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429A - 인공호흡기 - Google Patents

인공호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429A
KR20180082429A KR1020187011082A KR20187011082A KR20180082429A KR 20180082429 A KR20180082429 A KR 20180082429A KR 1020187011082 A KR1020187011082 A KR 1020187011082A KR 20187011082 A KR20187011082 A KR 20187011082A KR 20180082429 A KR20180082429 A KR 20180082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receptacle
oxygen sensor
connection
venti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1720B1 (ko
Inventor
오이겐 카간
Original Assignee
오이겐 카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이겐 카간 filed Critical 오이겐 카간
Publication of KR20180082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2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operated by electrical means
    • A61M16/022Control means therefor
    • A61M16/024Control means therefor including calculation means, e.g. using a proces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05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8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which is flowing continuously
    • G01N27/10Investigation or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operations or for signal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05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 A61M2016/102Measuring a parameter of the content of the delivered gas
    • A61M2016/1025Measuring a parameter of the content of the delivered gas the O2 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A61M2202/0208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5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partial oxygen pressure (P-O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12Measuring magnetic properties of articles or specimens of solids or fl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호흡기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인공호흡기(1)는 환자에게 호흡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가스 파이프 시스템을 구비하며, 이러한 호흡 가스의 산소 함량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산소 센서(12, 15)를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5)을 구비하며, 선택적으로, 갈바닉 산소 센서(12) 또는 상자성 산소 센서(15)가 상기 리셉터클(5)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공호흡기
본 발명은 환자에게 호흡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파이프 시스템을 구비한 인공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DE 10 2006 055 779 B3는 그러한 인공호흡기를 공지하고 있다. 상기 인공호흡기는 특히 산소와 상기 인공호흡기에서 규정된 방식으로 혼합되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 라인(supply line) 및 혼합되어 온도가 조절된 호흡 가스를 정해진 압력 레벨로 환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라인(line)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인공호흡기는 상기 호흡 가스의 산소 함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산소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산소 센서는 환자에게 가이드 된 파이프 영역, 혼합실(mixing chamber) 영역 또는 파이프 시스템의 또 다른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산소 센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의학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인공호흡기는 일반적으로 "전기 화학적(electrochemical)"으로도 표현될 수 있는 갈바닉 산소 센서(galvanic oxygen sensor)가 사용되며, 이러한 갈바닉 산소 센서에서 산소는 예를 들어 멤브레인(membrane)을 통해 전해질로 채워진 챔버(chamber)로 확산 된다. 이러한 챔버에서 산소는 금 전극(gold electrode)에서 환원되고, 동시에 납 전극(lead electrode)이 산화된다. 이로 인해, 산소 농도에 비례하는 전류가 흐르며, 이러한 전류는 측정 신호(measurement signal)로서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기반을 둔 다수의 측정 셀(measuring cell)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전해질 및 전극 재질(electrode material)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공통점은 한 전극에서 산화물이 형성됨으로써 전극이 점차 소모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갈바닉 산소 센서는 제한된 수명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갈바닉 산소 센서는 매우 튼튼하고, 이동식 인공호흡기 작동을 위해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산소의 상자성 특성을 이용하는 상자성 산소 센서(paramagnetic oxygen sensor)가 의학 목적을 위한 인공호흡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자기장(magnetic field) 쪽으로 당겨진 산소를 통해 이동되는 정밀 기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측정 채널(measurement channel)에서 산소 유량의 속도가 직간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상자성 산소 측정은 매우 정확하고, 소모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이로써, 상기 상자성 산소 센서의 수명이 오래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 상자성 산소 센서는 특히 정밀 기계 부품이 삽입될 경우 비교적 민감하게 작동하고, 따라서 인공호흡기의 이동식 작동에 부적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에게 호흡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파이프 시스템을 구비하며,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동시에 매우 안정적인 인공호흡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대상을 통해 해결된다. 또 다른 실시 형태는 종속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라, 인공호흡기(ventilator)가 제공되며, 상기 인공호흡기는 환자에게 호흡 가스(respiratory gas)를 공급하기 위해 가스 파이프 시스템(gas pipe system)을 구비하며, 전술한 호흡 가스의 산소 함량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monitoring device)가 제공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산소 센서(oxygen sensor)를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receptacle)을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전술한 갈바닉 산소 센서(galvanic oxygen sensor) 또는 상자성 산소 센서(paramagnetic oxygen sensor)가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호흡 가스의 산소 함량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monitoring device)는, 이러한 산소 함량을 직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이러한 측정값을 분석 또는 처리하기 위한 장치, 예를 들어 센서를 구비한 장치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센서는 전술한 것에 대응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전술한 인공호흡기에서 산소 센서는 상호 교체 가능하며, 이때 동시에 실시되지는 않지만, 두 개의 산소 센서가 삽입되는 리셉터클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공호흡기가 작동하기 전에 적합한 산소 센서가 각각 선택될 수 있고,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것은 튼튼한 갈바닉 센서(galvanic sensor)가 상기 인공호흡기의 이동식 작동을 위해 선택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인공호흡기의 고정식 작동을 위해 매우 정확하고 수명이 긴 상자성 센서(paramagnetic sensor)가 선택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센서가 교체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인공호흡기의 모든 사용 목적을 위해 적합한 센서 유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두 가지 센서 유형의 장점과 단점이 최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센서만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되든지, 또는 또 다른 센서가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편의상의 이유로 두 센서를 상기 인공호흡기에 그대로 두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인공호흡기의 이동식 작동시, 민감한 상기 상자성 센서는 기계적 부하를 받지 않는다. 또한, 실수로, 또는 고정식 작동이 편리하다는 이유로 상기 갈바닉 센서를 상기 인공호흡기에 그대로 둔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센서의 수명이 단축되는 개연성이 줄어든다. 또한, 단지 하나의 싱글 센서를 위한 리셉터클이 제공됨으로써 설치 공간이 절약되고 중량이 감소 되며, 특히 이것은 이동식 사용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자성 센서를 고정식 작동을 위해 사용하는 것은 이러한 상자성 센서가 특히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호흡 가스의 조성이 매우 정확하게 컨트롤 될 수 있다.
상기 인공호흡기는 특히 경제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특히 내구성이 좋고 안정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산소 센서는 고정 부품(fastening component)을 통해 상기 리셉터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 부품은 어댑터(adapter)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어댑터를 통해 하나의 센서 유형뿐만 아니라, 또 다른 센서 유형도 상기 리셉터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부품은 이러한 고정 부품을 상기 갈바닉 산소 센서에 연결하기 위한 나사 산(screw thread)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갈바닉 산소 센서의 일 단부에는 전술한 나사 산에 대해 적합한 대응부품(counter part)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대응부품이 상기 고정 부품에 나사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 부품을 통해 상기 산소 센서가 리셉터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일정 수량의 나사를 통해 고정 부품을 전술한 상자성 산소 센서와 연결하기 위해 전술한 고정 부품은 일정 수량의 보어(bore)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보어에 대한 대응부품은 예를 들어 상기 상자성 센서에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상자성 센서와 고정 부품이 서로 나사로 조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품과 센서 사이를 고정하는 또 다른 방식으로서, 예를 들어 래칭(latching) 또는 바요넷 고정(bayonet fastening)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독립된 형태의 고정 부품 사용은 상기 센서가 리셉터클에 특히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그 이유는 상기 센서가 리셉터클 외부에서 고정 부품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상기 센서와 고정 부품 간의 다소 숙련을 요하는 연결이 상기 리셉터클 외부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고정 부품을 사용하여 상기 센서가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 부품과 리셉터클은 상기 리셉터클과 고정 부품의 연결이 예를 들어 래칭 연결(latching connection)을 통해 특히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호흡기의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인공호흡기에 산소 센서를 전기 연결하기 위해 이러한 인공호흡기에 부속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리셉터클 영역에 두 개의 제2 연결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갈바닉 산소 센서와 연결되도록 제공되고, 또 다른 제2 연결부는 상기 상자성 산소 센서와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센서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센서와 본 발명에 따른 인공호흡기 사이에 분기 연결(branched connection)이 제공된다. 상기 리셉터클에는 두 개의 센서 유형을 위한 서로 다른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은 센서를 위해 표준 부품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표준 부품에는 연결부의 형태 및 연결부의 위치가 지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갈바닉 산소 센서와 상자성 산소 센서는 서로 다른 유형의 연결부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또한 전술한 두 산소 센서는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센서의 서로 다른 지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인공호흡기와 센서 사이에 분기 연결을 사용한 것은 다음과 같은 사항, 즉 두 개의 센서 유형 각각에 대해 적합한 제2 연결부가 적합한 지점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한 결과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갈바닉 센서는 이러한 센서가 제2 연결부 가운데 단지 하나의 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는 반면,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상자성 센서는 이러한 센서가 단지 또 다른 제2 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연결부가 리셉터클 영역에 배열된다.
전술한 것은 연결의 유형에 따라 상기 제2 연결부 가운데 어떤 연결부가 센서에 의해 점유되는지에 근거하여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센서 유형이 추론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된 센서의 식별은 어떤 제2 연결부가 점유되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산소 센서는 Y-케이블을 통해 상기 인공호흡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것은 분기 연결이 Y-케이블을 통해 실시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다양한 유형의 플러그 또는 소켓이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또 다른 단부와 함께 상기 인공호흡기의 회로판(circuit board)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인공호흡기의 제어 유닛(control unit)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인공호흡기의 제어 유닛은 어떤 산소 센서가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은 상이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술한 것처럼 점유된 제2 연결부에 기초하여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전자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전자 장치를 통해 상기 산소 센서가 상기 인공호흡기의 제어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산소 센서 자체가 상기 인공호흡기의 제어 유닛에 로그온(log on)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산소 센서가 삽입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리셉터클은 밀봉 캡(sealing cap)을 통해 폐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밀봉 캡은 이러한 밀봉 캡이 상기 리셉터클을 오염 및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기 밀봉 캡은 산소 센서가 삽입된 경우에도 리셉터클을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공호흡기는 특히 이동식 작동뿐 아니라, 고정식 작동을 위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은 상기 인공호흡기가 특히 신축성 있게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인공호흡기는 공급 라인을 위해 특히 적합한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식 작동을 위해, 압축가스 탱크 또는 병원의 압축가스 공급 장치에 견고하게 장착된 파이프 라인을 위한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동식 작동을 위해, 일반적으로 압축가스 탱크의 연결부 및/또는 주변 공기를 빨아들이는 터빈(turbine)이 제공될 수 있다. 이동식 작동뿐 아니라, 고정식 작동을 위해 제공된 상기 인공호흡기는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작동 모드, 특히 이동식 작동 모드 및 고정식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아래의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인공호흡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산소 센서가 삽입되지 않은 도 1에 따른 인공호흡기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삽입된 갈바닉 센서를 구비한 인공호흡기의 리셉터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삽입된 상자성 산소 센서를 구비한 도 1에 따른 인공호흡기의 리셉터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도 1에 따른 인공호흡기의 고정 부품과 연결된 갈바닉 산소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고정 부품과 연결된 도 5에 따른 갈바닉 센서를 또 다른 시각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도 1에 따른 인공호흡기의 고정 부품과 연결된 상자성 산소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8은 고정 부품과 연결된 도 7에 따른 상자성 센서를 또 다른 시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환자에게 호흡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인공호흡기(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인공호흡기(1)는 하우징(2)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압축가스용 공급 라인(3)을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러한 연결부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전술한 압축가스로서 특히 산소 및 압축 공기가 적합하며, 압축 공기는 압축가스 탱크, 병원의 압축가스 공급 장치 또는 터빈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특히, 산소는 압축가스 탱크 또는 병원의 압축가스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호흡기(1)는 파이프 라인(4)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파이프 라인을 통해 환자에게 호흡 가스가 공급된다. 호흡가스는 상기 인공호흡기(1)의 하우징(2) 내부에서 상기 공급 라인(3)을 통해 공급된 가스로부터 혼합된다. 특히, 호흡 가스의 조성, 압력 및 온도는 정해진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에는 산소 센서를 위한 리셉터클(5)이 제공되어 있다. 센서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5)에 삽입된 센서는 상기 인공호흡기(1)의 제어 유닛(6)과 전기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Y-케이블(7)을 통해 실시되며, 이때 상기 Y-케이블의 단부는 인공호흡기(2) 또는 제어 유닛(6)에 부속된 제1 연결부(8)와 연결된다.
상기 리셉터클(5) 영역에는 두 개의 제2 연결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Y-케이블(7)의 두개의 분기 단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갈바닉 산소 센서가 상기 리셉터클(5)에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상자성 산소 센서가 상기 리셉터클(5)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갈바닉 산소 센서가 삽입될 경우, 이러한 갈바닉 산소 센서는 상기 제2 연결부 가운데 하나의 연결부와 연결된다. 상기 상자성 산소 센서가 삽입될 경우, 이러한 상자성 산소 센서는 상기 제2 연결부(9)의 또 다른 연결부와 연결된다.
도 2는 상기 인공호흡기(1)의 하우징(2)에 있는 리셉터클(5)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리셉터클(5)에는 산소 센서를 마운팅 하기 위한 공동(10)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공동은 밀봉 캡(11)에 의해 일 측이 폐쇄되어 있다. 상기 밀봉 캡(11)은 상기 공동(10) 내부에 제공된 고정 래치(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갈바닉 센서(12)가 삽입된 리셉터클(5)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갈바닉 센서(12)는 상기 공동(10) 내부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갈바닉 센서의 단부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나사 산을 통해 고정 부품(14)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 부품(14)은 상기 고정 래치(20)를 통해 밀봉 캡(11)과 연결된다.
상기 갈바닉 센서(12)의 또 다른 단부는 센서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연결부(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3)는 예를 들어 잭 플러그(jack plug)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제2 연결부(9)와 연결되며, 이러한 제2 연결부는 도 1에 따른 Y-케이블(7)의 분기 단부를 통해 제공된다.
상기 리셉터클(5)에 갈바닉 센서(12)를 삽입하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갈바닉 센서가 고정 부품에 나사 고정됨으로써 상기 갈바닉 센서(12)가 공동(10) 바깥에서 상기 고정 부품(14)과 연결된다. 이어서, 상기 고정 부품(14)이 상기 갈바닉 센서(12)와 함께 공동(10)으로 삽입되며, 이러한 갈바닉 센서(12)의 연결부(13)는 제2 연결부(9)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밀봉 캡(11)이 씌워지며, 고정 래치(20)는 상기 고정 부품(14)에 맞물려 고정된다. 상기 밀봉 캡(11)과 고정 부품(14)의 연결은 상기 공동(10)에 갈바닉 센서(12)를 삽입하기 전 또는 후에 실시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상자성 센서(15)가 삽입된 인공호흡기(1)의 리셉터클(5)을 도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자성 센서(15)의 일 단부는 상기 고정 부품(14) 및 상자성 센서(15)의 대응하는 보어에 삽입된 일정 수량의 나사를 통해 상기 고정 부품(14)과 연결된다. 상기 상자성 센서(15)의 또 다른 단부는 연결부(16)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또 다른 제2 연결부(9)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자성 센서(15)와 인공호흡기(1)의 제어 유닛(6) 사이를 전기 연결한다.
상기 공동(10)에 상자성 센서(15)를 삽입하는 것은 도 3에서 설명된 과정과 유사하게 실시된다: 우선, 상기 상자성 센서(15)는 공동(10) 바깥에서 상기 고정 부품(14)과 나사 연결된다. 이어서, 밀봉 캡(11)이 상기 고정 부품(14)에 맞물려 고정되고, 이러한 고정 부품이 상기 상자성 센서와 함께 상기 공동(10)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 부품(14)만 센서(15)와 함께 공동에 우선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16)와 또 다른 제2 연결부(9) 사이를 전기 연결하며, 이어서 상기 밀봉 캡(11)이 상기 고정 부품(14)에 맞물려 고정된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고정 부품(14)에 연결된 갈바닉 센서(12)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상기 갈바닉 센서(12)의 단부 영역에는 수나사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나사는 상기 고정 부품(14)의 암 나사(17)에 대응하는 나사에 해당한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고정 부품(14)과 연결된 상자성 센서(15)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고정 부품(14)뿐만 아니라, 상자성 센서(15) 또는 하우징은 각각 세 개의 보어(18)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고정 부품(14)을 상자성 센서(15)와 연결하기 위한 나사(19)가 상기 보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품(14)에 갈바닉 센서(15)뿐만 아니라, 상자성 센서(15)를 연결하는 것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상자성 센서를 나사 산을 통해 상기 고정 부품(14)과 나사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갈바닉 센서(12)를 상기 고정 부품(14)에 연결하기 위해 일정 수량의 나사를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래칭 연결(latching connection)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 상기 고정 부품(14)과 센서(12, 15)의 연결 유형이 상기 공동(10) 내의 전술한 센서(12, 15)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술한 것은 상기 제2 연결부(9)의 배치와 관련하여 고려해야할 사항이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상기 갈바닉 센서(12)의 연결부(13)는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회전 대칭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동 내에서 상기 갈바닉 센서(12)의 앵글 위치(angle position)는 임의적이다. 이로써, 상기 갈바닉 센서(12)를 나사 산을 통해 상기 고정 부품(14)에 문제없이 연결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상자성 센서(15)는 이러한 상자성 센서의 연결부(16)가 또 다른 제2 연결부(9)에 놓일 수 있도록 상기 공동(10) 내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상자성 센서는 회전 대칭 형태가 아니며, 이로써 상기 상자성 센서의 방향은 상기 공동(10) 내에서 임의적일 수 없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고정 부품(14)과 상자성 센서(15)의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일정 수량의 나사(19)를 통해 실시되며, 그 이유는 이러한 연결이 상기 상자성 센서(15)에 대한 고정 부품(14)의 방향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상기 고정 부품(14)과 연결된 상자성 센서(15)가 상기 리셉터클(5)에 삽입될 경우, 상기 연결부(16)는 자동으로 또 다른 제2 연결부(9)에 놓일 수 있다.
1 인공호흡기
2 하우징
3 공급 라인
4 파이프 라인
5 리셉터클
6 제어 유닛
7 Y-케이블
8 제1 연결부
9 제2 연결부
10 공동
11 밀봉 캡
12 갈바닉 센서
13 연결부
14 고정 부품
15 상자성 센서
16 연결부
17 암나사
18 보어
19 나사
20 고정 래치

Claims (11)

  1. 인공호흡기(1)로서,
    환자에게 호흡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가스 파이프 시스템을 구비하며, 호흡 가스의 산소 함량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산소 센서(12, 15)를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5)을 구비하고,
    선택적으로, 갈바닉 산소 센서(12) 또는 상자성 산소 센서(15)가 상기 리셉터클(5)에 삽입 가능한, 인공호흡기(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센서(12, 15)는 고정 부품(14)을 통해 상기 리셉터클(5)에 고정 가능한, 인공호흡기(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품(14)은 고정 부품을 상기 갈바닉 산소 센서(12)와 연결하기 위한 나사 산(17)을 구비하는, 인공호흡기(1).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품(14)은 소정 수량의 나사(19)를 통해 상기 고정 부품을 상기 상자성 산소 센서(15)와 연결하기 위해 소정 수량의 보어(18)를 구비하는, 인공호흡기(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센서(12, 15)를 인공호흡기(1)에 전기 연결하기 위해, 상기 인공호흡기(1)에 부속된 제1 연결부(8) 및 두 개의 제2 연결부(9)가 상기 리셉터클(5) 영역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부(9) 가운데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갈바닉 산소 센서(12)와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부(9)는 상기 상자성 산소 센서(15)와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는, 인공호흡기(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5)에 삽입된 갈바닉 센서(12)는 갈바닉 센서가 제2 연결부(9) 가운데 단지 하나의 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는 반면, 상기 리셉터클(5)에 삽입된 상자성 산소 센서(15)는 상자성 산소 센서가 단지 또 다른 제2 연결부(9)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연결부(9)가 리셉터클(5) 영역에 배열되어 있는, 인공호흡기(1).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센서(12, 15)는 Y-케이블(7)을 통해 상기 인공호흡기(1)와 연결될 수 있는, 인공호흡기(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호흡기(1)의 제어 유닛(6)은 산소 센서(12, 15) 가운데 어떤 산소 센서가 상기 리셉터클(5)에 삽입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는, 인공호흡기(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센서(12, 15)는 전자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해 상기 산소 센서가 인공호흡기(1)의 제어 유닛(6)과 연결될 수 있는, 인공호흡기(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센서(12, 15)가 삽입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리셉터클(5)은 밀봉 캡(11)을 통해 폐쇄 가능한, 인공호흡기(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호흡기(1)는 이동식 및 고정식으로 작동하도록 제공되는, 인공호흡기(1).
KR1020187011082A 2015-11-13 2016-11-02 인공호흡기 KR102661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9636.0 2015-11-13
DE102015119636 2015-11-13
PCT/EP2016/076413 WO2017080884A1 (de) 2015-11-13 2016-11-02 Beatmungs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429A true KR20180082429A (ko) 2018-07-18
KR102661720B1 KR102661720B1 (ko) 2024-04-26

Family

ID=5721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082A KR102661720B1 (ko) 2015-11-13 2016-11-02 인공호흡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374012B1 (ko)
KR (1) KR102661720B1 (ko)
CN (1) CN108348715B (ko)
ES (1) ES2966697T3 (ko)
PL (1) PL3374012T3 (ko)
WO (1) WO20170808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3707B (zh) * 2018-08-17 2023-12-12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通气设备
CN112135654B (zh) * 2018-08-17 2023-01-06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氧传感器连接结构、通气设备以及通气系统
CN113577472B (zh) * 2020-04-30 2023-07-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监测装置、监测系统及状态参量获取方法
CN116710165A (zh) * 2020-12-30 2023-09-05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顺磁气体的测量装置和医疗通气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615A (ja) * 1997-11-25 1999-09-07 Siemens Elema Ab ガス分析器
US20020098120A1 (en) * 2001-01-24 2002-07-25 Blazewicz Perry R. Oxygen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the apparatus
JP2003530937A (ja) * 2000-04-25 2003-10-21 インビテック−ウィズマール ゲーエムベーハー 一呼吸あたりの患者呼気中気体成分の分圧を判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00139659A1 (en) * 2008-12-01 2010-06-10 Dräger Medical AG & Co. KG Spo2 control with adaptive linear compensation
CN104215677A (zh) * 2013-06-05 2014-12-17 北京谊安医疗系统股份有限公司 麻醉机及其氧气浓度监测方法和氧气浓度监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5612A1 (en) * 1996-07-15 2007-09-27 Mace Leslie E Metabolic measurements system including a multiple function airway adapter
US6076392A (en) * 1997-08-18 2000-06-20 Metasenso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 time gas analysis
DE10259988B3 (de) * 2002-12-20 2004-07-01 Bernhard Engl Gassensorvorrichtung für Atemgeräte
US7497216B2 (en) * 2004-08-30 2009-03-03 Forsyth David E 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modular control system
DE102006055779B3 (de) 2006-11-25 2008-03-13 Dräger Medical AG & Co. KG Gasmischvorrichtung für Beatmungsgeräte
CN101411613A (zh) * 2007-10-18 2009-04-22 周常安 具有延伸装置的可携式居家生理检测系统
EP2306180A4 (en) * 2008-06-23 2016-03-09 Atonarp Inc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ING TO CHEMICALS
GB2465565B (en) * 2008-11-19 2013-08-07 Servomex Group Ltd Compact paramagnetic oxygen sensor
CN102107037A (zh) * 2009-12-28 2011-06-29 周常安 气体递送系统
US20110209707A1 (en) * 2010-02-26 2011-09-01 Nellcor Puritan Bennett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Oxygen Reprocessing Of Expiratory Gases In Mechanical Ventilation
US8673219B2 (en) * 2010-11-10 2014-03-18 Invention Science Fund I Nasal passage insertion device for treatment of ruminant exhalations
CN202153236U (zh) * 2011-07-15 2012-02-29 深圳市亿维自动化技术有限公司 传感器的测量转换电路
AU2012294959B2 (en) * 2011-08-10 2017-05-11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Conduit connector for a patient breathing device
CN203324223U (zh) * 2013-06-05 2013-12-04 北京谊安医疗系统股份有限公司 麻醉机及其氧气浓度监测装置
CN203955013U (zh) * 2014-05-28 2014-11-26 朱海燕 一种室内甲醛净化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615A (ja) * 1997-11-25 1999-09-07 Siemens Elema Ab ガス分析器
JP2003530937A (ja) * 2000-04-25 2003-10-21 インビテック−ウィズマール ゲーエムベーハー 一呼吸あたりの患者呼気中気体成分の分圧を判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20098120A1 (en) * 2001-01-24 2002-07-25 Blazewicz Perry R. Oxygen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the apparatus
US20100139659A1 (en) * 2008-12-01 2010-06-10 Dräger Medical AG & Co. KG Spo2 control with adaptive linear compensation
CN104215677A (zh) * 2013-06-05 2014-12-17 北京谊安医疗系统股份有限公司 麻醉机及其氧气浓度监测方法和氧气浓度监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0884A1 (de) 2017-05-18
EP3374012C0 (de) 2023-10-04
KR102661720B1 (ko) 2024-04-26
EP3374012A1 (de) 2018-09-19
PL3374012T3 (pl) 2024-05-06
CN108348715A (zh) 2018-07-31
CN108348715B (zh) 2021-03-19
EP3374012B1 (de) 2023-10-04
ES2966697T3 (es) 202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2429A (ko) 인공호흡기
US20130305808A1 (en) Breath analyzer and detachable alcohol sensor module
KR101324538B1 (ko) 휴대용 음주측정기
KR102210573B1 (ko) 용존산소 계측 시스템 및 용존산소계의 교정 방법
US2939827A (en) Electrochemical determination of components in gas mixtures
CN110109044A (zh) 一种电能表校验装置的在线检定系统及方法
CN110307936A (zh) Sf6气体泄漏在线监测系统校验装置及校验方法
CN207816936U (zh) 一种多功能气体检测气路切换装置
JP6875645B2 (ja) 計測装置
US20120133522A1 (en) Gap analyzer device and method
KR101381461B1 (ko) 압축기용 전자제어밸브 기동압력 측정장치
US201401322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an electrolyte measurment system
CN217938800U (zh) 一种洗胃机自动检测设备
CN205909895U (zh) 自动定容装置
FI106435B (fi) Menetelmä ja sovitelma anestesialaitteen yhteydessä
JP6663756B2 (ja) ガス検査機の点検処理システム
CN205067408U (zh) 一种恒温可替换电极及敏感元件的传感检测装置
CN108151916A (zh) 一种温度传感器检测辅助装置及其检测系统
JP6668118B2 (ja) ガス検査機の点検処理システム
CN208239424U (zh) 一种畜牧业专用的水质检测装置
CN107328442A (zh) 检定装置及使用方法
JP6739952B2 (ja) ガス検査機の点検処理方法及び点検処理システム
CN207557041U (zh) 自动化压差检测机
CN203365404U (zh) 六氟化硫气体实时监测仪
CN211528532U (zh) 一种用于电力安防用品的泄漏电流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