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540A -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540A
KR20180091540A KR1020170016868A KR20170016868A KR20180091540A KR 20180091540 A KR20180091540 A KR 20180091540A KR 1020170016868 A KR1020170016868 A KR 1020170016868A KR 20170016868 A KR20170016868 A KR 20170016868A KR 20180091540 A KR20180091540 A KR 20180091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monitor
image
auto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유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유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유니텍
Priority to KR1020170016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1540A/ko
Publication of KR20180091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or light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2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550/10

Abstract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은 자동차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자동차의 측방을 촬영하는 복수의 측면 카메라 유닛, 상기 복수의 측면 카메라 유닛에서 획득하는 영상을 시각정보로 표시하는 모니터 유닛, 상기 측면 카메라 유닛에서 획득하는 영상을 전자파일로 저장하는 저장유닛 및 상기 측면 카메라 유닛에서 획득된 영상을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시키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 카메라 유닛 및 상기 모니터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 카메라 유닛은, 상기 자동차의 측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자동차의 측면 후방의 물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은 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자동차의 측후방을 촬영함과 동시에 측 후방에 위치하는 물체를 유무를 감지하고, 보정기능이 있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운전자의 눈의 피로를 감소시키며,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하여 사고발생 시, 사고 당시의 상황을 영상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Camera monitor system of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의 양측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배치하고 차량 내부에 양측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패널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좌우측에는 사이드 미러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사이드미러는 자동차의 측 후방을 감시하는 용도로서 차량의 후진이나 운행에 따른 차선 변경 시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사이드미러는 눈에 잘 띄지 않는 사각지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후진이나 차선 변경 시에 사이드미러의 사각지대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이드 미러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자동차의 측 후방의 사각지대까지 볼 수 있는 방법이 안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경우 사각지대를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으나, 사각지대의 접근하는 자동차 등의 물체에 대한 경보를 표시하는 수단이 미비하였다. 또한,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어 측 후방을 촬영하여 보여주는 카메라의 경우 역광에 취약하며 안개를 동반하는 기후조건이나 어두운 환경 또는 어두운 환경속에 마주오는 차량의 전조등의 강력한 스포트라이트가 비쳐지는 경우 이를 보정하는 기능이 없어서,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어 측 후방을 촬영하여 보여주는 카메라의 경우,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하지 못하여 사고현장에서 정확한 상황을 인지할 수 없었다.
또한, 최근에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이 일부 개정되어 자동차에 간접시계장치로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제50조 [국토교통부령 제386호, 2017.1.9., 일부개정]).
따라서,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를 보조 또는 대체할 수 있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자동차의 측 후방을 촬영함과 동시에 측 후방에 위치하는 물체를 유무를 감지하고, 물체가 감지되면 모니터에 경고음 및 경고화면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카메라에 발광부재를 구비하여, 야간에도 시야확보가 가능한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보정기능이 있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운전자의 눈의 피로를 감소시키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모니터로 감지, 조명, 보정, 저장 등의 각각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은 자동차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자동차의 측방을 촬영하는 복수의 측면 카메라 유닛, 상기 복수의 측면 카메라 유닛에서 획득하는 영상이 시각정보로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 유닛, 상기 측면 카메라 유닛에서 획득하는 영상을 전자파일로 저장되는 저장유닛 및 상기 측면 카메라 유닛에서 획득된 영상을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시키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 카메라 유닛 및 상기 모니터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 카메라 유닛은, 상기 자동차의 측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자동차의 측면 후방의 물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모니터 유닛에 시각적 경보 및 경보음을 발생하여 상기 자동차에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 유닛은, 자동차의 양측 출입문의 내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측면 모니터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자동차의 대쉬보드 상에 배치되는 와이드 모니터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측면 카메라 유닛에서 촬영되는 상기 자동차의 각각의 측면이 상기 와이드 모니터에 화면을 분할하여 각각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자동차의 방향지시등과 연동되어, 방향지시등이 켜진 방향의 상기 측면 카메라 유닛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와이드 모니터 전체에 디스플레이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는, 180도 이상의 각도를 촬영하는 어안렌즈가 구비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는, 역광보정, 광역역광보정 및 안개보정 기능이 구비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자동차의 안개등과 연동되어 상기 안개등이 켜졌을 경우, 상기 카메라의 안개보정 기능을 동작시킨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의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정면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자동차의 후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배면 카메라 유닛을 더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정면 카메라 유닛, 상기 배면 카메라 유닛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유닛에 더 저장한다.
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자동차의 측 후방을 촬영함과 동시에 측 후방에 위치하는 물체를 유무를 감지하고, 물체가 감지되면 모니터에 경고음 및 경고화면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에 발광부재를 구비하여, 야간에도 시야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보정기능이 있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운전자의 눈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니터로 감지, 조명, 보정, 저장 등의 각각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모니터 유닛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5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자동차의 주행 중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은 자동차(C)의 일측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 복수의 카메라 유닛(100, 200, 300)으로 촬영한 자동차의 전방향의 주변을 자동차(C) 내부의 모니터 유닛(500)에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가 시각적인 정보로 자동차(C) 주변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은 사이드 미러를 보조하여 운전자에게 사각지대 없는 시야를 제공할 수 있어, 자동차(C)의 주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 자동차(C)의 외부에 소형구조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C)에 결합되는 사이드미러 및 룸미러 등의 아날로그 간접시계장치를 대체하는 경우 자동차의 연비, 디자인 등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은 운전자가 아날로그 간접시계장치를 통해 주변상황을 인지할 때보다 사각지대의 발생이 적어 교통사고위험의 발생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은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자율 주행 차량의 시각정보를 보조할 수 있다.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은 측면 카메라 유닛(100), 정면카메라 유닛(200), 배면 카메라 유닛(300), 제어 유닛(400), 모니터 유닛(500), 저장유닛(6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측면 카메라 유닛(100)은 자동차(C)의 측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측 후방에 위치한 물체를 감지한다. 측면 카메라 유닛(100)은 자동차(C)의 측방을 촬영하여 기존의 사이드 미러를 보조 또는 대체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카메라 유닛(100)은 차선이동이나 주차 시, 운전자가 사이드미러에서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어 사고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측면 카메라 유닛(100)은 자동차의 각각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자동차의 측면의 영상을 획득한다. 측면 카메라 유닛(100)은 카메라(110), 감지센서(120) 및 발광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0)는 자동차(C)의 측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카메라(110)는 어안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110)일 수 있다. 여기서, 어안렌즈는 사각이 180°이상의 각도를 카메라(110)로 획득할 수 있는 렌즈이다. 즉, 카메라(110)는 자동차(C)의 측방 전체를 촬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자가 자동차(C)의 측면 전체의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어 차선변경 또는 주차 시, 접촉사고 등의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0)는 역광보정(Back-light Compensation, BLC), 역광차단(High-light Compensation, HLC), 광역역광보정(Wide Dynamic Range, WDR) 및 안개보정(defog)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역광보정기능은 어두운 부분을 화이트 밸런스로 밝게 보이게 하는 기능이다. 즉, 어두운 부분의 명암을 올려줌으로 밝게 만들어 주는 기능이다. 역광보정시 화면이 밝게 되는 단순기능으로 어두운 곳은 밝게 해주지만 밝은 곳은 더 밝게 되어 사물윤곽이 흐려질 수 있다.
역광차단기능은 밝은 빛을 차단하여 어둡게 만들어 주는 기능이다. 밝은 부분에 있는 어두운 부분이 같이 어두어지므로 사물의 인식이 저하될 수 있다.
역광보정기능 및 역광차단기능은 단순기능로 사물의 인식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역역광보정기능은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의 이미지를 동시에 잘 볼 수 있게 구현해는 주는 기능이다. 즉, 광역역광보정기능은 밝은 영역에서의 고속 셔터 영상신호와 어두운 영역에서의 저속 셔터 영상 신호를 하나로 모아 영상화함으로써 역광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는 기능이다.
안개보정기능은 촬영되는 피사체가 안개 등으로 선명하지 못하고 뿌옇게 될 경우 피사체의 명암을 올려주어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는 기능이다.
카메라는 역광보정(Back-light Compensation, BLC), 역광차단(High-light Compensation, HLC), 광역역광보정(Wide Dynamic Range, WDR) 및 안개보정(defog)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모니터 유닛(500)에 선명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감지센서(120)는 측면 후방의 물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120)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중 하나 일 수 있다. 감지센서(120)는 피측정물에 지향성의 날카로운 초음파를 송신하여 피측정물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센서(120)는 자동차(C)의 측 후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자동차(C)의 측 후방에 위치하는 물체의 거리를 감지한다.
발광부재(130)는 빛을 조사하여, 카메라(110)의 영상획득을 보조한다. 예를 들어,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자동차(C)가 운행될 경우, 발광부재(130)는 빛을 조사하여 카메라(110)의 영상획득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재(130)는 사이드미러와 측면 사이트 카메라 유닛(100)이 함께 배치되는 경우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에게 사이드 미러를 통한 시야의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재(130)는 소정 조도 이하의 환경에서 자동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발광부재(130)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발광부재(130)는 LED, 할로겐 램프, 백열등, 형광등 중 하나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면 카메라 유닛(200)은 자동차(C)의 정면에 배치되어 자동차의 정면의 영상을 획득한다. 정면 카메라 유닛(200)은 측면 카메라 유닛(100)에 포함되는 카메라(110)와 동일한 구성의 카메라(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면 카메라 유닛(300)은 자동차(C)의 후면에 배치되어 자동차(C)의 후면의 영상을 획득한다. 배면 카메라 유닛(300)도 측면 카메라 유닛(100)에 포함되는 카메라(110)와 동일한 구성의 카메라(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400)은 측면 카메라 유닛(100), 정면 카메라 유닛(200), 배면 카메라 유닛(300) 및 모니터 유닛(50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400)은 감지센서(120)와 연동하여 자동차(C) 내에 경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400)은 측면 카메라 유닛(100), 정면 카메라 유닛(200), 배면 카메라 유닛(300)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보정하여 모니터 유닛(5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200)은 측면 카메라 유닛(100), 정면 카메라 유닛(200), 배면 카메라 유닛(300)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저장유닛(60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제어 유닛(400)은 경보발생부(410), 영상처리부(420) 및 저장부(430)를 포함한다.
경보발생부(410)는 감지센서(120)에서 물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하로 감지되면 모니터 유닛(500)에 시각적 경보 및 경보음을 발생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 유닛(500)은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
경보발생부(410)는 자동차(C)의 측 후방에 위치한 물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시각적 경보를 더 빠르게 표시하거나 더 밝게 표시하여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경보발생부(410)는 모니터 유닛(500)의 측면 영상의 테두리에 빨간 테두리를 형상화하여 깜빡임으로써 표시할 수 있으며, 테두리의 깜빡임이 더 빨리 지거나 더 밝고 굴게 표시됨으로써 자동차(C)의 측 후방에 위치한 물체의 거리가 가까워 졌음을 운전자에게 인지 시킬 수 있다.
또한, 경보발생부(410)는 자동차(C)의 측 후방에 위치한 물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경보음을 더 크게 발생시키거나 더 빠르게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사고의 위험을 인지시킬 수 있다.
영상처리부(420)는 획득되는 영상을 모니터 유닛(500)에 제공한다. 또한, 영상처리부(420)는 카메라(110)가 어안렌즈를 통해 상이 비뚤어지게 찍히는 성질, 즉 원통형의 만곡을 남기고 화면에 균등한 밝기의 상이 맺히기 때문에, 이를 모니터 유닛(500)에 제공하기 위해 상을 보정하여 일반적인 카메라에 맺히는 상으로 보정한다.
영상처리부(420)는 측면 카메라 유닛(100)이 획득하는 자동차의 측면영상 중에 일부를 모니터 유닛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부(420)는 자동차의 주행중에 측면 카메라 유닛(100)이 획득한 자동차(C)의 측면 중에 자동차의 정방의 측면을 촬영하는 영상을 제외하고 모니터 유닛(5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처리부(420)는 운전자가 자동차(C)의 운전에 필요한 영상만을 제공하여 운전자의 운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영상처리부(420)는 자동차(C)의 소정속도 이하의 저속운전 및, 선회 시에 측면전체의 영상을 모니터 유닛(500)에 제공하여 운전자의 차선변경, 선회 또는 주차 시,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유닛(400)은 방향지시등(C1)과 연동된다. 즉, 영상처리부(420)는 운전자가 차선 변경 또는 선회를 원하는 방향의 방향지시등(C1)을 작동하기 위해 레버를 조작하면 작동되는 방향지시등(C1)의 방향에 위치한 측면 카메라 유닛(100)에서 획득하는 자동차(C)의 측면의 획득영상을 모니터 유닛(400)에 제공하여 운전사의 시야확보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어 유닛(400)은 안개등과 연동된다. 여기서, 영상처리부(420)는 주위환경의 안개 또는 비 등에 의해 시야가 흐려졌을 경우, 운전자의 안개등의 작동여부에 따라 카메라(110)의 안개보정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안개보정기능이 제공되는 영상을 모니터 유닛(500)을 통해 제공받아 눈의 피로를 덜 수 있으며, 더 선명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영상처리부(420)는 카메라(110)를 제어하여 카메라(110)가 가지고 있는 보정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이에 따라, 모니터 유닛(500)은 보정기능이 적용된 영상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 유닛(5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은 보정된 영상이 제공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눈의 피로를 저감할 수 있다.
저장부(430)는 측면 카메라 유닛(100), 정면 카메라 유닛(200) 및 배면 카메라 유닛(300) 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저장유닛(600)에 저장한다. 저장부(430)는 영상처리부(420)에 의해 보정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카메라 유닛(100, 200, 300)에서 획득한 원본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30)는 자동차(C) 외부의 충격이 발생할 경우 이를 영상으로 저장하여 사고 발생 시, 사고의 발생의 원인을 밝히는 증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은 획득되는 영상을 저장하여 사고 발생 시, 저장된 영상을 통해 사고의 원인을 밝힐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은 자동차(C)의 전방향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부재시에도 사용자의 자동차(C)의 전방향에 걸쳐 파손을 촬영할 수 있다.
모니터 유닛(500)은 측면 카메라 유닛(100), 정면 카메라 유닛(200) 및 배면 카메라 유닛(300)에서 획득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모니터 유닛(500)은 측면 모니터(510) 및 와이드 모니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모니터(510)는 측면 카메라 유닛(100)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모니터(510)는 자동차(C) 내부의 전측 출입문 양측에 구비되어, 측면 카메라 유닛(100)을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제어 유닛(400)에서 보정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은 운전자가 측면 모니터(510)를 통해 자동차(C)의 측면을 사각지대 없이 인지할 수 있어, 운전 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와이드 모니터(520)는 측면 카메라 유닛(100)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화면을 분할하여 각각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와이드 모니터(520)는 화면을 4분할 하여 정면카메라 유닛(200) 및 배면 카메라 유닛(400)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함께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와이드 모니터(520)는 각각의 영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카메라(110)가 보유한 보정기능을 선택하여 제어 유닛(400)에서 보정처리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와이드 모니터(520)는 선회방향에 따라, 각각의 자동차(C) 측면영상을 화면전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와이드 모니터(520)는 자동차(C)의 후진 시, 화면전체에 배면 카메라 유닛(3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모니터 유닛(500)에서 카메라의 보정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패드로 구성되는 모니터 유닛(500)은 각각의 보정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터치 포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모니터 유닛(500)이 터치패드가 구현되지 않을 경우 보정스위치를 구비하여 보정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모니터 유닛(500)은 제어 유닛(400)에서 보정된 영상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 유닛(500)은 제어 유닛(400)이 안개등(C2)과 연동되어 안개등(C2)이 켜졌을 경우 자동으로 안개보정기능을 통해 보정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모니터 유닛(500)에서 발광부재(130)의 작동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패드로 구성되는 모니터 유닛(500)에서 발광부재(130)의 작동을 위한 터치 포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 유닛(500)에 발광부재(130)의 작동을 위한 보정스위치가 제공되어 발광부재(130)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저장유닛(600)은 측면 카메라 유닛(100), 정면 카메라 유닛(200) 및 배면 카메라 유닛(300)에서 촬영되어 획득되는 영상이 전자파일로 저장되는 저장매체이다. 저장유닛(600)은 HDD, SSD, SD및 Micro SD 등의 저장매체 일 수 있으며, 카메라(110)의 화질 및 저장하고자 하는 기록기간에 따라 용량이 선택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저장유닛(600)에 저장된 오래된 파일은 제어 유닛(400)의 저장부(430)가 오래된 순으로 순차적으로 영상을 삭제하여 용량이 부족할 경우에도 항상 신규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도록 관리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및 도 3을 참조하면, 측면 카메라 유닛(100)은 자동차(C)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카메라 유닛(100)은 타이어를 덮고 있는 자동차(C)의 전방 펜더(fender)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 카메라 유닛(100)이 사이드 미러를 대체하는 경우, 사이드 미러의 크기에 비해 소형으로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측면 카메라 유닛(100)은 자동차(C)의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측면 카메라 유닛(100)은 펜더에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사이드 미러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측면 카메라 유닛(100)은 사이드 미러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측면 카메라 유닛(100)은 카메라(110), 감지센서(120), 발광부재(130), 하우징(140)을 포함한다.
하우징(140)은 카메라(110) 및 감지센서(120)를 수용한다. 하우징은 자동차의 팬더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40)은 카메라(110) 및 감지센서(120)가 내부에 수용되며, 촬영방향 및 감지의 방향이 측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40)은 경사면에 카메라(110)와 감지센서(120)가 외부를 촬영하거나 측정할 수 있는 각각의 개구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40)은 발광부재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40)에 형성되는 각각의 개구는 카메라(110), 감지센서(120) 및 발광부재(130)가 물리적으로 각각 간섭되지 않는 소정간격을 형성하고 개구된다. 따라서, 카메라(110), 감지센서(120) 및 발광부재(130)는 소정간격을 형성하고 배치된다. 이러한, 하우징(140)에 수용되는 카메라(110), 감지센서(120) 및 발광부재(130)는 하우징(140)의 동일면에 배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카메라 유닛(100)은 자동차(C)의 측면을 촬영할 수 있고, 감지센서(120)가 자동차(C)의 측 후방에 위치한 물체를 측정할 수 있다.
정면 카메라 유닛(200)은 자동차(C)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전방을 촬영한다. 예를 들어, 정면 카메라 유닛(200)은 자동차(C) 앞유리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자동차(C)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정면 카메라 유닛(200)은 카메라(110)를 구비할 수 있다. 정면 카메라 유닛(200)의 카메라(110)는 측면 카메라 유닛(100)을 설명하며 선술한 카메라(110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배면 카메라 유닛(300)도 자동차(C)의 내부에 설치된다. 다만, 배면 카메라 유닛(300)은 자동차(C)의 후방을 촬영하도록 자동차(C)의 뒷유리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배면 카메라 유닛(300)은 카메라(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면 카메라 유닛(300)의 카메라(110) 역시 선술한 측면 카메라 유닛(100)을 설명하며 선술한 카메라(11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측면 카메라 유닛(100), 정면 카메라 유닛(200) 및 배면 카메라 유닛(3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제어 유닛(400)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 유닛(500)에 제공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모니터 유닛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니터 유닛(500)은 측면 카메라 유닛(100), 정면 카메라 유닛(200) 및 배면 카메라 유닛(3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운전자에게 시각 정보로 디스플레이된다.
모니터 유닛(500)은 측면 모니터(510) 및 와이드 모니터(520)를 포함한다.
측면 모니터(510)는 자동차(C)의 전방에 위치한 양측 출입문의 내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좌측 출입문에 배치되는 측면 모니터(510)는 좌측에 위치한 측면 카메라 유닛(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우측 출입문에 배치되는 측면 모니터(510)는 우측에 위치한 측면 카메라 유닛(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측면 모니터(510)의 형상이나 크기 및 배치위치는 제한되지 않지만,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위해 출입문의 도어트림 상단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전자가 시야확보를 위한 충분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모니터(510)는 출입문에 매설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측면 모니터(510)는 출입문에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와이드 모니터(520)는 대시보드의 센터 페시아의 상단에 배치된다. 와이드 모니터(520)는 측면 카메라 유닛(100)에서 촬영되는 자동차의 각각의 측면이 와이드 모니터(520)의 화면을 중앙을 기점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와이드 모니터(520)는 하나의 화면에 측면 카메라 유닛(100)에서 촬영되는 자동차(C)의 좌측 및 우측이 한번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와이드 모니터(520)는 화면을 중앙을 기점으로 4분할 하여 측면 카메라 유닛(100), 전방 카메라 유닛(200) 및 후방 카메라 유닛(3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각각의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 유닛(500)에 각각의 카메라 유닛들(100, 200 3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운전자는 모니터 유닛(500)에서 4분할 모드, 측면 분할 모드, 전방 모드, 후방모드, 좌측면 모드, 우측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모니터 유닛(500)은 자동차가 일방향으로 회전 시, 와이드 모니터(520) 전체에 운전자가 선택된 방향의 측면 카메라 유닛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와이드 모니터 (520)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400)은 방향지시등(C1)과 연동하여 방향지시등(C1)이 켜진 방향의 측면 카메라 유닛(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와이드 모니터(520) 전체에 제공할 수 있다. 방향지시등(C1)과의 연동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조향장치와 연동되어 회전방향과 일치하는 측면 카메라 유닛(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와이드 모니터(520) 전체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5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자동차의 주행 중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감지센서(120)는 주행 중, 측 후방에 위치한 물체의 유무를 거리를 측정하여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120)는 물체의 거리를 측정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제어 유닛(400)에 전달한다. 제어 유닛(400)은 감지센서(120)에서 감지되는 물체의 거리가 설정 거리 이하로 감지되면 모니터 유닛(500)에 시각적 경보 및 경보음을 발생하여 자동차에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제어 유닛(400)은 물체의 거리에 따라 모니터 유닛(500)에 시각적 경보 및 경보음을 발생하여 자동차(C)에 경보신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400)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경보신호를 더 크게 발생하거나, 신호의 주기를 더 빠르게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인지시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은 자동차의 전방향의 영상을 사각지대 없이 획득할 수 있어, 운전자의 운전을 보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자동차의 측 후방을 촬영함과 동시에 측 후방에 위치하는 물체를 유무를 감지하고, 물체가 감지되면 모니터에 경고음 및 경고화면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에 발광부재를 구비하여, 야간에도 시야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보정기능이 있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운전자의 눈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니터로 감지, 조명, 보정, 저장 등의 각각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 : 자동차 C1 : 방향지시등
C2 : 안개등 10 :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100 : 측면 카메라 유닛 110 : 카메라
120 : 감지센서 200 : 정면 카메라 유닛
300 : 배면 카메라 유닛 400 : 제어 유닛
410 : 경보 발생부 420 : 영상처리부
430 : 저장부 500 : 모니터 유닛
510 : 와이드 모니터 520 : 측면 모니터
600 : 저장유닛

Claims (11)

  1. 자동차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자동차의 측방을 촬영하는 복수의 측면 카메라 유닛;
    상기 복수의 측면 카메라 유닛에서 획득하는 영상이 시각정보로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 유닛;
    상기 측면 카메라 유닛에서 획득하는 영상이 전자파일로 저장되는 저장유닛; 및
    상기 측면 카메라 유닛에서 획득된 영상을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시키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 카메라 유닛 및 상기 모니터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 카메라 유닛은,
    상기 자동차의 측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소정간격을 형성하고 배치되어, 상기 자동차의 측면 후방의 물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카메라와 소정간격을 형성하고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여 어두운 환경에서 상기 카메라의 영상획득을 보조하는 발광부재;
    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모니터 유닛에 시각적 경보 및 경보음을 발생하여 상기 자동차에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경보발생부;
    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유닛은,
    자동차의 양측 출입문의 내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측면 모니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유닛은,
    상기 자동차의 대쉬보드 상에 배치되는 와이드 모니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측면 카메라 유닛에서 촬영되는 상기 자동차의 각각의 측면이 상기 와이드 모니터에 화면을 분할하여 각각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자동차의 방향지시등과 연동되어, 방향지시등이 켜진 방향의 상기 측면 카메라 유닛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와이드 모니터 전체에 디스플레이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180도 이상의 각도를 촬영하는 어안렌즈가 구비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역광보정, 광역역광보정 및 안개보정 기능이 구비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자동차의 안개등과 연동되어 상기 안개등이 켜졌을 경우, 상기 카메라의 안개보정 기능을 동작시키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정면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자동차의 후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배면 카메라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정면 카메라 유닛, 상기 배면 카메라 유닛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유닛에 더 저장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KR1020170016868A 2017-02-07 2017-02-07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KR20180091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868A KR20180091540A (ko) 2017-02-07 2017-02-07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868A KR20180091540A (ko) 2017-02-07 2017-02-07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540A true KR20180091540A (ko) 2018-08-16

Family

ID=6344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868A KR20180091540A (ko) 2017-02-07 2017-02-07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15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6521B2 (en) Camera system for large vehicles
US10029621B2 (en) Rear view camera system using rear view mirror location
US9661280B2 (en) Rearview obstruction camera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101778173B1 (ko)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차량의 백미러 조립체
KR101789984B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카메라 시스템
US8599259B2 (en) Exterior mirror for vehicle
JP2009078597A (ja) 後方確認システム
US20130155236A1 (en) Camera-mirror system for motor vehicle
JP6551930B2 (ja) 電子ミラー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17502584A (ja) ヘッドライトフラッシャーの検知後に自動車の後方視野用カメラシステムを操作する方法、後方視野用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JP2007091186A (ja) 車両周囲状況の撮影表示方法および撮影表示システム
JP4735090B2 (ja) 赤外画像撮像装置
JP4731177B2 (ja) 車両の赤外線撮影表示装置及び赤外線撮影表示方法
JP2013119268A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JP5045974B2 (ja) 車両運転支援装置
JP2019001226A (ja) 電子ミラー装置
CN109987025A (zh) 用于夜晚环境的车辆驾驶辅助系统及方法
KR101533285B1 (ko) 어두운 환경에서 위험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여 표시하는 차량 안전 시스템 및 적외선 영상 촬영방법
JP6414570B2 (ja) 車両用後方視認装置
KR20180091540A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JP4238619B2 (ja) 車両用監視装置
JP2019001293A (ja) 車載用表示装置
CN110789455B (zh) 车外后视镜和车辆
JP4376050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
TWI386329B (zh) 一種具投射模組之交通載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