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026A - 직류 릴레이 - Google Patents

직류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026A
KR20180087026A KR1020170011202A KR20170011202A KR20180087026A KR 20180087026 A KR20180087026 A KR 20180087026A KR 1020170011202 A KR1020170011202 A KR 1020170011202A KR 20170011202 A KR20170011202 A KR 20170011202A KR 20180087026 A KR20180087026 A KR 20180087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bobbin
flange
contact
movabl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지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7026A/ko
Publication of KR20180087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01H50/58Driv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therewith; Mounting of driving arrangements on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62Co-operating movable contacts operated by separate electrical actua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요크와 외측 요크의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안정적인 기자력(magnetomotive force)을 유지하도록 하여 작동성능을 향상시킨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는 아크 챔버의 일부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접점;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의 하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점; 상기 가동접점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어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 복수 개의 보빈 플랜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외측 요크; 상기 보빈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홀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 요크와 함께 자로를 형성하는 내측 요크; 상기 중앙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자로를 따라 움직이는 가동코어; 상기 가동코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코어와 함께 움직이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요크는 상부에 요크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요크 플랜지는 상기 외측 요크의 하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류 릴레이{Direct Current Relay}
본 발명은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요크와 외측 요크의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안정적인 기자력(magnetomotive force)을 유지하도록 하여 작동성능을 향상시킨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류 릴레이(Direct Current Relay) 또는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과 전류신호를 전달해주는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된다.
특히,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는 배터리의 전력을 동력발생장치 및 전장부에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용 릴레이(Electric Vehicle Relay)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자동차용 릴레이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핵심 부품의 하나이다.
도 1과 도 2에 종래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개방상태(차단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투입상태(통전상태)를 나타낸다.
종래의 직류 릴레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과 하부 프레임(2), 아크 챔버(1a), 고정접점(3)과 가동접점(4), 액추에이터(5)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1)과 하부 프레임(2)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상자 형태를 이루게 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부 프레임(1) 내부에는 아크 챔버(1a)가 구비된다. 아크 챔버(1a)에는 고정접점(3)이 고정 설치되고, 가동접점(4)은 고정접점(3)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하부 프레임(2) 내부에는 가동접점(4)을 움직이기 위한 액추에이터(5)가 설치된다.
액추에이터(5)는 코일(5a), 요크(5c,5d), 가동코어(5e) 및 샤프트(7)를 포함한다. 코일(5a)은 복수의 플랜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보빈(5b)에 권취되며, 보빈(5b)의 중심부에는 가동코어(5e)와 샤프트(7)가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샤프트(7)는 가동코어(5e)의 상부에 얹히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요크(5c,5d)는 보빈(5b)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내측 요크(5c)와 보빈(5b)을 둘러싸며 설치되어 내측 요크(5c)를 지지하는 외측 요크(5d)로 구성된다. 여기서, 내측 요크(5c)는 상,하로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샤프트(7)는 보빈(5b)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샤프트(7)에는 접촉스프링 받침부(7a)와 복귀스프링 받침부(7b)가 마련된다.
상기 아크 챔버(1a)의 상단부와 샤프트(7)의 복귀스프링 받침부(7b) 사이에는 샤프트(7)를 하방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8)이 설치된다.
가동접점(4)과 접촉스프링 받침부(7a) 사이에는 접촉스프링(6)이 설치되어 가동접점(4)이 고정접점(3)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접압력을 제공한다.
직류 릴레이에는 고전압(High Voltage)과 저전압(Low Voltage)이 유입된다. 고전압(HV)은 고정접점(3)에 연결되는 전선이나 버스바를 통해 주회로의 통전이나 개폐를 담당하게 되고, 저전압(LV)은 구동부(액추에이터)에 연결되어 직류 릴레이를 온, 오프시키게 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개방 상태에서 코일(5a)에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5a)의 주위에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내측 요크(5c), 가동코어(5e) 및 외측 요크(5d)를 따라 순환하는 자로(magnetic path)가 형성된다. 가동코어(5e)는 자로를 따라 상방으로 전진(상승)하게 되고, 가동코어(5e)의 상부에 놓인 샤프트(7)는 가동코어(5e)에 의해 밀려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접촉스프링(6)이 가동접점(4)을 밀어 고정접점(3)에 접촉하여 주회로는 통전상태(On 상태, High Voltage)로 된다. 즉, 도 2와 같은 상태로 된다.
도 2의 통전 상태에서 코일(5a)에 인가되었던 전원이 끊어지면 코일(5a) 주위에 발생했던 자기장이 소멸되고 이에 따라 가동코어(5e)와 이에 얹혀진 샤프트(7)가 복귀스프링(8)에 의하여 복귀(하강)하여 가동접점(4)이 고정접점(3)으로부터 분리되어 주회로가 도 1과 같은 개방 상태(Off 상태)로 된다.
도 3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적용되는 내측 요크(5c)가 도시되어 있다. 내측 요크(5c)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부 원주면(5c1)이 외측 요크(5d)에 접하여 자로의 연결 부분이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내측 요크(5c)와 외측 요크(5d)의 접촉 부분은 내측 요크(5c)의 상단부 원주면(5c1)으로 형성되는 부분이므로 접촉면적이 작아 공차나 조립오차 등에 의해 자로 형성에 손실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곧 성능 저하로 나타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내측 요크와 외측 요크의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안정적인 기자력을 유지하도록 하여 작동성능을 향상시킨 직류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는 아크 챔버의 일부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접점;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의 하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점; 상기 가동접점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어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 복수 개의 보빈 플랜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외측 요크; 상기 보빈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홀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 요크와 함께 자로를 형성하는 내측 요크; 상기 중앙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자로를 따라 움직이는 가동코어; 상기 가동코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코어와 함께 움직이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요크는 상부에 요크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요크 플랜지는 상기 외측 요크의 하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빈 플랜지에는 상기 플랜지가 결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빈 플랜지 중에서 상단 플랜지의 상부면 및 하단 플랜지의 하부면에 각각 상기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중앙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요크에는 상기 요크 플랜지의 상부면이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크 플랜지의 하부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크 플랜지의 폭은 상기 보빈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투입시 상기 가동코어는 상기 내측 요크와 일부 겹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의하면 내측 요크에 요크 플랜지가 형성되어 외측 요크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되므로 안정적인 기자력을 유지된다. 이에 따라 작동 성능이 향상되고, 안정적인 통전 성능이 유지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종단면도이다. 도 1은 개방상태이고, 도 2는 통전상태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적용되는 내측 요크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개방상태이고, 도 5는 통전상태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적용되는 내측 요크 및 코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적용되는 내측 요크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개방상태이고, 도 5는 통전상태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적용되는 내측 요크 및 코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는 아크 챔버(12)의 일부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접점(13);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13)의 하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13)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점(14); 상기 가동접점(14)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어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28); 복수 개의 보빈 보빈 플랜지(21,22,23)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28)이 권선되는 보빈(20); 상기 보빈(2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외측 요크(35); 상기 보빈(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홀(26)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 요크(35)와 함께 자로를 형성하는 내측 요크(30); 상기 중앙홀(26)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자로를 따라 움직이는 가동코어(45); 상기 가동코어(45)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코어(45)와 함께 움직이는 샤프트(40);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요크(30)는 상부에 요크 플랜지(31)가 구비되고, 상기 요크 플랜지(31)는 상기 외측 요크(35)의 하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는 프레임(10a,10b)과 아크 챔버(12), 고정접점(13)과 가동접점(14)을 포함하는 접점부, 액추에이터(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는 특히 전기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상부 프레임(10a)과 하부 프레임(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0a)과 하부 프레임(10b)은 일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내부공간을 만들도록 결합된다. 상부 프레임(10a)에는 아크 챔버(12)와 접점부가 설치되고, 하부 프레임(10b)에는 액추에이터(15)가 설치된다.
상부 프레임(10a)의 내부에는 아크 챔버(12)가 구비된다. 아크 챔버(12)의 내부에는 한 쌍의 고정접점(13)이 고정 설치되고 가동접점(14)이 한 쌍의 고정접점(13)에 대하여 접촉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접점(14)은 가동판(movable plate)과 접점(movable tip)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0b) 내부에는 액추에이터(15)가 설치된다. 액추에이터(15)는 코일 어셈블리(20,28)와, 코일 어셈블리(20,28)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요크(30,35)와 가동코어(45)를 포함한다. 코일 어셈블리는 보빈(20)과 상기 보빈(20)에 권취되는 코일(28)을 포함한다.
요크(30,35)는 보빈(2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내측 요크(30)와 보빈(2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내측 요크(30)를 지지하는 외측 요크(35)로 구성된다.
내측 요크(30)는 원관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 요크 플랜지(31)가 형성된다. 요크 플랜지(31)는 평탄면으로 형성된다. 요크 플랜지(3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다. 요크 플랜지(31)의 폭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요크 플랜지(31)의 폭은 보빈(2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요크(35)와의 접촉면이 증대하여 통전 전류량이 증가하고 자로(magnetic path) 형성에 유리하다. 요크 플랜지(31)는 보빈(20)의 일부에 얹힌 상태로 조립된다. 조립시 내측 요크(30)는 보빈(20)의 내부에 압입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내측 요크(3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보빈(2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내측 요크(30)는 보빈(20)의 내부에 서로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보빈(20)은 하부 프레임(10b) 내부에 설치된다. 보빈(20)은 코일(28) 및 요크(30,35)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부재이다. 보빈(20)에는 복수의 보빈 플랜지(21,22,23)가 형성된다. 보빈(20)의 각 보빈 플랜지(21,22,23) 사이에는 코일(28)이 권선된다. 보빈(20)의 중간 플랜지(22)에는 코일(28)에 저전압의 전류(제어 전원)를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보빈(20)에는 중앙부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중앙홀(26)이 형성된다. 보빈(20)의 중앙홀(26)의 중간부에는 원주돌기(25)가 돌출 형성된다. 원주돌기(25)는 내측 요크(30)를 지지할 수 있다. 원주돌기(25)는 보빈(20)의 상하방향에서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내측 요크(30)가 상,하 부분에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보빈(20)의 상,하단 플랜지(21,23)에는 내측 요크(30)의 요크 플랜지(31)가 끼워질 수 있는 안착홈(24)이 형성된다. 안착홈(24)은 요크 플랜지(3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폭으로 형성된다. 안착홈(24)의 폭은 보빈(20)의 중앙부 벽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홈(24)의 깊이(depth)는 요크 플랜지(31)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 요크(30)가 보빈(20)에 설치되었을 때 내측 요크(30)의 상면과 보빈(20)의 상면은 동일한 높이가 되어, 외측 요크(35)는 요크 플랜지(31)의 상면과 보빈(20)의 상면(하부의 경우는 하면)에 모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안착홈(24)은 상단 플랜지(21) 및 하단 플랜지(23)에 각각 형성된다. 상단 플랜지(21)의 안착홈(24)과 하단 플랜지(23)의 안착홈(24)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단 플랜지(21)의 안착홈(24)은 상단 플랜지(21)의 상면에 형성되고, 하단 플랜지(23)의 안착홈(24)은 하단 플랜지(23)의 하면에 형성된다.
안착홈(24)은 보빈(20)의 중앙홀(26)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홈(24)은 중앙홀(26)까지 연결되도록 단차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내측 요크(30) 중에서 보빈(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내측 요크(30)는 상단 플랜지(21)의 안착홈(24)에 얹혀진 상태로 압입되고, 하부에 설치되는 내측 요크(30)는 하단 플랜지(23)의 안착홈에 엎어진 상태로 압입된다. 요크 플랜지(31)는 안착홈(24)에 각각 삽입 결합되어 외측 요크(35)와 접하게 되므로, 내측 요크(30)와 외측 요크(35)의 접촉 면적은 증대된다.
외측 요크(35)는 보빈(20)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외측 요크(35)의 상면은 상부에 설치된 요크 플랜지(31)의 상면에 접하고, 외측 요크(35)의 하면은 하부에 설치된 요크 플랜지(31)의 하면에 접한다.
보빈(20)의 중앙홀(26)(내측 요크(30)의 내부)에는 가동코어(45)와 샤프트(40)가 삽입 설치된다. 가동코어(45)는 중앙홀(26)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코어(45)는 상단부에 내측으로 플랜지가 형성되는 원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코어(45)의 하단부에는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40)는 가동코어(45)의 상부에 얹히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샤프트(40)는 보빈(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앙홀(26)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샤프트(40)에는 접촉스프링 받침부(36)와 복귀스프링 받침부(42)가 마련된다.
가동접점(14)과 접촉스프링 받침부(36) 사이에는 접촉스프링(50)이 설치되어 샤프트(40)가 상승할 때 가동접점(14)이 고정접점(13)에 밀착하도록 접압력을 제공한다.
아크 챔버(12)의 상단부와 샤프트(40)의 복귀스프링 받침부(42) 사이에는 복귀스프링(55)이 설치된다. 복귀스프링(55)은 차단시 샤프트(40) 및 가동코어(45)를 하방으로 복귀시킨다.
도 4,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개방상태(차단상태, Off상태)에서 제어 전원이 입력되어 코일(28)에 전류가 흐르면 내측 요크(30), 가동코어(45), 외측 요크(35)를 순환하는 자로가 형성된다. 자로의 흐름을 따라 가동코어(45)는 자기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샤프트(40)를 밀어올려 가동접점(14)이 고정접점(13)에 접촉함으로써 주회로를 통전시키게 된다. 즉, 도 5와 같은 통전상태(On 상태)에 이른다. 여기서, 내측 요크(30)의 요크 플랜지(31)와 외측 요크(35)의 접촉 면적이 크므로 자로는 원활하게 형성되고, 통전 성능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여기서, 가동코어(45)는 보빈(20)의 상부에 설치된 내측 요크(30)와 일부 겹치게 되어 자로가 연결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빈(20)의 상단 플랜지(21)의 안착홈(24a)의 깊이는 요크 플랜지(31)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외측 요크(35)의 내측 단부에는 하면에 요크 플랜지(31)가 일부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36)이 형성된다. 삽입홈(36)의 깊이는 요크 플랜지(31)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요크 플랜지(31)의 두께는 삽입홈(36)의 깊이와 안착홈(24)의 깊이를 더한 것과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도, 상단 플랜지(21)에 설치되는 부분과 하단 플랜지(23)에 설치되는 부분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내측 요크(30)가 외측 요크(35)에도 맞물려 있으므로 자로 형성에 보다 유리하다. 또한, 내측 요크(30)의 요크 플랜지(31)가 보빈(20) 및 외측 요크(35)의 지지를 받으므로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적용되는 내측 요크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내측 요크(30)의 요크 플랜지(31)의 하부면(31a)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는 보빈(20)의 안착홈(24)도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자로는 내측 요크(30)의 요크 플랜지(31)의 경사면을 따라 유연하게 흐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로가 매끄럽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12 아크 챔버
13 고정접점 14 가동접점
15 액추에이터 20 보빈
21,22,23 플랜지 24 안착홈
25 원주돌기 26 중앙홀
28 코일 30 내측 요크
31 요크 플랜지 35 외측 요크
36 접촉스프링 받침부 40 샤프트
42 복귀스프링 받침부 45 가동코어
50 접촉스프링 55 복귀스프링

Claims (8)

  1. 아크 챔버의 일부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접점;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의 하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점;
    상기 가동접점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어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
    복수 개의 보빈 플랜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외측 요크;
    상기 보빈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홀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 요크와 함께 자로를 형성하는 내측 요크;
    상기 중앙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자로를 따라 움직이는 가동코어;
    상기 가동코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코어와 함께 움직이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요크는 상부에 요크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요크 플랜지는 상기 외측 요크의 하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플랜지에는 상기 요크 플랜지가 결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플랜지 중에서 상단 플랜지의 상부면 및 하단 플랜지의 하부면에 각각 상기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중앙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요크에는 상기 요크 플랜지의 상부면이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플랜지의 하부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플랜지의 폭은 상기 보빈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8. 제1항에 있어서, 투입시 상기 가동코어는 상기 내측 요크와 일부 겹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KR1020170011202A 2017-01-24 2017-01-24 직류 릴레이 KR20180087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02A KR20180087026A (ko) 2017-01-24 2017-01-24 직류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02A KR20180087026A (ko) 2017-01-24 2017-01-24 직류 릴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026A true KR20180087026A (ko) 2018-08-01

Family

ID=6322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202A KR20180087026A (ko) 2017-01-24 2017-01-24 직류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70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7862B2 (ja) 電磁接触器
JP5876270B2 (ja) 電磁接触器
JP6081787B2 (ja)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開閉器
EP2341521A1 (en) Sealed cased magnetic switch
KR102032517B1 (ko) 영구자석 하우징을 갖는 직류 릴레이
KR20200000312A (ko) 직류 릴레이
KR20140074916A (ko)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접촉기
JP7076633B2 (ja) 直流リレー
WO2014076865A1 (ja) 電磁開閉器
CN104704597A (zh) 电磁开闭器
WO2012157175A1 (ja) 電磁接触器の消弧室組立方法
CN106935444B (zh) 直流继电器
JP5981756B2 (ja) 電磁接触器
KR20200096195A (ko) 직류 릴레이
WO2014080555A1 (ja) 電磁接触器
JP7268199B2 (ja) 直流リレー
KR102324515B1 (ko) 직류 릴레이 및 그 제작 방법
KR20180087026A (ko) 직류 릴레이
KR102340034B1 (ko) 직류 릴레이
KR20170000938U (ko) 전자개폐기
JP7357193B2 (ja) 電磁継電器
KR20180085586A (ko) 직류 릴레이
JP2015176810A (ja) 電磁接触器
US20230326696A1 (en) Contact apparatus and electromagnetic relay
CN104347314A (zh) 接点装置和使用它的电磁接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