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651A - 의류 관리기 - Google Patents

의류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651A
KR20180082651A KR1020170002716A KR20170002716A KR20180082651A KR 20180082651 A KR20180082651 A KR 20180082651A KR 1020170002716 A KR1020170002716 A KR 1020170002716A KR 20170002716 A KR20170002716 A KR 20170002716A KR 20180082651 A KR20180082651 A KR 20180082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storage space
sterilizing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1020170002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2651A/ko
Publication of KR2018008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는, 내부에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물을 수용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 및 상기 수조 내에서 상기 전기분해 살균모듈의 작동에 따라 살균수가 생성되면, 살균수를 진동을 통해 무화(atomization)시켜 상기 수납공간에 분무하는 초음파 분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의류 관리기{Clothing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의류 관리기 본체에 전기분해 살균모듈 및 초음파 분무부가 내장 설치되어 전기분해 살균모듈에서 이온 클러스터 형태의 살균수를 생성하며, 이와 같이 생성된 살균수가 초음파 분무부에서 무화되어 본체의 의류 수납공간에 분무됨에 따라 의류에 잔존하는 유해 세균 및 악취 성분 등을 살균함으로써 의류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곳에 보관되며, 먼지 등이 의류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롱이나 옷장 등과 같이 밀폐된 의류 보관용의 가구에 의류들을 수납하거나, 행거 등에 의류를 걸어서 보관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의류 보관 방법은 기후조건에 따라 습기가 많은 계절에 의류를 장시간 보관할 경우 유해 세균 등에 의해 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내 거주자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의류에 잔존하는 악취 성분으로 인해 사용자가 다시 의류를 입을 경우 불쾌감을 느낄 수도 있다.
이에, 종래에는 온풍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이용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며, 오존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통해 의류의 악취를 제거하는 방식의 의류 관리기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히터 및 오존 발생기를 이용하여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주름 및 악취를 제거할 수는 있지만, 의류에 잔존하는 유해 물질 등을 살균시키기 위한 구성이 미비하며, 특히 오존을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호흡기나 눈 등의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66882호(공고일자 2010.06.30.)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관리기 본체에 전기분해 살균모듈 및 초음파 분무부가 내장 설치되어 전기분해 살균모듈에서 이온 클러스터 형태의 살균수를 생성하며, 이와 같이 생성된 살균수가 초음파 분무부에서 무화되어 본체의 의류 수납공간에 분무됨에 따라 의류에 잔존하는 유해 세균 및 악취 성분 등을 살균함으로써 의류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내부에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물을 수용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 및 상기 수조 내에서 상기 전기분해 살균모듈의 작동에 따라 살균수가 생성되면, 살균수를 진동을 통해 무화(atomization)시켜 상기 수납공간에 분무하는 초음파 분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수조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초음파 분무부로부터 무화된 살균수가 상방으로 분무되는 구성이다.
상기 본체는, 탈착 가능하도록 내부에 수납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수조로 급수하는 급수관;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전기분해 살균모듈은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에 미세전류를 인가하여 수중 방전을 통해 물을 이온 클러스터(Ion Cluster)의 형태로 전환시켜 살균수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온 클러스터는 산소계 활성 종 O-, O2, O3, HO2, H2O2, OH 및 차아염소산(HClO) 중 어느 하나인 구성이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초음파 분무부를 통해 무화된 살균수가 상기 수납공간에 분무된 이후에 상기 의류가 건조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에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의류 관리기 본체에 전기분해 살균모듈 및 초음파 분무부가 내장 설치되어 전기분해 살균모듈에서 이온 클러스터 형태의 살균수를 생성하며, 이와 같이 생성된 살균수가 초음파 분무부에서 무화되어 본체의 의류 수납공간에 분무됨에 따라 의류에 잔존하는 유해 세균 및 악취 성분 등을 살균함으로써 의류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의류 관리기 본체에 열풍발생부가 설치되어 상기한 전기분해 살균모듈 및 초음파 분무부를 통한 살균 작업이 이루어진 이후에 열풍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통해 의류에 대한 건조 작업이 이루어져 수납공간 및 의류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하며, 도면들에 있어서 층 또는 영역의 길이와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성 요소가 상기 제 2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성 요소와 상기 제 2 구성 요소 사이에 제 3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는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에 대해 설명하면, 의류 관리기(100)는 본체(10), 전기분해 살균모듈(20), 초음파 분무부(30), 열풍발생부(40) 및 수조(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내부에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11)이 형성되며, 전면에 수납공간(11)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2)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본체(1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가 필요한 의류가 수납되고, 의류를 살균 및 건조시키는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기분해 살균모듈(20), 초음파 분무부(30), 열풍발생부(40) 및 수조(50)가 내장 설치될 수 있다.
수조(50)는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는 구성이다.
전기분해 살균모듈(20)은 수조(50)에 수용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본체(10)의 수납공간(11)에 수납된 의류를 살균시키기 위한 살균수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전기분해 살균모듈(20)은 수조(50)에 수용된 물에 미세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수중 방전을 통해 물을 이온 클러스터(Ion Cluster)의 형태로 전환시켜 이온 클러스터 형태의 살균수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이온 클러스터는 산소계 활성 종 O-, O2, O3, HO2, H2O2, OH 및 차아염소산(HClO)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납공간(11)에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거나 별도의 살균 물질 등을 본체(10)의 내벽에 도포하지 않아도 의류에 대한 살균 및 탈취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초음파 분무부(30)는 수조(50) 내에서 전기분해 살균모듈(20)의 작동에 따라 살균수가 생성되면, 살균수를 진동을 통해 무화(atomization)시켜 수납공간(11)에 분무하기 위한 구성으로, 살균수를 무화시키기 위해 수조(50) 내에서 진동하는 초음파 진동자(31) 및 초음파 진동자(31)의 일측에 무화된 살균수를 수납공간(11)에 효율적으로 분무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초음파 분무부(30)는 전기분해 살균모듈(20)이 작동하여 이온 클러스터 형태의 살균수가 생성된 이후에 작동함으로써, 생성된 살균수를 초음파 진동자(31)를 통해 수증기 형태로 무화시켜 수납공간(11)에 분무하는 것이다.
또한, 수조(50)는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초음파 분무부(30)로부터 무화된 살균수가 수납공간(11) 전체에 골고루 확산되도록 상방으로 분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본체(10)는 탈착 가능하도록 내부에 수납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13)와, 물탱크(13)와 연결되어 물탱크(13)에 저장된 물을 수조(50)로 급수하는 급수관(14) 및 급수관(14)의 일측에 설치되어 물의 이동을 개폐하거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열풍발생부(40)는 초음파 분무부(30)를 통해 무화된 살균수가 수납공간(11)에 분무된 이후에 본체(10)의 수납공간(11)에 수납된 의류가 건조되도록 수납공간(11)으로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열풍발생부(40)는 수납공간(11) 또는 의류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전기분해 살균모듈(20) 및 초음파 분무부(30)를 통해 수납공간(11)에 무화된 살균수를 분무하는 살균 작업이 이루어진 이후에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의 작동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물탱크(13)에 저장된 물이 급수관(14)을 통하여 수조(50)로 급수되어 진다. 이때, 전기분해 살균모듈(20)이 작동함에 따라 수조(50)의 물에 미세전류를 인가하여 수중 방전을 통한 이온 클러스터 형태의 살균수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기분해 살균모듈(20)을 통해 수조(40)의 물이 살균수로 전환되면, 전기분해 살균모듈(20)의 작동이 정지하고, 초음파 진동자(31)가 작동하여 진동을 통해 수조(50) 내 살균수를 수증기 형태로 무화시켜 상방으로 분무함으로써 의류에 대한 살균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에, 열풍발생부(40)에서 수납공간(11)으로 열풍을 발생시켜 수납공간(11) 및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분해 살균모듈(20) 및 초음파 분무부(30)를 통해 의류에 대한 살균 작업이 이루어져 의류에 잔존하는 각종 유해 세균 및 악취 성분을 제거한 이후에, 열풍발생부(40)를 통해 수납공간(11)에 열풍을 발생시킴으로써 수납공간(11) 또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의류를 항상 건조하고 청결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의류 관리기 10 : 본체
11 : 수납공간 12 : 도어
13 : 물탱크 14 : 급수관
20 : 전기분해 살균모듈 30 : 초음파 분무부
31 : 초음파 진동자 40 : 열풍발생부
50 : 수조

Claims (6)

  1. 내부에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물을 수용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 및
    상기 수조 내에서 상기 전기분해 살균모듈의 작동에 따라 살균수가 생성되면, 살균수를 진동을 통해 무화(atomization)시켜 상기 수납공간에 분무하는 초음파 분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관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초음파 분무부로부터 무화된 살균수가 상방으로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관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탈착 가능하도록 내부에 수납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수조로 급수하는 급수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관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 살균모듈은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에 미세전류를 인가하여 수중 방전을 통해 물을 이온 클러스터(Ion Cluster)의 형태로 전환시켜 살균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관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클러스터는 산소계 활성 종 O-, O2, O3, HO2, H2O2, OH 및 차아염소산(HClO)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관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초음파 분무부를 통해 무화된 살균수가 상기 수납공간에 분무된 이후에 상기 의류가 건조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에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관리기.
KR1020170002716A 2017-01-09 2017-01-09 의류 관리기 KR20180082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716A KR20180082651A (ko) 2017-01-09 2017-01-09 의류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716A KR20180082651A (ko) 2017-01-09 2017-01-09 의류 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651A true KR20180082651A (ko) 2018-07-19

Family

ID=6305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716A KR20180082651A (ko) 2017-01-09 2017-01-09 의류 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265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82B1 (ko) 2003-07-21 201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82B1 (ko) 2003-07-21 201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50483A (ja) ドライプロセス処理方法
JP5312416B2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及び除菌・消臭方法
KR101608403B1 (ko) 스팀을 이용한 신발의 살균,탈취,건조장치
JP5866743B1 (ja) 衣服消毒装置及び衣服消毒方法
US20110048474A1 (en) Shoes refreshing, washing and drying machine
CA2726030C (en) Fabric refreshing cabinet device
KR102261579B1 (ko) 의류 관리 및 실내 공기 개선을 위한 현관 수납장
JP2019154884A (ja) 次亜塩素酸タブレットを用いた除菌・消臭システム
JP2022161931A (ja) ドライヤー
KR20200052544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의류 관리 장치
KR100930317B1 (ko) 아토피 치료 및 심신안정에 도움이 되는 피톤치드 발생장치
KR101849941B1 (ko) 옷걸이형 의류 살균 탈취기 및 그 작동 방법
US20100299954A1 (en) Fabric Refreshing Cabinet Device
JP2007016360A (ja) かつら洗浄殺菌消臭乾燥装置
JPH0332364B2 (ko)
KR100648298B1 (ko) 은나노 분무 신발 소독장치
KR20180082652A (ko) 의류 관리기
KR20180082653A (ko) 의류 관리기
KR20180082651A (ko) 의류 관리기
JP2018143642A (ja) ミスト処理装置
JP2001033070A (ja) 加湿器
JP2006061407A (ja) 静電霧化装置付き洗面化粧台
KR20160115585A (ko) 칫솔용 스팀 살균 장치
JP3916935B2 (ja) 空調設備
JP4013067B2 (ja) ハンドドライヤ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