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095A -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5095A KR20180085095A KR1020170007248A KR20170007248A KR20180085095A KR 20180085095 A KR20180085095 A KR 20180085095A KR 1020170007248 A KR1020170007248 A KR 1020170007248A KR 20170007248 A KR20170007248 A KR 20170007248A KR 20180085095 A KR20180085095 A KR 201800850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cket
- plug
- grounding
- ground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의 소켓과 플러그를 스냅(Snap) 식으로 착탈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통해 소켓과 플러그를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단자부의 전기적 연결 시,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소켓 내부에 구비되는 제1접지부, 그리고 플러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접지부와 연결되는 제2접지부, 그리고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를 착탈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수단으로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켓 내부에 구비되는 제1접지부, 그리고 플러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접지부와 연결되는 제2접지부, 그리고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를 착탈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수단으로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호 결합되는, 제1단자부를 구비한 소켓과 제2단자부를 구비한 플러그로 구성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소켓과 플러그를 스냅(Snap) 식으로 착탈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통해 소켓과 플러그를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단자부의 전기적 연결 시,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두 단자를 상호 연결시키는 커넥터에서, '접지'는 현실에서는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 예방, 회로적으로는 전위가 0인 기준 전위를 설정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커넥터가 가령 자동차나 건물 전력 배선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전압이 감전 사고를 일으키기에 충분히 높기 때문에 반드시 접지를 구비해야 할 것이다.
일반적인 커넥터에서는 이러한 접지를 접지단에 납땜을 통해 연결하는 방식, 피복을 제거한 전선 가닥을 접지단에 묶는 방식 또는 구멍이나 홈 형태의 접지단에 삽입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들은 접지 연결이 불편하고,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접지 불량에 따르는 유지/보수/관리/교체 등이 매우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커넥터의 접지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508319호(2015년03월27일)[실드 전선의 어스 접속 구조](이하 종래기술1) 및 등록특허 제10-1560198호(2015년10월07일)[전기 케이블 접지 구조물](이하 종래기술2) 등이 있다.
종래기술1은 신호선과 실드층이 단락될 우려가 없고, 제조 작업성이 좋은 실드 전선의 어스 접속 구조를 제시하고 있고, 종래기술2는 전기 케이블을 접지 케이블 측으로 연결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전기 케이블과 접지 케이블 사이 간격에 대응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전기 케이블의 접지 구조물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1 및 2를 포함하여, 종래의 기술들은 납땜 방식, 묶음 방식, 삽입 방식 등에 비해 유리한 점을 가지고 있긴 하나, 접지 연결의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따르는 작업시간 지연, 또는 접지 불량 시의 유지/보수/관리/교체 등의 번거로움 등에 의한 공임 및 기타 비용 문제 등은 여전히 남아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의 소켓과 플러그를 스냅(Snap) 식으로 착탈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통해 소켓과 플러그를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단자부의 전기적 연결 시,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구성하였고, 이를 통해 커넥터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유의 제1접지부와 제2접지부의 구성에 의해, 제1 및 제2단자부의 전기적 연결 시,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자연스럽게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접지를 위해 별도로 회로 구성을 하거나 또는 별도 배선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제1접지부의 접지단자를 통전커버의 절곡을 통해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접지 구조물이나 소자를 생략하고, 이를 통해 부품 수 절감 및 구조적 단순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제2접지부를 통전케이스의 상면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접지 구조물이나 소자를 생략하고, 이를 통해 부품 수 절감 및 구조적 단순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소켓 내부에 구비되는 제1접지부, 그리고 플러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접지부와 연결되는 제2접지부, 그리고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를 착탈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수단으로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소켓 내부에 구비되고, 상호 이격된 두 벽체에 의해 형성된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의 일 측에 타 측으로 돌출 구비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플러그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삽입체, 상기 삽입체 하측에 구비된 이격공간 및, 상기 삽입체 상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제1결합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접지부는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소켓의 외면을 감싸는 통전커버, 상기 두 벽체의 하측에 구비되고 장착홈을 가진 판체 및, 상기 통전커버에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소켓의 후면에 구비된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장착홈에 결합되는 접지단자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2접지부는 상기 플러그의 제2단자부를 감싸고 상기 플러그의 전선들을 갈무리하는 통전케이스의 상면에 의해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단자 연결 시 접지가 함께 연결되는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커넥터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또한 고유의 제1접지부와 제2접지부의 구조 및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접지를 위해 별도로 회로 구성을 하거나 또는 별도 배선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함은 물론, 부품 수 절감 및 구조적 단순화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결합 예)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부분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부분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의 소켓과 플러그를 스냅(Snap) 식으로 착탈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통해 소켓과 플러그를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단자부의 전기적 연결 시,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이하 본 기구(C))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략적으로 방향을 특정하면, 각 설명은 각 도면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특히 이하에서 '전방', '전면', '후방', '후면' 등의 표현은 소켓(Cs)과 플러그(Cp)의 결합을 위해 각각(Cs)(Cp)이 진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청구범위'에서도 이를 따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로, 소켓(Cs)과 플러그(Cp) 간의 결합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구(C)는 크게 소켓(Cs)과 플러그(Cp)로 이루어지고, 추가로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이루는 구성들로, 제1접지부(1), 제2접지부(2) 및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 별로, 소켓(Cs)은 제1단자부(T1)를 구비하고, 플러그(Cp)는 제2단자부(T2)를 구비하는데, 따라서 소켓(Cs)에 플러그(Cp)가 삽입 결합될 때, 제1단자부(T1)와 제2단자부(T2)는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접지부(1)는 소켓(Cs) 내부에 구비되고,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전위 기준을 제공하며, 제2접지부(2)는 플러그(Cp) 내부에 구비되어 제1접지부(1)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제1접지부(1)와 제2접지부(2) 간의 연결은 물리적 연결 및 전기적 연결 모두를 포함하여 해석 가능하고, 특히 제1접지부(1)와 제2접지부(2)는 그 위치가 치환되어, 가령 플러그(Cp)에 제1접지부(1)가 구비되고 소켓(Cs)에 제2접지부(2)가 구비되는 실시도 가능하다.
결합수단은 소켓(Cs)과 플러그(Cp)를 착탈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에 본 기구(C)는 결합수단으로 소켓(Cs)과 플러그(Cp)를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접지부(1)(2)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회로 구성에 있어서, '접지'는 현실에서는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 예방, 회로적으로는 전위가 0인 기준 전위를 설정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본 기구(C)가 가령 자동차나 건물 전력 배선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전압이 감전 사고를 일으키기에 충분히 높기 때문에 반드시 접지를 구비해야 할 것이다.
일반적인 커넥터에서는 이러한 접지를 접지단에 납땜을 통해 연결하는 방식, 피복을 제거한 전선 가닥을 접지단에 묶는 방식 또는 구멍이나 홈 형태의 접지단에 삽입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들은 접지 연결이 불편하고,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접지 불량에 따르는 유지/보수/관리/교체 등이 매우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커넥터의 소켓(Cs)과 플러그(Cp)를 스냅(Snap) 식으로 착탈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통해 소켓(Cs)과 플러그(Cp)를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단자부(T1)(T2)의 전기적 연결 시, 제1 및 제2접지부(1)(2) 간의 전기적 연결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구성하였고, 이를 통해 커넥터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소켓(Cs)을, 도 3은 플러그(Cp)를, 도 4는 통전케이스(20)를, 도 5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제2소켓(Cs`)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특징 및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상기한 결합수단의 구성 및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결합수단은 소켓(Cs) 내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31)와 플러그(Cp) 내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대응부(33)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31)는 상호 이격된 두 벽체(30)에 의해 형성된 안내홈(311) 및, 안내홈(311)의 일 측에 타 측으로 돌출 구비된 걸림턱(312)을 포함한다.
각 구성 별로, 먼저 벽체(30)는 소켓(Cs)의 내부 공간 중 상부에 형성되며, 안내홈(311)은 상호 이격된 두 벽체(30)의 사이의 공간을 의미한다.
다음 걸림턱(312)은 안내홈(311)의 일 측, 즉 소켓(Cs)의 내부 상부면에 형성되고, 타 측, 즉 하측으로 돌출되게끔 구비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대응부(33)는 안내홈(311)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삽입체(331), 삽입체(331) 하측에 구비된 이격공간(332) 및, 삽입체(331) 상에 형성되어 걸림턱(312)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333)를 포함한다.
각 구성 별로, 먼저 삽입체(331)는 플러그(Cp)의 상부 외부면에 형성되고, 소켓(Cs)과 플러그(Cp)의 결합 시 소켓(Cs) 측에 구비된 안내홈(311)에 삽입된다.
다음 이격공간(332)은 삽입체(331)의 하측에 구비되는데, 삽입체(331)가 일부는 플러그(Cp)의 상부 외부면에 연결되고, 또 다른 일부는 플러그(Cp)의 상부 외부면에서 이격되며, 이 이격된 부분이 이격공간(332)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 이격공간(332)은 삽입체(331) 중, 플러그(Cp)의 상부 외부면에 연결된 일부의 후방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격공간(332)은 기 결합된 소켓(Cs)과 플러그(Cp)를 분리할 때 제1결합부(31)의 걸림턱(312)과 제1결합대응부(33)의 걸림돌기(333) 간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다음 걸림돌기(333)는 삽입체(331) 상에, 보다 구체적으로 삽입체(331)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1결합부(31)의 걸림턱(312)과 걸림 결합하여, 소켓(Cs)에 삽입된 플러그(Cp)가 임의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추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대응부(33)는 삽입체(331) 상에 형성되되 걸림돌기(333)의 후방에 구비된 누름부(33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명확하게 누름부(334)는 삽입체(331)의 상부에 형성되고, 걸림돌기(333)보다는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누름부(334)는 상부로 돌출되어 소켓(Cs)과 플러그(Cp)의 분리 시 삽입체(331)를 보다 쉽게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은 커넥터의 소켓(Cs)과 플러그(Cp)를 스냅(Snap) 식으로 착탈 결합시키는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고하여, 제1접지부(1)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구(C)는 제1접지부(1)가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켓(Cs)의 외면을 감싸는 통전커버(11), 두 벽체(30)의 하측에 구비되고 장착홈(13)을 가진 판체(12) 및, 통전커버(11)에서 절곡 연장되며 소켓(Cs)의 후면에 구비된 통공(15)을 통과하여 장착홈(13)에 결합되는 접지단자(14)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통전커버(11)는 소켓(Cs)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소켓(Cs)과 결합되어 있고, 하부에 소켓(Cs)의 하면보다 하측으로 돌출된 그라운드 연결부를 구비하여 회로기판 등에 구비된 그라운드(구분 편의성을 위해 접지단자(14)와 명명을 구분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통전커버(11)와 소켓(Cs) 간의 결합을 제공하는 제4결합수단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판체(12)는 소켓(Cs)이 내부 공간 중 두 벽체(30)의 하측에 구비되는데, 소켓(Cs)의 후방 내면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판체(12)는 접지단자(14)의 결합을 위한 장착홈(13)을 갖는다.
다음 접지단자(14)는, 도 2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통전커버(11)와 일체를 이루고, 통전커버(11)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절곡에 의해 소켓(Cs)의 후면에 구비된 통공(15)을 통과하여 장착홈(13)에 결합된다. 이러한 접지단자(14)는 제2접지부(2)와의 접촉 특성이 강화될 수 있도록 장착홈(13)에서 일 측으로 돌출되게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제1접지부(1)가 상부에 제2접지부(2)가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접지단자(14)는 장착홈(13)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제2접지부(2)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구(C)는 제2접지부(2)가 플러그(Cp)의 제2단자부(T2)를 감싸고 플러그(Cp)의 전선들을 갈무리하는 통전케이스(20)의 상면(20U)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도 4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통전케이스(20)는 상면(20U), 측면(20S), 하면(20L)에 의해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제2단자부(T2)가 배치되어, 통전케이스(20)가 제2단자부(T2)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통전케이스(20)의 특징을 통해 제2단자부(T2)에 결속되어 있는 전선들은 선 정리의 필요에 의해 갈무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은 접지를 위한 제2접지부(2)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플러그(Cp)의 전선들을 갈무리하는 통전케이스(20)의 상면(20U)을 제2접지부(2)로 구성하여 구조적 단순화를 도모하였다. 물론 제2접지부(2)가 통전케이스(20)의 측면(20S)이나 하면(20L)에 구비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2접지부(1)가 통전케이스(20)의 상면(20U)에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전케이스(20)는 제2단자부(T2)를 감싸는 덮개부(21), 덮개부(2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플러그(Cp)의 전선들을 보호하는 연장부(22) 및, 연장부(22)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플러그(Cp)의 전선들을 움켜쥐듯이 감싸는 전선정리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상기한 덮개부(21), 연장부(22), 전선정리부(23)로 구성되는 통전케이스(20)의 각 부는 일체로 성형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연장부(22)와 전선정리부(23)의 차이를 설명하면, 연장부(22)는 외력에 의한 단선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이격될 수도 있는 전선들을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고, 전선정리부(23)는 선 정리를 제공하기 위해 상호 이격될 수도 있는 전선들을 외력을 가해 서로 접촉된 상태로 고정시키면서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통전케이스(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접지를 구성하기 위한 구조의 단순화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접지와 전선 보호 및 선 정리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비용 절감 및 부품 수 절감에 기여하기도 한다.
한편, 제2접지부(2)의 구성을 위해서는 제2단자부(T2) 중 어느 한 전선은 통전케이스(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바,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제1접지부(1)와 제2접지부(2)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제1 및 제2단자부(T1)(T2)의 전기적 연결 시, 제1 및 제2접지부(1)(2) 간의 전기적 연결이 자연스럽게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접지를 위해 별도로 회로 구성을 하거나 또는 별도 배선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상기한 결합수단과의 구분 편의성을 위해 이하의 결합수단들은 제2 내지 제5결합수단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통전케이스(20)와 플러그(Cp) 간의 보다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제2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2결합수단은 통전케이스(20) 측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41) 및 플러그(Cp) 측에 구비되는 제2결합대응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부(41)는 통전케이스(20)의 하면(20L)에 형성된 'ㄷ'형상의 절개공(411) 및, 이 절개공(411)에 의해 형성되어 절개공(411)의 하측으로 노출된 결속돌기(41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결속돌기(412)는 절개공(411)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통전케이스(20)의 상면(20U)이 제2접지부(2)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4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대응부(43)는 플러그(Cp)의 내측에 구비되되 제2단자부(T2) 하측에 구비되고 결속돌기(412)가 안착되는 결속홈(43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제2결합수단은 결속돌기(412)와 결속홈(431) 간의 결합에 의해 통전케이스(20)와 플러그(Cp) 간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통전케이스(20)와 제2단자부(T2) 간의 보다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제3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3결합수단은 통전케이스(20) 측에 구비되는 제3결합부(51) 및 제2단자부(T2) 측에 구비되는 제3결합대응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결합부(51)는 통전케이스(20)의 하면(20L)에 형성된 'ㄷ'형상의 제2절개공(511) 및, 이 제2절개공(511)에 의해 형성되어 제2절개공(511)의 상측으로 노출된 스토핑돌기(51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결속돌기(412)는 절개공(411)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제2단자부(T2)가 통전케이스(20)의 하면(20L)보다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3결합대응부(53)는 제2단자부(T2)의 후면으로 구성되며, 이에 제2단자부(T2)와 통전케이스(20)가 결합되고 난 후, 스토핑돌기(512)의 전단이 제2단자부(T2)의 후면을 지지하여, 제2단자부(T2)가 통전케이스(20)의 내부에 후진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제2단자부(T2)와 통전케이스(20) 간의 결합을 유지시킨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제3결합수단은 스토핑돌기(512)가 제2단자부(T2)가 후진 이동 할 수 없도록 고정하여, 제2단자부(T2)와 통전케이스(20) 간의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본 기구(C)의 구조적 안정감 및 내구성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소켓(Cs)과 통전커버(11) 간의 보다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제4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4결합수단은 통전커버(11) 측에 구비되는 제4결합부(61)와 소켓(Cs) 측에 구비되는 제4결합대응부(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결합부(61)는 통전커버(11)의 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결합돌기(611)로 구성되고, 제4결합대응부(63)는 소켓(Cs)의 측면에 구비된 수용홈(631)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제4결합수단은 통전커버(11)와 소켓(Cs)이 결합할 때, 결합돌기(611)가 수용홈(631)에 삽입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통전커버(11)와 소켓(Cs) 간의 결합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본 기구(C)는 구조적 안정감 및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플러그(Cp)와 후방하우징(Ch) 간의 보다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제5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본 기구(C)는 플러그(Cp)의 후방에 결합되되, 플러그(Cp)의 전선을 후방으로 노출하는 케이블공 및, 플러그(Cp)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후방하우징(Ch)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후방하우징(Ch)은 전선의 보호 효과를 보다 강화하는데, 후방하우징(Ch)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전선들은 피복에 의해 감싸져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케이블의 형태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후방하우징(Ch)과 플러그(Cp)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5결합수단은 플러그(Cp) 측에 구비되는 제5결합부(71) 및 후방하우징(Ch) 측에 구비되는 제5결합대응부(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A] 우측 쇄선 원 영역 내 도시된 바와 같이, 제5결합부(71)는 플러그(Cp)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날개(711)로 구성된다.
또한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결합대응부(73)는 후방하우징(Ch)의 측부 내면에 형성된 슬릿 형태의 걸림부(731)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이 슬릿 형태의 걸림부(731) 상에는 날개(711)의 걸림 결합용 돌기가 구비되어 있을 것이라는 예측은 걸림부(731)의 명칭을 통해 부연 설명 없이도 당연하게 추론 가능할 것이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제5결합수단은 플러그(Cp)와 후방하우징(Ch) 간의 결합에 있어서, 플러그(Cp)의 날개(711)가 후방하우징(Ch)의 걸림부(731)에 삽입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한 플러그(Cp)와 후방하우징(Ch) 간의 결합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본 기구(C)는 향상된 구조적 안정감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출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플러그(Cp)가 소켓(Cs)에 보다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안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수단은 소켓(Cs)의 내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켓(Cs)의 하부 내면에 형성된 가이딩부(81) 및, 플러그(Cp)의 하면에 형성된 피가이드부(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서는 가이딩부(81)의 구성을, 도 3에서는 피가이드부(82)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도 2 및 도 3에서는 가이딩부(81)는 홈의 형태로, 피가이드부(82)는 돌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가이딩부(81)를 홈의 형태로 한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가이딩부(81)를 돌기의 형태로 구성하는 치환 실시도 역시 가능하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가이딩부(81)와 피가이드부(82)를 각각 소켓(Cs)의 하부 내면과 플러그(Cp)의 하면에 구비한 실시를 도시하였는데, 이 또한 가이딩부(81)와 피가이드부(82)의 위치를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측부, 상부, 어디에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결합수단이 각각 소켓(Cs)의 상부 내면과 플러그(Cp)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복잡성을 해소하기 위해 상부에는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제2소켓(Cs`)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제2소켓(Cs`)이 상기한 소켓(Cs)의 구조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단지 제1단자부(T1)가 제2소켓(Cs`)의 하방이 아닌 후방으로 향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통전커버(11)를 생략하여 제1접지부(1)의 구비를 통전커버(11)의 절곡에 의해 형성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제2소켓(Cs`)의 경우, 그라운드가 제2소켓(Cs`)의 후방에서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5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판체(12), 장착홈(13), 접지단자(14), 통공(15)으로 구성되는 변형 제1접지부(1`), 그리고 벽체(30)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홈(311), 그리고 안내수단의 일 구성인 가이딩부(81) 등의 구성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본 기구
Cs: 소켓 T1: 제1단자부
Cp: 플러그 T2: 제2단자부
1: 제1접지부 11: 통전커버
12: 판체 13: 장착홈
14: 접지단자 15: 통공
2: 제2접지부 20: 통전케이스
31: 제1결합부 311: 안내홈
312: 걸림턱
33: 제1결합대응부 331: 삽입체
332: 이격공간 333: 걸림돌기
Cs: 소켓 T1: 제1단자부
Cp: 플러그 T2: 제2단자부
1: 제1접지부 11: 통전커버
12: 판체 13: 장착홈
14: 접지단자 15: 통공
2: 제2접지부 20: 통전케이스
31: 제1결합부 311: 안내홈
312: 걸림턱
33: 제1결합대응부 331: 삽입체
332: 이격공간 333: 걸림돌기
Claims (4)
- 제1단자부를 구비한 소켓과 제2단자부를 구비한 플러그로 이루어져, 제1 및 제2단자부 간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소켓 내부에 구비되는 제1접지부;
상기 플러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접지부와 연결되는 제2접지부; 및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를 착탈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수단으로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소켓 내부에 구비되고, 상호 이격된 두 벽체에 의해 형성된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의 일 측에 타 측으로 돌출 구비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플러그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삽입체, 상기 삽입체 하측에 구비된 이격공간 및, 상기 삽입체 상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제1결합대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부는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소켓의 외면을 감싸는 통전커버, 상기 두 벽체의 하측에 구비되고 장착홈을 가진 판체 및, 상기 통전커버에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소켓의 후면에 구비된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장착홈에 결합되는 접지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접지부는
상기 플러그의 제2단자부를 감싸고 상기 플러그의 전선들을 갈무리하는 통전케이스의 상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7248A KR101891780B1 (ko) | 2017-01-16 | 2017-01-16 |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7248A KR101891780B1 (ko) | 2017-01-16 | 2017-01-16 |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5095A true KR20180085095A (ko) | 2018-07-26 |
KR101891780B1 KR101891780B1 (ko) | 2018-10-01 |
Family
ID=6304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7248A KR101891780B1 (ko) | 2017-01-16 | 2017-01-16 |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178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22924A (ko) | 2022-08-12 | 2024-02-2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전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409967U (en) * | 1999-03-24 | 2000-10-21 | Molex Inc | Connector |
-
2017
- 2017-01-16 KR KR1020170007248A patent/KR10189178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22924A (ko) | 2022-08-12 | 2024-02-2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전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1780B1 (ko) | 2018-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475889B (zh) | 大功率电连接器 | |
CN100514103C (zh) | 双工插头适配器模块 | |
TWI528661B (zh) | 纜線插頭連接器 | |
US10128611B2 (en) | Ferrule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 |
JP5797283B2 (ja) | 高電圧コネクタアセンブリ | |
CN110383591B (zh) | 屏蔽端子及屏蔽连接器 | |
CN109845047B (zh) | 连接器结构 | |
CN108780955B (zh) | 包括至少一个插头连接器的插头连接装置 | |
US10644414B2 (en) |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 |
CN107732482B (zh) | 具有分线元件的线缆连接器组件 | |
JPH0226348B2 (ko) | ||
KR19990063279A (ko) | 차폐 전기 커넥터 조립체 | |
EP0653815B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cable shield ground clip | |
KR102233071B1 (ko) | 인쇄 회로 기판을 가지는 일회용 전기 커넥터 | |
JP2627908B2 (ja) | Lanアウトレット用リセプタクル組立体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データコネクタ | |
WO2017090683A1 (ja) |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シールドケーブル | |
US6234840B1 (en) | Shield connector | |
KR100790339B1 (ko) |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암형 커넥터 및 그 암형 커넥터에접속되는 수형 커넥터 | |
KR101891780B1 (ko) |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 | |
CN114556718B (zh) | 分支用连接器 | |
KR101562810B1 (ko) | 평판 케이블 커넥터 | |
KR20140003871A (ko) | 퓨즈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110138177A (ko) | 발광 다이오드 상호접속 시스템 | |
CN110800161B (zh) | 连接器和连接器组件 | |
CN210111112U (zh) | 光电混合插头连接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