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033A -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 - Google Patents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033A
KR20180086033A KR1020170009899A KR20170009899A KR20180086033A KR 20180086033 A KR20180086033 A KR 20180086033A KR 1020170009899 A KR1020170009899 A KR 1020170009899A KR 20170009899 A KR20170009899 A KR 20170009899A KR 20180086033 A KR20180086033 A KR 20180086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dental
bone
impla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준
Original Assignee
김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준 filed Critical 김태준
Priority to KR1020170009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6033A/ko
Publication of KR20180086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5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for multiple drills, for simultaneous dri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시술 또는 치과 기공에 사용되는 드릴이 하나의 몸체에 양방향으로 드릴을 구비하여 각각의 드릴을 구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드릴로 2가지 시술 및 치과 기공을 이루는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기둥형상을 이룬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일체를 이루게 구비되는 상부드릴부와; 상기 몸체부 하부에 일체를 이루게 구비되는 하부드릴부;로 구비되어 하나의 드릴에 의해 2가지 시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Dental drills}
본 발명은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시술 또는 치과 기공에 사용되는 드릴이 하나의 몸체에 양방향으로 드릴을 구비하여 각각의 드릴을 구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드릴로 2가지 시술 및 치과 기공을 이루는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 사용되는 드릴은 크게 치아를 삭제하는 치과용과 보철용 제품을 연마하는 기공용으로 구분되며, 치과용은 주로 고가용이, 기공용은 저가용이 사용된다.
아울러, 치과에서 많이 시술되는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매식의치로서 상실된 치아의 뿌리(치근)가 있던 악골내에 치근과 유사한 구조의 임플란트(매식체; fixture)를 심어서 치아를 새로이 제작하는 방법으로 고정성 의치처럼 인접한 치아를 삭제하지 않으므로 인접치아의 손상이 없고, 이차적인 충치발생요인이 없어 고정성의치보다 더 안정적인 방법이다.
또한 다수의 치아가 빠진 경우 가철성 의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치주조직(잇몸)에 힘이 가해져 잇몸에 불편함이 있고 틀니의 크기로 인해 구강내 이물감이 심하지만, 임프란트는 치아와 같은 구조이므로 잇몸의 통증 및 이물감이 전혀 없어 환자들의 삶의 질의 향상과 만족감을 줄 수 있다.
최근 이와 같은 이유로 상실된 치아를 반영구적으로 보충하기 위한 임플란트 시술이 일반화되고 있다.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한 수술은 임플란트의 종류(시스템)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나사형의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수술은 크게 연조직 수술과 골삭제 수술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의 식립과정은 임플란트가 들어갈 부분의 잇몸을 열고(연조직 수술), 피질골과 망상골을 삭제하여 치조골에 기초공을 형성(골삭제 수술)한 다음 임플란트(매식체)를 넣고, 골 유착이 일어나도록 안정화 기간이 지난 후 가공치아(crown)를 해 넣을 수 있도록 잇몸 밖으로 임플란트의 받침대(abutment)을 연결하며, 잇몸이 완전히 나아 임플란트(매식체)가 뼈에 고정된 것이 확인되면 가공치아를 제작하여 임플란트(받침대)에 결합시켜서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의 식립과정에서 연조직 수술과 골삭제 수술시 사용되는 기구들의 조합을 임플란트 외과용 키트(implant surgical kit)라고 한다.
이때 골삭제 수술시 기초공을 뚫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가 치과용 드릴이며, 이 치과용 드릴은 다양한 형태 및 치수를 갖는 여러 종류의 드릴이 조합되어 사용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의 설명에서 골삭제 수술시 사용되는 드릴들의 조합을 특별히 드릴세트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시 기초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드릴세트를 골삭제 수술의 진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특히 도 1은 외형 매식체(external fixture)의 임플란트(300)를 식립하기 위한 기초공을 형성하는 드릴세트 및 그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내형 매식체(internal fixture)의 임플란트(310)를 식립하기 위한 기초공을 형성하는 드릴세트 및 그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외형 매식체의 임플란트(700)를 식립하기 위한 기초공을 형성하기 위해 포인트 드릴(500; point drill), ∮2.0mm 트위스트 드릴(510; twist drill), ∮2.0 / ∮3.0mm 파일롯 드릴(520; pilot drill), ∮3.0mm 트위스트 드릴(530), ∮3.3mm 트위스트 드릴(540), 카운터싱크 드릴(550; countersink drill), 탭 드릴(560; tap drill, 선택적으로 사용된다)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치과용 드릴세트는 임플란트 시술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던 1960년대부터 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기저골만 남은 상태에서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것을 기준으로 제작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드릴세트를 이용한 골삭제 수술은 단단한 기저골을 조금씩 삭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내형 매식체의 임플란트(710)를 식립하기 위한 기초공을 형성하기 위해 포인트 드릴(600), ∮2.0mm 트위스트 드릴(610), ∮2.0mm 깊이 게이지(620; depth gauge), ∮2.8mm 트위스트 드릴(630), ∮2.8mm 깊이 게이지(640), ∮3.5mm 트위스트 드릴(650), ∮3.5mm 깊이 게이지(660), ∮4.1mm 탭 드릴(670)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치과용 드릴세트를 이용한 골삭제 수술은 전술한 외형 매식체의 임플란트(700)와 달리 파일롯 드릴(520)과 카운터싱크 드릴(550)을 사용하지 않아 드릴 횟수가 5회로 줄어 들지만, 탭 드릴(670)을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이와 같은 치과용 드릴세트는 임플란트 시술이 확대되기 시작하였던 1980년대부터 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전술한 1960년대부터 적용된 임플란트 시술보다 한단계 연한 조직의 치조골의 상태에서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것을 기준으로 제작된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23647호 및 제0254343호는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한 치과용 드릴의 한 형태를 각각 제안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0323647호는 그 등록실안공보의 도 1 및 2와 같이 본체부(10, 날부)를 손잡이부(20, 생크부)와 인접되지 않는 저면이 개방되게 구성하고 내부가 통공되어 개구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기본날(11), 수직날
(12) 및 수평날(13)을 갖도록 하므로써 카운터싱크 과정의 생략을 기대하고 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0254343호는 그 등록실안공보의 도 1 및 2와 같이 몸체(32, 날부)가 중앙이 천공되는 원형요입부(322)를 가지는 통상체로 되어 축방향
으로 절반이 절개되어 첨부에서 오므려지고 절개된 최외곽을 따라 인선(321)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2.0mm ~ ∮2.3mm 드릴을 사용한 홀 확대과정, ∮2.8mm 드릴을 사용한 홀 확대과정 및 최종 드릴에 의한 홀의 정면가공과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치과용 드릴은 각각의 종류에 맞게 각각의 드릴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기공에 사용되는 드릴의 정식 명칭은 다이아몬드 비트라 하며, 그 종류가 다양하고, 각각에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그 명칭을 달리하기도 한다.
그 명칭은 대략적으로 다이아비트, 다이아몬드 추지석, 세공비트, 조각 드릴용비트, 드레멜용비트, 연마용비트, 아이들휠, 드릴비트, 세공바, 금속공에용바, BUR, 치기공바, 조각용 드릴 등이 있다.
그중, 다이아몬드 비트, 다이아비트, 세공비트, 드릴용비트는 세공작업을 하기 위해 STRONG204인 핸드피스와 같이 많이 사용된다.
또한, 드레멜용 비트는 나무 조각이나 프라모델용으로 자작용 제품작업에 많이 사용된다.
또한, 다이아비트는 유리 가공 작업에 많이 사용된다.
또한, 일반 금형가공이나 스틸을 작업시 핸드피스와 같이 초경바 또는 세공바가 많이 사용된다.
아울러, 치기공에 사용되는 드릴은 다이아몬드 비트, 세공용바, 치기공바, 세공바등이라 하며 직경은 2.35가 사용된다.
그리고,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직경이3.0로, 핸드피스나 금형용 에어루타에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다이아몬드 비트라 칭하는 드릴은 그 종류가 다양하고, 각각의 사용목적에 따라 명칭을 달리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치기공에 사용되는 드릴에 경우 직경 2.35 을 이룬 드릴이 사용된다.
그러나, 치기공에 사용되는 드릴 또한 각각의 용도 및 크기에 맞게 여러종류의 드릴이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치과 시술 또는 치기공시 하나의 몸체에 양방향으로 드릴을 구비하여 각각의 드릴을 구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드릴로 2가지 시술 또는 치기공을 이루어 드릴을 최소로 구비할 수 있는 치과 또는 치기공용 드릴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치과 시술 또는 치기공의 순서에 맞게 혼동없이 순차적으로 시술 또는 치기공을 이룰 수 있는 치과 또는 치기공용 드릴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에 있어서, 기둥형상을 이룬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일체를 이루게 구비되는 상부드릴부와; 상기 몸체부 하부에 일체를 이루게 구비되는 하부드릴부;로 구비되어 하나의 드릴에 의해 2가지 시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원통형 기둥 또는 적어도 삼각 또는 삼각이상의 다각을 이룬 기둥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다수의 고정홈이 함몰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드릴부와, 하부드릴부는 치과 시술의 순서에 따라 직경이 다른 스트레이트 드릴 또는 데이퍼 드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드릴부와, 하부드릴부는, 치과 시술 또는 치기공에 필요로 하는 포인트 드릴, 카운터 싱크 드릴, 탭 드릴, 라운드 버 드릴, 다이어몬드 버 드릴 또는 절삭용 드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또는 치공용 양방향 드릴은 치과 시술 또는 치기송시 하나의 몸체에 양방향으로 드릴을 구비하여 각각의 드릴을 구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드릴로 2가지 시술 또는 치기공을 이루어 드릴을 최소로 구비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치과 시술 또는 치기공의 순서에 맞게 혼동없이 순차적으로 시술 또는 치기공을 이룰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치과용 드릴세트를 사용하여 골삭제 수술을 하고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치과용 드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종래의 치기공용 드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드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드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드릴이 치공용드릴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드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또는 치기공용 드릴(이하 드릴이라 칭함)(10)은 치과 시술시 사용되게 기둥형상을 이룬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 상부에 일체를 이루게 구비되는 상부드릴부(40)와, 상기 몸체부(20) 하부에 일체를 이루게 구비되는 하부드릴부(60)로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20)는 원통형 기둥을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적어도 삼각 또는 삼각이상의 다각을 이룬 기둥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드릴부(40)와, 하부드릴부(60)는 치과 시술의 순서에 따라 직경이 다른 스트레이트 드릴 또는 데이퍼 드릴 또는 포인트 드릴, 카운터 싱크 드릴, 탭 드릴, 라운드 버 드릴, 다이어몬드 버 드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드릴부(40)는 포인트 드릴로 구비되고, 하부드릴부(60)는 스트레이트 드릴로 구비되어 몸체부(20)와 일체를 이룬다.
이는, 본 발병에 따른 한 예로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드릴부(40)와 하부드릴부(60)가 여러 종류의 드릴 또는 보조드릴로 구비되어 각각의 드릴부(40,60)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자유로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 및 하부드릴부의 직경이 몸체부의 직경보다 크지 않게 구비된다.
즉, 핸드피스 전동기구에 삽입되는 몸체부의 직경보다 상부 및 하부 드릴부의 직경이 작거나 동일하게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의 드릴(10)은 종래에 사용되는 핸드피스 전동기구(미도시)에 상부 또는 하부드릴부(60)가 삽입되고 몸체부(20)가 핸드피스 전동기구에 고정되어 사용하고자 하는 상부 또는 하부드릴부(60)의 드릴이 노출되어 드릴(20)에 의해 치과 시술을 이룬다.
아울러, 상기 상부드릴부 (40)또는 하부드릴부(60)는 각각의 직경이 종래 드릴의 직경과 대동소이하게 여러 치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각각의 상부드릴부(40) 또는 하부드릴부(60)의 직경 및 길이는 변경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부 또는 하부드릴부(40,60)를 이용하여 치과 시술을 이룬 후 그 다음단계의 시술시 상부 또는 하부드릴부(40,60)를 교체 고정하여 하나의 드릴로 2가지 시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그 한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드릴부(40)의 포인트 드릴에 의해 시술하고자 하는 부분에 먼저 천공을 이룬 후 하부드릴부(60)로 교체되어 스트레이 드릴에 의해 시술하고자 하는 부분을 확장하는 시술을 하나의 드릴로 이룰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드릴부(40,60)의 종류는 변경하여 사용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드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대동소이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0)와 일체를 이루는 상부드릴부(40)와, 하부드릴부(60)와 인접하게 몸체부(20)에 다수의 고정홈(80)이 함몰되게 구비된다.
즉, 종래의 핸드피스 전동기구에 몸체부(20)가 고정할 때, 핸드피스 전동기구에 몸체부(20)가 용이하게 고정되게 고정홈(80)이 상부 또는 하부드릴부(40,60)와 인접하게 구비됨으로 드릴(1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핸드피스 전동기구가 드릴의 파지 및 고정이 용이하다.
아울러,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상부드릴부(40)는 스트레이트 드릴로 구비되고, 하부드릴부(60)는 테이퍼 드릴로 구비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여러실시예 중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변경 가능하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0)에 다수의 고정홈(80)이 중앙부분에 함몰되게 구비된다.
이는, 핸드피스 전동드라이버의 고정시 삽입깊이가 일정하게 이루어 더욱더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도 6은 상부드릴부(40)가 테이퍼 드릴로 구비되고, 하부드릴부(60)는 탭 드릴로 구비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 예 중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아울러, 치과용으로 사용되는 상부 및 하부드릴은 공지의 치과에 사용되는 드릴과 대동소이하며,
그 한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의 상부 및 하부드릴부는 미쉬(Misch)의 연구결과에 가장 적합하게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임플란트의 시술시 기초공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뚫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추후 임플란트를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미쉬 골밀도 분류에 의하면 치조골은 가장 치밀한 것(D1)에서 가장 덜 치밀한 골(D4)까지 있다. 미쉬 골밀도 분류는 밀한 피질골(D1), 다공성 피질골(D2), 거친 망상골(D3), 고운 망상골(D4)로 분류된다.
미쉬에 의하면 D1골은 우선적으로 치밀한 피질골로서 구멍을 뚫고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참나무나 단풍나무에 구멍을 뚫는 것과 유사하고, D2골은 치조정에서 그리고 거친 망상골 안에서 치밀하고 두꺼운 다공성 피질골로서 소나무와 전나무에 구멍을 뚫는 것과 유사하며, D3골은 더 얇은 다공성 피질골 치조정과 고운 망상골로서 발사나무에 구멍을 뚫는 것과 유사하고, D4골은 거의 치조정 피질골이 없는 고운 망상골로서 스티로폼에 구멍을 뚫는 것과 유사하다.
미쉬에 의하면 고운 망상골(D4)은 임플란트에 인접한 골부피의 대부분을 구성한다.
다음 표 1은 골밀도 형태의 일반적인 해부학적 위치를 실험적 수치(% 빈도)로 밝힌 것이다.
표 1.
Figure pat00001
위 표 1를 보면, D1골은 상악 및 하악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D2골은 하악에서 발경되는 가장 흔한 골밀도이고 특히 하악 전치부의 2/3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D3골은 상악에서 매우 흔한 것으로 환자의 절반보다 많은 사람들이 상악에서 D3골을 갖는데, 거의 절반의 환자들이 상악구치부를 가지는 반면에 상악전치부는 65% 가량 D3골을 갖고 하악구치부는 거의 절반이 D3골을 갖는다.
그리고 가장 부드러운 D4골은 상악구치부에서 가장 자주 발견되고, 특히 대구치부위에서 또는 상악동 이식 후에 거의 환자의 2/3가 D4골을 보인다.
이와 같이 미쉬 골밀도 위치에 의하면 위치에 따라 치료계획의 일반화가 신중하게 수립될 수 있고, 덜 치밀한 골의 치료계획에서 오차가 있는 것이 보철물이 더 적은 지지보다는 약간 더 많은 지지로 계획될 수 있도록 하는데 더 안전하다.
그리고 상악 전치부는 보통 D3골로 치료되고 상악 구치부는 D4골, 하악 전치부는 D2골, 하악 구치부는 D3골로 치료된다.
골밀도의 더 정확한 결정은 CT와 임플라트 수술시 촉감으로 판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치료 환자의 치조골이라 할 수 있는 D2 내지 D4골에 적합하고 골삭제시 먼저 D4골에 기초공을 가공하기 위한 드릴부터 적용하여 D1골의 치조골까지 가공할 수 있는 치과용 드릴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한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치과용 드릴에서 상부 및 하부드릴부의 스트레이트 드릴(40)과 테이퍼 드릴(60)은 스테인레스 계열의 소재(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레스 계열의 YUS550가 적용되었다) 또는 다른 형태의 합금소재 및 그들의 조합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스트레이트 드릴(40) 및 테이퍼 드릴(60)은 단조, 압연 또는 인발된 봉재를 기계가공하여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트레이트 드릴(40)과 테이퍼 드릴(60)의 끝단의 날부는 식립되는 임플란트의 매식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날부의 외경은 식립되는 임플란트의 매식체와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임플란트 시술시 시술 전에 CT 촬영 등을 통해 치근의 깊이를 확인하고 기초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식립하고자 하는 임플란트의 매식체와 대응되는 길이의 드릴을 사용하면 한번 또는 두번의 드릴 교환으로 적합한 깊이의 기초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드릴이 치공용드릴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대동소이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100)은 몸체부(120)와 일체를 이룬 상부드릴부(140) 및 하부드릴부(160)가 각각의 직경 및 종류가 다른 치기공에 사용되는 드릴로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드릴(100)의 재질은 초경메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드릴부(140,160)에 구비되는 절삭부분은 공지의 치기공에 사용되는 다이아몬드 비트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몸체부(120)에 고정홈(18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은 몸체부(120)의 직경보다 상부 및 하부드릴부(140,160)의 직경이 적거나 또는 동일하게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드릴(100)은 핸드피스 전동기구에 결합되어 노출된 드릴부(140,160)가 고속회전을 이루어 치기공 작업을 이룬다.
이때, 초경메탈로 구비된 드릴(100)은 치기공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휨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즉, 고속회전을 이루는 드릴의 파손시 드릴이 휘어지지 않고, 외부로 튕겨짐으로 드릴의 휨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고, 드릴의 휨에 의해 정밀가공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드릴(100)에 의해 여러 형태의 치기공 가공에 필요한 2가지 형태의 드릴이 구비됨으로 사용자는 간편하게 드릴의 방향을 변경교체하여 하나의 드릴로 2가지 형태의 치기공을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100: 드릴
20, 120: 몸체부
40, 140: 상부드릴부
60, 160: 하부드릴부
80, 180: 고정홈

Claims (5)

  1. 기둥형상을 이룬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일체를 이루게 구비되는 상부드릴부와;
    상기 몸체부 하부에 일체를 이루게 구비되는 하부드릴부;로 구비되어 하나의 드릴에 의해 2가지 시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원통형 기둥 또는 적어도 삼각 또는 삼각이상의 다각을 이룬 기둥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다수의 고정홈이 함몰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드릴부와, 하부드릴부는 치과 시술의 순서에 따라 직경이 다른 스트레이트 드릴 또는 데이퍼 드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드릴부와, 하부드릴부는, 치과 시술 또는 치기공에 필요로 하는 포인트 드릴, 카운터 싱크 드릴, 탭 드릴, 라운드 버 드릴, 다이어몬드 버 드릴 또는 절삭용 드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양방향 드릴.

KR1020170009899A 2017-01-20 2017-01-20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 KR20180086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899A KR20180086033A (ko) 2017-01-20 2017-01-20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899A KR20180086033A (ko) 2017-01-20 2017-01-20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033A true KR20180086033A (ko) 2018-07-30

Family

ID=63048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899A KR20180086033A (ko) 2017-01-20 2017-01-20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60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9523B2 (en) Maxillary bone cutting system, k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364662B1 (en) Diamond-like carbon coated dental instrument
US6547562B2 (en) Pseudo-etching of diamond-like carbon coated instruments
KR101005952B1 (ko) 천공 깊이 조절 가능한 골 천공 드릴
US11007034B2 (en) Device for guiding a dental surgical hollow milling machin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 device
DE59912349D1 (de) Medizinisches oder dentalmedizinisches Instrument zur spanabhebenden Bearbeitung von Körpergewebe und Werkzeug für ein solches Instrument
US7547210B1 (en) Universal, multifunctional, single unit, rotary osteotome
US20200197130A1 (en) Dental surgery method and device
JP2008005960A (ja) 施術用器具
KR100539414B1 (ko) 치과용 드릴세트
US20090069834A1 (en) Auxiliary tool for formation of implant pre-hole
JP2021513439A (ja) 口腔外科方法及び装置
KR20180086033A (ko) 치과 또는 치기공용 양방향 드릴
JP3297042B1 (ja) 口腔インプラント治療用骨のみ
KR101181923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KR20180116817A (ko) 치조골용 트리밍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키트
JP6187862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のドリリングシステム
JP2008188037A (ja) 歯科用デバイス、ツール及びハンドピース
AU2017348872B2 (en) Surgical instrument
KR101807564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핸드피스
RU41606U1 (ru) Фреза для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ой имплантации
AU2020201283A1 (en) Dental surgery method and device
RU2023116588A (ru) Набор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операции по постэкстракционной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ции
BR202019006539U2 (pt) Osteótomos e expansores ósseos de implantodontia dentária ativados por contra-ângulos do tipo martelete
Lahori et al. RETRIEVAL OF FRACTURED ABUTMENT SCR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