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955A - 작업용 장갑 - Google Patents

작업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955A
KR20180089955A KR1020170014738A KR20170014738A KR20180089955A KR 20180089955 A KR20180089955 A KR 20180089955A KR 1020170014738 A KR1020170014738 A KR 1020170014738A KR 20170014738 A KR20170014738 A KR 20170014738A KR 20180089955 A KR20180089955 A KR 20180089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knitting
coating
work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미
Original Assignee
송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미 filed Critical 송영미
Priority to KR1020170014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9955A/ko
Publication of KR20180089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58Three-dimensional gloves
    • A41D19/0065Three-dimensional gloves with a textile layer undernea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76Protective gloves made of a patchwork of diffe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04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9D1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4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coat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일론사 등을 이용하여 편직된 장갑과 이를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으로 코팅한 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경우 15 내지 18 게이지의 바늘로 편직하는 것 이상의 편직 수단을 통해 장갑의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편직된 작업용 장갑에 수지 등을 코팅하는 경우 편직물 사이로 수지 등이 침투하여 피부에 손상을 가할 여지가 크게 감소시킴과 동시에 코팅된 작업용 장갑의 수지부가 손상됨을 방지하고 수지 코팅으로 인한 표면의 미끄러움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작업용 장갑{GLOVE FOR OPERATING}
본 발명은 작업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일론사 등을 이용하여 편직된 장갑과 이를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으로 코팅한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용 장갑에는 면으로 된 장갑과 나일론으로 된 장갑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데, 면으로 된 장갑은 장갑의 재질이 면으로 직조되어 있기 때문에 장갑의 바닥면이나 손가락부에 수지를 코팅할 경우 수지가 면에 잘 묻음으로써 용이하게 코팅할 수가 있으나 장갑이 면으로 된 특성으로 인하여 장갑을 이루고 있는 면과 코팅부가 두껍고 투박하며, 수지가 코팅된 면장갑은 수지가 견고하기 때문에 장갑을 장기간 착용할 경우 손에 통증을 느끼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장갑의 착용을 기피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해 나일론사 등을 이용한 장갑을 사용하는 할 경우가 많으며, 상기한 나일론사 등을 이용한 장갑에 수지 등을 코팅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전형적으로 작업용 장갑의 편직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편침(knitting needle)은 15게이지 또는 18게이지 바늘이다. 여기서 편물기 바늘의 게이지는 사용될 수 있는 얀의 데니어와 명확한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게이지 15의 바늘은 319 데니어 얀을 사용한다. 그러나 게이지 18의 바늘은 221 데니어 얀을 사용한다. 데니어는 길이 9,000 m의 얀의 그램 수라고 정의된다. 그러므로 18게이지 바늘로 편직된 편직물은 15게이지 바늘로 편직된 편직물 보다 약 30% 가볍다.
특히, 장갑의 유연성은 장갑 두께의 함수이고 두께의 세제곱의 역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용 장갑의 경우 상기한 15 내지 18 게이지의 바늘로 편직하는 것 이상의 편직 수단을 통해 더욱 가볍고 얇은 장갑을 구성하는 편직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 편직된 작업용 장갑에 수지 등을 코팅하는 경우 편직물이 촘촘하지 않으면 편직물 사이로 수지 등이 침투하여 피부에 손상을 가할 여지가 크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코팅된 작업용 장갑의 경우 코팅된 수지부가 손상되면 더 이상의 효용이 없으므로 이에 대해 보강 구조를 요하는 경우가 다수 있으며, 수지 코팅으로 인한 표면의 미끄러움을 해결할 수단 등이 강구되고 있다.
특허등록번호 10-0476099호, 등록일 2005년03월02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가볍고 얇은 장갑을 구성하는 편직수단과 이를 통해 편직된 작업용 장갑에 수지 등을 코팅하는 경우 편직물 사이로 수지 등이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수단을 제시하고,
코팅된 작업용 장갑의 경우 코팅된 수지부가 손상됨을 방지하는 보강 구조와 수지 코팅으로 인한 표면의 미끄러움을 해결할 수단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작업용 장갑은, 편직된 작업용 장갑 편직부(10)와 그 상면에 형성되는 작업용 장갑 코팅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갑 편직부(10)는 나일론사, 폴리에틸렌사, 멜란지사, 카본사,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로 편직되고, 상기 장갑 코팅부(20)는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의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코팅함으로써 구성되는 작업용 장갑을 제시하고,
상기 장갑 편직부(10)는 장갑을 편직하는 편직기의 1인치당 바늘 수가 21인 21G(게이지)로 편직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을 제시하며,
상기 작업용 장갑의 코팅부(20) 내측으로 작업용 장갑의 편직부(10)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폴리염화비닐 수지로 구성되는 도트(21)를 형성하거나, 상기 작업용 장갑의 코팅부(20) 내측으로 작업용 장갑의 편직부(10)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띠 형상으로 구비된 라텍스 보강부(22)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라텍스 보강부(22)는 작업용 장갑의 편직부(10)의 두께를 중간 이상 침투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을 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경우 15 내지 18 게이지의 바늘로 편직하는 것 이상의 편직 수단을 통해 장갑의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편직된 작업용 장갑에 수지 등을 코팅하는 경우 편직물 사이로 수지 등이 침투하여 피부에 손상을 가할 여지가 크게 감소시킴과 동시에 코팅된 작업용 장갑의 수지부가 손상됨을 방지하고 수지 코팅으로 인한 표면의 미끄러움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장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작업용 장갑은 편직된 작업용 장갑 편직부(10)와 그 상면에 형성되는 작업용 장갑 코팅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갑 편직부(10)는 나일론사, 폴리에틸렌사, 멜란지사, 카본사,유리섬유 등을 이용하여 편직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갑 코팅부(20)는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으로 코팅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장갑 편직부(10)는 21G(게이지)로 편직됨을 특징으로 한다. 장갑을 편직하는 편직기의 1인치당 바늘 수가 21인 경우를 21게이지라고 표기하며, 그 수치가 높을수록 촘촘하고 얇게 편직된다. 21 게이지 바늘로 짜는 편직사의 작은 직경은 단위 면적당 더 높은 충전밀도를 가지며, 그로 인해 더 매끄럽고 더 얇은 두께의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통상의 면장갑이 5 내지 7게이지로 편직됨에 비해 본 발명의 작업용 장갑 편직부는 그 표면이 높은 밀도를 가지므로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을 코팅한 경우 그 수지의 열화나 변성에 의해 장갑의 내측으로 침투됨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피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1G(게이지)로 편직됨으로써 작업용 장갑은 작업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장갑의 유연성은 장갑 두께의 함수이고 두께의 세제곱의 역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장갑의 편직을 21 게이지로 형성함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두께 감소는 장갑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작업용 장갑의 코팅부(20)의 코팅은 일반적으로 나일론 등으로 편직된 장갑을 몰드에 씌우는 단계:
코팅을 위한 용기에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천연고무,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가 함유되어 있는 코팅제를 투입하는 단계:
나일론 등으로 편직된 장갑이 씌워진 몰드를 침투방지제에 담갔다가 꺼낸 후 소정 시간의 경과 후 나일론 등으로 편직된 장갑이 씌워져 있는 몰드를 코팅 용기에 소정 시간 침전시키는 1차코팅 단계:
필요에 따라 소정 시간 경과 후 2차 코팅을 더 시행하는 단계:
코팅되어 있는 장갑을 소정 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장갑의 약품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장갑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코팅부(20) 내측으로 작업용 장갑의 편직부(10)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폴리염화비닐 수지로 구성되는 도트(21)를 형성함을 도시한다. 상기 도트(21)는 장갑의 코팅부(20) 외측에 형성되지 않고, 코팅부의 내측으로써 상기 작업용 장갑의 팜(Palm) 및 핑거 부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작업용 장갑의 코팅부 외측에 도트를 형성하는 경우 작업중에 발생하는 도트의 탈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용 장갑의 코팅부를 엠보 처리하는 것은 부수적인 처리과정으로 인해 제작시간 및 비용의 증대를 불러올 수 있는데, 작업용 장갑의 코팅부 내측으로써 편직부 상에 도트를 형성하고 이를 수지 등으로 코팅함으로써 미끄럼을 방지하는 엠보를 형성하는 효과를 불러 올 수 있다.
한편, 상기 도트부를 구성하는 폴리염화비닐수지(PVC)는 단독으로 비교적 단단하고 잘 부서지나, 프탈산디옥틸과 같은 가소제를 첨가하면 탄성을 갖는다. 다만, 최고 사용온도는 60 ℃이고, 최저 사용온도는 내한성 가소제를 가해도 -20 ℃에서 연화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성은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폴리염화비닐은 각종 조제를 배합하여 열가공되고 가소제를 첨가한 연질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과 비교하여 신장성은 뒤떨어지나, 강도에서 우수하므로, 코팅부의 내측에 엠보를 형성할 수 있는 도트의 형성에는 그 사용상 문제점은 적다고 판단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작업용 장갑의 코팅부(20) 내측으로 작업용 장갑의 편직부(10)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라텍스 보강부(22)를 형성함을 도시한다. 상기 라텍스 보강부(22)는 장갑의 코팅부(20) 내측으로써 상기 작업용 장갑의 팜(Palm) 및 핑거 부분에 형성되며, 소정 길이를 가지는 띠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텍스 보강부(22)는 작업용 장갑의 편직부(10)에 형성되어 작업시 탄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장갑의 절곡부에 탄성을 제공해 절곡부의 찢어짐이나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텍스 보강부(22)는 작업용 장갑의 편직부(10)의 얇은 두께를 중간 이상 침투해야 한다. 라텍스 보강부(22)의 층이 편직부 두께의 중간 이하로 침투한다면 일반적으로 접착력이 떨어지고 라텍스 층이 예상치 않게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라텍스 보강부(22)의 층이 편직부(10)를 완전 침투하면 장갑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와 때로는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 있으나, 본 발명의 21 게이지로 편직된 작업용 장갑의 편직부(10)는 단위 면적당 더 높은 충전밀도를 가지며, 그로 인해 더 매끄럽고 더 얇은 두께의 표면을 제공할 수 있어 라텍스 보강부(22)의 과도한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바, 상기한 문제점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텍스 보강부(22)는 천연고무 라텍스의 중량 비율이 90 ~ 99의 중량비율인 것이 적절하다. 만약, 천연고무 라텍스의 비율이 90 미만이라면, 천연고무 라텍스의 함량 부족으로 인해 고무 물성의 고유 특성인 인장강도, 신율 등의 물성 저하와 함께 부드러운 촉감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천연고무 라텍스의 비율이 99 초과라면, 천연고무 라텍스의 과량 사용으로 인해 성형성이 저하되고 충분히 가황되지 않기 때문에 고무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발명에 따른 라텍스 보강부(22)는 천연고무 라텍스 이외에, 요구되는 최종 물성에 따라 가황제, 경화제, 왁스, 산화방지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가교제의 예로는 황, 유기 과산화물 등이 있고, 구체적인 예로는 황, 유기 과산화물 등이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벤조일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4-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디-tert-부틸 퍼옥사이드 등이 있다. 이러한 가교제의 함량은 천연고무 라텍스 100 phr(parts per hundred rubber)에 대하여 약 0.1 내지 3 phr 범위일 수 있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작업용 장갑의 코팅부(20) 내측으로 작업용 장갑의 편직부(10)의 탑(top)에 탑 보강부(23)를 형성함을 도시한다. 상기 탑 보강부(23)는 장갑의 코팅부(20) 내측으로써 상기 작업용 장갑의 핑거 부분의 종단부인 탑에 형성되며, 소정 두께를 구비한 골무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 보강부(23)는 작업용 장갑의 사용처에 따라 핑거 부분의 종단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등의 작업환경에 대응하거나 유기 용제에 강인성을 구비하여야 하는 작업환경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탑 보강부(23)는 통상적으로 폴리우레탄(Polyurethane,PU)와 니트릴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NBR)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Polyurethane,PU)은 염기, 산, 알코올, 동물성 지방에는 저항성이 있으며, 유기용제(솔벤트)에는 적합하지 않고. 찢김,뚫림,마찰,잘림 등에 저항성이 우수하고 편직된 장갑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PU) 코팅을 함으로 미끌림성이 우수하며, 거친작업시 내구성이 좋으며, 방수효과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니트릴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NBR)는 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의 혼성중합에 의해서 생기는 합성고무의 일종으로 많은 종류의 솔벤트(유기용제)에 높은 저항력을 가지며, 찢김, 뚫림,마찰,절단등에도 저항성이 아주 좋습니다. 장갑에 니트릴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NBR) 코팅을 함으로 기름.솔벤트등에 강하며, 방수효과가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한 적용을 택일적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탑 보강부(23)의 형성 후에는 그 위에 추가되는 작업용 장갑의 코팅부(2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PU) 또는 니트릴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NBR) 수지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작업용 장갑의 편직부
20 : 작업용 장갑의 코팅부
21 : 도트
22 : 라텍스 보강부
23 : 탑 보강부

Claims (6)

  1. 작업용 장갑에 있어서,
    편직된 작업용 장갑 편직부(10)와 그 상면에 형성되는 작업용 장갑 코팅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갑 편직부(10)는 나일론사, 폴리에틸렌사, 멜란지사, 카본사,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로 편직되고,
    상기 장갑 코팅부(20)는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의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코팅함으로써 구성되는 작업용 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 편직부(10)는 장갑을 편직하는 편직기의 1인치당 바늘 수가 21인 21G(게이지)로 편직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장갑의 코팅부(20) 내측으로 작업용 장갑의 편직부(10)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폴리염화비닐 수지로 구성되는 도트(2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장갑의 코팅부(20) 내측으로 작업용 장갑의 편직부(10)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띠 형상으로 구비된 라텍스 보강부(22)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라텍스 보강부(22)는 작업용 장갑의 편직부(10)의 두께를 중간 이상 침투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장갑의 코팅부(20) 내측으로 작업용 장갑의 편직부(10)의 탑(top)에 탑 보강부(23)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

KR1020170014738A 2017-02-02 2017-02-02 작업용 장갑 KR20180089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738A KR20180089955A (ko) 2017-02-02 2017-02-02 작업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738A KR20180089955A (ko) 2017-02-02 2017-02-02 작업용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955A true KR20180089955A (ko) 2018-08-10

Family

ID=63229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738A KR20180089955A (ko) 2017-02-02 2017-02-02 작업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99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2055A1 (en) * 2018-10-19 2020-04-23 Ringers Technologies Llc Liquid proof gloves having impact protection
US10683383B2 (en) 2018-09-20 2020-06-16 Touch Green Co., Ltd. Method of preparing polyurea resin composition, polyurea resin composition prepared thereby, and industrial glove coated with polyurea resin composi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099B1 (ko) 2003-11-26 2005-03-14 김덕수 나일론 장갑 코팅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099B1 (ko) 2003-11-26 2005-03-14 김덕수 나일론 장갑 코팅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3383B2 (en) 2018-09-20 2020-06-16 Touch Green Co., Ltd. Method of preparing polyurea resin composition, polyurea resin composition prepared thereby, and industrial glove coated with polyurea resin composition
WO2020082055A1 (en) * 2018-10-19 2020-04-23 Ringers Technologies Llc Liquid proof gloves having impact protection
CN112867411A (zh) * 2018-10-19 2021-05-28 林格斯技术有限公司 具有冲击保护的防液手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5931B2 (ja) 手袋
US9622526B2 (en) Glov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10349690B2 (en) Supported glove having grip features
US7971275B2 (en) Cut resistant damage tolerant chemical and liquid protective glove with enhanced wet and dry grip
CN107846997B (zh) 具有增强体和冲击特征部的手套
US20140041096A1 (en) Non-slip finished glo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229248B2 (en) Supporting glo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upporting glove
US20150374052A1 (en) Glove having durable ultra-thin polymeric coating
JP6305408B2 (ja) 滑止手袋
JP6697311B2 (ja) 手袋
US20160138215A1 (en) Method and material for improving the internal grip in gloves and clothing
WO2013049009A1 (en) Glove having crush-resistant fingertips
JP6172948B2 (ja) 手袋
KR20180089955A (ko) 작업용 장갑
JP5759572B2 (ja) 滑止手袋
KR101713763B1 (ko) 손가락 보호용 안전장갑
CN109561743B (zh) 具有撕裂特征的安全手套
KR20220044195A (ko) 얇은 하이컷 무봉제 장갑
EP2752123B1 (en) Covering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itivity to touch
DK201370565A1 (en) Protective working glove, a method for making a protective working glove and use of protective working g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