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243A -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 Google Patents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243A
KR20180082243A KR1020170003705A KR20170003705A KR20180082243A KR 20180082243 A KR20180082243 A KR 20180082243A KR 1020170003705 A KR1020170003705 A KR 1020170003705A KR 20170003705 A KR20170003705 A KR 20170003705A KR 20180082243 A KR20180082243 A KR 20180082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data
packet
upd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3223B1 (ko
Inventor
지백근
신효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2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2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updates or upgrades of network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구동부와, 제1 제어부와, 제2 제어부와, 외부에서 데이터를 받아, 제1 데이터 패킷을, 제1 제어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제1 제어부는, 제1 데이터 패킷을 기초로, 제1 제어부용 패킷만 선택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나머지 패킷을 제2 제어부에 전송하며, 제2 제어부는, 제1 제어부에서 받은 패킷을 기초로,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효율적을 수행하고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firmware update f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펌웨어 업데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펌웨어(Firmware)는 일반적으로 롬(ROM)에 저장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프로그램이라는 관점에서 소프트웨어와 동일하지만, 하드웨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 응용 소프트웨어와 구분되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어떤 기능을 발휘하는 기계장치를 만든다고 할 때, 그것을 제어하는 모든 회로를 하드웨어로만 만든다면, 그 구조도 매우 복잡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당 부분을 소프트웨어로 대체하되, 그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기억 장치를 하드웨어의 중심부분으로 구성하면, 매우 간단하면서도 적은 비용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가 이용 될 수 있다.
한편, 펌웨어는 운영 체제와 같은 대규모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기보다는 소규모의 단일 프로그램을 탑재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펌웨어는, 소규모의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펌웨어 자체의 오류 개선이나 시스템의 성능 향상, 기능 추가 등의 목적으로 수시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는, 세탁기, 냉장고, 공기조화기 등을 예시하는 기기로서, 가정 내에서 사용자를 위해, 모터 회전에 의한, 세탁물 처리, 음식물 냉장, 냉동, 실내 온도를 조정 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홈 어플라이언스의 기능이 복잡해짐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의 소프트웨어 또한 많은 오류를 가질 수 있고,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성능 향상, 기능 추가 등을 위해, 제어부의 내장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는 이와 같은 오류 개선, 성능 향상, 기능 추가 등을 위해,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펌웨어 업데이트를 할 수 있으며, 무선상에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하는 것이 FOTA(Firmware Over Ther Air)이다.
한편, 이러한 펌웨어 업데이트의 경우 복수의 제어부를 업데이트하여야 할 경우가 존재하며, 이 경우, 복수의 제어부에 대해 각각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시간과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펌웨어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구동부와, 제1 제어부와, 제2 제어부와, 외부에서 데이터를 받아, 제1 데이터 패킷을 제1 제어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제1 제어부는, 제1 데이터 패킷을 기초로, 제1 제어부용 패킷만 선택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나머지 패킷을 제2 제어부에 전송하며, 제2 제어부는 제1 제어부에서 받은 제2 데이터 패킷을 기초로,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방법은,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통신부가 외부 데이터를 제1 데이터 패킷으로, 제1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제1 데이터 패킷 중 제어부를 구분하는 인자에 기초하여, 제1 제어부가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나머지 패킷을 제2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홈 어플라이언스는, 구동부와, 제1 제어부와, 제2 제어부와 외부에서 데이터를 받아, 제1 데이터 패킷을, 제1 제어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제1 제어부는, 제1 데이터 패킷을 기초로, 제1 제어부용 패킷만 선택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나머지 패킷을 제2 제어부에 전송하여, 필요가 없는 데이터를 받아 우회시키는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한편, 제1 제어부는 필요한 데이터만을 선택하고 나머지 데이터는 통과 시키므로 복수의 제어부를 효율적으로 펌웨어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통신부가 외부 데이터를 제1 데이터 패킷으로, 제1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제1 데이터 패킷 중 제어부를 구분하는 인자에 기초하여, 제1 제어부가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나머지 패킷을 제2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불필요한 과정을 줄여, 펌웨어 업데이트 진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펌웨어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참조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7 내지 8과 비교되는, 본 원 발명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일 예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세탁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다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50)은, 홈 어플라이언스(200), 이동 단말기(600a, 600b), AP 장치(400), 및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50)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200), AP 장치(400), 이동 단말기(600b)는 내부 네트워크(10)를 구성할 수 있으며,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600a)와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사용자를 위한 전자 기기(electric device)로서, 예를 들어, 냉장고(200a), 세탁기(200b), 에어컨(200c), 조리기기(200d), 청소기(200e), TV(미도시)등이 예시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내부에 통신부(도 3의 301)를 구비하고, 내부 네트워크(10) 내의 전자기기들 또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접속 가능한 전자기기들과 데이터를 교환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홈 어플라이언스의 통신부(도 3의 301)는 AP 장치(400)와 유,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장치(400)는, 인접 전자 기기(electric device)에 내부 네트워크(10)를 제공 할 수 있다. 특히,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AP 장치(400)는, 내부 네트워크(10) 내의 전자 기기들에, 소정 통신 방식에 의한 무선 채널을 할당하고, 해당 채널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 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이때, 내부 네트워크(10) 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600a)는, AP 장치(400)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접속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모니터링, 원격제어, 홈 어플라이언스의 펌웨어 업데이트 실행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600a)가 내부 네트워크 내에 위치하는 경우, AP 장치(400) 없이, 이동 단말기(600a)와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직접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AP 장치(400)는, 내부 네트워크(10) 외에,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 장치(400)는, 외부 네트워크(55)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600a)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네트워크(550)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는(600a)는, 외부 네트워크(550), 및 AP 장치(400)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접속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모니터링, 원격제어, 스마트 진단, 홈 어플라이언스의 펌웨어 업데이트 실행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a, 600b)는, 핸드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등이 가능하며, 이동 단말기(600a, 600b)는 무선 통신을 위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지그비(zigbee)등의 통신 모듈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AP 장치(400)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서버(500)에 접속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서버(500)에 접속하여, 제품 등록을 수행 할 수 있으며, 최신 펌 웨어 다운로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최신 운전 코스 다운로드, 기타 프로그램 다운로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품 등록도 가능하다.
도 2a 내지 도 2e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냉장고(200a)를 예시하며, 도 2b는, 세탁기(200b)를 예시하며, 도 2c는, 에어컨(200c)를 예시하며, 도 2d는, 조리기기(200d)를 예시하며, 도 2e는 로봇 청소기(200e)를 예시한다.
도 3은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다른 외부 장치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301), 내부를 제어 하는, 제1 제어부(302), 제2 제어부(303), 제3 제어부(304),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305),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306), 홈 어플라이언스를 구동하는 구동부(30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01)는, 무선 데이터 교환을 위해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모듈, 비콘(Beacon)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01)는, AP 장치(4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1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모듈은, WiF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01)는, AP 장치(40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a, 600b)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a, 600b)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1 제어부(302)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301)는, 전력 정보 전송 장치(미도시)로부터의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301)는, 제1 통신 모듈 외에, 별도로, 제2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301)는, 홈 어플라이언스 내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나, 별도로,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케이스에 부착되고, 홈 어플라이언스의 내부 회로와 유선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통신부(301)는, 펌웨어 업데이트 대상 제어부의 제어부용 패킷(도 4의 401)만,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01)는, 제1 데이터 패킷(도 4의 404)을 서버에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제어부를 펌웨어 업데이트 하는 경우, 서버(500)에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요청하는 순서는 상관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제어부(303), 제3 제어부(304)를 펌웨어 업데이트 하는 경우, 순서에 상관없이, 제2 제어부(303), 제3 제어부(304)의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서버에(500)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302) 내지 제3 제어부(304)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서버(500)에 요청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301)는, 외부에서 데이터를 받아, 제1 데이터 패킷(도 4의 404)을, 제1 제어부(302)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301)는, 제1 제어부(302), 제2 제어부(303), 제3 제어부(304)등에서 확인응답(ack) 패킷을 받지 못하면, 해당 제어부의 제어부용 패킷(도 4의 401)을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01)는, 제1 제어부(302), 제2 제어부(303), 제3 제어부(304)등의 확인 응답(ack) 패킷을 받지 못하는 경우, 업데이트를 종료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부는, 제1 제어부(302), 제2 제어부(303), 제3 제어부(304) 등의 확인응답(ack) 패킷을 받고, 에러 정정을 위한 에러 정정 코드(CRC)(도 4c의 408)가 일치하면, 펌웨어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301)는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한 뒤, 오류가 있는지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펌웨어 업데이트가 오류일 때, 다시 서버(500)에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 중 생긴 오류인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어부로 재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반적인 동작 수행을 위해, 마이콤(Microprocessor computer)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콤은 중앙처리장치(CPU)를 기초로 RAM, ROM, 입출력 장치 등의 도움을 받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CPU, RAM, ROM, 입출력 장치 등이 집약된 MPU(Microprocessor unit)나 MCU(Microcont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302)는, 통신부(301)에서 전송된 제1 데이터 패킷(도 4의 404)을 기초로, 제1 제어부용 패킷을 선택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나머지 패킷을 제2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303), 제3 제어부(304) 등의 제어부용 패킷(도 4의 401)이 없다면,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제어부(302)는, 통신부(301)에서 전송된 제1 데이터 패킷(도 4의 404) 중, 제어부를 구분하는 인자(도 4의 402)에 기초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선택적으로 진행하고, 나머지 패킷을 제2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302)에서, 제2 제어부(303)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2 데이터 패킷 일 수 있다.
제2 제어부(303)는, 제1 제어부에서 전송 받은 제2 데이터 패킷을 기초로, 펌웨어 업데이트 여부를 선택적으로 진행하고, 나머지 패킷을 제3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제어부등의 제어부용 패킷이 없다면,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제어부, 제2 제어부, 제3 제어부등은 업데이트 쓰기 과정 후 확인응답(ack) 패킷을, 통신부(301)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제어부(302)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제2 제어부(303)는 메인 제어부, 상기 제3 제어부(304)는 인버터 제어부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홈 어플라이언스의 종류에 따라 제어부 개수가 신축 가능하며, 각 제어부에 대응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제어부인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제어 화면, 작동 상태, 운전 코스, 최종 소비 전력 정보, 또는 최종 소비 전력에 기초한 누적 소비 전력 정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부가, 메인 제어부인 경우, 메인 제어부는, 구동부를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는, 입력부 동작 신호 받아,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코스, 동작 시간,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3 제어부가, 인버터 제어부인 경우, 인버터 제어부(211)는, 교류전원을 출력하는 인버터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305)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입력부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식 혹은 정전식)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미도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한편, 입력부(305)는 다수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306)는, 입력부의 기능도 수행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부(306)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다이오드(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307)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가 냉장고(200a)인 경우, 구동부(307)는, 냉장실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실 팬을 동작시키는 냉장실 구동부, 냉동실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동실 팬을 동작시키는 냉동실 구동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를 동작시키는 압축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세탁기(200b)인 경우, 구동부(307)는, 드럼 또는 터브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에어컨(200c)인 경우, 구동부(307)는, 실외기 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압축기 구동부, 열교환을 위한 실외기 팬을 동작시키는 실외기 팬 구동부, 열교환을 위한 실내기팬을 동작시키는 실내기 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조리기기(200d)인 경우, 구동부(307)는, 캐비티 내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청소기(200e)인 경우, 구동부(307)는, 공기 흡입을 위한 팬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통신부(301)는 외부데이터를 받아, 제1 데이터 패킷(404)을 제1 제어부(302)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패킷(404)은, 제1 제어부(302), 제2 제어부(303), 제3 제어부(304) 등의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 전체 패킷일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 패킷(404)은, 펌웨어 업데이트 대상 제어부의 제어부용 패킷이거나, 복수 제어부의 제어부용 패킷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제어부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를 하는 경우, 제1 데이터 패킷(404)은, 제3 제어부용 패킷이거나, 제1 제어부 내지 제3 제어부용 패킷일 수 있다.
제1 데이터 패킷(404)은, 제어부용 패킷(401)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용 패킷(40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데이터 패킷(404)은, 제1 제어부(302), 제2 제어부302), 제3 제어부(303)등을 구분하는 인자(402)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분 인자(402) 는, 데이터 사이의 경계를 지정하는 데 사용하는 코드 일수 있다.
제1 데이터 패킷(404)은, 제어부 아이디(ID)(405)와, 업데이트 데이터(40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 패킷(404)은, 제어부 아이디(ID)(405)와, 업데이트 데이터(403)를 여러 쌍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용 패킷(401)은, 헤더(header), 업데이트 데이터(update data)(403), 테일(tail)을 구비할 수 있다.
헤더(header)는, 제어부를 구분하는 제어부 구분 인자(402)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 구분 인자(402)는 제어부 아이디(ID)(405)일 수 있다.
업데이트 데이터(update data)(403)는, 쓰기 주소(write address)(406), 쓰기 패킷(write packet)(407)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302)가, 디스플레이 제어부인 경우, 업데이트 데이터(403)는, 홈 어플라이언스 상태 정보와 관련한, 인디케이터의 모양, 색상, 크기 등의,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 일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부(303)가, 메인 제어부인 경우, 업데이트 데이터(403)는, 구동부의 출력, 최신 운전 코스, 고장 진단 주기 변환, 각 제어부와의 통신 주기 가변 등의,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 일 수 있다.
한편, 제3 제어부(304)가, 인버터 제어부(211)인 경우, 업데이트 데이터(403)는, 인버터 제어를 위한 파라미터 가변 값 등의,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 일 수 있다.
쓰기 주소(write address)(406)는, 기억 장치에 명령,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기억장치의 주소 일 수 있다.
쓰기 패킷(write packet)(407)은,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수록될 수 있다. 쓰기 패킷(write packet)(407)은 쓰기 주소(write address)를 인식하여,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쓰기 패킷(write packet)(407)은 펌웨어 업데이트의 버전 정보를 수록할 수도 있다.
테일(tail)은, 에러 정정을 위한 에러 정정 코드(CRC)(408)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는, 데이터 전송 전, 후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CRC)값을 비교하여,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홈 어플라이언스는, 외부에서 데이터를 받아, 제1 데이터 패킷(404)을 제1 제어부(302)에 전송(S501)할 수 있다. 제1 제어부(302)는, 제1 데이터 패킷(404)을 기초로, 제1 제어부용 패킷을 선택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선택적으로 진행하고, 나머지 패킷을 제2 제어부(302)에 전송하여(S502), 필요가 없는 데이터를 받아 우회 시키는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제2 제어부(302)는 선택적으로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며(S503). 이에 의해, 복수의 제어부를 펌웨어 업데이트 하는 경우, 불필요한 과정을 줄여, 펌웨어 업데이트 진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펌웨어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참조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원 발명과 비교하기 위해, 기존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제1 제어부 내지 제3 제어부 모두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6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제1 제어부(302) 내지 제3 제어부(304)를 펌웨어 업데이트 하기 위하여, 서버(500)에 제 3제어부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요청한다(Req(1))(601).
서버(50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요청에 의해, 제3 제어부(304)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한다(D(1))(604). 이러한 과정 동안 각각 TR1a, TD1a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도 7a에서, 제1 제어부(302)는, 펌웨어 업데이트에 필요 없는, 제3 제어부용 패킷(701)을, 제2 제어부(303)로 우회시키고(bypass), 제2 제어부(303) 역시, 필요 없는 제3 제어부용 패킷(701)을 제3 제어부(304)로 우회시킨다. 이러한 과정 동안 각각 Tby1a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제3 제어부(304)는, 제3 제어부용 패킷(701)을 쓴다(write). 이 때, Tw1a의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도6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제2 제어부(303)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해, 서버(500)에, 제2 제어부(303)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요청한다(Req(2))(602). 서버(50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요청에 의해, 제2 제어부(303)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한다(D(2))(605). 이 경우, TR2a, TD2a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도 7b에서, 제1 제어부(302)는, 필요 없는 제2 제어부용 패킷(702)을, 제2 제어부(302)로 우회시키고(bypass), 제2 제어부(302)는, 제2 제어부용 패킷(702)을 쓴다(write). 이때, 각각, Tby2a, Tw2a의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도6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서버(500)에 제1 제어부(302)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요청한다(Req(3))(603). 서버(50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요청에 의해 제1 제어부(302)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한다(D(3))(606). 이 경우, TR3a, TDd3a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도 7c에서, 제1 제어부(302)는, 제1 제어부용 패킷(703)을 쓴다(write). 이 경우, Tw3a의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도 9e에서, 기존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으로, 펌웨어 업데이트 할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 요청시간은 TR1a 내지 TR3a 의 합인, TRa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 수신 시간은, TD1a 내지 TD3a 의 합인, TDa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 요청 및 수신 시간은, TRa 및 TDa 의 합인, Ta1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펌웨어 업데이트시에, 필요한 총 시간은, 우회하는 데 소요되는, Tby1a, Tby2a 시간과, 펌웨어 업데이트 하는데 소요되는, Tw1a, Tw2a, Tw3a, 시간을 더한, Ta2 로 나타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7 내지 8과 비교되는, 본 원 발명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제1 제어부(302) 내지 제3 제어부(304)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해, 서버(500)에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요청 하고(Req(1,2,3)(801), 서버(500)는, 제1 제어부(302) 내지 제3 제어부(304)의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D(1,2,3))(802). 이 경우, TRb, TDb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한편, 도 9a에서, 통신부(301)는, 서버(500)에서 받은 외부데이터를, 제1 제어부(302), 제2 제어부(303), 제3 제어부(304)등을, 구분하는 인자(도 4의 402)와, 업데이트 데이터(도 4의 403)로 변환하여, 제1 제어부(302)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 구분 인자(도 4의 402)와, 업데이트 데이터(도 4의 403)는 여러 쌍을 가질 수도 있다.
도 9b에서, 제1 제어부(302)는 제어부를 구분하는 인자인, 제1 제어부 아이디(ID)(1st ID)(901)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데이터(1st data)(902)를, 제1 제어부(302)에 쓰고(write), 나머지 데이터만 제2 제어부(303)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Tw1b 가 소요될 수 있다.
도 9c에서, 제2 제어부(303)는, 제2 제어부 아이디(ID)(2nd ID)(903)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데이터(2nd data)(904)를, 제2 제어부(303)에 쓰고(write), 나머지 데이터를 제3 제어부(304)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Tw2b 가 소요될 수 있다.
도 9d에서, 제3 제어부(304)는, 제3 제어부 아이디(ID)(3rd ID)(905)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데이터(3rd data)(906)를 제3 제어부(304)에 쓰고(write), 나머지 데이터를 다음 제어부에 전송하거나 업데이트를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Tw3b 가 소요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쓰기(write)와 우회(bypass)는 동시에 일어 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어부(302) 내지 제3 제어부(304)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시, 제1 제어부용 패킷을, 제1 제어부(302)에 쓰면서(write), 제2 제어부용 패킷 내지 제3 제어부용 패킷을 제2 제어부(303)에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f에서, 본원 발명으로 펌웨어 업데이트를 한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 요청 시간은, TRb 로 나타낼 수 있으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 전송 시간은, TDb 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펌웨어 업데이트시 필요한 시간은, Tw1b 내지 Tw3b 의 합인, Tb2 로 나타낼 수 있다.
도 9g에서, 기존 방법 보다, 본원 발명으로 펌웨어 업데이트를 한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 전송 요청 및 수신 시간이 더 적다. 또한, 불필요한 우회(bypass)과정을 거치지 않아 펌웨어 업데이트 시간이 단축된다.
한편, 제1 제어부(302), 제2 제어부(303)만 펌웨어 업데이트 할 경우(미도시), 통신부(301)는, 제1 제어부용 패킷 및 제2 제어부용 패킷을 수신하여, 제1 데이터 패킷(404)을, 제1 제어부(302)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301)는 제1 제어부용 패킷, 제2 제어부용 패킷을 따로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제어부(302)는, 제1 제어부 아이디(ID)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1 제어부(302)에 쓰고(write), 나머지 데이터(제2 데이터 패킷)를, 제2 제어부(303)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303)는, 제2 제어부 아이디(ID)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2 제어부(303)에 쓰고(write), 업데이트를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제어부(303) 및 제3 제어부(304)만 펌웨어 업데이트 할 경우(미도시), 통신부(301)는, 제2 제어부용 패킷, 제3 제어부용 패킷을 수신하여, 제1 데이터 패킷(404)을, 제1 제어부(302)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302)는, 제어부 아이디(ID)를 기초로, 제2 데이터 패킷을 제2 제어부(303)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303)는, 제2 제어부 아이디(ID)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2 제어부(303)에 쓰고(write), 나머지 데이터를 제3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제어부(304)는, 제3 제어부 아이디(ID)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3 제어부(304)에 쓰고(write), 업데이트를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제어부(302), 제3 제어부(304)만 펌웨어 업데이트 할 경우(미도시), 통신부(301)는, 제1 제어부용 패킷 및 제2 제어부용 패킷을 수신하여, 제어부 아이디(ID) 및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1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302)는, 제1 제어부 아이디(ID)를 기초하여,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1 제어부(302)에 쓰고(write), 나머지 데이터(제2 데이터 패킷)를 제2 제어부(303)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303)는, 제어부 아이디(ID)에 기초로, 제3 제어부용 패킷을 제3 제어부(304)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제어부(304)는, 제3 제어부 아이디(ID)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3 제어부(304)에 쓰고(write), 업데이트를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제어부(302)만 펌웨어 업데이트 할 경우(미도시), 통신부(301)는, 제1 제어부용 패킷을 수신하여, 제1 데이터 패킷(404)을, 제1 제어부(302)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302)는, 제1 제어부 아이디(ID)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1 제어부(302)에 쓰고(write), 업데이트를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제어부(303)만 펌웨어 업데이트 할 경우(미도시), 통신부(301)는, 제2 제어부용 패킷을 수신하여, 제1 데이터 패킷(404)을, 제1 제어부(302)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302)는, 제어부 아이디(ID)를 기초로, 제2 테이터 패킷을 제2 제어부(303)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03)는, 제2 제어부 아이디(ID)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2 제어부(303)에 쓰고(write), 업데이트를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3 제어부(304)만 펌웨어 업데이트 할 경우(미도시), 통신부(301)는, 제3 제어부용 패킷을 수신하여, 제1 데이터 패킷(404)을, 제1 제어부(302)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302)는 제어부 아이디(ID)에 기초하여, 제2 데이터 패킷을 제2 제어부(303)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03)는 제어부 아이디(ID)에 기초로, 제3 제어부용 패킷을 제3 제어부(304)에 전송할 수 있다. 제3 제어부(304)는 제3 제어부 아이디(ID)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3 제어부에 쓰고(write), 업데이트를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일 예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중 세탁기(100a)는, 포가 상부 방향으로 세탁조 내로 삽입되는 탑 로드(top load) 방식의 세탁기이다. 이러한 탑로드 방식의 세탁기는, 포가 삽입되어 세탁, 헹굼, 탈수 등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습포가 삽입되어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하에서는 세탁기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세탁기(100a)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0)과,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와, 세탁기(100a)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115)과, 케이싱(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출입하는 출입홀을 여닫는 도어(113)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내부에 세탁기(100a)의 각종 구성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11)와, 본체(111)의 상측에 구비되고 내조(122) 내로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포 출입홀을 형성하는 탑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10)은 본체(111)와 탑커버(11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케이싱(110)은 세탁기(100a)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면 충분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지지봉(135)은, 케이싱(110)을 이루는 구성 중 하나인 탑커버(112)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싱(110)의 고정된 부분 어느 곳 과도 결합되는 것이 가능함을 명시한다.
컨트롤 패널(115)은, 세탁기(100a)의 운전상태를 조작하는 입력부(117)와, 입력부(117)의 일 측에 배치되며 세탁기(100a)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3)는, 탑커버(112)에 형성된 포출입홀(미표기)을 여닫는 것으로, 본체(111) 내부가 들여다보일 수 있도록 강화유리 등의 투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컨트롤 패널(115)은, 도어(113)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컨트롤 패널(115)의 일부만이 도어(113)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어(113)에, 디스플레이(118), 및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회로부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개폐되는 도어(113)에, 입력부(117)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어(113)에, 디스플레이(118), 및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회로부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개폐되는 도어(113)에, 입력부(117)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세탁기(100a)는, 세탁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조(120)는,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124)와, 외조(124)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122)를 구비할 수 있다. 세탁조(120)의 상부에는 세탁조(120)의 회전시 발생하는 편심을 보상하기 위한 밸런서(13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세탁기(100a)는, 세탁조(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138)는, 내조(122) 및/또는 펄세이터(133)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동장치(138)의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내조(122)만이 회전되거나, 펄세이터(133)만이 회전되거나, 내조(122)와 펄세이터(133)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클러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구동장치(138)는, 도11의 구동부(220), 즉 구동 회로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한편, 탑커버(112)에는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및/또는 표백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14)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급수유로(123)를 통해 급수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14)를 경유한 후 내조(122) 내로 공급된다.
내조(122)에는 복수의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내조(122)로 공급된 세탁수가 복수의 홀을 통해 외조(124)로 유동한다. 급수유로(123)를 단속하는 급수밸브(125)가 구비될 수 있다.
배수유로(143)를 통해 외조(124)내의 세탁수가 배수되고, 배수유로(143)를 단속하는 배수밸브(145) 및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141)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봉(135)은, 외조(124)를 케이싱(110) 내에 매달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케이싱(110)에 연결되고, 지지봉(135)의 타단은 서스펜션(150)에 의해 외조(124)와 연결된다.
서스펜션(150)은, 세탁기(100a) 작동 중에 외조(124)가 진동하는 것을 완충시킨다. 예를 들어, 내조(122)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외조(124)가 진동할 수 있으며, 내조(122)가 회전하는 중에는 내조(122)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편심, 내조(122)의 회전 속도 또는 공진 특성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진동하는 것을 완충시킬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세탁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탁기(100a)는, 통신부(301), 디스플레이 제어부(625), 디스플레이(118), 입력부(117), 메인 제어부(210), 구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01)는 내부 네트워크(10) 내의 전자기기들 또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접속 가능한 전자기기들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301)는 AP 장치(400)와 유,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01)는, 무선 데이터 교환을 위해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모듈, 비콘(Beacon)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01)는 AP 장치(40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제어부(625)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301)는, 세탁기(100a) 내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나, 별도로, 세탁기(100a)의 케이스에 부착되고, 세탁기(100a) 내부 회로와 유선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통신부(301)는, 펌웨어 업데이트 대상 제어부의 제어부용 패킷(도 4의 401)만,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01)는, 제1 데이터 패킷(도 4의 404)을 서버에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제어부를 펌웨어 업데이트 하는 경우, 서버(500)에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요청하는 순서는 상관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제어부(210), 인버터 제어부(211)를, 펌웨어 업데이트하는 경우, 순서에 상관없이, 메인 제어부(210), 인버터 제어부(211)의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서버에(500)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부(625) 내지 인버터 제어부(211)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서버(500)에 요청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301)는 외부에서 데이터를 받아, 제1 데이터 패킷(404)을 디스플레이 제어부(625)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301)는 디스플레이 제어부(625), 메인 제어부(210), 인버터 제어부(211) 등에서 확인응답(ack) 패킷을 받지 못하면, 해당 제어부의 제어부용 패킷을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01)는 디스플레이 제어부(625), 메인 제어부(210), 인버터 제어부(211) 등의 확인응답(ack) 패킷을 받지 못하면, 업데이트를 종료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301)는 디스플레이 제어부(625), 메인 제어부(210), 인버터 제어부(211) 등의 확인응답(ack) 패킷을 받고, 에러 정정을 위한 에러 정정 코드(CRC)가 일치하면, 펌웨어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301)는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한 뒤 오류가 있는지 판별할 수 있고 펌웨어 업데이트가 오류일 때, 다시 서버(500)에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 중 생긴 오류인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어부로 재전송하거나, 오류를 수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625)는, 세탁기(100a)의 운전상태를 조작하는 입력부(117)와, 세탁기(100a)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8)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부(625)는, 통신부에서 전송된 제1 데이터 패킷(404)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제어부용 패킷을 선택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나머지 패킷을 메인 제어부(2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10), 인버터 제어부(211) 등의 제어부용 패킷이 없다면,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부(625)는, 통신부(301)에서 전송된 제1 데이터 패킷(404) 중, 제어부를 구분하는 인자(402)에 기초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선택적으로 진행하고, 나머지 패킷을, 메인 제어부(21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부(625)에서, 메인 제어부(21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2 데이터 패킷 일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의 제어 동작에 의해, 구동부(220)가 제어되며, 구동부(220)는 모터(230)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조(120)는 모터(23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메인 제어부(210)는, 입력부(117)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을 한다. 이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118)를 제어하여, 세탁 코스, 세탁 시간, 탈수 시간, 헹굼 시간 등, 또는 현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구동부(220)를 제어하여, 구동부(220)는, 모터(230)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 제어부(625)에서 전송 받은 패킷을 기초로 펌웨어 업데이트 여부를 선택적으로 진행하고, 나머지 패킷을 인버터 제어부(211)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 제어부(211) 등의 제어부용 패킷이 없다면,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부, 메인 제어부, 인버터 제어부(211) 등은 업데이트 쓰기 과정 후 확인 응답(ack) 패킷을 통신부(301)로 전송할 수 있다.
구동부(220)는, 모터(2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버터 및 인버터 제어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211)는, 메인 제어부에서 전송받은 패킷을 기초로, 펌웨어 업데이트 여부를 선택적으로 진행하고,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부, 메인 제어부, 인버터 제어부(211) 등은 업데이트 쓰기 과정 후 확인응답(ack) 패킷을, 통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탁기의 통신부(301)는, 서버(500)에서 외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201). 또한, 통신부(301)는 외부데이터를 제1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S1202),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S1203).
디스플레이 제어부(625)는, 제1 데이터 패킷을 기초로, 쓰기(write) 내용이 있는지 판단하고(S1204), 쓰기 내용이 있다면, 디스플레이 제어부(625)에 디스플레이 제어부용 데이터를 쓴다(write)(S1205). 한편, 쓰기(write)내용이 없는 경우, 제2 데이터 패킷을 메인 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부(625)는, 디스플레이 제어부(625)에 디스플레이 제어부용 데이터를 쓴(write) 경우, 다른 제어부용 패킷이 있는지 검색 하고(S1206), 다른 제어부용 패킷이 없는 경우,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제어부용 패킷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부용 패킷을 제외한 나머지 패킷(제2 데이터 패킷)을 메인 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S1208).
메인 제어부(210)는, 제2 데이터 패킷을 기초로, 쓰기(write)내용이 있는지 판단하고(S1209), 쓰기 내용이 있다면, 메인 제어부(210)에, 메인 제어부용 데이터를 쓴다(write)(S1210). 한편, 쓰기(write)내용이 없는 경우, 제3 데이터 패킷을 인버터 제어부(211)에 전송한다(S1213).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메인 제어부(210)에 메인 제어부용 데이터를 쓴(write) 경우, 다른 제어부용 패킷이 있는지 검색하고(S1212), 다른 제어부용 패킷이 없는 경우,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제어부용 패킷이 있는 경우, 메인 제어부용 패킷을 제외한 나머지 패킷(제3 데이터 패킷)을 인버터 제어부(211)로 전송할 수 있다. (S1213).
인버터 제어부(211)는, 제3 데이터 패킷을 기초로, 인버터 제어부(211)에 인버터 제어부용 데이터를 쓴(write)다.
디스플레이 제어부(625), 메인 제어부(210), 인버터 제어부(211)는, 제어부 데이터를 쓴(write) 경우, 제어부 아이디(ID)를 붙인 확인응답(ack) 패킷을 통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S1207, S1211)
한편, 통신부(301)는, 전송이 완료된 뒤, 확인응답(ack) 패킷을 받지 못한, 디스플레이 제어부 또는 메인 제어부 또는 인버터 제어부(211)에 제어부용 패킷을, 재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301)는, 상기 확인응답(ack) 패킷을 받지 못하면, 업데이트를 종료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통신부(301)는, 디스플레이 제어부(625) 또는 메인 제어부(210) 또는 인버터 제어부(211)의 상기 확인응답(ack) 패킷을 받고, 순환중복검사(CRC)가 일치하면, 펌웨어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은, 홈 어플라이언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1)

  1. 구동부;
    제1 제어부;
    제2 제어부;및
    외부에서 데이터를 받아, 제1 데이터 패킷 을, 제1 제어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기초로, 제1 제어부용 패킷을 선택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나머지 패킷을 제2 제어부에 전송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에서 받은, 제2 데이터 패킷을 기초로,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상기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를 구분하는 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제어부를 구분하는, 제어부 아이디(ID)와, 업데이트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상기 제어부 아이디(ID)와,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를 여러 쌍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는,
    쓰기 주소(write address), 쓰기 패킷(write packet), 에러 정정 코드(CRC)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 또는 상기 제2 제어부는,
    쓰기 과정 후, 제어부 아이디(ID)를 붙인 확인응답(ack) 패킷을,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전송이 완료된 뒤, 상기 확인응답(ack) 패킷을 받지 못한, 상기 제1 제어부, 또는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부용 패킷을, 재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제어부 또는 상기 제2 제어부의, 상기 확인응답(ack) 패킷을 받지 못하는 경우, 업데이트를 종료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제어부 또는 상기 제2 제어부의 상기 확인응답(ack) 패킷을 받고, 에러 정정 코드(CRC)가 일치하면, 펌웨어 업데이트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1.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통신부가 외부 데이터를 제1 데이터 패킷으로 제1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패킷 중, 제어부를 구분하는 인자에 기초하여, 제1 제어부가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나머지 패킷을 제2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어플라이언스 업데이트 방법.
KR1020170003705A 2017-01-10 2017-01-10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KR102633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705A KR102633223B1 (ko) 2017-01-10 2017-01-10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705A KR102633223B1 (ko) 2017-01-10 2017-01-10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243A true KR20180082243A (ko) 2018-07-18
KR102633223B1 KR102633223B1 (ko) 2024-02-01

Family

ID=63049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705A KR102633223B1 (ko) 2017-01-10 2017-01-10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2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058A1 (ko) * 2022-05-24 2023-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730A (ko) * 2005-04-18 2006-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파를 이용한 가전제품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90510A (ko) * 2015-01-22 2016-08-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항공등화시스템 개별등화기의 원격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730A (ko) * 2005-04-18 2006-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파를 이용한 가전제품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90510A (ko) * 2015-01-22 2016-08-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항공등화시스템 개별등화기의 원격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058A1 (ko) * 2022-05-24 2023-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223B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0727B2 (en) Network system of home appliance and network setup method of the same
CN104995877B (zh) 使用便携装置的智能家居系统
CN103685450B (zh) 家用电器及包括该家用电器的联机系统
RU2577219C2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истема бытовых приборов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и
US9453299B2 (en)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10137614A (ko)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36422A (ko) 세탁장치
KR20110126437A (ko)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US20050140506A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placed within certain distance
US20210271215A1 (en)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home appliance
KR102633223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KR20140081270A (ko) 이동 단말기,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5648701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波轮式洗衣机
JP7232990B2 (ja) 洗濯システム
KR20160135557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및 세탁물 처리시스템
KR20090039182A (ko) 세탁장치의 업데이트 시스템
WO2021010078A1 (ja) 洗濯システム、洗濯機、及びプログラム
CN105823151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空调热水一体机
EP4283461A1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23045780A1 (zh) 一种家用电器的控制系统
JP7304510B2 (ja) 洗濯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22038095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120033660A (ko) 홈 네트워크
KR20140081269A (ko) 통신 장치
KR102643586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