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515A -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515A
KR20180085515A KR1020170009141A KR20170009141A KR20180085515A KR 20180085515 A KR20180085515 A KR 20180085515A KR 1020170009141 A KR1020170009141 A KR 1020170009141A KR 20170009141 A KR20170009141 A KR 20170009141A KR 20180085515 A KR20180085515 A KR 20180085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motor
blower
abnormality
motor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진욱
박성근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5515A/ko
Publication of KR20180085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failure of detection or safety means; Diagnost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3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in op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공조 시스템의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는, 블로워 제어신호 및 블로워 모터(Brower motor)로부터 피드백(Feedback)되는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블로워 모터의 구동을 위한 블로워 신호를 출력하는 블로워 제어부, 블로워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블로워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모터 구동부, 블로워 모터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Battery voltage)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배터리 전압 관련 정보를 마이콤(Micom)에 제공하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 차량 실내 공기에 대한 공조 요구 또는 필요 시 블로워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블로워 모터로부터 피드백되는 출력신호를 가지고 상기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마이콤(Micom)을 포함하며, 마이콤은 배터리 전압에 따라 블로워 모터의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각기 다른 값으로 저장한 블로워 모터 진단맵을 활용하여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Blower driving circuit trouble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배터리 전압이 정상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도 블로워 모터 구동회로의 이상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공기조화장치가 설치되어 주위의 환경변화에 따른 온도 및 습도와 공기환경을 적당히 유지함으로써 탑승자에게 쾌적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최근 자동차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차량의 공기조화장치가 자동화되고 있으며, 운전자가 원하는 조건(예컨대, 온도)을 설정하면 자동온도조절장치가 각종 센서들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블로워(송풍기)의 세기, 즉 구동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신속하게 실내 온도가 설정 값에 도달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온도조절을 위한 블로워 구동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로워 제어부(2)는 마이콤(1)의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트랜지스터(Power TR) 또는 릴레이(4)를 동작시켜 블로워 모터(3)를 구동시키고, 그 피드백 신호를 통하여 블로워 모터(3)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고 블로워 모터(3)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마이콤(1)은 블로워 제어부(2)로부터 A/D 포트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피드백 신호로부터 구동회로의 고장 여부를 확인한다.
즉 마이콤(1)은 상기 블로워 모터(3)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활용하여 블로워 구동회로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 고장으로 진단되면 대응되는 진단 오류 코드(DTC, Diagnostic Trouble Code)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된 진단 오류 코드를 계기판이나 OBD와 같은 차량진단장치를 통해 외부에 출력한다.
종래 기술의 경우 블로워 모터의 진단 오류 코드(DTC) 생성 조건을 차량 배터리 상태와 무관하게 피드백 신호의 전압 값(Feedback Voltage)이 특정 값을 초과하는 조건으로 하고 있다. 때문에 배터리 전압이 낮은 저전압 상태에서 실제 블로워 구동회로, 바람직하게는 블로워 모터 작동에 문제가 있음에도 진단 오류 코드를 생성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즉 블로워 모터의 피드백 전압을 특정 값(예를 들어, 배터리가 전압이 정상인 경우 피드백 전압 값)과 비교하여 블로워 모터의 정상 여부를 진단하기 때문에, 저전압의 배터리 전압이 블로워 모터에 인가될 경우 정상상태가 아님에도 피드백 전압은 특정 값 이하로만 검출되며, 따라서 STB(Short To Battery) 등에 의한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01897호(공개일 2005. 01. 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 전압이 낮은 경우에도 블로워 모터의 이상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로워 제어신호 및 블로워 모터(Brower motor)로부터 피드백(Feedback)되는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블로워 모터의 구동을 위한 블로워 신호를 출력하는 블로워 제어부;
상기 블로워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블로워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모터 구동부;
상기 블로워 모터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Battery voltage)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배터리 전압 관련 정보를 마이콤(Micom)에 제공하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
차량 실내 공기에 대한 공조 요구 또는 필요 시 상기 블로워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블로워 모터로부터 피드백되는 출력신호를 가지고 상기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마이콤(Micom);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콤은 배터리 전압에 따라 블로워 모터의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각기 다른 값으로 저장한 블로워 모터 진단맵을 활용하여 상기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블로워 모터로부터 마이콤으로 피드백되는 출력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에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블로워 모터로부터 출력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상기 블로워 모터 진단맵을 활용하여 현재의 배터리 전압에 상응하는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블로워 모터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선택된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콤은, 상기 블로워 모터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상기 선택된 이상 판정 기준 전압보다 클 경우 상기 블로워 모터 또는 관련 회로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하고 진단 오류 코드(DTC, Diagnostic Trouble Code)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블로워 모터의 출력단자와 접지전압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블로워 신호를 게이트 단자로 인가 받는 파워트랜지스터 및 상기 파워트랜지스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블로워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는 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블로워 모터 구동 시 블로워 모터(Brower motor)로부터 마이콤으로 피드백(Feedback)되는 출력신호를 검출하는 블로워 모터 출력신호 검출단계(S100);
상기 블로워 모터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Battery voltage)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배터리 전압 검출단계(S200);
배터리 전압에 따라 블로워 모터의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각기 다른 값으로 저장한 블로워 모터 진단맵을 활용하여 상기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블로워 모터 이상 여부 검출단계(S300);를 포함하는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S300 단계에서는, 상기 블로워 모터로부터 출력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상기 블로워 모터 진단맵을 활용하여 상기 S200 단계에서 획득된 현재의 배터리 전압에 상응하는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블로워 모터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선택된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S300 단계는 상기 블로워 모터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상기 선택된 이상 판정 기준 전압보다 클 경우 상기 블로워 모터 또는 관련 회로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하고 진단 오류 코드(DTC, Diagnostic Trouble Code)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 상태에 따라 블로워 모터의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각기 다른 값으로 저장한 블로워 모터 진단맵을 활용하여 상기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진단한다. 이에 따라, 실제 블로워 모터에 이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단 오류 코드(DTC, Diagnostic Trouble Code)를 생성하지 않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상태, 즉 배터리 전압에 따라 블로워 모터의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각기 다른 값으로 저장한 상기 블로워 모터 진단맵을 활용함으로써, 배터리 전압이 낮은 경우에도 STB(Short To Battery) 등에 의한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온도조절을 위한 블로워 구동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블로워 모터 또는 관련 배선 계통의 이상 여부 검출 또는 진단을 위해 적용되는 진단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는 블로워 제어부(20)를 포함한다. 블로워 제어부(20)는 후술하게 될 마이콤(Micom, 10)이 출력하는 블로워 제어신호 및 블로워 모터(Brower motor, 30)로부터 피드백(Feedback)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블로워 모터(30)의 구동을 위한 블로워 신호를 출력한다.
블로워 제어부(20)가 출력하는 상기 블로워 신호는 모터 구동부(40)를 통해 상기 블로워 모터(30)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블로워 모터(30)가 구동된다. 모터 구동부(40)는 블로워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어 상기 블로워 모터(30)에 대한 전원공급을 허용 또는 차단한다. 예를 들어, 블로워 신호로 모터 구동부(40)가 온(On)되면 차량의 배터리 전압이 블로워 모터(30)에 공급될 수 있다.
모터 구동부(40)는 바람직하게, 상기 블로워 모터(30)의 출력단자와 접지전압단 사이에 연결되는 파워트랜지스터(42)를 포함한다. 또한 블로워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는 릴레이(41)를 구비한다. 파워트랜지스터(42)는 상기 블로워 신호를 게이트 단자를 통해 인가 받고, 릴레이(41)는 상기 파워트랜지스터(42)와 전기적으로 병렬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콤(10)의 블로워 제어신호에 의해 블로워 제어부(20)가 출력하는 블로워 신호는 상기 파워트랜지스터(42)의 게이트 단자와 릴레이(41)로 인가되어 이들을 온/오프 시킴으로써 블로워 모터(30)의 구동이 제어되며, 블로워 모터(30)의 출력신호(출력전압)를 블로워 제어부(20)가 피드백 신호로 인가 받아 블로워 모터(30)의 동작 제어에 이용하게 된다.
마이콤(10)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차량의 모든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차량 실내 공기에 대한 공조 요구 또는 필요 시 상기 블로워 제어신호를 상기 블로워 제어부(20)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 제어부(20)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블로워 모터(30)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가지고 상기 블로워 모터(30)의 작동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 또는 진단한다.
마이콤(10)은 증폭부(50)에 의해 증폭된 블로워 모터(30)의 출력신호에 따라 블로워 모터(30)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고, 블로워 모터(30) 또는 블로워 모터(30) 구동회로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 또는 진단할 수 있다. 이때 증폭부(50)는 블로워 모터(30)로부터 상기 블로워 제어부(20) 측으로 피드백되는 출력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마이콤(10)에 전달할 수 있다.
도면부호 60은 블로워 모터(30)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Battery voltage)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이다. 배터리 전압 검출부(60)는 상기 모터 구동부(40)가 블로워 신호에 의해 블로워 모터(30)에 전원공급을 허용하는 측으로 절환된 때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Supply voltage)을 검출하고 그 검출 정보를 상기 마이콤(Micom, 10)에 제공한다.
마이콤(10)에 제공되는 배터리 전압 정보는 블로워 모터(30)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가지고 블로워 모터(30) 또는 블로워 모터(30) 구동회로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중요한 정보로 활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마이콤(10)이 후술하게 될 블로워 모터 진단맵(15)을 활용하여 배터리 전압별 블로워 모터(30)의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선택함에 있어 중요한 인자가 된다.
블로워 모터 진단맵(15)은 배터리 전압별 블로워 모터(30)의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각기 다른 값으로 저장한 맵이다. 즉 배터리 전압은 충전/방전 상태나 누적 사용시간에 따라 전압이 정상 전압보다 낮아질 수 있는데, 배터리를 통해 블로워 모터(30)에 공급되는 공급 전압별 블로워 모터(30)의 기준 피드백 출력 값(기준 출력전압)을 테이블 형태로 정리한 데이터가 블로워 모터 진단맵(15)이다.
배터리 전압에 따라 다른 값으로 저장되는 상기 블로워 모터(30)의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은, 정상 작동되는 블로워 모터(30)에 다른 크기의 전압을 공급했을 때 블로워 모터(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피드백 전압)을 측정하는 반복실험이나, 배터리의 공급전압에 대하여 블로워 모터(30)의 출력신호(피드백 전압)을 계산할 수 있는 사전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마이콤(10)은 상기 블로워 모터(30)로부터 피드백되는 출력신호(출력전압)가 입력된 시점에 상기 블로워 모터 진단맵(15)을 활용하여 현재의 배터리 전압에 상응하는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 모터(30)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선택된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블로워 모터(30)의 이상 여부를 검출 또는 진단한다.
마이콤(10)에 피드백되는 출력신호(출력전압)가 공급전압의 크기에 따라 선택되는 이상 판정 기준 전압보다 크면, STB(Short To Battery) 등에 의해 상기 블로워 모터(30)나 관련 배선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STB 등에 의해 블로워 모터(30)나 배선에 문제가 생기면, 마이콤(10)에 피드백되는 블로워 모터(30)의 출력전압이 공급전압에 대한 이상 판정 기준 전압보다 큰 값으로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콤(10)은 배터리 전압에 따라 블로워 모터 진단맵(15)을 통해 자동으로 선택되는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블로워 모터(30)로부터 피드백되는 출력신호(실제 출력전압)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 상기 기준 전압보다 실제 출력전압이 크면 블로워 모터(30)나 배선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판단, 진단 오류 코드(DTC, Diagnostic Trouble Code)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정격전압이 A인 블로워 모터(30)에 배터리 상태에 따라 그보다 낮은 B의 전압이 걸리고, 배터리 출력 전압이 B일 때 블로워 모터 진단맵(15)을 통해 선택되는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이 C인 경우, 마이콤(10)은 B에 상응하는 전압이 걸렸을 때 블로워 모터(30)에서 실제로 출력되는 출력전압이 상기 C를 초과하면 블로워 모터(30)나 관련 배선 계통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한 구성의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에 수행되는 블로워 모터 또는 관련 배선 계통의 이상 여부 검출 또는 진단 과정을 상기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의 동작과 연계하여 이하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블로워 모터 또는 관련 배선 계통의 이상 여부 검출 또는 진단을 위해 적용되는 진단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로워 모터(30) 또는 관련 배선 계통의 이상 여부 검출 또는 진단하는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블로워 모터(30)로부터 마이콤(10)으로 피드백(Feedback)되는 출력신호를 검출하는 단계(S100)와, 차량의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S200), 그리고 블로워 모터 진단맵(15)을 활용하여 상기 블로워 모터(30)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S300)로 구분될 수 있다.
S100 단계에서는 블로워 모터(30) 구동 시 블로워 모터(Brower motor, 30)로부터 마이콤(10)으로 피드백(Feedback)되는 출력신호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블로워 제어부(20)가 출력하는 블로워 신호에 의해 상기한 모터 구동부(40)가 온(On) 된 때 차량의 배터리 전압이 블로워 모터(30)에 공급되고 블로워 모터(30)가 구동됨으로써 출력되는 피드백(Feedback) 신호를 검출한다.
S200 단계는 블로워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 구동부(40)가 온(On) 된 경우 블로워 모터(30)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Battery voltage)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S100 단계를 통해 획득되는 출력신호 정보와 S200 단계를 통한 배터리 전압 정보는 상호 독립된 정보이므로, 알고리즘을 달리하여 S200 단계 이후 S100 단계가 수행되거나 두 단계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블로워 모터(30)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S300 단계에서는, 블로워 모터 진단맵(15)을 활용하여 상기 블로워 모터(30)의 이상 여부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전압에 따라 블로워 모터(30)의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각기 다른 값으로 저장한 상기 블로워 모터 진단맵(15)을 활용하여 상기 블로워 모터(30) 또는 관련 배선 계통의 이상 여부를 검출 또는 진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원 공급 시 블로워 모터(30)로부터 피드백되는 출력신호가 마이콤(10)에 입력된 시점에 블로워 모터 진단맵(15)을 활용하여 S200 단계에서 획득된 현재의 배터리 전압에 상응하는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선택한다(S310). 그리고 블로워 모터(30)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선택된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비교(S320)하여 블로워 모터(30)의 이상 여부를 검출 또는 진단한다.
바람직하게는, S300 단계에서는 배터리 전원 공급의 허용된 상기 블로워 모터(30)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상기 선택된 이상 판정 기준 전압보다 클 경우 상기 블로워 모터(30) 또는 관련 회로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블로워 모터(30) 고장 또는 회로 이상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진단 오류 코드(DTC, Diagnostic Trouble Code)를 생성한다(S330).
블로워 모터(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출력신호(피드백 신호)의 전압 크기는 블로워 모터(30)에 의한 전압강하로 인해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에 비해 큰 폭으로 작아진다. 반대로, 전기적인 쇼트(Short)나 블로워 모터(30)의 고장으로 블로워 모터(30)가 정상 작동되지 않으면, 블로워 모터(30)가 출력하는 피드백 신호의 전압의 크기는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커질 수 있다.
블로워 모터(30)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증폭부(50)를 통해 증폭 후 마이콤(10)에 제공되며, 마이콤(10)은 배터리 전압별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데이터화한 상기 블로워 모터 진단맵(15)을 활용하여 현재 배터리 전압에 대응되는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비교 기준 값으로 선택한다. 물론 증폭기가 적용된 경우 이상 판정 기준 전압 역시 동일한 크기로 증폭된 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만약, 증폭부(50)를 통한 증폭처리 후 마이콤(10)에 제공되는 블로워 모터(30)의 출력신호(피드백 신호)가 현재 배터리 전압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되는 비교 기준 값인 이상 판정 기준 전압과 같거나 비슷하면(소정의 허용범위 이내), 블로워 모터(3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거나 관련 배선 계통에 문제가 없는 것이므로, 이 경우 마이콤(10)은 정상상태로 판단을 하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마이콤(10)에 제공되는 블로워 모터(30)의 출력신호(피드백 신호)가 현재 배터리 전압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되는 비교 기준 값인 이상 판정 기준 전압보다 허용범위 이상으로 크면, 블로워 모터(3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거나 관련 배선 계통에 문제가 생긴 것이므로, 이 경우 마이콤(10)은 블로워 모터(30) 고장 또는 회로 이상으로 판단하고 진단 오류 코드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 상태에 따라 블로워 모터의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각기 다른 값으로 저장한 블로워 모터 진단맵을 활용하여 상기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진단한다. 이에 따라, 실제 블로워 모터에 이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단 오류 코드(DTC, Diagnostic Trouble Code)를 생성하지 않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상태, 즉 배터리 전압에 따라 블로워 모터의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각기 다른 값으로 저장한 상기 블로워 모터 진단맵을 활용함으로써, 배터리 전압이 낮은 경우에도 STB(Short To Battery) 등에 의한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엔진
15 : 블로워 모터 진단맵
20 : 블로워 제어부
30 : 블로워 모터
40 : 모터 구동부
41 : 릴레이
42 : 트랜지스터
50 : 증폭기
60 : 배터리 전압 검출부

Claims (8)

  1. 블로워 제어신호 및 블로워 모터(Brower motor)로부터 피드백(Feedback)되는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블로워 모터의 구동을 위한 블로워 신호를 출력하는 블로워 제어부;
    상기 블로워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블로워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모터 구동부;
    상기 블로워 모터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Battery voltage)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배터리 전압 관련 정보를 마이콤(Micom)에 제공하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
    차량 실내 공기에 대한 공조 요구 또는 필요 시 상기 블로워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블로워 모터로부터 피드백되는 출력신호를 가지고 상기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마이콤(Micom);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콤은 배터리 전압에 따라 블로워 모터의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각기 다른 값으로 저장한 블로워 모터 진단맵을 활용하여 상기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모터로부터 마이콤으로 피드백되는 출력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블로워 모터로부터 출력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상기 블로워 모터 진단맵을 활용하여 현재의 배터리 전압에 상응하는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블로워 모터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선택된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블로워 모터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상기 선택된 이상 판정 기준 전압보다 클 경우 상기 블로워 모터 또는 관련 회로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하고 진단 오류 코드(DTC, Diagnostic Trouble Code)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블로워 모터의 출력단자와 접지전압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블로워 신호를 게이트 단자로 인가 받는 파워트랜지스터; 및
    상기 파워트랜지스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블로워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는 릴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6. 블로워 모터 구동 시 블로워 모터(Brower motor)로부터 마이콤으로 피드백(Feedback)되는 출력신호를 검출하는 블로워 모터 출력신호 검출단계(S100);
    상기 블로워 모터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Battery voltage)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배터리 전압 검출단계(S200);
    배터리 전압에 따라 블로워 모터의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각기 다른 값으로 저장한 블로워 모터 진단맵을 활용하여 상기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블로워 모터 이상 여부 검출단계(S300);를 포함하는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에서는,
    상기 블로워 모터로부터 출력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상기 블로워 모터 진단맵을 활용하여 상기 S200 단계에서 획득된 현재의 배터리 전압에 상응하는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선택하고(S310),
    상기 블로워 모터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선택된 이상 판정 기준 전압을 비교(S320)하여 블로워 모터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는,
    상기 블로워 모터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상기 선택된 이상 판정 기준 전압보다 클 경우 상기 블로워 모터 또는 관련 회로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하고 진단 오류 코드(DTC, Diagnostic Trouble Code)를 생성하는 과정(S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방법.
KR1020170009141A 2017-01-19 2017-01-19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80085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141A KR20180085515A (ko) 2017-01-19 2017-01-19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141A KR20180085515A (ko) 2017-01-19 2017-01-19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515A true KR20180085515A (ko) 2018-07-27

Family

ID=63078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141A KR20180085515A (ko) 2017-01-19 2017-01-19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55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897A (ko) 2003-06-26 2005-01-07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용 블로워 구동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897A (ko) 2003-06-26 2005-01-07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용 블로워 구동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9811B2 (en) FET monitoring and protecting system
US9630473B2 (en) Motor driving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US7281522B1 (en) Acceleration sensor status detecting apparatus
US106268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oling fan in vehicle
US20090053587A1 (en) Abnormality detecting device for a fuel cell powered industrial vehicle
JP2009078702A (ja) 車両用制御装置
JP7436394B2 (ja) コントローラ内部回路の自己検証
KR101584016B1 (ko) 공조 액츄에이터의 모터 구속 진단 장치
JP4564253B2 (ja) 安定化供給電圧を発生するための回路装置
KR101816351B1 (ko) 차량용 배터리 쿨링 제어 방법
US20200302708A1 (en) Auto calibration and auto reset of vehicle components
KR20180085515A (ko) 블로워 구동회로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
JP4947493B2 (ja) センサ識別機能付き車両用エアコン制御装置
US9714970B2 (en) Method for measuring the presence of a high-voltage and establishing the absence of voltage
US6144903A (en) Electrical fault recognition system for vehicles
KR20140077735A (ko) 차량용 사이드 스텝 장치의 진단 방법
JPH0999729A (ja) 自動車用空調システム
US20080238707A1 (en) Failure current measurement for electronic control module
KR101499988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냉각팬 고장 진단 방법
KR10221190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143180A (ko) 차량용 ir센서 고장 진단장치
KR101291286B1 (ko) 자동차용 fatc의 aps 오류감지방법
KR20090116044A (ko) 자동차용 자동온도조절장치의 고장진단모드 제어방법
US103757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load current detection and control
RU21462U1 (ru) Блок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климат-контроля автомобил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