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079A - 윙바디 차량의 윙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윙바디 차량의 윙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079A
KR20180092079A KR1020170017415A KR20170017415A KR20180092079A KR 20180092079 A KR20180092079 A KR 20180092079A KR 1020170017415 A KR1020170017415 A KR 1020170017415A KR 20170017415 A KR20170017415 A KR 20170017415A KR 20180092079 A KR20180092079 A KR 20180092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wing door
hinge
hinge pin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4201B1 (ko
Inventor
오한웅
윤영만
Original Assignee
(주)대덕아이엠티
오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덕아이엠티, 오한웅 filed Critical (주)대덕아이엠티
Priority to KR102017001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2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92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2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luggage compartments at the side of the vehicle, e.g. of buses or camper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위해 적재함의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를 열 때 차체 등과 부딪혀 손상을 입거나 차체 등과의 접촉간섭으로 인해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가 완전히 열리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윙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윙바디 차량의 적재함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센터 포스트, 사이드 게이트 중에 장착되어 그 적재함의 양쪽 측면을 개폐하는 윙도어를 레버의 조작에 따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는 윙도어 잠금장치로서, 특히 레버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적재함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센터 포스트, 사이드 게이트 중에 장착을 위한 슬라이더에 대하여 적어도 20도 이내의 각도로 누운 상태를 이루는 윙도어 잠금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윙바디 차량의 윙도어 잠금장치{WING DOOR LOCKING APPARATUS OF WING BODY TRUCK}
본 발명은 윙도어를 날개같이 상하로 회전시켜 컨테이너형 적재함의 양쪽 측면을 개폐하는 방식인 윙바디형 트럭의 윙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위해 적재함의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를 열 때 차체 등과 부딪혀 손상을 입거나 차체 등과의 접촉간섭으로 인해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가 완전히 열리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윙바디 차량의 승강식 윙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용화물차의 적재함은 눈이나 비로부터 화물을 보호할 수 없고, 화물이 운반 중 쏠림현상 등에 의해 도로로 쉽게 쏟아질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각종 화물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탑재 및 적재할 수 있는 이른바 탑차, 윙바디 또는 밴형 화물자동차(vantype truck) 등과 같은 각종 화물 특장차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화물 특장차는 대부분이 완성차 업체에서 출고한 상용화물차의 차대 위에 주로 상부가 막히고 적어도 한쪽 면에 도어가 달린 박스형이나 컨테이너형으로 적재함을 조립 설치하는 방식으로 개조하여 제작한다.
화물 특장차 중 특히 윙바디 차량은 윙도어를 날개같이 상하로 회전시키거나 들어올려 적재함의 양측면을 개폐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화물을 싣고 내리는 상하차 작업이 편리하고 운송의 효율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윙바디 차량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윙도어(2)가 적재함(1)의 천장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대들보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적재함(1)의 양쪽 측면을 개폐하고, 또 윙도어(2)는 적재함(1)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사이드 게이트(3)에 장착된 잠금장치(4)의 잠금 및 잠금 해제에 따라 개방 가능하거나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적재함(1)을 이루는 사이드 게이트(3)의 중심부에는 그 사이드 게이트(3)의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센터 포스트(5)가 설치되어 있고, 그 센터 포스트(5)의 하부는 적재함(1)의 바닥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어 사이드 게이트(3)를 개방 시에는 센터 포스트(5)도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약 180도 정도의 각도로 회전하고, 사이드 게이트(3)를 폐쇄 시에는 센터 포스트(5)도 후크 걸이식 클램프(6)의 잠금 작용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도 2 및 도 3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5784호에 개시되어 있는 윙바디 차량의 윙도어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고정된 걸림돌기(130) 및 회동지지부(120)로 이루어진 고정부재(100)와, 상기 회동지지부(120)에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상하 회동 가능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형 레버힌지공(221)이 형성된 손잡이 레버(200)와, 일단부가 상기 레버힌지공(221)에 힌지 이음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링크(300)와, 상기 연결링크(300)의 타단부에 힌지 이음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윙도어의 바깥쪽 표면에 접촉 가능한 락킹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130)에 구속되어 상기 락킹부(410)가 윙도어의 개방을 저지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걸림돌기(130)로부터 구속 해제되어 상기 손잡이 레버(200)의 자유단부까지 위치이동 및 회동 가능하며, 상기 걸림돌기(130)로부터 구속 해제 시 상기 손잡이 레버(200)의 표면에 걸리는 저지접촉부(415)가 형성된 락킹부재(40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락킹부재(400)의 구속을 위해, 즉 제3힌지핀(430)이 걸림돌기(130)를 넘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걸림돌기(130) 사이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회동지지부(120)와 걸림돌기(130) 사이에 오목한 홈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윙도어용 잠금장치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일정한 무게를 갖는 기계적 특성상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연결링크(300)와 락킹부재(400)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쉽게 회전될 수 있고, 이때 락킹부재(400)의 저지접촉부(415)가 손잡이 레버(200)의 자유단부 표면에 걸림으로써 적재함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사이드 게이트와 부딪혀 손상을 입거나 이를 타격하여 둔탁한 충격음이 발생하거나 혹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 흠집이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윙도어용 잠금장치는 걸림돌기(130)의 상면이 수평면으로 이루어지고 홈부(140)가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형태적 특성상 실질적으로 작동 및 잠금 해제 시에는 손잡이 레버(200)의 상면 및 단부가 걸림돌기(130)와 홈부(140) 사이의 경계 부분에 직접 접촉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레버(20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상태로 세워지는 정도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위해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를 완전히 열면, 도리어 손잡이 레버(200)가 뒤집힌 상태로 회전하여 차체를 향해 돌출되면서 차체나 차량의 안전가드, 연료 탱크 등과 부딪혀 파손 및 변형되거나 혹은 차량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 레버(200)와 차체 등의 접촉간섭으로 인해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가 180도 정도로 완전히 열리지 못하고, 이 때문에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화물을 상하차 시 팰릿(pallet)이라고 하는 하수대(짐대)에 끼워 넣어 화물을 들어올려 운반하는 포크(fork)가 적재함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지 못하는 등 작업에 상당한 불편함과 어려움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락킹부재(400)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사이드 게이트를 타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잡이 레버(200)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저지접촉부(415)를 손잡이 레버(200)의 외형에 맞춰 굴곡된 형태로 정교하게 2차 가공해야 하므로 성형과정이 복잡하고 추가비용이 소요되는 등 생산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한편, 근래에는 윙바디 차량의 화물 적재 작업을 더욱 편리하고 용이하게 하면서 적재량 및 효율을 극대화하고 물류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재함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부피 및 공간을 화물에 따라 적절히 가변시킬 수 있는 적재함 가변형 윙바디 차량이 각광을 받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3872호 등에 윙바디 차량의 적재함 천장 부분과 윙도어가 선택적으로 승강함으로써 적재함의 전체 높이가 가변되는 구조의 윙바디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적재함의 높낮이가 가변되는 윙바디 차량이더라도 도로 운행 시에는 반드시 자동차관리법 및 도로교통법에서 규정하는 높이, 즉 4m 이하로 적재함의 높이를 맞추어 하는데, 적재함의 천장 부분과 윙도어를 상승시킨 상태로 화물을 최대치로 적재한 후 해당 법규를 준수하기 위해서 적재함의 천장 부분과 윙도어를 하강시키면 적재함 천장에 위치하는 대들보 등에 의해 기준 높이로 하강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고, 이렇게 되면 윙도어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 잠금장치로 잠그지 못하여 잠금 해제 상태로 운행할 수밖에 없어 자칫 운행 중 윙도어가 열리면서 화물이 도로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여기서 상술한 기술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10-1605784 B1(2016.03.17) KR10-0983025 B1(2010.09.13) KR20-0295494 Y1(2002.11.05) KR10-0493872 B1(2005.05.27) KR10-0539162 B1(2005.12.21) KR10-1181905 B1(2012.09.05) KR20-0209224 Y1(2000.10.24)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윙도어용 잠금장치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위해 적재함의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를 열 때 차체 등과 부딪혀 손상을 입거나 차체 등과의 접촉간섭으로 인해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가 완전히 열리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윙도어의 승강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써 윙도어가 기준 높이 이상이나 원래의 설치 높이보다 상승된 상태이더라도 잠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윙도어 잠금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적재함의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를 열 때 차체 등과 부딪혀 손상을 입거나 차체 등과의 접촉간섭으로 인해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가 완전히 열리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윙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윙바디 차량의 적재함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센터 포스트, 사이드 게이트 중에 장착되어 그 적재함의 양쪽 측면을 개폐하는 윙도어를 레버의 조작에 따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는 윙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한쪽 끝 부분에 제1힌지홀이 형성되고, 중간 부분에 슬롯 형상의 제2힌지홀이 형성된 레버; 상기 적재함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센터 포스트, 사이드 게이트 중에 장착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상부에 걸림을 위한 후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레버의 제1힌지홀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1힌지핀이 끼워지는 제3힌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와 상기 제3힌지홀 사이에 상기 레버의 상하 회전조작에 따른 접촉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홀딩 블록; 상기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윙도어의 하부 가장자리에 걸림되거나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한쪽 끝 부분에 제4힌지홀이 형성된 록킹 래치; 상기 레버와 상기 홀딩 블록의 양측에서 상기 레버와 상기 록킹 래치를 각각 힌지 이음으로 연결하되, 일단이 상기 레버의 제2힌지홀에 끼워지는 제2힌지핀에 의해 상기 레버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록킹 래치의 제4힌지홀을 통해 끼워지는 제3힌지핀에 의해 상기 록킹 래치와 연결된 링크; 상기 레버 안쪽의 상기 제1힌지핀과 상기 제2힌지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3힌지핀이 상기 홀딩 블록의 후크부에 탄력적으로 걸림 결합되면서 상기 록킹 래치가 상기 윙도어의 하부 가장자리에 걸림되거나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력을 주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홀딩 블록의 공간부 중 상기 후크부와 인접하는 면은 상기 레버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적어도 20도 이내의 각도로 누워서 선 또는 점접촉을 할 수 있도록 곡선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부의 바깥쪽 면에 상기 제3힌지핀의 바깥쪽 둘레 면 일부가 안정적으로 끼워져 밀착되도록 밀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도어 잠금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위해 적재함의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를 열 때 차체 등과 부딪혀 손상을 입거나 차체 등과의 접촉간섭으로 인해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가 완전히 열리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록킹 래치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적재함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센터 포스트, 사이드 게이트를 타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버의 길이는 상기 록킹 래치가 하방으로 회전 시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위해 적재함의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를 열 때 차체 등과 부딪혀 손상을 입거나 차체 등과의 접촉간섭으로 인해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가 완전히 열리지 못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홀딩 블록의 공간부 한쪽 면은 레버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슬라이더에 대하여 적어도 20도 이내의 각도로 누워서 선 또는 점접촉을 할 수 있도록 곡선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위해 적재함의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를 열 때 레버가 차체 등과 부딪혀서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등의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차체 등과의 접촉간섭으로 인해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가 완전히 열리지 못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레버의 길이는 록킹 래치가 하방으로 회전 시 직접적으로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록킹 래치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적재함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센터 포스트, 사이드 게이트를 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구품질 및 수명이 향상되어 고장 발생률 및 고장으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게차 등을 이용한 화물 상하차 시 간섭을 없애 작업의 용이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윙바디 트럭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윙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윙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도어 잠금장치의 국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도어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도어 잠금장치가 장착된 센터 포스트를 완전히 열은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도어 잠금장치를 적재함에 장착 시 그 적재함과 마주하는 면을 배면으로, 그 배면의 반대쪽이면서 외부를 향하는 면을 정면으로, 또 정면에서 수평 방향의 양쪽 면을 측면으로 정의한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도어 잠금장치는 윙바디 차량의 컨테이너형 적재함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센터 포스트(CP), 사이드 게이트 등에 장착되어 그 적재함의 양쪽 측면을 개폐하는 윙도어(W)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레버(10), 트랙(20), 슬라이더(30), 홀딩 블록(40), 록킹 래치(50), 링크(60) 및 스프링(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버(10)는 상하 회전 조작에 따라 윙도어(W)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를 전환시키는 기능 및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길이 방향의 한쪽 끝 부분에는 홀딩 블록(40)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을 위한 제1힌지홀(11)이 형성되어 있고, 중간 부분에는 링크(60)와 힌지 이음으로 연결과 함께 회전축, 즉 제2힌지핀(P2)의 슬라이딩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롯(slot) 형상의 제2힌지홀(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10)의 길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래치(50)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 시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레버(10)는 록킹 래치(50)가 제2힌지핀(P2)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자유 회전하여 적재함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센터 포스트(CP), 사이드 게이트를 타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록킹 래치(50)의 겉면과 직접적으로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록킹 래치(50)에 레버(10)와 접촉간섭을 일으키기 위한 별도의 접촉부를 레버(10)의 외형에 맞춰 굴곡된 형태로 정교하게 2차 가공할 필요가 없어 종래와 달리 록킹 래치(50)를 간단하게 성형 및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레버(10)는 사용 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가락 홈(미 도시)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버(10)의 상하 회전 조작에 따라 스프링(70)이 압축 및 원래의 형태로 탄성 복귀되고, 이와 동시에 록킹 래치(50)와 링크(60)가 슬라이더(30)와 홀딩 블록(40)에 대하여 포개지듯이 접히거나 펴지면서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트랙(20)은 윙도어 잠금장치가 미끄럼 운동으로 승강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 및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적재함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센터 포스트(CP), 사이드 게이트 중에 용접이나 볼팅,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트랙(20)의 전면 중앙 부분에는 슬라이더(30)의 전면에 위치 및 고정되는 레버(10), 홀딩 블록(40), 록킹 래치(50), 링크(60) 등이 접촉간섭 및 마찰 없이 원활하고 수월하게 승강 이동하도록 하는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즉, 트랙(20)은 슬라이더(30)가 제한을 받아 그 공간에 갇힌 채로 승강 이동하도록 그 단면의 형상이 개구부(23)를 기준으로 마치 "ㄷ"자 형태가 대칭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 개구부(23)는 레버(10), 홀딩 블록(40), 록킹 래치(50), 링크(60)가 이루는 좌우 폭보다 약간 넓을 폭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랙(20)의 상하 끝 부분에는 슬라이더(30)의 이동을 막아 트랙(20)에서 벗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및 하부스토퍼(21)(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스토퍼(21)는 제작이나 조립의 용이 및 편의를 위해 적재함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센터 포스트(CP), 사이드 게이트 등에 용접이나 볼팅,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별도 고정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트랙(20)의 적재함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센터 포스트(CP), 사이드 게이트와 대향하는 면에는 볼팅 결합이 용이하도록 카운터 싱크(counter sink) 등의 볼트 구멍(bolt hole)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더(30)는 레버(10), 트랙(20), 홀딩 블록(40), 록킹 래치(50), 링크(60) 및 스프링(70)을 탑재한 채로 트랙(20)을 따라 미끄럼 운동시키는 기능 및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트랙(20)에 구속된 채로 트랙(20)을 따라 승강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30)는 트랙(20)의 제한을 받아 그 공간에 갇힌 채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치 직사각형 판재 형태로 이루어져 그 상하 길이는 트랙(20)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고, 또 좌우 폭은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트랙(20)의 좌우 안내 폭보다 약간 좁게 형성되어 있다.
홀딩 블록(40)은 레버(10)를 지지하고 록킹 래치(50)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 및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슬라이더(30)의 가운데 부분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거나 슬라이더(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딩 블록(40)의 상부에는 제2힌지핀(P2)의 걸림을 위한 후크부(4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레버의 제1힌지홀(11)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1힌지핀(P1)이 끼워지는 제3힌지홀(4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크부(41)와 제3힌지홀(42) 사이에는 레버(10)의 상하 회전조작에 따른 접촉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딩 블록의 공간부(43) 중 후크부(41)와 인접하는 면은 레버(10)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슬라이더(30)에 대하여 적어도 20도 이내의 각도로 누워서 선 또는 점접촉을 할 수 있도록 곡선면(44)으로 이루어져 있고, 후크부(41)의 바깥쪽 면에는 제3힌지핀(P3)의 바깥쪽 둘레 면 일부가 안정적으로 끼워져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홈(45)이 형성되어 있다.
록킹 래치(50)는 윙도어(W)의 하부 가장자리에 걸림되거나 밀착되어 윙도어(W)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기능 및 역할을 하는 것으로, 레버(10)의 조작에 따라 윙도어(W)의 하부 가장자리에 걸림되거나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링크(60)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록킹 래치(50)의 한쪽 끝 부분에는 제3힌지핀(P3)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을 위한 제4힌지홀(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윙도어(W)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걸림턱(J)이 형성되어 있고, 록킹 래치(50)의 상단에는 그 윙도어의 걸림턱(J)을 거는 캐치부(52)가 대응 형성되어 있다.
즉, 록킹 래치의 캐치부(52)가 윙도어의 걸림턱(J)과 걸리는 위치에 따라 슬라이더(30)가 트랙(20)에 대한 승강 및 고정 위치를 자연스럽게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윙도어의 걸림턱(J)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윙도어(W)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윙도어(W)의 하부 가장자리 일부분에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태를 띠도록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록킹 래치(50)의 바깥쪽 둘레 면에는 외력에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의 탄성체를 씌우거나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록킹 래치(50)는 링크(60)와 상대 회전 각도를 부분적으로 제한하여 잠금이나 잠금 해제 시에 록킹 래치(50)가 링크(60)에 대하여 지나치게 많이 회전하여 뒤집히는 것을 막아 주는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크(60)는 레버(10)의 조작에 따라 록킹 래치(50)를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 및 위치로 이동시키는 기능 및 역할을 하는 것으로, 레버(10)와 록킹 래치(50)를 각각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링크(60)는 레버(10)와 홀딩 블록(40)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의 한쪽 끝 부분이 레버의 제2힌지홀(12)에 끼워지는 제2힌지핀(P2)에 의해 레버(10)와 일정한 각도 범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 부분이 록킹 래치의 제4힌지홀(51)을 통해 끼워지는 제3힌지핀(P3)에 의해 록킹 래치(50)와 일정한 각도 범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링크(60)는 좌우 한 쌍으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단일 형태 및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70)은 레버(10)의 조작에 따라 제3힌지핀(P3)이 홀딩 블록의 후크부(41)에 탄력적으로 걸림 결합되면서 록킹 래치(50)가 윙도어(W)의 하부 가장자리에 걸림되거나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력을 주는 기능 및 역할을 하는 것으로, 레버(10) 안쪽의 제1힌지핀(P1)과 제2힌지핀(P2)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즉, 스프링(70)은 제1힌지핀(P1)과 제2힌지핀(P2) 사이에서 레버(10)의 회전 조작에 따른 제2힌지홀(12) 내의 제2힌지핀(P2)의 위치변동에 대응하여 압축 및 복귀하는 탄성 변화를 일으키고, 이에 록킹 래치(50)가 윙도어(W)의 하부 가장자리에 걸림되거나 밀착된 상태를 유지 및 강제로 구속할 수 있도록 탄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스프링(70)은 가해지는 하중에 반발하는 힘을 제공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 즉 압축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도어 잠금장치의 주요 작용 및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도어 잠금장치는 슬라이더(30)가 레버(10), 트랙(20), 홀딩 블록(40), 록킹 래치(50), 링크(60) 및 스프링(70)을 탑재한 채로 트랙(20)의 안내에 따라 자유로운 승강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윙도어(W)가 기준 높이 이상이나 원래의 설치 높이보다 상승하더라도 이에 대응하는 높낮이 및 위치로 자연스럽게 조절하여 록킹 래치(50)로 윙도어(W)의 하부 가장자리 부분을 걸어서 잠글 수 있다.
예를 들어, 윙도어(W)가 적재함의 미리 정해진 기준 높이나 원래의 설치 높이로 닫히면, 슬라이더(3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트랙(20)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그에 탑재된 록킹 래치(50)가 윙도어(W)의 하부 가장자리에 걸림되거나 밀착되면서 잠금 상태를 이룰 수 있고, 윙도어(W)가 적재함의 기준 높이 이상이나 원래의 설치 높이보다 더 상승하여 닫히면, 운전자나 작업자가 슬라이더(30)를 트랙(20)의 상부로 밀어올린 후 록킹 래치(50)를 윙도어(W)의 하부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걸림턱(J)에 걸어서 잠글 수 있고, 이때 슬라이더(30)는 그에 탑재된 록킹 래치(50)와 윙도어(W)의 하부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걸림턱(J) 간의 지지력에 의해 일정한 높낮이로 자동 조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윙도어(W)의 승강에 대응하여 높낮이를 자연스럽게 조절 및 가변시킬 수 있고, 그 상태로 윙도어(W)의 잠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더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0)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슬라이더(30)에 대하여 적어도 20도 이내의 각도로 누워서 선 또는 점접촉을 할 수 있도록 홀딩 블록의 공간부(43) 한쪽 면이 곡선면(44)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레버(10)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슬라이더(30)에 대하여 적어도 20도 이내의 각도로 누운 상태를 이룸으로써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위해 적재함의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를 열 때 레버(10) 등이 차체 등과 부딪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차체 등과의 접촉간섭으로 인해 사이드 게이트와 센터 포스트가 완전히 열리지 못하는 것을 막아 지게차 등을 이용한 화물 상하차 시 작업의 용이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레버(10)는 록킹 래치(50)가 제2힌지핀(P2)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전 시 그 겉면과 직접적으로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록킹 래치(50)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적재함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센터 포스트(CP), 사이드 게이트 등을 타격하는 것을 확실하게 막고, 그로 인한 레버(10) 등의 손상이나 적재함에 흠집이나 변형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레버 11: 제1힌지홀
12: 제2힌지홀 20: 트랙
21: 상부스토퍼 22: 하부스토퍼
30: 슬라이더 40: 홀딩 블록
41: 후크부 42: 제3힌지홀
43: 공간부 44: 곡선면
45: 밀착홈 50: 록킹 래치
51: 제4힌지홀 52: 캐치부
55: 슬롯 60: 링크
65: 걸고리 70: 스프링
CP: 센터 포스트 W: 윙도어
P1: 제1힌지핀 P2: 제2힌지핀
P3: 제3힌지핀 J: 걸림턱

Claims (2)

  1. 윙바디 차량의 적재함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센터 포스트, 사이드 게이트 중에 장착되어 그 적재함의 양쪽 측면을 개폐하는 윙도어를 레버의 조작에 따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는 윙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한쪽 끝 부분에 제1힌지홀이 형성되고, 중간 부분에 슬롯 형상의 제2힌지홀이 형성된 레버;
    상기 적재함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센터 포스트, 사이드 게이트 중에 장착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상부에 걸림을 위한 후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레버의 제1힌지홀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1힌지핀이 끼워지는 제3힌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와 상기 제3힌지홀 사이에 상기 레버의 상하 회전조작에 따른 접촉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홀딩 블록;
    상기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윙도어의 하부 가장자리에 걸림되거나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한쪽 끝 부분에 제4힌지홀이 형성된 록킹 래치;
    상기 레버와 상기 홀딩 블록의 양측에서 상기 레버와 상기 록킹 래치를 각각 힌지 이음으로 연결하되, 일단이 상기 레버의 제2힌지홀에 끼워지는 제2힌지핀에 의해 상기 레버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록킹 래치의 제4힌지홀을 통해 끼워지는 제3힌지핀에 의해 상기 록킹 래치와 연결된 링크;
    상기 레버 안쪽의 상기 제1힌지핀과 상기 제2힌지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3힌지핀이 상기 홀딩 블록의 후크부에 탄력적으로 걸림 결합되면서 상기 록킹 래치가 상기 윙도어의 하부 가장자리에 걸림되거나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력을 주는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홀딩 블록의 공간부 중 상기 후크부와 인접하는 면은 상기 레버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적어도 20도 이내의 각도로 누워서 선 또는 점접촉을 할 수 있도록 곡선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부의 바깥쪽 면에 상기 제3힌지핀의 바깥쪽 둘레 면 일부가 안정적으로 끼워져 밀착되도록 밀착홈이 형성된 윙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래치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적재함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센터 포스트, 사이드 게이트를 타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버의 길이는 상기 록킹 래치가 하방으로 회전 시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길이로 형성된 윙도어 잠금장치.
KR1020170017415A 2017-02-08 2017-02-08 윙바디 차량의 윙도어 잠금장치 KR101954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415A KR101954201B1 (ko) 2017-02-08 2017-02-08 윙바디 차량의 윙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415A KR101954201B1 (ko) 2017-02-08 2017-02-08 윙바디 차량의 윙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079A true KR20180092079A (ko) 2018-08-17
KR101954201B1 KR101954201B1 (ko) 2019-03-05

Family

ID=6340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415A KR101954201B1 (ko) 2017-02-08 2017-02-08 윙바디 차량의 윙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2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80B1 (ko) * 2020-06-16 2020-11-02 오성섭 잠금장치를 구비한 특장차용 도어
CN113882774A (zh) * 2021-11-08 2022-01-04 江苏星徽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阻尼单轨嵌入式铰链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025B1 (ko) 2010-04-08 2010-09-17 형제산업(주) 윙바디 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80B1 (ko) * 2020-06-16 2020-11-02 오성섭 잠금장치를 구비한 특장차용 도어
CN113882774A (zh) * 2021-11-08 2022-01-04 江苏星徽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阻尼单轨嵌入式铰链
CN113882774B (zh) * 2021-11-08 2024-06-04 江苏玖星精密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阻尼单轨嵌入式铰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201B1 (ko)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201B1 (ko) 윙바디 차량의 윙도어 잠금장치
JP7162808B2 (ja) 貨物自動車の荷箱の上扉、荷室形成用構造体および貨物自動車
KR101101327B1 (ko) 윙바디용 윙 잠금 장치
JPH0155136B2 (ko)
KR101912906B1 (ko) 윙바디 차량의 승강식 윙도어 잠금장치
US20130247627A1 (en) Theft-Resistant guard for a roll-up door lock
US4263853A (en) Rail car end door positioning keeper assembly
KR100983025B1 (ko) 윙바디 잠금장치
US20220289005A1 (en) Sliding door structure
US6623223B1 (en) Auto rack deck hinge arrangement
KR101556766B1 (ko)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US20060261599A1 (en) Cover lock mechanism
KR20210046281A (ko)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자동 열림 및 닫힘 유지 장치
KR101143423B1 (ko) 윙바디용 윙 자동 잠금 장치
KR100983816B1 (ko) 윙바디용 보조 게이트 잠금장치
JPS6228270B2 (ko)
KR200489036Y1 (ko) 2단식 사이드 게이트 구조를 갖는 화물차 적재함
KR10046106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US20170022741A1 (en) Door assembly for vehicles
KR200495520Y1 (ko) 윙 바디 트럭의 윙 도어 잠금 장치
JP4859885B2 (ja) 箱型荷台の後部ドアのスライド装置
KR101719987B1 (ko) 화물차량의 잠금장치
KR102480345B1 (ko) 특장차의 리프트 게이트용 탈부착식 가드유닛
KR100233506B1 (ko) 화물차의 적재함 게이트 록크장치
KR200492338Y1 (ko) 적재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