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202A - Portable food container - Google Patents

Portable food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202A
KR20180090202A KR1020180012454A KR20180012454A KR20180090202A KR 20180090202 A KR20180090202 A KR 20180090202A KR 1020180012454 A KR1020180012454 A KR 1020180012454A KR 20180012454 A KR20180012454 A KR 20180012454A KR 20180090202 A KR20180090202 A KR 20180090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tationary element
stationary
base portion
pivo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4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알렉스 둠러
프로리안 엠. 비트
요하나 쾨니히슈베르거
마티아스 헥커
토르슈텐 플라테
앤드류 페리어
Original Assignee
키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키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90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2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20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6Butter or cheese dishes or covers, with or without cooling or heating devices; Protective covers for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4Display trays or containers
    • A47F3/145Closable display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94Integral handles provided on the top or upper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food container (2) which has a plate-shaped base part (4) and a cover (6) to be positioned on the base part (4). Locking elements (8) are provided on the base part (4) and are movable via a fixed pivot pin (10). Contact surfaces (26) are configured on the locking elements (8) and the locking elements (8) are non-positively and/or positively in engagement with corresponding contact surfaces (28) on the cover (6) in the locked position. With lowering movement into the base part (4) and through downwardly facing actuating lugs (18), the cover (6) actuates the locking elements (8) which move at the same time out of the open position into the locked position.

Description

휴대용 음식 용기{PORTABLE FOOD CONTAINER} [0001] PORTABLE FOOD CONTAINER [0002]

본 발명은, 플레이트 형태의 베이스 부분과 상기 베이스 부분에 위치될 수 있는 커버를 가지며, 고정된 피벗 핀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고정 요소가 상기 베이스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부분과 커버는 고정 요소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는 휴대용 음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 요소는 개방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에서 피벗 핀 주위로 앞뒤로 피벗회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피벗 핀은 고정 요소의 단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피벗 핀으로부터 이격된 각각의 고정 요소의 제1 단부가 작동 표면으로서 형성되고 맞은편에 있는 제2 단부가 고정 몸체로서 형성되며, 제2 단부에 형성된 고정 몸체와 함께 고정 위치에서 상기 고정 요소는 커버가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차단하며, 고정 요소에 형성된 접촉 표면을 통해, 고정 요소는 고정 위치에서 커버 상에서 상응하는 접촉 표면과 논-포지티브 방식으로(non-positively) 및/또는 포지티브 방식으로(positively) 결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member having a base portion in the form of a plate and a cover which can be located in the base portion, a fixing element movable by a fixed pivot pin is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Wherein the stationary element can be pivoted back and forth around the pivot pin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stationary position, each pivot pin being located between the ends of the stationary element, Wherein a first end of each of the securing elements spaced from the pin is formed as an actuating surface and a second end opposite the securing body is formed as a securing body and in a fixed position with the securing body formed at the second end, To prevent detachment from the base portion, through the contact surface formed in the stationary element, In a non-positively and / or positively coupled manner with the corresponding contact surface on the cover.

범용 음식 용기가 문헌 DE 20 2010 001 881 U1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음식 용기는 파이, 케이크 또는 패스트리를 운반하도록 사용될 뿐만 아니라, 그 밖의 음식, 가령, 치즈, 빵, 샐러드 등을 운반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음식들 중 일부 음식은 작용 힘(acting force)에 매우 민감하며, 그에 따라 운반 용기(transport container) 내에 정확하고 조심스럽게 담아서 보호해야 한다. 운반하는 동안, 가능한 최대한, 이송되는 음식의 어떠한 구성요소(component), 가령, 예를 들어, 액체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Universal food containers are described in document DE 20 2010 001 881 U1. Such food containers may be used to carry pies, cakes or pastries, but may also be used to carry other foods, such as cheese, bread, salads, and the like. Some of these foods are very sensitive to the acting force and must therefore be carefully and carefully packaged in a transport container. During transport, it is desirable to avoid, as much as possible, any component of the food to be transported, such as, for example, liquids, etc., to the outside.

베이스 부분이 커버에 의해 덮혀지지 않으면, 커버는 덮기 위해 제공되는 시트(seat)에 정확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고정 요소는 수동으로 고정 위치로 눌러야 한다. 고정 몸체가 단지 작은 공간 치수(small dimension)를 가지기 때문에, 접촉 표면은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되어야만 한다. 이는 처음에 시도할 때에는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니라서, 커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수 회 시도해야 할 때도 있다. 또한, 커다란 작동 표면에 의해 큰 힘이 상대적으로 작은 고정 몸체에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영역에서의 고정 몸체에 과부하가 걸리며(overloaded) 변형되거나 느슨하게 되는 위험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커버는 더 이상 견고하게 고정될 수 없다. If the base portion is not covered by the cover, the cover must be precisely adjusted to the seat provided for covering. Thus, the stationary element described herein must be pushed manually into the stationary position. Because the fastening body has only a small dimension, the contact surfaces must be precisely positioned relative to one another. This is not always successful on first attempt, so you may have to try several times to secure the cover securely. In addition, there is a risk that the fixed body in the contact area is overloaded and deformed or loosened because a large working surface can provide a relatively large force to the relatively small fixed body. As a result, the cover can no longer be fixed securely.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 용기의 작동 및 취급을 단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operation and handling of food containers.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 용기(portable food container)로 구현되는데, 여기서, 각각의 고정 요소(locking element)의 작동 표면(actuating surface)은 베이스 부분(base part)의 지지 표면(bearing surface)을 향해 내부 방향을 향하는 피벗 핀(pivot pin)에 형성되며, 각각의 고정 요소의 영역에서 적어도 베이스 부분은 수용 공간(receiving space)을 가지고, 베이스 쪽에 커버(cover)의 에지(edge)에 형성된 하부 방향을 향하는 작동 러그(actuating lug)가 하강 경로(lowering path)를 따라 상기 수용 공간으로 내려갈 수 있으며, 작동 표면으로서 형성되는 각각의 고정 요소의 제1 단부는 개방 위치(open position)로부터 고정 위치(locked position)로 수용 공간 내로 충분히 돌출되어, 작동 러그의 하강 경로를 따라 수용 공간에 도달되고, 제1 단부는 피벗 핀 주위로 피벗회전에 의해 개방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 뒤에, 작동 러그는 작동 표면과 부딪혀서(strike), 작동 러그가 하강 경로를 따라 계속하여 내려가게 되며, 레버 암(lever arm)으로서 제1 단부는 개방 위치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고정 위치로 이동되고, 각각의 고정 요소의 제1 단부의 피벗회전 운동(pivoting movement)에 의해, 상기 고정 요소의 제2 단부는 개방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피벗회전된다. This object is achieved in a portabl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which the actuating surface of each locking element has a bearing surface on the base part, And at least a base portion in a region of each of the stationary elements has a receiving space and a lower portion formed on the edge of the cover on the side of the base, Directional actuating lug may descend into the receiving space along a lowering path and the first end of each stationary element formed as an actuating surface may be moved from an open position to a fixed position locked position to a receiving space along the descending path of the operating lug and the first end is pivoted about the pivot pin to the open position The actuating lug strikes against the actuating surface and the actuating lug continues to descend along the descending path and the first end as a lever arm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fixed position and the second end of the stationary element is pivot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stationary position by pivoting movement of the first end of each stationary element.

본 발명의 고정 요소들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단순히 커버를 베이스 부분에 배열함으로써 고정 요소들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 과정은 커버가 베이스 부분에 위치될 때 커버의 작동 러그가 하강 경로를 따라 수용 공간으로 이동되는 들어올림 운동(lifting movement)에 의해 구현된다. 작동 러그의 들어올림 운동은 고정 요소들의 피벗회전 운동을 유발시키며(trigger), 상기 고정 요소들은 그 경로에서 피벗회전되어 개방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이동된다. 이 경우, 운반 용기가 둥글거나, 난형이거나(oval) 또는 복수의 코너부분(corner)들을 가진 형태로 구성되든지 상관없다. 고정 요소들은 적절한 위치들에서 임의의 원하는 용기 형태에 결부될 수 있는데(attached), 적어도 2개, 3개 또는 4개의 고정 요소들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fixing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ix the fixing elements simply by arranging the cover on the base portion. This fixing process is implemented by a lifting movement in which the operating lugs of the cover are moved into the receiving space along the downward path when the cover is located at the base portion. The lifting movement of the actuating lug triggers the pivoting movement of the stationary elements, which are then pivoted in their path and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stationary position. In this case, the carrier container may be round, oval or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corner portions. At least two, three or four stationary elements are preferred, with the stationary elements being attached at any desired position to any desired container configuration.

고정 요소들과 작동 러그 상의 접촉 표면은, 이에 상응하게, 수용 공간의 폭과 외주(peripheral) 크기에 따라, 커다란 표면을 가지도록(large-surfaced) 형성될 수 있다. 커다란 표면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인 장치보다, 단위 표면당 작은 비-하중(specific loading)을 가지게 한다. 단위 표면당 작은 비-하중으로 인해, 재료 마모가 감소되고, 구성요소들의 수치는 커질 수 있으며, 베이스 부분에 커버를 배열하는 데 있어서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고정 힘(locking force)이 작동되고 그로부터 야기되는 고정 거동(locking behavior) 시에 고정 요소들이 변형이 줄어들게 된다. The contact surfaces on the actuating lugs with the fixing elements can correspondingly be formed large-surfaced, depending on the width and the peripheral size of the receiving space. The large surface has a smaller specific load per unit surface than devices known from the prior art. Due to the small non-load per unit surface, material wear can be reduced, the numerical value of the components can be increased,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 arranging the cover in the base portion, the locking force is actuated So that the fixing elements are less deformed during the locking behavior resulting therefrom.

또한, 커버를 베이스 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핸들(handle)이 필요 없게 된다. 작동 러그가 수용 공간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slide) 커버를 베이스 부분에 배열할 수 있다. 그러면, 커버는 약간의 고정 압력(holding pressure)으로 베이스 부분에 누르면 되는데, 고정 요소들은 피벗회전되어 고정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개별 고정 요소들을 수동으로 고정하는(manual locking) 과정이 필요 없을 것이다. Further, a plurality of handles are not required to fix the cover to the base portion. A cover may be arranged on the base portion so that the operating lugs slide to the receiving space. Then, the cover is pressed into the base portion with a small holding pressure, where the fixing elements are pivoted and moved to the fixed position. Thus, there is no need for a manual locking procedure for individual stationary elements.

커버와 고정 요소들은 우발적으로 고정 위치로부터 쉽게 탈착될 수 없는데(released), 이는 고정 위치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하더라도, 고정 요소들이 개방 운동 동안에는 커버를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이다. 커버가 베이스 부분의 표면 부분(surface part)에서 지지됨으로써 야기된 마찰력과 커버의 중량으로 인해, 커버가 운반 용기의 운반 동안에 고정 위치로부터 이동되지 못하도록 추가적인 안정성이 제공된다. The cover and the fastening elements can not be easily released from the fastening position accidentally, even though they can be moved from the fastening position, because the fastening elements must lift the cover during the opening movement. Additional stability is provided to prevent the cover from being moved out of the locked position during delivery of the carrying container due to the frictional force and the weight of the cover caused by the cover being supported on the surface part of the base portion.

고정 과정 동안 고정 요소들의 피벗회전 운동은 커버를 배열하는 과정 동안에 즉시 시각적으로 모니터링 될 수 있다(visually monitored). 고정 요소들이 고정 위치로 이동될 때, 커버의 배열 및 고정 과정은 커버를 추가로 취급할 필요 없이 종료된다. 그 외의 경우에는, 커버는, 임의의 외부 모체(foreign body)가 커버의 하강 경로에서 수용 공간에 위치되는 지를 체크하기 위하여, 즉시 다시 탈착될 수 있다. The pivoting motion of the stationary elements during the fixation process can be visually monitored immediately during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cover. When the fixing elements are moved to the fixed position, the arrangement and fixing process of the cover ends without the need to further handle the cover. In other cases, the cover can be immediately reattached to check whether any foreign body is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in the downward path of the cover.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위치에서 고정 요소는 제2 단부로 외부로부터 커버의 하측 및 외부 에지를 둘러싼다(encompass). 이런 방식으로, 고정 요소들은 운반 용기의 외측 표면과 외주(external periphery)의 한 부분을 형성한다. 운반 용기가 그립되고(gripped) 들어 올려질 때, 손으로 고정 요소들을 쥘 수 있으며, 그 결과, 우발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고정 요소들은 손으로 쥐는 고정 요소들에 꼭 맞고 취급을 용이하게 해 주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고정 요소들은 베이스 부분과 커버 몸체의 외주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된(protruding laterally) 운반 핸들(carry handle)을 형성할 수 있으며, 운반 용기가 그 위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ecuring element in the securing position encompasses the lower and outer edges of the cover from the outside to the second end. In this way, the stationary elements form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ort container. When the carrying container is gripped and lifted, it can be gripped by hand with the locking elements, thereby further preventing accidental opening. Fixing elements may have a shape that fits into the hand-held fixing elements and facilitates handling. At this time, the fixing elements may form a carrying handle protruding laterally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portion and the cover body, and the carrying container may be positioned thereon and fixed.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립 에지(grip edge)가 각각의 고정 요소의 제2 단부에 형성되고, 고정 요소들은 상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수동으로 고정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립 에지는 피벗 핀을 따라 피벗 핀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된 피벗 핀에 대해 정확하게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또는 적어도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그립 에지를 끌어당기면, 고정 몸체(locking body)가 고정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피벗회전될 수 있다. 정확하게 쥘 수 있으며 미끄러짐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 요소의 고정 위치에서, 그립 에지는 커버의 둘러싸는 외측 표면 및/또는 베이스 부분 위에서 적어도 거의 손가락의 두께만큼 돌출된다. 고정 요소 상에서 끌어당길 때 손가락이 쉽게 미끄러질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그립 에지의 최상측 에지(uppermost edge) 밑에, 상기 최상측 에지와 교차하는(intersecting) 손가락을 위한 지지 표면(bearing surface)이 형성될 수 있다. 피벗 핀 주위로의 제2 단부의 피벗회전 운동으로 인해, 고정 요소의 제1 단부는 피벗 핀 주위로 이동되며, 상기 제1 단부의 운동에 의해 고정 요소가 개방되면, 커버가 고정 위치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데 항상 영향을 끼친다. 그에 따라, 커버는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보다 쉽게 탈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grip edge is formed at the second end of each stationary element, the stationary elements can be fixed on the top and can be manually moved from the stationary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The grip edge is configured to extend precisely parallel or at least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pivot pin located a distance from the pivot pin along the pivot pin. Thus, when the grip edge is pulled, the locking body can be pivoted from the locked position toward the open position. In a fixed position of the fastening element, the grip edges protrude at least nearly the thickness of the fingers on the surrounding outer surface and / or base portion of the cover, so that it can be gripped correctly and efficiently protected from slippage. A bearing surface for a finger intersecting the uppermost edge may be formed below the uppermost edge of the grip edge to prevent the finger from slipping easily when pulled on the stationary element have. Due to the pivoting movement of the second end around the pivot pin, the first end of the securing element is moved about the pivot pin, and when the securing element is open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end, the cover is lifted from the securing position It always has an effect. As a result, the cover can be more easily detached from the base portion.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래칭 러그(latching lug)가 접촉 표면 영역의 커버 및/또는 고정 요소에 형성되고 고정 요소가 고정 위치로 피벗회전하면, 래칭 러그는 인접한 구성요소(adjacent component)의 상응하는 래칭 러그와 결합되고, 그 결과, 고정 요소는 고정 위치에 포지티브 방식으로 고정된다(positively securing). 고정 요소를 고정 위치에 래칭연결 함으로써(latching), 고정 요소는 안정하게 고정되어 고정 요소가 우발적으로 개방되는 것이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래칭 러그는 제2 단부의 영역에서 고정 요소의 내측면(inner face)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단부는 고정 요소가 개방될 때 쉽게 올라갈 수 있으며, 래칭 러그에 의해 고정을 다시 탈착하기 위하여 래칭 러그는 상응하는 구성요소의 래칭 러그에서 안내될 수 있다(guid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when a latching lug is formed in the cover and / or the stationary element of the contact surface area and the stationary element pivots to a fixed position, Is coupled with a corresponding latching lug so that the locking element is positively securing to the locking position. By latching the stationary element to the stationary position, the stationary element is stably fixed, preventing accidental opening of the stationary element more efficiently. The latching lug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inner face of the stationary element in the region of the second end. Here, the second end can easily ascend when the fastening element is opened, and the latching lug can be guided in the latching lug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to reattach and detach the fastening by the latching lug.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러그는, 하강 경로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 방향을 향하여 커버의 하측 주변 에지(lower peripheral edge)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돌출부로서 형성되며, 고정 영역에서 고정 요소를 가진 커버의 하측 주변 에지는 하강 경로에 대해 횡단 방향(transverse direction)으로 정확하게 연장되거나 또는 거의 완전히 연장되는 지지 돌출부(support projection)를 가지고, 베이스 부분의 한 부분이 커버의 고정 위치에서 외부 방향을 향하는 전방 표면에 대해 접하며(abutting), 베이스 부분의 상기 부분은 베이스 부분의 상기 부분의 상측면에 형성된 접촉 표면과 피벗 핀에 연결되고, 고정 요소의 접촉 표면은 고정 위치에서 지지된다. 돌출부는 커버의 하강 운동으로부터 조절 힘(adjusting force)을 고정 요소의 제1 단부로 전달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돌출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고정 요소의 제1 및 제2 단부가 서로에 대해 분리되는 거리만큼 연장된다. 또한, 돌출부는 고정 위치에서 하부 방향으로 지지 돌출부를 지지한다. 지지 돌출부는 수용 공간을 통해 횡단 방향으로 베이스 부분의 반경 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연장된다. 고정 위치에서, 외부를 향하는 전방면을 가진 지지 돌출부는 피벗 핀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의 상기 부분을 횡단 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지지한다. 돌출부, 지지 돌출부, 고정 요소의 제1 및 제2 단부, 그리고, 베이스 부분에 형성된 피벗 핀은, 베이스 부분 내의 지지 부분과 함께, 상기 부분들이 간격(clearance) 없이도 서로 지지되며 고정 요소를 견고하게 고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기하학적 형상(geometry)을 형성한다. 이러한 고정은 고정 요소의 제2 단부에 의해 탈착될 수 있으며, 접촉 표면 및/또는, 디자인에 따라, 들어 올려지고 지지 돌출부 상에서 접촉 표면으로부터 피벗회전 운동에 의해 피벗회전되어, 그 결과, 지지 돌출부는 피벗 핀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의 부분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탈착될 수 있으며, 그 뒤, 오직 돌출부만이, 커버에 위치된 돌출부가 하강 경로를 따라 하강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수용 공간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기 전에, 고정 요소의 제1 단부와 접촉된다. 반대로, 돌출부가 수용 공간으로 하강 운동한 후에, 지지 돌출부의 전방면이 피벗 핀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의 상응하는 접촉 표면과 결합될 때, 특히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lug is formed as a protrusion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downward path and extending downward away from the lower peripheral edge of the cover, The lower peripheral edge of the cover has a support projection that extends or extends substantially completely in a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escent path, and a portion of the base portion is directed outwardly from the fixed position of the cover Abutting the front surface such that th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ivot pin and the contact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stationary element is supported in the fixed position. The protrusion is well suited for transferring an adjusting force from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cover to the first end of the stationary element. The protrusions extend, at least in part, by a distance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stationary elemen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Further, the projections support the support projections in the downward direction at the fixed position. The support protrusions extend outwardly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the receiving space. In the fixed position, the support projection having an outwardly facing front surface supports said portion of the base portion connected to the pivot pin in a transverse direction inwardly. The pivot pin formed in the base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fixation element and the protrusion, the support projection, and the pivot pin together with the support portion in the base portion are supported by each other without clearance, To form a fixed geometry at the location. This fixation can be detached by the second end of the stationary element and is pivoted by the pivoting motion from the contact surface on the support surface and / or the support surface, depending on the contact surface and / or design, The pivot pin can be detached upwardly from th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connected to the pivot pin and only then the protrusions can be removed from the base portion before the protrusion located on the cover is lifted from the receiving spa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ownward direction along the downward path,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nd of the stationary element. Conversely, when the projec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contact surface of the base portion connected to the pivot pin, after the protrusion descends into the receiving space, it is particularly stably fixed.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 공간은 베이스 부분 상에서 연장되는 고정 요소들의 외부에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커버의 고정 위치에서, 상기 영역에서 지지 돌출부는 수용 공간의 벽의 내측면에 대해 전방 표면으로 지지되고, 커버의 고정 위치에서, 상기 영역에서 돌출부는 수용 공간의 베이스에 대해 하측면으로 지지된다. 커버는, 상기 커버가 고정 요소들에 의해 베이스 부분에 연결되고 돌출부와 지지 돌출부에 의해 베이스 부분에 연결되는 영역 외부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매우 견고하게 연결되는데, 심지어 하중이 상부에 불균일하게 작용하는 경우에도, 운반 용기가 약간만 비틀린다. 이때, 돌출부와 지지 돌출부는 작용 하중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이한 하중 방향으로 작용된다(act). 수용 공간이 베이스 부분의 실질적인 부분 또는 전체 베이스 부분을 외부 방향으로 둘러싸면, 운반 용기 내에서 운반되는 음식으로부터 배출되는(escape) 유체, 가령, 케이크에서 나온 액체 또는 크림이 내부에 쉽게 수거될 수 있다. 그러면, 돌출부와 지지 돌출부는 액체가 자유롭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정 형태의 배리어(barrier)를 형성한다. 따라서, 돌출부와 지지 돌출부 그리고 수용 공간 자체 사이의 중간 공간은, 한 지점에서 수용 공간에 유입되는 액체가, 상기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전체 수용 공간의 길이에 걸쳐 분포될 수 있는(distributed) 채널(channel)이 된다. 돌출부와 횡단 방향의 돌출부가 완전한 밀봉(full seal)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필요는 없지만, 임의의 경우에, 이들은 수용 공간에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배리어를 형성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to receive a projection on the outside of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on the base portion, wherein in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cover, And at the fixing position of the cover, the projecting portion in this region is supported on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bas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over is very rigidly connected because the cover is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by the fastening elements and is supported outside the area where it is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by the projections and the support protrusions so that even when the load acts non- Also, the carrying container is slightly twisted. At this time, the protrusions and the support protrusions act in different load directions to accommodate the working load. If the receiving space externally surrounds a substantial portion or entire bas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 fluid escaping from the food carried in the conveying container, for example a liquid or cream from the cake, can be easily collected inside . Then, the protrusions and the support protrusions form a certain type of barrier that prevents the liquid from being freely discharged. Thus, the intermediate space between the protrusions and the support protrusions and the receiving space itself is such that the liquid entering the receiving space at one point can be distributed over the length of the entire receiving space before the liqui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Channel. The protrusions and the transverse protrusions do not need to be formed to provide a full seal, but in any case they form an additional barrier to prevent liquid from escaping to the receiving space.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요소는 각각의 고정 요소에 형성된 피벗회전 래칭 장치(pivoting latching device)에 의해 피벗 핀에 연결된다. 피벗회전 래칭 장치의 래칭 요소(latching element)로 인해, 고정 요소들이 베이스 부분에서 피벗 핀의 액슬 단부(axle end)에 간단하게 클립고정될 수 있다(clipping). 그 뒤, 고정 요소들은 가령, 예를 들어, 세척(cleaning) 목적으로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다시 탈착될 수 있다. 하지만, 고정 요소들은 고정 기능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피벗 핀에 충분히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피벗회전 래칭 요소들의 탭(tab)들의 수치가 피벗회전 래칭 요소의 재료 및 재료 두께에 꼭 맞도록 상응하게 형성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tationary element is connected to the pivot pin by a pivoting latching device formed on each stationary element. Due to the latching element of the pivotal rotation latching device, the fastening elements can simply be clipped to the axle end of the pivot pin at the base portion. The stationary elements can then be relatively easily removed again, for example, for cleaning purposes, for example. However, the stationary elements are sufficiently rigidly secured to the pivot pin to enable the stationary function to be achieved. To this end, the numerical values of the tabs of the pivoting rotation latching elements are correspondingly formed to fit the material and material thickness of the pivoting rotation latching elemen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요소의 표면, 커버, 및/또는 베이스 부분에는, 그립하기에 적합한 영역들에, 연성 플라스틱 재료(soft plastic material)가 제공된다. 용어 "연성 플라스틱 재료"는 운반 용기 용도로 다른 부문에 사용되는 재료에 비해, 더 부드럽고 감촉이 좋은 그립 감(gripping sensation)을 제공하는 재료로 이해하면 된다. 또한, 연성 플라스틱 재료가 제공된 표면 부분들로 인해, 고품질의 제품이라는 인상을 받게 된다. 상응하는 색상에서 상이한 디자인으로 인해, 연성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표면 구성요소들은 운반 용기를 그립하기에 어느 부분이 가장 적합한 부분인지를 알려준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urface, cover and / or base portion of the stationary element, soft plastic material is provided in areas suitable for gripping. The term "flexible plastic material" is to be understood as a material which provides a softer and more pleasant gripping sensation compared to the materials used in other sectors for use in transport containers. Also, due to the surface portions on which the flexible plastic material is provided, it is impression that it is a high quality product. Due to the different designs in the corresponding colors, surface components made of flexible plastic material indicate which part is the most suitable part to grip the carrying container.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releasably connected) 제공 플레이트(presentation plate)가 베이스 부분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공 플레이트는 음식을 보여주기 위해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는데, 베이스 부분의 상부에 위치되고 디스플레이 표면(display surface) 상에서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분리된다. 제공 플레이트는 외관에 있어서 특히 품질이 우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고품질 제품이라는 인상을 제공하는, 삽입식 인-몰드 라벨(inserted in-mold label), 가령, 목재, 석재(stone) 또는 대리석(marble) 또는 도자기 장식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재료들 중 한 재료로부터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혹은 음식, 가령, 과일, 빵 종류, 허브 등을 보여주기에 적합한 그 밖의 디스플레이를 보여준다. 제공 플레이트는 새로 장착될 수 있거나(retrofitted) 및/또는 교체될 수도 있으며, 그로 인해, 예를 들어, 베이스 부분과 커버를 포함하는 한 세트가, 상이한 디자인을 가진 복수의 제공 플레이트와 함께 조합되어 제품 패키지로 구매할 수도 있다. 또한, 제공 플레이트는 개별적으로 구매할 수도 있으며 운반 용기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제공 플레이트는 특정 형태, 가령, 예를 들어, 머핀을 위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파이(pie)를 간단하게 절단하기 위한 절단 홈(cutting groove)을 가질 수 있거나, 혹은, 액체를 하부 방향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표면에 공기 구멍(air hole)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easably connected presentation plate to the base portion may be located on top of the base portion. The providing plate can be lifted from the base portion to show the food, located on top of the base portion and separated from the base portion on the display surface. The providing plate can be configured to have a particularly good quality in appearance, for example, an insert-in-mold label, which provides an impression of a high quality product, such as wood, stone, Or marble or porcelain or other display suitable for showing food, such as fruit, bread type, hub, etc., which may be formed directly from one of the above materials . The providing plate may be retrofitted and / or replaced so that, for example, one set comprising the base portion and the cover is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providing plates having different designs to form a product You can also purchase it as a package. In addition, the providing plates may be purchased separately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shipping container in any manner. The providing plate may have a particular shape, for example, a shape for a muffin, for example, it may have a cutting groove for simply cutting a pie, An air hole may be formed in the surface to discharge downward.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공간(hollow space)이 제공 플레이트와 베이스 부분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중공 공간으로 인해, 제공 플레이트에 배열된 음식의 제공 평면(presentation plane)이 더 커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중공 공간은 식탁용 날붙이류(cutlery), 냅킨 및 내부에 위치된 음식을 위한 장식들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low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roviding plate and the base portion. Due to the hollow space, the presentation plane of the food arranged on the providing plate can be larger. However, the hollow space can be used to accommodate table cutlery, napkins, and decorations for food placed inside.

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임의의 조합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practic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can also be implemented in any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 및 변형예들은 하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들로부터 자명할 것이다. Further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제, 본 발명은 대표 실시예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상부에 위치된 커버를 가진 베이스 부분을 위로부터 바라본 비스듬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베이스 부분에 고정된 커버를 가진 음식 용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식 용기를 절단한 단면도,
도 4-6은 고정 순서를 보여주는, 고정 영역의 확대 단면도들로서, 도 4는 고정 요소가 개방 위치에 있으며, 도 5에서는 고정 요소가 중간 위치에 있고, 도 6에서는 고정 요소가 고정 위치에 있는 것을 보여준다.
Now,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a representative embodiment. In the drawin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n oblique view of a base portion with a cover positioned thereon as viewed from above,
Fig. 2 shows a food container having a cover fixed to the base portion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od container shown in Fig. 2,
Figs. 4-6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fixed area showing the fixing sequence, Fig. 4 shows the fixing element in the open position, Fig. 5 shows the fixing element in the middle position and Fig. 6 shows the fixing element in the fixing position Show.

도 1에는 음식 용기(2)가 도시되는데, 음식 용기(2)는 실질적으로 상부에 위치될 수 있는 커버(6)와 베이스 부분(4)으로 구성된다. 운반(transport)하는 동안 커버(6)가 우발적으로 탈착되는(released)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 부분(4)은 고정 요소(8)들에 의해 커버(6)와 함께 고정될 수 있다. 견고하게 고정되고 나면, 음식 용기(2)는 커버(6)에 위치된 운반 핸들(carry handle)로 운반될 수도 있다. Fig. 1 shows a food container 2, which consists of a cover 6 and a base part 4 which can be placed substantially on top. The base portion 4 can be fixed with the cover 6 by means of the fixing elements 8 in order to prevent the cover 6 from being accidentally released during transport. Once rigidly secured, the food container 2 may be carried with a carry handle located on the cover 6.

각각의 경우, 고정 요소(8)들은 피벗 핀(10) 주위로 피벗회전될 수 있다. 고정 요소(8)들을 피벗회전 시키기 위하여, 커버(6)는 바닥면의 커버(6)의 에지(edge)에 위치된 작동 러그(18)와 함께 고정 요소(8)의 제1 단부에 위치된 각각의 작동 표면(12)으로 내려간다. 커버(6)를 하강 경로(lowering path)를 따라 더 내려서 수용 공간(16)에 위치되면, 각각의 작동 러그(18)는 수용 공간(16)에 배열된 고정 요소(8)의 작동 표면(12)을 누르게 된다. 고정 요소(8)의 제1 단부에서 작동 표면(12)의 하부방향 운동(downward movement)에 의해 상기 고정 요소는 피벗 핀(10) 주위로 피벗회전하며, 고정 요소의 제2 단부는 개방 위치로부터 피벗회전되어 고정 위치 방향으로 이동된다. 커버(6)가 작동 러그(18)와 함께 하강 경로를 따라 단부 위치에 도달하면, 피벗 축(10) 주위로의 각각의 피벗회전 운동에 의해, 고정 요소(8)들은 고정 위치로 이동되어 커버(6)가 우발적으로 베이스 부분(4)으로부터 들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In each case, the fastening elements 8 can be pivoted about the pivot pin 10. In order to pivot the stationary elements 8, the cover 6 is arranged on the first end of the stationary element 8 with an operating lug 18 located at the edge of the cover 6 of the bottom surface Down to their respective working surfaces 12. When the cover 6 is further lowered along the lowering path and is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16, each of the working lugs 18 has an operating surface 12 of the stationary element 8 arranged in the receiving space 16 ).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actuating surface 12 at the first end of the stationary element 8 causes the stationary element to pivot about the pivot pin 10 and the second end of the stationary element from the open position And is pivoted and moved in the fixed position direction. When the cover 6 reaches the end position along the downward path with the operating lug 18, the respective pivoting movement about the pivot axis 10 causes the stationary elements 8 to move to the fixed position, (6) is prevented from accidentally being lifted from the base portion (4).

커버(6)를 베이스 부분(4)으로부터 다시 탈착하려면(removed), 고정 요소(8)들은 그립 에지(20)에 그립되어(gripped) 반경 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끌어당겨야 한다. 따라서, 고정 요소(8)의 피벗회전 운동이 수행되면, 커버(6)는 제1 단부에 형성된 작동 표면(12)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고정 요소(8)를 고정 위치로부터 피벗회전 시킨 후에, 커버는 베이스 부분(4)으로 쉽게 탈착될 수 있다. When the cover 6 is removed again from the base portion 4, the locking elements 8 should be gripped on the grip edge 20 and pulled radially outward. The cover 6 is lifted by the working surface 12 formed at the first end and after pivoting the securing element 8 from the fixed position, The cover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base portion 4.

도 1의 대표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개별 제공 플레이트(22)가 실제 베이스 부분(4) 위에 위치된다. 제공 플레이트(22)는 베이스 부분(4)에 상관없이 제공 플레이트(22)에 위치된 음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 부분(4)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제공 플레이트(22)는 형태가 간단하고 베이스 부분(4)보다 시각적으로 더 수려하며, 고정 요소(8)들이 베이스 부분에 고정된다. 제공 플레이트(22)는 부가적인 기능 또는 장식 요소, 가령, 예를 들어,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인-몰드 라벨(in-mold label) 또는 표면 내의 절단 보조선(cutting aid line)을 가질 수 있다.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1, an additional individual providing plate 22 is located above the actual base portion 4. The providing plate 22 may be lifted from the base portion 4 to provide food located in the providing plate 22 regardless of the base portion 4. [ The providing plate 22 is simple in shape and visually stricter than the base portion 4, and the fastening elements 8 are fixed to the base portion. The providing plate 22 may have additional functionality or decorative elements, such as an in-mold label or a cutting aid line in the surface, for example, to increase visibility.

도 2에서, 음식 용기(2)는 닫힌 상태(closed state) 도시된다. 도 2에서, 고정 요소(8)들이 커버(6)의 하측 단부에서 칼라(collar) 형태의 에지를 외부로부터 둘러싸고 있음을 볼 수 있다. In Fig. 2, the food container 2 is shown in a closed state. In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fastening elements 8 surround the edge of the collar-shaped edge at the lower end of the cover 6 from the outside.

고정 기술(locking technology)의 세부 내용과 고정 과정(locking process)의 순서가 도 4-6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다. 도 4는 고정 요소(8)가 개방 위치에 있으며, 도 5에서는 고정 요소(8)가 피벗회전되어 중간 위치로 이동되고, 도 6에서 결국 고정 위치에 있는 것을 보여준다. The details of the locking technology and the order of the locking process are shown in th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s. 4-6. Figure 4 shows that the stationary element 8 is in the open position and in Figure 5 the stationary element 8 is pivotally rotated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and is finally in the stationary position in Figure 6. [

도 4의 확대도에서, 커버(6) 상의 작동 러그(18)는 고정 요소(8)의 작동 표면(12)에 작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작동 러그(18)의 형태는 특별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작동 러그(18)로서 커버(6)의 단일의 하측 주변 에지(peripheral edge)의 적절한 부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부분은 특별한 형태를 가질 필요도 없다. 피벗 핀(10)이 베이스 부분(4)에 고정되어 연결되는(fixedly connected) 반면, 클램프 형태의 횡단면을 가진 고정 요소(8)는 피벗 핀(10)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작동 러그(18)가 수용 공간(16) 내로 이동되는 하강 경로는 도 4에서 점선의 화살표로 표시된다. 도 4에 도시된 고정 과정의 시작 위치에서, 작동 러그(18)는 고정 요소(8)가 피벗 핀(10) 주위로 피벗회전하지 않고도 작동 표면(12)에 위치된다. 개방 위치에서, 고정 요소(18)의 고정 몸체(14)는 커버(6)로부터 이격된(remote) 한 위치로 피벗회전된다. In the enlarged view of Figure 4, it can be seen that the actuating lugs 18 on the cover 6 act on the actuating surface 12 of the stationary element 8. The shape of the working lug 18 may be specially form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uitable lower portion of the single lower peripheral edge of the cover 6 as the working lug 18, There is no need to have a special form. While the pivot pin 1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4, the clamping element 8 having a clamped cross-section can be rotated about the pivot pin 10. The descending path through which the operating lug 18 is moved into the receiving space 16 is indicated by the dotted arrow in Fig. 4, the actuating lug 18 is located on the actuating surface 12 without the pivoting of the securing element 8 about the pivot pin 10. In this way, In the open position, the fixed body 14 of the stationary element 18 is pivotally rotated to a position remote from the cover 6.

접촉 표면(26)들이 고정 요소(8)에 위치되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접촉 표면(26)들은 커버(6) 상에서 접촉 표면(28)들과 접촉될 수 있지만, 베이스 부분(4)의 디자인에 따라, 베이스 부분(4) 상에서 접촉 표면(30)들과 접촉할 수도 있다. The contact surfaces 26 are located in the stationary element 8 and the contact surfaces 26 in the fixed position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s 28 on the cover 6, And thus may contact the contact surfaces 30 on the base portion 4.

도 4-6에서, 작동 표면(12)으로서 형성된, 고정 요소(8)의 제1 단부는 수용 공간(16) 안으로 충분히 돌출되어, 수용 공간(16)에서 작동 러그(18)의 하강 경로에 도달된다. 도 5 및 6에서, 심지어 고정 위치에서, 작동 표면(12)은 수용 공간(16)에서 작동 러그(18)의 하강 경로에 결국 도달된다. 4-6, the first end of the fastening element 8, formed as the working surface 12, fully protrudes into the receiving space 16 and reaches the lowering path of the operating lug 18 in the receiving space 16 do. 5 and 6, even in the fixed position, the working surface 12 is eventually reached in the downward path of the operating lug 18 in the receiving space 16.

상기 고정 과정 동안, 고정 요소(8)의 제1 단부에서 작동 표면(12)이 회전되고 고정 요소(8)의 제2 단부에서는 고정 몸체(14)가 회전되는 회전 운동은, 도 1에서 원형의 원호 세그먼트(arc segment) 형태의 화살표로 표시된다. 작동 러그(18)가 수용 공간(16)으로 내려가는 동안, 작동 표면(12)은 실질적으로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며, 고정 몸체(14)는 횡방향 위치(lateral position)로부터 피벗 핀(10)에 대해 거의 피벗 핀(10) 위에 배열된 한 위치로 피벗회전된다. 작동 러그(18)의 하강 운동 및 그와 관련된 고정 요소(8)의 피벗회전은 도 4, 5 및 6에서 상응하는 요소들의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명확하게 비교할 수 있다. The rotational movement in which the working surface 12 is rotated at the first end of the stationary element 8 and the stationary body 14 is rotated at the second end of the stationary element 8, And is indicated by an arrow in the form of an arc segment. The actuating surface 12 is moved substantially downward while the actuating lug 18 is lowered into the receiving space 16 and the securing body 14 is moved from its lateral position against the pivot pin 10 And is pivotally rotated to a position arranged on the pivot pin (10).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actuating lug 18 and its associated pivoting of the stationary element 8 can be clearly compared by comparing the positions of the corresponding elements in Figures 4, 5 and 6.

도 6에서, 고정 위치에서, 고정 요소(8)는 외부로부터 제2 단부로 커버(6)의 하측 및 외부 에지를 둘러싸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몸체(1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6)의 외측 에지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는 고정 위치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6, in the fixed pos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ecuring element 8 surrounds the lower and outer edges of the cover 6 from the outside to the second end. In this case, the fixing body 14 is at least partly joined to the outer edge of the cover 6 so that the cover can not be moved upward from the fixed position.

고정 요소(8)가 도 6에 도시된 고정 위치로부터 다시 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립 에지(20)가 고정 요소(8)에 형성된다. 그립 에지(20)가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끌어 당겨지면, 고정 요소(8)는 개방 위치를 향해 다시 피벗회전된다. A grip edge 20 is formed in the stationary element 8 so that the stationary element 8 can be detached again from the stationary position shown in Fig. When the grip edge 20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6, the fixed element 8 is pivoted again toward the open position.

상기 대표 실시예에서, 래칭 러그(32)가 고정 요소(8)와 커버(6)에 위치되며, 상기 래칭 러그는 도 6에 도시된 고정 요소(8)에서 서로 결합된다.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the latching lugs 32 are located in the stationary element 8 and the cover 6, and the latching lug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stationary element 8 shown in Fig.

도 4-6에서, 상기 대표 실시예에서, 작동 러그(18)는, 하강 경로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 방향을 향하여 커버(6)의 하측 주변 에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돌출부(34)의 하측 단부이다. 게다가, 고정 영역에서 고정 요소(8)를 가진 커버(6)의 하측 주변 에지는 하강 경로에 대해 정확하게 또는 거의 완전히 횡단 방향(transverse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지지 돌출부(36)를 가진다. 도 6에서, 하강 경로에 대해 정확하게 또는 거의 완전히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돌출부(36)는 외부 방향을 향하는 전방 표면(38)을 가지는데, 상기 전방 표면(38)은 커버(6)의 고정 위치에서 베이스 부분(4)의 한 부분에 대해 접한다(abut). 전방 표면(38)이 접하는 베이스 부분(4)의 상기 부분은 피벗 핀(10)에 연결된다. 지지 돌출부(36)가 피벗 핀(10)의 영역에서 베이스 부분(4)의 한 부분에 대해 전방면(38)과 고정되어 지지되면(fixed bearing), 특히 안정적이며, 고정 요소(8)의 영역에서 커버(6)가 베이스 부분(4)과 고정 연결된다(fixed connection). In Figures 4-6,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the operating lug 18 includes a lower end 34 of the protrusion 34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downward path and extending downwardly away from the lower peripheral edge of the cover 6, to be. In addition, the lower peripheral edge of the cover 6 with the stationary element 8 in the fixed region has a support projection 36 that extends exactly or nearly complete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ownward path. 6, the support protrusion 36, which extends precisely or substantially completely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downward path, has an outwardly directed front surface 38, which is fixed to the fixed position of the cover 6 (Abut) against a portion of the base portion 4. Th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4 to which the front surface 38 abuts is connected to the pivot pin 10. It is particularly stable when the support projection 36 is fixedly secured to the front face 38 with respect to a portion of the base portion 4 in the region of the pivot pin 10, The cover 6 is fixedly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4.

또한, 접촉 표면(28)들은 지지 돌출부(36)의 상측면에 형성되며, 고정 요소(8)의 접촉 표면(26)들은 고정 위치에서 지지된다. The contact surfaces 28 are also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rojection 36 and the contact surfaces 26 of the stationary element 8 are supported in a fixed position.

도 1 및 3에서, 수용 공간(16)이 베이스 부분(4) 상에서 연장되는 고정 요소(8)들의 외부에 돌출부(34)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대표 실시예에서, 커버(6)의 고정 위치에서, 수용 공간(16)의 상기 영역에서 지지 돌출부(36)는 수용 공간(16)의 외측벽의 내측면(inner face)에 대해 각각의 전방면(front face)으로 지지된다. 추가로, 커버(6)의 고정 위치에서, 상기 영역에서 돌출부(34)는 수용 공간(16)의 베이스에 대해 하측면으로 지지된다. 커버(6)의 구성요소들이 베이스 부분(4)의 상응하는 표면들에 대해 다수로 지지되어, 각각의 부분들이 비틀림에 대해 견고하게 연결되며 매우 안정적이다. 1 and 3, a receiving space 16 is formed to receive a projection 34 on the exterior of stationary elements 8 extending over the base portion 4. [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in the fixed position of the cover 6, the support projection 36 in this region of the receiving space 16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face of the outer wall of the receiving space 16, and is supported by a front face. In addition, in the fixed position of the cover 6, the projections 34 in this region are supported on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base of the receiving space 16. [ The components of the cover 6 are supported in a number of ways relative to the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base portion 4 so that each portion is firmly connected to the twist and is very stable.

도 4-6에서, 고정 요소(8)는 래칭 장치(latching device)를 피벗회전 시킴으로써 피벗 핀(10)에 연결된 것을 볼 수 있다. 4-6, it can be seen that the locking element 8 is connected to the pivot pin 10 by pivoting the latching device.

위에서 기술된 대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기술하기 위한 한 예일 뿐이다. 본 발명은 상기 대표 실시예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을 실제로 실시하기 위하여 상기 대표 실시예를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appropriately in order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플레이트 형태의 베이스 부분(4)과 상기 베이스 부분(4)에 위치될 수 있는 커버(6)를 가지며, 고정된 피벗 핀(1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고정 요소(8)가 상기 베이스 부분(4)에 연결되고, 베이스 부분(4)과 커버(6)는 고정 요소(8)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는 휴대용 음식 용기(2)로서, 고정 요소(8)는 개방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에서 피벗 핀(10) 주위로 앞뒤로 피벗회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피벗 핀(10)은 고정 요소(8)의 단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피벗 핀(10)으로부터 이격된 각각의 고정 요소(8)의 제1 단부가 작동 표면(12)으로서 형성되고 맞은편에 있는 제2 단부가 고정 몸체(14)로서 형성되며, 제2 단부에 형성된 고정 몸체(14)와 함께 고정 위치에서 고정 요소(8)는 커버(6)가 베이스 부분(4)으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차단하며, 고정 요소(8)에 형성된 접촉 표면(26)을 통해, 고정 요소(8)는 고정 위치에서 커버(6) 상에서 상응하는 접촉 표면(28)과 논-포지티브 방식으로(non-positively) 및/또는 포지티브 방식으로(positively) 결합되는 휴대용 음식 용기(2)에 있어서,
각각의 고정 요소(8)의 작동 표면(12)은 베이스 부분(4)의 지지 표면을 향해 내부 방향을 향하는 피벗 핀(10)에 형성되며, 각각의 고정 요소(8)의 영역에서 적어도 베이스 부분(4)은 수용 공간(16)을 가지고, 베이스 쪽에 커버(6)의 에지에 형성된 하부 방향을 향하는 작동 러그(18)가 하강 경로를 따라 상기 수용 공간(16)으로 내려갈 수 있으며, 작동 표면(12)으로서 형성되는 각각의 고정 요소(8)의 제1 단부는 개방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수용 공간(16) 내로 충분히 돌출되어, 작동 러그(18)의 하강 경로를 따라 수용 공간(16)에 도달되고, 제1 단부는 피벗 핀(10) 주위로 피벗회전에 의해 개방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 뒤에, 작동 러그(18)는 작동 표면(12)과 부딪혀서, 작동 러그(18)가 하강 경로를 따라 계속하여 내려가게 되며, 레버 암으로서 제1 단부는 개방 위치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고정 위치로 이동되고, 각각의 고정 요소(8)의 제1 단부의 피벗회전 운동에 의해, 고정 요소(8)의 제2 단부는 개방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피벗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 용기(2).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element (8) having a base part (4) in the form of a plate and a cover (6) which can be placed on the base part (4) and which can be moved by a fixed pivot pin (10) Wherein the base part (4) and the cover (6) are connected together by means of a stationary element (8), the stationary element (8) Each pivot pin 10 can be pivoted back and forth around the pin 10 and each pivot pin 10 is positioned between the ends of the stationary element 8, The first end is formed as the working surface 12 and the second end opposite the second end is formed as the fixing body 14 and the fixing element 8 in the fixed position with the fixing body 14 formed at the second end The cover 6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ase portion 4 and the contact surface 26 formed in the fixing element 8 The stationary element 8 is mounted in the portable food container 2 which is non-positively and / or positively coupled with the corresponding contact surface 28 on the cover 6 in a fixed position, In this case,
The working surface 12 of each of the stationary elements 8 is formed in a pivot pin 10 facing inward towards the support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 and has at least a base portion (4) has a receiving space (16) in which a downwardly directed operating lug (18) formed on the edge of the cover (6) on the base side can descend into the receiving space (16) The first end of each of the fastening elements 8 formed as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elements 12 is sufficiently projec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6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fixed position to reach the receiving space 16 along the downward path of the operating lug 18 And the first end can be moved downward from the open position in the locked position by pivotal rotation about the pivot pin 10 and thereafter the working lug 18 collides against the working surface 12, (18) continues to descend along the descending path, The first end is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lower position and the second end of the stationary element 8 is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stationary position by the pivoting movement of the first end of each stationary element 8, (2). ≪ / RTI >
제1항에 있어서, 고정 위치에서 고정 요소(8)는 제2 단부로 외부로부터 커버(6)의 하측 및 외부 에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 용기(2). 2. Portable food container (2)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tionary element (8) in the fixed position surrounds the lower and outer edges of the cover (6) from the outside to the second en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그립 에지(20)가 각각의 고정 요소(8)의 제2 단부에 형성되고, 고정 요소(8)는 상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수동으로 고정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 용기(2). 3. A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a grip edge (20) is formed at the second end of each stationary element (8), the stationary element (8) (2). ≪ / RTI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칭 러그(32)가 접촉 표면(26, 28) 영역의 커버(6) 및/또는 고정 요소(8)에 형성되고 고정 요소(8)가 고정 위치로 피벗회전하면, 래칭 러그는 인접한 구성요소의 상응하는 래칭 러그(32)와 결합되고, 그 결과, 고정 요소(8)는 고정 위치에 포지티브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 용기(2). 4.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ing lugs (32) are formed in the cover (6) and / or the fixing element (8)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ing lug is engaged with a corresponding latching lug (32) of an adjacent component so that the locking element (8) is fixed in a positive position in a fixed position 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러그(18)는, 하강 경로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 방향을 향하여 커버(6)의 하측 주변 에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돌출부(34)로서 형성되며, 고정 영역에서 고정 요소(8)를 가진 커버(6)의 하측 주변 에지는 하강 경로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정확하게 연장되거나 또는 거의 완전히 연장되는 지지 돌출부(36)를 가지고, 베이스 부분(4)의 한 부분이 커버(6)의 고정 위치에서 외부 방향을 향하는 전방 표면에 대해 접하며, 베이스 부분(4)의 상기 부분은 베이스 부분의 상기 부분의 상측면에 형성된 접촉 표면(28)과 피벗 핀(10)에 연결되고, 고정 요소(8)의 접촉 표면(26)은 고정 위치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 용기(2). 5. A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ing lug (18) comprises a protrusion (34)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downward path and extending downwardly away from the lower peripheral edge of the cover And the lower peripheral edge of the cover 6 with the stationary element 8 in the fixed region has a support projection 36 which extends precisely or substantially complete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escending path, Th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4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28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the pivot pin 10) and the contact surface (26) of the stationary element (8) is supported in a fixed positio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공간(16)은 베이스 부분(4) 상에서 연장되는 고정 요소(8)들의 외부에 돌출부(34)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커버(6)의 고정 위치에서, 상기 영역에서 지지 돌출부(36)는 수용 공간(16)의 벽의 내측면에 대해 전방 표면으로 지지되고, 커버(6)의 고정 위치에서, 상기 영역에서 돌출부(34)는 수용 공간(16)의 베이스에 대해 하측면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 용기(2). 6. A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receiving space (16) is formed to receive a projection (34) on the exterior of the fixing elements (8) extending on the base part (4) In the fixed position of the cover 6, the support projection 36 is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of the receiving space 16, Is supported on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base of the space (1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8)는 각각의 고정 요소(8)에 형성된 피벗회전 래칭 장치에 의해 피벗 핀(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 용기(2). 7. Portabl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tionary element (8) is connected to the pivot pin (10) by means of a pivoting latching device formed in each stationary element (8) (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8)의 표면, 커버(6), 및/또는 베이스 부분(4)에는, 그립하기에 적합한 영역들에, 연성 플라스틱 재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 용기(2). 8. A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on the surface, cover (6) and / or base part (4) of the stationary element (8) (2). ≪ / RTI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분(4)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제공 플레이트(22)가 베이스 부분(4)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 용기(2). 9. Portable food container (2) according to any one of the claims 1 to 8, characterized in that a providing plate (22)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ase part (4) is located on top of the base part (4)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공 공간(24)이 제공 플레이트(22)와 베이스 부분(4)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 용기(2). 10. Portable food container (2) according to any one of the claims 1 to 9, characterized in that a hollow space (24) is formed between the providing plate (22) and the base part (4).
KR1020180012454A 2017-02-02 2018-01-31 Portable food container KR2018009020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54472.9 2017-02-02
EP17154472.9A EP3357378B1 (en) 2017-02-02 2017-02-02 Portable food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202A true KR20180090202A (en) 2018-08-10

Family

ID=5798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454A KR20180090202A (en) 2017-02-02 2018-01-31 Portable food container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213957A1 (en)
EP (1) EP3357378B1 (en)
KR (1) KR20180090202A (en)
ES (1) ES2732777T3 (en)
PL (1) PL3357378T3 (en)
RU (1) RU2018103942A (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285A (en) * 1894-02-06 Opener and handle for shoe-polish or other boxes
US1526457A (en) * 1925-02-17 Bather s waterproof case
US1018546A (en) * 1911-09-23 1912-02-27 Pius Bammer Lid-lifter.
US1541854A (en) * 1924-01-14 1925-06-16 Daniel E Salvucci Box with opening device
US2758458A (en) * 1954-05-14 1956-08-14 Otto W Jensen Birthday cake cover with base
US3511288A (en) * 1968-04-23 1970-05-12 Dart Ind Inc Container for pastries or the like and method of displaying pastry
US4206845A (en) * 1977-09-06 1980-06-10 Dart Industries Inc. Food container
DE19926477B4 (en) * 1999-06-10 2009-04-23 Leifheit Ag container
US20050000847A1 (en) * 2003-07-03 2005-01-06 Mcneeley Carolyn M. Baked goods container
JP4274199B2 (en) * 2006-05-24 2009-06-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Field element core
US7784633B2 (en) * 2007-04-23 2010-08-31 Ropak Corporation Container and lid and related method
DE202010001881U1 (en) 2010-02-04 2010-05-06 Gerhard Haas Kg Containers for food, in particular tarts
US8857209B2 (en) * 2011-03-03 2014-10-14 Junli Wang Apparatus for carrying/storing baked goods and the like
US8602256B2 (en) * 2011-03-28 2013-12-10 Yao-Hung Wang Quick open structure for a tool box
MX342088B (en) * 2011-04-18 2016-09-13 Wilton Ind Inc Food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7378B1 (en) 2019-04-24
ES2732777T3 (en) 2019-11-25
RU2018103942A (en) 2019-08-02
EP3357378A1 (en) 2018-08-08
PL3357378T3 (en) 2019-11-29
US20180213957A1 (en)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3343U (en) Suction cup lid
US7562838B2 (en) Food processor bowl and food processor
JP5033877B2 (en) Versatile closing device for vacuum vessels
US2016029708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assisting with slicing items
US9144337B2 (en) Spill proof container
US20210106161A1 (en) Automatic spill-proof lid
US5794999A (en) Pizza box carrier
JP2015527143A (en) Kitchen utensils placed in containers, kitchen utensils set with kitchen utensils and various functional units
KR20180090202A (en) Portable food container
JP2016055929A (en) Dispensing assembly
KR20140003532U (en) Locking structure of food packing case
US20150320236A1 (en) Disposable cup dispenser
EP3064096B1 (en) Butter dish with rotatable lid
KR101966174B1 (en) Slip expansion disposable spoon
CA2749773C (en) Container assembly with removable lid
KR102074893B1 (en) Container cover
KR20080004093U (en) Composite device for cutting fruit and vegetable
US20050077321A1 (en) Dispenser apparatus
GB2546973A (en) Utensil and method
JP4263230B2 (en) Container with cap
KR20230064058A (en) A Container with air-outlet
EP1424294A1 (en) Dispenser for sweets or tablets
CN108408240A (en) Portable food container
JP2023068771A (en) Attachment for food-serving robot
KR200274900Y1 (en) food vess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