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484A -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484A
KR20180083484A KR1020170005784A KR20170005784A KR20180083484A KR 20180083484 A KR20180083484 A KR 20180083484A KR 1020170005784 A KR1020170005784 A KR 1020170005784A KR 20170005784 A KR20170005784 A KR 20170005784A KR 20180083484 A KR20180083484 A KR 20180083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nveyor
plate
moving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범
Original Assignee
(주)홍익 하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홍익 하이엠 filed Critical (주)홍익 하이엠
Priority to KR1020170005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3484A/ko
Publication of KR20180083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01M2/1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7Sheet handling, means, e.g. manipulators, devices for turning or tilting sheet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12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상의 여러 개의 극판집속체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컨베이어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승강운동을 하는 프레임;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상부와 컨베이어측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왕복운동을 하는 한 쌍의 로드를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로드 각각에는 로드의 길이를 따라 여러 개의 집게편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 로드와 타측 로드의 집게편은 쌍을 이루어 여러 개의 집게를 형성하고, 한 쌍의 로드의 교차왕복운동시, 여러 개의 집게가 개방, 폐쇄되는 구성을 갖추고 있어, 여러 개의 집게가 일체로서 거동하기 때문에 오작동을 줄여 로스율과 생산율을 향상시키고, 집게편의 회동이 아닌 수평거리를 조절하여 파지하기 때문에 극판에 무리가 덜 가고, 극판집속체의 극판 개수의 변화에 대응하여, 적정한 파지력으로 파지할 수 있고, 이동플레이트가 극판집속체의 하면을 지지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극판집속체를 이송할 수 있는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ESCAPE APPARATUS FOR CELL STACKS UNIT ON CONVEYOR}
본 발명은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상의 다수 조의 극판집속체를 극판집속체 픽업시스템으로 이송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극판은 납 또는 산화납으로 제조되므로 작업자가 이를 손으로 직접 취급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므로 자동화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이송장치는 이러한 자동화시스템의 한 구성장치이다.
도 1은 극판이 극판집속체(5)로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극판(1)은 납 또는 산화납으로 제조되고, 직사각형의 형태이며, 상부 일측에 단자연결부(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2개의 돌기(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극판(1)은 포장물인 엔빌로프(envelope)(4)의 내부에 수용되고, 단자연결부(2)만이 상측 개방부를 통하여 노출된다. 이와 같이 엔빌로프(4)에 삽입된 극판(1)은 각 단자연결부(2)가 좌우 교대로 배치될 수 있도록 수 개, 예를 들어 6개가 접속되어 극판집속체(5)를 구성한다.
이러한 극판집속체(5)는 한 공정으로부터 다른 공정으로 이송되는데, 컨베이어 상에서 일렬로 이동하는 여러 개의 극판집속체(5)를 컨베이어 상부의 클림핑헤드로 픽업하기 위해,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5)를 상부로 이송하여야 한다.
종래의 이송장치를 특허문헌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컨베이어의 측부에서 여러 개의 집게조립체(56)를 이용하여 일렬로 이동하는 극판집속체(5)들을 파지한 후, 프레임(36)이 상승하여 그립핑 헤드(34)에 픽업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여러 개의 집게조립체(56)는 각각 유압실린더(50)와 연결되어 있어, 독립적으로 거동한다. 이러한 구조는 컨베이어 상에서 일렬로 이동하는 극판집속체(5)를 일괄하여 상측 클램핑헤드로 이송하는 공정에 맞지 않는다.
여러 개의 유압실린더(50) 모두에 동일한 신호를 주어 제어하는 것은 오작동률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오작동은 로스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공정의 진행을 중단시켜 생산률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 집게조립체(56)는 쌍을 이루는 집게편(58a, 58b)이 각각 90°회동하여, 극판집속체(5)를 파지하는데 이는 극판에 불필요한 힘을 가하여 극판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극판집속체(5)의 극판의 개수와는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힘으로 파지하기 때문에 무리하거나 헐겁게 파지하여 극판의 변형이나 이탈을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극판집속체(5)를 상부로 이송하는 것에 반해, 집게조립체(56)는 양 측면만을 파지하므로 중력에 취약해 이송 중 극판집속체(5)가 낙하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 10-0541226호 공보(2006. 01. 11. 공고)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개의 집게가 일체로 거동하여 극판집속체를 파지하고, 집게편의 회동이 아닌 직선운동을 이용하여 파지하므로 극판에 무리가 덜 가고, 극판집속체를 구성하는 극판의 개수에 맞추어 파지력을 조절할 수 있고, 이송 중 극판집속체가 낙하하지 않도록 중력에 대항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춘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상의 전극집속체 이송장치는 컨베이어 상의 여러 개의 극판집속체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컨베이어 양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승강운동이 가능한 프레임과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고, 컨베이어측으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과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컨베이어측으로 연장된 여러 개의 집게편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로드를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로드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운동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일측로드의 집게편과 타측로드의 집게편이 쌍을 이루어 극판집속체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 쌍의 로드는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의 로드에는 렉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이격공간에는 피니언기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일측 로드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피니언기어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극판집속체의 두께정보를 입력받아 집게의 폐쇄 정도가 조절되도록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서로 운동방향이 반대가 되는 왕복운동을 하는 한 쌍의 로드에 의해 여러 개의 집게가 일체로서 거동하기 때문에 오작동을 줄여 로스율과 생산율을 향상시키고, 집게편의 회동이 아닌 수평거리를 조절하여 파지하기 때문에 극판에 무리가 덜 가고, 극판집속체의 극판 개수의 변화에 대응하여, 적정한 파지력으로 파지할 수 있고, 이동플레이트가 극판집속체의 하면을 지지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극판집속체를 이송할 수 있는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극판이 극판집속체로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극판집속체이송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파지시의 이송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승강 후의 이송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극판집속체이송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극판집속체이송시스템(1000)은 컨베이어시스템(100)과 이송장치(200) 및 클림핑헤드(40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시스템(100)은 공급컨베이어(110)와 이동컨베이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급컨베이어(110)는 공지의 컨베이어로 낱개의 극판(1)이 열을 맞추어 이동할 수 있다.
이동 컨베이어(120)에는 컨베이어 밸트(122)를 따라 여러 개의 파지판쌍(124)이 설치될 수 있다.
파지판쌍(124)에서는 공급 컨베이어(110)로부터 공급된 극판(1)이 적층되어, 극판집속체(5)를 구성할 수 있다. 그 후, 극판집속체(5)는 이동 컨베이어(120)에 실려 이송지점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장치(200)는 이동 컨베이어(200)에 의해 실려온 여러 개의 극판집속체(5)를 클림핑헤드(400)로 이송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클림핑헤드(400)가 위치하는 지점이 극판집속체(5)의 이송지점이다.
이하, 도 2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이송장치(2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이송장치(200)는 프레임(210)과 이동플레이트(230)와 파지부(250)와 승강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외곽부재로, 이동 컨베이어(200)의 양 측면에 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12)를 구비한다. 또, 후술하는 승강부(270)에 의해 승강운동을 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12)는 컨베이어 벨트(122)를 축으로 대칭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212)는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평판으로, 상면에는 폭 방향으로 3개의 지지플레이트레일(21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레일(214)을 따라 이동하는 운반체는 이동컨베이어(120)와 인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230)는 컨베이어 벨트(122)를 축으로 대칭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230)는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평판으로, 하면에는 지지플레이트레일(214)에 결합되는 3개의 이동플레이트걸림쇠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플레이트(230)의 하부는 지지플레이트(212)의 상부와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레일(214)은 폭 방향 즉, 컨베이어 벨트(122)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플레이트(230)는 이동 컨베이어(120)와 인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유압실린더(234)는 총 4개가 존재하고, 프레임(210) 하부에 위치하고, 양 측의 이동플레이트(230)에 각각 2개씩 배치될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피스톤(236)은 이동플레이트(230)의 측면과 이동플레이트유압실린더(234)와 각각 결합하고, 이동플레이트유압실린더(234)의 동력을 이동플레이트(2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피스톤(236)은 "ㄷ"자 형태로 꺽인 구조이다. 따라서 이동플레이트피스톤(236)이 이동플레이트유압실린더(234)에서 운동하는 방향과 상측으로 평행하고,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플레이트(230)를 운동시킨다.
따라서 이동플레이트(230)는 이동플레이트피스톤(23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 컨베이어(120)와 인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230)에는 이동 컨베이어(120)의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레일(23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플레이트레일(238)을 따라 이동하는 운반체는 이동 컨베이어(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파지부(250)는 컨베이어 벨트(122)를 축으로 대칭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파지부(250)는 이동플레이트(230)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측로드(252)와 내측로드(254)를 구비할 수 있다.
외측로드(252)는 이동 컨베이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막대기 형태이고, 내측로드(254)는 이동컨베이어(120)측으로 외측로드(252)와 평행하게 배열된 막대기 형태일 수 있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외측로드(252)와 내측로드(254)에는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6개의 집게편(253a, 253b, 253c, 253d, 253e, 253f, 255a, 255b, 255c, 255d, 255e, 255f)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집게편(253a, 253b, 253c, 253d, 253e, 253f, 255a, 255b, 255c, 255d, 255e, 255f)은 로드(252, 254)와 연결체에 의해 연결되 고정될 수 있다.
외측로드(252)에는 제 1, 3, 5, 7, 9, 11 집게편(253a, 253b, 253c, 253d, 253e, 253f)이 내측로드(254)에는 제 2, 4, 6, 8, 10, 12 집게편(255a, 255b, 255c, 255d, 255e, 255f)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로드(252)의 집게편은 우측에 내측로드(254)의 집게편은 좌측에 위치하여 쌍을 이루어 집게를 형성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 집게편(253a)과 제 2 집게편(255a)이 만나 제 1 집게(257a)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제 3 집게편(253b)과 제 4 집게편(255b), 제 5 집게편(253c)과 제 6 집게편(255c), 제 7 집게편(253d)과 제 8 집게편(255d), 제 9 집게편(253e)과 제 10 집게편(255e), 제 11 집게편(253f)과 제 12 집게편(255f)이 만나 제 2-6 집게(256b, 256c, 256d, 256e, 256f)를 형성한다.
평상시 집게(256a, 256b, 256c, 256d, 256e, 256f)는 집게편들이 이격되어 개방된 상태이다.
후술하지만, 외측로드(252)와 내측로드(254)는 교차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외측로드(252)는 우에서 좌로 이동하고, 내측로드(254)가 좌에서 우로 이동하므로 집게를 이루는 집게편의 이격거리는 좁아져 폐쇄될 수 있다. 다시 외측로드(252)가 좌에서 우로 이동하고, 내측로드(254)가 우에서 좌로 이동하면 집게편의 이격거리는 넓어져 평상시 개방된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외측로드(252)와 내측로드(254) 각각의 하부에는 외측로드걸림쇠와 내측로드걸림쇠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로드걸림쇠와 내측로드걸림쇠는 상술한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레일(238)에 각각 걸려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파지부(250)의 하부는 이동플레이트(230)의 상부와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레일(238)은 이동컨베이어(120)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측로드(252)와 내측로드(254)는 이동컨베이어(120)의 이동방향으로 좌, 우를 왕복하는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외측로드(252)의 중간 내측 측면에는 외측로드렉기어(259)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로드(254)의 중간 외측 측면에는 내측로드렉기어(26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외측로드(252)와 내측로드(254)의 이격공간 중간에는 피니언기어(261)가 배치되어 있고, 피니언기어(261)의 기어이는 외측로드렉기어(259)와 내측로드렉기어(260)의 기어이와 맞물려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렉-피니언 기어에 의해 외측로드(252)가 우에서 좌로 이동하면, 내측로드(254)가 좌에서 우로 이동하는 운동을 하거나, 이와 역이 되는 운동이 성립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로드(252)와 내측로드(254)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운동을 할 수 있다.
외측로드(252)의 좌측 끝단에는 로드엑츄에이터(262)가 연결될 수 있다. 로드엑츄에이터(262)는 공지의 엑츄에이터로 유공압기, 모터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였다.
로드엑츄에이터(262)의 피스톤은 외측로드(252)의 좌측 끝단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로드엑츄에이터(262)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외측로드(252)는 좌우로 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로드(252)가 운동을 하면, 내측로드(254)는 이와 역으로 운동할 수 있다. 즉, 외측로드(252)와 내측로드(254)는 운동방향은 역이지만, 일체로서 거동할 수 있다.
로드엑츄에이터(262)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로드(252)와 내측로드(254)의 운동방향과 운동량은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조절될 수 있다.
승강부(270)는 이송장치(2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연결관(271), 가이드홀(273), 스트로크(275), 체인(276), 승강플레이트(277), 승강부유압실린더(279)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271)은 2개씩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12)의 하부와 연결되어 있고, 총 4개의 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면상에서는 사각형의 4개의 꼭지점에 각각 배열된 형태이다.
가이드홀(273)은 이동 컨베이어(120)의 하부 기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연결관(271)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연결관(271)은 각각 가이드홀(273)에 수용되고, 하부 끝 단은 승강플레이트(277)와 연결될 수 있다.
승강플레이트(277)는 직사각형 형태로, 꼭지점 부근에는 연결관(271)이 리벳 연결될 수 있다.
승강플레이트(277)의 상면 무게중심에는 체인(276)이 연결되고, 체인(276)은 스트로크(275)와 치합하고, 직각으로 꺽여 승강부유압실린더(279)와 연결된다.
따라서 승강부유압실린더(279)에 의해 체인(276)을 땡기면 승강플레이트(277)는 상승하고, 체인(276)을 풀면 승강플레이트(277)는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과정에 의해 승강플레이트(277)와 연결관(27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지지플레이트(212)는 승강하여 파지된 극판집속체(5)를 상부로 이송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이송장치(3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이송장치(300)는 제 1 실시형태의 이송장치(200)와 비교하여, 엑츄에이터가 연결된 구성만 다를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이송장치(200)는 외측로드(252)에 로드엑츄에이터(262)가 연결되어 있지만, 제 2 실시형태의 이송장치(300)는 피니언기어(261)에 피니언엑츄에이터(264)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이송장치의 렉-피니언 기어 구조는 엑츄에이터가 3개의 기어 중 어디에 설치되어도 무관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렉기어의 특성상 외측로드엑츄에이터로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축 회전운동을 하는 피니언기어의 특성상 동력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외측로드(252)와 내측로드(254)가 합쳐진 모듈이 한 쌍으로, 이동 컨베이어(120)를 기준으로 위, 아래로 설치되어 있다.
아래 측 외측로드(252)와 내측로드(254)를 기준으로 피니언기어(26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외측로드(252)는 우에서 좌로 이동하고, 내측로드(254)는 좌에서 우로 이동한다. 이와 반대로, 피니언기어(261)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외측로드(252)는 좌에서 우로 이동하고, 내측로드(254)는 우에서 좌로 이동한다.
아래 측과 위 측 피니언기어(261)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야 아래측과 위측의 로드(252, 254)가 통일된 운동을 할 수 있다.
외측로드(252)와 내측로드(254)가 서로 교차하며, 왕복운동할 수 있는 것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클림핑헤드(400)는 하측 방향으로 다스의 클림핑집게(410)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이송장치(200)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전극집속체(5)의 상측을 파지하여 픽업할 수 있다.
이하, 도 3, 5,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이송장치(200)의 작동과정과 효과를 설명한다.
이송장치의 작동과정은 크게 평상시, 파지시, 승강시, 승강 후로 나누어진다.
도 3은 평상시의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집게(257)는 개방되어 집게편의 이격거리는 길다. 또, 이동플레이트(230)가 이동컨베이어(120)측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동플레이트(230)와 파지부(250)가 이동컨베이어(120)로 진입하지 않은 상태이다.
도 5는 파지시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컨베이어(120)에 의해 6개의 극판집속체(5)가 서로 이격되어 이송지점에 도달한 시점이다.
극판집속체(5)가 이송지점에 도달하면,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230)는 이동컨베이어(120)측으로 이동하고, 이와 결합된 파지부(250)도 일체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동플레이트(230)와 파지부(250)는 이동컨베이어(120)로 진입한다.(화살표 A방향)
이동플레이트(230)는 진입하면서, 극판집속체(5)의 하면으로 파고든다. 후술하는 승강시, 이동플레이트(230)는 극판집속체(5)를 지지하는 리테이닝부재역할을 할 수 있다.
파지부(250)는 진입 후, 로드엑츄에이터(262)가 작용하여 외측로드(252)를 우에서 좌로 이동시킨다. 외측로드렉기어(259)에 기어결합된 피니언기어(26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하측 피니언기어를 기준으로 설명, 상측 피니언기어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 피니언기어(261)와 기어결합된 내측로드렉기어(260)에 의해 내측로드(254)는 좌에서 우로 이동한다.
따라서 외측로드(252)와 일체로 구성된 제 1, 3, 5, 7, 9, 11 집게편(253a, 253b, 253c, 253d, 253e, 253f)은 우에서 좌로 이동하고(화살표 B 방향), 내측로드와 일체로 구성된 제 2, 4, 6, 8, 10, 12 집게편(255a, 255b, 255c, 255d, 255e, 255f)은 좌에서 우로 이동하여(화살표 C 방향), 집게편의 이격거리는 가까워진다.
따라서 1, 2, 3, 4, 5, 6 집게(256a, 256b, 256c, 256d, 256e, 256f)는 극판집속체를 파지할 수 있을 정도로 폐쇄된다. 파지부(250)는 쌍을 이루어 이동컨베이어(120)를 기준으로 양 측면에 배치되므로, 집게는 극판집속체(5)의 양 측면을 파지한다.
종래기술은 각각의 집게가 각각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집게가 하나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일괄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어, 공정에서의 로스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 오작동으로 인한 공정중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 종래기술에서의 집게는 집게편이 회동하여 파지하는 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집게편이 수평이동하여 파지하므로, 파지시, 극판집속체에 무리가 덜 가 외력에 의한 변형, 망실,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제품의 다양성에 의해, 극판집속체의 두께가 다른 경우가 있는데, 상술한 제어부(미도시)에 극판집속체의 두께정보를 입력하면, 제어부에서 외부로드엑츄에이터에 현재 공정진행 중인 극판집속체의 두께에 맞게 외측로드를 이동시켜, 적정 파지력으로 극판집속체를 파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무리하게 파지하거나 이송시 극판집속체가 낙하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승강부유압실린더(279)가 체인(276)을 끌어당기면, 승강플레이트(277)가 상승하며, 이송장치(200)는 도 5에서 나타낸 파지시의 상태로 승강하게 된다.
승강시,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플레이트(230)가 극판집속체(5)의 하면을 지지하므로, 극판집속체(5)는 낙하하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도 6은 승강 후의 이송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승이동을 마친 극판집속체(5)는 클림핑헤드(410) 하측에 위치하고, 클림핑집게에 의해 파지되고, 이송장치(200)는 하강하여 평상시로 돌아간다. 이 때, 이동플레이트와 외측로드와 내측로드는 파지시와 역으로 이동한다.(화살표 A, B, C 참조)
따라서, 작동과정 중 이동플레이트(230)는 이동컨베이어(120) 측으로 왕복운동을 하고, 외측로드(252)와 내측로드(254)는 서로 교차하는 왕복운동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이송장치(300)의 작동과정은 피니언엑츄에이터(264)에 의해, 피니언기어(261)가 회전하여 외측로드(252)와 내측로드(254)가 왕복운동을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극판 2: 단자연결부
3: 돌기 4: 엔빌로프
5: 극판집속체
100: 컨베이어시스템 110: 공급컨베이어
120: 이동컨베이어 122: 컨베이어 밸트
124:파지판쌍 200, 300: 이송장치
210: 프레임 212: 지지플레이트
214: 지지플레이트레일 230: 이동플레이트
234: 이동플레이트유압실린더 236: 이동플레이트피스톤
238: 이동플레이트레일 250: 파지부
252: 외측로드 254: 내측로드
253a, 253b, 253c, 253d, 253e, 253f: 제 1 집게편
255a, 255b, 255c, 255d, 255e, 255f: 제 2 집게편
257a, 257b, 257c, 257d, 257e, 257f: 집게
259: 외측로드렉기어 260: 내츨로드렉기어
261: 피니언기어 262: 로드엑츄에이터
264: 피니언엑츄에이터 270: 승강부
271: 연결관 273: 가이드홀
275: 스트로크 276: 체인
277: 승강플레이트 279: 승강부유압실린더
400: 클림핑헤드 410: 클림핑집게
1000: 극판집속체 이송시스템

Claims (5)

  1.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여러 개의 극판집속체를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하는 장치로서,
    상기 컨베이어 양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승강운동하는 프레임;
    한 쌍의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측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및
    한 쌍의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컨베이어측으로 연장된 여러 개의 집게편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로드를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로드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운동을 하고, 이에 따라 일측로드의 집게편과 타측로드의 집게편이 쌍을 이루어 상기 극판집속체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로드는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로드에는 렉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이격공간에는 피니언기어가 상기 렉기어와 치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측 로드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극판집속체의 두께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집게의 폐쇄 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
KR1020170005784A 2017-01-13 2017-01-13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 KR20180083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784A KR20180083484A (ko) 2017-01-13 2017-01-13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784A KR20180083484A (ko) 2017-01-13 2017-01-13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484A true KR20180083484A (ko) 2018-07-23

Family

ID=6310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784A KR20180083484A (ko) 2017-01-13 2017-01-13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348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6590A (zh) * 2018-10-26 2019-04-12 深圳市中基自动化有限公司 一种锂电池钢壳缩口机
GB2586483A (en) * 2019-08-20 2021-02-24 Tbs Eng Ltd Unloading apparatus
US11469437B2 (en) * 2018-08-06 2022-10-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ode stack manufacturing apparatus
CN116902625A (zh) * 2023-09-12 2023-10-20 云南昆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粉杯顶托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226B1 (ko) 2002-11-11 2006-01-11 (주)홍익 하이엠 축전지 극판 컨베이어시스템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226B1 (ko) 2002-11-11 2006-01-11 (주)홍익 하이엠 축전지 극판 컨베이어시스템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9437B2 (en) * 2018-08-06 2022-10-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ode stack manufacturing apparatus
CN109616590A (zh) * 2018-10-26 2019-04-12 深圳市中基自动化有限公司 一种锂电池钢壳缩口机
GB2586483A (en) * 2019-08-20 2021-02-24 Tbs Eng Ltd Unloading apparatus
GB2586483B (en) * 2019-08-20 2021-09-08 Tbs Eng Ltd Unloading apparatus
US11597611B2 (en) 2019-08-20 2023-03-07 Tbs Engineering Limited Unloading apparatus
CN116902625A (zh) * 2023-09-12 2023-10-20 云南昆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粉杯顶托装置
CN116902625B (zh) * 2023-09-12 2024-01-02 云南昆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粉杯顶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3484A (ko)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
KR101715155B1 (ko) 스택 그리퍼 장치
KR101081210B1 (ko) 판넬 이송장치용 파지유닛
EP3280552B1 (en) A stacking line system, and a method for stacking blanks which are outputted from a blanking shear or press
CN214604402U (zh) 一种工业码垛机器人机械手
WO2020053340A1 (de) Einbox-greifersystem
CN105731061A (zh) 砖厂装车或砖块转运夹砖砖夹
US20090039665A1 (en) Gripper
CN108163524B (zh) 软管用梳理排列机
CN210025334U (zh) 一种四工位连杆机械手抓手
CN211140776U (zh) 一种接力式搬运线
KR100541228B1 (ko) 축전지 극판집속체 운반용 취급장치
CN209758468U (zh) 一种太阳能电池片存储篮转运装置
CN216097445U (zh) 一种智能燃气控制盒盖的自动上料装置
CN210535643U (zh) 一种电池片旋转搬运机构及电池片上料装置
CN116715035B (zh) 一种机械臂抓手、放货方法及机器人
CN212265863U (zh) 一种末端执行器与机械臂
CN211768980U (zh) 热焙砂物料输送系统
CN220351079U (zh) 一种左右摆臂式转运装置
CN219008889U (zh) 横向钢筋上料设备
CN220664082U (zh) 一种铝锭码垛用机械手
CN220466783U (zh) 一种适用于旋转式的转运码垛机
US11980925B2 (en) Device and method for turning metal sheets
CN219217281U (zh) 抓取装置
CN218200991U (zh) 一种转运机器人及其挂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