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422A - 조사 장치 - Google Patents

조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422A
KR20180089422A KR1020187015633A KR20187015633A KR20180089422A KR 20180089422 A KR20180089422 A KR 20180089422A KR 1020187015633 A KR1020187015633 A KR 1020187015633A KR 20187015633 A KR20187015633 A KR 20187015633A KR 20180089422 A KR20180089422 A KR 20180089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wavelength
eyeball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5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9025B1 (ko
Inventor
가즈오 쓰보타
가즈노 네기시
히데마사 도리이
도시히데 구리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쓰보타 라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쓰보타 라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쓰보타 라보
Publication of KR20180089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61N2005/0648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the light being directed to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1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ultravio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과제] 안구를 향하여 조사하는 광의 작용에 의해 근시를 예방 또는 근시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이 가능한 조사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광원(1)과 그 광원(1)을 장착하는 기구(2)를 포함하는 조사 장치(10)로서, 광원(1)은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을 적어도 발하고, 또한 기구(2)를 장착했을 때 안구 방향으로 조사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안구의 표면으로부터 0㎜ 이상 100㎜ 이하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이 때,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의 방사 조도가, 기구(2)를 장착했을 때의 안구 표면에서 0.02W/㎡ 이상, 1.0W/㎡ 이하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사 장치
본 발명은 안구(眼球)를 향하여 광을 조사(照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안구를 향하여 조사하는 광의 작용에 의해, 근시를 예방하는 것 또는 근시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 등이 가능한 신체 장착용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시의 인구는 여전히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근시의 발생을 예방하는 수단이나 근시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수단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1에는, 태양광을 쪼이는 것에 의한 근시의 억제에 관한 기술이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 2에는, 태양광을 쪼이는 것에 의한 체내시계의 개선에 관한 기술이 있다.
비특허문헌 1 : Ian Morgan, Enviro㎚ental Health Perspectives, Vol.122, No.1, Jan., 2014. 비특허문헌 2 : 하토리 메구미(羽鳥惠), 쓰보타 가즈오(坪田一男), 안티·에이징 의학-일본 항가령(抗加齡) 의학회 잡지, Vol.11, No.3, 065(385)-072(392). 비특허문헌 3 : Lisa A. Jones, Loraine T.Sinnott, Donald O. Mutti, Gladys L. Mitchell, Melvin L. Moeschberger, and Karla Zadnik,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Vol.48, No.8, Aug., 2007.
최근, 눈에 태양광(특히 자외선 등)을 가능한 한 들어가지 않게 하는 선글라스나 콘택트렌즈 등이 시판되고 있다. 또한, 가옥이나 차량에 있어서도, 자외선을 가능한 한 투과시키지 않는 유리 등의 투과 부재가 채용되는 케이스가 있다. 또한, 실내에서 사용하는 형광등이나 LED에 있어서도, 자외선을 가능한 한 발하지 않는 것이 시판되고 있다.
상기의 선글라스나 콘택트렌즈 등에 있어서는, 눈에 악영향이 있다고 하는 315㎚ 이하의 파장의 광을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315㎚ 이하의 파장의 광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른바 UVB(280∼315㎚ 파장의 광)이나 UVC(100∼280㎚ 파장의 광)라 불리는 광이 있다. 또한, 유리 등의 투과 부재에 있어서는, 실내 가구의 퇴색이나, 피부의 그을림 등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지금까지, 근시의 억제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는 과정에서, 태양광에 포함되는 광범위한 파장 중에서, 특정한 파장 범위 내의 광을 안구에 조사하는 것에 의해, 시력 저하의 억제 가능성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어느 파장 범위 내의 광을 안구에 조사하면 근시의 예방 또는 근시의 진행 등의 억제에 의해 효과적인지를 연구한 성과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안구를 향하여 조사하는 광의 작용에 의해 근시를 예방하는 것 또는 근시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 등이 가능한 신체 장착용 조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조사 장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장착하는 기구를 포함하는 조사 장치로서, 상기 광원은,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을 적어도 발하고, 또한 상기 기구를 장착했을 때 안구 방향으로 조사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광원이 안구의 표면으로부터 0㎜ 이상 100㎜ 이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구를 신체에 장착했을 때 안구 방향으로 조사하는 위치에 광원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광원으로부터 발하는 광을 안구에 적절하게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광원은, 상기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을 적어도 발하고, 또한 안구의 표면으로부터 0㎜ 이상 100㎜ 이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안구를 향하여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고, 조사하는 광의 작용에 의해 근시를 예방하는 것 또는 근시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조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440㎚ 이상 480㎚ 이하의 파장의 광을 더 발하거나, 또는, 440㎚ 이상 480㎚ 이하의 파장의 광을 발하는 다른 광원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조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적색광, 근적외광 및 원적외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광을 더 발하거나, 또는, 적색광, 근적외광 및 원적외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광을 발하는 다른 광원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조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백색광을 더 발하거나, 또는, 백색광을 발하는 광원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조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의 방사 조도가, 상기 기구를 장착했을 때의 안구 표면에서 0.02W/㎡ 이상, 1.0W/㎡ 이하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조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구가 안경, 모자 또는 귀걸이 도구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조사 장치에 의하면, 안구를 향하여 조사하는 광의 작용에 의해 근시를 예방하는 것 또는 근시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 등이 가능한 신체 장착용 조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관한 조사 장치의 하나의 예(안경형)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본 발명에 관한 조사 장치의 하나의 예(모자형)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본 발명에 관한 조사 장치의 하나의 예(귀걸이형)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 본 발명에 관한 조사 장치의 하나의 예(안구 장착형)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실험 1에서 사용한 자색 형광등의 광의 분광 방사 조도와 파장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실험 1에 있어서, 자색광을 조사한 병아리와 자색광을 조사하지 않은 병아리의 안축(眼軸) 길이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실험 3에서 사용한 안경형 조사 장치의 예이며, (a)는 LED를 외단(外端) 측에 설치한 예이고, (b)는 LED를 중간에 설치한 예이며, (c)는 LED를 내단(內端) 측에 설치한 예이다.
[도 8] 실험 3에서 사용한 광원의 광 스펙트럼이다.
[도 9]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의 발광 소자와, 백색광의 발광 소자를 구비한 조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을 발광 소자와, 백색광의 발광 소자를 구비한 조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조사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요지를 포함하는 한 이하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태양(態樣)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조사 장치(10)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1)과, 그 광원(1)을 장착하는 기구(2)를 포함하고 있다. 광원(1)은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4)을 적어도 발하는 것이고, 광원(1)은 기구(2)를 장착했을 때 안구 방향 A로 조사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 광원(1)은, 안구의 표면으로부터 0㎜ 이상 100㎜ 이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사 장치(10)는, 기구(2)를 장착했을 때 안구 방향 A로 조사하는 위치에 광원(1)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광원(1)으로부터 발하는 광(4)을 안구(3)에 적절하게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광원(1)은, 상기 범위 내의 파장의 광(4)을 적어도 발하고, 또한 안구의 표면으로부터 0㎜ 이상 100㎜ 이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안구를 향하여 정확하게 또한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고, 조사하는 광의 작용에 의해 근시를 예방하는 것 또는 근시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 등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조사 장치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원에 있어서, 「광」이란 전자파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광」을 「전자파」로 바꾸어도 동일한 의미이다.
(기구)
기구(2)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1)을 장착하는 것이다. 상기 기구(2)에 광원(1)이 장착되는 것에 의해, 광원(1)으로부터 발한 광(4)이 안구(3)를 향한다. 기구(2)로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안경테를 바람직하게 예로 들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경테 이외의 기구(2)로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모자형 기구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귀걸이형 기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안구(3)에 직접 장착하는 콘택트형 기구여도 된다. 어떠한 기구(2)라도, 눈에 가까운 얼굴, 머리, 귀 등에 대고, 광원(1)으로부터 발한 광(4)을 안구(3)의 방향 A를 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것이면, 기구(2)는 도 1∼도 4에 예시한 것 이외라도 된다.
이러한 형태의 기구(2)에 의해, 그 기구(2)를 사람이 장착했을 때, 안구 방향 A로 조사하는 위치에 광원(1)을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광원(1)으로부터 발하는 광(4)을 안구(3)에 적절하게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구(2)에 장착한 광원(1)을, 안구(3)의 표면으로부터 0㎜ 이상 100㎜ 이하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구(3)의 표면으로부터 0㎜란, 예를 들면 광원을 안구(3)에 직접 장착하는 콘택트형 장착 기구의 경우를 가리키고 있다. 이러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안구를 향하여 정확하게 또한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고, 조사하는 광의 작용에 의해 근시를 예방하는 것 또는 근시의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안구(3)의 표면으로부터 100㎜ 이하로 한 것은, 100㎜을 초과하는 위치에 배치한 경우, 얼굴이나 머리로부터 광원(1)이 멀어져 버려, 안구에 대한 조사의 정밀도가 저하되고, 또한 방해될 우려가 있고, 광원(1)의 선택의 폭이 더 감소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광원)
광원(1)은 기구(2)를 사람이 장착했을 때, 광(4)을 안구 방향 A로 조사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광원(1)을 배치하는 위치는, 기구(2)의 형태에 따라 상이하고, 예를 들면, 도 1의 안경형 기구에서는 프레임에 광원(1)을 설치할 수 있다. 프레임에 설치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광원(1)을 프레임의 전체 주위에 설치해도 되고, 프레임 상측[톱 림(top rim) 측], 프레임 외단 측(템플 측), 프레임 내단 측(브리지 측), 프레임 하측[언더 림(under rim) 측]의 사방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도 2의 모자형 기구에서는, 모자의 칼라 등에 광원(1)을 설치할 수 있다. 도 3의 귀걸이형 기구에서는, 귀로부터 연장되는 암부에 광원(1)을 설치할 수 있다. 도 4의 안구에 대한 콘택트형 기구에서는, 그 기구와 일체형의 광원(1)으로 해도 된다.
광원(1)으로부터 발하는 광(4)은,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이다. 상기 범위 내의 파장의 광(4)을 안구(3)에 조사하는 것에 의해, 근시를 예방하는 것 또는 근시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 등이 가능하다.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이란, 파장이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이면 된다. 예를 들면, 350∼380㎚의 광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360∼390㎚의 광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370∼400㎚의 광이어도 된다. 물론, 350∼400㎚의 광이어도 된다.
또한, 그러한 광(4)은,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을 적어도 포함하여 근시를 예방(발생을 억제함) 또는 근시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면, 350㎚ 이상 400㎚ 이하의 파장 범위 내에 피크를 가지는 광 스펙트럼의 광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350㎚ 이상 400㎚ 이하의 파장 범위 내에 피크를 가지고 있지 않은 광 스펙트럼의 광이어도 된다. 그리고, 「350㎚ 이상 400㎚ 이하의 파장 범위 내에 피크를 가짐」이란, 예를 들면, 파장 365㎚에 피크를 가지는 광 스펙트럼의 광이어도 되고, 380㎚에 피크를 가지는 광 스펙트럼의 광이어도 된다. 또한, 「350㎚ 이상 400㎚ 이하의 파장 범위 내에 피크를 가지고 있지 않음」이란, 예를 들면, 파장 400㎚ 초과의 파장에 피크를 가지는 광 스펙트럼의 광이,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에서도 광을 발하는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350㎚ 미만의 파장에 피크를 가지는 광 스펙트럼의 광은, 눈에 악영향이 있다고 하는 315㎚ 이하의 광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4)은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만이어도 된다. 이 경우, 350㎚ 이상 400㎚ 이하의 파장 범위 외(350㎚ 미만의 파장의 광이나, 400㎚ 초과의 광)의 광이 조금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조금」이란, 후술하는 방사 조도보다 상당히 작은 노이즈로서 포함되는 태양이나, 광 스펙트럼의 저변 부분으로서 겨우 포함되는 태양을 들 수 있다. 그 정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근시의 예방(발생을 억제함) 또는 근시 진행의 억제에 기여하지 않는 정도의 광이며,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광량의 10% 미만 정도라고 할 수 있다.
비특허문헌 3에는, 주 14시간 이상의 옥외 활동은 근시의 발증 확률을 크게 낮춘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옥외의 어떠한 활동이 근시의 발증 확률을 낮추고 있는지는 불분명하였다. 예를 들면, 옥외에 있는 것 자체에 의한 경치나 동식물을 보는 등의 부수적인 안구의 움직임이 유효한지, 몸의 움직임이 유효한지, 옥외에서의 스트레스 해소가 유효한지, 자연광을 쬐는 환경 요인(가시광선의 강도, 자외선의 강도, 쬐는 시간 등) 중 어느 하나가 유효한지에 대해서는, 종래에는 밝혀지지 않았다. 특히, 근시 예방에 효과가 있는 광의 파장 범위에 관해서는 특정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기구(2)를 안구(3)의 표면으로부터 100㎜ 이하의 소정 위치에 장착했을 때, 안구(3)의 표면에서의 방사 조도에 있어서, 350㎚ 이상 400㎚ 이하의 파장 범위의 적분값으로 0.02W/㎡ 이상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방사 조도는 0.25W/㎡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W/㎡ 이상이다. 이러한 방사 조도의 광(4)을 눈의 표면에 조사함으로써, 그 광(4)의 작용에 의해 근시를 예방하는 것 또는 근시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후술하는 실험 1에서는, 광을 0.25W/㎡ 이상의 방사 조도로 1일 2시간 이상 쪼인다. 이렇게 함으로써, 1일당 눈이 받는 광의 도스량은 1800J/㎡ 이상으로 된다. 그리고, 1일의 조사 시간을 길게 하거나 조사 일수를 길게 하거나 하면, 방사 조도는 0.25W/㎡ 미만이어도 되는 것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0.02W/㎡ 이상이면 된다.
광의 방사 조도에 대해서는 태양광의 분광 방사 조도를 측정하고, 그 태양광의 방사 조도를 기준으로 하여 산정하였다. 예를 들면, 태양광의 350㎚∼400㎚ 파장의 광의 강도(방사 조도)는, 국제 표준 규격 데이터(AM1.5G)를 기초로 한 계산에 의하면 33.3W/㎡이다. 또한, 실측값으로서 예를 들면, 2015년 5월 26일 정오(오전 12시)의 일본 도쿄도 신주쿠구 시나노마치 35 게이오 기주쿠(慶應義塾) 대학 시나노마치 캠퍼스에서의 태양광의 350㎚∼400㎚ 파장의 광의 강도(방사 조도)는 북향 수평 방향으로 1.6W/㎡였다. 이들로부터, 본 발명에 있어서, 북향 수평 방향의 1.6W/㎡의 약 15% 이상(바람직하게는 약 30% 이상)이 바람직하면 판단하고, 광원(1)으로부터 발하는 광(4)의 방사 조도를, 기구(2)를 장착했을 때의 안구(3)의 표면에서 0.25W/㎡ 이상(바람직하게는 0.5W/㎡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1일당 조사 시간을 길게 하면, 방사 조도는 0.25W/㎡ 미만이어도 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0.02W/㎡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사 조도의 광원(1)으로서는, 출시되어 있는 LED 등을 선정하여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탄형 라이트[예를 들면, 니치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Nichia Corporation) 제조의 LED 「NSPU510CS」, 피크 파장: 375㎚]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투과성을 컨트롤할 수 있는 필터 등을 이용하여 방사 조도를 컨트롤할 수 있다. 분광 방사 조도는 분광기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적분값(방사 조도)도 분광 방사 조도를 구하고자 하는 파장 영역에서 적분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그 분광 방사 조도는, 기구(2)를 장착했을 때의 안구(3)의 표면에서의 값으로서 측정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기구(2)에 장착한 광원(1)은 안구(3)의 표면으로부터 0㎜ 이상 100㎜ 이하의 위치에 배치되므로, 그 범위 내에 배치된 광원(1)으로부터의 광(4)이 안구(3)의 위치에 도달하는 위치에서 평가한다.
(다른 파장 영역의 광)
광원(1)으로부터 발하는 광(4)은, 적어도 파장이 350㎚ 이상 400㎚ 이하이면 되므로, 350㎚ 이상 400㎚ 이하의 파장의 광만이어도 되고, 다른 파장 영역의 광을 포함해도 된다. 350㎚ 이상 400㎚ 이하의 파장의 광만인 경우에는, 그 범위의 광만을 발광하는 LED를 채용해도 되고, 다른 파장 영역의 광을 포함하는 광으로부터 350㎚ 이상 400㎚ 이하의 파장의 광 이외의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필터(광흡수 필터)를 이용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400㎚을 초과하는 다른 파장 영역의 광을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광원(1)은 440㎚ 이상 480㎚ 이하의 파장의 광을 더 발하는 것이어도 되고, 또는, 440㎚ 이상 480㎚ 이하의 파장의 광을 발하는 다른 광원을 더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체내 시계 개선 효과를 함께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광원(1)은 적색광, 근적외광 및 원적외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광을 더 발하는 것이어도 되고, 또는, 적색광, 근적외광 및 원적외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광을 발하는 다른 광원을 더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적외 영역의 정의는 여러가지 있지만, 여기서는 가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정의되고 있는 바와 같이, 적색광은 약 600㎚∼약 780㎚ 파장의 광이고, 근적외광은 약 780㎚∼약 3000 내지 4000㎚ 파장의 광이며, 원적외광은 그 이상으로 1000㎛ 이하의 파장의 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화학 분석 분야에서는, 중간 적외광이나 초(超)원적외광의 개념이 더 부가되어, 적색광은 약 740㎚∼약 780㎚ 파장의 광이고, 근적외광은 약 780㎚∼약 1500㎚ 파장의 광이며, 중간 적외광은 약 1500㎚∼약 5600㎚ 파장의 광이고, 원적외광은 약 5600㎚∼약 25000㎚ 파장의 광이며, 초원적외광은 약 25000㎚∼약 1000㎛ 이하의 파장의 광이라고 말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광원(1)은 백색광을 더 발하는 것이어도 되고, 또는, 백색광을 발하는 다른 광원을 더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일례로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발광 소자를 들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발광 소자는,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여기광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와, 백색광을 발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여기광을 발광하는 여기광 발광부(LED)와, 그 여기광 발광부를 덮도록 설치된 적(Red), 녹(Green) 및 청(Blue)의 각각의 형광체로 구성된 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여기광이 형광체에 조사되면 형광체는 적녹청의 3원색으로 구성되는 백색광을 발한다.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여기광)의 일부는 도시한 바와 같이 형광체를 투과한다. 이러한 발광 소자는, 근시 예방 효과를 생기게 하는 광을 포함하는 백색 광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례로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발광 소자를 들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발광 소자는,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와, 백색광을 발하는 RGB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R(적), G(녹) 및 B(청) 각각의 발광부(LED)로 구성된 예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근시 예방 효과를 생기게 하는 광을 포함하는 백색 광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RGB 발광 소자는, 태양광에 가까운 유사적인 백색광을 만들어 낼 수 있어도, 그 백색광 중에는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발광 소자는,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이 발광하고 있고, 이 광은 전체적으로 스펙트럼 폭이 보다 넓고, 태양광에 의해 가까운 백색광(자연광)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발광 소자는, 특히 근시 예방 효과를 가지는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발광한다는 각별한 효과를 생기게 할 수 있다. 백색광은, 도 9 및 도 10에 예시하는 수단에 의해 발광시켜도 되고, 그 이외의 수단에 의해 발광시켜도 된다. 그 이외의 수단의 일례로서는,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여기광에 더하여, 발광 파장을 컨트롤한 R(적색)과 G(녹색)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B는 포함하지 않음)를 들 수 있다.
(조사 장치)
조사 장치(10)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1)과, 그 광원(1)을 장착하는 기구(2)를 포함하고 있지만, 기구(2)로의 광원(1)의 장착은, 접착제로 장착해도 되고, 나사나 체결구에 의해 기계적으로 장착해도 된다. 또한, 광원(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도시하지 않음)은, 기구(2)에 매설 또는 장착한 배터리여도 되고, 다른 위치에 장착한 배터리까지 케이블로 끌어간 것이어도 된다. 또한, 한 군데에서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는, 가정용 전원 등에 접속하는 형태여도 된다.
또한, 광원(1)의 컨트롤러나 타이머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컨트롤러는 방사 조도를 가변시키거나, 안구로의 조사 각도를 조정하거나 하는 기능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타이머 기능은, 광의 방사 조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나 타이머 기능은, 기구(2)와 일체로서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별도의 부재로 해도 된다.
상기 광원(1)을 구비하는 조사 장치(10)는,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4)을 적어도 발하고, 기구(2)를 장착했을 때 안구 방향으로 조사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광원(1)이 안구의 표면으로부터 0㎜ 이상 100㎜ 이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안구(3)를 향하여 정확하게 조사하는 광(4)의 작용에 의해 근시를 예방 또는 근시의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파장에서 소정 광량의 광을 안구에 조사함으로써, 근시 예방(350㎚ 이상 400㎚ 이하의 파장의 광)이나 체내 시계 개선(440㎚ 이상 480㎚ 이하의 파장의 광)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험 1]
병아리에 대한 광의 조사 실험을 행하였다. 광원은, 피크 파장 365㎚의 자색광 형광등과, 통상의 백색 형광등(400㎚ 이하의 광은 발하고 있지 않음)을 사용하였다. 도 5는, 실험 1에서 사용한 자색광 형광등의 광의 분광 방사 조도와 파장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측정은 파이버 멀티 채널 분광기[StellarNet사(미국) 제조, Blue Wave]를 이용하였다. 병아리는, 한쪽 눈을 투명 반구로 덮으면 그 눈(차폐 눈)이 근시화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Seko et. al., Invest. Ophthalmol. Vis. Sci. May, 1995, vol.36, no.6, p.1183-1187 참조). 이에, 생후 6일의 화이트 레그혼종의 병아리의 한쪽 눈을 투명 반구로 덮고, 상기 자색광을 조사하지 않는 비조사군 15마리와, 상기 자색광을 조사한 조사군 15마리로 나누어 실험을 행하였다. 병아리의 눈 높이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평균 방사 조도를 4.12W/㎡로 하고, 1일을 명암 12시간씩으로 하여 7일간 계속하고, 차폐 눈의 근시화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백색 형광등은 양쪽 군 모두에 조사하였다. 투명 반구로 덮지 않은 쪽의 눈을 컨트롤 눈이라 부른다. 도 6은, 실험 1에 있어서, 자색광을 조사한 병아리와 자색광을 조사하지 않은 병아리의 안축 길이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비조사군에 대하여, 13일째(차폐 개시 7일 후)의 차폐 눈의 안축 길이를 측정하였다. 안축 길이의 측정은, US-4000[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NIDEK CO.,LTD.) 제조]을 사용하여 B 모드로 행하였다. 그 결과, 조사군의 차폐 눈의 평균 안축 길이의 변화는, 비조사군의 차폐 눈의 평균 안축 길이의 변화에 비해 유의하게 작아지고 있고, 조사군의 근시의 진행 정도가 비조사군에 비해 작아지고 있었다. 컨트롤군에 있어서도, 동일한 경향이 보였다.
[실험 2]
도 1에 나타내는 안경형 조사 장치를 제작하였다. 안경형 프레임에, 버튼형 라이트(니치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LED 「NSSU123T」, 피크 파장의 측정값 : 373㎚)를 장착하고, 그 방사 조도가 0.25W/㎡로 되도록 전기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관한 조사 장치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광원으로의 전력 공급은, 가정용 교류 전원을 이용하였다.
[실험 3]
도 7에 나타내는 안경형 조사 장치를 제작하였다. 광원은, 니치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LED(「NSSU123T」, 피크 파장의 측정값 : 373㎚)를 렌즈가 없는 프레임에 장착하였다. 도 7의 (a)는 LED를 톱 림(프레임 상측)의 템플 측(프레임 외단 측)에 설치한 예이고, 도 7의 (b)는 LED를 톱 림(프레임 상측)의 중간 위치에 설치한 예이며, 도 7의 (c)는 LED를 톱 림(프레임 상측)의 브리지 측(프레임 내단 측)에 설치한 예이다. 도 8은 광원의 광 스펙트럼이며, 파이버 멀티 채널 분광기[StellarNet사(미국) 제조, Blue Wave]로 측정하였다.
상기 안경형 조사 장치를 마네킹 인형에 장착하고, 안구 표면에서의 방사 조도를 측정하였다. 방사 조도의 측정은, 안구면에 상기 분광기의 프로브를 설치하여 행하였다. 프레임에 설치한 광원(도 7 참조)으로부터 안구까지의 거리는, 도 7의 (a)의 경우에는 약 3cm이고, 도 7의 (b)의 경우에는 약 2cm이며, 도 7의 (c)의 경우에는 약 2.5cm였다. LED로의 인가(印加) 전압과, 그 때의 방사 조도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결과로부터, 0.02W/㎡∼13.5W/㎡의 범위에서 방사 조도를 가변할 수 있는 안경형 조사 장치를 제작할 수 있었다. 상기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바람직한 방사 조도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01
1 : 광원
2 : 기구
3 : 안구
4 : 광
10 : 조사 장치
A : 안구 방향

Claims (6)

  1. 광원 및 상기 광원을 장착하는 기구를 포함하는 조사(照射) 장치로서,
    상기 광원은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을 적어도 발하고, 또한 상기 기구를 장착했을 때 안구(眼球) 방향으로 조사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광원이 안구의 표면으로부터 0㎜ 이상 100㎜ 이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조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440㎚ 이상 480㎚ 이하의 파장의 광을 더 발하거나, 또는, 440㎚ 이상 480㎚ 이하의 파장의 광을 발하는 다른 광원을 더 구비하는, 조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적색광, 근적외광 및 원적외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광을 더 발하거나, 또는, 적색광, 근적외광 및 원적외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광을 발하는 다른 광원을 더 구비하는, 조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백색광을 더 발하거나, 또는, 백색광을 발하는 광원을 더 구비하는, 조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5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의 방사 조도가, 상기 기구를 장착했을 때의 안구 표면에서 0.02W/㎡ 이상, 1.0W/㎡ 이하인, 조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가 안경형인, 조사 장치.
KR1020187015633A 2015-12-02 2016-12-02 조사 장치 KR102639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36171 2015-12-02
JPJP-P-2015-236171 2015-12-02
PCT/JP2016/085903 WO2017094886A1 (ja) 2015-12-02 2016-12-02 照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422A true KR20180089422A (ko) 2018-08-08
KR102639025B1 KR102639025B1 (ko) 2024-02-20

Family

ID=5879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633A KR102639025B1 (ko) 2015-12-02 2016-12-02 조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80280718A1 (ko)
EP (1) EP3384881B1 (ko)
JP (1) JP6175210B1 (ko)
KR (1) KR102639025B1 (ko)
CN (1) CN108289755A (ko)
SG (1) SG11201804718UA (ko)
TW (1) TWI717429B (ko)
WO (1) WO20170948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3898B1 (ja) * 2018-03-21 2020-02-26 株式会社坪田ラボ 非侵襲的角膜又は強膜強化装置
US11213693B2 (en) * 2018-04-27 2022-01-04 Seoul Viosys Co., Ltd. Light source for eye therapy an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same
CN112135589A (zh) * 2018-05-10 2020-12-25 奥克塞拉有限公司 治疗眼睛屈光不正的方法和装置
JP2021529068A (ja) 2018-07-07 2021-10-28 アキュセラ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網膜低酸素症を防止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10512586B1 (en) * 2018-07-12 2019-12-24 Rayer Lavonne Lee System and method for vision rehabilitation therapy
EP3830636A4 (en) 2018-07-30 2022-04-13 Acucela Inc. ELECTRONIC CONTACT LENS OPTICAL DESIGNS TO SLOW THE PROGRESSION OF MYOPIA
EP3830637A1 (en) * 2018-07-31 2021-06-09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systems, spectacle lens and eyewear including the same
KR102235252B1 (ko) * 2018-09-27 2021-04-0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근시의 진행을 억제하는 led 조명
JP2020058802A (ja) * 2018-10-09 2020-04-16 株式会社坪田ラボ 近視治療用の装置
JP7396628B2 (ja) 2018-10-17 2023-12-12 東海光学株式会社 画像投影装置、展示装置、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システム
WO2021022193A1 (en) 2019-07-31 2021-02-04 Acucela Inc. Device for projecting images on the retina
JP2022547621A (ja) 2019-09-16 2022-11-14 アキュセラ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近視の進行を阻害するように設計される、電子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のための組立プロセス
JP2021049203A (ja) * 2019-09-25 2021-04-01 株式会社坪田ラボ 内因性リボフラビンに基づく非侵襲的角膜及び強膜強膜の強化装置
CN112657063B (zh) * 2019-10-15 2023-01-31 林纯益 对眼球及其外围组织照明的防近视照明器具
WO2021168481A1 (en) 2020-02-21 2021-08-26 Acucela Inc. Charging case for electronic contact lens
US11801396B1 (en) * 2020-03-10 2023-10-31 Cosmo Haralambidis Wearable device including UVC light source for reduction in virus and bacteria transmission
KR20230003191A (ko) 2020-05-13 2023-01-05 어큐셀라 인코포레이티드 근시 치료를 위한 전자식 스위칭 가능한 안경
CN115698832A (zh) 2020-06-08 2023-02-03 奥克塞拉有限公司 用于治疗散光的非对称投影透镜
AU2021287803A1 (en) 2020-06-08 2022-10-27 Acucela Inc. Stick on devices using peripheral defocus to treat progressive refractive error
US11281022B2 (en) 2020-06-10 2022-03-22 Acucel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refractive error using active stimulation
TWI722945B (zh) * 2020-07-21 2021-03-21 林芸萱 具紅光及近紅外光多波段眼部活化裝置及其操作方法
JP7458276B2 (ja) 2020-09-16 2024-03-29 株式会社東芝 光学装置
FR3114494A1 (fr) * 2020-09-25 2022-04-01 Chwen-Yih Lin Anti-myopie destiné à éclairer les globes oculaires et les tissus environnants par de la lumière qui pénètre dans la peau périorbitaire, le tissu sous-cutané, puis qui passe à travers la cornée, l'iris, l'uvée, la sclère et la choroïde
GB2600713A (en) * 2020-11-05 2022-05-11 Chwen Yih Lin Myopia-preventing illumination apparatus for illuminating eyeballs and surrounding tissues via light that penetrates periorbital skin and subcutaneous tissue,
US11209672B1 (en) 2021-04-06 2021-12-28 Acucela Inc. Supporting pillars for encapsulating a flexible PCB within a soft hydrogel contact lens
US11366341B1 (en) 2021-05-04 2022-06-21 Acucela Inc. Electronic case for electronic spectacles
EP4335493A1 (en) 2022-09-06 2024-03-13 Chwen-Yih Lin Myopia-preventing high intensity illumination apparatus for illuminating eyeballs and surrounding tissue by extra pupillary pathway via light that penetrating periorbital skin, subcutaneous tissue, pass through peripheral cornea, iris, peripheral lens, uvea, sclera, choroid, retinal pigment epithel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6173A1 (en) * 2005-03-14 2006-09-14 Michael Gertner Devices, Methods and Kits for Radiation Treatment via a Target Body Surface
JP2010506601A (ja) * 2006-07-13 2010-03-04 エレカー,サティシュ・ヴイ 光化学的眼球形成術/角膜形成術の方法及び装置
WO2015011652A1 (en) * 2013-07-25 2015-01-29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ight therapy and modifying circadian rhyth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145U (ja) * 1994-02-18 1994-09-20 紀雄 三井 視力回復訓練装置
AU2002952682A0 (en) * 2002-11-14 2002-11-28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A Method or Apparatus for Inhibiting Myopia Developement in Humans
DE502004009305D1 (de) * 2004-02-03 2009-05-20 Iroc Ag Ophtalmologische Vorrichtung
WO2008131343A1 (en) * 2007-04-19 2008-10-30 Mergenet Medical, Inc. Temporal control in phototherapy
US20090192437A1 (en) * 2007-09-24 2009-07-30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Wearable photoactivator for ocular therapeutic applications and uses thereof
GB201104369D0 (en) * 2011-03-15 2011-04-27 English Stuart G Light treatment cartridge
JP6072003B2 (ja) * 2011-04-29 2017-02-01 アフェジ,ファルアドHafezi, Farhad 角膜疾患を治療および/または予防するための装置
WO2012167260A2 (en) * 2011-06-02 2012-12-06 Aved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ime based photo active agent delivery or photo active marker presence
WO2014047517A1 (en) * 2012-09-20 2014-03-27 Myolite, Inc. Protective lighting system
CN203178600U (zh) * 2013-03-13 2013-09-04 潘学龙 脑眼声光近视弱视防治眼镜
CN203705735U (zh) * 2014-01-15 2014-07-09 上海适目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湿房镜
KR102436963B1 (ko) * 2014-06-03 2022-08-25 가부시키가이샤 쓰보타 라보 근시 예방 물품
US20160067087A1 (en) * 2014-09-09 2016-03-10 LumiThera, Inc. Wearable devices and methods for multi-wavelength photobiomodulation for ocular treatments
CN104908482A (zh) * 2015-05-28 2015-09-16 四川新华印刷有限责任公司 一种预防近视的黄色簿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6173A1 (en) * 2005-03-14 2006-09-14 Michael Gertner Devices, Methods and Kits for Radiation Treatment via a Target Body Surface
JP2010506601A (ja) * 2006-07-13 2010-03-04 エレカー,サティシュ・ヴイ 光化学的眼球形成術/角膜形成術の方法及び装置
WO2015011652A1 (en) * 2013-07-25 2015-01-29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ight therapy and modifying circadian rhythm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 Ian Morgan, Enviro㎚ental Health Perspectives, Vol.122, No.1, Jan., 2014.
비특허문헌 2 : 하토리 메구미(羽鳥惠), 쓰보타 가즈오(坪田一男), 안티·에이징 의학-일본 항가령(抗加齡) 의학회 잡지, Vol.11, No.3, 065(385)-072(392).
비특허문헌 3 : Lisa A. Jones, Loraine T.Sinnott, Donald O. Mutti, Gladys L. Mitchell, Melvin L. Moeschberger, and Karla Zadnik,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Vol.48, No.8, Aug., 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84881A4 (en) 2019-01-02
WO2017094886A1 (ja) 2017-06-08
JPWO2017094886A1 (ja) 2017-12-07
TW201726083A (zh) 2017-08-01
EP3384881A1 (en) 2018-10-10
KR102639025B1 (ko) 2024-02-20
SG11201804718UA (en) 2018-07-30
US20180280718A1 (en) 2018-10-04
CN108289755A (zh) 2018-07-17
TWI717429B (zh) 2021-02-01
EP3384881B1 (en) 2019-07-03
JP6175210B1 (ja)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9422A (ko) 조사 장치
JP6677382B2 (ja) 近視予防物品
US10823982B2 (en) Myopia treatment device
US8888829B2 (en) Hand held system for antifungal treatment
NO20064667L (no) Fremgangsmate og anordning for fototerapi
EP2085798A1 (en) Lighting device with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filter for healthy eyes, pseudoaphakic eyes and/or eyes suffering neurodegeneration
KR20180103858A (ko) 광학 부재
US20210001145A1 (en) Controlling myopia in humans
Rabbetts et al. Technical report: solar ultraviolet protection from sunglasses
CN114253002B (zh) 一种控制光束功率分布的装置、方法及系统
Duncan et al. Ocular and facial far‐UVC doses from ceiling‐mounted 222 nm far‐UVC fixtures
EP2257338B1 (de) Vorrichtung zur stabilisierung und modifizierung biologischer rhythmen und zur behandlung von rhythmusstörungen
Martinsons Photobiological safety
JP2020058802A (ja) 近視治療用の装置
US20240184144A1 (en) Electromagnetic waves modulating filter
Sliney Blue light risk and light therapy
CN113842265A (zh) 一种智能双眼单独控制的哺光仪及其控制系统
EP4323817A1 (en) Electromagnetic waves modulating filter
Sliney Light and eye safety
CN103612017A (zh) 激光加工罩
CN112657063A (zh) 对眼球及其外围组织照明的防近视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