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587A -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587A
KR20180091587A KR1020170016994A KR20170016994A KR20180091587A KR 20180091587 A KR20180091587 A KR 20180091587A KR 1020170016994 A KR1020170016994 A KR 1020170016994A KR 20170016994 A KR20170016994 A KR 20170016994A KR 20180091587 A KR20180091587 A KR 20180091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light
housing assembly
line scan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215B1 (ko
Inventor
임병현
Original Assignee
노벨이엔씨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벨이엔씨 (주) filed Critical 노벨이엔씨 (주)
Priority to KR1020170016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2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3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명장치는, 수직 반사광의 입사 및 출사를 위한 하부 슬릿 및 상부 슬릿이 상하에 구비된 하우징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 내부에서 수직 반사광로 주변으로 대칭 제공되는 복수의 광원; 및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 내부에 제공되는 도광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반사광로는 상기 하부 슬릿 및 상부 슬릿의 상하 방향 연장선에 대응되며, 상기 도광로는 상기 수직 반사광로의 하부 쪽으로 수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조명장치에 따르면, 라인스캔 카메라와 피사체 간 동작거리가 짧은 상태에서도 피사체의 FOV 영역으로 근접한 수직 조사를 유도하기에 유리하고 이와 동시에 광량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일반적인 저휘도의 발광소자를 채택하는 경우에도 고해상도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고, 또한 방열 성능이 우수하여 고해상도 구현에 유리한 고휘도 발광소자를 채택하더라도 조명장치의 내구성 및 성능이 보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LIGHTING DEVICE FOR LINE-SCAN INSPECTION INSTRUMENT}
본 발명은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라인에서 불량제품의 검사를 위해 사용되는 라인스캔 검사장치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를 내장한 라인스캔 카메라와 조명장치를 포함하고, 라인스캔 카메라 직하방에 소정의 동작거리(Working Distance)를 두고 검사대상 피사체가 배치된다.
이러한 라인스캔 검사장치에서 피사체 표면에 대한 이미지 촬상은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 표면의 FOV(field of view) 영역으로 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라인스캔 카메라 또는 피사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수행되며, 조명장치로부터 피사체의 표면으로 조사된 광이 반사되어 라인스캔 카메라에서 촬상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한편, 라인스캔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선명한 이미지를 고속으로 촬상하기 위해서 카메라로 수집되는 수직 반사광의 광량이 커야 한다. 수직 반사광의 광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i) 조명장치로부터의 절대적인 조사 광량을 증가시키거나 ii) 조명장치가 수직 조사 방향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전자 i)의 경우는 발광소자에 대한 방열 및 고에너지 소모의 또 다른 문제가 수반되며, 후자 ii)의 경우는 고해상도 구현을 위해 상기 동작거리를 짧게 한 상태에서 라인스캔 카메라와의 간섭으로 인해 조명장치를 수직 조사 방향에 근접하게 배치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특히 후자 ii)의 경우, 조명장치에 의한 수직 조사가 어려워 반사광의 광량 손실이 있기 때문에, 종래 이를 보상하기 위해 적은 광량으로도 고해상도 이미지 촬상이 가능한 TDI 카메라와 같은 특수한 고가의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인스캔 카메라와 피사체 간 동작거리가 짧은 상태에서도 피사체의 FOV 영역으로 근접한 수직 조사를 유도하기에 유리하고, 광량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방열 성능이 우수한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해결과제와 관련된 새로운 구조의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를 연구 및 개발하는 과정에서, 수직 반사광의 입사 및 출사를 위한 슬릿을 구비하여 라인스캔 카메라 직하방에 배치 가능한 조명장치에 착안하고, 상기 슬릿이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하우징 어셈블리 내부에서 상기 수직 반사광의 광로 주변으로 하나 이상의 광원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광원 각각으로부터의 조사광에 대한 도광로를 상기 수직 반사광로의 하부 쪽으로 수렴하도록 형성하는 경우, 상기 도광로의 경사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수직 조사 근접한 조사가 가능하고 광량 손실이 최소화할 수 있음을 지견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도광로를 하우징 어셈블리 내부에 형성하는 것에 수반하여, 하우징 어셈블리 내부의 밀폐공간을 액상유체를 이용한 강제냉각 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광원에 대한 방열 성능을 제고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관련된 기구적 설계를 더욱 구체화함으로써 본 발명에 도달하게 되었다. 상기한 해결과제에 대한 인식 및 착안에 기초한 본 발명의 요지는 아래와 같다.
(1) 수직 반사광의 입사 및 출사를 위한 하부 슬릿 및 상부 슬릿이 상하에 구비된 하우징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 내부에서 수직 반사광로 주변으로 대칭 제공되는 복수의 광원; 및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 내부에 제공되는 도광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반사광로는 상기 하부 슬릿 및 상부 슬릿의 상하 방향 연장선에 대응되며, 상기 도광로는 상기 수직 반사광로의 하부 쪽으로 수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2) 하우징 어셈블리는, 상기 상부 슬릿을 구비하고 하단이 개방된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슬릿 및 상부 슬릿의 상하 방향 연장선이 상기 수직 반사광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3) 상기 상부 슬릿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연장부가 수용되고 상기 하부 슬릿으로 수렴하는 절개홈부가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의 외면과 상기 절개홈부의 내면 사이의 공간이 상기 도광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의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4) 상기 연장부의 외면과 상기 절개홈부의 내면은 경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의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5)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광원이 장착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판은, 상기 연장부가 관통 삽입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하면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삿갓면;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은 상기 복수의 삿갓면 각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의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6) 상기 삿갓면은 상기 도광로를 향해 대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의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7)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 내부의 상부 공간은 냉매의 저장공간으로 제공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상기 저장공간으로 연통되어 냉매의 입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의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8) 상기 하부 슬릿의 하측에 장작되는 확산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9) 상기 하부 슬릿의 하측에 장착되는 조절판 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10) 상기 하부 슬릿 쪽으로 대향 설치되는 조절판의 측면은 하향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의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본 발명의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에 따르면, 라인스캔 카메라와 피사체 간 동작거리가 짧은 상태에서도 피사체의 FOV 영역으로 근접한 수직 조사를 유도하기에 유리하고 이와 동시에 광량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일반적인 저휘도의 발광소자를 채택하는 경우에도 고해상도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에 따르면, 방열 성능이 우수하여 고해상도 구현에 유리한 고휘도 발광소자를 채택하더라도 조명장치의 내구성 및 성능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따른 조명장치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도 3는 상기 도 1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은 상기 도 1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 구조도.
도 5는 상기 도 1에 따른 조명장치와 라인스캔 카메라의 연결 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거나 본 발명의 요지 설명에 불필요한 부분으로서 도면 도시로부터 그 구조나 동작 내용이 직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관련 식별기호에 대한 표시 및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요지를 구성하지 않는 부분에 대한 도면 도시는 생략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유닛 또는 장치의 용도 또는 동작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10; 이하, '조명장치'로 약칭함)의 사시도를, 도 2는 조명장치(10)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를, 도 3는 조명장치(10)의 분해 사시도를, 도 4은 조명장치(10)의 단면 구조도를, 도 5는 조명장치(10)와 라인스캔 카메라(20)의 연결 구조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도 5를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는 라인스캔 카메라(20)의 직하방에 배치되고 장착 브라켓(40)에 의해 실시예에서와 같이 라인스캔 카메라(20)와 일체로 거동하며, 이러한 조명장치(10) 및 라인스캔 카메라(20)의 어셈블리와 피사체(3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이동수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또한 라인스캔 카메라(2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 렌즈와 같은 광 제어소자와 이미지 센서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20)의 중심과 조명장치(10)의 중심은 정배열되고, 중심 간 연결선이 수직 반사광로(C)를 형성한다. 수직 반사광로(C)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명장치(10)의 상부 슬릿(114) 및 하부 슬릿(124) 간 상하 방향 연장선에 대응된다. 조명장치(10)에서 상기 수직 반사광로(C) 주변에 제공되는 복수의 광원(200; 200a, 200b)에서 조사된 광은 피사체(30)의 표면 요철 내지 프로파일에 따라 반사되어 그 일부가 수직 반사광로(C)를 따라 하부 슬릿(124) 및 상부 슬릿(114)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라인스캔 카메라(20)에 도달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할 때, 상기 조명장치(1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내부에 제공되는 복수의 광원(200; 200a, 200b); 및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내부에 제공되어 복수의 광원(200; 200a, 200b)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피사체(30)로 유도하기 위한 도광로(L; La, Lb)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이 경우, 도광로(L; La, Lb)은 수직 반사광로(C)의 하부 쪽으로 수렴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는 수직 반사광의 입사 및 출사를 위한 하부 슬릿(124) 및 상부 슬릿(114)이 상하에 구비되고, 이러한 하부 슬릿(124) 및 상부 슬릿(114)의 상하 방향 가상의 연장선이 상기 수직 반사광로(C)에 대응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10)는 그 중심을 라인스캔 카메라(20)의 중심에 정배열시킨 상태에서 라인스캔 카메라(20)의 직하방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는 하단이 개방된 구조의 돔형 상부 케이스(110)와, 대체로 판상의 하부 케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부 케이스(120)는 상부 케이스(110)의 하단에 볼트 체결된다. 상부 케이스(110)에는 장경의 상부 슬릿(114)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하부 케이스(120)에도 장경의 하부 슬릿(124)이 구비된다.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가 하우징 어셈블리(100)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슬릿(114)과 하부 슬릿(124)의 중심은 수직 반사광로(C)에 대응되도록 정렬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상면에는 그 상단이 후술하는 구획판(300)의 하면에 밀착되는 지지리브(126)가 구비되고 지지리브(126)의 일부는 배선홈(128)으로 파단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20)의 지지리브(126)는 후술하는 구획판(300)의 하면과의 사이에 소정을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광원(200; 200a, 200b)에 대한 장착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광로(L; La, Lb)는 별도의 부품 요소 없이 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 자체에 대한 구조 및 형상 설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케이스(110)에는 연장부(112)가 구비되고 하부 케이스(120)에는 절개홈부(122)가 구비되도록 구성하고,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가 하우징 어셈블리(100)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112)가 절개홈부(122)가 수용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연장부(112)의 하단측 외면은 수직 반사광로(C) 측으로 수렴하는 형태로 테이퍼진 경사면(112a)으로, 절개홈부(122)의 내면도 수직 반사광로(C) 측으로 수렴하는 형태의 경사면(122a)으로 각각 구성함으로써, 하우징 어셈블리(100) 내 별도 부품 요소 없이도 도광로(L; La, Lb) 형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연장부(112)의 외면과 상기 절개홈부(122)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이 수직 반사광로로 수렴하는 형태의 도광로(L; La, Lb)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연장부(112)의 외측 경사면(112a) 및 절개홈부(122)의 내측 경사면(122a)은 상기 도광로(L; La, Lb)의 내벽면을 이루고, 광원(200; 200a, 200b)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도광로(L; La, Lb)의 내벽면에 반사되면서 피사체(30) 쪽으로 유도된다. 상기 도광로(L; La, Lb)의 내벽면을 이루는 연장부(112)의 외측 경사면(112a) 및 절개홈부(122)의 내측 경사면(122a)은 반사시 광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광로(L; La, Lb)의 수직 반사광로(C)에 대한 경사각은 연장부(112)의 외면 및 절개홈부(122)의 내면 각각이 수직 반사광로(C)에 대해 갖는 경사각을 통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도광로(L; La, Lb)의 수직 반사광로(C)에 대한 경사각이 작을수록 수직 조사에 근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라인스캔 카메라(20)와 피사체(30) 간 동작거리가 짧은 상태에서도 피사체의 FOV 영역으로 근접한 수직 조사를 유도하기에 유리하고 이와 동시에 광량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일반적인 저휘도의 발광소자를 채택하는 경우에도 고해상도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조명장치(10)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광원(200; 200a, 200b)이 장착되는 구획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판(300)의 중심에는 절개부(304)가 구비되고, 그 하면에는 절개부(304)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삿갓면(310)이 구비된다. 실시예에서는 절개부(304)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2개의 삿갓면(310)이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구획판(300)의 주연 및 절개부(304)의 주연에는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리브(306a, 306b)가 형성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리브(306a, 306b)의 상단은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 하면에 밀착됨으로써,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 하면과 구획판(300)의 상면 사에는 소정의 공간(S)이 형성된다. 이 공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매의 저장공간(S)으로 활용된다.
상기 절개부(304)는 상부 케이스(110)에 구비된 연장부(112)의 관통로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상부 케이스(110)에 구비된 연장부(112)가 하부 케이스(120)에 구비된 절개홈부(122)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장부(112)의 외경은 절개부(122)의 내경에 일치됨으로써,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상부 공간은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 하면, 구획판(300)의 상부면 및 지지리브(306a, 306b)의 측면으로 이루어진 밀폐공간(S)으로 구획된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 내부의 상부 밀폐공간(S)은 액상유체를 이용한 강제냉각 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광원(200; 200a, 200b)으로 파워 LED와 같은 발광시 많은 열량을 방출하는 고휘도 발광소자(210)를 채택하더라도 신속 원활하게 방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과정에서 고휘도 발광소자(210)가 지연된 방열로 인해 손상되거나 휘도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어 조명장치(10)의 내구성 및 성능이 보장될 수 있고, 또한 고위도 발광소자(210) 채택이 가능하여 고해상도 이미지 촬상에도 유리하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 내부의 상부 밀폐공간(S)을 냉매 저장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110)에는 상기 저장공간(S)으로 연통되는 냉매의 입출구가 형성되며, 냉매의 입출구에는 외부 냉매순환 펌프(도면 미도시)와 연결되는 냉매 파이프(700; 700a, 700b)가 결합된다.
상기 삿갓면(310)은 복수의 광원(200; 200a, 200b) 각각에 대한 장착 위치를 제공한다. 복수의 광원(200; 200a, 200b) 각각은 복수의 삿갓면(310) 각각에 볼트, 접착제(도면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200; 200a, 200b) 각각은 LED와 같은 발광소자(210)가 회로기판(220)에 장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회로기판(220)의 측면에는 전원공급선(도면 미도시)을 배선하기 위한 배선홈(230)이 구비된다. 회로기판의 배선홈(230)은 하부 케이스(120)의 지지리브(126)에 형성된 배선홈(128)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전원공급선은 회로기판의 배선홈(230) 및 하부 케이스의 배선홈(128)이 맞대응되어 형성된 홀과, 상부 케이스(110)에 구비된 배선홀(11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 전원(도면 미도시)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삿갓면(310)은 상기 도광로(L; La, Lb)를 향해 대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발광소자(210)로부터의 조사된 광량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삿갓면(310)의 하향 경사각은 도광로(L, La, Lb)의 수직 반사광로(C)에 대한 경사각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상기 조명장치(10)는 하부 슬릿(124)의 하측에 장착되는 확산필터(40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산필터(400)는 하부 슬릿(124)을 통과하는 광을 확산시킴으로써 피사체(30)에 대해 균일한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확산필터(400)를 쌍으로 구성하였고, 확산필터(400) 상호간에는 하부 슬릿(124)의 폭 또는 이보다 작은 크기로 이격되어 장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10)는 하부 슬릿(124)의 하측에 장착되는 조절판(500; 500a, 500b)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판(500; 500a, 500b)은 하부 슬릿(124)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쌍으로 제공되며, 조절판(500; 500a, 500b) 쌍은 하부 슬릿(124)을 통과하는 광을 피사체(30)의 POV 영역으로 집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조절판(500; 500a, 500b)에 의한 조사광의 집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하부 슬릿(124) 쪽으로 대향 설치되는 조절판의 측면은 하향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502)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광로(L; La, Lb)가 수직 반사광로(C)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짐으로써 하부 슬릿(124)을 통과한 조사광이 POV 영역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 안쪽으로 유도하기 위함이다. 조절판(500; 500a, 500b)의 경사면(502)은, 상기한 연장부(112)의 외측 경사면(112a) 및 절개홈부(122)의 내측 경사면(122a)과 마찬가지로, 반사시 광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판(500; 500a, 500b) 쌍의 이격 간격은 POV 영역 크기에 따라 조절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조절판(500; 500a, 500b) 쌍 각각은 장경홀(504)을 구비하여 하부 케이스(120)에 볼트 체결하는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예에서와 같이 확산 필터(400)가 구비되는 경우 이러한 조절판(500; 500a, 500b) 쌍은 확산 필터(40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고, 확산 필터(400)가 하부 케이스(120)의 하면에 함몰 수용된 상태로 조절판(500; 500a, 500b) 쌍이 하부 케이스(120) 하면에 볼트 체결함으로써 확산 필터(400)가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조명장치(10)에 따르면, 라인스캔 카메라(20)와 피사체(30) 간 동작거리가 짧은 상태에서도 피사체의 FOV 영역으로 근접한 수직 조사를 유도하기에 유리하고 이와 동시에 광량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일반적인 저휘도의 발광소자를 채택하는 경우에도 고해상도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10)에 따르면, 방열 성능이 우수하여 고해상도 구현에 유리한 고휘도 발광소자를 채택하더라도 조명장치(10)의 내구성 및 성능이 보장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이나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명장치(10)가 장착 브라켓(40)에 의해 라인스캔 카메라(20)에 결합되어 일체로 거동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사용환경에 따라 조명장치(10)가 라이스캔 카메라(20)와 분리되어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장치 및 부품 요소의 간소화 측면에서 상기 도광로(L; La,의 형Lb)의 형성을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에 대한 구조 및 형상 설계를 통해 구현하는 것에 대해 예시하였으나, 구획판(300)과 같은 하우징 어셈블리(100) 내부에 수용되는 별도의 부품 요소를 통해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상부 슬릿(114) 및 하부 슬릿(124)이 비정방형의 장경 구조인 것을 예정하여, 광원(200; 200a, 200b), 이를 장착하기 위한 삿간면(310), 도광로(L; La, Lb) 등이 각각 장경 구조의 슬릿(114, 124) 양측에 2 개씩 제공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상부 슬릿(114) 및 하부 슬릿(124)이 정방형 구조로 제공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러한 광원(200)이나 도광로(L)의 개수는 수직 반사광로 주변에서 복수로 제공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0: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100: 하우징 어셈블리
110: 상부 케이스
112: 연장부 112a: 경사면
114: 상부 슬릿 115: 배선홀
116a, 116b: 입출구
120: 하부 케이스
122: 절개홈부 122a: 경사면
124: 하부 슬릿
126: 지지리브
128: 배선홈
200, 200a, 200b: 광원
210: 발광소자 220: 회로기판
230: 배선홈
300: 구획판
304: 절개부
306a, 306b: 지지리브
310: 삿갓면
400: 확산필터
500, 500a, 500b: 조절판
502: 경사면 504: 장경홀
600, 600a, 600b: 가스켓
700, 700a, 700b: 냉매 파이프
L, La, Lb: 도광로 S: 냉매 저장공간
C: 수직 반사광로
20: 라인스캔 카메라 30: 피사체
40: 장착 브라켓

Claims (10)

  1. 수직 반사광의 입사 및 출사를 위한 하부 슬릿 및 상부 슬릿이 상하에 구비된 하우징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 내부에서 수직 반사광로 주변으로 대칭 제공되는 복수의 광원; 및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 내부에 제공되는 도광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반사광로는 상기 하부 슬릿 및 상부 슬릿의 상하 방향 연장선에 대응되며, 상기 도광로는 상기 수직 반사광로의 하부 쪽으로 수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 어셈블리는, 상기 상부 슬릿을 구비하고 하단이 개방된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슬릿 및 상부 슬릿의 상하 방향 연장선이 상기 수직 반사광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릿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연장부가 수용되고 상기 하부 슬릿으로 수렴하는 절개홈부가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의 외면과 상기 절개홈부의 내면 사이의 공간이 상기 도광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면과 상기 절개홈부의 내면은 경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광원이 장착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판은, 상기 연장부가 관통 삽입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하면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삿갓면;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은 상기 복수의 삿갓면 각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삿갓면은 상기 도광로를 향해 대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 내부의 상부 공간은 냉매의 저장공간으로 제공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상기 저장공간으로 연통되어 냉매의 입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릿의 하측에 장작되는 확산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릿의 하측에 장착되는 조절판 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릿 쪽으로 대향 설치되는 조절판의 측면은 하향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KR1020170016994A 2017-02-07 2017-02-07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KR101922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94A KR101922215B1 (ko) 2017-02-07 2017-02-07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94A KR101922215B1 (ko) 2017-02-07 2017-02-07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587A true KR20180091587A (ko) 2018-08-16
KR101922215B1 KR101922215B1 (ko) 2018-11-26

Family

ID=6344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994A KR101922215B1 (ko) 2017-02-07 2017-02-07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2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969B1 (ko) * 2019-07-09 2019-12-04 주식회사 푸름인더스트리 고속 검사가 가능하고 조명 교체 및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라인스캔 검사장치 및 그의 자동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JP2020034370A (ja) * 2018-08-29 2020-03-05 シーシーエス株式会社 光照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2294A (ja) * 2001-10-29 2003-07-18 Ccs Inc 検査用照明装置
KR100784854B1 (ko) 2007-02-14 2007-12-14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여기광원유닛 및 이를 갖는 루미네선스 계측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34370A (ja) * 2018-08-29 2020-03-05 シーシーエス株式会社 光照射装置
KR102051969B1 (ko) * 2019-07-09 2019-12-04 주식회사 푸름인더스트리 고속 검사가 가능하고 조명 교체 및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라인스캔 검사장치 및 그의 자동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215B1 (ko) 201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8712B2 (ja) 平面的に配列された光源により放出される収束光線の実現
KR101922215B1 (ko) 라인스캔 검사장치용 조명장치
JP6539665B2 (ja) スポーツ照明器具
CN103091957A (zh) 图像投影装置
KR20140067294A (ko) 사방 영상 획득형 비회전 검사장치
JP2007509341A (ja) 球面を有する物体のための検査デバイス
WO2021010271A1 (ja) 航空機用灯具
JP2007035381A (ja) 照明装置及び照明機器
US20150345749A1 (en) Wall wash lighting system
JP2011187244A (ja) Ledユニットおよびホリゾントライト
US11251347B2 (en) Semiconductor light source
JP5425297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内照明装置
KR101973482B1 (ko) 동축 조명 장치
KR100661911B1 (ko) 검사 장치
JP5723985B2 (ja) 特に道路照明のための最適化放射を備えた照明モジュール
KR20150119884A (ko) 검사 장치
JP2015173007A (ja) 照明装置、照明ユニット
JP2020184562A (ja) 照明装置及び検査装置
JP5691726B2 (ja) 照明装置用反射体、及び照明装置
JP6409418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2005038728A (ja) 光照射装置
CN220488995U (zh) 一种可切换光源装置及检测系统
KR101884136B1 (ko) 비전검사용 광원장치
JP7227562B2 (ja) 照明装置
JP6560582B2 (ja) ルーバー、及び投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