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898A - 배수펌프 - Google Patents

배수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898A
KR20180082898A KR1020170004353A KR20170004353A KR20180082898A KR 20180082898 A KR20180082898 A KR 20180082898A KR 1020170004353 A KR1020170004353 A KR 1020170004353A KR 20170004353 A KR20170004353 A KR 20170004353A KR 20180082898 A KR20180082898 A KR 20180082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mpeller
inlet
housing
drain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훈
신동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4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2898A/ko
Publication of KR20180082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F04D29/242Geometry,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수용되는 물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 상기 수용되는 물이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거나,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물의 유동 흐름을 형성하는 임펠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물 유동부, 상기 물이 상기 물 유동부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물을 전달받거나 저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배수펌프실 및 상기 물 유동부와 상기 배수펌프실 사이에, 상기 물 유동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임펠러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펌프{DRAIN PUMP}
본 발명은 배수펌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설치된 배수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드럼으로부터 유입되는 물 또는 세탁수를 배수하거나 순환시키는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뉜다.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기를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기라고 한다.
도 1은 드럼 세탁기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드럼 세탁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의류처리장치 캐비닛(11), 캐비닛(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21), 드럼(21)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터(미도시), 캐비닛(11)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12)를 포함한다. 캐비닛(11)의 하부에는 세제의 투입을 위한 세제 투입구를 덮는 세제 투입구 덮개(13)가 위치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드럼(21)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공기가 순환되어야 하므로 덕트(15)와 열교환기(20)를 포함한다.
프런트 로딩 방식의 의류 처리장치 즉, 드럼 세탁기(10)는 드럼에 세탁물이 수용되고 급수가 되면 드럼(21)의 회전을 통해 세탁 과정이 수행되고, 헹굼 및 탈수 등의 과정을 거쳐 배수펌프에 의해 물 또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드럼 세탁기(10)는 세탁 과정 중 드럼(21)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와 세탁 과정을 거쳐 발생하는 물 또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를 각각 구비하게 된다.
종래에는 드럼 세탁기의 물 또는 세탁수의 순환과 배수를 위한 펌프를 각각 별도의 모터를 통해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경우,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게 되고, 복수개의 모터가 필요하므로 비용면에서도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하나의 모터와 임펠러를 이용하여 임펠러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순환펌프와 배수펌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물 또는 세탁수의 유로 방향을 전환하는 방법으로 배수와 순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순환 과정 또는 배수 과정에서 원치않는 유로를 향해 물 또는 세탁수가 역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하나의 모터와 임펠러를 이용하여 배수 펌프와 순환 펌프의 각각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설치 공간에 제약받지 않으면서도, 배수 과정 또는 순환 과정에서 유동하는 물 또는 세탁수가 원치 않는 유로를 통해 역류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한편, 배수펌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펌프 내의 물 또는 세탁수 유입 압력을 과도하게 감소시키는 경우, 배수펌프 내에서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이 발생하므로, 배수펌프 작동 시 소음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하나의 모터와 임펠러를 구비하는 배수펌프에 있어서, 역류 현상과 함께 캐비테이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배수펌프와 순환펌프의 역할이 모두 수행 가능한 배수펌프의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배수펌프 내로 유입되는 물 또는 세탁수를 특정한 방향으로 유동시켜 배수 과정 또는 순환 과정이 수행 가능하도록 그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배수펌프 내에서 일 방향으로 물 또는 세탁수를 회전시켜 배수구를 향해 물 또는 세탁수가 이동하도록 하거나, 다른 일 방향으로 물 또는 세탁수를 회전시켜 순환구를 향해 물 또는 세탁수를 이동하도록 그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물 또는 세탁수의 순환 과정에서 배수구로 물 또는 세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순환구를 향해 물 또는 세탁수가 원활하게 이동하여 그 양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배수펌프의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물 또는 세탁수의 배수 과정에서 순환구로 물 또는 세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구를 향해 물 또는 세탁수가 원활하게 이동하여 그 양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배수펌프의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물 또는 세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배수펌프 내의 캐비테이션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펌프의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양방향으로 배수 과정 또는 순환 과정이 수행되는 때, 임펠러의 주변에 이물이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펌프의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배수펌프는, 물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수용되는 물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 상기 수용되는 물이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거나,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물의 유동 흐름을 형성하는 임펠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물 유동부, 상기 물이 상기 물 유동부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물을 전달받거나 저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배수펌프실 및 상기 물 유동부와 상기 배수펌프실 사이에, 상기 물 유동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임펠러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일부분은 상기 유입구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의 일단은 상기 임펠러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상기 유입구 측 일단은 계단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와 마주보는 상기 유입구의 일단은 상기 임펠러의 일단과 대응되도록 계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계단 구조로 형성된 일단과 상기 유입구의 계단 구조로 형성된 일단은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계단 구조와, 상기 유입구의 계단 구조는 상기 임펠러의 외곽에 수류를 형성하도록 서로 포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제1 내경을 갖는 제1 유입구 부분과, 제2 내경을 갖는 제2 유입구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구 부분은 상기 제1 유입구 부분보다 상기 임펠러 측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구 부분은 상기 제1 유입구 부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경은 상기 제2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보스(Boss)부, 상기 보스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블레이드부; 및 상기 보스부와 블레이드부 사이를 연결하는 판으로 형성되는 플랜지(Flange)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는 제1 직경을 갖는 제1 중심축과, 제2 직경을 갖는 제2 중심축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심축은 상기 제2 중심축의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직경은 상기 제2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중심축의 제2 직경은 상기 제2 유입구 부분의 제2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중심축의 제2 직경은 상기 제1 유입구 부분의 제1 내경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구 부분의 상기 임펠러 측 일면은 상기 제2 중심축의 상기 유입구 측 일면보다 상기 플랜지부에 근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모터와 하나의 임펠러를 사용하여 배수펌프와 순환펌프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배수펌프의 구현이 가능하여,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배수펌프와 순환펌프를 별개로 구현하는 것에 비하여 비용 절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임펠러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배수펌프 내로 유입되는 물 또는 세탁수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수 과정 또는 순환 과정의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펌프 내에서 일 방향으로 물 또는 세탁수를 회전시켜 배수구를 향해 물 또는 세탁수가 이동되도록 하거나, 다른 일 방향으로 물 또는 세탁수를 회전시켜 순환구를 향해 물 또는 세탁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물 또는 세탁수의 유동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를 향해 형성되는 리브를 통해 물 또는 세탁수의 순환 과정에서 배수구로 물 또는 세탁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순환구를 향해 물 또는 세탁수가 원활하게 이동하여 그 양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브에 의해 물 또는 세탁수의 배수 과정에서 순환구로 물 또는 세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는 도 3의 배수펌프를 A-A’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된 배수펌프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배수펌프의 적용예는 의류처리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수펌프는 복수의 배출구를 구비하고, 단일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배출구 중 어느 하나로 물을 배출시키는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제품에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1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의류처리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 캐비닛(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21), 드럼(21)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터(미도시), 캐비닛(11)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12)를 포함한다. 또한, 캐비닛(11)의 하부에는 세제 투입구를 가리기 위한 세제 투입구 덮개(13)가 위치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10)는 드럼(21) 내부에 위치되는 세탁물의 건조를 위하여 공기가 순환되어야 하므로, 덕트(15) 및 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하게 된다.
의류처리장치(10)의 하부에는 세제와 섬유 유연제를 수용하고 캐비닛(1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저장용기(미도시), 드럼(21)을 지지하고 진동을 억제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미도시)와 댐퍼(미도시), 드럼(2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1)의 전면에는 세탁될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도어(12)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12)는 드럼(21)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12)는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럼(21)의 하부에는 전원이 인가될 때 물을 가열할 수 있는 전기히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21)의 하측에는 드럼(21) 내부의 물 또는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럼(21)의 하측에는 드럼(21)의 물을 인출하여 드럼(21)의 상부 영역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순환펌프(미도시)가 구비된다. 배수펌프(100)의 일 측에는 드럼(21)으로부터 인출된 물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0)의 하부에는 지면과 일정 높이만큼 이격시켜 지지하는 다수개의 레그(14)가 위치된다.
도 2는 배수펌프(100)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10)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의류처리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 캐비닛(11)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18), 터브(18)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21)을 포함한다. 또한, 드럼(21) 내부의 세탁물 건조를 위해 공기가 순환되어야 하므로 의류처리장치(10)는 덕트(15), 열교환기, 팬모터(17)를 포함하고, 압축기(16) 및 압축기(16)를 지지하기 위한 압축기 지지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10)는 공기가 순환됨에 따라 열교환기(미도시)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응축수 배출관(23), 배수펌프실(19), 배수펌프(100), 배수호스(20) 및 배수부 연결관(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배수펌프(100)는 의류처리장치(10)의 하부에 위치된다. 배수펌프(100)는 터브(18) 내의 물 또는 세탁수가 배수펌프실(19)로 이동하여 배수펌프(100)의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물 또는 세탁수를 순환구(111)를 통해 이동시켜 터브(18)를 향해 이동시키는 순환 과정을 수행하거나, 유입된 물 또는 세탁수를 배수구(112)를 향해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과정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100)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 내부에서 회전하여 수용된 물 또는 세탁수의 흐름을 형성하는 임펠러(125) 및 임펠러(125)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10)은, 물 유동부(420)와, 배수펌프실(41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물을 수용할 수 있다.
배수펌프실(410)은, 물 또는 세탁수가 물 유동부(420)로 유입되기 전에 물 또는 세탁수를 전달받거나 저장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배수펌프실(410)은 터브로부터 오염된 물 또는 세탁수를 전달받을 수도 있고, 외부로부터 깨끗한 물 또는 세탁수를 전달받을 수 있다. 배수펌프실(410)의 양단은 각각 오염된 세탁수 또는 깨끗한 세탁수를 전달받을 수 있다.
물 유동부(420)는 배수펌프실(410)로부터 유입되는 물 또는 세탁수가 터브로 순환되거나, 세탁기 외부로 배수되도록 상기 유입된 물 또는 세탁수의 유동 흐름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물 유동부(420)의 내부에는 모터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25)가 구비된다. 임펠러(125)의 회전 방향에 따라, 물 유동부(420)의 내부에서 물 또는 세탁수의 유동 흐름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수용되는 물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물 유동부(42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에 수용되는 물이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거나,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물의 유동 흐름을 형성하는 임펠러를 구비할 수 있다.
배수펌프실(410)는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물 유동부(420)로 물이 유입되기 전에, 상기 물을 전달받거나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100)는 종래의 배수펌프와는 다르게, 모터의 회전 방향의 전환이 가능하므로, 배수펌프와 순환펌프의 기능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회전 속도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배수 과정에서는 고속으로 작동시키고, 순환 과정에서는 배수 과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작동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소음과 전력 소모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는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100)는 배수구(112) 또는 순환구(111)를 통해 배수펌프(100)실로부터 유입되는 물 또는 세탁수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배수펌프와 순환펌프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배수펌프(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우징(110)의 일 단에는 입수구(114)가 형성되어 물 또는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입수구(114)의 양 단의 일 측에는 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어, 물 또는 세탁수에 있는 이물질을 걸러낸 후 배수펌프(100)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세탁 또는 배수 과정에서 생기는 물 또는 세탁수는 배수펌프(100)의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유입구(113)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는 물 또는 세탁수는 회전하는 임펠러(125)에 의하여 배수구(112) 또는 순환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배수과정 또는 순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 또는 세탁수는 계속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 보듯이, 배수펌프(100)의 다른 일 단에는 모터(미도시)와 임펠러(125)를 고정시키는 임펠러 케이스(126)가 설치되게 된다. 임펠러 케이스(126)는 배수펌프(100)의 하우징(110)에 일 단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임펠러 케이스(126)는 모터(미도시)와 임펠러(125)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임펠러(125)는 모터(미도시)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모터(미도시)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음으로써 배수펌프(100)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임펠러 케이스(126)의 외주면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126a)가 형성된다. 임펠러 케이스(126)는 배수펌프(100)의 일단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플랜지부(126a)에는 돌기수용부(126b)가 형성된다. 돌기수용부(126b)에는 하우징(1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부(119)가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돌기수용부(126b)는 임펠러 케이스(126)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임펠러 케이스(126)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임펠러 케이스(126)는 임펠러(125) 및 모터(미도시)의 외부 노출을 제한하도록 원형의 임펠러케이스덮개(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 케이스(126)의 돌기수용부(126b)에는 하우징(110)의 돌기부(119)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어, 임펠러 케이스(126)가 하우징(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임펠러(125)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돌기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19)는 하우징(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돌기부(119)는 임펠러 케이스(126)의 돌기수용부(126b)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 배치될 수 있다.
돌기부(119)는 임펠러 케이스(126)의 플랜지부(126a)에 형성되는 돌기수용부(126b)에 삽입된 후, 회전되어 끼워지게 되어 임펠러 케이스(126)는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수용되는 물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제1 배출구(111) 및 제2 배출구(11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배출구(111)는 순환구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배출구(112)는 배수구에 대응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배수구(112)와 순환구(11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12)는 하우징(110)의 내부와 연통되고, 하우징(110)의 외주면에서 접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게 이루어진다. 배수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배수구(112)는 임펠러(125)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내부에 수용되는 물 또는 세탁수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동 통로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순환구(111)는 하우징(110)의 내부와 연통되고, 하우징(110)의 외주면에서 접선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의류처리장치가 순환 과정을 수행할 때, 순환구(111)는 임펠러(125)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내부에 수용되는 물 또는 세탁수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동 통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배수구(112)와 순환구(111)는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배수구(112) 및 순환구(111)에는 각각 호스가 연결되어 배수 과정 및 순환 과정에서 물 또는 세탁수가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배수구(112)와 순환구(111)는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도 3에서 보듯이, 순환구(111)는 하우징(110)의 외주면에서 접선 방향으로 상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순환구(111)는 사선 방향 혹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순환구(111)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순환구(111)의 직경은 제품의 사이즈 및 순환되어야 하는 물 또는 세탁수의 양을 고려해서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두 개의 순환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순환구(111)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배수구(112)는 하우징(110)의 외주면에서 접선 방향으로 상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12)는 사선 방향 혹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12)는 순환구(111)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우징(1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순환구(111)가 형성되는 위치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배수구(112)가 하나로만 이루어지는 경우, 배수구(112)의 직경은 순환구(111)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는 도 3의 배수펌프(100)를 A-A’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좌측에는 배수펌프실(410)이 도시되고, 우측에는 물 유동부(420)가 도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10) 내부의 배수펌프실(410)과 물 유동부(420) 사이에 유입구(113)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구(113)는 물 유동부(420) 내에 존재하는 임펠러(125)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임펠러(125)의 일부분은 상기 유입구(11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유입구(113)의 일단은 임펠러(125)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임펠러(125)의 상기 유입구(113) 측 일단은 계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25)와 마주보는 상기 유입구(113)의 일단은 상기 임펠러(125)의 일단과 대응되도록 계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임펠러(125)의 계단 구조로 형성된 일단과 상기 유입구(113)의 계단 구조로 형성된 일단은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임펠러(125)의 계단 구조와, 상기 유입구(113)의 계단 구조는 임펠러(125)의 외곽에 수류를 형성하도록 서로 포개질 수 있다.
유입구(113)는 제1 내경(d1)을 갖는 제1 유입구 부분과, 제2 내경(d2)을 갖는 제2 유입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입구 부분은 상기 제1 유입구 부분보다 상기 임펠러 측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입구 부분은 상기 제1 유입구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내경(d1)은 상기 제2 내경(d2) 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로써, 유입구(113)에 계단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임펠러는 임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보스(Boss)부, 상기 보스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블레이드부 및 상기 보스부와 블레이드부 사이를 연결하는 판으로 형성되는 플랜지(Flange)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스부는, 제1 직경(r1)을 갖는 제1 중심축과, 제2 직경(r2)을 갖는 제2 중심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심축은 상기 제2 중심축의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직경(r1)은 상기 제2 직경(r2)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중심축의 제2 직경(r2)은 상기 제2 유입구 부분의 제2 내경(d2)보다 작으며, 상기 제2 중심축의 제2 직경(r2)은 상기 제1 유입구 부분의 제1 내경(d1)과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유입구 부분의 상기 임펠러 측 일면(S1)은 상기 제2 중심축의 상기 유입구 측 일면(S2)보다 상기 플랜지부에 근접할 수 있다.
물 유동부(420)에서, 임펠러(125)를 고정하는 임펠러 케이스(126)는 하우징(110)의 일단에 고정되게 된다. 배수펌프실(410)의 일단에는 입수구(114)가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내부로 물 또는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 일 측에는 모터가 위치되고, 모터의 회전 방향 및 속도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모터에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배수 과정 또는 세탁 과정에 따라 모터의 회전 방향과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모터는, 회전 방향과 속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BLDC(Brush Less Direct Current)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BLCD 모터는 가전용과 산업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소형화가 가능하고 전력 사용량과 소음 발생량이 적은 특징이 있다.
BLDC 모터는 DC 모터와 달리 브러쉬가 없어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반도체 소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므로 전류의 제어가 용이하여 정확한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토크가 높아 고속 회전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모터의 회전축에는 임펠러(125)가 결합되어 임펠러(125)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임펠러(125)의 회전 방향이 정해지게 된다. 또한,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모터의 회전 속도는 배수 과정에서는 약 3500 rpm으로 구동되고, 순환 과정에서는 약 2500 rpm으로 구동되게 된다. 배수 과정 및 순환 과정에서의 모터의 회전 방향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배수 과정에서의 배수량이 순환 과정에서의 물 또는 세탁수의 양보다 더 많으므로, 배수 과정에서의 모터의 회전 속도가 순환 과정에서의 모터의 회전 속도보다 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임펠러(125)의 일부분이 상기 유입구(113)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입구(113)가 물 유동부(420) 또는 임펠러(125)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임펠러(125)의 일부분은, 임펠러(125)의 본체를 샤프트(120)와 연결시키는 보스(Boss)부에 해당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배수펌프 내에서 일 방향으로 물 또는 세탁수를 회전시켜 배수구를 향해 물 또는 세탁수가 이동되도록 하거나, 다른 일 방향으로 물 또는 세탁수를 회전시켜 순환구를 향해 물 또는 세탁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물 또는 세탁수의 유동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를 향해 형성되는 리브를 통해 물 또는 세탁수의 순환 과정에서 배수구로 물 또는 세탁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순환구를 향해 물 또는 세탁수가 원활하게 이동하여 그 양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브에 의해 물 또는 세탁수의 배수 과정에서 순환구로 물 또는 세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물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수용되는 물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
    상기 수용되는 물이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거나,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물의 유동 흐름을 형성하는 임펠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물 유동부;
    상기 물이 상기 물 유동부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물을 전달받거나 저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배수펌프실; 및
    상기 물 유동부와 상기 배수펌프실 사이에, 상기 물 유동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임펠러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일부분은 상기 유입구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의 일단은 상기 임펠러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상기 유입구 측 일단은 계단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와 마주보는 상기 유입구의 일단은 상기 임펠러의 일단과 대응되도록 계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계단 구조로 형성된 일단과 상기 유입구의 계단 구조로 형성된 일단은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계단 구조와, 상기 유입구의 계단 구조는 상기 임펠러의 외곽에 수류를 형성하도록 서로 포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제1 내경을 갖는 제1 유입구 부분과, 제2 내경을 갖는 제2 유입구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구 부분은 상기 제1 유입구 부분보다 상기 임펠러 측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구 부분은 상기 제1 유입구 부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경은 상기 제2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보스(Boss)부,
    상기 보스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블레이드부; 및
    상기 보스부와 블레이드부 사이를 연결하는 판으로 형성되는 플랜지(Flange)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는,
    제1 직경을 갖는 제1 중심축과, 제2 직경을 갖는 제2 중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심축은 상기 제2 중심축의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직경은 상기 제2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심축의 제2 직경은 상기 제2 유입구 부분의 제2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심축의 제2 직경은 상기 제1 유입구 부분의 제1 내경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구 부분의 상기 임펠러 측 일면은 상기 제2 중심축의 상기 유입구 측 일면보다 상기 플랜지부에 근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KR1020170004353A 2017-01-11 2017-01-11 배수펌프 KR20180082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353A KR20180082898A (ko) 2017-01-11 2017-01-11 배수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353A KR20180082898A (ko) 2017-01-11 2017-01-11 배수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898A true KR20180082898A (ko) 2018-07-19

Family

ID=6305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353A KR20180082898A (ko) 2017-01-11 2017-01-11 배수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28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583B1 (ko) 배수펌프
KR102555267B1 (ko)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
KR102600465B1 (ko) 비엘디시 모터 및 이를 이용한 배수펌프
JP2010094227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80082897A (ko) 배수펌프
KR102577087B1 (ko)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
KR20180091363A (ko) 배수펌프
KR20180082898A (ko) 배수펌프
KR20180080578A (ko) 임펠러 및 이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
KR20180097389A (ko) 임펠러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
KR102577089B1 (ko)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
EP3699348B1 (en) Household appliance
JP6140022B2 (ja) 洗濯機
KR10246147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7365987B2 (ja) 送風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洗濯機
JP7365309B2 (ja) 送風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洗濯機
KR102577088B1 (ko)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
KR100598000B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백
JP2008272137A (ja) 洗濯乾燥機
KR102340620B1 (ko) 모터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
KR200358900Y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백
KR200358902Y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프론트
KR20210108659A (ko) 유로 변환 펌프
KR20050109399A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프론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