의 일면 및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표면 강화층(200)은 상기 연성 기재(1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표면 강화층(210) 및 상기 연성 기재(100)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 2 표면 강화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강화층(200)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표면 강화층(200)은 각각 상기 연성 기재(100)의 일면 상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표면 강화층(200)은 연성 기재의 일면 상에 코팅되는 하드코팅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수지 물질, 광 개시제, 가교성 모노머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지 물질, 광 개시제, 가교성 모노머 및 첨가제는 프로필렌 글리? 모노메틸 에테르(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PGME) 등의 용매에 혼합되어 수지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지 물질은 가교성 작용기를 가지는 광 경화성 수지 및 열 경화성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 물질은 아크릴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개시제는 가교성 작용기를 경화시키는 광 개시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가교성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기, 에폭시기 및 옥세탄기 중 적어도 하나의 작용기를 가지는 가교성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에 의해 상기 강화층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조성물은 실리카 입자(SiO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는 상기 수지 조성물에 분산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에 의해 상기 표면 강화층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는 나노 단위의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는 약 20㎚ 이하의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실리카 입자는 약 1㎚ 내지 15㎚ 이하의 입경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실리카 입자는 약 5㎚ 내지 10㎚ 이하의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의 입경이 약 20㎚를 초과하는 경우, 실리카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는 상기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 약 10 중량% 내지 약 65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실리카 입자는 상기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 30 중량% 내지 약 65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가 약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표면 강화층의 경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 입자가 약 6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경도는 향상될 수 있으나, 벤딩 특성이 저하되어 커버 기재를 구부릴 때, 표면 강화층에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표면 강화층(200)의 두께(T2)는 약 2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표면 강화층(200)의 두께(T2)는 약 5㎛ 내지 약 2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표면 강화층(200)의 두께(T2)는 약 10㎛ 내지 약 15㎛일 수 있다.
상기 표면 강화층(200)의 두께(T2)가 약 5㎛ 미만인 경우, 상기 표면 강화층(200)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연성 기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표면 강화층(200)의 두께(T2)가 약 15㎛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표면 강화층(200)의 두께에 의해 상기 커버 기재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 방향으로 구부릴 때 커버 기재에 크랙이 발생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표면 강화층(210)의 두께(T2a) 및 상기 제 2 표면 강화층(220)의 두께(T2b)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표면 강화층(210)의 두께(T2a) 및 상기 제 2 표면 강화층(220)의 두께(T2b)는 약 5㎛ 내지 약 20㎛일 수 있고, 상기 제 1 표면 강화층(210)의 두께(T2a) 및 상기 제 2 표면 강화층(220)의 두께(T2b) 차이는 약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표면 강화층(200)에 의해 상기 연성 기재(10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상면에서의 경도는 약 7H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표면 강화층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어, 커버 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능층(300)은 상기 연성 기재(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능층(300)은 상기 연성 기재(1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능층(300)은 상기 연성 기재(100)의 일면 상에서 상기 표면 강화층(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층(300)은 상기 표면 강화층(200) 상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능층(300)은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여 투과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기능층은 반사 방지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층(300)은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 중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층(300)은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 중 자외선(UV) 파장 대역의 광의 투과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기능층은 자외선 차단층일 수 있다.
즉, 상기 기능층(300)은 반사 방지-자외선 차단층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기능층(300) 상에는 추가적인 기능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능층(300) 상에는 지문 방지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능층(300) 상에는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지문 방지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층(300)은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능층(300)은 복수 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능층(300)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능층(300)은 제 1 층(310) 및 제 2 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능층(300)은 상기 표면 강화층(200) 상의 제 1 층(310) 및 상기 제 1 층(310) 상의 제 2 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310) 및 상기 제 2 층(320)은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310) 및 상기 제 2 층(320)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310) 및 상기 제 2 층(320)은 서로 다른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310)은 이산화티타늄(TiO2) 또는 이산화지르코늄(ZrO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320)은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310) 및 상기 제 2 층(320)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층(310)의 굴절률은 상기 제 2 층(320)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310)의 굴절률은 상기 연성 기재(100)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 기재(100)의 굴절률은 상기 제 2 층(320)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 기재(100)의 굴절률은 약 1.5 내지 1.6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310)의 굴절률은 약 2.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320)의 굴절률은 약 1.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기능층(300)의 두께는 약 30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능층(300)의 두께는 약 50㎚ 내지 약 25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기능층(300)의 두께는 약 70㎚ 내지 약 200㎚일 수 있다.
상기 기능층(300)의 두께가 약 30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능층(300)의 두께에 의해 상기 커버 기재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 방향으로 구부릴 때 커버 기재에 크랙이 발생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310)과 상기 2 층(320)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층(310)의 두께(T3a)는 상기 제 2 층(320)의 두께(T3b)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층(320)의 두께(T3b)의 두께는 상기 제 1 층(310)의 두께(T3a)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310)의 두께(T3a)는 약 1㎚ 내지 약 2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320)의 두께(T3b)는 약 80㎚ 내지 약 120㎚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310)의 두께(T3a)와 상기 제 2 층(320)의 두께(T3b)의 크기비는 약 3.2 내지 120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310)의 두께(T3a) 및 상기 제 2 층(320)의 두께(T3b)가 상기 범위 및 상기 크기 비를 벗어나는 경우, 388㎚ 이하의 광 파장 대역에서의 광 투과율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 기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 등이 388㎚ 이하의 UV 광 등에 의해 손상되거나 변형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신뢰성 및 수명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388㎚ 이상의 광 파장 대역에서 광 투과율이 급격히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서 방출되는 광이 충분히 투과되지 못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2000)는 연성 기재(100), 표면 강화층(200) 및 기능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20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와 다르게 상기 기능층(300)이 제 3 층(330) 및 제 4 층(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능층(300)은 상기 표면 강화층(200) 상의 제 1 층(310), 상기 제 1 층(310) 상의 제 2 층(320), 상기 제 2 층(320) 상의 제 3 층(330) 및 상기 제 3 층(330) 상의 제 4 층(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310), 상기 제 2 층(320), 상기 제 3 층(330) 및 상기 제 4 층(340)은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310), 상기 제 2 층(320), 상기 제 3 층(330) 및 상기 제 4 층(340)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상기 제 1 층(310), 상기 제 2 층(320), 상기 제 3 층(330) 및 상기 제 4 층(340)은 서로 다른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310) 및 상기 제 3 층(330)은 이산화티타늄(TiO2) 및 이산화지르코늄(ZrO2)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320) 및 상기 제 4층(340)은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310), 상기 제 2 층(320), 상기 제 3 층(330) 및 상기 제 4 층(340)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층(310) 및 상기 제 3 층(330)의 굴절률은 상기 제 2 층(320) 및 상기 제 4 층(340)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310) 및 상기 제 3 층(330)의 굴절률은 상기 연성 기재(100)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 기재(100)의 굴절률은 상기 제 2 층(320) 및 상기 제 4 층(340)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 기재(100)의 굴절률은 약 1.5 내지 1.6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310) 및 상기 제 3 층(330)의 굴절률은 약 2.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310) 및 상기 제 3 층(330)의 굴절률은 상기 범위 SO에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320) 및 상기 제 4 층(340)의 굴절률은 약 1.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2 층(320) 및 상기 제 4 층(340)의 굴절률은 상기 범위 내에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기능층(300)의 두께는 약 30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능층(300)의 두께는 약 50㎚ 내지 약 25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기능층(300)의 두께는 약 70㎚ 내지 약 200㎚일 수 있다.
상기 기능층(300)의 두께가 약 30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능층(300)의 두께에 의해 상기 커버 기재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 방향으로 구부릴 때 커버 기재에 크랙이 발생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310), 상기 제 2 층(320), 상기 제 3 층(330) 및 상기 제 4 층(340)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층(320)의 두께(T3b)는 상기 제 1 층(310)의 두께(T3a)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층(330)의 두께(T3c)는 상기 제 2 층(320)의 두께(T3b)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층(340)의 두께(T3d)는 상기 제 3 층(330)의 두께(T3c)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층(320)의 두께(T3b)는 상기 제 1 층(310)의 두께(T3a)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층(330)의 두께(T3c)는 상기 제 2 층(320)의 두께(T3b)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층(340)의 두께(T3d)는 상기 제 3 층(330)의 두께(T3c)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310)의 두께(T3a)는 약 10㎚ 내지 약 2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320)의 두께(T3b)는 약 1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층(330)의 두께(T3c)는 약 110㎚ 내지 약 2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층(340)의 두께(T3d)는 약 25㎚ 내지 약 110㎚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층(310)의 두께(T3a)는 약 1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320)의 두께(T3b)는 약 1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층(330)의 두께(T3c)는 약 40㎚ 내지 약 7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층(340)의 두께(T3d)는 약 60㎚ 내지 약 120㎚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310), 상기 제 2 층(320), 상기 제 3 층(330) 및 상기 제 4 층(34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및 상기 크기 비를 벗어나는 경우, 388㎚ 이하의 광 파장 대역에서의 광 투과율이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버 기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 등이 388㎚ 이하의 UV 광 등에 의해 손상되거나 변형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신뢰성 및 수명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388㎚ 이상의 광 파장 대역에서 광 투과율이 급격히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서 방출되는 광이 충분히 투과되지 못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기재 상에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강화층을 코팅하였다.
이어서, 상기 표면 강화층 상에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제 1 층을 배치하고, 상기 제 1 층 상에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제 2 층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제 1 층의 두께는 1㎚ 내지 25㎚ 이었고, 제 2 층의 두께는 80nm 내지 120㎚이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경도 및 파장대별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
제 1 층의 두께가 30㎚이고, 제 2층의 두께가 100㎚ 이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제조하고,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경도 및 파장대별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2
제 1 층의 두께가 3㎚이고, 제 2층의 두께가 70㎚ 이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제조하고,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경도 및 파장대별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3
제 1 층의 두께가 3㎚이고, 제 2층의 두께가 130㎚ 이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제조하고,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경도 및 파장대별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경도(H) 7H 7H 7H 7H
표 1 및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경도는 약 7H 이상으로서 고경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에 비해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의 투과율이 낮고 가시광선 파장 대역의 광의 투과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자세하게,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388㎚ 내지 700㎚의 가시광선 파장 대역에서는 약 90% 이상의 광 투과율율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기능층에 의해 광의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향상된 광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250㎚ 내지 388㎚의 자외선 광 파장 대역에서, 평균 광 투과율이 90% 미만이고, 최소 광 투과율은 60% 미만인 것을 알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388㎚ 미만의 자외선 광 파장 대역에서, 최대 광 투과율이 90% 미만이고, 최저 광 투과율은 30% 미만인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240㎚ 내지 340㎚의 광 파장 대역에서 광 투과율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로 입사되는 태양광 중 300㎚이하의 파장의 대부분은 대기권 도달 전 산란되므로, 대기 중의 주요 광은 300㎚ 내지 388㎚의 자외선일 수 있다. 이에 따라, 240nm 이하의 파장 영역에서 투과율이 최소값을 가지거나, 340㎚ 이상의 파장 영역에서 투과율이 최소값을 가지는 경우, 대기 중에서 입사되는 자외선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상기 파장 영역에서의 자외선이 투과되는 것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표시 패널 방향으로 상기 파장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388㎚ 내지 700㎚의 가시광선 광 파장 대역에서는 높은 광 투과율을 가지고, 388㎚ 미만의 자외선 광 파장 대역에서는 낮은 광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도 6을 참조하면, 비교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388㎚ 내지 700㎚의 가시광선 광 파장 대역에서 광 투과율이 90% 미만이고, 비교예 2, 3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240㎚ 내지 340㎚의 광 파장 대역에서 90%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에 비해 388㎚ 미만의 자외선 광 파장 대역에서는 광 투과율이 높고, 388㎚ 내지 700㎚의 가시광선 광 파장 대역에서는 광 투과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에 비해 가시광선이 적게 투과되고, 자외선이 많이 투과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기재 상에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강화층을 코팅하였다.
이어서, 상기 표면 강화층 상에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제 1 층을 배치하고, 상기 제 1 층 상에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제 2 층을 배치하고, 상기 제 2층 상에 이산화지르코늄을 포함하는 제 3 층을 배치하고, 상기 제 3 층 상에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제 4 층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제 1 층의 두께는 10㎚ 내지 25㎚ 이었고, 제 2 층의 두께는 10nm 내지 50㎚이었고, 제 3 층의 두께는 110㎚ 내지 200㎚ 이었고, 제 4 층의 두께는 25㎚ 내지 110㎚이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경도 및 파장대별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4
제 1 층의 두께가 7.5㎚이고, 제 2층의 두께가 33㎚ 이었고, 제 3 층의 두께가 113㎚이었고, 제 4층의 두께가 76㎚ 이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제조하고,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경도 및 파장대별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5
제 1 층의 두께가 30㎚이고, 제 2층의 두께가 33㎚ 이었고, 제 3 층의 두께가 113㎚이었고, 제 4층의 두께가 76㎚ 이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제조하고,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경도 및 파장대별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6
제 1 층의 두께가 15㎚이고, 제 2층의 두께가 33㎚ 이었고, 제 3 층의 두께가 164㎚이었고, 제 4층의 두께가 152㎚ 이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제조하고,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경도 및 파장대별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경도(H) 7H V 7H 7H
표 2 및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 2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경도는 약 7H 이상으로서 고경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 2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비교예 4 내지 6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에 비해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의 투과율이 낮고 가시광선 파장 대역의 광의 투과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자세하게,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 2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388㎚ 내지 700㎚의 가시광선 파장 대역에서는 약 90% 이상의 광 투과율율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 2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기능층에 의해 광의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향상된 광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250㎚ 내지 388㎚의 자외선 광 파장 대역에서, 최소 광 투과율은 60% 미만인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240㎚ 내지 340㎚의 광 파장 대역에서 광 투과율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 2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388㎚ 내지 700㎚의 가시광선 광 파장 대역에서는 높은 광 투과율을 가지고, 388㎚ 미만의 자외선 광 파장 대역에서는 낮은 광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도 10을 참조하면, 비교예 4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388㎚ 미만의 자외선 광 파장 대역에서 60%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지고,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비교예 5, 6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388㎚ 내지 700㎚의 가시광선 광 파장 대역에서 90% 미만의 광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6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실시예 2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에 비해 388㎚ 미만의 자외선 광 파장 대역에서 광 투과율이 높고, 388㎚ 내지 700㎚의 가시광선 광 파장 대역에서 광 투과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6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실시예 2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에 비해 가시광선이 적게 투과되고, 자외선이 많이 투과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기재 상에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강화층을 코팅하였다.
이어서, 상기 표면 강화층 상에 이산화지르코늄을 포함하는 제 1 층을 배치하고, 상기 제 1 층 상에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제 2 층을 배치하고, 상기 제 2층 상에 이산화지르코늄을 포함하는 제 3 층을 배치하고, 상기 제 3 층 상에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제 4 층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제 1 층의 두께는 10㎚ 내지 50㎚ 이었고, 제 2 층의 두께는 10nm 내지 50㎚이었고, 제 3 층의 두께는 40㎚ 내지 70㎚ 이었고, 제 4 층의 두께는 60㎚ 내지 120㎚이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경도 및 파장대별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7
제 1 층의 두께가 59㎚이고, 제 2층의 두께가 33㎚ 이었고, 제 3 층의 두께가 56㎚이었고, 제 4층의 두께가 75㎚ 이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제조하고,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경도 및 파장대별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8
제 1 층의 두께가 7.5㎚이고, 제 2층의 두께가 33㎚ 이었고, 제 3 층의 두께가 56㎚이었고, 제 4층의 두께가 75㎚ 이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제조하고,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경도 및 파장대별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 비교예 7 비교예 8
경도(H) 7H 7H 7H
표 3 및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실시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경도는 약 7H 이상으로서 고경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실시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비교예 7 내지 8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에 비해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의 투과율이 낮고 가시광선 파장 대역의 광의 투과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자세하게,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388㎚ 내지 700㎚의 가시광선 파장 대역에서는 약 90% 이상의 광 투과율율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기능층에 의해 광의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향상된 광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250㎚ 내지 388㎚의 자외선 광 파장 대역에서, 최소 광 투과율은 60% 미만인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240㎚ 내지 340㎚의 광 파장 대역에서 광 투과율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388㎚ 내지 700㎚의 가시광선 광 파장 대역에서는 높은 광 투과율을 가지고, 388㎚ 미만의 자외선 광 파장 대역에서는 낮은 광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도 14를 참조하면, 비교예 7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388㎚ 미만의 자외선 광 파장 대역에서 60%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지고, 388㎚ 내지 700㎚의 가시광선 광 파장 대역에서 90% 미만의 광 투과율을 가지며, 도 15를 참조하면, 비교예 8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3388㎚ 미만의 자외선 광 파장 대역에서 60%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 7 내지 비교예 8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실시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에 비해 388㎚ 미만의 자외선 광 파장 대역에서 광 투과율이 높고, 388㎚ 내지 700㎚의 가시광선 광 파장 대역에서 광 투과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 7 내지 비교예 8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실시예 3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에 비해 가시광선이 적게 투과되고, 자외선이 많이 투과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 기재와 동일 또는 유사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 기재(1000, 2000) 및 상기 커버 기재(1000, 20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데코층(400) 및 보강층(500), 상기 보강층(5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편광층(600) 및 터치 패널(700), 상기 터치 패널(7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층(800) 및 상기 접착층(8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9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앞서 설명한 도 1의 커버 기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앞서 설명한 도 3의 커버 기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커버 기재(1000, 2000)는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에서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유효 영역(AA) 주위에 배치되는 상기 비유효 영역(UA)에서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데코층(400)은 상기 커버 기재(1000, 20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데코층(40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데코층(40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서 상기 커버 기재(1000, 2000)와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코층(400)은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과 상기 배선 전극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인쇄회로기판 등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게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데코층(400)은 원하는 외관에 적합한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일례로 흑색 또는 흰색 안료 등을 포함하여 흑색 또는 흰색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칼라 필름 등을 사용하여 빨강색, 파란색 등의 다양한 칼라색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층(400)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로고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데코층(400)은 증착, 인쇄, 습식 코팅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층(400)은 적어도 1층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코층(400)은 하나의 층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폭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층(500)은 상기 커버 기재(1000, 20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강층(500)은 상기 유효 영역(AA) 및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강층(50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서는 상기 커버 기재(1000, 2000)와 접촉하며 배치되고,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서는 상기 데코층(400)과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층(500)은 상기 데코층(400)이 배치되는 상기 커버 기재(1000, 2000)의 하면을 평평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층(500)은 상기 커버 기재(1000, 2000)의 하면에서 상기 데코층을 감싸면서 배치되어, 상기 데코층에 따른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층(500)은 평탄화층일 수 있다.
상기 보강층(500)의 하부에는 편광층(600) 및 터치 패널(7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층(600)은 편광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편광층(600)은 유색의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 필름(600)은 흑색의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편광층(600)의 두께는 약 5㎛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편광층(600)의 두께는 약 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편광층(600)은 배향막 및 상기 배향막 상의 액정 염료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염료층은 서로 다른 색을 갖는 두 가지 염료가 부착된 액정 분자들로 이루어지며, 액정 염료층 내에 액정 분자들은 이색성을 가지기 때문에 연신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흡수,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투과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염료층에 들어가는 이색성 색소는 요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층(600)의 하부에는 터치 패널(7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700)은 감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패널(700)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감지 전극 및 제 2 감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효 영역 등에서 입력 장치(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커버 기재(1000, 2000)의 터치 면 상에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제 1, 2 감지 전극에 의해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700)의 하부에는 표시 패널(9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700)과 상기 표시 패널(900) 사이에는 접착층(800)이 배치되고, 상기 터치 패널(700)과 상기 표시 패널(900)은 상기 접착층(800)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900)은 액정 표시패널 또는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900)은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표시 패널(900)은 별도의 광원이 요구되지 않는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800)은 기판 상에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봉지 기판 역할을 하는 다른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향상된 강도 및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연성 기재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표면 강화층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경도를 향상시켜 향상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표면 강화층 상에 다층의 기능층을 배치하여,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 중 특정 파장 영역대에서의 광의 투과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는 약 388㎚ 이하의 광 자세하게, UV 광의 투과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를 디스플레이용 장치에 적용할 때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의 내부로 UV 광이 입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의 내부에 배치되는 자발광소자가 상기 자외선에 의해 손상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 기재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8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로서, 이동식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식 단말기는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은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해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에는 명령 아이콘 패턴부 및 로고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휘어지거나 접혀지는 플렉서블(flexible)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휘거나 구부릴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바이스 장치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등의 웨어러블 터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하는 연성 기재;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표면 강화층; 및
    상기 표면 강화층 상에 배치되는 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은 상기 굴절률이 상이한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은 388㎚ 내지 700㎚의 광 파장 대역에서, 광 투과율이 평균 90% 이상이고,
    상기 기능층은 250㎚ 내지 388㎚의 광 파장 대역에서, 평균 광 투과율이 90% 미만이고, 최소 광 투과율이 60% 이하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388㎚ 미만의 광 파장 대역에서 최대 광 투과율이 90% 미만이고,
    상기 기능층은 388㎚ 미만의 광 파장 대역에서 최저 광 투과율이 30% 미만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240㎚ 내지 340㎚의 광 파장 대역에서 상기 광 투과율이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상기 표면 강화층 상의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 상의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의 굴절률은 상기 연성 기재의 굴절률보다 크고,
    상기 연성 기재의 굴절률은 상기 제 2 층의 굴절률보다 큰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기재의 굴절률은 1.5 내지 1.6이고,
    상기 제 1 층의 굴절률은 2.0 이상이고,
    상기 2 층의 굴절률은 1.5 이하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의 두께는 300㎚ 이하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두께는 1㎚ 내지 25㎚이고,
    상기 제 2 층의 두께는 80㎚ 내지 120㎚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상기 표면 강화층 상의 제 1 층;
    상기 제 1 층 상의 제 2 층;
    상기 제 2 층 상의 제 3 층; 및
    상기 제 3 층 상의 제 4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3 층의 굴절률은 상기 연성 기재의 굴절률보다 크고,
    상기 연성 기재의 굴절률은 상기 제 2 층 및 제 4 층의 굴절률보다 큰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기재의 굴절률은 1.5 내지 1.6이고,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3 층의 굴절률은 2.0 이상이고,
    상기 2 층 및 제 4 층의 굴절률은 1.5 이하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두께는 1㎚ 내지 25㎚이고,
    상기 제 2 층의 두께는 10㎚ 내지 50㎚이고,
    상기 제 3 층의 두께는 110㎚ 내지 200㎚이고,
    상기 제 4 층의 두께는 25㎚ 내지 110㎚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두께는 10㎚ 내지 50㎚이고,
    상기 제 2 층의 두께는 10㎚ 내지 50㎚이고,
    상기 제 3 층의 두께는 40㎚ 내지 70㎚이고,
    상기 제 4 층의 두께는 60㎚ 내지 120㎚인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기재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 기재의 두께는 30㎛ 내지 150㎛이고.
    상기 표면 강화층의 두께는 5㎛ 내지 20㎛이고,
    상기 표면 강화층은 나노 실리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13.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기재;
    상기 비유효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커버 기재의 하부면 상에 배치되는 데코층;
    상기 유효 영역 및 상기 비유효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커버 기재의 하부면 상에 배치되는 보강층;
    상기 보강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편광층;
    상기 편광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기재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하는 연성 기재;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표면 강화층; 및
    상기 표면 강화층 상에 배치되는 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은 상기 굴절률이 상이한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은 388㎚ 내지 700㎚의 광 파장 대역에서, 평균 광 투과율이 90% 이상이고,
    상기 기능층은 250㎚ 내지 388㎚의 광 파장 대역에서, 평균 광 투과율이 90% 미만이고, 최소 광 투과율이 60% 이하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017425A 2016-12-16 2017-02-08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1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425A KR102621170B1 (ko) 2017-02-08 2017-02-08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7/014666 WO2018110984A1 (ko) 2016-12-16 2017-12-13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6/470,089 US11217766B2 (en) 2016-12-16 2017-12-13 Display cover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425A KR102621170B1 (ko) 2017-02-08 2017-02-08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084A true KR20180092084A (ko) 2018-08-17
KR102621170B1 KR102621170B1 (ko) 2024-01-05

Family

ID=6340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425A KR102621170B1 (ko) 2016-12-16 2017-02-08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1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1982A (ja) * 2004-09-02 2006-03-16 Dainippon Printing Co Ltd 紫外線吸収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70087003A (ko) * 2005-02-01 2007-08-2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반사 방지 하드코트 필름, 광학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JP3197274U (ja) * 2014-07-30 2015-04-30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1910A (en) * 1990-01-26 1993-05-18 Martin Marietta Corporation Ultra high strength aluminum-base alloy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1982A (ja) * 2004-09-02 2006-03-16 Dainippon Printing Co Ltd 紫外線吸収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70087003A (ko) * 2005-02-01 2007-08-2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반사 방지 하드코트 필름, 광학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JP3197274U (ja) * 2014-07-30 2015-04-30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170B1 (ko) 2024-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8802B2 (en)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CN106297565B (zh) 显示装置
US8134540B2 (en) Touch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WI531939B (zh) 觸控面板
KR2016006396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35434B1 (ko) 윈도우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180008204A (ko) 폴더블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88596B1 (ko) 윈도우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TWM497812U (zh) 觸控顯示裝置
US11966553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digitizer
US10770688B2 (en) Display device
KR20150042046A (ko) 터치센서
CN113383297A (zh) 柔性显示模组及其制造方法、电子设备
KR20150014656A (ko) 편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KR102337614B1 (ko) 윈도우 기판의 제조 방법
CN108021265B (zh) 显示装置
US10162384B2 (en) Display device
KR102275355B1 (ko) 표시 장치
KR102621170B1 (ko)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217766B2 (en) Display cover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KR102294771B1 (ko) 하드 코팅층,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35371B1 (ko)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3019B1 (ko) 디스플레이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698693B2 (en) Input-sensing unit,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therewith
KR20190099618A (ko) 컬러필터 일체형 유연성 터치센서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