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329A - 고속 정상 주행상황에서의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및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장치 - Google Patents

고속 정상 주행상황에서의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및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329A
KR20180091329A KR1020170016325A KR20170016325A KR20180091329A KR 20180091329 A KR20180091329 A KR 20180091329A KR 1020170016325 A KR1020170016325 A KR 1020170016325A KR 20170016325 A KR20170016325 A KR 20170016325A KR 20180091329 A KR20180091329 A KR 20180091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stimating
wheel
longitudinal
friction coeffic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628B1 (ko
Inventor
이경수
김태우
서호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6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628B1/ko
Priority to CN201880007909.6A priority patent/CN110382326B/zh
Priority to PCT/KR2018/001543 priority patent/WO2018143759A1/ko
Priority to US16/483,545 priority patent/US11186286B2/en
Priority to EP18747281.6A priority patent/EP3578432A4/en
Publication of KR2018009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68Road friction coeffic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parameters of the vehicle itself, e.g. tyre models
    • B60W40/13Load or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05Driving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1Side slip angle of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10/00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or environment conditions; 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shapes
    • B60T2210/10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conditions
    • B60T2210/12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19Control system elements or transfer functions
    • B60W2050/0026Lookup tables or parameter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43Signal treatments, identification of variables or parameters, parameter estimation or state estimation
    • B60W2050/006Interpolation; Extrapo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57Engine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2Later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20Sideslip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26Wheel 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28Whee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0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6Driving resistance
    • B60W2550/142
    • B60W2550/1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i.e. the inclination of a road seg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40Coefficient of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26Wheel 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28Whee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고속으로 정상 주행하는 상황에서 타이어 노면의 마찰계수를 추정하기 위한 마찰계수 추정방법 및 마찰계수 추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설치된 센서 및 설정된 차량의 제원으로부터 엔진 상태정보, 변속기 상태정보, 및 섀시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차량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각 바퀴에 장착된 타이어에 대한 종방향 미끄럼률, 수직항력 및 종방향힘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종방향 미끄럼률, 수직항력 및 종방향힘을 이용하여 상기 타이어에 대한 노면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속 정상 주행상황에서의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및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FRICTION COEFFICIENT OF TIRE SURFACE IN HIGH-SPEED NORMAL DRIVING SITUA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및 추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동압력이나 조향이 최소화된 상태의 고속 정상 주행상황에서도 종방향 추진력을 이용하여 마찰계수를 추정할 수 있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및 추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주행 중에 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제동시 또는 급발진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운전자 보조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차량이 스스로 주행할 수 있는 자율주행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에서 주행 중인 차량의 마찰계수에 대한 정보는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중요한 정보 중의 하나이다.
예를 들어, 비 또는 안개에 의해 젖은 상태의 노면 또는 눈이 쌓인 상태의 노면과 타이어간 마찰력은 작아지며, 마찰력이 작아지게 되면 건조한 상태의 노면에 비해 미끄럽기 때문에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건조한 상태의 노면과 타이어간의 마찰력은 커지며 슬립이 적게 발생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는 차량이 미끄러지거나 급제동하는 등의 위험한 상황에서 차량의 거동 한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값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차량의 여러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마찰계수를 추정하여 이를 운전자 보조 시스템이나 자율주행 기술 등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 기술들의 경우에는 마찰계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일정량 이상의 종방향 타이어 미끄럼률 및 횡방향 미끄럼각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정상 주행에서 사용하는 수준 이상의 제동압력 또는 조향이 필요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실제 차량이 미끄러지거나 급제동을 하는 등의 급격한 제어가 들어가는 시점에서만 마찰계수가 추정되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0902호에 개시된 마찰계수 추정방법을 살펴보면 차량의 브레이크가 눌려진 상태에서만 마찰계수가 추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특히 자율주행시스템 등의 환경에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차량이 위험한 상황에 처하기 이전에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를 파악함과 아울러, 이를 기반으로 위험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09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제동압력이나 조향이 최소화된 상태인 고속 정상 주행상황에서도 주행 부하의 증가에 따라 요구되는 종방향 추진력을 이용하여 마찰계수를 추정할 수 있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및 추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속 정상 주행상황에서 각 바퀴의 미끄럼률, 수직항력 및 종방향힘 정보를 기반으로한 기존의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의 마찰계수 정보를 추정함으로써 신뢰성을 도모할 수 있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및 추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은, 차량이 고속으로 정상 주행하는 상황에서 차량의 바퀴에 장착된 타이어에 대한 노면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된 센서 및 설정된 차량의 제원으로부터 엔진 상태정보, 변속기 상태정보, 및 섀시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차량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각 바퀴에 장착된 타이어에 대한 종방향 미끄럼률, 수직항력 및 종방향힘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종방향 미끄럼률, 수직항력 및 종방향힘을 이용하여 상기 타이어에 대한 노면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종방향힘 추정값, 상기 수직항력 추정값 및 상기 미끄럼률 추정값을 맵데이터 형태로 누적한 후, 누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의 마찰계수를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종방향힘 추정값을 상기 수직항력 추정값으로 나눠서 각 바퀴의 상기 정규화된 종방향힘을 도출하여 상기 미끄럼률 추정값 및 상기 마찰계수 추정값과 함께 맵데이터로 누적하는 맵데이터 누적단계; 상기 미끄럼률 추정단계에서 현재 추정된 미끄럼률과 상기 맵데이터에 누적된 상기 미끄럼률 누적값을 비교하는 맵데이터 비교단계; 및 상기 맵데이터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상기 미끄럼률 누적값에 대응하는 상기 정규화된 종방향힘의 누적값을 기반으로 현재의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장치는, 차량에 기 설치된 센서 및 기 설정된 차량의 제원을 통해 차량의 엔진상태정보, 변속기 상태정보 또는 섀시 상태정보를 인가받아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상기 정보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종방향 속도 및 횡방향 속도를 추정하는 차량속도 추정부; 상기 정보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질량 및 도로의 경사를 추정하는 질량/경사 추정부; 상기 정보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상태정보 및 상기 차량속도 추정부에서 추정된 차량의 종방향 속도 추정값 및 횡방향 속도 추정값을 기반으로 각 바퀴의 미끄럼률을 추정하는 미끄럼률 추정부; 상기 정보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상태정보와 상기 질량/경사 추정부에서 추정되는 차량의 질량 추정값 및 도로경사 추정값을 기반으로 각 바퀴에 작용하는 수직항력을 추정하는 수직항력 추정부; 상기 정보제공부에서 제공되는 각 바퀴의 회전 각속도, 제동압력, 엔진 토크에 의한 추진 토크를 기반으로 각 바퀴의 종방향힘을 추정하는 종방향힘 추정부; 및 상기 종방향힘 추정부에서 추정된 각 바퀴의 종방향힘 추정값과 상기 수직항력 추정부에서 추정된 각 바퀴의 수직항력 추정값 및 상기 미끄럼률 추정부에서 추정된 각 바퀴의 미끄럼률 추정값을 기반으로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마찰계수 추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및 추정장치는, 고속 주행 환경에서 발생하는 종방향 추진력을 이용하여 마찰계수를 추정함으로써 제동이나 조향 등의 추가 압력이 최소화되거나 없는 상태에서도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를 추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운전자 보조시스템이나 자율주행시스템 등에 적용할 경우에는 기존 기술에 비해 빠른 대응이 가능해지므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의 센서값이나 제원에 의한 상태정보로부터 추정된 각 바퀴의 미끄럼률, 수직항력 및 종방향힘 정보를 기반으로 한 맵데이터를 구축하여 현재의 마찰계수 정보를 추정함으로써 신뢰성과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차량 바퀴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맵데이터에 누적된 미끄럼률과 종방향힘 및 마찰계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마찰계수 추정단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질량/경사 추정단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미끄럼률 추정단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수직항력 추정단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종방향힘 추정단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차량 속도 추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각 바퀴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연관성이 큰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은 차량이 고속으로 정상 주행하는 상황에서 요구되는 종방향 추진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고속 주행 시의 각 바퀴의 미끄럼률, 수직항력, 종방향힘 정보를 맵데이터로 누적하여 현재의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제공부(100), 차량속도 추정부(200), 질량/경사 추정부(300), 미끄럼률 추정부(400), 수직항력 추정부(500), 종방향힘 추정부(600), 마찰계수 추정부(700) 및 맵데이터부(800)을 포함하는 마찰계수 추정장치에 의해 마찰계수의 추정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마찰계수 추정방법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수집단계(S100), 종방향 미끄럼률과 수직항력 및 종방향힘을 추정하는 단계(S2) 마찰계수 추정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S2단계는 속도 추정단계(S200), 질량/경사 추정단계(S300), 미끄럼률 추정단계(S400), 수직항력 추정단계(S500) 및 종방향힘 추정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부(100)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예컨대 차량의 ECU에 연결되거나 탑재된 상태로 차량의 엔진 상태정보, 변속기 상태정보, 섀시정보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기 설치된 각종센서 및 차량에 기 설정된 차량의 제원을 통해 차량의 상태정보를 제공한다(S100).
예컨대, 정보제공부(100)는 각 바퀴의 회전속도, 차량의 요 각속도, 차량의 종횡방향 가속도정보, 차량의 조향각, 제동압력, 엔진토크, 바퀴의 반경, 엔진의 회전각속도 등과 같은 차량의 상태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속도 추정부(200)는 전술한 정보제공부(100)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종방향 속도 및 횡방향 속도를 추정하여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차량의 속도 정보는 차량 자체에서 제공하는 차량 속도 값을 직접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차량 속도 값을 기반으로 차량 각 바퀴의 미끄럼율을 계산하기 위해 정확한 차량 속도 값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차량 속도 추정부(200)를 통해 직접 그 값을 추정한다.
이때, 도 11을 참조하면, 차량속도 추정부(200)는 정보제공부(100)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질량중심에서 전륜, 후륜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01
, 차폭
Figure pat00002
, 각 바퀴의 반경
Figure pat00003
, 각 바퀴의 회전 각속도
Figure pat00004
, 차량의 조향각
Figure pat00005
, 요각속도
Figure pat00006
, 차량의 종횡방향 가속도
Figure pat00007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종횡방향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S200)
구체적으로, 차량속도 추정부(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속도 추정부(210) 및 횡방향 속도 추정부(2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정보제공부(100)에서 제공되는 상태정보를 통해 종방향 속도 및 횡방향 속도를 각각 추정한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파라미터는 각각
Figure pat00008
:차량의 종방향 가속도,
Figure pat00009
:차량의 요각속도,
Figure pat00010
:i번째 바퀴의 회전 각속도,
Figure pat00011
:추정된 차량의 종방향 속도,
Figure pat00012
:차량의 횡방향 가속도,
Figure pat00013
:운전자의 조향각,
Figure pat00014
:추정된 차량의 횡방향 속도,
Figure pat00015
:추정된 차량의 요각속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차량의 종방향 속도(
Figure pat00016
)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1]로 표현이 가능하다.
[수학식 1]
Figure pat00017
또한, 각 바퀴의 회전각속도 및 차량의 요각속도를 이용하면 차속을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18
여기서,
Figure pat00019
: i번째 바퀴의 회전각속도 측정치를 이용하여 계산된 차량 종방향 속도,
Figure pat00020
: i번째 바퀴의 유효반경,
Figure pat00021
: i번째 바퀴의 회전각속도,
Figure pat00022
: i번째 바퀴의 조향각,
Figure pat00023
: 운전자의 조향각,
Figure pat00024
: 차폭 (차량의 너비),
Figure pat00025
: 차량 요각속도,
Figure pat00026
: 방향지표임.
상기와 같은 [수학식 2]를 이용하면 종방향 속도 추정부(210)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3]으로 설계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27
여기서,
Figure pat00028
: 추정된 차량의 종방향 속도,
Figure pat00029
: 차량의 종방향 가속도,
Figure pat00030
: i번째 바퀴의 회전각속도,
Figure pat00031
: 차량의 가속도, 각 바퀴의 회전각속도, 추정된 차량의 종방향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추정상수 (각 바퀴의 미끄럼율이 적을 때 값이 커지도록 사전에 설정),
Figure pat00032
: i번째 바퀴의 회전각속도 측정치를 이용하여 계산된 차량 종방향 속도임.
또한, 차량의 횡방향 속도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4]로 표현이 가능하다.
[수학식 4]
Figure pat00033
여기서,
Figure pat00034
: 차량의 횡방향 속도,
Figure pat00035
: 차량의 종방향 속도,
Figure pat00036
: 차량 요각속도,
Figure pat00037
: 차량의 횡방향 가속도,
Figure pat00038
: 차량의 요-방향 (회전)관성모멘트,
Figure pat00039
: i번째 바퀴의 종방향 타이어힘,
Figure pat00040
: i번째 바퀴의 횡방향 타이어힘,
Figure pat00041
: i번째 바퀴의 조향각,
Figure pat00042
: 운전자의 조향각임.
상기와 같은 [수학식 4]에 기반하면, 횡방향 속도 추정부(220)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5]를 기초로 설계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at00043
여기서,
Figure pat00044
: 차량의 횡방향 속도,
Figure pat00045
: 추정된 차량의 횡방향 속도,
Figure pat00046
: 차량의 종방향 속도,
Figure pat00047
: 차량 요각속도,
Figure pat00048
: 추정된 차량 요각속도,
Figure pat00049
: 차량의 횡방향 가속도,
Figure pat00050
: 차량의 질량,
Figure pat00051
: 차량의 요-방향 (회전)관성모멘트,
Figure pat00052
: 추정된 i번째 바퀴의 종방향 타이어힘,
Figure pat00053
: 추정된 i번째 바퀴의 횡방향 타이어힘,
Figure pat00054
: i번째 바퀴의 종방향 타이어힘,
Figure pat00055
: i번째 바퀴의 횡방향 타이어힘,
Figure pat00056
: i번째 바퀴의 조향각,
Figure pat00057
: 방향지표,
Figure pat00058
: 운전자의 조향각임.
한편, 본 발명에서는 차량이 정상 주행하는 상황에서 노면마찰을 추정하므로 각 바퀴의 슬립이 적은 상황이라 가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속도 추정부(200)에서 각 바퀴의 종/횡방향 타이어힘은 종방향 미끄럼률 및 횡방향 미끄럼각에 비례하는 선형 모델로 가정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의 [수학식 6]과 같다.
[수학식 6]
Figure pat00059
여기서,
Figure pat00060
: 추정된 i번째 타이어 종방향 힘,
Figure pat00061
: i번째 타이어의 종방향 타이어 강성비 (종방향힘과 종방향 미끄럼률 사이의 기울기),
Figure pat00062
: i번째 타이어의 종방향 미끄럼율,
Figure pat00063
: 추정된 i번째 타이어 횡방향 힘,
Figure pat00064
: i번째 타이어의 횡방향 타이어 강성비 (횡방향힘과 횡방향 미끄럼각 사이의 기울기),
Figure pat00065
: i번째 타이어의 횡방향 미끄럼각임.
또한, 상기의 식에서 추정된 i번째 바퀴의 종방향 미끄럼률은 아래의 [수학식 7]과 같다.
[수학식 7]
Figure pat00066
여기서,
Figure pat00067
: 추정된 i번째 바퀴의 종방향 미끄럼율,
Figure pat00068
: i번째 바퀴의 회전각속도,
Figure pat00069
: i번째 바퀴의 유효반경 (각 바퀴에 가해지는 종방향 힘으로 인해 찌그러진 상태에서 바퀴의 중심축과 도로면 사이의 거리),
Figure pat00070
: i번째 바퀴 중심의 이동속도,
Figure pat00071
: i번째 바퀴의 횡방향 미끄럼각임.
또한, 상기의 식에서 추정된 i번째 바퀴의 횡방향 미끄럼각은 아래의 [수학식 8]과 같다.
[수학식 8]
Figure pat00072
여기서,
Figure pat00073
: 추정된 i번째 바퀴의 횡방향 미끄럼각,
Figure pat00074
: i번째 바퀴의 조향각,
Figure pat00075
: 추정된 i번째 바퀴의 중심이 차량의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속도,
Figure pat00076
: 추정된 i번째 바퀴의 중심이 차량의 종방향으로 움직이는 속도임.
상기와 같이 속도 추정을 위해 사용된 추정치들은 바로 이전 시간에 계산된 추정치들을 사용하며, 차량속도 추정부(200)에서 추정된 값들 중 종방향 속도 및 횡방향 속도 값을 제외한 값들은 차량속도 추정부(200)에서만 사용되는 값들이고, 그 이외에는 후술되는 구성요소를 통해 새롭게 추정된 값들을 사용한다.
특히, 타이어힘 및 종방향 미끄럼률, 횡방향 미끄럼률의 경우에는 후술되는 종방향힘 추정부(600) 및 미끄럼률 추정부(400)에서 이전 시간에 계산된 추정치를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질량/경사 추정부(300)는 정보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질량 및 도로의 경사를 추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일반적인 운전자보조시스템 및 자율주행 등의 시스템에서는 차량의 질량을 상수로 가정하며, 도로 경사 역시 평지로 가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차량의 질량이 중요한 상용차량이나 도로 경사 정보가 중요한 시스템 들에서는 이러한 값들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타이어 노면 마찰 계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타이어 종방향힘과 수직항력 역시 차량의 질량 및 도로 경사의 영향을 받는 값이기 때문에 질량/경사 추정부(300)를 통해 차량의 질량 및 도로의 경사를 추정한다(S300).
구체적으로, 차량의 질량과 도로의 경사를 추정할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 연산단계(S310), 선형변환단계(S320) 및 질량/경사 연산단계(S330)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저항 연산단계(S310)는 차량이 움직임에 따라 공기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과, 도로경사로 인해 차량에 발생하는 종방향힘을 각각 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일반 주행 상황에서 바퀴의 미끄럼률이 작다고 가정할 경우에는 차량의 종방향 동역학 방정식은 아래와 같은 [수학식 9]로 나타난다.
[수학식 9]
Figure pat00077
여기서,
Figure pat00078
: 차량의 질량,
Figure pat00079
: 차량의 종방향 속도,
Figure pat00080
: (Flywheel에서의) 엔진 토크,
Figure pat00081
: 파워트레인의 관성 질량,
Figure pat00082
: 엔진의 회전각속도,
Figure pat00083
: 기어비로 나눈 바퀴의 반경 (
Figure pat00084
),
Figure pat00085
: 바퀴의 반경,
Figure pat00086
: 엔진 출력단과 차량 바퀴 사이의 기어비 (엔진의 회전각속도와 차량 바퀴의 회전각속도 사이의 비율),
Figure pat00087
: 제동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차량의 종방향 제동력,
Figure pat00088
: 차량이 움직임에 따라 공기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저항,
Figure pat00089
: 도로경사로 인해 차량에 발생하는 종방향힘임.
여기서, 저항 연산단계(S310)에서는 차량이 움직임에 따라 공기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저항(
Figure pat00090
)과, 도로경사로 인해 차량에 발생하는 종방향힘(
Figure pat00091
)을 다음의 [수학식 10]을 통해 구하게 된다.
[수학식 10]
Figure pat00092
여기서,
Figure pat00093
: 유체로 인해 발생하는 저항력에 대한 저항계수,
Figure pat00094
: 공기 밀도,
Figure pat00095
: 차량과 공기 사이의 상대 운동으로 인해 저항력을 받게되는 실질 유효 단면적,
Figure pat00096
: 차량의 종방향속도,
Figure pat00097
: 차량의 질량,
Figure pat00098
: 중력가속도,
Figure pat00099
: 타이어-노면 마찰계수,
Figure pat00100
: 도로경사임.
선형변환단계(S320)는 전술한 [수학식 10]에 의한 차량의 질량과 도로의 경사를 선형형태로 변환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수학식 11]에 대입하여 상기 차량의 질량과 상기 도로의 경사에 대한 부분을 분리하면서 하기 [수학식 12]과 선형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수학식 11]
Figure pat00101
[수학식 12]
Figure pat00102
여기서,
Figure pat00103
: 차량의 종방향 속도,
Figure pat00104
: (Flywheel에서의) 엔진 토크,
Figure pat00105
: 파워트레인의 관성 질량,
Figure pat00106
: 엔진의 회전각속도,
Figure pat00107
: 기어비로 나눈 바퀴의 반경 (
Figure pat00108
),
Figure pat00109
: 바퀴의 반경,
Figure pat00110
: 엔진 출력단과 차량 바퀴 사이의 기어비 (엔진의 회전각속도와 차량 바퀴의 회전각속도 사이의 비율),
Figure pat00111
: 제동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차량의 종방향 제동력,
Figure pat00112
: 차량이 움직임에 따라 공기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저항,
Figure pat00113
: 중력가속도,
Figure pat00114
: 타이어-노면 마찰계수,
Figure pat00115
: 도로경사,
Figure pat00116
: 식의 단순화를 위해 마찰계수를 도로 경사의 형태로 표현한 경사값,
Figure pat00117
은 차량의 질량임.
질량/경사 연산단계(S330)는 선형변환단계에서 변환된 선형 형태의 식을 기반으로 하기 차량의 질량과 도로의 경사를 추정하는 단계로써, 순환최소자승법을 사용하여 하기의 [수학식 13]의 함수를 최소화하는 상기 차량의 질량과 상기 도로의 경사를 구하게 된다.
[수학식 13]
Figure pat00118
여기서,
Figure pat00119
: 순환최소자승법의 목표 함수,
Figure pat00120
: 추정된 s값 (수학식 12에서 정의),
Figure pat00121
: 순환최소자승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개수,
Figure pat00122
: 계산된 종방향 가속도 중 순환최소자승법에 사용된 i번째 데이터,
Figure pat00123
:
Figure pat00124
(수학식 12에서 정의) 중 순환최소자승법에 사용된 i번째 데이터를 나타낸다.
상기 미끄럼률 추정부(400)는 정보제공부(100)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상태정보와, 전술한 차량속도 추정부에서 추정된 차량의 상기 종방향 속도 추정값 및 상기 횡방향 속도 추정값을 기반으로 각 바퀴의 미끄럼률을 추정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미끄럼률을 추정하는 단계(S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속도 연산단계(S410), 미끄럼각 연산단계(S420) 및 미끄럼률 연산단계(S430)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바퀴의 미끄럼률은 현재 차량의 주행 속도, 각 바퀴의 회전각속도, 조향각 등에 영향을 받는다.
바퀴속도 연산단계(S410)는 정보제공부(100)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상태정보와 상기 속도 추정단계(S200)에서 추정된 종방향 속도 및 횡방향 속도를 기반으로 하여 각 바퀴 중심의 종횡방향 속도를 구하는 단계로써, 하기의 [수학식 14]를 통해 각 바퀴 중심의 종횡방향 속도를 각각 구한다.
[수학식 14]
Figure pat00125
여기서,
Figure pat00126
: 각 바퀴 중심의 종횡방향 속도,
Figure pat00127
: 차량의 속도,
Figure pat00128
: 차량의 요각속도,
Figure pat00129
: 차량의 질량 중심에서 전륜 및 후륜까지의 거리,
Figure pat00130
: 차폭임.
미끄럼각 연산단계(S420)는 각 바퀴의 횡방향 미끄럼각을 구하는 단계로써, 하기의 [수학식 15]에 의해 전륜 각 바퀴의 미끄럼각 및 후륜 각 바퀴의 미끄럼률을 구하게 된다.
[수학식 15]
Figure pat00131
여기서,
Figure pat00132
: 차량 전륜 각 바퀴의 횡방향 미끄럼각 (바퀴가 바라보는 방향과 실제 바퀴가 움직이는 방향 사이의 각도),
Figure pat00133
: 차량 후륜 각 바퀴의 횡방향 미끄럼각 (바퀴가 바라보는 방향과 실제 바퀴가 움직이는 방향 사이의 각도),
Figure pat00134
: 운전자의 조향에 의해 발생하는 바퀴의 조향각,
Figure pat00135
: 차량의 좌측 바퀴의 중심이 차량의 종방향으로 움직이는 속도,
Figure pat00136
: 차량의 우측 바퀴의 중심이 차량의 종방향으로 움직이는 속도,
Figure pat00137
: 차량의 전륜 각 바퀴의 중심이 차량의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속도,
Figure pat00138
: 차량의 후륜 각 바퀴의 중심이 차량의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속도임.
미끄럼률 연산단계(S430)는 각 바퀴의 미끄럼률을 연산하여 추정하는 단계로써, 각 바퀴의 속력
Figure pat00139
, 각 바퀴의 유효반경
Figure pat00140
에 대해 하기 [수학식 16]에 의해 각 바퀴의 미끄럼률을 연산하게 된다.
[수학식 16]
Figure pat00141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Figure pat00142
: i번째 바퀴의 종방향 미끄럼율,
Figure pat00143
: i번째 바퀴의 회전각속도,
Figure pat00144
: i번째 바퀴의 유효반경 (각 바퀴에 가해지는 종방향 힘으로 인해 찌그러진 상태에서 바퀴의 중심축과 도로면 사이의 거리),
Figure pat00145
: i번째 바퀴 중심의 이동속도,
Figure pat00146
: i번째 바퀴의 횡방향 미끄럼각임.
상기 수직항력 추정부(500)는 각 바퀴에 작용하는 수직항력을 추정하는 구성요소로써, 차량의 상태정보 및 전술한 질량/경사 추정부(300)에서 추정된 차량의 질량 추정값 및 도로경사 추정값을 기반으로 수직항력을 추정한다.
구체적으로, 수직항력 추정단계(S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이전 연산단계(S510) 및 수직항력 연산단계(S520)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하중 이전 연산단계(S510)는 전술한 차량의 질량 및 도로의 경사를 기반으로 각 바퀴의 종방향 하중 이전 및 횡방향 하중 이전을 구하는 단계로써, 하기의 [수학식 17]에 의해 종횡방향 하중 이전을 각각 연산한다.
[수학식 17]
Figure pat00147
여기서,
Figure pat00148
: 종방향 하중 이전,
Figure pat00149
: 전/후륜의 횡방향 하중 이전,
Figure pat00150
: 차량의 현재 종, 횡방향 가속도,
Figure pat00151
: 차량의 서스펜션을 기준으로 하는 스프링 상질량과 하질량,
Figure pat00152
: 바닥으로부터 차량의 롤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
Figure pat00153
: 바닥으로부터 스프랑 하질량의 질량중심까지의 거리,
Figure pat00154
: 롤 회전 중심에서 스프링 상질량의 질량중심 까지의 거리,
Figure pat00155
: 차량의 질량중심으로부터 전륜/후륜까지의 거리,
Figure pat00156
: 차폭임.
수직항력 연산단계(S520)는 전술한 하중 이전 연산단계(S510)에 의해 연산된 종방향 하중 이전 및 횡방향 하중 이전에 대하여 각 바퀴에 작용하는 수직항력을 연산하는 단계로써, 하기의 [수학식 18]에 의해 하중 이전에 대한 수직항력을 연산한다.
[수학식 18]
Figure pat00157
여기서,
Figure pat00158
: 추정된 각 바퀴의 수직항력(FL-전륜좌측, FR-전륜우측, RL-후륜좌측, RR-후륜우측),
Figure pat00159
: 정상상태에서 차량의 전륜에 가해지는 수직항력,
Figure pat00160
: 정상상태에서 차량의 후륜에 가해지는 수직항력,
Figure pat00161
: 종방향 하중 이전,
Figure pat00162
: 전/후륜의 횡방향 하중 이전임.
상기 종방향힘 추정부(600)는 각 바퀴의 종방향힘을 추정하는 구성요소로써, 각 바퀴의 회전 각속도, 제동 압력, 엔진 토크에 의한 추진 토크를 기반으로 종방향힘을 추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종방향힘 추정단계(S6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각속도 추정단계(S610), 에너지 함수 연산단계(S620) 및 종방향힘 연산단계(S630)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회전 각속도 추정단계(S610)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각 바퀴의 회전 각속도를 추정하는 단계로써, 하기의 [수학식 19]에 의해 회전 각속도를 구한다.
[수학식 19]
Figure pat00163
여기서,
Figure pat00164
: 추정된 각 바퀴의 회전 각속도,
Figure pat00165
: 각 타이어의 회전 관성,
Figure pat00166
: 각 타이어의 유효 반경,
Figure pat00167
: 각 타이어의 종방향힘,
Figure pat00168
: 각 바퀴의 브레이크 압력,
Figure pat00169
: 각 바퀴에 가해지는 추진 토크,
Figure pat00170
: 구름 저항임.
에너지 함수 연산단계(S620)는 종방향힘의 추정을 위한 에너지 함수를 연산하는 단계로써, 각 바퀴의 회전 각속도의 추정오차에 대한 에너지 함수를
Figure pat00171
로 정의하고, 이를 하기의 [수학식 20]과 같이 미분하여 정리함으로써 에너지 함수를 연산한다.
[수학식 20]
Figure pat00172
여기서,
Figure pat00173
: 추정오차에 대한 에너지함수,
Figure pat00174
: 각 바퀴의 회전 각속도,
Figure pat00175
: 추정된 각 바퀴의 회전 각속도,
Figure pat00176
: 각 타이어의 유효 반경,
Figure pat00177
: 추정된 각 타이어의 종방향힘,
Figure pat00178
: 각 바퀴의 브레이크 압력,
Figure pat00179
: 각 바퀴에 가해지는 추진 토크,
Figure pat00180
: 구름 저항,
Figure pat00181
: 각 타이어의 회전 관성임.
종방향힘 연산단계(S630)는 전술한 [수학식 20]에 추정오차를 0으로 만들기 위한 조건을 부여하면서 각 바퀴의 종방향힘을 추정하는 단계로써, 회전 각속도의 추정오차를 0으로 만들기 위한 조건으로
Figure pat00182
을 가정하여 부여하면서 하기의 [수학식 21]에 의해 각 바퀴의 종방향힘 추정값을 연산하게 된다.
[수학식 21]
Figure pat00183
여기서,
Figure pat00184
: 추정된 각 타이어의 종방향힘,
Figure pat00185
: 각 타이어의 유효 반경,
Figure pat00186
: 각 타이어의 회전 관성,
Figure pat00187
: 각 바퀴의 회전 각속도,
Figure pat00188
: 추정오차에 대한 에너지함수를 0으로 만들기 위한 에너지함수 변화량 계수 (상수로 설정),
Figure pat00189
: 추정된 각 바퀴의 회전 각속도,
Figure pat00190
: 각 바퀴의 브레이크 압력,
Figure pat00191
: 각 바퀴에 가해지는 추진 토크,
Figure pat00192
: 구름 저항임.
상기 마찰계수 추정부(700)는 전술한 각 바퀴의 미끄럼률 추정값과, 수직항력 추정값 및 종방향힘 추정값을 기반으로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구성요소이다.
맵데이터부(800)는 기존에 측정한 데이터를 맵형태로 누적하는 구성요소이다.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종방향 힘은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마찰계수, 미끄럼율, 수직항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한다. 때문에 이를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모델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 brush tire model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방향 힘과 마찰계수, 미끄럼율, 수직항력 사이의 관계를 간단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타이어 종방향 힘을 수직항력으로 나눈 정규화된 형태의 힘을 사용할 것이다. 이는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193
여기서,
Figure pat00194
: i번째 바퀴의 정규화된 종방향힘,
Figure pat00195
: i번째 바퀴의 종방향힘,
Figure pat00196
: i번째 바퀴의 수직항력임.
또한, 상기와 같이 정규화된 종방향힘은 마찰계수와 미끄럼률에 따라 바뀌는 것을 알려져 있으므로 기존에 측정한 데이터를 맵의 형태로 누적하여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값을 직접적으로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마찰계수, 미끄럼율, 정규화된 타이어 종방향 힘 사이의 관계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p 형태의 데이터로 맵데이터부(800)에 누적하고 있으며, 이러한 맵데이터부는 마찰 계수가 높은 환경에서 마찰 계수가 낮은 저마찰 환경까지 대표적인 몇가지 상황에 대하여 미끄럼율에 따른 정규화된 종방향 힘의 값을 누적하여 가지고 있다.
이때, 차량의 주행 중에 실시간으로 각 바퀴의 미끄럼율과 종방향힘, 수직항력을 알 수 있다면 맵데이터부(800)의 map 정보를 기반으로 타이어 노면 마찰 계수 값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파라미터는,
Figure pat00197
: 현재 추정된 각 바퀴의 미끄럼률,
Figure pat00198
: 종방향 힘,
Figure pat00199
: 수직항력,
Figure pat00200
: 미끄럼률
Figure pat00201
, 마찰계수
Figure pat00202
에 대한 정규화된 종방향 힘이고, 맵데이터부(800)에는
Figure pat00203
에 대한 map이 누적되어 있음.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나타난 바와 같이 현재 추정된 미끄럼율
Figure pat00204
에 대하여 map 데이터에서 가지고 있는 각 마찰 계수에 대한 정규화된 종방향 힘 값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현재 추정된
Figure pat00205
와 비교하여 선형보간 혹은 외삽법을 이용할 경우 아래와 같이 현재의 마찰 계수를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알고리즘은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206
즉. 마찰계수 추정단계(S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데이터 누적단계(S710), 맵데이터 비교단계(S720) 및 현재의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단계(S730)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맵데이터 누적단계(S71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방향힘 추정값을 수직항력 추정값으로 나눠서 각 바퀴의 상기 정규화된 종방향힘을 도출하고, 미끄럼률 추정값 및 마찰계수 추정값과 함께 맵데이터부(800)로 누적한다.
맵데이터 비교단계(S720)에서는 전술한 미끄럼률 추정부(400)에 의해 추정된 현재의 미끄럼률과 맵데이터부(800)에 누적된 미끄럼률의 누적값과 비교한다.
또한, 맵데이터 비교단계(S7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맵데이터(800)부에 누적된 정규화된 종방향힘값과 현재 추정된 종방향힘 추정값을 수직항력 추정값으로 나눠서 추정된 정규화된 종방향힘값을 비교한다.
현재의 마찰계수 추정단계(S730)에서는 현재의 미끄럼률과 비교된 미끄럼률의 누적값을 기반으로 현재의 마찰계수를 추정하고, 추정된 마찰계수를 맵데이터(800)부에 누적한다.
한편, 미끄럼률이 작은 영역에서는 종방향힘이 크지 않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마찰 계수를 추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미끄럼률이 한계값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만 추정된 마찰계수를 신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센서 오차, map 데이터와 실제 값 사이의 오차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실시간으로 추정되는 마찰계수 값을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가장 최근에 추정된 마찰 계수 값들 중 당시의 미끄럼율의 크기가 기존에 설정된 한계값
Figure pat00207
보다 큰 상황에 해당하는 값들을 N개 누적하여 그 평균을 추정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래와 같은 알고리즘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208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및 추정장치에 의하면, 고속 주행 환경에서 발생하는 종방향 추진력을 이용하여 마찰계수를 추정함으로써 제동이나 조향 등의 추가 압력이 최소화되거나 없는 상태에서도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를 추정할 수 있으며, 특히, 차량의 센서값이나 제원에 의한 상태정보로부터 추정된 각 바퀴의 미끄럼률, 수직항력 및 종방향힘 정보를 기반으로 한 맵데이터를 구축하여 현재의 마찰계수 정보를 추정함으로써 신뢰성과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와 관련하여,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정보제공부
200 : 차량속도 추정부
300 : 질량/경사 추정부
400 : 미끄럼률 추정부
500 : 수직항력 추정부
600 : 종방향힘 추정부
700 : 마찰계수 추정부
800 : 맵데이터부

Claims (12)

  1. 차량이 고속으로 정상 주행하는 상황에서 차량의 바퀴에 장착된 타이어에 대한 노면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된 센서 및 설정된 차량의 제원으로부터 엔진 상태정보, 변속기 상태정보, 및 섀시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차량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각 바퀴에 장착된 타이어에 대한 종방향 미끄럼률, 수직항력 및 종방향힘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종방향 미끄럼률, 수직항력 및 종방향힘을 이용하여 상기 타이어에 대한 노면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종방향힘 추정값, 상기 수직항력 추정값 및 상기 종방향 미끄럼률 추정값을 맵데이터 형태로 누적한 후, 누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의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종방향힘 추정값을 상기 수직항력 추정값으로 나눠서 각 바퀴의 상기 정규화된 종방향힘을 도출하여 상기 미끄럼률 추정값 및 상기 마찰계수 추정값과 함께 맵데이터로 누적하는 맵데이터 누적단계;
    상기 미끄럼률 추정단계에서 현재 추정된 미끄럼률과 상기 맵데이터에 누적된 상기 미끄럼률 누적값을 비교하는 맵데이터 비교단계; 및
    상기 맵데이터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상기 미끄럼률 누적값에 대응하는 상기 정규화된 종방향힘의 누적값을 기반으로 현재의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규화된 종방향힘의 누적값을 상기 종방향힘 추정단계에서 현재 추정된 종방향힘과 비교하면서 선형보간법 또는 외삽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맵데이터 누적단계는,
    상기 미끄럼률 추정값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만 맵데이터를 누적하고,
    상기 현재의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값 이상의 상기 미끄럼률 추정값에 대응하는 마찰계수 누적값들의 평균을 현재의 마찰계수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미끄럼률, 수직항력 및 종방향힘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종방향 속도 및 횡방향 속도를 추정하는 속도 추정단계;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질량 및 도로의 경사를 추정하는 질량/경사 추정단계;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와 상기 차량의 종방향 속도 및 상기 차량의 횡방향 속도를 기반으로 각 바퀴의 종방향 미끄럼률을 추정하는 미끄럼률 추정단계;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와 상기 차량의 질량 추정값 및 상기 도로의 경사 추정값을 기반으로 각 바퀴에 작용하는 수직항력을 추정하는 수직항력 추정단계; 및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각 바퀴의 종방향힘을 추정하는 종방향힘 추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질량/경사 추정단계는,
    차량이 움직임에 따라 공기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과, 도로경사로 인해 차량에 발생하는 종방향힘을 각각 구하는 저항 연산단계;
    상기 공기저항으로 인해 발행하는 힘과 상기 도로경사로 인해 차량에 발생하는 종방향힘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질량과 상기 도로의 경사를 서로 분리된 선형 형태로 변환하는 선형변환단계; 및
    상기 선형변환단계에서 선형 형태로 변환된 상기 차량의 질량과 상기 도로의 경사를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질량/경사 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률 추정단계는,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와 상기 속도 추정단계에서 추정된 종방향 속도 및 횡방향 속도를 기반으로 하여 각 바퀴 중심의 종횡방향 속도를 구하는 바퀴속도 연산단계;
    각 바퀴의 횡방향 미끄럼각을 구하는 미끄럼각 연산단계; 및
    각 바퀴에 대한 상기 종횡방향 속도 및 상기 횡방향 미끄럼각을 기반으로 각 바퀴의 미끄럼률을 구하는 미끄럼률 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직항력 추정단계는,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와, 상기 질량/경사 추정단계에서 추정된 상기 차량의 질량 및 상기 도로의 경사를 기반으로 각 바퀴의 종방향 하중 이전 및 횡방향 하중 이전을 구하는 하중 이전 연산단계; 및
    상기 종방향 하중 이전 및 상기 횡방향 하중 이전을 이용하여 각 바퀴에 작용하는 수직항력을 추정하는 수직항력 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힘 추정단계는,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각 바퀴의 회전 각속도를 추정하는 회전 각속도 추정단계;
    상기 회전 각속도의 추정오차에 의한 에너지 함수를 구하는 에너지 함수 연산단계; 및
    상기 추정오차를 0으로 만들기 위한 조건을 부여하면서 각 바퀴의 종방향힘을 추정하는 종방향힘 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11. 차량이 고속으로 정상 주행하는 상황에서 타이어 노면의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마찰계수 추정장치로서,
    차량에 기 설치된 센서 및 기 설정된 차량의 제원을 통해 차량의 엔진상태정보, 변속기 상태정보 또는 섀시 상태정보를 인가받아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상기 정보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종방향 속도 및 횡방향 속도를 추정하는 차량속도 추정부;
    상기 정보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질량 및 도로의 경사를 추정하는 질량/경사 추정부;
    상기 정보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상태정보 및 상기 차량속도 추정부에서 추정된 차량의 종방향 속도 추정값 및 횡방향 속도 추정값을 기반으로 각 바퀴의 미끄럼률을 추정하는 미끄럼률 추정부;
    상기 정보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상태정보와 상기 질량/경사 추정부에서 추정되는 차량의 질량 추정값 및 도로경사 추정값을 기반으로 각 바퀴에 작용하는 수직항력을 추정하는 수직항력 추정부;
    상기 정보제공부에서 제공되는 각 바퀴의 회전 각속도, 제동압력, 엔진 토크에 의한 추진 토크를 기반으로 각 바퀴의 종방향힘을 추정하는 종방향힘 추정부; 및
    상기 종방향힘 추정부에서 추정된 각 바퀴의 종방향힘 추정값과 상기 수직항력 추정부에서 추정된 각 바퀴의 수직항력 추정값 및 상기 미끄럼률 추정부에서 추정된 각 바퀴의 미끄럼률 추정값을 기반으로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를 추정하는 마찰계수 추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힘 추정값과 상기 수직항력 추정값을 기반으로 도출된 정규화된 종방향힘을 상기 미끄럼률 추정값 및 상기 마찰계수 추정값과 함께 맵형태의 데이터로 누적하는 맵데이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장치.
KR1020170016325A 2017-02-06 2017-02-06 고속 정상 주행상황에서의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및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장치 KR101897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325A KR101897628B1 (ko) 2017-02-06 2017-02-06 고속 정상 주행상황에서의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및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장치
CN201880007909.6A CN110382326B (zh) 2017-02-06 2018-02-06 高速正常行驶状况下的轮胎路面摩擦系数估算方法和轮胎路面摩擦系数估算装置
PCT/KR2018/001543 WO2018143759A1 (ko) 2017-02-06 2018-02-06 고속 정상 주행상황에서의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및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장치
US16/483,545 US11186286B2 (en) 2017-02-06 2018-02-06 Method for estimating road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of tire and device for estimating road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of tire in high speed normal driving state
EP18747281.6A EP3578432A4 (en) 2017-02-06 2018-02-06 METHOD FOR ESTIMATING TIRE ROAD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AND DEVICE FOR ESTIMATING TIRE ROAD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IN NORMAL DRIVING CONDITION AT HIGH SPE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325A KR101897628B1 (ko) 2017-02-06 2017-02-06 고속 정상 주행상황에서의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및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329A true KR20180091329A (ko) 2018-08-16
KR101897628B1 KR101897628B1 (ko) 2018-10-04

Family

ID=6303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325A KR101897628B1 (ko) 2017-02-06 2017-02-06 고속 정상 주행상황에서의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및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86286B2 (ko)
EP (1) EP3578432A4 (ko)
KR (1) KR101897628B1 (ko)
CN (1) CN110382326B (ko)
WO (1) WO201814375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500A (ko) 2018-11-13 2020-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KR20200120779A (ko) 2019-04-11 2020-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차동제한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08527A (ko) * 2020-02-25 2021-09-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태 확장 관측기 기반 전기 자동차의 abs 고정시간 슬립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20230136767A (ko) * 2022-03-16 2023-09-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기차용 휠슬립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8157B2 (ja) * 2017-05-24 2021-10-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KR102644549B1 (ko) * 2018-10-29 202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통합 제어 장치
JP2022541876A (ja) * 2019-06-14 2022-09-28 ボルボトラ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動力学に関連付けされたモデルを検証するための方法
KR20210113828A (ko) * 2020-03-09 2021-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휠슬립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1307709A (zh) * 2020-03-27 2020-06-19 河南天平工程质量检测有限公司 一种用于超薄橡胶沥青磨耗层摩擦系数的检测方法
CN112113779B (zh) * 2020-06-30 2022-06-24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车轮摩擦系数检测方法、检测终端及存储介质
DE102020118706B4 (de) 2020-07-15 2024-03-28 Mercedes-Benz Group AG Verfahren zur Prüfung der Eignung einer Solltrajektorie für eine Trajektorienregelung eines Fahrzeugs
CN112937588B (zh) * 2021-04-01 2022-03-25 吉林大学 一种冰雪车辙路况的车辆稳定性分析方法
CN114103967B (zh) * 2021-04-22 2024-04-26 东南大学 四轮独立驱动电动汽车质心侧偏角与轮胎侧向力估计方法
US20220379895A1 (en) * 2021-05-25 2022-12-01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kid recovery using front wheel slip
US11787414B2 (en) * 2021-07-23 2023-10-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GPS enhanced friction estimation
CN113721509B (zh) * 2021-08-25 2024-03-08 武汉理工大学 一种基于集装箱货车信号采集装置的参数估计方法
CN113935107B (zh) * 2021-09-28 2024-05-10 吉林大学 一种适用于冰雪路面的车辆模型建模方法
US20230139179A1 (en) * 2021-11-03 2023-05-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rchitecture and methodology of adaptive tire force prediction for integrated vehicle motion control
US11525728B1 (en) 2021-11-16 2022-12-13 Geotab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 estimated weight of a vehicle
CN114537346B (zh) * 2021-12-11 2022-12-09 清华大学 电动轮滑移率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4506333B (zh) * 2022-02-23 2023-03-21 阿波罗智能技术(北京)有限公司 路面附着系数确定方法、装置、设备以及自动驾驶车辆
CN114739901A (zh) * 2022-04-29 2022-07-12 安徽大学 一种自动驾驶车辆轮胎路面摩擦系数估测方法
CN116985825B (zh) * 2023-09-26 2024-03-19 安徽蔚来智驾科技有限公司 用于确定车辆状态的方法、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902B1 (ko) 2015-02-13 2015-07-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노면 마찰계수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5101B2 (ja) * 1993-09-22 1999-01-1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路面摩擦抵抗推定装置
JP4459561B2 (ja) * 2002-09-04 2010-04-2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コーナリングパワー制御装置およびコーナリングパワー制御方法
US20050038588A1 (en) * 2003-08-14 2005-02-17 Deepak Shukla Vehicle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US20050038589A1 (en) * 2003-08-14 2005-02-17 Deepak Shukla Method for estimating a friction coefficient
DE602005004847T2 (de) * 2004-08-19 2009-02-19 Honda Motor Co., Ltd.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Reibwerts einer Strassenoberfläche und des Rutschwinkels eines Kraftfahrzeugs
DE602006017260D1 (de) * 2005-12-27 2010-11-11 Honda Motor Co Ltd Fahrzeugsteuervorrichtung
KR101218884B1 (ko) * 2007-04-17 2013-01-07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차륜 접지면 마찰 상태 추정을 위한 장치와 방법
JP5035418B2 (ja) 2008-06-30 2012-09-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路面摩擦係数推定装置及び路面摩擦係数推定方法
FI124059B (fi) * 2008-09-19 2014-02-28 Aalto Korkeakoulusaeaetioe Parannus ajoneuvojen ajonhallintajärjestelmiin
US7845218B2 (en) * 2008-09-30 2010-12-07 Nissan Motor Co., Ltd. Tire state estimator and tire state estimation method
KR101290914B1 (ko) * 2008-10-29 2013-07-29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 접지면 마찰 상태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US8983749B1 (en) * 2013-10-24 2015-03-1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oad friction estimation system and method
KR102042288B1 (ko) * 2014-10-24 2019-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노면마찰계수 측정 장치 및 방법
CN105083292B (zh) * 2015-09-10 2017-10-13 吉林大学 一种预估未知路面摩擦系数的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902B1 (ko) 2015-02-13 2015-07-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노면 마찰계수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500A (ko) 2018-11-13 2020-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KR20200120779A (ko) 2019-04-11 2020-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차동제한장치의 제어방법
US11186272B2 (en) 2019-04-11 2021-11-30 Hyundai Motor Company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limited slip differential
KR20210108527A (ko) * 2020-02-25 2021-09-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태 확장 관측기 기반 전기 자동차의 abs 고정시간 슬립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20230136767A (ko) * 2022-03-16 2023-09-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기차용 휠슬립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78432A4 (en) 2020-12-02
US11186286B2 (en) 2021-11-30
CN110382326B (zh) 2022-12-30
WO2018143759A1 (ko) 2018-08-09
KR101897628B1 (ko) 2018-10-04
US20200023852A1 (en) 2020-01-23
EP3578432A1 (en) 2019-12-11
CN110382326A (zh)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628B1 (ko) 고속 정상 주행상황에서의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방법 및 타이어 노면 마찰계수 추정장치
US6754615B1 (en) Method of simulating the performance of a vehicle on a road surface
JP3271963B1 (ja) 車両の路面摩擦係数推定装置
US6508102B1 (en) Near real-time friction estimation for pre-emptive vehicle control
KR101543156B1 (ko) 차량 속도 추정 장치 및 방법
JP5035418B2 (ja) 路面摩擦係数推定装置及び路面摩擦係数推定方法
JP3539722B2 (ja) 車両の路面摩擦係数推定装置
JP5339121B2 (ja) スリップ率推定装置及びその方法と、スリップ率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828778B1 (ko) 차량의 질량 추정 방법
CN103717469A (zh) 路面状态估计方法和路面状态估计设备
JP5074023B2 (ja) コンピュータを援用して車両の質量、とりわけ産業車両の質量を推定する方法及び装置
CN108819950B (zh) 汽车稳定性控制系统的车速估计方法及系统
JP4926850B2 (ja) 車両の路面状態推定装置
CN113165614B (zh) 轮胎刚度估计和道路摩擦力估计
JP6021122B2 (ja) サーバ装置、端末装置、システム及び路面状態推定方法
Hu et al. Tire-road friction coefficient estimation under constant vehicle speed control
JP2008265545A (ja) 車両の重心位置推定装置及び重心位置/ヨー慣性モーメント推定装置。
JP4376549B2 (ja) 車両の路面摩擦係数推定装置
US20120179348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vehicle longitudinal velocity in a vehicle
CN113226881A (zh) 车辆运动状态推断装置、车辆运动状态推断方法以及车辆
KR102046994B1 (ko) 노면의 경사도 및 차량의 무게중심 실시간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JP2001088683A (ja) 車両の路面摩擦係数推定装置
FR2912363A1 (fr) Systeme et procede de determination de l'angle de devers d'un vehicule a partir des efforts exerces sur les roues
TW202017783A (zh) 車輪抓地力裕度估測方法
JP4358070B2 (ja) 車体スリップ角推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