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010A -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thereof - Google Patents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010A
KR20180089010A KR1020170013516A KR20170013516A KR20180089010A KR 20180089010 A KR20180089010 A KR 20180089010A KR 1020170013516 A KR1020170013516 A KR 1020170013516A KR 20170013516 A KR20170013516 A KR 20170013516A KR 20180089010 A KR20180089010 A KR 20180089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ottom plate
folding
cooking containe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5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28025B1 (en
Inventor
김재일
Original Assignee
(주)느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느루 filed Critical (주)느루
Priority to KR1020170013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025B1/en
Priority to PCT/KR2017/001018 priority patent/WO2018143485A1/en
Publication of KR20180089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0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0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05D7/58No clear coat spec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ll which has a hollow container shape of a wall surface and is composed of a paper material; a floor plate which is combined to the bottom end of the wall to seal the bottom part of the wall, makes a connection side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extend to the top part of the wall, and is composed of a metal material; and a release paper which is stuck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late to be separable and allows a magnetic substance powder be invaginated at the inside or surface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magnetic substance powder is invaginated at a release paper which performs a function of protecting a product, a cooking container can be heated by an inductive heating type heat source when a release paper is attached. Additionally, a cooking container can be heated by a direct heating type heat source when a release paper is separated. Therefore, provided is a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which adopts a low magnetic material or a nonmagnetic metal material with good ductility like aluminium as a material which constitutes a floor plate, and can be used to be compatible with various heat sources.

Description

일회용 조리 용기 및 그 제조 방법{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THEREOF}[0001]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THEREOF [0002]

본 발명은 유도 가열형 열원 및 직접 가열형 열원에 호환성 있게 사용 가능한 일회용 조리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cooking vessel which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an induction heating type heat source and a direct heating type heat sour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컵라면과 같은 일회용 조리 용기는 용기 내부의 음식물에 뜨거운 물을 부어, 라면과 같은 음식물을 익혀서 먹기 위한 제품이다. 종래 컵라면은 대부분 스티로폼을 다수의 겹으로 형성하여 용기의 벽체를 제조한다. 컵라면 내부의 음식물이 뜨거운 물에 의해서도 쉽게 익을 수 있는 것은, 스티로폼 층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들이 용기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도록 기능하기 때문이다.Generally, disposable cooking vessels such as cup noodles are products for eating food such as ramen by pouring hot water into the food inside the container. Conventionally, the cup noodles are formed into a plurality of folds of styrofoam to produce the wall of the container. The food inside the cup can be easily cooked by hot water because the air layers formed between the styrofoam layers prevent the heat inside the container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그런데, 스티로폼은 벤젠과 같은 발암물질 또는 환경 호르몬을 유발하는 물질을 배출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많은 컵라면 용기들이 종이 재질로 바뀌고 있으며, 종이 재질에 인체에 비교적 안전한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에틸렌(PE) 등의 수지를 코팅하여 컵라면 용기를 생산하고 있다.However, because styrofoam emits a carcinogenic substance such as benzene or a substance that induces environmental hormones, in recent years, many cup noodles have been converted into paper materials, and polypropylene (PP) or polyethylene (PE ) To produce containers for cups.

하지만, 종이 재질의 용기를 사용할 경우 발생되는 문제 중 하나는 스티로폼 용기에 비하여 내부의 열을 가두는 기능이 약하다는 점이다. 이에 많은 사용자들이 컵라면을 전자 레인지 등으로 가열하여 이용하고 있는데, 사용상의 불편함, 장소가 제한적인 점,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발생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one of the problems that arise when using paper containers is that they are less resistant to internal heat than styrofoam containers. Accordingly, many users use cup noodles by heating them with a microwave oven or the like. However, they have problems such as inconvenience in use, limited space, and generation of harmful substances to human body.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9800호는 인덕션 레인지용 일회용 조리용기를 제안하고 있다. 동 선행문헌을 참조하면,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일회용 조리용기 내부 바닥에 자성을 띠는 금속판을 견고하게 부착하여 일회용 조리용기를 인덕션 레인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No. 10-1489800 proposes a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for an induction ran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magnetic metal plate is rigi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isposable cooking vessel without using an adhesive harmful to the human body, so that the disposable cooking vessel can be used in the induction range.

그런데, 위 선행문헌의 기술은 밑판을 종이 재질로 형성하고 있어, 인덕션 레인지와 같은 유도 가열형 열원에서는 사용 가능하지만, 가스 레인지 등과 같은 직접 가열형 열원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echnology of the abov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used in a direct heating type heat source such as a gas range, although the base plate is made of paper and can be used in an induction heating type heat source such as an induction range.

또한, 금속판이 밑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인덕션 레인지에서도 열전달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은 연성이 좋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여 용기의 재료로 많이 활용되는데, 그 자성이 다른 금속에 비해 약하여 인덕션 레인지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바, 위 선행문헌에서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합금의 재료를 이용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Further, since the metal plate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is significantly lowered even in the induction range. Further, since metals such as aluminum have good ductility and relatively low cost, they are widely used as materials for containers. However, since their magnetic properties are weaker than those of other metals, they are difficult to use in an induction range. It is difficult to use the material of the metal alloy including the metal allo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9800호Korean Patent No. 10-1489800

본 발명은 유도 가열형 열원 및 직접 가열형 열원에 호환성 있게 사용 가능하면서도, 바닥판의 재료를 자성이 낮은 금속 재료 또는 비자성의 금속 재료로 채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일회용 조리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Disclosed is a disposable cooking vessel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being used as a metal material of low magnetism or a non-magnetic metal material for a bottom plate while being compatible with induction heating type heat source and direct heating type heat sourc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는, 중공 통 형상의 벽면을 가지며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벽체; 상기 벽체의 하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벽체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벽체의 외면에 접합되는 접합 측부가 상기 벽체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금속 재질의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점착되며 내부 또는 표면에는 자성체 분말이 함입되는 이형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comprising: a wall having a hollow cylindrical wall surface and made of a paper material; A metal bottom plat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wall to close a lower portion of the wall and having a joining side join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wall, And a release paper which is detachably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on which the magnetic material powder is embed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는, 상기 벽체의 상단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덮개를 더 포함한다.The disposabl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ver which is invisibly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는, 상기 벽체는 사각형의 평단면을 가지며, 상기 벽체의 하부는 상기 조리 용기가 거치되는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되어 세워지는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의 상부는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접혀지는 접이부를 형성한다.In the disposabl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has a rectangular flat cross sec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wall forms a support portion supported by a bottom surface on which the cooking vessel is mounted, The upper portion of which forms an inwardly folded portion to protect the product received therei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는, 상기 벽체는 상기 지지부의 평단면에 비해 상기 접이부의 평단면이 넓은 면적을 갖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다.In the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has an upper light-tight narrowing shape so that a flat section of the folding section has a larger area than a flat section of the supporting s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는, 상기 벽체의 벽면들 중 상호 대향하는 제1 벽면에는 각각 상기 접이부가 1차로 접혀졌을 때 상호 포개져 상기 벽체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을 보호하는 제1 덮개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벽면들 중 다른 방향에서 상호 대향하는 제2 벽면에는 각각 상기 접이부가 2차로 접혀졌을 때 상기 접이부가 접히는 방향의 반대로 접혀져 상기 접이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제2 덮개 리브가 돌출 형성된다.In the disposabl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wall surface of mutually opposing wall surfaces of the wall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wall portions, which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en the folding portions are folded first, And a second wall surfac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other direction among the wall surfaces is fol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lding portion is folded when the folding portion is folded in the second direction so as to disperse the stress applied to the folding portion, A cover rib is formed to protru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는, 상기 지지부의 각 모서리에 인접하여 상기 모서리부에 둔각을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는 굴곡 접이선이 형성된다.The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bending line that is bent outward to form an obtuse angle in the corner portion adjacent to each corner of the support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는, 상기 벽체의 적어도 일면에는 우레탄 계열의 수지 1차로 코팅하고, 아크릴 계열의 수지를 2차 코팅한다.In the disposabl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ide of the wall is coated with a urethane-based resin primary coating and an acrylic-based resin is coated with the secondary coa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는, 상기 바닥판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상기 벽체의 하단부에는 두께면을 향해 방수성 재료를 코팅한다.In the disposabl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proof material is coated on the lower end of the wall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ward the thickness 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는, 상기 바닥판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판의 내면에는 아크릴 계열의 수지가 코팅된다.In the disposabl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late is made of aluminum or a metal alloy including aluminum, and an acrylic resin is co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은, (a) 중공 통 형상의 벽면을 가지는 종이 재질의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벽체의 하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벽체의 하단에 금속 재질의 바닥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c)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를 상향 절곡하여 접합 측부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접합 측부의 내면을 상기 벽체의 외면에 접합하는 단계; (e)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이형지에 자성체 분말을 함입하는 단계; 및 (f) 상기 이형지를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점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osable food container comprising the steps of: (a) forming a wall made of a paper material having a hollow cylindrical wall; (b) positioning a bottom plate of metal at the bottom of the wall to seal the bottom of the wall; (c) bending the rim of the bottom plate upwardly to form a joining side; (d) joining the inner surface of the joining si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e) embedding magnetic powder into a release pape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f) adhering the release paper separab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은, 상기 단계(a)는, (a-1) 롤 형태의 마더 시트 양면에 우레탄 계열의 수지를 1차 코팅하는 단계; (a-2) 상기 마더 시트의 양면에 아크릴 계열의 수지를 2차 코팅하는 단계; (a-3) 상기 마더 시트 상에 상기 벽체의 외곽 형상을 따라 절단선을 형성하는 단계; (a-4) 상기 절단선을 따라 상기 마더 시트를 절단하는 단계; (a-5) 상기 단계(a-4)에서 절단된 면을 따라 방수성 재료를 코팅하는 단계; 및 (a-6) 상기 벽체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osabl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a) comprises: (a-1) first coating a urethane-based resin on both surfaces of a roll-shaped mother sheet; (a-2) secondary coating an acrylic resin on both sides of the mother sheet; (a-3) forming a cutting line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wall on the mother sheet; (a-4) cutting the mother sheet along the cutting line; (a-5) coating a waterproof material along the cut surface in the step (a-4); And (a-6) assembling the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은, 상기 벽체는 사각형의 평단면을 가지며, 상기 단계(a-3)은, 상기 벽체 하부에서 상기 조리 용기가 거치되는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되어 세워지는 지지부와 상기 벽체 상부에서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접혀지는 접이부 사이에 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접이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osabl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has a rectangular flat cross-section, and the step (a-3) And forming a folding line relatively weaker than the other portion between the supporting portion that is supported and raised and the folding portion that is folded inward to protect the product receiv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wall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은, 상기 벽체는 상기 지지부의 평단면에 비해 상기 접이부의 평단면이 넓은 면적을 갖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osabl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has an upper light-tight narrowing shape such that a flat section of the folding section has a larger area than a flat section of the supporting s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은, 상기 단계(a-3)은 상기 지지부의 각 모서리에 인접하여 상기 모서리부에 둔각을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는 굴곡 접이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osabl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a-3) forms a curved fold line which is adjacent to each corner of the support portion and which is bent outward to form an obtuse angle in the corner portion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은, 상기 바닥판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계(b) 이전에 상기 바닥판의 내면에 아크릴 계열의 수지를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wherein the bottom plate is made of aluminum or a metal alloy containing aluminum, and the step (b)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ating.

본 발명의 일회용 조리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이형지에 자성체 분말을 함입함으로써, 이형지를 붙인 상태에서 유도 가열형 열원으로 조리 용기를 가열할 수 있고, 이형지를 분리한 상태에서 직접 가열형 열원으로 조리 용기를 가열할 수 있음으로써, 바닥판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알루미늄과 같이 연성이 좋지만 자성이 낮은 재료 또는 비자성의 금속 재료로 채택할 수 있고, 다양한 열원에 대하여 호환하여 사용 가능한 일회용 조리 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orporating the magnetic material powder into the release paper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product, it is possible to heat the cooking container with the induction heating type heat source while the release paper is stuck, The cooking vessel can be heated by a direct heating type heat source in one state, so that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bottom plate can be adopted as a material having a good ductility, such as aluminum, or a material having a low magnetic property or a non-magnetic metal material, Thereby providing a usable disposable cooking vess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가 인덕션 레인지에서 사용되는 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가 가스 레인지에서 사용되는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서 벽체의 구조를 예시한 전개도,
도 6은 도 5의 벽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및
도 7 내지 10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포장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mbodiment of FIG. 1 is used in an induction range,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mbodiment of FIG. 1 is used in a gas rang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wall in the embodiment of FIG. 4,
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wall of Figure 5, and
7 to 10 are views illustrating a packaging process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Parts having simila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redundant descriptions and explanations of technique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omitted. Als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a section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described element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는 벽체(100)와, 바닥판(110)과, 이형지(120)로 구성되며, 여기에 벽체(100)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a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ll 100, a bottom plate 110, and a release sheet 120, and a cover 130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wall 100, .

벽체(100)는 중공 통 형상의 벽면을 가지며, 종이 재질로 형성된다. 도 1에서는 벽체(100)가 원통 형상으로 예시되었지만, 벽체(100)는 사각 통 형상이나 기타 다른 다각형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wall 100 has a hollow cylindrical wall surface and is formed of a paper material. Although the wall 100 is illustrated as a cylindrical shape in FIG. 1, the wall 1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or other polygonal cylindrical shape.

벽체(100)의 하부에는 바닥판(110)이 결합된다. 바닥판(110)은 벽체(100)의 하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어, 바닥판(110)의 상면이 용기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바닥판(110)은 금속 재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된다. 바닥판(110)은 가스 레인지와 같은 열원에 의해서 직접 가열 가능하며, 인덕션 레인지와 같은 열원에 의해서 유도 가열 가능한 재료로 선택된다. 하지만, 바닥판(110)이 반드시 높은 자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A bottom plate 11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wall 100. The bottom plate 110 is tight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wall 100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0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the bottom plate 11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preferably a metal alloy containing aluminum or aluminum. The bottom plate 110 is directly heatable by a heat source such as a gas range, and is selected as a material that can be induction-heated by a heat source such as an induction range. However, the bottom plate 110 does not necessarily have high magnetic properties.

이형지(120)는 바닥판(110)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게 점착되는 구성으로, 조리 용기의 운송이나 운반 과정에서 바닥판(11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유도 가열을 조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형지(120)의 일측으로는 이형지(1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122)가 돌출 형성된다.The releasing paper 120 is detachably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0 and functions to protect the bottom plate 110 during transportation and transporta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and to assist in induction heating do. A handle 122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release paper 120 to easily separate the release paper 120.

본 발명에서 이형지(120)는 내부 또는 표면에 자성체 분말이 함입되어 형성된다. 이형지(120)에 함입된 자성체 분말은 인덕션 레인지에서 본 발명의 조리 용기가 사용될 때, 유도 가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또한, 바닥판(110)의 재료로서 알루미늄과 같이 가격이 저렴하고 높은 연성을 가지지만, 자성이 비교적 낮은 재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갖도록 한다. 이형지(120)의 탈착에 따른 이점은 도 2 및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paper 120 is formed by impregnating a magnetic powder into the inside or the surface. The magnetic material powder embedded in the release paper 120 allows induction heating to proceed more effectively when the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n induction range. In addition, the bottom plate 110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lect a material having relatively low magnetic properties, such as aluminum, which is inexpensive and has high ductility. Advantages of attaching / detaching the release paper 12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덮개(130)는 조리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또는, 포장된 음식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벽체(100)의 상단부에 부착되거나 도시된 예시에서와 같이 벽체(100)의 상단부에 억지 끼움 결합된다.The lid 130 serves to protect the food or the packaged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wall 100 or has an upper end portion of the wall 100, .

도 2는 도 1의 실시예가 인덕션 레인지에서 사용되는 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실시예가 가스 레인지에서 사용되는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mbodiment of FIG. 1 is used in an induction range,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mbodiment of FIG. 1 is used in a gas range.

도 2를 참조하면, 덮개(130)가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조리 용기가 인덕션 레인지(200) 위에 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도 가열형 열원에서 사용되는 경우, 바닥판(110)의 하면에 부착된 이형지(120)는 제거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2, the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induction range 200 with the lid 130 removed. When used in the induction heating type heat source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release paper 120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0 without removing it.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션 레인지(200)의 유도 가열부(210)와 조리 용기의 바닥판(110) 사이에 이형지(120)가 개재된 구조로 조리 용기가 거치된다. 유도 가열부(210)를 동작시킬 경우, 이형지(120)에 함입된 자성체 분말에 의해 유도 가열 효과가 상승되며, 이형지(120)를 제거한 상태와 비교하여 조리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300)을 보다 빠른 속도로 가열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oking vessel is moun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release paper 120 is interposed between the induction heating unit 210 of the induction range 200 and the bottom plate 110 of the cooking vessel. When the induction heating unit 210 is operated, the induction heating effect is raised by the magnetic material powder embedded in the release paper 120, and compared with the state in which the release paper 120 is removed, So that it can be heated at a high speed.

도 3을 참조하면, 가스 레인지(400)와 같은 직접 가열형 열원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이형지(120)에 의해 열전달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형지(120)를 분리한 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3, when used in a direct heating type heat source such as the gas range 400,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may be lowered by the release paper 120, so that it is preferable to use the paper after separating the release paper 120.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레인지(400)의 화염이 바닥판(120)의 바닥부(112)에직접 전달됨으로써, 조리 용기를 빠른 속도로 가열시킬 수 있게 된다.The flame of the gas range 400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bottom portion 112 of the bottom plate 120 so that the cooking container can be heated at a high speed.

한편, 도 2 및 3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벽체(100)의 하단에 바닥판(110)이 결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재질의 벽체(100)는 하부가 관통된 구조를 가지며, 바닥판(110)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벽체(100)의 하단부로 음식물의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벽체(100)의 하단부에는 두께면을 향해 방수성 재료(예컨대, 아크릴 계열의 수지와 같은)가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and 3, it can be seen that the bottom plate 11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wall body 10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 wall 100 of the pap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portion is penetrated, and moisture of food can be introduced in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wall 100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0. To prevent this, it is preferable that a waterproof material (such as acrylic resin) is coated on the lower end of the wall 100 toward the thickness.

도 2 및 3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벽체(100)와 바닥판(110)의 접합은 벽체(100)의 외면과 바닥판(110)에서 상부를 향해 절곡되는 접합 측부(114)의 내면 간에 이루어진다. 이때, 벽체(100)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며, 바닥판(11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므로, 양자 간의 접합력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벽체(100)의 외면과 바닥판(110)의 내면에는 각각 동일한 아크릴 계열의 수지를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 and 3, the joining of the wall 100 and the bottom plate 110 is mad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joining side 114 which is bent upward from the bottom plate 110 . At this time, the wall member 100 is formed of a paper material, and the bottom plate 11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coat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0 with the same acryl-based resi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벽체의 평단면이 사각형 구조를 가지는 용기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다.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ntainer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 with a flat cross-section.

도 4를 참조하면, 일회용 조리 용기가 덮개(500)와, 벽체(600)와, 바닥판(700)과, 이형지(800)로 구성되는 것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며, 벽체(600)가 평단면이 사각형인 구조를 가지며 부피를 줄이기 위해 접이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4, the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is composed of a lid 500, a wall 600, a bottom plate 700, and a release sheet 800, Has a flat structure with a square structure and has a folding structure to reduce the volume.

덮개(500)는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이나 포장된 음식물을 보호하며 제품에 대한 설명이나 브랜드명이나 그래픽 디자인 등이 인쇄되는 덮개 상면(510)과, 덮개 상면(510)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벽체(600)의 상부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억지 끼움부(52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500)는 벽체(600)가 접혀진 이후에 결합되며, 벽체(600)의 구조 및 접혀지는 과정에 대하여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벽체(600)를 접이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조리 용기의 포장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The cover 500 protects the food or the packaged food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includes a cover upper surface 510 on which a description of a product, a brand name, a graphic design, and the like is printed, and a cover upper surface 510, And an interference fit portion 520 which is i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600.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500 is coupled after the wall 600 is folded, and the structure and folding process of the wall 6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and the following. Thus, by constituting the wall body 600 with the folding structure, the packaging volume of the cooking container can be greatly reduced.

바닥판(700)은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직접 가열 가능한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측벽부가 상부로 연장되어 벽체(600)의 외면에 접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5에 예시된 바닥판(700) 역시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된다.Like the embodiment of FIG. 1, the bottom plate 70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can be directly heated,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 walls extend upward and are joi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body 600. The bottom plate 700 illustrated in Figure 5 is also preferably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이형지(800)는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성체 분말들이 함입된 구조를 가지며, 이형지(800)의 일측으로는 이형지(8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810)가 돌출 형성된다.Like the embodiment of FIG. 1, the releasing paper 800 has a structure in which magnetic powders are embedded, and a handle 810 is protruded to one side of the releasing paper 800 to easily separate the releasing paper 800.

벽체(600)는 수직 방향 중앙을 따라 형성된 접이선(도 5에서 바닥판과 평행하게 점선으로 묘사된 부분)을 기준으로, 그 하부는 조리 용기가 거치되는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되어 세워지는 지지부를 형성하며, 그 상부는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을 보호하고 조리 용기의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내측으로 접혀지는 접이부를 형성한다.The wall 600 has a support portion (refer to FIG. 5, which is depicted by a dotted line parallel to the bottom plate) formed along the center of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s supported by a bottom surface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The upper portion thereof forms a folded portion folded inward to protect the product received therein and to reduce the volume of the cooking container.

또한, 벽체(6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의 평단면에 비해 접이부의 평단면이 넓은 면적을 갖는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다. 벽체(600)가 상광하협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벽체(600)의 조립 후에, 벽체(600)들을 포개어 적층할 수 있게 되어 벽체(600)의 운반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Further,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wall member 600 has an upper light-tight narrowing shape having a flat flat face of a folded portion in a larger area than a flat 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By having the wall 600 in the shape of an upper light-tight conformation, the walls 600 can be superposed and stacked after the wall 600 is assembled, facilitating the handling and handling of the wall 600.

벽체(600)의 구조, 제조 공정, 및 접혀지는 과정에 대하여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structure of the wall 600,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fold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서 벽체의 구조를 예시한 전개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wall in the embodiment of Fig. 4;

본 실시예의 벽체(600)는 마더 시트 상에 벽체(600)의 외곽 형상을 따라 절단선이 형성되며, 이 절단선을 절단하여 도 5의 전개도와 같은 벽체(600) 조립 전의 형상을 추출할 수 있다.The wall 6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with a cutting line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wall 600 on the mother sheet and cutting the cutting line to extract the shape before assembly of the wall 600 as shown in the developed view of FIG. have.

도 5의 전개도에서 가장 우측에 묘사된 접합면(630)을 가장 좌측의 대응하는 면에 접착하고, 수직 방향의 굵은 실선으로 묘사된 부분을 접어서 도 4에 예시된 중공의 벽체(600)를 조립할 수 있다.5, the joint surface 630 depicted on the rightmost side is bonded to the corresponding surface on the leftmost side, and the portion depicted by the thick solid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lded to assemble the hollow wall 600 illustrated in FIG. .

벽체(600)를 조립한 후에 상호 대향하는 제1 벽면(610) 상부에는 제1 덮개 리브(612)가 돌출 형성되며, 다른 방향에서 상호 대향하는 제2 벽면(620)에는 제2 덮개 리브(622)가 돌출 형성된다. 제1 덮개 리브(612)는 제1 벽면(610)의 접이부가 1차로 접혀졌을 때 상호 포개져 벽체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덮개 리브(622)는 제2 벽면(620)의 접이부가 2차로 접혀졌을 때 접이부가 접히는 방향의 반대로 접혀져 접이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키고, 접혀졌던 부분을 펴서 조리 용기를 사용할 때 접이부가 주저앉지 않고 기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 first cover rib 612 protrudes from the top of the first wall surface 610 and a second cover rib 622 protrudes from the second wall surface 620 opposite to the first wall rib 612 in the other direction after the wall 600 is assembled. Is protruded. The first cover ribs 612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en the folded portion of the first wall surface 610 is folded in a primary direction, thereby protecting the product received in the wall. The second cover ribs 622 are formed by folding the folded portion of the second wall surface 6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lded portion is folded when the folded portion of the second wall surface 620 is folded secondarily, It plays a role to maintain the standing ability without any additional hesitation.

벽체(600)의 내에는 도 5에서 점선으로 묘사된 복수의 접이선(631, 632, 633, 634, 635, 636)들이 형성된다. 접이선들은 벽체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도록 형성되어, 전개도를 따라 절단한 후에 벽체(600)를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Within the wall 600, a plurality of fold lines 631, 632, 633, 634, 635, and 636 depicted by dotted lines in FIG. 5 are formed. The fold lines are formed to be relatively weak as compared with other portions of the wall, so that it is easy to assemble the wall 600 after cutting along the developed view.

제1 접이선(631)은 제2 벽면(620)과 제2 덮개 리브(622) 사이에 형성된다. 제1 접이선(631)은 제2 덮개 리브(622)가 제2 벽면(620)의 후방으로 젖혀지는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되는 접이선이다.The first fold line 631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wall surface 620 and the second cover rib 622. The first fold line 631 is a fold line that is formed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folding the second cover ribs 622 backward of the second wall surface 620.

제2 접이선(632)은 제1 벽면(610)의 지지부와 접이부의 경계에 해당하는 접이선으로, 제1 벽면(610)에서 접이부가 내측으로 접혀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이선이다.The second folding line 632 is a folding line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folding portion of the first wall surface 610 and is a folding line for facilitating folding of the folding portion inward from the first wall surface 610.

제3 접이선(633)은 제2 접이선(632)의 단부에서 제1 접이선의 중앙부까지 사선으로 연장되는 접이선으로, 제1 벽면(610)의 접이부가 내측으로 접혀질 때 연동하여 내측으로 접혀지는 접이선이다.The third folding line 633 is a fold line extending diagonally from the end of the second folding line 632 to the center of the first folding line. When the folding portion of the first walling plane 610 is folded inward, It is a fold line folded.

제4 접이선(634)은 제3 접이선(633)의 단부에서 제2 덮개 리브(622)의 끝단부를 향해 사선으로 연장되는 접이선으로, 제2 덮개 리브(622)가 후방으로 젖혀진 후에 제3 접이선(633)과 일치되어 제3 접이선(633)과 함께 접혀지기 위한 접이선이다.The fourth fold line 634 is a fold line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end of the third fold line 633 toward the end of the second cover rib 622. When the second cover rib 622 is bent backward And is folded along with the third folding line 633 to coincide with the third folding line 633.

제5 접이선(635)은 제2 벽면(620)의 지지부와 접이부의 경계에 해당하는 접이선으로, 제2 벽면(620)에서 접이부가 내측으로 접혀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이선이다.The fifth folding line 635 is a folding line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folding portion of the second wall surface 620 and is a folding line for facilitating folding of the folding portion inward from the second wall surface 620.

굴곡 접이선(636)은 벽체(600) 하부 지지부의 각 모서리에 인접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이선으로, 조립된 벽체(600)의 하부에 바닥판(700)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굴곡되어 모서리부에 둔각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바닥판(700)의 측벽부에 대한 접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이선이다.The folded fold line 636 is a folding lin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djacent to each corner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of the wall body 600. In the process of joining the bottom plate 70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ssembled wall 600, So as to form an obtuse angle at the corner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bonding property of the bottom plate 700 to the side wall portion.

도 6은 도 5의 벽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6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wall of FIG. 5,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는 벽체(600)와, 바닥판(700)과, 이형지(800)를 각각 제조하여 조립하고, 여기에 선택적으로 덮개(500)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도 6은 이중에서 벽체(600)를 제조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First, a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wall body 600, a bottom plate 700, and a release sheet 800 are manufactured and assembled, and a lid 500 is selectively coupled thereto, 6 illustrates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wall 600 from the double wall.

도 6을 참조하면, 롤 형태의 마더 시트 양면에 우레탄 계열의 수지를 1차 코팅하는 것으로 단계가 시작된다(ST610). 롤 형태로 감겨진 마더 시트를 인출하면서 마더 시트의 양면에 우레탄 계열의 수지를 코팅하며, 우레탄 계열의 수지는 두꺼운 종이에 유연성을 가하여 접이선(631~636)들에 의해 벽체(600)의 각 구성부가 접혀지는 과정에서 벽체(6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Referring to FIG. 6, the step is started by primarily coating urethane-based resin on both sides of the roll-shaped mother sheet (ST 610). Urethane-based resin is coated on both sides of the mother sheet while pulling out the rolled-up mother sheet. The urethane-based resin gives flexibility to the thick paper, and the fold lines 631 to 636 Thereby facilitating the assembly of the wall 600 in the process of folding.

다음으로, 우레탄 계열의 수지가 코팅된 면 상에 아크릴 계열의 수지를 2차 코팅한다(ST620). 2차 코팅층은 접이선(631~636)들에 의해 접혀지는 부분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층으로서 기능하며, 바닥판(700)과 접합되는 부분에서 접합성을 향상시키도록 기능한다. Next, an acryl-based resin is secondarily coated on the surface coated with the urethane-based resin (ST620). The secondary coating layer functions as a protective layer for preventing cracks from being generated in the portions folded by the folding lines 631 to 636 and functions to improve the bonding property at the portion to be bonded to the bottom plate 700. [

그리고, 마더 시트에 벽체(600)의 외곽 형상을 따라 절단선을 형성한다(ST630). 마더 시트 상에 도 5에 묘사된 전개도를 복수 개 인쇄하는 것으로 절단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접이선(631~636)들이 함께 형성된다.Then, a cutting line is formed on the mother sheet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wall body 600 (ST630). The cutting lines can be formed by printing a plurality of developed views depicted in Fig. 5 on the mother sheet. At this time, the fold lines 631 to 636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re formed together.

다음으로, 단계 ST630에서 생성된 절단선을 따라 마더 시트를 절단한다(ST640). 마더 시트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 부분에서 코팅층이 깨지게 되며, 해당 부분이 취약해질 수 있다. 특히, 바닥판(700) 상면에 접촉되는 벽체(600)의 하단부는 용기 내부에서 음식물이 닿는 부분으로서 취약해진 부분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어 벽체(600)의 두께면을 따라 침습될 우려가 있다.Next, the mother sheet is cut along the cut line generated in step ST630 (ST640). During the cutting process of the mother sheet, the coating layer may be broken at the cut portion, and the portion may become fragile. Particularly, the lower end of the wall body 600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700 may be infiltrated with moisture through the fragile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container, which is a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may invade along the thickness of the wall body 600.

위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계 ST640에서 절단된 면을 따라 방수성 재료를 코팅한다(ST650). 방수성 재료는 단계 ST620에서 사용된 아크릴 계열의 수지일 수 있으며, 방수성을 가진 다른 재료일 수도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above phenomenon, a waterproof material is coated along the cut surface in step ST640 (ST650). The waterproof material may be an acryl-based resin used in step ST620, or may be another material having waterproof property.

다음으로, 도 5에 예시된 전개도에서와 같이 벽체(600)를 조립한다(ST660).Next, the wall 600 is assembled as in the developed view illustrated in FIG. 5 (ST660).

벽체(600)의 조립 후에는 벽체(600)의 하단에 금속 재질의 바닥판(700)을 위치시킨다. 이때, 바닥판(700)은 도 4에서 예시한 형태가 아니라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닥판(700)은 벽체(600)의 하단에 위치시키기 전에 재단된 상태이거나, 벽체(600)를 올려놓은 후에 절단될 수도 있다.After the wall 600 is assembled, a bottom plate 700 made of a metal is placed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600. At this time, the bottom plate 700 may have a plate shape instead of the shape illustrated in FIG. The bottom plate 700 may be cut before being placed on the lower end of the wall 600, or cut after the wall 600 is placed.

그리고, 바닥판(700)의 테두리를 상향 절곡하여 접합 측부를 형성하고, 접합 측부의 내면을 벽체(600) 하부의 외면에 접합한다. 이때,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바닥판(700)에 대한 접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닥판(700)의 상면에는 단계 ST620에서 사용된 재료와 동일한 아크릴 계열의 수지를 코팅한다. 따라서, 벽체(600)의 외면과 바닥판(700)의 접합 측부 내면이 동일한 코팅층을 가지므로, 양자의 접합성이 향상된다.The rim of the bottom plate 700 is bent upward to form a joining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joining side is joi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all 600. At this time, the same acrylic resin as the material used in step ST620 is co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700 to improve the bonding property to the bottom plate 700 formed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Therefore,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body 6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joining side of the bottom plate 700 have the same coating layer, the jointability of both is improved.

다음으로, 이형지(800)에 자성체 분말을 함입하고, 바닥판(700)의 하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단한다. 그리고 이형지(800)를 바닥판(700)의 하면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점착시킨다. 도 7은 벽체(600)의 하부에 바닥판(700)이 접합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Next, the magnetic material powder is introduced into the releasing paper 800 and cut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hape of the bottom plate 700. Then, the releasing paper 800 is detachably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700. 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late 700 is joi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l 600. FIG.

도 7 내지 10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포장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용기에 포장된 음식물(900)을 넣고 포장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7 to 10 are views illustrating a packaging process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Referring to FIGS. 7 to 10, a state in which the food 900 packed in the container is packed and pack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7의 사시도는 도 5에 예시된 전개도의 접이선들을 따라 접고, 하부에 바닥판(700)을 접합시킨 상태를 묘사하고 있다.The perspective view of FIG. 7 depicts folding along the fold lines of the developed view shown in FIG. 5, and the bottom plate 700 being joined to the bottom.

여기에 도 8에서와 같이 포장된 음식물(900)(예컨대, 봉지 라면 등과 같은)을 수납시킬 수 있다.8, a packaged food 900 (such as a bag or the like) can be stored therein.

그리고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접이선(631)을 따라 제2 덮개 리브(622)를 제2 벽면(620)의 후방으로 젖힌 상태에서, 제2 접이선(632)을 따라 제1 벽면(610)의 접이부를 용기의 내측을 향해 접는다. 제2 접이선(632)을 따라 제1 벽면(610)의 접이부를 접는 과정에서 제3 접이선(633) 및 제4 접이선(634)(제2 덮개 리브(622)가 뒤로 젖혀진 상태이므로, 도 9에서 묘사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3 접이선(633)과 일치된 상태의)이 제2 접이선에 연동되어 내측으로 접혀지게 된다.The second cover ribs 622 are tilted rearwardly of the second wall surface 620 along the first fold line 63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along the second fold line 632 to the first wall surface 620 610 are fold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Since the third folding line 633 and the fourth folding line 634 (the second cover ribs 622) are bent backward in the process of folding the folding portion of the first wall surface 610 along the second folding line 632 , As shown in Fig. 9, in a state in which it coincides with the third folding line 633) is folded inwardly interlocked with the second folding line.

이때, 상호 대향하는 제1 덮개 리브(612)가 서로 포개지면서, 내부에 수용된 제품을 커버한다.At this time, the mutually opposing first cover ribs 612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to cover the product contained therein.

도 10에서와 같이, 제5 접이선(635)을 따라 제2 벽면(620)의 접이부를 내측으로 접게 되면, 조리 용기의 부피가 크게 줄어들게 된다. 도 10의 예시에서, 벽체(600)의 상부에 도 4의 분해사시도에서와 같은 덮개(500)를 덮은 상태로 제품이 출시된다.As shown in FIG. 10, when the folded portion of the second wall surface 620 is folded inward along the fifth fold line 635, the volume of the cooking container is greatly reduced. In the example of Fig. 10, the product is released on the top of the wall 600 with the lid 500 covered, as in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덮개(500)를 분리한 후에 도 10에서 도 7까지의 역순으로 벽체를 펼칠 수 있다. 내부에 수용된 봉지 라면을 뜯어 용기 내부에 담은 후에, 이형지(800)가 붙어있는 상태에서는 도 2의 예시와 같이 인덕션 레인지(200)에, 이형지(800)를 제거한 상태에서는 도 3의 예시와 같이 가스 레인지(400)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은 포장이 없는 라면 등의 제품일 수도 있으며, 여기에 끓는 물을 부어 제품을 익힐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덮개 리브(612)와 제2 덮개 리브(622)를 모두 뒤로 젖힌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면, 벽체(600)의 기립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벽체의 상단에 덮개(500)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덮개(500)를 덮어 통상 알려진 컵라면에서의 조리 용법과 같이 이용할 수 있다. When the consumer uses the product, the wall may be unfolded in the reverse order of FIGS. 10 to 7 after the cover 500 is removed. 3, when the releasing paper 800 is removed from the induction range 200, as shown in FIG. 2, the releasing paper 800 is removed from the bag, Can be used for the range 400. The product contained in the container may be a product such as a ramen without a package, or it may be poured with boiling water. In this case, if both the first cover ribs 612 and the second cover ribs 622 are used while being tilted backward, the lid 50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wall, It is possible to cover the lid 500 and use it in the same manner as a cooking method in a generally known cup noodle.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not impairing the basic idea. In other words, all of the above embodiments should be interpreted by way of example and not by way of limitation.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stituent element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re replaced by equivalents.

100 : 벽체 110 : 바닥판
112 : 바닥부 114 : 접합 측부
120 : 이형지 122 : 손잡이
130 : 덮개 200 : 인덕션 레인지
210 : 유도 가열부 300 : 음식물
400 : 가스 레인지 500 : 덮개
510 : 덮개 상면 520 : 억지 끼움부
600 : 벽체 610 : 제1 벽면
612 : 제1 덮개 리브 620 : 제2 벽면
622 : 제2 덮개 리브 630 : 접합면
631 : 제1 접이선 632 : 제2 접이선
633 : 제3 접이선 634 : 제4 접이선
635 : 제5 접이선 636 : 굴곡 접이선
700 : 바닥판 800 : 이형지
810 : 손잡이 900 : 포장된 음식물
100: wall 110: bottom plate
112: bottom part 114: joint side
120: release paper 122: handle
130: cover 200: induction range
210: induction heating unit 300: food
400: gas range 500: cover
510: cover top surface 520:
600: wall 610: first wall surface
612: first cover rib 620: second wall surface
622: second cover rib 630: joint surface
631: first fold line 632: second fold line
633: third fold line 634: fourth fold line
635: Fifth fold line 636: Flex fold line
700: bottom plate 800: release sheet
810: Handle 900: Packaged food

Claims (15)

중공 통 형상의 벽면을 가지며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벽체;
상기 벽체의 하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벽체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벽체의 외면에 접합되는 접합 측부가 상기 벽체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금속 재질의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점착되며 내부 또는 표면에는 자성체 분말이 함입되는 이형지
를 포함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
A wall having a hollow cylindrical wall surface and made of a paper material;
A metal bottom plat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wall to close a lower portion of the wall and having a joining side join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wall, And
A separating plate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has a magnetic substance powder embedded therein,
Wherein the cooking vessel is a container for cook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상단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ver which is invisible to the upper end of the wal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사각형의 평단면을 가지며, 상기 벽체의 하부는 상기 조리 용기가 거치되는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되어 세워지는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의 상부는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접혀지는 접이부를 형성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wall has a rectangular flat cross section, and the lower part of the wall forms a supporting part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cooking container is mounted, and the upper part of the wall is provided inside A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which forms a folded fol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상기 지지부의 평단면에 비해 상기 접이부의 평단면이 넓은 면적을 갖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 일회용 조리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all has an upper light-tight narrowing shape such that a flat section of the folding section has a larger area than a flat section of the supporting s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벽면들 중 상호 대향하는 제1 벽면에는 각각 상기 접이부가 1차로 접혀졌을 때 상호 포개져 상기 벽체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을 보호하는 제1 덮개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벽면들 중 다른 방향에서 상호 대향하는 제2 벽면에는 각각 상기 접이부가 2차로 접혀졌을 때 상기 접이부가 접히는 방향의 반대로 접혀져 상기 접이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제2 덮개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일회용 조리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lid rib protruding from a first wall surface of the wall surface facing each other to protect a product accommodated in the wall when the lid is first folded,
And a second cover rib that is folded opposite to a folding direction of the folding portion when the folding portion is folded secondarily so as to disperse the stress applied to the folding portion is protruded and formed on the second wall surface facing each other in the other direction among the wall faces, Vess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각 모서리에 인접하여 상기 모서리부에 둔각을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는 굴곡 접이선이 형성되는 일회용 조리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curved fold line is formed adjacent to each corner of the support portion and bent outward to form an obtuse angle in the corner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적어도 일면에는 우레탄 계열의 수지를 1차로 코팅하고, 아크릴 계열의 수지를 2차 코팅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wall is coated with a urethane-based resin, and the acryl-based resin is coated with a secondary coat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상기 벽체의 하단부에는 두께면을 향해 방수성 재료를 코팅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waterproof material is coated on the lower end of the wall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ward the thickness s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판의 내면에는 아크릴 계열의 수지가 코팅되는 일회용 조리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ottom plate is made of a metal alloy containing aluminum or aluminum,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is coated with an acryl-based resin.
(a) 중공 통 형상의 벽면을 가지는 종이 재질의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벽체의 하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벽체의 하단에 금속 재질의 바닥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c)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를 상향 절곡하여 접합 측부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접합 측부의 내면을 상기 벽체의 외면에 접합하는 단계;
(e)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이형지에 자성체 분말을 함입하는 단계; 및
(f) 상기 이형지를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점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
(a) forming a wall of a paper material having a hollow cylindrical wall;
(b) positioning a bottom plate of metal at the bottom of the wall to seal the bottom of the wall;
(c) bending the rim of the bottom plate upwardly to form a joining side;
(d) joining the inner surface of the joining si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e) embedding magnetic powder into a release pape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f) adhering the release pape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so as to be detachable
Wherein the cooking cavity is formed of a metal pla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a-1) 롤 형태의 마더 시트 양면에 우레탄 계열의 수지를 1차 코팅하는 단계;
(a-2) 상기 마더 시트의 양면에 아크릴 계열의 수지를 2차 코팅하는 단계;
(a-3) 상기 마더 시트 상에 상기 벽체의 외곽 형상을 따라 절단선을 형성하는 단계;
(a-4) 상기 절단선을 따라 상기 마더 시트를 절단하는 단계;
(a-5) 상기 단계(a-4)에서 절단된 면을 따라 방수성 재료를 코팅하는 단계; 및
(a-6) 상기 벽체를 조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a)
(a-1) first coating a urethane-based resin on both sides of a roll-shaped mother sheet;
(a-2) secondary coating an acrylic resin on both sides of the mother sheet;
(a-3) forming a cutting line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wall on the mother sheet;
(a-4) cutting the mother sheet along the cutting line;
(a-5) coating a waterproof material along the cut surface in the step (a-4); And
(a-6) assembling the wall
Wherein the cooking cavity is formed of a metal pla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사각형의 평단면을 가지며,
상기 단계(a-3)은,
상기 벽체 하부에서 상기 조리 용기가 거치되는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되어 세워지는 지지부와 상기 벽체 상부에서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접혀지는 접이부 사이에 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접이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all has a rectangular flat cross section,
The step (a-3)
A support portion which is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wall and is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to which the cooking container is mounted and a folding portion which is folded inward to protect the product receiv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wall,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cooking cavity comprises the steps of: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상기 지지부의 평단면에 비해 상기 접이부의 평단면이 넓은 면적을 갖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 일회용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wall has an upper light-tight narrowing shape so that a flat section of the folding section has a larger area than a flat section of the supporting sec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3)은 상기 지지부의 각 모서리에 인접하여 상기 모서리부에 둔각을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는 굴곡 접이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ep (a-3) further comprises forming a curved fold line that is bent outward to form an obtuse angle in the corner portion adjacent to each corner of the support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계(b) 이전에 상기 바닥판의 내면에 아크릴 계열의 수지를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bottom plate is made of a metal alloy containing aluminum or aluminum,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ating an inn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with acrylic resin before the step (b).
KR1020170013516A 2017-01-31 2017-01-31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thereof KR1019280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516A KR101928025B1 (en) 2017-01-31 2017-01-31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thereof
PCT/KR2017/001018 WO2018143485A1 (en) 2017-01-31 2017-01-31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516A KR101928025B1 (en) 2017-01-31 2017-01-31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010A true KR20180089010A (en) 2018-08-08
KR101928025B1 KR101928025B1 (en) 2018-12-17

Family

ID=6303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516A KR101928025B1 (en) 2017-01-31 2017-01-31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8025B1 (en)
WO (1) WO2018143485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707A (en) 2018-12-13 2020-06-23 (주)케이피피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KR102225367B1 (en) 2019-10-17 2021-03-09 (주)케이피피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00B1 (en)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캔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for induction rang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636B1 (en) * 2011-05-31 2014-02-27 정광순 Dual cooking vessel for induction ran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94078B1 (en) * 2013-05-02 2015-02-16 김송이 Waterproof Coating Paper contain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60015556A (en) * 2014-07-31 2016-02-15 배진영 Heat plate for induction cooker
KR20160124487A (en) * 2015-04-20 2016-10-28 김재일 Disposable container for cooking
KR20160124486A (en) * 2015-04-20 2016-10-28 김재일 Collapsible container for cook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00B1 (en)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캔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for induction ran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707A (en) 2018-12-13 2020-06-23 (주)케이피피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KR102225367B1 (en) 2019-10-17 2021-03-09 (주)케이피피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025B1 (en) 2018-12-17
WO2018143485A1 (en)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926B1 (en) Paper cup of induction he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008843A (en) Container for refill
KR101928025B1 (en)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thereof
GB2531013A (en) Container
KR20160019413A (en) Packaging container
EP3915898A1 (en) Container for retort food
JP6111237B2 (en) container
JPH10129742A (en) Container with lid
WO2016032061A1 (en) Instant food vessel of overlay structure having water injection hole
KR101616852B1 (en) Aluminium laminated instant noodle cup
KR100989088B1 (en) Packing paper of food packaging courage
KR200472348Y1 (en) Self-Assembly Cooking Container Made of Paper
JP2010018326A (en) Barrier vessel for refill
KR100906458B1 (en) Disposable vessel having a ancillary recipient for instant noodle
JP5721663B2 (en) Food paper container.
JP6061966B2 (en) Food containers and cookers
KR10212176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cooking container
JP2011168314A (en) Package container for cooking with microwave oven
TW201202107A (en) Structure of hot food-making container set
JP2007008548A (en) Cup-like container
JP4954661B2 (en) Microwave cooking container
JP2012192965A (en) Packaging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cooking and package using the same
JP2006044724A (en) Cup-like container
JP3078175U (en) Paper square container
JP5020791B2 (en) Food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