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931A -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 - Google Patents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931A
KR20180089931A KR1020170014497A KR20170014497A KR20180089931A KR 20180089931 A KR20180089931 A KR 20180089931A KR 1020170014497 A KR1020170014497 A KR 1020170014497A KR 20170014497 A KR20170014497 A KR 20170014497A KR 20180089931 A KR20180089931 A KR 20180089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mounting portion
wheelchair
gear
str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288B1 (ko
Inventor
이지연
안민정
Original Assignee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2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positioning the whole seat forward or rearw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A61G2005/12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는, 바퀴를 구비하고, 상부에 팔걸이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대하여 상대이동하게 형성되는 시트; 상기 시트에 대해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시트와 상기 거치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는 피니언 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와 상기 거치부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래크가 형성되어, 상기 시트의 이동거리와 상기 거치부의 이동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Wheelchair for Stroke Patients}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뇌졸중 환자를 위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stroke) 이후 나타나는 다양한 신경학적 장애로 근육의 약화나 마비, 비정상적인 근 긴장도, 연합반응, 근골격계 문제, 협응장애, 감각장애 등으로 인해 환측의 운동 능력이 현저히 감소되며 결과적으로 기능적 사용에 제한을 받는다.
뇌졸중 환자의 69%가 상지에서 기능적인 운동장애를 경험하고, 하지의 기능장애와 함께 대략 56%의 환자가 발병 후 5년 이상이 지나도 신체의 기능 제한으로 많은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뇌졸중 환자의 운동능력 저하는 일상생활활동과 사회적 활동 수준을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운동 기능의 장애는 환자가 삶을 영위해가는 기본적인 일상생활동작에 제한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신체적, 심리적 고통을 가져온다. 이것은 환자 본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나아가 환자 가족들에게 또한 심리적 고통과 함께 삶의 질에 막대한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생존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의 절반 이상은 보행을 할 수 없어 기능적인 보행 능력의 획득을 위해 지속적인 재활을 받고 있다. 재활 후 보행 능력의 결핍은 일상생활동작수행과 지역사회로 복귀 시 기능적인 독립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뇌졸중 환자들은 재활 치료 시 걷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른 환자 개개인의 보행 능력의 예후는 보행 보조 도구의 사용과 상하지 운동 기능 회복, 균형 능력, 보행지지의 유무, 재활 치료와 입원 기간, 통증의 정도, 유병률, 마비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장애인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지체 장애인과 뇌병변 장애인은 일상생활에서 이동을 위해 휠체어의 사용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한국의 경우 지체 장애인과 뇌병변 장애인의 수는 1,349천명으로 전체 장애인의 62.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중 많은 수가 이동을 위하여 휠체어의 사용을 필요로 하고 있다.
휠체어는 앉은 자세에서 신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이다. 현재까지 휠체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휠체어의 구동장치와 조종장치, 프레임, 휠체어의 기능 개선 등에 대한 연구와 주요부 설계를 위한 생체 역학적 연구, 인체 측정을 통한 휠체어 설계를 위한 연구 등이 수행되고 있다. 이런 선행연구들에 의해 현재까지 양산되고 있는 휠체어의 종류도 다양하나, 많은 환자들이 느끼는 가장 큰 불편함 중에 하나가 기립으로써 휠체어에 의지하여 지내다가도 기립이 필요할 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할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대다수의 뇌졸중 환자에게 낙상의 예방을 감소시키고 일어서기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휠체어의 기능 개선 및 보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보다 향상된 구조를 갖으며,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휠체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는, 바퀴를 구비하고, 상부에 팔걸이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대하여 상대이동하게 형성되는 시트; 상기 시트에 대해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시트와 상기 거치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는 피니언 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와 상기 거치부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래크가 형성되어, 상기 시트의 이동거리와 상기 거치부의 이동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기어부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와 상기 거치부는 각각 가이드 레일과 돌기를 구비하여 서로의 이동방향을 한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는 시트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환자의 일어서기 동작 시 시트가 앞으로 이동됨에 따라 신체 무게중심의 위치변화가 일어나 발의 위치, 몸통의 위치, 고정된 관절, 무릎의 위치를 변경하여 보다 편히 일어설 수 있다.
또한, 일어서기 동작 시 무게중심을 앞쪽과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일어서는 움직임을 조정하기 위한 넙다리곧은근(rectus femoris muscle)의 동심성수축(concentric contraction)과 넙다리뒤근육(hamstring muscle)의 편심성수축(eccentric contraction)을 훈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시트를 통해 보다 쉽게 몸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되면 발이 후방에 위치하게 되어 대칭적 서기 자세(standing posture)를 훈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 거치부 및 기어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 거치부(130) 및 기어부(125)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100)는 바디(110), 시트(120), 거치부(130) 및 기어부(125)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휠체어의 뼈대를 형성한다. 바디(110)에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바퀴(112)가 결합되며, 바퀴(112)의 상부에 팔걸이(111)가 형성된다. 바디(11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바디(110)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형성되며, 폴딩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그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디(110)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도록 시트(120)가 형성된다. 시트(120)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그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시트(120)는 바디(110)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시트(120)가 바디(110)에 대하여 전방을 향해 상대 이동하게 되면 사용자의 발이 엉덩이의 아래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보다 적은 힘으로 상체를 일으켜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시트(120)에 대면하도록 거치부(130)가 형성된다. 거치부(130)는 발판(134)과 프레임(133)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30)는 발판(134)과 뒤꿈치 고정판을 구비하여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거치부(130)도 바디(110)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도록 형성된다. 거치부(130)는 시트(120)가 전방을 향하여 이동할 때, 후방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거치부(130)가 후방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면, 시트(120)의 이동으로 인한 무게중심의 변화를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가 일어설 때, 발판(134) 등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어부(125)는 시트(120)가 전방을 향할 때, 거치부(130)가 후방을 향하도록 바디(110)에 고정된다. 기어부(125)는 피니언 기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시트(120)와 거치부(130)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래크(122, 132)가 형성될 수 있다. 래크(122, 132)는 각각 동일한 기어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시트(120)의 이동만큼 거치부(130)가 이동될 수 있다.
기어부(125)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서이다. 이로 인해, 시트(120)와 거치부(130)가 서로 상대 이동할 때, 보다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시트(120)와 거치부(130)는 각각 가이드 레일(131)과 돌기(121)를 구비할 수 있다. 시트(120)의 하면에 가이드 레일(131)이 형성되면, 거치부(130)의 상면에 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시트(120)의 하면에 돌기(121)가 형성되면, 거치부(130)의 상면에 가이드 레일(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트(120)와 거치부(130)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가이드 레일(131)은 홈을 구비하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100)의 사용 상태도이다.
사용자는 뇌졸증 환자용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팔걸이(111)를 지지하면서 몸을 앞으로 밀면 시트(120)가 전방을 향해 앞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거치부(130)는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무게중심의 변화를 상쇄한다. 사용자는 반쯤 일어난 상태에서 워커(200)를 이용하여 몸을 세울 수 있다. 워커(200)에 알람장치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시공간 기능장애와 관리기능 장애를 다소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100)는 시트(120)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환자의 일어서기 동작 시 시트(120)가 앞으로 이동됨에 따라 신체 무게중심의 위치변화가 일어나 발의 위치, 몸통의 위치, 고정된 관절, 무릎의 위치를 변경하여 보다 편히 일어설 수 있다. 또한, 일어서기 동작 시 무게중심을 앞쪽과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일어서는 움직임을 조정하기 위한 넙다리곧은근(rectus femoris muscle)의 동심성수축(concentric contraction)과 넙다리뒤근육(hamstring muscle)의 편심성수축(eccentric contraction)을 훈련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 이동하는 시트(120)를 통해 보다 쉽게 몸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되면 발이 후방에 위치하게 되어 대칭적 서기 자세(standing posture)를 훈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3)

  1. 바퀴를 구비하고, 상부에 팔걸이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대하여 상대이동하게 형성되는 시트;
    상기 시트에 대해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시트와 상기 거치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는 피니언 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와 상기 거치부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래크가 형성되어, 상기 시트의 이동거리와 상기 거치부의 이동거리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와 상기 거치부는 각각 가이드 레일과 돌기를 구비하여 서로의 이동방향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
KR1020170014497A 2017-02-01 2017-02-01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 KR101893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497A KR101893288B1 (ko) 2017-02-01 2017-02-01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497A KR101893288B1 (ko) 2017-02-01 2017-02-01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931A true KR20180089931A (ko) 2018-08-10
KR101893288B1 KR101893288B1 (ko) 2018-08-31

Family

ID=6322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497A KR101893288B1 (ko) 2017-02-01 2017-02-01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2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183U (ja) * 2008-12-31 2009-03-12 株式会社前島工業所 車椅子
KR101496587B1 (ko) * 2013-12-26 2015-02-2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식 시트를 갖는 휠체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8560A (en) * 1991-11-06 1994-06-07 Surgical Technologies, Inc. Laser delivery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183U (ja) * 2008-12-31 2009-03-12 株式会社前島工業所 車椅子
KR101496587B1 (ko) * 2013-12-26 2015-02-2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식 시트를 갖는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288B1 (ko)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umagne et al. Proprioceptive weighting changes in persons with low back pain and elderly persons during upright standing
Brumagne et al. Altered postural control in anticipation of postural instability in persons with recurrent low back pain
Boonsinsukh et al. Light touch cue through a cane improves pelvic stability during walking in stroke
Tanabe et al. Wearable Power-Assist Locomotor (WPAL) for supporting upright walking in persons with paraplegia
Raja et al. Coordination of the non-paretic leg during hemiparetic gait: expected and novel compensatory patterns
Jeon et al. Muscle activity and balance control during sit-to-stand across symmetric and asymmetric initial foot positions in healthy adults
Vuillerme et al. Effect of light finger touch on postural sway after lower-limb muscular fatigue
Cacciatore et al. Prolonged weight-shift and altered spinal coordination during sit-to-stand in practitioners of the Alexander Technique
Suteerawattananon et al. Supported treadmill training for gait and balance in a patient with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KR20100041707A (ko) 균형 및 신체 방향 지지 장치
Vaughan-Graham et al. Transitions sit to stand and stand to sit in persons post-stroke: Path of centre of mass, pelvic and limb loading–A pilot study
KR100599467B1 (ko) 편마비 하지 재활 치료용 장치
KR20120062049A (ko) 착석 및 기립의 보조가 가능한 보행보조기구
Porter et al. Older adults prioritize postural stability in the anterior–posterior direction to regain balance following volitional lateral step
KR20140051591A (ko)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
Babič et al. Effects of supportive hand contact on reactive postural control during support perturbations
KR101893288B1 (ko) 뇌졸중 환자용 휠체어
CN211705772U (zh) 一种骨科康复锻炼装置
JP5672616B2 (ja) 身体起立支援支持具付き歩行器
Rougier et al. Postural control in healthy young adults using a double seesaw device
KR20130054537A (ko) 각도 조절 교정테이블
Lee et al. Development of a sit-to-stand assistive device with pressure sensor for elderly and disabled: a feasibility test
KR20120003933U (ko) 재활용 의자
Murata et al. Effects of wheelchair seat-height settings on alternating lower limb propulsion with both legs
Snowdon et al. Perception of vertical and postural control following stroke: a clinical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