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279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279A
KR20180091279A KR1020170016230A KR20170016230A KR20180091279A KR 20180091279 A KR20180091279 A KR 20180091279A KR 1020170016230 A KR1020170016230 A KR 1020170016230A KR 20170016230 A KR20170016230 A KR 20170016230A KR 20180091279 A KR20180091279 A KR 20180091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bracket
grounding
grounding portion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서자영
편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6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1279A/ko
Priority to JP2019542381A priority patent/JP7162602B2/ja
Priority to US16/483,867 priority patent/US11336153B2/en
Priority to EP18748194.0A priority patent/EP3579389A4/en
Priority to PCT/KR2018/001554 priority patent/WO2018143764A1/ko
Priority to CN201880010508.6A priority patent/CN110268606B/zh
Publication of KR20180091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06Cast metal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스테이터에 연결되는 와이어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조립체는 제1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몸체와, 제1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상부에 배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접촉하는 제2 접지부와, 상기 제2 접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접지부와 접촉하는 제3 접지부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전동식 조향장치(EPS)는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동식 조향장치는 차속센서, 토크 앵글센서 및 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를 통해 모터를 구동하여 차량의 조향축의 구동을 제어한다.
모터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몸체와 브라켓을 포함한다. 몸체는 내부에 로터와 스테이터를 수용한다. 브라켓은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그리고 브라켓은 와이어 조립체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마련된다. 브라켓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나, 베어링을 중심부에 포함하도록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브라켓의 경우,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차폐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브라켓에서 EMI를 차폐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스테이터에 연결되는 와이어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조립체는 제1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몸체와, 제1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접촉하는 제2 접지부와, 상기 제2 접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접지부와 접촉하는 제3 접지부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은 제2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 접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체결홀에 삽입되어 외부 장치와 접촉하는 제4 접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접지부와 상기 제4 접지부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홀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접지부의 위치와, 상기 제4 접지부의 위치는, 상기 제1 접지부를 기준하여 높이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은 상기 와이어 조립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지부는 상기 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체결홀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체결홀은 상기 수용부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접지부는 상기 제2 접지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접지부는 상기 제2 접지부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 조립체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그로멧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지부는 상기 그로멧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은 중심부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몸체나 외부 장치와 접촉하는 체결부에 연결되는 접지부를 구비하여,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브라켓에서도 EMI를 차폐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에 마련된 체결홀을 활용하여, 접지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브라켓에서 단순한 구성으로 EMI를 차폐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모터의 분해도,
도 3은 하우징의 브라켓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브라켓의 접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브라켓의 접지부의 정면도,
도 6은 접지부가 포함된 브라켓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모터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회전축(10)과, 로터(20)와, 스테이터(30)와, 하우징(40)과, 와이어 조립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0)은 로터(20)에 결합될 수 있다. 전류 공급을 통해 로터(20)와 스테이터(30)에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면 로터(2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회전축(10)이 회전한다. 회전축(10)은 차량의 조향축과 연결되어 조향축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로터(20)는 스테이터(3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한다.
로터(20)는 로터 코어와,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 코어는 원형의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형상으로 실시되거나 또는 하나의 통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로터 코어의 중심에는 회전축(10)이 결합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는 마그넷을 가이드 하는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마그넷은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마그넷은 일정 간격으로 로터 코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로터(20)는 마그넷을 둘러싸서 마그넷이 로터 코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며 마그넷이 노출되는 것을 막는 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30)는 로터(2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기 위해 코일이 감길 수 있다. 코일을 감기 위한 스테이터(30)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터(30)는 복수 개의 티스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코어를 포함할 있다. 스테이터 코어는 환형의 요크 부분이 마련되고, 요크에서 중심방향으로 코일이 감기는 티스가 마련될 수 있다. 티스는 요크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스테이터 코어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는 복수 개의 분할 코어가 상호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테이터(30)에 감긴 코일(도 2의 31)은 U,V,W 상의 터미널 단자(도 2의 32)와 연결된다. 그리고 터미널 단자(도 2의 32)는 와이어 조립체(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우징(40)은 내부에 로터(20)와 스테이터(30)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몸체(100)와 브라켓(20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몸체(100)는 알루미늄 같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0)는 상부가 개방된다. 브라켓(200)은 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몸체(100)의 내측에는 스테이터(30)가 위치하며, 스테이터(30)의 내측에 로터(20)가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200)은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200)의 중심부에는 베어링(80)이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80)은 이중 사출되어 브라켓(200)과 일체일 수 있다.
와이어 조립체(50)는 터미널 단자(도 2의 32)에 연결되어, 코일(도 2의 31)에 전류를 공급한다. 와이어 조립체(50)는 3개의 케이블(5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 조립체(50)는 3개의 케이블(51)을 수용하는 그로멧(52)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조립체(50)는 제1 접지부(53)를 포함한다. 제1 접지부(53)는 케이블(51)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접지부(53)는 그로멧(52)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3개의 케이블(51)은 각각 연결단자(54)와 연결된다. 연결단자(54)는 각각 U,V,W 상의 터미널 단자(도 2의 32)와 연결된다.
센싱 마그넷(60)은 로터(20)와 연동하도록 회전축(10)에 결합되어 로터(1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인쇄회로기판(70)에는 센싱 마그넷(60)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는 홀 IC(Hall IC)일 수 있다. 센서는 센싱 마그넷(60)의 N극과 S극의 변화를 감지하여 센싱 시그널을 생성한다.
도 3은 하우징의 브라켓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200)은 제2 접지부(210)와, 제3 접지부(220)와, 제4 접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200)은 와이어 조립체(50)를 수용하는 수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40)는 와이어 조립체(50)의 그로멧(52)이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한다.
또한, 브라켓(200)은 제1 체결홀(250)과 제2 체결홀(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홀(250)은 하우징(40)의 몸체(100)와 체결되는 곳이다. 그리고 제2 체결홀(260)은 EPS 시스템과 체결되는 곳이다. 제1 체결홀(250)과 제2 체결홀(260)은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제1 체결홀(250) 중 어느 하나는 수용부(240)를 기준으로 수용부(240)의 어느 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체결홀(260) 중 어느 하나는 수용부(240)의 다른 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브라켓의 접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접지부(210)와, 제3 접지부(220)와, 제4 접지부(230)는 그 형상 및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을 뿐, 서로 상하로 연결된 하나의 부재일 수 있다. 제2 접지부(210)와, 제3 접지부(220)와, 제4 접지부(230)는 통전 가능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접지부(210)와, 제3 접지부(220)와, 제4 접지부(230)는 브라켓(200)에 이중 사출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2 접지부(210)는 평판 형태일 수 있다. 제2 접지부(210)는 수용부(240)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접지부(210)는 브라켓(200)의 하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지부(210)는 수용부(240)에 위치하는 와이어 조립체(50)의 제1 접지부(53)와 접촉한다.
제3 접지부(220)는 중심부에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홀(221)이 배치된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홀(221)은 브라켓(200)과 몸체(10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한다. 제3 접지부(220)는 제1 체결홀(25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체결홀(250)은 브라켓(200)에 몸체(100)가 결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몸체(100)와 접촉하는 곳이다. 이러한 제1 체결홀(250)에 제3 접지부(220)를 배치하여 EMI 차폐를 위한 접지 구성을 구현한다. 따라서, 제3 접지부(220)와 몸체(100)를 접촉시키기 위한 별도의 접지 구성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제3 접지부(220)는 제2 접지부(210)의 어느 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접지부(230)는 중심부에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홀(231)이 배치된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홀(231)은 브라켓(200)과 EPS 시스템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한다. 제4 접지부(230)는 제2 체결홀(260)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체결홀(260)은 EPS 시스템에 브라켓(200)을 결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EPS 시스템과 접촉하는 곳이다. 이러한 제2 체결홀(260)에 제4 접지부(230)를 배치하여 EMI 차폐를 위한 접지 구성을 구현한다. 따라서, 제4 접지부(240)와 EPS 시스템을 접촉시키기 위한 별도의 접지 구성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제4 접지부(230)는 제2 접지부(210)의 다른 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브라켓의 접지부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3 접지부(220)와 제4 접지부(230)는 제2 접지부(210)를 기준하여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3 접지부(220)가 하우징(40)의 몸체(100)와 접촉하기 위치와. 제4 접지부(230)가 EPS 시스템과 같은 외부 장치와 접촉하기 위한 위치가 고려된 것이다.
도 6은 접지부가 포함된 브라켓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브라켓(200)이 몸체(100)에 체결되면, 와이어 조립체(50)의 제1 접지부(53)가 제2 접지부(210)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3 접지부(220)의 하면(222)이 몸체(100)의 상단과 접촉하여 접지된다. 또한, 모터가 EPS 시스템에 체결되면, 와이어 조립체(50)의 제1 접지부(53)가 제2 접지부(210)에 접촉하고 제3 접지부(220)는 몸체(100)와 접촉한 상태에서, 제4 접지부(230)의 상면(232)이 EPS 시스템에 접촉하여 접지된다. 따라서, 통전이 되지 않는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브라켓(200)에서도, EMI를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회전축
20: 로터
30: 스테이터
40: 하우징
50: 와이어 조립체
51: 케이블
52: 그로멧
53: 제1 접지부
54: 연결단자
60: 센싱 마그넷
70: 인쇄회로기판
80: 베어링
100: 몸체
200: 브라켓
210: 제2 접지부
220: 제3 접지부
230: 제4 접지부
240: 수용부
250: 제1 체결홀

Claims (9)

  1.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스테이터에 연결되는 와이어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조립체는 제1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몸체;
    제1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접촉하는 제2 접지부와, 상기 제2 접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접지부와 접촉하는 제3 접지부를 포함하는 모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제2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 접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체결홀에 삽입되어 외부 장치와 접촉하는 제4 접지부를 포함하는 모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지부와 상기 제4 접지부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홀이 각각 배치되는 모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지부의 위치와, 상기 제4 접지부의 위치는, 상기 제1 접지부를 기준하여 높이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모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와이어 조립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지부는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는 모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홀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체결홀은 상기 수용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모터.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지부는 상기 제2 접지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접지부는 상기 제2 접지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모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조립체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그로멧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지부는 상기 그로멧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모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중심부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모터.
KR1020170016230A 2017-02-06 2017-02-06 모터 KR20180091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230A KR20180091279A (ko) 2017-02-06 2017-02-06 모터
JP2019542381A JP7162602B2 (ja) 2017-02-06 2018-02-06 モーター
US16/483,867 US11336153B2 (en) 2017-02-06 2018-02-06 Motor
EP18748194.0A EP3579389A4 (en) 2017-02-06 2018-02-06 ENGINE
PCT/KR2018/001554 WO2018143764A1 (ko) 2017-02-06 2018-02-06 모터
CN201880010508.6A CN110268606B (zh) 2017-02-06 2018-02-06 电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230A KR20180091279A (ko) 2017-02-06 2017-02-06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279A true KR20180091279A (ko) 2018-08-16

Family

ID=6344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230A KR20180091279A (ko) 2017-02-06 2017-02-06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12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3499B2 (en) Motor
US10651704B2 (en) Rotating device
CN111404327B (zh) 电动机
JP2019009885A (ja) モータ
KR20020090105A (ko) 전동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
KR20170140716A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6439572B2 (ja) 電子制御装置および駆動装置
KR20180119997A (ko) 모터
KR20170140715A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7162602B2 (ja) モーター
WO2017175609A1 (ja) モータ、インホイールモータ及び車輪装置
CN109769403B (zh) 后保持件和包括该后保持件的马达
JP2013009573A (ja) モータ
JP6837561B2 (ja) センシングマグネット組立体、ロータ位置感知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モータ
JPWO2019038849A1 (ja) 電動駆動装置
KR102516543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
CN112042085B (zh) 电动机
KR20180092423A (ko) 모터
JP2022500987A (ja) モータ
KR102547567B1 (ko) 모터
KR20180091279A (ko) 모터
KR102477861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KR20190027182A (ko) 모터
KR102446183B1 (ko) 모터
KR102655249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