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099A - 과충전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과충전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0099A KR20180090099A KR1020170015093A KR20170015093A KR20180090099A KR 20180090099 A KR20180090099 A KR 20180090099A KR 1020170015093 A KR1020170015093 A KR 1020170015093A KR 20170015093 A KR20170015093 A KR 20170015093A KR 20180090099 A KR20180090099 A KR 201800900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rt
- electrode
- pouch
- secondary battery
- lead
- Prior art date
Links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title description 5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923 metal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1 nickel metal hydrid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09 Chlorinated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Chemical compound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850 cellular structur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PZNSFCLAULLKQX-UHFFFAOYSA-N Boron nitride Chemical group N#B PZNSFCLAULLKQ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807 Urea-formaldehy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 XLYOFNOQVPJJNP-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13716 polyethyl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34 thermosetting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BGPNLPABVUVKZ-POTXQNELSA-N (1r,3as,4s,5ar,5br,7r,7ar,11ar,11br,13as,13br)-4,7-dihydroxy-3a,5a,5b,8,8,11a-hexamethyl-1-prop-1-en-2-yl-2,3,4,5,6,7,7a,10,11,11b,12,13,13a,13b-tetradecahydro-1h-cyclopenta[a]chrysen-9-one Chemical compound C([C@@]12C)CC(=O)C(C)(C)[C@@H]1[C@H](O)C[C@]([C@]1(C)C[C@@H]3O)(C)[C@@H]2CC[C@H]1[C@@H]1[C@]3(C)CC[C@H]1C(=C)C HBGPNLPABVUVKZ-POTXQNELSA-N 0.000 description 1
- QNRATNLHPGXHMA-XZHTYLCXSA-N (r)-(6-ethoxyquinolin-4-yl)-[(2s,4s,5r)-5-ethyl-1-azabicyclo[2.2.2]octan-2-yl]methanol;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H]([C@H](C1)CC)C2)CN1[C@@H]2[C@H](O)C1=CC=NC2=CC=C(OCC)C=C21 QNRATNLHPGXHMA-XZHTYLCXSA-N 0.000 description 1
- PFRGGOIBYLYVKM-UHFFFAOYSA-N 15alpha-hydroxylup-20(29)-en-3-one Natural products CC(=C)C1CCC2(C)CC(O)C3(C)C(CCC4C5(C)CCC(=O)C(C)(C)C5CCC34C)C12 PFRGGOIBYLYVK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570 Cupro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6077 MP3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OKRNBGSNZXYIO-UHFFFAOYSA-N Resinone Natural products CC(=C)C1CCC2(C)C(O)CC3(C)C(CCC4C5(C)CCC(=O)C(C)(C)C5CCC34C)C12 SOKRNBGSNZXY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74 Styrene-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MTAZNLWOLGHBHU-UHFFFAOYSA-N butadiene-styrene rubber Chemical compound C=CC=C.C=CC1=CC=CC=C1 MTAZNLWOLGHBH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YOCUPQPZWBBYIX-UHFFFAOYSA-N copper nickel Chemical compound [Ni].[Cu] YOCUPQPZWBBYI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87 electr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50 lithium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87 metal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16 photochemical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79 redox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756 respiratory electron transport ch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BMJWWWQQXIZIP-UHFFFAOYSA-N silicon carbide Chemical compound [Si+]#[C-] HBMJWWWQQXI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5 styrene 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plate-lik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 H01M2/34—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 H01M2/0267—
-
- H01M2/0275—
-
- H01M2/26—
-
- H01M2/345—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2—Constructional details of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형 전지셀의 비정상 상태에서 발생한 가스로 인한 스웰링 등의 부피 팽창 또는 과충전에 따른 전지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전극탭 및/또는 전극리드를 단락시키는 리드를 제공하기 위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 과충전뿐만 아니라 비정상 상태에서 발생하여 더 이상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추가로 복잡한 장치를 진행할 경우, 에너지 밀도가 낮아지는 것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충전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파우치형 전지셀의 비정상 상태에서 발생한 가스로 인한 스웰링 등의 부피 팽창 또는 과충전에 따른 전지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전극탭 및/또는 전극리드를 단락시키는 리드를 제공하기 위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의 종류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및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P-DVD, MP3P, 휴대폰, PDA, Portable Game Device, Power Tool 및 E-bike 등의 소형 제품 뿐 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고출력이 요구되는 대형제품과 잉여 발전 전력이나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력 저장 장치와 백업용 전력 저장 장치에도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의 리튬 금속 산화물로부터 리튬 이온이 음극의 흑연 전극으로 삽입(intercalation)되고 탈리(deintercalation)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충방전이 진행된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외부 충격에 의한 내부 단락, 과충전, 과방전 등에 의한 발열과 이로 인한 전해질 분해, 열폭주 현상 등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특히, 이차전지의 폭발은 여러 가지 원인에서 비롯되지만 전해질 분해에 따라 이차전지 내부의 기체 압력 증가도 하나의 원인이 된다. 구체적으로, 이차전지를 반복적으로 충·방전하면 전해질과 전극활물질에 의한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기체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한 기체는 이차전지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켜 부품간의 체결약화, 이차전지의 외부 케이스 파손, 보호회로의 조기 작동, 전극의 변형, 내부 단락, 폭발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배터리의 경우 과충전 상황시 배터리의 안전성을 위해 전자부품의 제어를 통해 과전류를 차단하여 과충전 상황을 억제한다. 이러한 방식이 배터리에 적용된 방식으로서 PCM(Protection Circuit Module) 등과 같은 보호회로 등을 예로 들수 있다. 하지만, PCM과 같은 과충전 보호회로가 적용되었다 하더라도 안전성이 충분히 담보되기 힘들고, 특히 파우치 타입 배터리에서는 파우치 셀의 스웰링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보다 강화된 보호회로구조가 적용될 필요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부품의 오작동 상황을 고려하여 과충전시 배터리가 열팽창하며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해 배터리의 직렬연결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기구적 전류 차단 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팩의 전류 차단 장치는 과충전 상황에서 발생하는 배터리의 팽창 압력만을 이용하여 배터리팩 기구물을 통해 배터리팩의 직렬 연결을 물리적으로 끊어 전류를 차단하는 방법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파우치형 전지의 부피 팽창을 매개로 전류를 끊을 수 있는 단락형성부를 제시된 바 없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29763호(2016.11.09)에서는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양극판, 세퍼레이터 및 음극판;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 각각의 일측에서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전극 탭; 및 상기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고, 정상적인 작동 조건하에서 상기 전극 탭과 전극 리드간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용접되어 있는 용접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비정상적인 작동 조건 하의 고온에서 상기 용접부에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파우치의 부피팽창을 매개로 전도성 접착제로 연결된 요철형의 2단 전극리드를 단선시키는 단락구조물에 대응되는 구성을 확인할 수 없다.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601123호(2016.03.08)에서는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밀봉에 의해 외부와 차단하고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있어서, 그의 일단이 상기 전극조립체와 연결되고, 상기 전극조립체로부터 돌출되고, 그의 타단이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제 1 전극리드, 및 상기 제 1 전극리드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외부까지 연장되어 노출되는 제 2 전극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리드와 상기 제 2 전극리드 사이를 결합하는 접착부가,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부에 존재하는 이차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파우치의 부피팽창을 매개로 전극탭과 전극리드를 단선시키는 단락형성부에 대응되는 구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614434호(2016.05.02)에서는 과전류 차단 기능을 갖는 배터리 셀로서, 전극조립체; 간극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금속 플레이트와 제2 금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와 제2 금속 플레이트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간극을 채우는 합금 브릿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조립체와 연결되는 전극 리드; 상기 전극 리드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셀 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 셀의 양 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셀의 외부 단락을 유도하는 CTR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합금 브릿지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제2 금속 플레이트와 비교하여 더 큰 전기저항을 가지며, 상기 셀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하는 배터리 셀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파우치의 부피팽창을 매개로 전도성 접착제로 연결된 2단 전극리드를 단선시키는 단락구조물에 대응되는 구성을 확인할 수 않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39590호(2012.12.27)에서는 150~300도의 융점을 가지며 주석(Sn)과 구리(Cu)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무연 솔더링 브릿지; 및 미세한 간극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상태로 상기 무연 솔더링 브릿지와 접합된 제1금속 플레이트 및 제2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부품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파우치의 부피팽창을 매개로 전도성 접착제로 연결된 2단 전극리드를 단선시키는 단락구조물에 대응되는 구성을 확인할 수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249128호(2011.12.08)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리드 도체와 상기 각 리드 도체의 대향단부 각각에서 길이 방향 바깥쪽으로 노치해서 형성된 한 쌍의 노치와 상기 한 쌍의 노치의 폭방향 양쪽에 위치하는 상기 리드 도체의 대향단부에 저융점 가용 합금을 용접해, 상기 한 쌍의 리드 도체를 접합하는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절결홈의 길이 방향의 크기가 상기 접합부의 길이 방향의 크기와 동등하게 설정해 있거나 또는 상기 접합부의 길이 방향의 크기보다 커지도록 설정해 있는 온도 퓨즈가 개시되어 있다. 파우치의 부피팽창을 매개로 전도성 접착제로 연결된 요철형 2단 전극리드를 단선시키는 단락구조물에 대응되는 구성을 확인할 수 않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74439호(2015.07.02)에서는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배터리 스택; 상기 배터리 스택의 셀 중 둘 이상의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단속수단이 구성된 세이프티 회로; 및 상기 세이프티 회로에 연결된 셀 사이에 마련되고, 셀 스웰링시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스위칭되도록 하는 스위칭수단이 구성된 폐쇄 회로;를 포함하고, 셀 스웰링 발생시 스위칭수단이 가압에 의해 ON 상태로 전환되어 세이프티 회로의 단속수단을 단락시키고, 스위칭수단을 통해 셀들 간의 통전이 이루어지며, 추가적인 셀 스웰링 발생시 스위칭수단이 OFF 상태로 전환되어 셀들 간의 통전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안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파우치의 부피팽창을 매개로 전도성 접착제로 연결된 요철형 2단 전극리드를 단선시키는 단락구조물에 대응되는 구성을 확인할 수 않다.
따라서 과충전 및 이상으로 인한 가스 발생 등의 비정상 상태와 같이 가스 발생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의 내부 압력 증가 및 부피팽창을 매개로 이차전지를 단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충전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기술은 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파우치형 전지셀의 비정상 상태에서 발생한 가스로 인한 스웰링 등의 부피 팽창 또는 과충전에 따른 전지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전극탭 및/또는 전극리드를 단락시키는 전극 단락 형성부를 포함하는 전극탭 및/또는 전극리드를 제공하기 위한 과충전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전지셀의 비정상상태에서 전류를 끊을 수 있는 추가적인 장치가 아닌 전지셀의 에너지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간단한 단락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추가적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극판, 분리막, 음극판, 전극탭 및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단위 셀 또는 2개 이상 적층된 셀 어셈블리가 파우치 케이스에 수용된 복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상기 2개 이상의 유닛이 연결된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는 파우치의 부피팽창 변형시 상기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를 단선시키는 단락형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락형성부는 상기 파우치의 부피팽창에 의한 형태 변형을 매개로 상기 2개 이상의 유닛으로 연결된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가 상기 단락형성부의 분리에 기인하여 단선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락형성부는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탭은 양극탭, 음극탭 또는 이들 둘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리드는 양극리드, 음극리드 또는 이들 둘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락형성부는 요(凹)유닛 및 철(凸)유닛의 결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락형성부의 요(凹)유닛 및 철(凸)유닛의 결합면에는 접착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 일면은 파우치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전도성 접착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금,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및 그 합금으로 된 금속 입자를 포함하거나 금,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및 그 합금으로 된 금속으로 표면이 코팅된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락형성부의 요철 단면은 사각형, 원형, 반구형, 마름모형, 사선형, 물결형, 지그재그형, 톱니형, 무정형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형태를 갖을 수 있다.
또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전자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력 저장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를 단선시키는 파우치의 부피팽창(Vshort) 조건은 상기 단락형성부의 일측면 길이를 L이라 할 때,
Vshort > L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를 단선시키는 파우치의 부피팽창(Vshort) 조건은 상기 단락형성부의 제1단락형성부접착층 및/또는 제2단락형성부접착층의 길이를 Tc라 할 때,
Vshort > Tc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충전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에 의하면, 과충전뿐만 아니라 비정상 상태에서 발생하여 더 이상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추가로 복잡한 장치를 진행할 경우, 에너지 밀도가 낮아지는 것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가스팽창을 매개로 전극탭 및/또는 전극리드를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기존 파우치형 전지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인 파우치형 전지셀이 가스발생으로 부피팽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락형성부가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락형성부가 양극탭을 단선시키는 것을 나타낸 단면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락형성부의 사시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단락형성부의 단면이다.
도 2는 예시적인 파우치형 전지셀이 가스발생으로 부피팽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락형성부가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락형성부가 양극탭을 단선시키는 것을 나타낸 단면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락형성부의 사시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단락형성부의 단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인 기존 파우치형 전지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먼저 활물질과 바인더 및 가소제를 혼합한 물질을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여 양극판과 음극판을 제조하고, 이를 세퍼레이터의 양측에 적층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전지셀을 형성한 다음에, 이 전지셀을 전지 케이스에 삽입하고 전해액 주입 후 밀봉함으로써 전지 팩을 완성하는 과정을 취한다.
통상적인 전극조립체(electrode assembly)에 연결되어 있는 전극리드(electrode lead)의 구조는 일단이 전극조립체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전지케이스(battery case)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의 주변에 존재하여 감싸고 있는 전지케이스가 전극리드가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부위에서 실란트에 의한 접착층에 의해 밀봉되는 전극리드의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전극조립체에는 전극탭이 구비된다. 전극조립체의 집전판은 전극활물질이 도포된 부분과 전극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말단 부분(이하, "무지부"라 약칭)으로 구성되고, 전극탭은 무지부를 재단하여 형성한 것이거나 무지부에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연결시킨 별도의 도전부재일 수 있다. 전극탭은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전극조립체에 나란히 형성되도록 단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고, 쌍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전극탭은 전지 내부와 외부의 전자 이동경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극리드는 이 전극탭과 스폿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된다. 전극리드는 양극 탭 및 음극 탭의 형성 위치에 따라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는 서로 그 재질이 다를 수 있다. 즉, 양극 리드는 양극 판과 동일한 알루미늄(Al) 재질이며, 음극 리드는 음극 판과 동일한 구리(Cu) 재질 또는 니켈(Ni)이 코팅된 구리 재질일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전극리드는 단자부를 통하여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파우치 외장재는 전극리드의 일부, 즉 단자부가 노출되도록 전극조립체를 수용하여 밀봉한다. 전극리드와 파우치 외장재 사이에는 앞서 설명한 실런트 등이 접착층이 개재된다. 파우치 외장재는 테두리에 실링 영역을 구비하고, 전극리드의 수평슬릿은 실링 영역으로부터 접합부 쪽으로 이격되어 있다. 즉, 전극리드가 반전된 T자 형상일 때에, T자의 다리 부분이 파우치 외장재 외측으로 돌출되고 T자의 머리 부분 일부가 실링 영역 내에 형성된다.
보통 양극 집전판으로는 알루미늄 재질을, 음극 집전판으로는 구리 재질을 사용하는데, 스웰링 현상 발생시 알루미늄 호일보다는 구리 호일이 더 쉽게 파열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양극 리드보다는 음극 리드의 파열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음극 리드를 이러한 파단 가능한 전극리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차전지의 정상 상태에서는 상기 접착층에 의해 전극조립체가 외부와 차단되어 있으며, 과충전, 고온 등과 같은 원인에 의해 전지 내부의 압력 상승시에는 전지케이스의 팽창이 유발될 것이지만 단지 전지케이스의 약한 부위 또는 다른 구성요소의 약한 접합 부위가 파열되어 전지 내부의 기체가 배기될 것이다.
그러나, 전지로부터의 전류는 전극조립체와 전극리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전류는 계속적으로 흐를 것이므로 여전히 전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란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차전지에 주입되는 전해질의 양을 조정하거나 또는 전류차단부재(CID)의 단락 압력을 조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과충전시 전지의 안전성이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과충전시 전지의 안전성과 고온 환경에서 전지를 사용함에 따른 사용 안정성을 동시에 해결하기는 용이치 않다.
(비교예)
도 2는 예시적인 파우치형 전지셀이 가스발생으로 부피팽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파우치는 가스 배리어층(gas barrier layer)과 실란트층(sealant layer)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스 배리어층 상에 형성된 최외층으로서 표면 보호층을 더 포함하기도 한다. 상기 가스 배리어층은 가스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주로 알루미늄 박막(Al foil)이 사용된다. 상기 실란트층은 최내층에 위치하여 내용물, 즉 셀과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표면 보호층은 내마모성 및 내열성 등을 고려하여 주로 나일론(Nylon) 수지가 사용된다. 상기 파우치는 위와 같은 적층 구조의 필름이 주머니 형태로 가공되어 제조되며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separator) 등의 셀 구성 요소가 전해액에 함침된 다음 내장된다. 이와 같이 셀 구성 요소가 내장된 다음, 파우치의 입구에서 실란트층끼리 열접착되어 실링된다. 이때, 실란트층은 셀 구성 요소와 접촉되므로 절연성과 함께 내전해액성 등을 가져야 하며, 또한 외부와의 밀폐를 위해 높은 실링성을 가져야 한다. 즉, 실란트층끼리 열접착된 실링 부위는 우수한 열접착 강도를 가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실란트층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사용된다. 특히, 폴리프로필렌(PP)은 인장강도, 강성, 표면경도, 내충격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과 내전해액성 등이 뛰어나 파우치의 실란트층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폭발 위험성에 대한 안정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셀에서는 전기를 생성/방출(충전/방전)하는 과정(산화환원 반응 등)에서 열과 압력을 발생하는데, 이때 셀 내부의 이상 반응에 의한 과충전이나 쇼트 등의 이유로 높은 열과 압력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은 열과 압력으로 폭발할 수 있는데,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위와 같은 폭발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지 못하여 폭발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락형성부가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도면이다.
양극판, 분리막, 음극판, 전극탭 및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단위 셀 또는 2개 이상 적층된 셀 어셈블리가 파우치 케이스에 수용된 복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상기 2개 이상의 유닛이 연결된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는 파우치의 부피팽창 변형시 상기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를 단선시키는 단락형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단위 셀은 단 셀을 의미한다.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절연테이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테이프는 전극탭이 파우치와 접촉하는 소정위치에 부착되어 파우치와 전극탭 사이를 절연시키면서 실링하게 된다. 상기 파우치는 실링 과정에서 전극탭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게 되므로 파우치막의 캐스티드 폴리프로필렌(Casted Polypropylene ; CPP)층의 손상가능성이 증대된다. 따라서, 상기 파우치가 가열 가압 상태에서 융착되어 밀봉될 때, 절연테이프의 내층은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을 부여하여 절연테이프의 형상이 유지하여 파우치와 전극탭과의 전기적 절연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절열테이브의 내층은 파우치의 알루미늄 박막이 밀봉과정에서 일부 노출되더라도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성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절연테이브의 외층은 가열 가압 상태에서 일부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파우치와 전극탭 사이에서 접착력을 부여하여 실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상기 파우치의 실링 과정에서 가열 가압에 의하여 파우치의 캐스티드 폴리프로필렌(Casted Polypropylene ; CPP)층이 변형되어 알루미늄 박막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더라도 실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락형성부가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캔형 이차전지의 CID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단락형성부는 상기 파우치의 부피팽창에 의한 형태 변형을 매개로 상기 2개 이상의 유닛으로 연결된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가 상기 단락형성부의 분리에 기인하여 단선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락형성부는 상기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를 단선시킬 수 있다면 그 유닛의 결합 형태 및 개수에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단락형성부는 2개 이상으로 연결된 상기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락형성부의 재질은 상기 전극탭 및/또는 전극리드를 단락시킬 수 있다면 그 재질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수지, 무기질,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락형성부는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과충전 또는 비정상상태의 파우치형 전지의 단락을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극리드상에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형 전지의 비정상적 팽창을 매개로 단락형성부가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을 물리적으로 그 구조체를 절단시키는 것이므로 복수의 단락형성부가 형성되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락형성부가 양극탭을 단선시키는 것을 나타낸 단면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락형성부의 사시도면이다.또한, 상기 전극탭은 양극탭, 음극탭 또는 이들 둘 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락형성부는 요(凹)유닛 및 철(凸)유닛의 결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락형성부의 구성유닛은 비정상상태의 파우치형 전지의 부피팽창을 매개로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을 물리적으로 절단시키는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의 결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이 요철형태로 결합하는 형태가 적절하다. 상기 단락형성부의 구성유닛이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부피팽창을 매개로 분리되면서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을 물리적으로 절단시키는 목적을 달성하여 파우치형 전지에 전류가 통전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 일면은 파우치와 접할 수 있다.
상기 단락형성부가 측면이 정상상태의 상기 파우치형 전지의 일면에 접하지 않는다면, 비정상상태의 파우치형 전지의 부피팽창을 매개로 2개 이상의 유닛으로 구성된 상기 단락형성부의 분리 효과는 적절히 발휘될 수 없다.
또한, 상기 단락형성부의 요(凹)유닛 및 철(凸)유닛의 결합면에는 접착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전도성 접착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금,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및 그 합금으로 된 금속 입자를 포함하거나 금,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및 그 합금으로 된 금속으로 표면이 코팅된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상기 접착층의 고분자 수지부는 전기 절연성을 지니는 열가소성, 열경화성, 광경화형 수지를 사용하고, 그 예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 수지, 스티렌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페놀 수지, 아미드계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그 변성 수지들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고분자 수지 중 열가소성 수지는 필름 형성을 지지해주는 매트릭스 역할의 엘라스토머이고, 연화점이 약 100 ~ 180 ℃ 인 것이 바람직하며, 고분자 수지의 전체 부분 중 20 ~ 80 부피 %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접착층에는 도전성 입자가 사용된다.
상기의 도전성 입자의 직경은 4 ~ 30 ㎛이고, 금,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및 그 합금으로 된 금속 입자이거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수지 및 그 변성 수지를 입자로 하여 그 표면을 금,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박막 코팅한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은 열전도성 접착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성 접착층의 두께를 50 내지 200 ㎛로 구현된다.
상기 열전도성 접착층은 세라믹 분말이 고분자 수지 상에 분산된 혼합물로 제조되며, 상기 혼합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세라믹 분말을 30 내지 70 중량%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상기 혼합물은 총 중량% 기준 50 중량% 내외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세라믹 분말은 질화붕소(BN), 산화알미늄(Al2O3), 탄화규소(SiC), 산화마그네슘(MgO), 수산화알미늄(Al(OH)3) 및 수산화마그네슘(Mg(OH)2)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상기 세라믹 분말로 질화붕소(BN)를 선택한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로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수지, CPE(Chlorinated Polyethylene) 수지, 실리콘, 폴리우레탄,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수지 및 불포화에스테르 수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로 아크릴 수지를 사용한다.
상기 열전도성 접착층은 접착성 시트, 상기 접착성 시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리 시트, 상기 구리 시트 상부에 위치하는 세라믹 분말이 고분자 수지 상에 분산된 혼합물로 제조된 세라믹층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접착성 시트는 고분자 수지로,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수지, CPE(Chlorinated Polyethylene) 수지, 실리콘, 폴리우레탄,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및 불포화에스테르 수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착성 시트는 편상(Flake)의 금속 분말이 고분자 수지 상에 분산되어 있으며, 상기 편상의 금속 분말은 구리(Cu), 은(Ag), 은코팅 구리(Ag coated Cu) 및 은코팅 니켈(Ag coated Ni)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단락형성부의 요철 단면은 사각형, 원형, 반구형, 마름모형, 사선형, 물결형, 지그재그형, 톱니형, 무정형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형태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와 접하는 상기 절단층의 단면은 사각형, 원형, 반구형, 마름모형, 사선형, 물결형, 지그재그형, 톱니형, 무정형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형태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을 물리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면 그 절단층의 단면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절단층의 최외각의 두께는 상기 절단층이 상기 단락형성부가 접하는 면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층의 최외각 단면은 삼각형 형태 일 수 있다.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을 물리적으로 끊을 수 있다면 상기 최외각 단면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락형성부가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락형성부가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락형성부가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락형성부가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를 단선시키는 파우치의 부피팽창(Vshort) 조건은 상기 단락형성부의 일측면 길이를 L이라 할 때,
Vshort > L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여기서, Vshort는 상기 단락형성부가 정상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리드와 제2리드가 분리되면서 일측면의 길이가 늘어나는 상태로 정의하여 상기 조건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바람직하게는 Vshort > 2L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를 단선시키는 파우치의 부피팽창(Vshort) 조건은 상기 단락형성부의 제1단락형성부접착층 및/또는 제2단락형성부접착층의 길이를 Tc라 할 때,
Vshort > Tc
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여기서, Vshort는 상기 단락형성부가 정상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단락형성부의 제1단락형성부접착층 및/또는 제2단락형성부접착층의 길이가 늘어나는 상태로 정의하여 상기 조건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상기 단락형성부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실링 영역 내에 형성된다. 상부파우치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착층은 실링 영역과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 부분에 형성되고, 하부파우치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착층은 실링 영역과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 부분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차전지의 실링 영역에 형성된 단락형성부는 이차전지 내압 상승시 파우치 외장재의 변형력이 파우치 상면 및 하면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2개이상의 유닛으로 구성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된 단락형성부가 분리되면서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이 절단 될 수 있다.
파단 가능한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에 모두 적용할 수 있지만 둘 중 하나에 적용하여도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 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지셀
110 : 상부파우치
120 : 전극조립체
121 : 양극탭
122 : 음극탭
123 : 절연테이프
124 : 양극리드
124a : 제1양극리드
124b : 제2양극리드
125 : 음극리드
126 : 양극단락형성부
127 : 음극단락형성부
128 : 단락형성부접착층
128a : 제1단락형성부접착층
128b : 제2단락형성부접착층
130 : 하부파우치
110 : 상부파우치
120 : 전극조립체
121 : 양극탭
122 : 음극탭
123 : 절연테이프
124 : 양극리드
124a : 제1양극리드
124b : 제2양극리드
125 : 음극리드
126 : 양극단락형성부
127 : 음극단락형성부
128 : 단락형성부접착층
128a : 제1단락형성부접착층
128b : 제2단락형성부접착층
130 : 하부파우치
Claims (15)
- 양극판, 분리막, 음극판, 전극탭 및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단위 셀 또는 2개 이상 적층된 셀 어셈블리가 파우치 케이스에 수용된 복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상기 2개 이상의 유닛이 연결된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는 파우치의 부피팽창 변형시 상기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를 단선시키는 단락형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형성부는 상기 파우치의 부피팽창에 의한 형태 변형을 매개로 상기 2개 이상의 유닛으로 연결된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가 상기 단락형성부의 분리에 기인하여 단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형성부는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은 양극탭, 음극탭 또는 이들 둘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리드는 양극리드, 음극리드 또는 이들 둘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형성부는 요(凹)유닛 및 철(凸)유닛의 결합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형성부의 요(凹)유닛 및 철(凸)유닛의 결합면에는 접착층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 상기 전극리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전극리드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 일면은 파우치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전도성 접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금,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및 그 합금으로 된 금속 입자를 포함하거나 금,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및 그 합금으로 된 금속으로 표면이 코팅된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형성부의 요철 단면은 사각형, 원형, 반구형, 마름모형, 사선형, 물결형, 지그재그형, 톱니형, 무정형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전자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력 저장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를 단선시키는 파우치의 부피팽창(Vshort) 조건은 상기 단락형성부의 일측면 길이를 L이라 할 때,
Vshort > L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 및/또는 상기 전극리드를 단선시키는 파우치의 부피팽창(Vshort) 조건은 상기 단락형성부의 제1단락형성부접착층 및/또는 제2단락형성부접착층의 길이를 Tc라 할 때,
Vshort > Tc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5093A KR102080017B1 (ko) | 2017-02-02 | 2017-02-02 | 과충전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US15/883,545 US10693177B2 (en) | 2017-02-02 | 2018-01-30 | Lead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excellent stability against overcharge and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5093A KR102080017B1 (ko) | 2017-02-02 | 2017-02-02 | 과충전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0099A true KR20180090099A (ko) | 2018-08-10 |
KR102080017B1 KR102080017B1 (ko) | 2020-02-21 |
Family
ID=62980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5093A KR102080017B1 (ko) | 2017-02-02 | 2017-02-02 | 과충전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693177B2 (ko) |
KR (1) | KR10208001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7337A (ko) * | 2018-09-04 | 2020-03-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홈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
WO2021162288A1 (ko) * | 2020-02-10 | 2021-08-1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접착부 및 스팟 용접으로 결합된 전극리드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3898B1 (ko) * | 2018-11-12 | 2022-09-1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과충전 방지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충전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
GB2589073A (en) * | 2019-11-05 | 2021-05-26 | Dyson Technology Ltd | Battery pack |
CN113363684B (zh) * | 2021-05-31 | 2022-07-12 |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 电池组及用电设备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49128A (ja) | 2010-05-26 | 2011-12-08 | Uchihashi Estec Co Ltd | 温度ヒューズおよび温度ヒューズの製造方法 |
KR20120139590A (ko) | 2011-06-17 | 2012-12-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부품을 사용하여 제조된 이차전지와 멀티 전지 시스템 |
KR20130076873A (ko) * | 2010-10-13 | 2013-07-08 | 헤레우스 머티어리얼즈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 회전 대칭 굽힘 모멘트를 갖는 스프링 지지체 상의 귀금속을 함유하는 접촉 부재 |
US20140205895A1 (en) * | 2013-01-21 | 2014-07-24 | Robert Bosch Gmbh | Rechargeable battery |
KR20140139793A (ko) * | 2013-05-28 | 2014-12-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서로 탈착 가능한 2개의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20150074439A (ko) | 2013-12-24 | 2015-07-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배터리 과충전 안전 장치 |
KR101614434B1 (ko) | 2012-08-31 | 2016-05-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셀 |
KR20160049889A (ko) * | 2014-10-28 | 2016-05-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60129763A (ko) | 2015-04-30 | 2016-11-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바이메탈 탭을 이용하여 안전성을 개선시킨 리튬 이차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995581B2 (ja) * | 2012-07-25 | 2016-09-21 | イビデン株式会社 | 成形型、袋状体、及び黒鉛材料の製造方法 |
-
2017
- 2017-02-02 KR KR1020170015093A patent/KR10208001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1-30 US US15/883,545 patent/US1069317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49128A (ja) | 2010-05-26 | 2011-12-08 | Uchihashi Estec Co Ltd | 温度ヒューズおよび温度ヒューズの製造方法 |
KR20130076873A (ko) * | 2010-10-13 | 2013-07-08 | 헤레우스 머티어리얼즈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 회전 대칭 굽힘 모멘트를 갖는 스프링 지지체 상의 귀금속을 함유하는 접촉 부재 |
KR20120139590A (ko) | 2011-06-17 | 2012-12-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부품을 사용하여 제조된 이차전지와 멀티 전지 시스템 |
KR101614434B1 (ko) | 2012-08-31 | 2016-05-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셀 |
US20140205895A1 (en) * | 2013-01-21 | 2014-07-24 | Robert Bosch Gmbh | Rechargeable battery |
KR20140139793A (ko) * | 2013-05-28 | 2014-12-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서로 탈착 가능한 2개의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101601123B1 (ko) | 2013-05-28 | 2016-03-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서로 탈착 가능한 2개의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20150074439A (ko) | 2013-12-24 | 2015-07-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배터리 과충전 안전 장치 |
KR20160049889A (ko) * | 2014-10-28 | 2016-05-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60129763A (ko) | 2015-04-30 | 2016-11-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바이메탈 탭을 이용하여 안전성을 개선시킨 리튬 이차전지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7337A (ko) * | 2018-09-04 | 2020-03-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홈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
WO2021162288A1 (ko) * | 2020-02-10 | 2021-08-1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접착부 및 스팟 용접으로 결합된 전극리드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693177B2 (en) | 2020-06-23 |
KR102080017B1 (ko) | 2020-02-21 |
US20180219246A1 (en) | 2018-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29527B2 (ja) | 安全性を改良したバッテリーセル | |
US10693177B2 (en) | Lead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excellent stability against overcharge and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CN110114912B (zh) | 具有连接器断开装置的电池模块 | |
KR102292159B1 (ko) | 전도성 폴리머를 이용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
CN106654137B (zh) | 蓄电池单元 | |
KR20060116424A (ko) |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중대형 전지팩 | |
US10340503B2 (en) | Pouch-shape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electrode lead having notch formed therein | |
KR20140141262A (ko) | 이차전지 및 이에 적용되는 전극 리드 조립체 | |
KR101459179B1 (ko) | 파우치형 이차 전지 | |
US10644345B2 (en) | Short circuiting structur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excellent stability against overcharge and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 comprising the same | |
KR102185959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셀 | |
KR101520152B1 (ko) | 파우치형 이차전지 | |
KR101472202B1 (ko) |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형 이차 전지 | |
US10535859B2 (en) | Pouch-shape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micro-perforated electrode lead having adhesive properties | |
CN111180798B (zh) | 电芯 | |
KR102295034B1 (ko) | 외력특성을 갖는 리드날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
KR102294996B1 (ko) | 전도성 튜브를 이용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KR100803434B1 (ko) | 전지캡에 장착 가능한 보호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 |
CN113692673A (zh) | 汇流条模块及其制造方法 | |
KR102285645B1 (ko) | 스위치형 cid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KR20210101520A (ko) | 접착부 및 스팟 용접으로 결합된 전극리드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