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809A - 고소 작업 장치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809A
KR20180086809A KR1020170010713A KR20170010713A KR20180086809A KR 20180086809 A KR20180086809 A KR 20180086809A KR 1020170010713 A KR1020170010713 A KR 1020170010713A KR 20170010713 A KR20170010713 A KR 20170010713A KR 20180086809 A KR20180086809 A KR 20180086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unit
present
lower portion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4235B1 (ko
Inventor
정현섭
정민섭
정원훈
정경호
Original Assignee
대박기술 주식회사
정경호
정민섭
정원훈
정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박기술 주식회사, 정경호, 정민섭, 정원훈, 정현섭 filed Critical 대박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0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23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6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 작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작업부의 상부에 받침부재가 구비되어 작업물을 안전하게 받칠 수 있고, 받침부재에 연결구와 분사구가 형성되어, 습식작업에 필요한 유체가 자동 분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보호판이 구비되어, 낙하물 또는 석면분진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보호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한 좌석부와 등받이부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앉거나 누워서 작업할 수 있어 근골격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소 작업 장치{AERIAL WORK DEVICE}
본 발명은 고소 작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석면(Asbestos)이 함유된 천장내장재인 텍스를 제거 또는 철거함에 있어서, 석면안전관리법 내지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요구하는 작업기준에 부합하는 방법에 한하여, 작업대의 상부에 받침부재와 보호판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는 텍스 해체용 고소 작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 장치는 고소 작업 시,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로서, 전기공사, 덕트, 미장 공사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고소 작업 장치는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작업대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서 다양한 높이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고소 작업 장치는 하나 이상의 붐이 상하 회동하여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붐타입(Boom type)과, 타워크레인에서 사용되는 유압구동 상승장치인 텔레스코핑 케이지(Telescoping cage), X자형 링크의 승강작동에 의해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리프트타입(Lift type)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에서, 리프트타입 고소작업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무한궤도를 가진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리프트실린더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짐에 따라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X자형 링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소 작업 장치는 건물이 고층화되어가는 현대사회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첫째, 천장재인 텍스는 주로 높은 곳인 천장에 설치된 내장재로서 해체 및 제거 작업 시 작업자가 서있는 자세로 작업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근골격계 무리가 따르며 작업이 매우 힘들고 피로도 누적으로 작업능률이 떨어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는 작업대에 의자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고소 작업의 특성상 작업자의 시선이 장시간 위를 향하게 되므로, 여전히 작업이 힘들고 그 효과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석면텍스 해체 작업 시에 발생하는 석면분진에 노출되기 쉬워,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 또한, 낙하하는 작업물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의 위험도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관련법 해체제거 기준은 필수적으로 습식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상 작업자가 수시로 유체를 분무해야하기 때문에, 그 과정이 번거롭고 작업시간 또한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69925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67569호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작업부의 상부에 받침부재가 구비되어서 작업물을 안전하게 받칠 수 있고, 받침부재에 연결구와 분사구가 형성되어, 습식작업에 필요한 유체가 자동 분무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받침부재의 하부에 보호판이 구비되어, 낙하물 또는 석면분진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호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한 좌석부와 등받이부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앉거나 누워서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부; 및 상기 작업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작업물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작업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작업 중 낙하하는 상기 작업물 또는 상기 분진으로부터 상기 작업자를 보호하는 보호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판은 상기 작업자의 팔 또는 다리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또는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좌석부; 및 상기 작업자가 앉거나 누워서 작업하기 위해 상기 좌석부의 일측에 회전결합되는 등받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작업부의 상부에 받침부재가 구비되어서 작업물을 안전하게 받칠 수 있고, 받침부재에 연결구와 분사구가 형성되어, 습식작업에 필요한 유체가 자동 분무되어 석면의 비산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부재의 하부에 보호판이 구비되어, 낙하물 또는 석면분진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보호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한 좌석부와 등받이부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앉거나 누워서 작업할 수 있어 근골격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의 받침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의 높이조정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의 보호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의 받침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의 높이조정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의 보호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부(100); 및 작업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작업물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부재(11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받침부재(110)는 작업부(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작업물의 하부를 받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받침부재(110)는 후술할 유체저장기(330)와 연결호스(113)로 연결되는 연결구(112) 및 유체저장기(330)로부터 공급되고, 연결호스(113)를 통해 전달된 유체가 외부로 분출되는 분사구(111)를 포함한다.
연결구(112)는 유체저장기(330)와 연결호스(113)로 연결되며, 분사구(111)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구(112)의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구(112)는 받침부재(110)의 하부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받침부재(110)의 내부 혹은 내부중앙까지 통공의 형태로 형성되고, 분사구(111)로 연통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분사구(111)는 받침부재(110)의 내부 혹은 내부중앙에 형성된 연결구(112)로부터 받침부재(110)의 상부표면까지 연장형성되어, 유체가 받침부재(110)의 상부로 분무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분사구(111)는 받침부재(110)의 내부로부터 받침부재(110)의 상부표면의 가장자리로 연통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중앙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사구(111)의 내부에는 유체의 분사량 조절이 가능하게 분사노즐이 구비되며, 분사노즐의 형태는 원형, 중공원형, 부채형, 방사형 등 다양하게 구현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유체저장기(330) 내의 유체가 연결호스(113)를 따라 받침부재(110)의 연결구(112)를 통해 받침부재(110)의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유체는 연결구(112)와 연통된 분사구(111)로 전달되어, 분사구(111) 내에 형성된 분사노즐을 통해 받침부재(110)의 외부로 분무될 수 있다.
이때, 분사구(111)는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연결호스(113)를 통해 공급된 유체가 연결구(112)와 분사구(111)의 연통되는 지점에서 다수 개로 분산되어 분사노즐을 통해 외부로 분무되도록 구현가능하다.
더 나아가, 비록 도면상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분사구와 연결구는 받침부재(110)와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작업부(100) 또는 대차부(3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유체는 유체저장기(330)에서 공급되거나, 다른 외부에서 공급되는 방법, 받침부재(110)에 내장되어 분사구(111)를 통해 분무되는 방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유체는 수행하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분진의 비산방지를 목적으로 한 습식작업에 사용되는 유체일 수 있으나, 그 실시 예를 특정한 경우에 한정하지 않는다.
받침부재(110)의 상단부에는 완충부재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완충부재는 받침부재(110)가 천장에 부착된 작업물을 받치는 과정에서, 작업물과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는, 작업부(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받침부재(110)의 상하이동을 조절하는 높이조정기(120)를 포함한다. 높이조정기(120)는 후술할 보호판(140)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높이조정기(120)는 작업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제1링크(121)와 제2링크(122)를 포함한다. 제1링크(121)의 상단부는 받침부재(110)의 하부에 회전결합되고, 하단부는 작업부(10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2링크(122)의 하단부는 작업부(100)의 상부에 회전결합되고, 상단부는 받침부재(110)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며, 제1링크(121)와 제2링크(122)는 상호 교차하여 회전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링크(121)의 하단부와 제2링크(122)의 상단부에 롤러(123)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작업부(100)의 상부와 받침부재(110)의 하단부에 레일(124)이 제공되어, 제1,2링크(121,122)에 체결된 롤러(123)가 레일(124) 상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a)에서 롤러(123)가 왼쪽으로 슬라이딩 될 때, 도 3-(b)와 같이 받침부재(11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고, 그와 반대로 롤러(123)가 오른쪽으로 슬라이딩 되면 받침부재(11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도면에서는 롤러(123)가 표시되었으나, 이외에도 슬라이딩 가능한 다른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2링크(121,122)의 양단부 모두 레일(124) 상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받침부재(110)가 높이조정기(120)의 상부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 높이조정기(120)가 보호판(140)의 상부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높이조정기(120)는 상호 교차하여 회전결합된 제1,2링크(121,122) 다수 개가 상하로 결합된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링크의 상호 체결에 의한 높이조절방식 이외에도, 텔레스코핑 타입을 비롯한 여러 방식이 가능하다.
또한, 높이조정기(120)의 구동방식에 있어서도, 유압구동에 의한 방식, 전기구동방식, 수동 절첩식 전개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는 받침부재(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좌석부(130) 및 좌석부(130)의 일측에 회전결합되는 등받이부(131)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좌석부(130)와 등받이부(131)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앉거나 누운 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다. 좌석부(130)와 등받이부(131)는 작업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부(100); 및 작업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낙하하는 작업물 또는 분진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보호판(140);을 포함한다.
보호판(140)은 좌석부(130) 또는 등받이부(131)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고, 작업부(100)의 상부에 세워진 지지부재(141)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보호판(140)은 작업부(100) 뿐만 아니라, 후술할 차체(301)의 상부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구비될 수 있고,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호판(140)은 작업자의 팔 또는 다리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142) 또는 홀(143)을 포함한다. 각 홈(142) 또는 홀(143)은 보호판(140)의 가장자리 혹은 중앙부에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보호판(140)은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외부가 투시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a)와 같이 평평한 형상뿐만 아니라, 도 4-(b)와 같은 굴곡진 형상, 작업자의 얼굴까지 보호할 수 있는 형상 등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작업부(100)의 상부에는 받침부재(110)와 보호판(140)이 동시에 제공될 수 있으며, 높이조정기(120), 좌석부(130) 및 등받이부(131)도 필요에 따라 함께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는, 작업부(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작업부(100)의 상하이동을 위해 절첩식으로 전개되는 승강부(200)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승강부(200)는 X자형 링크의 승강작동에 의해 작업부(100)를 승강시키는 리프트타입을 적용하였으나, 이동방식을 수직이동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가능하다.
승강부(200)의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나 이상의 붐이 상하 회동하여 작업부(100)를 승강시키는 붐타입과, 타워크레인에서 사용되는 유압구동 상승장치인 텔레스코핑 케이지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는, 작업부(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지면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이동수단(310)이 구비되는 대차부(300)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대차부(300)에는 차체(301), 지면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310), 승강부(200)의 상하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기(320), 동력발생기(3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3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수단(310)은 모터(311), 구름부재(312), 아우트리거(313)를 포함한다.
모터(311)는 차체(301) 내부에 구비되며, 대차부(300)의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름부재(312)는 차체(301)의 하부에 구비되며, 대차부(300)가 지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차체(301)의 하부 또는 측면에 아우트리거(313)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우트리거(313)는 구난 차량 등 특수 차량의 안정적 작업을 위하여 적재함 모서리 부분을 떠받치는 지주로서, 본 장치의 전도 지지점을 하물측에 가깝게 붙여 안정을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동력발생기(3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예로 유압모터, 유압펌프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압 펌프의 구동 방식을 채택하였다.
유체저장기(330)는 차체(301) 또는 작업부(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작업에 사용되는 유체를 저장, 보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제어기(340)는 차체(301)의 상부에 구비되고, 동력발생기(320)를 제어하여 승강부(200)의 상하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이동수단(310)과 동력발생기(320)를 모두 제어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모터(311)와 구름부재(312)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운전대 혹은 다양한 조작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체(301)의 상부에 진공청소기, 제거된 작업물을 폐기하는 비닐팩, 작업물 수거함 등을 포함하는 청소함(350)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고, 이외에도 작업에 필요한 도구가 적소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승강부(200)와 대차부(300)는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공되거나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작업부의 상부에 받침부재가 구비되어서 작업물을 안전하게 받칠 수 있고, 받침부재에 연결구와 분사구가 형성되어, 습식작업에 필요한 유체를 자동 분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보호판이 구비되어, 작업물 또는 분진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보호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한 좌석부와 등받이부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앉거나 누워서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작업부
110 : 받침부재
111 : 분사구
112 : 연결구
113 : 연결호스
120 : 높이조정기
121 : 제1링크
122 : 제2링크
123 : 롤러
124 : 레일
130 : 좌석부
131 : 등받이부
140 : 보호판
141 : 지지부재
142 : 홈
143 : 홀
200 : 승강부
300 : 대차부
310 : 이동수단
311 : 모터
312 : 구름부재
313 : 아우트리거
320 : 동력발생기
330 : 유체저장기
340 : 제어기
350 : 청소함

Claims (9)

  1.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부; 및
    상기 작업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작업물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유체저장기와 연결호스로 연결되는 연결구; 및
    상기 유체저장기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연결호스를 통해 전달된 유체가 외부로 분출되는 분사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상하이동을 조절하는 높이조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기는,
    상단부가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회전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작업부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링크; 및
    하단부가 상기 작업부의 상부에 회전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상호 교차되어 회전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 장치.
  5.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부; 및
    상기 작업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작업 중 낙하하는 작업물 또는 분진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보호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은,
    상기 작업자의 팔 또는 다리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또는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 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좌석부; 및
    상기 좌석부의 일측에 회전결합되는 등받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 장치.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작업부의 상하이동을 위해 절첩식으로 전개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 장치.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지면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이동수단이 구비되는 대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 장치.
KR1020170010713A 2017-01-23 2017-01-23 고소 작업 장치 KR101904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713A KR101904235B1 (ko) 2017-01-23 2017-01-23 고소 작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713A KR101904235B1 (ko) 2017-01-23 2017-01-23 고소 작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809A true KR20180086809A (ko) 2018-08-01
KR101904235B1 KR101904235B1 (ko) 2018-10-11

Family

ID=6322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713A KR101904235B1 (ko) 2017-01-23 2017-01-23 고소 작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2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716B1 (ko) * 2020-09-08 2021-01-12 안광태 석면 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N115324375A (zh) * 2022-08-26 2022-11-11 蒋建栋 一种建筑结构设计梁用加固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507B1 (ko) * 2019-02-15 2020-02-12 황호순 음압을 이용한 소규모 석면텍스 이동식 해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925B1 (ko) 2005-11-01 2007-10-24 주식회사 수성 안전장치가 설치된 고소 작업대
KR101667569B1 (ko) 2016-01-13 2016-10-19 주식회사 에스오티시스템즈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1653B2 (ja) * 2007-04-27 2014-03-05 株式会社大気社 加工装置
KR101011981B1 (ko) * 2009-10-13 2011-01-3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고상에 보관된 광물 시료박스 조사용 탑승형 테이블 리프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925B1 (ko) 2005-11-01 2007-10-24 주식회사 수성 안전장치가 설치된 고소 작업대
KR101667569B1 (ko) 2016-01-13 2016-10-19 주식회사 에스오티시스템즈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716B1 (ko) * 2020-09-08 2021-01-12 안광태 석면 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N115324375A (zh) * 2022-08-26 2022-11-11 蒋建栋 一种建筑结构设计梁用加固结构
CN115324375B (zh) * 2022-08-26 2024-01-19 蒋建栋 一种建筑结构设计梁用加固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235B1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235B1 (ko) 고소 작업 장치
US20090078502A1 (en) Movable work platform
US11498819B2 (en) Scissor lift arm inspection prop
JP2010534176A (ja) 車両及びリフトアームアセンブリ
KR101160458B1 (ko)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KR101008221B1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CN205933128U (zh) 一种可移动气动式闸刀升降检修平台
KR20130096559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120104864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101160459B1 (ko)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KR101811173B1 (ko) 저상 탑승이 가능한 고소작업차
KR101911931B1 (ko) 전후방 및 좌우측 방향으로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작업대
KR100931044B1 (ko) 버스의 휠 체어 램프용 이송장치
KR101033312B1 (ko)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 방법
CN211397417U (zh) 一种机电工程用作业梯
KR101400104B1 (ko) 다기능 작업카트
KR101955416B1 (ko) 중장비를 이용하여 승강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한 선미 축/타계 작업대
KR20150112457A (ko) 다기능 트롤리
KR20130003787U (ko) 오버헤드 작업용 이동 작업대
KR20220028320A (ko) 선박용 고소작업차
US20080230312A1 (en) Vehicle Supported, Portable Scaffold System
CN111002137A (zh) 座椅式地坪机及其操作方法
CN217645110U (zh) 单人吊椅
JP2007153478A (ja) 高所活動車
JP6741423B2 (ja) 航空機用ドック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