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109A - 동영상 플레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동영상 플레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109A
KR20180087109A KR1020170131679A KR20170131679A KR20180087109A KR 20180087109 A KR20180087109 A KR 20180087109A KR 1020170131679 A KR1020170131679 A KR 1020170131679A KR 20170131679 A KR20170131679 A KR 20170131679A KR 20180087109 A KR20180087109 A KR 20180087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video
live
intercut
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1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792B1 (ko
Inventor
즈핑 펑
린 쟈오
쩐챠오 왕
Original Assignee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8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플레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당해 동영상 플레이 방법은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그 중,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 -;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는 단계;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영상 플레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VIDEO}
본 발명은 인터넷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영상 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점점 많은 앵커 타입의 애플리케이션들이 나타났다. 관객 사용자는 앵커 타입의 애플리케이션에 들어간 후, 앵커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 앵커에 기반하여 앵커와 커뮤니케이션과 인터랙션(interaction)을 할 수 있다. 앵커는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이미 업로드 된 또는 다른 사람이 공유한 클라우드 비디오를 선택하여 플레이하는 요구가 있을 수 있다. 생방송룸에 있는 모든 관객은 앵커의 생방송 화면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 화면도 볼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앵커는 부분 로컬 동영상을 선택하여 플레이할 수 있는바, 그 원리는 앵커단에서 앵커 화면과 동영상 화면을 합성하고, 다음 합성된 화면을 생방송룸에 있는 관객에게 생방송(live-broadcast) 한다.
이러한 방식하에서, 합성 후의 동영상 프레임률(frame rate)이 대폭 낮아지고 동영상 지연이 비교적 크고 관객이 보는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진도가 앵커와 동기화 되지 않고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가 좋지 않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정한 정도에서 관련 기술에서의 기술적 문제 중의 하나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앵커가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하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이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하는 동영상 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동영상 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동영상 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동영상 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한가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실시예에서 제기한 동영상 플레이 방법은,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그 중, 상기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 -;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는 단계;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방법은,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1 요청 중의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요청 중의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실시예에서 제기한 동영상 플레이 방법은,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 그 중 상기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방법은,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는 것을 통하여,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요청 중의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고,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실시예에서 제기한 동영상 플레이 장치는,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제1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 - 그 중, 상기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기 위한 제1 로딩 모듈;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기 위한 제1 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장치는,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1 요청 중의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요청 중의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 측면의 실시예에서 제기한 동영상 플레이 장치는,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기 위한 생성모듈 - 그 중, 상기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모듈;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기 위한 제3 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장치는,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고,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요청 중의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5 측면의 실시예에서 제기한 동영상 플레이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프로세스는,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제1 요청을 수신하고 - 그 중, 상기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며;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장치는,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1 요청 중의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요청 중의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6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프로세스는,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고 - 그 중, 상기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장치는,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고,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요청 중의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7 측면의 실시예에서 제기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상기 저장 매체 중의 명령이 모바일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경우, 모바일 단말기가 동영상 플레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그 중, 상기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는 단계;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7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1 요청 중의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요청 중의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8 측면의 실시예에서 제기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저장 매체 중의 명령이 모바일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경우, 모바일 단말기가 동영상 플레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 그 중, 상기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8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고,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요청 중의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9 측면의 실시예에서 제기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중의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경우, 동영상 플레이 방법을 수행하되,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그 중, 상기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는 단계;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9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1 요청 중의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요청 중의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0 측면의 실시예에서 제기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중의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경우, 동영상 플레이 방법을 수행하되,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 그 중, 상기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0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고,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요청 중의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된 방면과 장점은 아래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제시되고 일부는 아래의 설명에서 뚜렷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천을 통하여 요해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또는 부가된 방면과 장면은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결합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뚜렷해지고 이해하기 용이해진다. 그 중,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된 도면에서 표시되도록 한다. 그 중 시종 일관하게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구비하는 소자를 표시한다.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단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반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사상과 의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화, 수정 및 등가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당해 동영상 플레이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11: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제1 요청을 수신하되, 그 중,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실행 주체는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일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는 예를 들면 앵커가 생방송 과정에서의 생방송룸의 관객측의 클라이언트이다.
네트워크 동영상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는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이미 업로드되었거나 다른 사람이 공유한 클라우드 동영상을 선택하여 플레이 하는 요구가 있다. 관련 기술에서, 앵커는 부분 로컬 동영상을 선택하여 플레이 할 수 있는 바, 그 원리는 앵커단에서 앵커 화면과 동영상 화면을 합성하고, 다음 합성한 화면을 생방송룸의 관객에게 생방송 한다. 이러한 방식하에서 합성후의 동영상 프레임률이 대폭 감소되고 동영상 지연이 비교적 크며 관객이 보는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진도가 앵커와 동기화 되지 않고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가 좋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1 요청 중의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요청 중의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은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장차 인터컷하려 하는 동영상이고, 인터컷 대기 동영상은 예를 들면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의 로컬 동영상이거나, 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은 예를 들면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이미 업로드하였거나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클라우드 동영상인 바,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 중,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는 예를 들면 앵커가 생방송 과정에서 생방송룸의 앵커측의 클라이언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요청은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에서 생성한 것일 수 있으며, 제1 요청은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를 트리거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S12: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한다.
선택적으로,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수신한 후,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할수 있고, 즉 생방송룸에서 제3자 동영상을 인터컷하는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이고 미리 설정된 모드하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지 않았을 경우,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플레이 할 수 있도록,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는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모드하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지 않았을 경우,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는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2를 참조하면, S12단계 전에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21: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미리 설정된 모드이면, S23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22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모드는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3자(third party) 동영상을 인터컷하기 위한 모드이다.
선택적으로,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기 전에,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가 아닐 경우, 이를 미리 설정된 모드로 전환하여 제3자 동영상을 인터컷하는 것이 필요하다.
S22: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S23: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하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플레이하면, S25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24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일 경우,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하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더 필요하며,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하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지 않았을 경우,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는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한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하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경우, 직접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한다.
S24: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한다.
S25: 직접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가 아닐 경우,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이고, 미리 설정된 모드하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할 경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S13: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요청은 제3 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제3 식별자는 생방송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는,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3 식별자와 대응하는 생방송 동영상을 플레이할 경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인터컷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는 아래 단계를 통하여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할 수 있다:
제1 단계: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SEI프레임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수신한 후, 그 중, SEI프레임은 플레이 제어 명령과 Seek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상세한 내용은 단계 S33을 참조),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는SEI프레임을 해석하여 상응한 제어명령을 취득하고, 다음 제어 명령이 Seek명령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바, 즉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URL 어드레스,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플레이 진도, 및 제어명령이 Seek명령인지의 여부를 해석한다. 그 중, URL 어드레스는 유니폼 리소스 로케이터(Uniform Resource Locator,URL)어드레스이다.
제2 단계: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수신된 SEI프레임이 플레이 제어 명령 인지 아니면 Seek제어 명령인지를 막론하고 상기 판단을 행함).
제3 단계: 만약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가 아니면,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고, 제어 명령에서 VideoUrl 필드가 가리키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고, 제어 명령에서의 플레이 진도를 Seek한다.
제4 단계: 만약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이면, 제어 명령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URL 어드레스와 현재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URL 어드레스가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5 단계: 만약 현재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URL 어드레스와 제어 명령에서의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URL 어드레스가 다르면, 현재 동영상의 플레이를 정지하고, 플레이 제어 명령에서 URL 어드레스가 가리키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 하고, 제어 명령에서의 플레이 진도로 Seek한다.
제6 단계: 만약 현재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URL 어드레스와 제어 명령에서의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URL 어드레스가 동일하면, 수신된 제어 명령이 Seek제어 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Seek제어 명령이면, 지정하는 플레이 진도로 Seek하고, 아니면, 현재 동영상의 플레이 진도와 제어 명령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플레이 진도를 비교하며, 만약 양자의 시간차가 미리 설정된 역치 범위 밖일 경우, 현재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제어 명령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플레이 진도로 Seek한다.
그 중, 미리 설정된 역치 범위는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의 내장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설정할 수 있고, 또는 미리 설정된 역치 범위는 제1 사용자에 의해 설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5,5]이고,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7 단계: 만약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제어 명령을 받지 못하였으면, 현재 동영상의 플레이를 정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1 요청 중의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요청 중의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방법의 흐름도 개략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당해 동영상 플레이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31: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되, 그 중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실행 주체는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일 수 있고,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는 예를 들면 앵커가 생방송 과정에서 생방송룸의 앵커측의 클라이언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의 명령은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제1 요청을 생성하는 것을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인터컷 대기 동영상은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장차 인터컷하려 하는 동영상인 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은 예를 들면 제2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로컬 동영상이거나, 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은 예를 들면 제2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이미 업로드하거나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클라우드 동영상이며, 이에 대해서는 한정을 하지 않는다.
S32: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플레이를 할 수 있도록,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한다.
S33: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요청은 제3 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제3 식별자는 생방송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는,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3 식별자와 대응하는 생방송 동영상을 플레이할 경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는 아래 단계를 통하여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할 수 있다:
제1 단계, 제2 사용자는 어떤 하나의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여 플레이할 수 있고,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는 로딩한 인터컷 대기 동영상에 대해 하나의 플레이 제어 명령을 구축하며, 플레이 제어 명령은 예를 들면: VideoUrl^VideoPlaybackTime이고, 사이에는 ^를 사용하여 갈라 놓는다. 플레이 제어 명령은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URL 어드레스와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현재 플레이 진도를 포함한다.
제2 단계,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는 플레이 제어 명령을 하나의 SEI 프레임으로 패키징하고, 하나하나의 동영상 프레임을 송신할 경우, 이 SEI 프레임을 동영상 프레임과 같이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3 단계, 제2 사용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플레이 진도를 조절할 경우,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에 하나의 Seek 제어 명령을 구축하고, Seek 제어 명령은 Seek식별자,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URL 어드레스, 및 장차 Seek하게 될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플레이 시간을 포함한다. Seek 제어 명령은 예를 들면: 1^VideoUrl^Video SeekTime이고, 사이에는 ^를 사용하여 갈라 놓는다. 그 중, 1은 Seek명령을 표시하고,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는 Seek 명령을 하나의 SEI 프레임으로 패키징하고, 동영상 프레임을 송신할 경우, SEI 프레임과 동영상 프레임을 합병하여 송신한다. Seek 제어 명령을 송신한 후, 송신하기 전의 플레이 제어 명령을 회복한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SEI 프레임은 플레이 제어 명령과 Seek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제4 단계, 만약 제2 사용자가 인터컷 대기 동영상A를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B를 선택하여 플레이하면,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는 하나의 새로운 플레이 제어 명령을 구축하고, 플레이 제어 명령에서의 VideoUrl를 인터컷 대기 동영상B의 URL 어드레스로 하고, 제2 단계에 따라 송신한다.
제5 단계, 만약 제2 사용자가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플레이의 정지를 선택하면, 플레이 제어 명령 또는 Seek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SEI 프레임을 다시는 송신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고,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요청 중의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당해 동영상 플레이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41: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한다.
그 중,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S42: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제1 요청을 송신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한다.
S43: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제1 요청을 수신한다.
S44: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미리 설정된 모드이면, S46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45를 수행한다.
S45: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S46: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하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고, 만약 플레이한다면, S48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47을 수행한다.
S47: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한다.
S48: 직접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한다.
본 실시예의 수행 과정은 도1-도3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는 바, 여기에서 다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고,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요청 중의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가 아닐 경우,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이고 미리 설정된 모드하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할 경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당해 동영상 플레이 장치(5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양자의 결합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당해 동영상 플레이 장치(50)는 수신 모듈(501), 제1 로딩 모듈(502), 및 제1 플레이 모듈(503)을 포함한다. 그 중,
수신 모듈(501)은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제1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그 중,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로딩 모듈(502)은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플레이 모듈(503)은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요청은 제3 식별자를 더 포함한고, 제3 식별자는 생방송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플레이 모듈(503)은 구체적으로,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3 식별자와 대응하는 생방송 동영상을 플레이할 경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인터컷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6을 참조하면, 당해 동영상 플레이 장치(50)는 제1 판단 모듈(504), 전환 모듈(505), 제2 판단 모듈(506), 제2 로딩 모듈(507) 및 제2 플레이 모듈(508)을 포함한다.
제1 판단 모듈(504)은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기 전에,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모드는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3자 동영상을 인터컷 하기 위한 모드이다.
전환 모듈(505)은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가 아닐 경우,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2 판단 모듈(506)은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일 경우,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하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로딩 모듈(507)은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지 않았을 경우,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기 위한 것이다.
제2 플레이 모듈(508)은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할 경우, 직접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전술한 도1 내지 도2 실시예에서 동영상 플레이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해석 설명은 당해 실시예의 동영상 플레이 장치(50)에도 적용되고, 그 실현 원리는 유사한 바, 여기에서 다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1 요청 중의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요청 중의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레이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당해 동영상 플레이 장치(7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양자의 결합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당해 동영상 플레이 장치(70)는 생성모듈(701), 송신 모듈(702), 및 제3 플레이 모듈(703)을 포함한다. 그 중,
생성 모듈(701)은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고, 그 중,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송신 모듈(702)은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제1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제3 플레이 모듈(703)은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요청은 제3 식별자를 포함한고, 제3 식별자는 생방송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제3 플레이 모듈(703)은 구체적으로: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3 식별자와 대응하는 생방송 동영상을 플레이할 경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전술한 도3 실시예에서 동영상 플레이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해석 설명은 당해 실시예의 동영상 플레이 장치(70)에 적용되고, 그 실현 원리는 유사한 바, 여기에서 다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고,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1 요청 중의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통하여, 앵커의 생방송 과정에서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을, 생방송을 보는 관객측에 동기화하여, 앵커가 플레이하는 동영상의 플레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생방송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본 발명의 설명에서 용어 "제1", "제2" 등은 단지 목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복수개"의 의미는 2개 또는 2개 이상이다.
흐름도에서 또는 여기서 기타 방식으로 설명되는 어떠한 과정 또는 방법 설명은 하나의 또는 더 많은 특정 로직 기능 또는 과정의 단계를 실현하기 위한 수행 가능한 명령의 코드의 모듈, 단락 또는 부분을 포함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식의 범위는 별도의 실현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시되거나 토론된 순서에 따른 것이 아닌 관련된 기능에 의하여 거의 동시의 방식 또는 상반되는 순서를 포함한 순서에 따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이는 마땅히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각 부분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실시 방식에서, 복수의 단계나 방법은 메모리에 저장된 적합한 명령으로 시스템 실행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하드웨어로 실현한다면 다른 한 실시 방식에서처럼 본 분야에서의 데이터 신호에 대해 로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로직 게이트 회로를 구비한 이산 로직 회로, 적합한 조합 로직 게이트 회로를 구비한 전용 집적 회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PGA),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등 공지된 기술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상술한 실시예의 방법이 지니는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현하는 것은 프로그램으로 관련 하드웨어를 명령하는 것을 통하여 완성할 수 있고 상기의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당해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방법 실시예의 단계 중의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모듈에 집적될 수 있고 각 유닛의 단독적 물리 존재일 수도 있으며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한 모듈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술한 집적된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식을 적용하여 실현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식을 적용하여 실현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모듈이 만약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식으로 실현되고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저장 장치, 디스크 또는 CD등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조 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의 설명은 당해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합하여 설명하는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용어에 대한 함축적인 표달이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설명된 구체적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비록 이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들은 본 발명의 원리와 취지를 탈리하지 않는 전제하에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 변화, 수정, 대체와 변형을 진행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 및 그 균등물에 의해 한정된다는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Claims (16)

  1. 동영상 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그 중, 상기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는 단계;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은 생방송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제3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는,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상기 제3 식별자와 대응하는 생방송 동영상을 플레이할 경우,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기 전에,
    상기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생방송룸이 상기 미리 설정된 모드가 아니면, 상기 생방송룸이 상기 미리 설정된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플레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생방송룸이 상기 미리 설정된 모드이면, 상기 생방송룸이 상기 미리 설정된 모드하에서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플레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방송룸이 상기 미리 설정된 모드하에서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할 경우, 직접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플레이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모드는 상기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3자 동영상을 인터컷하기 위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플레이 방법.
  7. 동영상 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 그 중, 상기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제1 요청을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고,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플레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은 상기 제3 식별자는 생방송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제3 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는,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상기 제3 식별자와 대응하는 생방송 동영상을 플레이할 경우,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플레이 방법.
  9. 동영상 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2 사용자의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제1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 - 그 중, 상기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기 위한 제1 로딩 모듈;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기 위한 제1 플레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은 생방송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제3 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 모듈은 구체적으로,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상기 제3 식별자와 대응하는 생방송 동영상을 플레이할 경우,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인터컷하기 위한 것임,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제1 판단 모듈, 전환 모듈을 더 포함하며,
    제1 판단 모듈은 상기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기 전에, 상기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이 미리 설정된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고,
    전환 모듈은 상기 생방송룸이 상기 미리 설정된 모드가 아닐 경우, 상기 생방송룸이 상기 미리 설정된 모드로 전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임,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 판단 모듈과 제2 로딩 모듈을 더 포함하며,
    제2 판단 모듈은 상기 생방송룸이 상기 미리 설정된 모드일 경우, 상기 생방송룸이 상기 미리 설정된 모드하에서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고,
    제2 로딩 모듈은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제1 식별자와 대응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로딩하기 위한 것임,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 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제2 플레이 모듈은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할 경우, 직접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기 위한 것임,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플레이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모드는 상기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제3자 동영상을 인터컷하기 위한 모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플레이 장치.
  15. 동영상 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2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제1 요청을 생성하기 위한 생성 모듈 - 그 중, 상기 제1 요청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인터컷 대기 동영상의 실시간 플레이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것임 -,
    제1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상기 제1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기 위한 제3 플레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은 생방송 동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제3 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플레이 모듈은 구체적으로
    생방송 플랫폼의 생방송룸에서 상기 제3 식별자와 대응하는 생방송 동영상을 플레이할 경우,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실시간 플레이 진도에 의하여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터컷 대기 동영상을 플레이하기 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플레이 장치.
KR1020170131679A 2017-01-24 2017-10-11 동영상 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1971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55189.8A CN107071502B (zh) 2017-01-24 2017-01-24 视频播放方法和装置
CN201710055189.8 2017-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109A true KR20180087109A (ko) 2018-08-01
KR101971792B1 KR101971792B1 (ko) 2019-04-23

Family

ID=5959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1679A KR101971792B1 (ko) 2017-01-24 2017-10-11 동영상 플레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15215B2 (ko)
KR (1) KR101971792B1 (ko)
CN (1) CN1070715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2793B (zh) * 2018-03-01 2021-11-05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视频播放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8260016B (zh) * 2018-03-13 2020-07-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直播处理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1385588A (zh) * 2018-12-28 2020-07-07 广州市百果园信息技术有限公司 音视频播放与主播发送信息同步方法、介质及计算机设备
CN111385597A (zh) * 2018-12-29 2020-07-07 方正国际软件(北京)有限公司 直播处理方法、直播装置和现场装置
CN111343476A (zh) * 2020-03-06 2020-06-26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视频共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343477B (zh) 2020-03-09 2022-05-06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7083380B2 (ja) * 2020-09-28 2022-06-10 グリー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方法及びサーバ装置
JP7473930B2 (ja) 2020-10-28 2024-04-24 ビゴ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動画再生方法、装置、端末および記憶媒体
CN117255211A (zh) * 2022-02-15 2023-12-19 上海哔哩哔哩科技有限公司 直播间显示方法、服务端及直播客户端
CN114691000B (zh) * 2022-05-31 2022-08-26 上海豪承信息技术有限公司 多屏联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8023A1 (en) * 2006-07-26 2008-01-31 Voicetribe Llc. Sharing commentaries synchronized with video content
KR20130126203A (ko) * 2012-05-11 2013-11-20 (주)엔써즈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5188755A1 (en) * 2014-06-10 2015-12-1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Video remote-commentary synchronization method and system, and termin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8991A (ja) * 2000-09-07 2002-05-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配信方法、映像配信システムおよび映像配信装置
JP2005051703A (ja) * 2003-07-31 2005-02-24 Institute Of Tsukuba Liaison Co Ltd ライブストリーミング放送方法、ライブストリーミング放送装置、ライブストリーミング放送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放送方法及び放送装置
US7716572B2 (en) * 2006-07-14 2010-05-11 Muvee Technologies Pte Ltd. Creating a new music video by intercutting user-supplied visual data with a pre-existing music video
CN102238139A (zh) * 2010-04-27 2011-11-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插播广告的方法、装置及系统
US20140169758A1 (en) * 2012-08-09 2014-06-19 Michael Sapoznikow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Players based on Video data and RFID data
CN104125476B (zh) * 2013-04-28 2019-04-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播放视频的方法及装置
CN105847861A (zh) * 2016-03-29 2016-08-10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视频插播方法和装置
CN105791889A (zh) * 2016-05-04 2016-07-20 武汉斗鱼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直播中的广告插播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8023A1 (en) * 2006-07-26 2008-01-31 Voicetribe Llc. Sharing commentaries synchronized with video content
KR20130126203A (ko) * 2012-05-11 2013-11-20 (주)엔써즈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5188755A1 (en) * 2014-06-10 2015-12-1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Video remote-commentary synchronization method and system, and termi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71502A (zh) 2017-08-18
JP6515215B2 (ja) 2019-05-15
JP2018121329A (ja) 2018-08-02
CN107071502B (zh) 2020-04-07
KR101971792B1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792B1 (ko) 동영상 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6316538B2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送信方法、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TWI716018B (zh) 動態縮減替換內容之播放以幫助對齊替換內容之結束與已替換內容之結束
US10638180B1 (en) Media timeline management
US9118950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playback apparatus,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broadcast receiving method, playback method, and program
US20210044845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adjusting quality level during synchronized media content playback on multiple devices
WO2017166497A1 (zh) 一种多媒体数据的同步播放方法及装置
US9843825B1 (en) Distributed and synchronized media switching
KR102469142B1 (ko) 미디어 스트림 재생들 사이를 트랜지션하는 동안 트랜지션 프레임들의 동적 재생
US895794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686446B (zh) 内容投射方法及移动终端
EP39751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loud-native 3d-scene game
JP5911613B2 (ja) 複数のスマート・デバイスによる同期再生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230269446A1 (en) Dynamic content serving using a media device
JP201207011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189696A (zh) 一种视频播放方法及设备
US20150043885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method
US20220408140A1 (en) Moving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moving image reproduction system, and moving image reproduction method
EP3635958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system
JP5349981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11856242B1 (en) Synchronization of content during live video stream
JP2019036787A (ja) 情報処理装置、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