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056A -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056A
KR20180090056A KR1020170014982A KR20170014982A KR20180090056A KR 20180090056 A KR20180090056 A KR 20180090056A KR 1020170014982 A KR1020170014982 A KR 1020170014982A KR 20170014982 A KR20170014982 A KR 20170014982A KR 20180090056 A KR20180090056 A KR 20180090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refrigerant
console
machine room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801B1 (ko
Inventor
정원영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014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801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880009602.XA priority patent/CN110290975B/zh
Priority to PCT/KR2018/001387 priority patent/WO2018143693A1/en
Priority to US16/482,393 priority patent/US11572003B2/en
Priority to RU2020140159A priority patent/RU2768065C2/ru
Priority to EP18747553.8A priority patent/EP3576980A4/en
Priority to AU2018215766A priority patent/AU2018215766B2/en
Priority to RU2019127179A priority patent/RU2738284C1/ru
Publication of KR20180090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056A/ko
Priority to AU2021269421A priority patent/AU2021269421B2/en
Priority to US18/089,882 priority patent/US11993191B2/en
Priority to KR1020240050114A priority patent/KR20240054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장고에는,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상면를 개폐하는 도어; 캐비티의 옆쪽에 놓이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에 수용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기계실에 수용되어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모듈; 상기 응축모듈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밸브;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어 냉매를 증발하여 상기 캐비티를 냉각시키는 증발모듈; 및 상기 캐비티의 상단부와 상기 증발모듈의 상단부를 덮고, 상기 도어의 힌지축을 지지하는 힌지부 단열재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refrigerator for vehicle, an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에 대한 것이다.
냉장고는,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 등의 물품을, 영하를 포함하는 저온의 온도로 보관하는 장치이다. 이 작용으로서 사용자의 물품에 대한 취감을 증진하거나 물품의 보관기간을 길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냉장고로는, 상용 전원을 사용하는 건물 내부용 또는 휴대 전원을 사용하는 야외용이 있다. 이와 함께 근래에는 차량에 고정형으로 탑재한 후 사용하는 차량용 냉장고의 보급도 늘고 있다. 상기 차량용 냉장고는 차량의 보급증가 및 프리미엄급 차량의 증가로 인하여 그 수요가 더욱 늘어나고 있다.
상기 차량용 냉장고의 종래 형태를 소개한다.
먼저,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고내의 열을 고외의 강제로 배출하는 예가 있다. 그러나, 열전소자의 낮은 열효율로 인하여 냉각속도가 늦어 사용자의 만족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차량 실내 전체를 공조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공조시스템로부터 냉매 또는 냉기를 끌어와서 차량용 냉장고의 냉각원으로 사용하는 예가 있다.
본 예에서는 차량의 공조시스템으로부터 공기나 냉매를 끌어오기 위하여 공기나 냉매의 별도 유동경로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동경로의 이동 중에 저온 에너지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들 문제점으로 인하여 차량용 냉장고를 설치할 수 있는 위치도 차량 공조시스템과 인접하는 위치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예로 냉매를 이용하는 냉동사이클을 적용하는 예가 있다.
이 예에서는, 상기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트렁크에 대부분의 부품을 탑재하고 냉장고의 도어 만을 차량 내부로 개방하는 구성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에는 차량용 냉장고를 설치할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렁크의 부피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트렁크의 내부에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양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
본 발명은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면서 운전자의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고내 용량을 크게 하는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고내의 수용물품이 늦게 냉각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장고에는,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상면를 개폐하는 도어; 캐비티의 옆쪽에 놓이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에 수용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기계실에 수용되어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모듈; 상기 응축모듈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밸브;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어 냉매를 증발하여 상기 캐비티를 냉각시키는 증발모듈; 및 상기 캐비티의 상단부와 상기 증발모듈의 상단부를 덮고, 상기 도어의 힌지축을 지지하는 힌지부 단열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체가 사용되는 차량용 냉장고의 캐티비의 내부에 대한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차량의 콜솔을 확대하는 사시도.
도 3은 차량용 냉장고의 대략적인 내부를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차량용 냉장고의 기계실 외부의 공기유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힌지부 단열재의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힌지부 단열재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및 좌측면도.
도 10은 증발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진공단열체의 내부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12는 전도저항쉬트 및 그 주변부의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13은 서포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배기하는 공정을 시간과 압력으로 관찰하는 그래프.
도 14는 진공압과 가스전도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이하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같은 구성요소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도면에도 같은 도면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각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운전자가 바라보는 정면이 아니라, 차량의 앞쪽에서 차량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 쪽이 우측이 되고 보조 운전자 쪽이 좌측이 된다.
도 1은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2)이 마련된다. 상기 좌석(2)은 좌우측으로 서로 이격되고 적어도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좌석(2)의 사이에는 콘솔(console)이 제공되고, 운전자가 운전에 필요한 물품을 두거나 차량의 조작에 필요한 부품이 놓인다. 상기 좌석(2)으로는 운전자 및 보조 운전자가 앉을 수 있는 앞좌석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퀴와 같은 이동장치와, 엔진과 같은 구동장치와, 핸들과 같은 조향장치와 같은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다양한 구성요소 들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의 차량용 냉장고는 상기 콘솔에 바람직하게 놓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뒷좌석 사이공간, 도어, 글로브박스, 및 센터페시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실시예의 차량용 냉장고는 전원만이 공급되고, 최소한의 공간이 확보되면 설치될 수 있는 것이 그 일요인이 된다. 그러나, 차량의 설계상 제약으로 인하여 공간이 제한되는 좌석 사이의 콘솔에도 설치될 수 있는 것이 실시예의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도 2는 차량의 콘솔을 확대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솔(3)은 수지 등을 재질로 하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콘솔(3)의 하측에는 철제 프레임(98)이 더 제공되어 차량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센서 등과 같은 센서 부품(99)이 콘솔(3)과 상기 철제 프레임(98)의 사이 간격부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센서 부품(99)은 정확한 외부신호의 센싱 및 운전자의 위치에서의 신호 측정이 필요한 부품이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생명에 직결되는 에어백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콘솔(3)은 내부의 내부에 콘솔공간(4)을 가지고, 상기 콘솔공간(4)은 콘솔커버(300)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상기 콘솔커버(300)는 콘솔(3)에 고정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콘솔커버(300)를 통하여 콘솔 내부로 들어가기가 어렵다. 상기 콘솔공간(4)의 내부에는 차량용 냉장고(7)가 안착된다.
상기 콘솔(3)의 우측면에는 흡기구(5)가 마련되어 차량내부의 공기가 콘솔공간(4)의 안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기구(5)는 운전자 측을 바라볼 수 있다. 상기 콘솔(3)의 좌측면에는 배기구(6)가 마련되어 콘솔공간(4)의 내부에서 차량용 냉장고의 동작 중에 더워진 공기가 배기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6)는 보조운전자 측을 바라볼 수 있다. 상기 흡기구(5) 및 상기 배기구(6)에는 그릴이 제공되어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기가 어렵게 하여 안전하게 하고, 위로부터 낙하한 물건이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배기되는 바람의 방향을 하방으로 하여 사람에게 직접 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차량용 냉장고의 대략적인 내부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냉장고(7)에는, 부품을 지지하는 냉장고 바닥 프레임(8), 상기 냉장고 바닥 프레임(8)의 좌측에 제공되는 기계실(200), 및 상기 냉장고 바닥 프레임(8)의 우측에 제공되는 캐비티(100)가 포함된다. 상기 기계실(200)은 기계실 커버(700)에 의해서 덮일 수 있고, 상기 캐비티(100)의 상측은 콘솔커버(300) 및 도어(800)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700)는, 냉각공기의 유로를 안내하는 것과 함께 기계실 내부로의 이물질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700)의 상측에는 제어기(900)가 놓여, 차량용 냉장고(7)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900)가 상기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차량용 냉장고(7)가 콘솔공간(4)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적정한 온도범위에서 문제없이 동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기(900)는, 상기 기계실 커버(700)와 콘솔커버(300) 사이 간격을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고, 기계실 커버(700)에서 의해서 기계실(200)의 내부 공간과는 분리되기 때문에 기계실(200) 내부의 열이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콘솔커버(300)는 콘솔공간(4) 상부의 개구된 부분을 차폐할 뿐만 아니라, 캐비티(100)의 상측 테두리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100)로의 물품 취출을 허용하는 개구를 사용자가 차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콘솔커버(300)에는 도어(8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800)는 상기 콘솔커버(300) 및 캐비티(100)의 뒷 부분을 힌지점으로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콘솔커버(300)와 도어(800)와 캐비티(100)의 개구는 사용자가 볼 때 수평으로 놓이고 콘솔의 뒷부분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도어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0)의 내부에는, 냉각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서 응축모듈(500)과 드라이어(630)와 압축기(201)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는 냉매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냉매관로(600)가 마련된다. 상기 냉매관로(600)의 중의 어느 하나는 상기 캐비티(100)의 안으로 연장되어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냉매관로(600)는 상기 캐비티의 물품 취출을 허용하는 상부 개구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100)의 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100)는 상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다섯면은 진공단열체(101)에 의해서 막혀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진공단열체(101)에는, 저온의 캐비티(100) 내부공간의 경계를 제공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고온의 외부공간의 경계를 제공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20)가 포함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전도를 막는 전도저항쉬트(6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진공단열체(101)는 얇은 단열 두께로 최대의 단열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큰 용적의 캐비티(100)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진공단열체(101)의 내부 공간에 대한 배기 및 진공상태의 유지를 위한 게터의 설치를 위한 배기 및 게터포크(40)가 일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기 및 게터포트(40)는 배기 및 게터(getter)를 함께 제공하여 차량용 냉장고(7)의 소형화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에는 증발모듈(400)이 설치되고, 상기 증발모듈(400)은 상기 냉매관로(600)를 통하여 캐비티(100)의 내부로 유입된 냉매의 증발열을 캐비티(100) 내부로 강제로 송풍할 수 있다. 증발모듈은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에서 뒷부분에 놓일 수 있다.
도 4는 차량용 냉장고의 기계실 외부의 공기유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흡기구(5)로 유입된 공기는 캐비티(100)의 전면벽을 이루는 진공단열체(101)와 콘솔공간(4)의 전면 사이 간격을 통하여 차량용 냉장고의 좌측부로 이동한다. 차량용 냉장고의 우측부는 발열원이 없으므로 흡기된 공기는 원래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차량용 냉장고의 좌측부로 이동한 공기는 후방으로 방향을 틀어서, 기계실(200) 바깥에서 기계실 커버(700)의 상면을 따라서 이동한다.
기계실 커버(700)는 공기유동을 원활히 안내하기 위하여, 전면부(710)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을 높아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어기(900)가 놓이는 영역을 제공하고, 기계실 내부 부품이 자리잡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계실 커버(700)의 상면은 단차를 이루고 있다.
상세하게는, 전면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제 1 단차부(732)와 제 2 단차부(733)와 제 3 단차부(735)가 제공된다. 상기 제 2 단차부(733)에는 상기 제 3 단차부(735)와 같은 높이의 제어기 놓임부(734)가 마련된다. 이 구조로 제어기(900)는 제 3 단차부(735)와 제어기 놓임부(734)에 수평상태로 놓일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700)의 상면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공기는 제어기(9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어기를 냉각하면서 공기는 약간 정도 더워질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700)의 후방까지 이동한 공기는 하방으로 유동한다. 기계실 커버의 후면에는 개방되어 큰 커버 흡입구가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기계실 커버(700)의 후면과 콘솔공간(4)의 후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제공된다.
상기 증발모듈(400)은 캐비티(100)의 뒷쪽에 놓이고, 상기 증발모듈(400)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관로(600)는 캐비티(100)를 타고 넘는다. 뿐만 아니라, 도어(800)의 힌지 및 증발모듈(400)이 캐비티의 뒷쪽에 놓여서 캐비티의 뒤쪽부분은 단열에 취약하다.
이를 개선하는 구성으로서 힌지부 단열재가 제공된다. 상기 힌지부 단열재(470)는, 증발모듈(400)의 상측부분과, 증발모듈(400)과 캐비티(100) 후면벽의 사이, 캐비티의 안으로 도입되는 재생단열재(651)와 캐비티 내부공간의 접촉부에 대한 단열작용을 수행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 단열재(470)의 상방에는 콘솔커버(300가 더 마련되어 완벽한 단열을 이끌어 낸다.
도 5는 힌지부 단열재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부 단열재(470)에는, 재생단열재(651)을 덮고 안쪽축수부(373)에 삽입되는 안쪽지지대(473)와, 바깥쪽 축수부(372)에 삽입되는 바깥쪽지지대(472)와, 상기 지지대(472)(473)을 연결하고 증발모듈(400)의 상측부를 단열하는 연결대(471)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대(472)(473)가 상기 축수부(372)(373)가 삽입됨으로써, 힌지부 단열재(470)와 콘솔커버(300)는 서로 일체화되고 콘솔커버(300)의 설치와 함께 힌지부 단열재(470)는 캐비티(100)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증발모듈(400)을 지지하면서 캐비티(100) 내부 뒤쪽 공간의 부품이 밀접하게 서로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부품의 간격이 서로 강하게 접촉하여 냉기의 누설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어(800)의 힌지 작용이 더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대(472)(473)는 축수부(372)(373)의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끝단부로 갈수록 그 절단단면이 줄어드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쪽지지대(473)는 상기 바깥쪽지지대(472)에 비하여 더 두껍게 제공되는데, 이는 재생단열재(651)에 의한 열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안쪽지지대(473)의 내면부는 재생단열재(651)의 외형에 정확하게 맞춤되는 형상의 재생단열재안착부(476)가 마련된다. 따라서 부드러운 원호형상으로 구부러지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재생단열재안착부(476)의 하단면은 진공단열체(101)의 상단에 놓여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힌지부 단열재(470)와 캐비티(100)의 상하위치관계가 명확해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고, 부품 간이 간격이 없어지는 이점을 더 얻을 수 있다.
상기 재생단열재안착부(476)의 뒷 부분에서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안쪽 맞춤부(477)가 더 마련된다. 상기 안쪽 맞춤부(477)는 진공단열체(101)의 내면과 대응할 수 있고, 이로써 힌지부 단열재(470)의 전후위치관계가 명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쪽 맞춤부(477)와 대응되는 바깥족 맞춤부(478)은 바깥쪽 지지대(472)에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471)에는, 증발모듈(400)이 맞춰서 안착될 수 있는 부품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커버안착부(488)와, 팬하우징 안착부(474)와 제 2 격실안착부(475)가 제공된다. 상기 커버안착부(488)에 의해서 힌지부 단열재(470)가 캐비티에 대한 좌우위치관계가 명확해지고, 상기 팬하우징 안착부(474)와 상기 제 2 격실안착부(475)이 상기 증발모듈(400)의 상부형상과 대응되도록 제공되어 증발모듈과 힌지부 단열재의 상호 접촉부의 냉기누설을 막을 수 있다.
상기되는 구성에 따르면 힌지부 단열재는 그에 접하는 다양한 구성의 접촉부와의 경계를 통한 외기의 누설을 차단하여, 열누설에 취약한 부분에 대한 단열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내지 도 9는 힌지부 단열재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6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힌지부 단열재의 구성 및 각 구성의 작용이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대(472)(473)의 안쪽부분에는 바깥쪽 맞춤홈(480) 및 안쪽 맞춤홈(479)가 각각 제공되는데, 이는 콘솔커버(300)에 제공되는 축수부(372)(373)에서 도어의 힌지축이 수용되기 위하여 더 두꺼워지는 콘솔커버의 지지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2 격실안착부(475)는 함몰되는 구조로 제공되고 증발모듈(400)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 등의 구조물이 외부로 통과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재생단열재안착부(476)의 안쪽부분에는 스커트(478)가 하방으로 더 연장된다. 상기 스커트(478)은 캐비티(100)의 안으로 들어온 재생단열재(651)의 자리잡음을 돕기 위하여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부분이다.
도 10은 증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증발모듈(400)은 후방에 놓이고 부품이 수용되는 후방커버(430)과, 상기 후방커버(430)의 전방에 놓여 캐비티(100)를 바라보는 전방커버(450)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커버(450) 및 상기 후방커버(430)에 의해서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공간의 내부에 부품이 수용된다.
상기 전방커버(450)와 상기 후방커버(430)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서, 하측에는 증발기(410)가 놓이고 상측에는 증발팬(420)이 놓인다. 상기 증발팬(420)은 좁은 공간에 장착될 수 있는 원심팬을 사용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좁은 설치 공간에서 넓은 면적의 팬 입구(422)로 공기를 흡입하고 고속으로 일정한 토출방향으로 송풍하는 팬출구(421)를 가지는 시로코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팬입구(422)로는 증발기(410)를 거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팬출구(421)로 토출된 공기는 캐비티(100)로 토출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증발팬(420)과 후방커버(430)의 내벽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430)에는 복수개의 격실이 제공되어 각 부품이 놓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격실(431)에는 증발기(410)과 증발팬(420)이 놓여 차가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한다. 제 2 격실(432)에는 램프(440)가 놓여서 캐비티(100) 내부를 밝게 하여 사용자가 캐비티(100) 내부를 살필 수 있도록 한다. 제 4 격실(434)은 온도센서(441)가 놓여서 캐비티(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차량용 냉장고의 제어에 참조한다.
제 3 격실(433)은 제 4 격실(434) 내부에 놓인 온도센서(441)가 캐비티(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캐비티의 유동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증발기(410)의 차가운 냉기가 직접 제 3 격실(433)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제 3 격실(433)은 경우에 따라서는 제거될 수는 있으나 제공되는 것이 전도열에 의한 캐비티 내부 온도의 오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4 격실(434) 및 상기 온도센서(441)는 증발기(410)에서 가장 먼 증발모듈(400)의 좌측상단에 놓인데, 이는 증발기(410)의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증발기(410)의 냉기가 전도를 통하여 제 4 격실(434)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 4 격실(434) 및 온도센서(441)는 다른 격실(432)(433)에 의해서 제 1 격실(431)과는 차단된다.
상기 제 1 격실의 (431)의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측에는 증발팬(420)이 놓이는 팬하우징(435)이 마련되고, 그 하측으로는 증발기(410)이 놓이는 증발기 놓임부(437)이 마련된다. 상기 팬하우징(435)의 좌측으로 관로통로(436)가 마련된다. 상기 관로통로(436)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진공단열체(101)를 타고 넘은 냉매관로(600)가 증발모듈(400)의 안으로 안내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증발모듈의 좌측 모서리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매관로(600)는 증발모듈(400)로 들고 나는 두 관로가 서로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두 관로가 단열재로 쌓여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관로통로(436)는 소정의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상기 관로통로(436)은 증발모듈(400) 내부의 공간집약성을 높이기 위하여 증발모듈의 좌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커버(430)의 내부에는 증발기(410) 및 증발팬(420)이 마련되어 캐비티 내부의 공기 냉각 및 캐비티 내부의 공기순환을 이끌어 낸다.
상기 전방커버(450)는 상기 후방커버(430)과 마찬가지로 대략 사각형으로 제공된다. 상기 전방커버(450)의 하부에는 증발기(410) 하측으로의 공기유입을 안내하는 냉기유입구(451)와, 상기 팬출구(421)와 정렬되는 냉기 토출구(452)가 마련된다. 상기 냉기 토출구(452)는, 증발팬(420)에서 하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부드럽게 내면이 부드럽게 벤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격실(432)와 정렬되는 전방커버(450)는 개방되거나 윈도우가 마련되어 램브(440)의 광이 캐비티(100)의 내부로 조사되도록 한다.
상기 제 4 격실(434)와 정렬되는 전방커버(450)에는 통기구(454)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기 토출구(452)에서 토출된 공기가 캐비티(100) 내부를 순환한 다음에 상기 통기구(454)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로써, 캐비티(100) 내부의 온도를 더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기 토출구(452)에서 토출된 많이 차가운 냉기에 의해서 캐비티(100) 내부의 온도가 잘못 측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진공단열체의 내부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a를 참조하면, 진공공간부(50)는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과는 다른 압력, 바람직하게는 진공 상태의 제 3 공간으로 제공되어 단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 3 공간은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 및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에 해당하는 온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3 공간은 진공 상태의 공간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각 공간의 압력차 만큼의 힘에 의해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수축하는 힘을 받기 때문에, 상기 진공공간부(50)는 작아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진공공간부의 수축에 따른 복사전달량의 증가,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의 접촉에 따른 전도전달량의 증가에 따른 단열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변형을 줄이기 위하여 서포팅유닛(3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30)에는 바(31)가 포함된다. 상기 바(31)는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 간격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31)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지지 플레이트(35)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31)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격자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와 접하는 면적이 작아져서 열전달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고정되어,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사이에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는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31)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35)의 총단면적은 상기 바(31)의 총단면적보다 크게 제공하여, 상기 바(31)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를 통하여 확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의 재질로는, 높은 압축강도, 낮은 아웃게싱(outgassing) 및 물흡수율, 낮은 열전도율, 고온에서 높은 압축강도, 및 우수한 가공성을 얻기 위하여, PC, glass fiber PC, low outgassing PC, PPS, 및 LCP 중에서 선택되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를 통한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복사를 줄이는 복사저항쉬트(3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는 부식방지과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인레스 재질은 방사율이 0.16으로서 비교적 높기 때문에 많은 복사열 전달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수지를 재질로 하는 상기 서포팅유닛의 방사율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비하여 낮고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복사열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복사열 전달의 저감에 중점적으로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면적의 대부분을 가로질러서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의 재질로는, 방사율(emissivity)이 낮은 물품이 바람직하고, 실시예에서는 방사율 0.02의 알루미늄 박판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32)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어느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는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내면에 접하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가 삽입될 수도 있다. 차량용 냉장고(7)의 경우에는 진공단열체(101)의 두께를 얇게 하고 캐비티(100)의 내부 용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를 삽입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서포팅유닛(30)에 의해서 플레이트 부재 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다공성물질(33)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물질(33)은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재질인 스테인레스보다는 방사율이 높을 수 있지만, 진공공간부를 충전하고 있으므로 복사열전달의 저항효율이 높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복사저항쉬트(32)가 없이도 진공단열체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진공공간부(50)를 유지하는 서포팅유닛(30)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를 대신하여 다공성물질(33)이 필름(34)에 싸인 상태로 제공되었다. 이때 다공성물질(33)은 진공공간부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압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름(34)은 예시적으로 PE재질로서 구멍이 뚫려있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서포팅유닛(30)이 없이 진공단열체를 제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다공성물질(33)은 상기 복사저항쉬트(32)의 기능과 상기 서포팅유닛(3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전도저항쉬트 및 그 주변부의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2a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밀봉되어야 한다. 이때 두 플레이트 부재는 각각이 온도가 서로 다르므로 양자 간에 열전달이 발생할 수 있다. 종류가 다른 두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도저항쉬트(60)가 마련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상기 제 3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양단이 밀봉되는 밀봉부(61)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상기 제 3 공간의 벽을 따라서 흐르는 열전도량을 줄이기 위하여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얇은 박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61)는 용접부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전도저항쉬트(60)와 플레이트 부재(10)(20)가 서로 융착되도록 할 수 있다. 서로 간의 융착 작용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와 플레이트 부재(10)(20)는 서로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스테인레스를 그 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61)는 용접부로 제한되지 않고 코킹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곡선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열전도의 거리는 각 플레이트 부재의 직선거리보다 길게 제공되어, 열전도량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따라서 온도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그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는 차폐부(62)가 제공되어 단열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차량용 냉장고(7)의 경우에,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고온이고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저온이다. 그리고,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고온에서 저온으로 열전도가 일어나고 열흐름을 따라서 쉬트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한다. 그러므로,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외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경우에는 개방된 곳을 통한 열전달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는 차폐부(62)가 제공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저온공간 또는 고온공간의 어느 쪽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노출되는 양만큼 전도저항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상기 차폐부(62)는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면에 접하는 다공성물질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 놓이는 별도의 가스켓으로 예시가능한 단열구조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전도저항쉬트(60)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공되는 상기 콘솔커버(300)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전달경로를 설명한다.
진공단열체를 통과하는 열에는, 상기 진공단열체의 표면, 더 상세하게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따라서 전달되는 표면전도열(①)과,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에 제공되는 서포팅유닛(30)을 따라서 전도되는 서포터전도열(②)과, 진공공간부의 내부 가스를 통한 가스전도열(③)과, 진공공간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복사전달열(④)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전달열은 다양한 설계 수치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가 변형되지 않고 진공압에 견딜 수 있도록 서포팅유닛을 변경할 수도 있고, 진공압을 변경할 수 있고, 플레이트 부재의 간격길이를 달리할 수 있고, 전도저항유닛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플레이트 부재가 제공하는 각 공간(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의 온도차를 어느 정도를 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의 경우에는 총열전달량이 종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제공되는 단열구조물에 비하여 열전달량이 작아지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구성을 알아내었다. 여기서, 종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는 냉장고에서의 실질열전달계수는 19.6mW/mK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실시예의 진공단열체의 열전달량을 상대적으로 분석하면, 가스전도열(③)에 의한 열전달이 가장 작아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열전달의 4%이하로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전도열(①) 및 상기 서포터전도열(②)의 합으로 정의되는 고체전도열에 의한 열전달이 가장 많다. 예를 들어 75%에 달할 수 있다. 상기 복사전달열(③)은 상기 고체전도열에 비해서는 작지만 가스전도열에 의한 열전달보다는 크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사전달열(③)은 전체 열전달량의 대략 20%를 차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달분포에 따르면, 실질열전달계수(eK: effective K)(W/mK)는 상기 전달열(①②③④)을 비교할 때 수학식 1의 순서를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상기 실질열전달계수(eK)는 대상 물품의 형상과 온도차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값으로서, 전체 열전달량과 열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온도를 측정하여 얻어낼 수 있는 값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 내에 정량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가열원을 두고서 발열량을 알고(W), 냉장고의 도어 본체와 도어의 테두리를 통하여 각각 전달되는 열을 도어의 온도분포를 측정하고(K), 열이 전달되는 경로를 환산값으로 확인함으로써(m), 실질열전달계수를 구할 수 있는 것이다.
전체 진공단열체의 상기 실질열전달계수(eK)는 k=QL/A△T로 주어지는 값으로서, Q는 열전달량(W)으로서 히터의 발열량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고, A는 진공단열체의 단면적(m2)이고, L은 진공단열체의 두께(m)이고, △T는 온도차로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전도열은, 전도저항쉬트(60)(63)의 입출구의 온도차(△T), 전도저항쉬트의 단면적(A), 전도저항쉬트의 길이(L), 전도저항쉬트의 열전도율(k)(전도저항쉬트의 열전도율은 재질의 물성치로서 미리 알아낼 수 있다)를 통하여 전도열량을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서포터전도열은, 서포팅유닛(30)의 입출구의 온도차(△T), 서포팅유닛의 단면적(A), 서포팅유닛의 길이(L), 서포팅유닛의 열전도율(k)을 통하여 전도열량을 알아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팅유닛의 열전도율은 재질의 물성치로서 미리 알아낼 수 있다. 상기 가스전도열(③)과 상기 복사전달열(④)의 합은 상기 전체 진공단열체의 열전달량에서 상기 표면전도열과 상기 서포터전도열을 빼는 것에 의해서 알아낼 수 있다. 상기 가스 전도열과 상기 복사전달열의 비율은 진공공간부의 진공도를 현저히 낮추어 가스 전도열이 없도록 하였을 때의 복사전달열을 구하는 것으로서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다공성물질이 제공되는 경우에, 다공성물질전도열(⑤)은 상기 서포터전도열(②)과 복사열(④)을 합한 양으로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물질전도열은 다공성물질의 종류와 양 등의 다양한 변수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지점에서,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평균온도와의 온도차이가 가장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공간이 상기 제 1 공간에 비하여 뜨거운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지점에서 온도가 최저가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공간이 상기 제 1 공간에 비하여 차가운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지점에서 온도가 최고가 된다.
이는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표면전도열을 제외하는 다른 곳을 통한 열전달량은 충분히 제어되어야 하고, 표면전도열이 가장 큰 열전달량을 차지하는 경우에 비로소 전체적으로 진공단열체가 만족하는 전체 열전달량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온도변화량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온도변화량보다 크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진공단열체를 제공하는 각 부품의 물리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진공단열체는 진공압에 의한 힘이 모든 부품에 가하여진다. 따라서, 일정한 수준의 강도(strength)(N/m2)를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b를 참조하면, 본 형태는 도 12a와 동일하고,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전도저항쉬트(60)가 체결되는 부분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특징적으로 달라지는 부분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의 끝단부는, 고온의 제 2 공간측으로 벤딩되어 플랜지부(6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65)의 상면에 용접부(61)가 형성되 전도저항쉬트(60)와 플랜지부(65)가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어느 일면 만을 바라보며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두 번의 작업이 필요치 않고 작업이 더 편리해 질 수 있다.
차량용 냉장고(7)와 같이 진공공간부(50)의 간격이 좁아서 도 14a와 같은 안쪽과 바깥쪽의 용접이 어려운 경우에는 더욱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3은 서포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배기하는 공정을 시간과 압력으로 관찰하는 그래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를 진공상태로 조성하기 위하여, 가열하면서 진공공간부의 부품에 남아있는 잠재적인 기체를 기화시키면서 진공펌프로 진공공간부의 기체를 배기한다. 그러나, 일정 수준 이상의 진공압에 이르면 더 이상 진공압의 수준이 높아지지 않는 지점에 이르게 된다(△t1). 이후에는 진공펌프의 진공공간부의 연결을 끊고 열을 가하여 게터를 활성화시킨다(△t2). 게터가 활성화되면 일정 시간 동안은 진공공간부의 압력이 떨어지지만 정상화되어 일정 수준의 진공압을 유지한다. 게터 활성화 이후에 일정수준의 진공압을 유지할 때의 진공압은 대략 1.8×10-6Torr이다.
실시예에서는 진공펌프를 동작시켜 기체를 배기하더라도 더이상 실질적으로 진공압이 낮아지지 않는 지점을 상기 진공단열체에서 사용하는 진공압의 하한으로 설정하여 진공공간부의 최저 내부 압력을 1.8×10-6Torr로 설정한다.
도 14는 진공압과 가스전도도(gas conductivity)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 내부의 사이 갭의 크기에 따라서 진공압에 따른 가스전도열(gas conductivity)을 실질열전달계수(eK)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갭은 2.76mm, 6.5mm, 및 12.5mm의 세 가지 경우로 측정하였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갭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복사저항쉬트(32)가 있는 경우는 상기 복사저항쉬트와 인접한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이고,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복사저항쉬트가 없는 경우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거리이다.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단열재를 제공하는 종래의 실질열전달계수 0.0196 W/mk과 대응되는 지점은 갭의 크기가 작아서 2.76mm인 경우에도 2.65×10-1Torr인 것을 볼 수 있었다. 한편, 진공압이 낮아지더라도 가스전도열에 의한 단열효과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은 대략 4.5×10-3Torr인 지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4.5×10-3Torr의 압력은 가스전도열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으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실질열전달계수가 0.1 W/mk일때에는 1.2×10-2Torr이다.
상기 진공공간부에 상기 서포팅유닛이 제공되지 않고 상기 다공성물질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갭의 크기가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이다. 이 경우에는, 다공성물질로 인하여 비교적 진공압이 높은 경우에도, 즉 진공도가 낮은 경우에도 복사열전달은 작다. 따라서 그 진공압에 맞는 적절한 진공펌프를 사용한다. 해당하는 진공펌프에 적정한 진공압은 대략 2.0×10-4Torr이다. 또한, 가스 전도열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의 진공압은 대략 4.7×10-2Torr이다. 또한, 가스전도열의 저감효과가 종래의 실질열전달계수 0.0196 W/mk에 이르는 압력은 730Torr이다.
상기 진공공간부에 상기 서포팅유닛과 상기 다공성물질이 함께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포팅유닛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상기 다공성물질만을 사용하는 경우의 중간 정도의 진공압을 조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전원만을 공급받고, 독립된 장치로서 차량용 냉장고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100: 캐비티
101: 진공단열체
200: 기계실

Claims (8)

  1.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상면를 개폐하는 도어;
    캐비티의 옆쪽에 놓이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에 수용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기계실에 수용되어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모듈;
    상기 응축모듈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밸브;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어 냉매를 증발하여 상기 캐비티를 냉각시키는 증발모듈; 및
    상기 캐비티의 상단부와 상기 증발모듈의 상단부를 덮고, 상기 도어의 힌지축을 지지하는 힌지부 단열재가 포함되는 차량용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모듈과 상기 팽창밸브를 연결하고 상기 캐비티의 벽을 타고 넘는 관로가 포함되는 차량용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에는 적어도 두 개의 냉매관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냉매관로의 외부를 열교환을 촉진하는 재생단열재안착부가 더 포함되는 차량용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단열재는 상기 캐비티를 넘어서 외부로 연장되는 차량용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 단열재에는, 도어의 힌지축을 지지하는 안쪽지지대 및 바깥쪽지지재가 포함되고,
    상기 안쪽지지대 및 바깥쪽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가 포함되는 차량용 냉장고.
  6.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좌석;
    상기 좌석의 사이 간격부에 제공되고 내부에 콘솔공간을 가지는 콘솔;
    상기 콘솔의 상부를 커버하는 콘솔커버;
    상기 콘솔의 좌우측 중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흡기구;
    상기 콘솔의 좌우측 중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배기구;
    상기 콘솔의 내부공간의 하부에 놓이는 냉장고 바닥 프레임;
    상기 냉장고 바닥 프레임 상의 상기 흡기구를 바라보는 쪽에 제공되고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
    상기 냉장고 바닥 프레임 상의 상기 배기구를 바라보는 쪽에 제공되는 기계실;
    상기 캐비티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상기 기계실의 앞쪽에 놓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기계실의 뒷쪽에 놓여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모듈;
    상기 캐비티에 놓이고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모듈; 및
    상기 증발모듈과 상기 콘솔커버의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도어의 힌지를 지지하는 힌지부 단열재가 포함되는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커버에 제공되는 축수부; 및
    상기 축수부에 삽입되는 지지대가 포함되는 차량.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 단열재는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으로 더 연장되는 차량.
KR1020170014982A 2017-02-02 2017-02-02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KR102658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982A KR102658801B1 (ko) 2017-02-02 2017-02-02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PCT/KR2018/001387 WO2018143693A1 (en) 2017-02-02 2018-02-01 Refrigerator for vehicle and vehicle
US16/482,393 US11572003B2 (en) 2017-02-02 2018-02-01 Refrigerator for vehicle and vehicle
RU2020140159A RU2768065C2 (ru) 2017-02-02 2018-02-01 Холодильник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CN201880009602.XA CN110290975B (zh) 2017-02-02 2018-02-01 车辆用冰箱以及车辆
EP18747553.8A EP3576980A4 (en) 2017-02-02 2018-02-01 VEHICLE AND VEHICLE REFRIGERATOR
AU2018215766A AU2018215766B2 (en) 2017-02-02 2018-02-01 Refrigerator for vehicle and vehicle
RU2019127179A RU2738284C1 (ru) 2017-02-02 2018-02-01 Холодильник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AU2021269421A AU2021269421B2 (en) 2017-02-02 2021-11-19 Refrigerator for vehicle and vehicle
US18/089,882 US11993191B2 (en) 2017-02-02 2022-12-28 Refrigerator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0240050114A KR20240054942A (ko) 2017-02-02 2024-04-15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982A KR102658801B1 (ko) 2017-02-02 2017-02-02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0114A Division KR20240054942A (ko) 2017-02-02 2024-04-15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056A true KR20180090056A (ko) 2018-08-10
KR102658801B1 KR102658801B1 (ko) 2024-04-19

Family

ID=630408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982A KR102658801B1 (ko) 2017-02-02 2017-02-02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KR1020240050114A KR20240054942A (ko) 2017-02-02 2024-04-15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0114A KR20240054942A (ko) 2017-02-02 2024-04-15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572003B2 (ko)
EP (1) EP3576980A4 (ko)
KR (2) KR102658801B1 (ko)
CN (1) CN110290975B (ko)
AU (1) AU2018215766B2 (ko)
RU (2) RU2768065C2 (ko)
WO (1) WO20181436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787B1 (ko) * 2015-12-15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저장고, 차량용 저장고, 및 차량
US20190111849A1 (en) * 2017-10-16 2019-04-18 Matthew Thomas Besley Open Space Organizer Apparatus and System
KR20210006698A (ko) * 2019-07-09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CN113218125A (zh) * 2021-05-12 2021-08-06 宁波韩电电器有限公司 一种多场合切换使用的小冰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10901U1 (de) * 1999-06-22 1999-08-12 Tm Tech Geraetebau Gmbh Kühlbox zum Einbau in eine schachtartige Aufnahme
CN101376357A (zh) * 2007-08-29 2009-03-04 马自达汽车株式会社 车辆的中央操纵台结构
CN103765128A (zh) * 2011-08-23 2014-04-30 B/E航空公司 具有液体管线过冷蒸发循环系统的交通工具冰箱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8405A (en) * 1973-10-26 1975-01-07 Walter R Manzke Removably positioned refrigerated chest for motor vehicles
JPS557789Y2 (ko) * 1977-01-26 1980-02-21
JPS53103972A (en) 1977-02-24 1978-09-09 Washiarumi Kk Preparation of rim parts of wheel for vehicle
JPS60179344A (ja) * 1984-02-27 1985-09-13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冷蔵庫
US4637222A (en) * 1984-06-08 1987-01-20 Nippondenso Co., Ltd. Refrigerator for vehicle
US4917256A (en) * 1988-07-12 1990-04-17 Whirlpool Corporation Interlocking and sealing arrangement for modular domestic appliances
DE4031029A1 (de) * 1990-10-01 1992-04-02 Unitechnica Mobilkaelte Gmbh Kuehlvorrichtung zum einbau in kraftfahrzeuge
RU3989U1 (ru) * 1994-04-07 1997-04-16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оволипецкий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комбинат" Морозильник-холодильник трансформер
US5950450A (en) * 1996-06-12 1999-09-14 Vacupanel, Inc. Containment system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s
RU16715U1 (ru) * 2000-09-28 2001-02-10 Дорошенко Сергей Павлович Мини-холодильник для автомобиля "волга"
KR100428504B1 (ko) * 2001-06-23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US6973799B2 (en) 2002-08-27 2005-12-13 Whirlpool Corporation Distributed refrigeration system for a vehicle
CN2691933Y (zh) * 2004-03-06 2005-04-13 江苏阪神电器股份有限公司 车载移动式冰柜
US7029048B1 (en) * 2004-12-29 2006-04-18 Lear Corporation Modular console system
KR100717476B1 (ko) * 2005-10-13 2007-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100785116B1 (ko) 2006-01-03 2007-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090058120A1 (en) * 2007-08-29 2009-03-05 Mazda Motor Corporation Center console structure of vehicle
US9238398B2 (en) 2008-09-25 2016-01-19 B/E Aerospace, Inc. Refrige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on with a vehicle's liquid cooling system
KR101227516B1 (ko) * 2010-10-28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CN202304182U (zh) * 2011-10-12 2012-07-04 安徽金诚天骏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适配型车载冰箱
JP5611440B2 (ja) * 2012-11-28 2014-10-22 積水フィルム株式会社 真空断熱材
US9327577B2 (en) 2013-01-25 2016-05-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heat pump system and method utilizing thermal stor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10901U1 (de) * 1999-06-22 1999-08-12 Tm Tech Geraetebau Gmbh Kühlbox zum Einbau in eine schachtartige Aufnahme
CN101376357A (zh) * 2007-08-29 2009-03-04 马自达汽车株式会社 车辆的中央操纵台结构
CN103765128A (zh) * 2011-08-23 2014-04-30 B/E航空公司 具有液体管线过冷蒸发循环系统的交通工具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76980A4 (en) 2020-12-02
KR20240054942A (ko) 2024-04-26
RU2020140159A (ru) 2021-02-09
RU2738284C1 (ru) 2020-12-11
US20200031265A1 (en) 2020-01-30
RU2768065C2 (ru) 2022-03-23
CN110290975A (zh) 2019-09-27
AU2018215766B2 (en) 2021-08-19
US11572003B2 (en) 2023-02-07
WO2018143693A1 (en) 2018-08-09
RU2020140159A3 (ko) 2022-01-10
AU2018215766A1 (en) 2019-08-29
KR102658801B1 (ko) 2024-04-19
EP3576980A1 (en) 2019-12-11
US20230133129A1 (en) 2023-05-04
CN110290975B (zh) 2023-03-31
US11993191B2 (en) 2024-05-28
AU2021269421A1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61942B2 (en) Vacuum adiabatic body, refrigerating or warming apparatus, and vehicle
EP3582999B1 (en) Refrigerator, refrigerating or warming apparatus, and vacuum adiabatic body
KR20180090057A (ko)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US11993191B2 (en) Refrigerator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663511B1 (ko) 진공단열체
KR20180090054A (ko)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
KR20180095280A (ko) 냉온장고, 및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