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768A -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768A
KR20180089768A KR1020170014503A KR20170014503A KR20180089768A KR 20180089768 A KR20180089768 A KR 20180089768A KR 1020170014503 A KR1020170014503 A KR 1020170014503A KR 20170014503 A KR20170014503 A KR 20170014503A KR 20180089768 A KR20180089768 A KR 20180089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guide
air vent
guide wing
sl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115B1 (ko
Inventor
이영주
김인섭
이영록
이영범
김충열
정대익
임근식
이지원
최재섭
김원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115B1/ko
Priority to US15/800,445 priority patent/US10792981B2/en
Priority to CN201711083460.5A priority patent/CN108372770B/zh
Publication of KR20180089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64Detail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 구조의 에어벤트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싱글 가로윙 이외에, 싱글 가로윙의 상부 및 하부 위치에 연결링크를 매개로 싱글 가로윙과 연결되는 제1가이드 윙 및 제2가이드 윙을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싱글 가로윙과 함께 제1가이드 윙 및 제2가이드 윙을 상하방향으로 각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실내로 토출되는 에어의 상하방향 풍향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DEVICE FOR ADJUSTING AIR FLOW DIRECTION OF SLIM TYPE AIR 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림형 에어벤트의 에어덕트에 싱글 가로윙 외에 2절링크 윙을 장착하여, 에어의 상하방향 토출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조장치 작동에 의하여 실내로 에어를 토출시키는 에어벤트는 운전석과 조수석 전면 사이의 센터 페시아 패널에 장착되는 센터 에어벤트와, 운전석 및 조수석 전면쪽 크래쉬 패드에 장착되는 사이드 벤트 등을 포함한다.
첨부한 도 1은 기존의 에어벤트 중 센터 에어벤트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1에서 보듯이, 에어덕트(10)의 출구에 복수의 가로윙(11) 및 세로윙(12)이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의 가로윙(11) 중 하나에는 가로윙(11)의 상하각도 및 세로윙(12)의 좌우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풍향조절노브(13)가 장착되며, 또한 에어덕트(10)의 출구 바로 옆쪽 위치에는 댐퍼조절노브(14)가 회전 조작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기존의 에어벤트는 가로윙 및 세로윙의 개수가 각각 최소 6개 이상으로 채택되어 상하 폭이 넓은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실내로 토출되는 에어의 방향을 승객의 신체(하단 : 배꼽, 상단 : 얼굴)쪽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점에서는 문제가 없으나, 에어벤트의 크기가 커서 주변 부품과의 패키지 문제 및 디자인 제약 조건이 많은 단점이 있다.
더욱이, 위와 같은 기존의 에어벤트는 복수의 가로윙 및 세로윙이 외관상 노출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센터 페시아 패널 또는 크래쉬 패드에서 넓은 장착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결국 에어벤트 주변에 배치되는 클러스터 및 AVN 장치 등에 대한 디자인 자유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 실내에 탑재되는 클러스터 및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의 대형화로 인하여, 에어컨 및 히터 작동에 따라 공기를 토출하는 에어벤트(Air vent) 장착 위치가 센터페시아 패널의 하부 영역으로 이동하는 추세에 있고, 특히에어벤트의 외관 디자인이 슬림(slim)한 타입으로 설계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상기 클러스터 및 AVN 장치 등에 대한 디자인 자유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싱글 가로윙만이 외부로 노출되는 슬림형 에어벤트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 슬림형 에어벤트는 기존의 에어벤트에 비하여 좌우길이는 길고 그 상하높이는 낮은 슬림 에어덕트가 적용됨에 따라, 설치 면적을 크게 차지하지 않고, 그에 따라 주변 부품(클러스터 및 AVN 장치 등)에 대한 디자인 자유도를 개선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으나, 슬림 에어덕트의 출구 위치에 싱글 가로윙 만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장착됨에 따라, 실내로 토출되는 에어의 흐름방향을 상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슬림 구조의 에어벤트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싱글 가로윙 이외에, 싱글 가로윙의 상부 및 하부 위치에 연결링크를 매개로 싱글 가로윙과 연결되는 제1가이드 윙 및 제2가이드 윙을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싱글 가로윙과 함께 제1가이드 윙 및 제2가이드 윙을 상하방향으로 각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실내로 토출되는 에어의 상하방향 풍향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림 에어덕트의 출구 위치에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싱글 가로윙; 상기 싱글 가로윙과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싱글 가로윙의 상부 및 하부 위치에 각각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1가이드 윙; 상기 제1가이드 윙의 후단부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슬림 에어벤트의 내부 안쪽에 배치되어, 제1가이드 윙의 상하 각회전시 함께 상하로 연동하는 제2가이드 윙; 및 상기 싱글 가로윙과 제1가이드 윙 및 제2가이드 윙을 하나로 연결하여, 싱글 가로윙의 상하 각회전시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 윙을 상하로 연동시키는 연결링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싱글 가로윙은 양측면 전단 위치에 슬림 에어벤트의 내벽면에 체결되는 제1힌지핀이 형성되고, 양측면 후단 위치에는 연결링크에 체결되는 제2연결핀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슬림 에어덕트의 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싱글 가로윙의 중간 부분에는 싱글 가로윙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제1가이드 윙은 양측면 전단 위치에 슬림 에어벤트의 내벽면에 체결되는 제2힌지핀이 형성되고, 양측면 후단 위치에는 연결링크에 체결되는 제2연결핀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싱글 가로윙의 상부 및 하부 위치에 각각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가이드 윙은 슬림 에어벤트의 바깥쪽에 장착되는 가니쉬 또는 전면패널과 전후로 일치되게 배치되어, 가니쉬 또는 전면패널에 의하여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제2가이드 윙은 양측면 전단 위치에 연결링크에 체결되는 제3연결핀이 형성되고, 양측면 후단 위치에는 슬림 에어벤트의 내벽면에 체결되는 제3힌지핀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제1가이드 윙의 후부 위치에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가이드 윙의 제3힌지핀은 슬림 에어벤트의 내벽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에 각회전 및 직선 이송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2가이드 윙의 제3힌지핀은 슬림 에어벤트의 내벽면에서 소정의 한 지점에 각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연결링크는: 싱글 가로윙의 제1연결핀이 삽입 체결되는 제1연결홀과, 제1가이드 윙의 제2연결핀이 삽입 체결되는 제2연결홀이 상하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상단 및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후방으로 수평 연장되고, 제3연결핀이 삽입 체결되도록 제3연결홀이 형성된 수평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바의 제3연결홀은 전후방향으로 길다란 슬롯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바는 슬롯의 전후길이만큼 그 길이가 더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슬림 에어벤트의 출구에 장착된 싱글 가로윙을 상하로 각회전시키는 조작력에 의하여 싱글 가로윙의 상하 이격된 위치에 장착된 제1가이드 윙과, 제1가이드 윙의 후미에 연결되는 제2가이드 윙이 연동하면서 상하로 각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실내로 토출되는 에어의 상하방향 풍향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둘째, 싱글 가로윙 외에 2절 링크와 같은 제1 및 제2가이드 윙이 상하로 각회전함에 따라, 에어의 상방향 토출각 및 하방향 토출각 범위가 증가하여, 실내에 대한 에어의 상하 방향 토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에어벤트 배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면부호 100은 슬림 에어덕트를 지시한다.
상기 슬림 에어덕트(100)는 기존 에어벤트의 덕트에 비하여 좌우길이는 길고 그 상하높이는 낮은 구조로 구비됨에 따라, 센터 페시아 패널 또는 크래쉬 패드 등에 장착되는 클러스터 및 AVN 장치 등의 설치 공간을 기존 대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고, 클러스터 및 AVN 장치 등에 대한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슬림 에어덕트(100)의 출구 위치에 싱글 가로윙(110)만이 상하방향으로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상기 슬림 에어덕트(100)의 출구 위치에 싱글 가로윙(110)만이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됨에 따라, 외관상 심플한 심미감을 표출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120은 세로윙을 지시하는 바, 이 세로윙은 좌우방향 풍향 조절을 위함 별도의 메카니즘(미도시됨)에 의하여 좌우로 각회전하는 동작을 하게 되며, 그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슬림 에어벤트(10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싱글 가로윙(110) 이외에, 싱글 가로윙(110)의 상부 및 하부 이격된 위치에 2절링크 윙으로서 상호 연결된 제1가이드 윙(210) 및 제2가이드 윙(220)을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싱글 가로윙과 함께 제1가이드 윙 및 제2가이드 윙이 상하방향으로 각회전하는 동작에 의하여 실내로 토출되는 에어의 상하방향 풍향(= 에어의 상하방향 토출각도)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를 실시예별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제1실시예
첨부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에서, 도면부호 110은 싱글 가로윙을 지시한다.
상기 싱글 가로윙(110)은 슬림 에어벤트(100)의 출구 위치에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부(차량 실내쪽)로 노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싱글 가로윙(110)은 양측면 전단 위치에 슬림 에어벤트의 내벽면에 체결되는 제1힌지핀(112)이 형성되고, 양측면 후단 위치에는 연결링크(300)에 체결되는 제2연결핀(114)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이에, 상기 제1힌지핀(112)이 슬림 에어덕트(100)의 출구 위치에서의 내측벽면에 힌지 체결됨으로써, 싱글 가로윙(110)이 슬림 에어벤트(100)의 출구 위치에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싱글 가로윙(110)의 중간 부분에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싱글 가로윙(110)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116)가 장착된다.
특히, 상기 싱글 가로윙(110)의 상부 및 하부 이격된 위치에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가이드 윙(210)이 각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가이드 윙(210)은 양측면 전단 위치에 슬림 에어벤트(100)의 내측벽면에 체결되는 제2힌지핀(212)이 형성되고, 양측면 후단 위치에는 연결링크(300)에 체결되는 제2연결핀(214)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이에, 상기 제2힌지핀(212)이 슬림 에어덕트(100)의 내측벽면에 힌지 체결됨으로써, 제1가이드 윙(210)이 싱글 가로윙(110)의 상부 및 하우 이격된 위치에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 윙(210)의 후단부에는 제1가이드 윙의 상하 각회전시 함께 상하로 연동하는 제2가이드 윙(220)이 연결된다.
상기 제2가이드 윙(220)은 제1가이드 윙(21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 전단 위치에 연결링크(300)에 체결되는 제3연결핀(224)이 형성되고, 양측면 후단 위치에는 슬림 에어벤트(100)의 내측벽면에 체결되는 제3힌지핀(222)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림 에어벤트(100)의 내측벽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길다란 가이드홈(102)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2가이드 윙(220)의 제3힌지핀(222)이 가이드홈(102)내에 각회전 및 직선 이송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고, 제3연결핀(224)이 제1가이드 윙(210)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링크(300)에 각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2가이드 윙(220)이 제1가이드 윙(210)의 상하 각회전시 함께 연동하며 상하로 각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싱글 가로윙(110)과 제1가이드 윙(210) 및 제2가이드 윙(220)은 연결링크(300)에 의하여 하나로 연결되는 상태가 되어, 싱글 가로윙(110)의 상하 각회전시 제1가이드 윙(210) 및 제2가이드 윙(220)이 연결링크(300)에 의하여 연동되며 상하로 각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결링크(300) 싱글 가로윙(110)과 제1가이드 윙(210)을 하나로 연결하는 수직바(310)와, 제2가이드 윙(220)이 연결되는 수평바(32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링크(300)의 수직바(310)에는 싱글 가로윙(110)의 제1연결핀(114)이 삽입 체결되는 제1연결홀(312)과, 제1가이드 윙(210)의 제2연결핀(214)이 삽입 체결되는 한 쌍의 제2연결홀(314)이 상하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수직바(310)의 상단 및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후방으로 수평 연장된 수평바(320)에는 제2가이드 윙(220)의 제3연결핀(224)이 삽입 체결되는 제3연결홀(3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바(310)의 제1연결홀(312)에 싱글 가로윙(110)의 제1연결핀(114)을 각회전 가능하게 삽입 체결하고, 제2연결홀(314)에 제1가이드 윙(210)의 제2연결핀(214)을 각회전 가능하게 삽입 체결하며, 제3연결홀(322)에 제2가이드 윙(220)의 제3연결핀(224)을 각회전 가능하게 삽입 체결함으로써, 싱글 가로윙(110)과 제1가이드 윙(210)과 제2가이드 윙(220)이 연결링크(300)에 의하여 하나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싱글 가로윙(110)과 제1가이드 윙(210)과 제2가이드 윙(220)이 연결링크(300)에 의하여 하나로 연결된 상태에서 슬림 에어덕트(100)의 출구 위치에 싱글 가로윙(110)이 각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싱글 가로윙(110)의 상하 이격된 위치에 제1가이드 윙(210)이 각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가이드 윙(210)의 후단부 위치에 제2가이드 윙(220)이 각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 윙(210)은 슬림 에어벤트(100)의 바깥쪽에 장착되는 가니쉬 또는 전면패널(400)과 전후로 일치되게 배치되어, 미관상 가니쉬 또는 전면패널(400)에 의하여 가려지는 히든 구조를 이루게 되며, 이에 싱글 가로윙(110) 만이 실내쪽으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림 에어벤트의 상하방향 풍향 조절을 위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림 에어벤트의 상방향 풍향 조절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하방향 풍향 조절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가 조작노브(116)을 잡은 상태에서 싱글 가로윙(110)을 전단 위치의 제1힌지핀(112)을 중심으로 각회전시킴으로써, 싱글 가로윙(110)의 후단부가 하방향으로 각회전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싱글 가로윙(110)의 후단부가 하방향 각회전함으로써, 싱글 가로윙(110)의 제1연결핀(114)이 연결된 연결링크(300)가 하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연결링크(300)가 하방향으로 직선 이동됨에 따라, 연결링크(300)의 수직바(310)에 의하여 연결된 제1가이드 윙(210)도 하방향으로 각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제1가이드 윙(210)의 후단부가 전단부의 제2힌지핀(212)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각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싱글 가로윙(110)과 제1가이드 윙(210)은 에어를 상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전단부(실내쪽)는 높고 후단부(에어덕트 내부쪽)는 낮은 사선 배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300)가 하방향 직선 이동할 때, 제1가이드 윙(210)의 후단부에 연결된 제2가이드 윙(220)도 각회전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가이드 윙(220) 중 슬림 에어덕트(100)내의 위쪽에 배치된 제2-1가이드 윙(220-1)의 전단부(제3연결핀(224)이 연결링크(300)의 수평바(320)에 힌지 연결된 부분)가 각회전하는 동시에 제2-1가이드 윙(220-1)의 후단부인 제3힌지핀(222)이 슬림 에어덕트(100)의 가이드홈(102)내에서 각회전하는 동시에 전방으로 직선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제2가이드 윙(220) 중 슬림 에어덕트(100)내의 위쪽에 배치된 제2-1가이드 윙(220-1)은 전단부가 낮고 후단부가 높은 사선 배열을 가지면서 에어를 싱글 가로윙(110)과 위쪽의 제1가이드 윙(210) 사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제2가이드 윙(220) 중 슬림 에어덕트(100)내의 아래쪽에 배치된 제2-2가이드 윙(220-2)의 전단부(제3연결핀(224)이 연결링크(300)의 수평바(320)에 힌지 연결된 부분)가 각회전하는 동시에 제2-2가이드 윙(220-2)의 후단부인 제3힌지핀(222)이 슬림 에어덕트(100)의 가이드홈(102)내에서 각회전하는 동시에 후방으로 후진하는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2가이드 윙(220) 중 슬림 에어덕트(100)내의 아래쪽에 배치된 제2-2가이드 윙(220-2)은 전단부가 높고 후단부가 낮은 사선 배열을 이루게 되어, 제1가이드 윙(210)와 거의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게 됨으로써, 에어를 싱글 가로윙(110)과 아래쪽의 제1가이드 윙(210) 사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가 제2-1가이드 윙(220-1)과 제2-2가이드 윙(2-2)의 안내를 받으면서 싱글 가로윙(110)과 제1가이드 윙(210)의 사이공간을 통해 실내로 상향 토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실내에 대한 에어의 하방향 토출 동작은 첨부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고, 상기한 상방향 토출 동작과 반대로 이루어질 뿐 상방향 토출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에어의 하방향 토출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
첨부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에서, 도면부호 110은 싱글 가로윙을 지시한다.
상기 싱글 가로윙(110)은 슬림 에어벤트(100)의 출구 위치에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부(차량 실내쪽)로 노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싱글 가로윙(110)은 양측면 전단 위치에 슬림 에어벤트의 내벽면에 체결되는 제1힌지핀(112)이 형성되고, 양측면 후단 위치에는 연결링크(300)에 체결되는 제2연결핀(114)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이에, 상기 제1힌지핀(112)이 슬림 에어덕트(100)의 출구 위치에서의 내측벽면에 힌지 체결됨으로써, 싱글 가로윙(110)이 슬림 에어벤트(100)의 출구 위치에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싱글 가로윙(110)의 중간 부분에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싱글 가로윙(110)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116)가 장착된다.
특히, 상기 싱글 가로윙(110)의 상부 및 하부 이격된 위치에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가이드 윙(210)이 각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가이드 윙(210)은 양측면 전단 위치에 슬림 에어벤트(100)의 내측벽면에 체결되는 제2힌지핀(212)이 형성되고, 양측면 후단 위치에는 연결링크(300)에 체결되는 제2연결핀(214)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이에, 상기 제2힌지핀(212)이 슬림 에어덕트(100)의 내측벽면에 힌지 체결됨으로써, 제1가이드 윙(210)이 싱글 가로윙(110)의 상부 및 하우 이격된 위치에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 윙(210)의 후단부에는 제1가이드 윙의 상하 각회전시 함께 상하로 연동하는 제2가이드 윙(220)이 연결된다.
상기 제2가이드 윙(220)은 제1가이드 윙(21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 전단 위치에 연결링크(300)에 체결되는 제3연결핀(224)이 형성되고, 양측면 후단 위치에는 슬림 에어벤트(100)의 내측벽면에 체결되는 제3힌지핀(222)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가이드 윙(220)의 제3힌지핀(222)은 슬림 에어벤트(100)의 내측벽면에서 소정의 한 지점에 각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 제2가이드 윙(220)의 제3힌지핀(222)을 체결하기 위하여 슬림 에어덕트(100)의 내측벽면에 전후방향으로 길다란 가이드홈(102)을 형성한 것을 배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싱글 가로윙(110)과 제1가이드 윙(210) 및 제2가이드 윙(220)은 연결링크(300)에 의하여 하나로 연결되는 상태가 되어, 싱글 가로윙(110)의 상하 각회전시 제1가이드 윙(210) 및 제2가이드 윙(220)이 연결링크(300)에 의하여 연동되며 상하로 각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결링크(300) 싱글 가로윙(110)과 제1가이드 윙(210)을 하나로 연결하는 수직바(310)와, 제2가이드 윙(220)이 연결되는 수평바(32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링크(300)의 수직바(310)에는 싱글 가로윙(110)의 제1연결핀(114)이 삽입 체결되는 제1연결홀(312)과, 제1가이드 윙(210)의 제2연결핀(214)이 삽입 체결되는 한 쌍의 제2연결홀(314)이 상하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수직바(310)의 상단 및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후방으로 수평 연장된 수평바(320)에는 제2가이드 윙(220)의 제3연결핀(224)이 삽입 체결되는 제3연결홀(3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바(310)의 제1연결홀(312)에 싱글 가로윙(110)의 제1연결핀(114)을 각회전 가능하게 삽입 체결하고, 제2연결홀(314)에 제1가이드 윙(210)의 제2연결핀(214)을 각회전 가능하게 삽입 체결하며, 제3연결홀(322)에 제2가이드 윙(220)의 제3연결핀(224)을 각회전 가능하게 삽입 체결함으로써, 싱글 가로윙(110)과 제1가이드 윙(210)과 제2가이드 윙(220)이 연결링크(300)에 의하여 하나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바(320)의 제3연결홀(322)은 전후방향으로 길다란 슬롯 형태로 형성되고, 이 슬롯의 길이만큼 수평바의 길이가 더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바(320)의 제3연결홀(322)을 전후로 길다란 슬롯 형태로 형성시킨 이유는 연결링크(300)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 직선 이동시 제2가이드 윙(220)의 각회전 궤적을 보장하여 제2가이드 윙(220)이 제3힌지핀(222)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각회전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에, 상기 수평바(320)의 제3연결홀(322)에 삽입 체결된 제2가이드 윙(220)의 제3연결핀(224)은 제3연결홀(322)내에서 각회전 뿐만 아니라 전후 이송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싱글 가로윙(110)과 제1가이드 윙(210)과 제2가이드 윙(220)이 연결링크(300)에 의하여 하나로 연결된 상태에서 슬림 에어덕트(100)의 출구 위치에 싱글 가로윙(110)이 각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싱글 가로윙(110)의 상하 이격된 위치에 제1가이드 윙(210)이 각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가이드 윙(210)의 후단부 위치에 제2가이드 윙(220)이 각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 윙(210)은 슬림 에어벤트(100)의 바깥쪽에 장착되는 가니쉬 또는 전면패널(400)과 전후로 일치되게 배치되어, 미관상 가니쉬 또는 전면패널(400)에 의하여 가려지는 히든 구조를 이루게 되며, 이에 싱글 가로윙(110) 만이 실내쪽으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림 에어벤트의 상하방향 풍향 조절을 위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림 에어벤트의 상방향 풍향 조절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하방향 풍향 조절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가 조작노브(116)을 잡은 상태에서 싱글 가로윙(110)을 전단 위치의 제1힌지핀(112)을 중심으로 각회전시킴으로써, 싱글 가로윙(110)의 후단부가 하방향으로 각회전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싱글 가로윙(110)의 후단부가 하방향 각회전함으로써, 싱글 가로윙(110)의 제1연결핀(114)이 연결된 연결링크(300)가 하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연결링크(300)가 하방향으로 직선 이동됨에 따라, 연결링크(300)의 수직바(310)에 의하여 연결된 제1가이드 윙(210)도 하방향으로 각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제1가이드 윙(210)의 후단부가 전단부의 제2힌지핀(212)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각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싱글 가로윙(110)과 제1가이드 윙(210)은 에어를 상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전단부(실내쪽)는 높고 후단부(에어덕트 내부쪽)는 낮은 사선 배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300)가 하방향 직선 이동할 때, 제1가이드 윙(210)의 후단부에 연결된 제2가이드 윙(220)도 각회전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가이드 윙(220)의 후단 양측면에 형성된 제3힌지핀(222)이 슬림 에어덕트(100)의 내측벽면에 힌지 체결되고, 전단 양측면에 형성된 제3연결핀(224)이 슬롯 형태를 갖는 연결링크(300)의 제3연결홀(322)에 각회전 및 전후 이송 가능하게 삽입 체결된 상태이므로, 제2가이드 윙(220)의 전단부가 제3힌지핀(222)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각회전을 하게 되고, 제3연결핀(224)이 슬롯 형태인 제3연결홀(322)의 뒤쪽 구간으로 후진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3연결핀(224)이 슬롯 형태인 제3연결홀(322)을 따라 후진함으로써, 제2가이드 윙(220)의 전단부가 제3힌지핀(222)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각회전하는 궤적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가이드 윙(220)은 전단부가 낮고 후단부가 높은 사선 배열을 가지면서 에어를 싱글 가로윙(110)과 제1가이드 윙(210) 사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에어가 제2가이드 윙(220)의 안내를 받으면서 싱글 가로윙(110)과 제1가이드 윙(210)의 사이공간을 통해 실내로 상향 토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실내에 대한 에어의 하방향 토출 동작은 첨부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고, 상기한 상방향 토출 동작과 반대로 이루어질 뿐 상방향 토출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에어의 하방향 토출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싱글 가로윙(110)의 각회전점인 제1힌지핀(112)을 싱글 가로윙(110)의 측면에서 앞쪽에 형성한 이유는 싱글 가로윙(110)이 제1힌지핀(112)을 중심으로 각회전하더라도, 실내에서 싱글 가로윙(110)을 바라 보았을 때 변함없이 일자 배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고, 또한 싱글 가로윙(110)이 좌우측의 더미 가로윙과 서로 일자 배열을 계속 유지하도록 하여 외관상 심플한 심미감을 계속 표출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100 : 슬림 에어덕트
102 : 가이드홈
110 : 싱글 가로윙
112 : 제1힌지핀
114 : 제1연결핀
116 : 조작노브
210 : 제1가이드 윙
212 : 제2힌지핀
214 : 제2연결핀
220 : 제2가이드 윙
220-1 : 제2-1가이드 윙
220-2 : 제2-2가이드 윙
222 : 제3힌지핀
224 : 제3연결핀
300 : 연결링크
310 : 수직바
312 : 제1연결홀
314 : 제2연결홀
320 : 수평바
322 : 제3연결홀
400 : 가니쉬 또는 전면패널

Claims (11)

  1. 슬림 에어덕트의 출구 위치에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싱글 가로윙;
    상기 싱글 가로윙과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싱글 가로윙의 상부 및 하부 위치에 각각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1가이드 윙;
    상기 제1가이드 윙의 후단부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슬림 에어벤트의 내부 안쪽에 배치되어, 제1가이드 윙의 상하 각회전시 함께 상하로 연동하는 제2가이드 윙;
    상기 싱글 가로윙과 제1가이드 윙 및 제2가이드 윙을 하나로 연결하여, 싱글 가로윙의 상하 각회전시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 윙을 상하로 연동시키는 연결링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싱글 가로윙은,
    양측면 전단 위치에 슬림 에어벤트의 내벽면에 체결되는 제1힌지핀이 형성되고, 양측면 후단 위치에는 연결링크에 체결되는 제2연결핀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슬림 에어덕트의 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싱글 가로윙의 중간 부분에는 싱글 가로윙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 윙은,
    양측면 전단 위치에 슬림 에어벤트의 내벽면에 체결되는 제2힌지핀이 형성되고, 양측면 후단 위치에는 연결링크에 체결되는 제2연결핀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싱글 가로윙의 상부 및 하부 위치에 각각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 윙은 슬림 에어벤트의 바깥쪽에 장착되는 가니쉬 또는 전면패널과 전후로 일치되게 배치되어, 가니쉬 또는 전면패널에 의하여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 윙은,
    양측면 전단 위치에 연결링크에 체결되는 제3연결핀이 형성되고, 양측면 후단 위치에는 슬림 에어벤트의 내벽면에 체결되는 제3힌지핀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제1가이드 윙의 후부 위치에 상하 각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 윙의 제3힌지핀은 슬림 에어벤트의 내벽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에 각회전 및 직선 이송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 윙의 제3힌지핀은 슬림 에어벤트의 내벽면에서 소정의 한 지점에 각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싱글 가로윙의 제1연결핀이 삽입 체결되는 제1연결홀과, 제1가이드 윙의 제2연결핀이 삽입 체결되는 제2연결홀이 상하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상단 및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후방으로 수평 연장되고, 제3연결핀이 삽입 체결되도록 제3연결홀이 형성된 수평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의 제3연결홀은 전후방향으로 길다란 슬롯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는 슬롯의 전후길이만큼 그 길이가 더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KR1020170014503A 2017-02-01 2017-02-01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KR102274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503A KR102274115B1 (ko) 2017-02-01 2017-02-01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US15/800,445 US10792981B2 (en) 2017-02-01 2017-11-01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flow direction in slim-type air vent for vehicle
CN201711083460.5A CN108372770B (zh) 2017-02-01 2017-11-07 用于控制车辆的细长型通气孔中空气流动方向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503A KR102274115B1 (ko) 2017-02-01 2017-02-01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768A true KR20180089768A (ko) 2018-08-09
KR102274115B1 KR102274115B1 (ko) 2021-07-06

Family

ID=6297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503A KR102274115B1 (ko) 2017-02-01 2017-02-01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92981B2 (ko)
KR (1) KR102274115B1 (ko)
CN (1) CN10837277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038A1 (ko) * 2019-12-11 2021-06-1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슬림형 에어벤트
US11820205B2 (en) 2021-04-01 2023-11-21 Hyundai Motor Company Slim air vent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2616A1 (de) * 2017-06-08 2018-12-13 Illinois Tool Works Inc. Luftausströmer für ein Fahrzeug
KR102394803B1 (ko) * 2017-09-25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장치
KR20200117483A (ko) * 2019-04-04 2020-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벤트 장치
DE102019118243A1 (de) * 2019-07-05 2021-01-07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Luftausströmer
KR20210060276A (ko) * 2019-11-18 2021-05-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코안다 효과를 이용한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KR20210107370A (ko) * 2020-02-24 2021-09-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
KR20210108594A (ko) * 2020-02-26 2021-09-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
JP7460443B2 (ja) 2020-05-14 2024-04-02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風向調整装置
US11440377B2 (en) * 2020-05-19 2022-09-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register having a vane linking member coupled to a grommet for use in effort gener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10857A1 (de) * 2006-01-19 2007-07-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usströmdüse mit Lamellen
JP4946946B2 (ja) * 2008-03-28 2012-06-06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JP5864233B2 (ja) * 2011-12-01 2016-02-17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4607B2 (ja) * 2004-04-14 2009-07-29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の操作機構
JP4816381B2 (ja) * 2006-09-29 2011-11-16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DE102011115178B4 (de) * 2011-09-28 2014-10-09 Audi Ag Luftausströmer eines Lüftungs- und Heizungsmoduls für Kraftfahrzeuge mit einer Umschaltung zwischen einer Spotstellung und einer Diffusstellung
JP6012131B2 (ja) * 2011-10-28 2016-10-25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
DE102011120915B4 (de) * 2011-12-12 2013-09-12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Luftausströmer
CN205149454U (zh) * 2015-12-08 2016-04-13 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机动车的出风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10857A1 (de) * 2006-01-19 2007-07-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usströmdüse mit Lamellen
JP4946946B2 (ja) * 2008-03-28 2012-06-06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JP5864233B2 (ja) * 2011-12-01 2016-02-17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038A1 (ko) * 2019-12-11 2021-06-1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슬림형 에어벤트
US11820205B2 (en) 2021-04-01 2023-11-21 Hyundai Motor Company Slim air vent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72770B (zh) 2022-11-25
US20180215238A1 (en) 2018-08-02
KR102274115B1 (ko) 2021-07-06
CN108372770A (zh) 2018-08-07
US10792981B2 (en) 202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9768A (ko)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KR102429172B1 (ko)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KR102394803B1 (ko)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장치
KR20180072186A (ko)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장치
KR102552157B1 (ko) 자동차용 전동식 에어벤트 장치
JP6417188B2 (ja) 車両のデフロスタ構造
US20100304655A1 (en) Air conditioning register
EP0719665B1 (en) Air conditioner duct
KR20210059459A (ko)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KR20210108594A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
US10166840B2 (en) Auxiliary air distribution system for use in a vehicle
JP6402003B2 (ja) 車両のデフロスタ構造
CN212373109U (zh) 车辆的室内装饰结构
CN110271379A (zh) 风道总成和仪表板总成
KR20210121465A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
CN208306312U (zh) 风道总成和仪表板总成
US11906194B2 (en) Air vent assembly
WO2021118038A1 (ko) 자동차의 슬림형 에어벤트
KR102498833B1 (ko) 자동차의 슬림형 에어벤트
KR20210107370A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
KR102574918B1 (ko)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EP3626493B1 (en) Air vent for a vehicle
CN114222675A (zh) 用于车辆的通风设备及用于对车辆的客舱通风的方法
JP2008195117A (ja) 車両用空調装置
US11919370B2 (en) Air-guiding device for an interior of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